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170B1 -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 - Google Patents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170B1
KR101770170B1 KR1020150047171A KR20150047171A KR101770170B1 KR 101770170 B1 KR101770170 B1 KR 101770170B1 KR 1020150047171 A KR1020150047171 A KR 1020150047171A KR 20150047171 A KR20150047171 A KR 20150047171A KR 101770170 B1 KR101770170 B1 KR 101770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module
led module
mai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8686A (ko
Inventor
김보묵
김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제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제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제갬
Priority to KR1020150047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170B1/ko
Publication of KR20160118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H05B33/0857
    • H05B37/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Y02B20/34
    • Y02B20/7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을 표출할 수 있는 LED 모듈들을 결합시켜 다양한 모양을 가지는 LED조명기구화하도록 한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에 관한 것으로, 큐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되며, 전원을 전달받아 발광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LED모듈; 및 큐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LED모듈과 결합 또는 분리되고, 상기 LED모듈로 전원을 전달하며, 상기 LED모듈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Three Dimensional Connected LED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색상을 표출할 수 있는 LED 모듈들을 결합시켜 다양한 모양을 가지는 LED조명기구화하도록 한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공간의 실내에 설치되는 조명으로는, 통상적으로 광램프, 백열전구, 및 할로겐 램프와 같은 실내 조명등이 실내의 천정 혹은 벽면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실내 조명등은, 소모되는 소비전력이 크고, 발열특성이 있으며, 수명이 약 6개월 정도로 짧아서 자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형광램프나 백열전구의 경우에는 파손의 우려가 있어 수거에 어려움이 많으며, 회수중에 파손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도 있다.
한편, LED(Light Emitting Diode)는, 발광다이오드로서, 소비전력이 적고, 발열특성이 없는 고효율의 광원으로서, 수명 또한 약 100,000 시간으로 매우 길어서 차세대 조명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97603호(2007.10.05.)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서로 다른 색 온도의 빛을 출력하는 제1 LED 모듈 및 제2 LED 모듈을 이용하여 연색성이 높고, 태양 빛에 가까운 색 온도를 출력하는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있어서, 바닥판과, 바닥판에 조립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색 온도 및 밝기(조도)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조절하는 디밍 제어장치와, 각종 데이터 및 운영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 소정의 신호에 따라 구동 제어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과 같은 각종 전자 부품들이 실장되는 기판; 및 기판상에 실장되어, 전원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약 2,000K의 낮은 색 온도의 빛을 출력하는 복수의 LED로 구성되는 제1 LED 모듈과, 제1 LED 모듈과 다른 약 8,000K의 높은 색 온도의 빛을 출력하는 복수의 LED로 구성되는 제2 LED 모듈(53)로 이루어지는 광원을 구비한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서로 다른 색 온도의 빛을 출력하는 제1 LED 모듈 및 제2 LED 모듈을 이용하여, 연색성이 높으면서 일출에서 일몰까지 태양에서 출력되는 색 온도 범위 내에서 임의의 빛을 출력할 수 있으며, 조명등의 점등시 주변의 상태, 즉 주변의 온도나 조도를 검출한 후, 이 검출된 조도에 맞는 색 온도 및 조도의 빛을 자동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00272호(2010.12.04.)는 LED 광원이 가로등으로서 가져야 할 균일한 배광 특성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는 앨이디 조명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가로등이나 보안등과 같이 바닥면에 균일한 조도 또는 휘도 분포를 필요로 하는 노면의 길이방향(y축)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 설치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LED 광원이 2m개의 LED 평판모듈(Mi, i= ±1, ±2,…, ±m)에 각각 배열되어 하나의 LED 조명단위 모듈을 구성하되, y축과 LED 평판모듈(Mi)이 이루는 각도( i)는 ±i< ±i±1(복호 동순)의 관계를 만족하고, LED 평판모듈(Mi)의 광속을 Φi 라 할 때, Φ±i≤Φ±i±1(복호 동순)의 관계를 만족하며, Φ±m /Φ±1≥5(복호 동순)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LED 램프는, 발광 소자로서의 LED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한 번 형성된 형태를 변형시키거나 추가할 수 없어, 가정이나 사무실 등과 같이 조명 장치가 필요한 곳에서 장식용으로 