KR101770318B1 - 신축봉 - Google Patents

신축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318B1
KR101770318B1 KR1020160012703A KR20160012703A KR101770318B1 KR 101770318 B1 KR101770318 B1 KR 101770318B1 KR 1020160012703 A KR1020160012703 A KR 1020160012703A KR 20160012703 A KR20160012703 A KR 20160012703A KR 101770318 B1 KR101770318 B1 KR 101770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bar
inner rod
guide member
inclin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1883A (ko
Inventor
김갑범
Original Assignee
(주)대진아트와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진아트와이어 filed Critical (주)대진아트와이어
Priority to KR1020160012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318B1/ko
Publication of KR20170091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2Floor-sweeping machine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8Other dus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선으로 형성되는 중공의 외측봉; 상기 외측봉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의 내측봉; 상기 내측봉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측봉의 외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봉의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외측봉의 내부에 삽입되는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재의 경사부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내측봉이 상기 외측봉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분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외측봉에 대하여 상기 내측봉을 회전시킬 때, 상기 외측봉과 상기 내측봉이 서로 상대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외측봉과 상기 내측봉을 고정결합하는 승강부재; 및 상기 내측봉의 외주에 끼워지고, 상기 외측봉과 상기 내측봉이 고정결합되었을 때, 상기 외측봉과 상기 내측봉 사이에 벌어진 틈새를 메우도록 하기 위한 마감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축봉{Extendable Rod}
본 발명은 신축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측봉과 내측봉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또 외측봉과 내측봉의 조립작업 또는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신축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삽입 인출이 가능한 신축봉은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된다.
즉, 카메라용 삼각대, 휴대가 간편하도록 접을 수 있는 다단식 등산용 지팡이, 비교적 높은 위치까지 연장시킬 수 있는 유리창 닦이기구, 키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빗자루 손잡이, 선반 기둥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신축봉은 그 외부관체와 내부관체의 길이를 연장하거나 줄인 상태에서 견고히 고정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며, 특히 등산용 지팡이 등과 같은 제품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체중 일부를 지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종래의 구성을 등산용 지팡이를 통해 보면, 등록 실용신안 20-0334041호의 등산용 지팡이의 길이 조절구는, 내부관체를 외부관체의 속으로 끼우되, 그 내부관체의 선단에 외부관체의 내경에 밀착될 수 있도록 체결수단이 마련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고정장치는 대부분 내부관체를 회전시켰을 때, 그 선단에 마련된 나사가 압지체를 벌려줄 수 있는 승강체를 가지고 있는 바, 길이 고정을 위한 조작시 압지체의 길이 전체가 팽창하는 것이 아니라 상단, 또는 하단이 테이퍼진 형태로 벌어지기 때문에 외부관체의 내주면에 밀착하는 면적이 비교적 적다.
따라서 마찰력의 크기가 적어지고 사용자의 체중이 길이 방향으로 작용할 때는 고정력을 잃고 내부관체가 외부관체의 속으로 삽입되어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신축봉을 선반의 기둥에 적용하는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20-0460781호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선반기둥이 있다.
위의 고안은 외측파이프와, 상기 외측파이프 내부에 결합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하단에 결합되면서 외측파이프의 내부 하단에 고정결합되는 스프링 지지구로 이루어지는 연장수단과, 상기 외측파이프의 내측에 결합되어 외측파이프의 상부 외측으로 연장가능한 것으로서 상단에 상부커버가 결합되는 내측파이프와, 상기 내측파이프의 하단에 끼움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프링을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스프링에 부합되는 스프링홈이 형성되는 이동부재로 구성되어 선반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조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선반기둥은 그 구조가 복잡함에 따라 다수의 부품들을 결합하여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측봉과 내측봉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또 외측봉과 내측봉의 조립작업 또는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신축봉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봉과 외측봉 사이에 삽입되는 승강부재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외측봉과 내측봉을 견고히 고정시키도록 하는 신축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봉이 회전할 때, 내측봉의 회전과 함께 승강부재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을 제공함에 의해서 내측봉과 외측봉의 조립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신축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봉과 외측봉이 신축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간단히 함으로서, 조립작업이 쉽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축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직선으로 형성되는 중공의 외측봉; 상기 외측봉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의 내측봉; 상기 내측봉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측봉의 외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봉의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외측봉의 내부에 삽입되는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재의 