사용하기가 힘들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9760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00272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색상을 표출할 수 있는 멀티 컬러 RGB LED를 내장한 큐빅형 LED 모듈들을 3차원 블록 형태로 결합시켜 다양한 모양을 가지는 LED조명기구화하도록 한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큐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되며, 전원을 전달받아 발광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LED모듈; 및 큐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LED모듈과 결합 또는 분리되고, 상기 LED모듈로 전원을 전달하며, 상기 LED모듈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모듈을 포함하는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LED모듈은, 상기 메인모듈 또는 다른 LED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전원 및 발광제어신호를 공급받기 위한 LED입력연결잭부; 상기 LED입력연결잭부에서 공급받은 전원 및 발광제어신호를 다른 LED모듈로 전달하기 위한 다수 개의 LED출력연결잭부; 상기 LED입력연결잭부에서 공급받은 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LED입력연결잭부에서 공급받은 발광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발광부; 상기 메인모듈 또는 다른 LED모듈과 상호 결합 또는 분리하기 위한 다수 개의 LED체결부; 상기 LED입력연결잭부, 상기 LED출력연결잭부, 상기 발광부 및 상기 LED체결부를 장착 설치하기 위한 LED기판부: 및 상기 LED기판부를 내부에 장착시켜 보호하기 위한 LED케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LED체결부는, 상기 LED케이스부의 일측 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재; 및 상기 돌기부재가 형성되지 아니한 LED케이스부의 측면에 각각 관통 형성되어, 다른 LED케이스부에 형성된 돌기부재와 결합 또는 분리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LED케이스부는, 상기 발광부가 장착 설치된 LED기판부의 상부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기 위한 상부케이스부재; 및 상기 LED기판부의 하부에 장착 설치하기 위한 하부케이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메인모듈은, 상기 LED모듈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발광제어신호를 생성시키는 제어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시킨 발광제어신호 및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LED모듈로 전달하는 메인연결잭부; 상기 LED모듈과 결합 또는 분리되기 위한 메인체결부; 상기 제어부, 상기 전원공급부, 상기 메인연결잭부 및 상기 메인체결부를 장착 설치하기 위한 메인기판부; 및 상기 메인기판부를 내부에 장착시켜 보호하기 위한 메인케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최초 구동 시에 상기 LED모듈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초기제어정보 및 모드 변경 시에 상기 LED모듈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을 변경되는 모드별로 제어하기 위한 모드별제어정보를 저장해 두기 위한 메모리부재; 상기 LED모듈의 구동의 시작을 입력받아 구동시작을 통보하기 위한 입력부재; 상기 LED모듈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의 모드 변경을 입력받아 모드변경을 통보하기 위한 모드변경부재; 및 상기 입력부재로부터 상기 LED모듈의 구동시작을 통보받아 상기 메모리부재로 저장된 초기제어정보를 판독하며, 판독한 초기제어정보에 대응하는 발광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LED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모드변경부재로부터 상기 LED모듈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의 모드 변경을 통보받아 상기 메모리부재로 저장된 모드별제어정보를 판독하며, 판독한 모드별제어정보에 대응하는 발광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LED모듈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LED모듈로 근접해오는 물체의 유무, 상기 LED모듈 주변의 온도 또는 상기 LED모듈 주변의 조도에 따라 상기 LED모듈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발광제어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메인모듈은, 외부무선기기로부터 무선통신으로 통하여 구동시작의 통보 또는 모드변경의 통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메인모듈은, 일측에 장착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색상을 표출할 수 있는 멀티 컬러 RGB LED를 내장한 큐빅형 LED 모듈들을 3차원 블록 형태로 결합시켜 다양한 모양을 가지는 LED조명기구화하도록 한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를 제공함으로써, 큐빅형 LED 모듈들을 다양한 3차원 블록 형태로 결합하여 그 형태를 변형시키거나 추가적인 큐빅형 LED 모듈을 결합시켜 가정이나 사무실 등과 같이 조명 장치가 필요한 곳에서 장식용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LED모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LED체결부의 제1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LED체결부의 제2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메인모듈의 제1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있는 제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메인모듈의 제2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메인모듈의 제3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10)는, 하나 이상의 LED모듈(100-1 ~ 100-N) 및 메인모듈(200)을 포함한다.
LED모듈(100)은, 메인모듈(200)과 결합 또는 분리되며, 큐브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LED모듈로 구성되는 경우 하나의 LED모듈(100-1)과 다른 LED모듈(100-2 ~ 100-N)들과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되며, 메인모듈(200)로부터 전원 및 발광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발광된다.
일 실시 예에서, LED모듈(100)은, 큐브(cube)(즉, 정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다른 LED모듈(100)들과 벽돌을 쌓아 올리는 것처럼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메인모듈(200)은, 큐브 형태로 형성되어 LED모듈(100)과 결합 또는 분리되고, LED모듈(100)로 전원을 전달하며, 발광제어신호를 생성시키며, 생성된 발광제어신호를 LED모듈(100)로 전송하여 LED모듈(100)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을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모듈(200)은, 큐브(cube)(즉, 정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LED모듈(100)과 벽돌을 쌓아 올리는 것처럼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10)는, 메인모듈(200)을 통해 전달되는 전원의 크기에 따라 최대 연결되는 LED모듈(100)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10)는, 메인모듈(200)에 의해 제어되는 다양한 색상을 표출할 수 있는 멀티 컬러 RGB LED를 내장한 LED모듈(100)들을 3차원 블록 형태로 결합시켜 다양한 모양을 가지는 LED조명기구화하도록 함으로써, LED모듈(100)들을 다양한 3차원 블록 형태로 결합하여 그 형태를 변형시키거나 추가적인 큐빅형 LED 모듈을 결합시켜 가정이나 사무실 등과 같이 조명 장치가 필요한 곳에서 장식용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LED모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ED모듈(100)은, LED입력연결잭부(110), 다수 개의 LED출력연결잭부(120), 하나이상의 발광부(130), 다수 개의 LED체결부(140), LED기판부(150) 및 LED케이스부(160)를 포함한다.
LED입력연결잭부(110)는, LED기판부(150)의 일측에 형성되며, 메인모듈(200) 또는 다른 LED모듈(10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 및 발광제어신호를 공급받으며, 해당 공급받은 전원 및 발광제어신호를 LED기판부(150)로 전달한다.
LED출력연결잭부(120)는, LED입력연결잭부(110)가 형성되지 아니한 LED기판부(15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며, LED입력연결잭부(110)에서 공급받은 전원 및 발광제어신호를 LED기판부(150)를 통해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전원 및 발광제어신호를 다른 LED모듈(100)에 형성된 LED입력연결잭부(110)로 전달한다.
발광부(130)는, LED기판부(15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며, LED입력연결잭부(110)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LED기판부(150)를 통해 전달 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LED입력연결잭부(110)에서 공급받은 발광제어신호를 LED기판부(150)를 통해 전달 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발광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부(130)는, 전력을 적게 소비하면서 한낮에도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의 광량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소자(예를 들어, LED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부(130)는,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다수 개의 색상(예를 들어, 빨간색, 녹색 또는 파란색 등)의 색으로 발광할 수 있는 LED(예를 들어, RGB-Multi color LED 등)로 형성될 수 있어, 다수 개의 색상을 위해 다수 개의 LED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져 제조단가를 절약할 수 있다.
LED체결부(140)는, 메인모듈(200)에 형성된 메인체결부(240) 또는 다른 LED모듈(100)에 형성된 LED체결부(140)과 상호 결합 또는 분리한다.
LED기판부(150)는, 일측에 형성된 LED입력연결잭부(110)로부터 전원 및 발광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며, LED입력연결잭부(110)가 형성되지 아니한 다른 일측에 형성된 LED출력연결잭부(120)를 통해 LED입력연결잭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전원 및 발광제어신호를 다른 LED모듈(100)에 형성된 LED입력연결잭부(110)로 전달하며,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발광부(130)로 LED입력연결잭부(110)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전달하며, LED체결부(140)를 장착 설치한다.