경사부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내측봉이 상기 외측봉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분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외측봉에 대하여 상기 내측봉을 회전시킬 때, 상기 외측봉과 상기 내측봉이 서로 상대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외측봉과 상기 내측봉을 고정결합하는 승강부재; 및 상기 내측봉의 외주에 끼워지고, 상기 외측봉과 상기 내측봉이 고정결합되었을 때, 상기 외측봉과 상기 내측봉 사이에 벌어진 틈새를 메우도록 하기 위한 마감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봉은, 외측봉과 내측봉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또 외측봉과 내측봉의 조립작업 또는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신축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봉과 외측봉 사이에 삽입되는 승강부재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외측봉과 내측봉을 견고히 고정시키도록 하는 신축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봉이 회전할 때, 내측봉의 회전과 함께 승강부재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에 의해서 내측봉과 외측봉의 조립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신축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축봉은, 안내부재와 승강부재에 의해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복수 개의 지지대를 연결하여 하나의 신축봉을 조립할 수 있으므로 신축봉의 구조가 간단해지므로 조립을 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축봉은, 외측봉과 내측봉 사이의 연결부위에 마감부재가 압입되어 외측봉과 내측봉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게 되므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연결부위를 미려하게 마감하고, 외측봉의 단부에 작업자의 손이 접촉할 때,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봉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봉이 도시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봉의 안내부재 및 승강부재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봉의 안내부재 및 승강부재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봉의 안내부재 및 승강부재의 연결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봉의 승강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봉의 걸림돌기와 걸림홈부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봉의 안내부재가 내측봉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봉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봉(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봉(32), 내측봉(36), 안내부재(50), 승강부재(56), 및 마감부재(59)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봉(3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으로 형성되며, 중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봉(36)은 상기 외측봉(32)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외측봉(3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중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부재(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봉(36)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51)와, 상기 결합부(51)의 일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경사부(52)와, 상기 경사부(52)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부(53)를 구비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봉(32)의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외측봉(32)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결합부(5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재(50)의 일 단부를 이루며, 상기 내측봉(36)의 일 단부 내측에 끼워져 고정 결합되며, 결합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고, 그 일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51)를 내측봉(36)의 일 단부 내측에 끼운 상태에서 내측봉(36)의 다수 지점에서 내측으로 다수의 요홈부(51a)를 형성하여 상기 요홈부(51a)가 결합부(51)의 외주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결합부(51)가 상기 내측봉(36)의 일단부에 고정결합되도록 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52)는 상기 내측봉(36)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결합부(51)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51)에 인접된 부분의 외경보다 상기 걸림부(53)에 가까운 부분의 외경이 더 작게 형성되고, 그 외주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나사산(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나사산(72)은 후술하는 승강부재(56)의 내주에 형성한 제2나사산(74)과 나사결합된다.
상기 걸림부(53)는 후술하는 승강부재(56)가 상기 안내부재(50)의 외주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경사부(52)와 상기 걸림부(53) 사이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연장부(54)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승강부재(56)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재(50)의 경사부(52)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내측봉(36)이 상기 외측봉(32)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분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외측봉(32)에 대하여 즉, 외측봉(32)이 회전되지 않도록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내측봉(36)을 회전시킬 때, 상기 외측봉(32)과 상기 내측봉(36)이 서로 상대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외측봉(32)과 상기 내측봉(36)을 고정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부재(56)는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둘레면 일부분에 내측봉(36)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부(58)가 형성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56)가 경사부(52)의 외경이 큰 쪽으로 이동되면, 상기 절개부(58)가 벌어지게 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52)의 