LED케이스부(160)는, LED기판부(150)를 내부에 장착시켜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LED케이스부(160)는, 큐브(cube)(즉, 정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다른 LED모듈(100)들과 벽돌을 쌓아 올리는 것처럼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메인모듈(200)과 좌우 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LED케이스부(160)는, 상부케이스부재(161) 및 하부케이스부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부재(161)는, 발광부(130)가 장착 설치된 LED기판부(150)의 상부에 장착 설치되며, 발광부(130)에서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케이스부재(161)는, 반투명한 재일(예를 들어, 반투명색인 플라스틱 또는 반투명 색인 유리 등)로 형성되어, 발광부(130)에서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킴에 있어 은은하게 발광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케이스부재(161)는, 색상(예를 들어, 노란색, 분홍색 또는 민트색 등)을 가지고 형성되어, 발광부(130)에서 발광되는 빛을 자체적으로 변환하도록 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부재(162)는, LED기판부(150)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어, 내부에 장착된 LED기판부(150)를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하부케이스부재(162)는, 상부케이스부재(161)과 동일한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케이스부재(161)과 동일한 색상 또는 다른 색상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는 LED체결부의 제1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LED체결부(140)는, 돌기부재(141) 및 다수 개의 체결홈부재(142)를 포함한다.
돌기부재(141)는, LED기판부(150)의 일측 면에 돌출 형성되며, 다른 LED모듈(100)에 형성된 체결홈부재(142)와 결합 또는 분리되며, 메인모듈(200)에 형성된 메인체결부(240)와 결합 또는 분리된다.
일 실시 예에서, 돌기부재(141)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돌기로 형성될 수 있는데, 한 쌍(즉, 두 개의 돌기)으로 형성되어 체결홈부재(142) 또는 메인체결부(240)와 결합 또는 분리됨이 바람직하다.
체결홈부재(142)는, 돌기부재(141)가 형성되지 아니한 LED기판부(150)의 측면에 각각 관통 형성되어, 다른 LED모듈(100)에 형성된 돌기부재(141)와 결합 또는 분리된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홈부재(142)는, 돌기부재(141)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돌기부재(141)과 체결홈부재(12)는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2에 있는 LED체결부의 제2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LED체결부(140)는, 돌기부재(141) 및 다수 개의 체결홈부재(142, 미도시) 및 스위치(1413, 1414)를 포함한다.
돌기부재(141)는, LED기판부(150)의 일측 면에 돌출 형성되며, 다른 LED모듈(100)에 형성된 체결홈부재(142)와 결합 또는 분리되며, 메인모듈(200)에 형성된 메인체결부(240)와 결합 또는 분리된다.
일 실시 예에서, 돌기부재(141)는, 한 쌍(즉, 두 개의 돌기)으로 형성되어 체결홈부재(142) 또는 메인체결부(240)와 결합 또는 분리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돌기부재(141)는, 제1돌기(1411) 및 제2돌기(1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기(1411)는, 제2돌기(1412)보다 길이가 길도록 형성되며, 제1스위치(1413) 또는 제2스위치(1414)를 스위치 온(switch on) 시키며, 다른 LED케이스부(160)에 형성된 체결홈부재(142)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스위치(1413)는, LED입력연결잭부(110)와 LED기판부(150)의 사이에 연결 형성되며, LED입력연결잭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LED기판부(150)로 전달을 스위치 온 또는 스위치 오프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스위치(1413)는, 제2스위치(1414)와 동일하게 LED입력연결잭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만, 스위치 온 되어서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에 제2스위치(1414)가 스위치 오프가 되어서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스위치 오프 되어서 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은 경우에 제2스위치(1414)가 스위치 온 되어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스위치(1414)는, LED입력연결잭부(110)와 LED기판부(150)의 사이에 연결 형성되며, LED입력연결잭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LED기판부(150)로 전달을 스위치 온 또는 스위치 오프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스위치(1414)는, 제1스위치(1413)와 동일하게 LED입력연결잭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만, 스위치 온 되어서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에 제1스위치(1413)가 스위치 오프가 되어서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스위치 오프 되어서 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은 경우에 제1스위치(1413)가 스위치 온 되어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제2돌기(1412)는, 제1돌기(1411)보다 길이가 짧도록 형성되며, 다른 LED케이스부(160)에 형성된 체결홈부재(142)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LED체결부(140)는, LED모듈(100)들 간의 결합에 있어 동일한 방향(즉, 발광부(130)가 모두 상측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경우)으로 결합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LED모듈(100)들 간의 결합에 있어 다른 방향(즉, 일 LED모듈(100)은 발광부(130)가 상측 방향을 향하고 있고, 다른 LED모듈(100)은 발광부(130)가 하측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등)으로 결합하도록 하여, 결합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메인모듈의 제1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인모듈(200)은, 제어부(210), 전원공급부(220), 메인연결잭부(230), 메인체결부(240), 메인기판부(250) 및 메인케이스부(260)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LED모듈(100)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발광제어신호를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시킨 발광제어신호를 메인기판부(250)로 전달한다.
전원공급부(22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공급받으며, 해당 공급받은 전원을 메인기판부(25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부(220)는, 상용전원(예를 들어, 220V AC 등)을 공급받으며, 해당 공급받은 전원을 LED모듈(100)이 필요로 하는 전원(예를 들어, 12V DC 등)으로 변환한 후 메인기판부(250)로 전달할 수 있다.
메인연결잭부(230)는, 제어부(210)에서 생성시킨 발광제어신호 및 전원공급부(22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메인기판부(250)를 통해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발광제어신호 및 전원을 LED모듈(100)에 형성된 LED입력연결잭부(110)로 전달한다.
메인체결부(240)는, 메인연결잭부(230)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기판부(250)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LED모듈(100)에 형성된 돌기부재(141)와 결합 또는 분리된다.
메인기판부(250)는, 장착 설치된 제어부(210)로부터 발광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발광제어신호를 장착 설치된 메인연결잭부(230)로 전달하며, 장착 설치된 전원공급부(220)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전원을 장착 설치된 메인연결잭부(230)로 전달하며, 메인체결부(240)를 관통 형성시킨다.
메인케이스부(260)는, 메인기판부(250)를 내부에 장착시켜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케이스부(260)는, 큐브(cube)(즉, 정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다른 LED모듈(100)들과 좌우 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있는 제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10)는, 메모리부재(211), 입력부재(212), 모드변경부재(213) 및 제어부재(214)를 포함한다.
메모리부재(211)는, 최초 구동 시에 LED모듈(100)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초기제어정보 및 모드 변경 시에 LED모듈(100)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을 변경되는 모드별로 제어하기 위한 모드별제어정보를 저장해 둔다.
입력부재(212)는, LED모듈(100)의 구동의 시작을 입력받으며, 해당 입력받은 구동의 시작을 제어부재(214)로 통보한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부재(212)는, on/off 스위치 형태(예를 들어, 슬라이드 형식으로 미는 형태 또는 눌러주는 형태 등)로 형성되어, 구동의 시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모드변경부재(213)는, LED모듈(100)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의 모드 변경을 입력받으며, 해당 입력받은 LED모듈(100)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의 모드 변경을 제어부재(214)로 통보한다.
일 실시 예에서, 모드변경부재(213)는, 버튼식으로 눌러주는 형태로 형성되어, LED모듈(100)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의 모드 변경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눌러주는 횟수에 대응(예를 들어, 1회 눌러주면 지속광으로 발광, 2회 연속 눌러주면 일정한 주기를 갖는 점멸등으로 발광, 3회 연속 눌러주면 빨간색으로 발광 또는 4회 연속 눌러주면 파란색으로 발광 등)하여 LED모듈(100)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의 모드 변경을 제어부재(214)로 통보할 수 있다.