외경이 작은 쪽으로 이동되면, 상기 승강부재(56)의 외경이 작아지도록 절개부(58)가 오무러지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56)의 내주면에는 상기 경사부(52)의 제1나사산(72)과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산(74)이 형성되어, 상기 제1나사산(72)과 상기 제2나사산(74)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기 승강부재(56)가 상기 안내부재(50)의 경사부(52)를 따라 승강하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56)의 내주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51)에 가까운 쪽의 내경이 걸림부(53)에 가까운 쪽의 내경보다 크게 이루어지므로 상기 승강부재(56)가 상기 경사부(52)에 결합되더라도 상기 승강부재(56)의 외주면은 원통의 형상을 갖게 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56)의 하단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단차(56a)가 형성되므로 승강부재(56)가 경사부(52)를 따라 상승할 때에, 걸림단차(56a)가 안내부재(50)의 경사부(52) 하단에 걸리면서 승강부재(56)가 필요 이상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감부재(59)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봉(36)의 외주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외측봉(32)과 상기 내측봉(36)이 고정결합되었을 때, 상기 외측봉(32)과 상기 내측봉(36) 사이에 벌어진 틈새를 메우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일단에는 둘레 방향으로 링 모양을 이루며 돌출되는 지지턱부(59a)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턱부(59a)는 외측봉(32)의 상단에 밀착되면서 외측봉(32)의 상단을 마감하므로 작업자의 손이 외측봉(32)의 상단과 접촉되면서 다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봉은 상기 내측봉(36)과 상기 외측봉(32)을 고정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외측봉(32)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즉 도 1에 도시된 외측봉(32)이 회전되지 않도록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내측봉(36)을 회전시킬 때, 상기 내측봉(36)과 함께 상기 승강부재(56)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80, 도 7 참조)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회전방지수단(80)은, 내측봉(36)이 회전하게 될 때, 즉, 도 7에 도시된 안내부재(50)가 회전하게 될 때, 안내부재(50)의 회전과 함께 승강부재(56)도 같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안내부재(50)와 상기 승강부재(56)가 함께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승강부재(56)가 안내부재(50)의 경사부(52)에 끼워진 상태에서 경사부(52)를 따라 이동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승강부재(56)에 형성한 절개부(58)의 벌림폭이 변동없이 그대로 유지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56)는 상기 안내부재(50)의 경사부(52)의 임의 위치에서 위치의 변동이 없이 승강 이동되지 아니하고, 그대로 헛바퀴를 돌게 되어 상기 외측봉(32)과 내측봉(36)의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 회전방지수단(8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56)의 외주에 형성되는 걸림홈부(82a)와, 상기 외측봉(32)의 외주에 형성되는 걸림돌기(84)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홈부(82a)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56)의 외주에 상기 내측봉(36)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돌기(82)들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84)는 도 1, 도 2,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56)에 형성한 상기 걸림홈부(82a)들 중의 적어도 하나와 걸림결합되도록 상기 외측봉(32)의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82)와 상기 걸림홈부(82a)가 결합되게 되면, 외측봉(32)의 내부에 내측봉(36)을 끼운 상태에서 외측봉(32)이 회전되지 않도록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내측봉(36)을 회전시키게 되면, 내측봉(36)의 회전과 함께 안내부재(50)도 회전하게 되고, 안내부재(50)의 외주에 끼워진 승강부재(56)는 상기 걸림돌기(84)와 상기 걸림홈부(82a)의 결합에 의해서 회전이 방지되어 외측봉(32)에 그대로 밀착된 상태로 있게 되므로 상기 승강부재(56)가 상기 안내부재(50)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봉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측봉(32)과 내측봉(36)을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봉(32)의 상단에, 안내부재(50) 및 승강부재(56)가 구비되는 내측봉(36)의 하단을 삽입하고, 외측봉(32)이 회전되지 않도록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내측봉(36)을 회전시키면 내측봉(36)의 회전과 함께 안내부재(50)는 회전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부(82a)에 의해 회전운동이 구속되는 승강부재(56)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승강부재(56)는 제1나사산(72)과 제2나사산(74)의 나사결합에 의해 경사부(52)를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재(50)의 결합부(51) 쪽으로 이동되면서 절개부(58)가 벌어지고, 이에 따라 승강부재(56)의 지름이 커지므로 안내부재(50)와 외측봉(32) 내벽 사이의 간격에 승강부재(56)가 압입되면서 내측봉(36)의 하단을 외측봉(32)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 이동이 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되어 외측봉(32)과 내측봉(36)이 서로 상대이동이 되지 않도록 고정결합되게 된다.
또한, 안내부재(50)의 상부에 배치되는 마감부재(59)는 외측봉(32)과 내측봉(36) 사이의 간격으로 압입되면서 지지턱부(59a)가 외측봉(32)의 상단에 밀착되면서 외측봉(32)과 내측봉(36)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게 된다.
한편, 외측봉(32)과 내측봉(36)을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상기한 조립방법과 반대 방향으로 외측봉(32)이 회전되지 않도록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내측봉(36)을 회전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56)가 하강하면서 안내부재(50)의 단면적이 좁은 부분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절개부(58)가 좁아지면서 승강부재(56)의 지름이 감소되므로 외측봉(32) 내벽과 안내부재(50)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승강부재(56)가 분리된다.
이후에, 작업자가 내측봉(36)을 외측봉(32)의 외측으로 당기면 마감부재(59)가 외측봉(32)의 상단으로부터 분리되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봉(32)과 내측봉(36)의 해제작업이 완료된다.