제어부재(214)는, 입력부재(212)로부터 LED모듈(100)의 구동시작을 통보받으며 해당 통보받은 LED모듈(100)의 구동시작에 따라 메모리부재(211)로 저장된 초기제어정보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초기제어정보에 대응하는 발광제어신호를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시킨 발광제어신호를 LED모듈(100)로 전송하며, 모드변경부재(213)로부터 LED모듈(100)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의 모드 변경을 통보받으며 해당 통보받은 LED모듈(100)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의 모드 변경에 따라 메모리부재(211)로 저장된 모드별제어정보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모드별제어정보대응하는 발광제어신호를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시킨 발광제어신호를 LED모듈(1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어부(210)는, 근접센서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온도센서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조도센서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부재는, LED모듈(100)로 근접해 오는 물체의 유무를 탐지하며, LED모듈(100)로 근접해 오는 물체가 있을 시 이를 제어부재(214)로 통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근접센서부재는, TTL 초음파 펄스파를 통해 전면 물체와의 거리값(최대 10cm ~ 400cm)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재(211)는, LED모듈(100)로 근접해 오는 물체의 유무에 따른 LED모듈(100)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근접제어정보를 저장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재(214)는, 근접센서부재로부터 LED모듈(100)로 근접해 오는 물체가 있음을 통지받으며, 해당 통지받은 물체의 유무에 따라 메모리부재(211)로 저장된 근접제어정보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근접제어정보에 대응하는 발광제어신호를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시킨 발광제어신호를 LED모듈(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온도센서부재는, LED모듈(100)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며, 해당 측정된 온도를 제어부재(214)로 통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재(211)는, LED모듈(100) 주변의 온도에 따른 LED모듈(100)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온도제어정보를 저장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재(214)는, 온도센서부재로부터 LED모듈(100) 주변의 온도를 통지받으며, 해당 통지받은 온도에 따라 메모리부재(211)로 저장된 온도제어정보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온도제어정보에 대응하는 발광제어신호를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시킨 발광제어신호를 LED모듈(100)로 전송할 수 있다.
조도센서부재는, LED모듈(100)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며, 해당 측정된 조도를 제어부재(214)로 통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조도센서부재는, CDS 센서(Cd(카트뮴)과 S(황)을 이용한 조도 센서)에 의해 주위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재(211)는, LED모듈(100) 주변의 조도에 따른 LED모듈(100)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조도제어정보를 저장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재(214)는, 조도센서부재로부터 LED모듈(100) 주변의 조도를 통지받으며, 해당 통지받은 조도에 따라 메모리부재(211)로 저장된 조도제어정보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조도제어정보에 대응하는 발광제어신호를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시킨 발광제어신호를 LED모듈(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어부(210)는, 조도센서, 온도센서 및 초음파 센서에 의해 인터렉티브한 LED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메인모듈의 제2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메인모듈(200)은, 제어부(210), 전원공급부(220), 메인연결잭부(230), 메인체결부(240), 메인기판부(250), 메인케이스부(260) 및 통신부(2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210), 전원공급부(220), 메인연결잭부(230), 메인체결부(240), 메인기판부(250) 및 메인케이스부(260)는 도 6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통신부(270)는, 메인기판부(250)에 장착 설치되며, 외부무선기기로부터 무선통신으로 통하여 LED모듈(100)의 구동시작의 통보 또는 모드변경의 통보를 수신하며, 해당 수신된 구동시작의 통보 또는 모드변경을 메인기판부(25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270)는, 외부무선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WiFi를 내장한 MP3플레이어, WiFi를 내장한 게임기 등)와 무선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무선기기는, 외부무선기기 연동 서비스 앱(즉, LED모듈(100)의 구동시작의 통보 또는 모드변경의 통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설치 구비하며, LED모듈(100)의 구동시작 또는 모드변경을 입력받으며, 해당 입력받은 구동시작 또는 모드변경을 무선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이용하여 메인모듈(200)로 통보한다.