위와 같은 신축봉은 다양한 형태로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 선반의 기둥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기둥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봉(32)과 내측봉(36)의 단부에 각각 받침편(34, 38)들을 끼운 상태에서 일측은 바닥면에 접촉시키고, 타측은 천정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외측봉(32)과 내측봉(36)이 서로 상대 이동되지 않도록 외측봉(32)과 내측봉(36)을 결합시키면 선반의 기둥으로 이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신축봉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신축봉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신축봉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32 : 외측봉 36 : 내측봉
50 : 안내부재 51 결합부
52 : 경사부 53 : 걸림부
56 : 승강부재 58 : 절개부
59 : 마감부재 59a : 지지턱부
72 : 제1나사산 74 : 제2나사산
80 : 회전방지수단 82a : 걸림돌기
84 : 걸림돌기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직선으로 형성되는 중공의 외측봉(32);
    상기 외측봉(32)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의 내측봉(36);
    상기 내측봉(36)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51)와, 상기 결합부(51)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측봉(36)의 외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경사부(52)와, 상기 경사부(52)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부(53)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봉(32)의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외측봉(32)의 내부에 삽입되는 안내부재(50);
    상기 안내부재(50)의 경사부(52)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내측봉(36)이 상기 외측봉(32)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분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외측봉(32)에 대하여 상기 내측봉(36)을 회전시킬 때, 상기 외측봉(32)과 상기 내측봉(36)이 서로 상대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외측봉(32)과 상기 내측봉(36)을 고정결합하는 승강부재(56); 및
    상기 내측봉(36)의 외주에 끼워지고, 상기 외측봉(32)과 상기 내측봉(36)이 고정결합되었을 때, 상기 외측봉(32)과 상기 내측봉(36) 사이에 벌어진 틈새를 메우도록 하기 위한 마감부재(59);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봉(36)과 상기 외측봉(32)을 고정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외측봉(32)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내측봉(36)을 회전시킬 때, 상기 내측봉(36)과 함께 상기 승강부재(56)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8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방지수단(80)은,
    상기 승강부재(56)의 외주에 상기 내측봉(36)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부(82a); 및
    상기 승강부재(56)에 형성한 상기 걸림홈부(82a)들의 적어도 하나와 걸림결합되도록 상기 외측봉(32)의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돌기(8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봉.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50)의 경사부(52)는 그 외주에 제1나사산(72)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56)는 그 내주에 상기 경사부(52)의 제1나사산(72)과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산(7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봉.
KR1020160012703A 2016-02-02 2016-02-02 신축봉 KR101770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703A KR101770318B1 (ko) 2016-02-02 2016-02-02 신축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703A KR101770318B1 (ko) 2016-02-02 2016-02-02 신축봉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266A Division KR20170096988A (ko) 2017-08-14 2017-08-14 신축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883A KR20170091883A (ko) 2017-08-10
KR101770318B1 true KR101770318B1 (ko) 2017-08-23

Family

ID=59652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703A KR101770318B1 (ko) 2016-02-02 2016-02-02 신축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3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384Y1 (ko) 2001-03-16 2001-10-26 정치원 다용도 신축봉
US20150122968A1 (en) 2013-11-01 2015-05-07 Zhongshan Sirui Photographic Equipment Industry Co., Ltd. Multifunctional stan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384Y1 (ko) 2001-03-16 2001-10-26 정치원 다용도 신축봉
US20150122968A1 (en) 2013-11-01 2015-05-07 Zhongshan Sirui Photographic Equipment Industry Co., Ltd. Multifunctional 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883A (ko)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9281B2 (en) Runner fastening device for an umbrella
US9651073B2 (en) Locking mechanism for telescoping members
US7647936B1 (en) Runner assembly for an umbrella frame
US8946531B2 (en) Spring force adjustment structure in high-hat stand and high-hat stand including the spring force adjustment structure
EP1748196B1 (en) Locking system for telescopic tubes
US9534628B1 (en) Folding device for baby carriage
US8205658B1 (en) Operating device for rotating a winding roller of a window blind
US8926214B2 (en) Rotating type stick
US9259064B1 (en) Opening/closing structure for an automatic umbrella
GB2313052A (en) Catch release for an umbrella runner
KR20140049069A (ko) 신축장치
JP3174224U (ja) 着脱が容易な内蔵傘具を有する杖
KR20170096988A (ko) 신축봉
KR101770318B1 (ko) 신축봉
US9468274B2 (en) Umbrella having telescopic FRP shank
US20080168627A1 (en) Portable power supplying device
US20140311303A1 (en) Screwdriver gripping tool
KR10172042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틱
US9131755B1 (en) Umbrella with telescopic FRP shank
US10212997B1 (en) Collapsible umbrella with automatic closing structure
JP2015094465A (ja) 伸縮棒及び傘スタンド
US1113574A (en) Method of attaching ferrules to umbrella-cases.
KR101556964B1 (ko) 파이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조립체
US20120132239A1 (en) Umbrella
US20030221714A1 (en) Umbrel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