도 8은 도 1에 있는 메인모듈의 제3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메인모듈(200)은, 제어부(210), 전원공급부(220), 메인연결잭부(230), 메인체결부(240), 메인기판부(250), 메인케이스부(260) 및 손잡이부(2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210), 전원공급부(220), 메인연결잭부(230), 메인체결부(240), 메인기판부(250) 및 메인케이스부(260)는 도 6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손잡이부(280)는, 메인케이스부(260)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280)는, LED모듈(100)을 통해 발생되는 빛을 이용하여 다수 개가 연결 된 LED모듈(100)을 이용하여 손전등 등의 형태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LED모듈
110: LED입력연결잭부
120: LED출력연결잭부
130: 발광부
140: LED체결부
141: 돌기부재
142: 체결홈부재
150: LED기판부
160: LED케이스부
161: 상부케이스부재
162: 하부케이스부재
200: 메인모듈
210: 제어부
211: 메모리부재
212: 입력부재
213: 모드변경부재
214: 제어부재
220: 전원공급부
230: 메인연결잭부
240: 메인체결부
250: 메인기판부
260: 메인케이스부
270: 통신부
280: 손잡이부

Claims (10)

  1. 큐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되며, 전원을 전달받아 발광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LED모듈; 및 큐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LED모듈과 결합 또는 분리되고, 상기 LED모듈로 전원을 전달하며, 상기 LED모듈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모듈을 포함하는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듈은, 상기 LED모듈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발광제어신호를 생성시키는 제어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시킨 발광제어신호 및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LED모듈로 전달하는 메인연결잭부; 상기 LED모듈과 결합 또는 분리되기 위한 메인체결부; 상기 제어부, 상기 전원공급부, 상기 메인연결잭부 및 상기 메인체결부를 장착 설치하기 위한 메인기판부; 및 상기 메인기판부를 내부에 장착시켜 보호하기 위한 메인케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모듈은, 일측에 장착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모듈은,
    상기 메인모듈 또는 다른 LED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전원 및 발광제어신호를 공급받기 위한 LED입력연결잭부;
    상기 LED입력연결잭부에서 공급받은 전원 및 발광제어신호를 다른 LED모듈로 전달하기 위한 다수 개의 LED출력연결잭부;
    상기 LED입력연결잭부에서 공급받은 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LED입력연결잭부에서 공급받은 발광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발광부;
    상기 메인모듈 또는 다른 LED모듈과 상호 결합 또는 분리하기 위한 다수 개의 LED체결부;
    상기 LED입력연결잭부, 상기 LED출력연결잭부, 상기 발광부 및 상기 LED체결부를 장착 설치하기 위한 LED기판부: 및
    상기 LED기판부를 내부에 장착시켜 보호하기 위한 LED케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ED체결부는,
    상기 LED케이스부의 일측 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재; 및
    상기 돌기부재가 형성되지 아니한 LED케이스부의 측면에 각각 관통 형성되어, 다른 LED케이스부에 형성된 돌기부재와 결합 또는 분리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ED케이스부는,
    상기 발광부가 장착 설치된 LED기판부의 상부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기 위한 상부케이스부재; 및
    상기 LED기판부의 하부에 장착 설치하기 위한 하부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최초 구동 시에 상기 LED모듈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초기제어정보 및 모드 변경 시에 상기 LED모듈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을 변경되는 모드별로 제어하기 위한 모드별제어정보를 저장해 두기 위한 메모리부재;
    상기 LED모듈의 구동의 시작을 입력받아 구동시작을 통보하기 위한 입력부재;
    상기 LED모듈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의 모드 변경을 입력받아 모드변경을 통보하기 위한 모드변경부재; 및
    상기 입력부재로부터 상기 LED모듈의 구동시작을 통보받아 상기 메모리부재로 저장된 초기제어정보를 판독하며, 판독한 초기제어정보에 대응하는 발광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LED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모드변경부재로부터 상기 LED모듈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의 모드 변경을 통보받아 상기 메모리부재로 저장된 모드별제어정보를 판독하며, 판독한 모드별제어정보에 대응하는 발광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LED모듈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LED모듈로 근접해오는 물체의 유무, 상기 LED모듈 주변의 온도 또는 상기 LED모듈 주변의 조도에 따라 상기 LED모듈의 발광 색상 및 발광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발광제어신호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듈은,
    외부무선기기로부터 무선통신으로 통하여 구동시작의 통보 또는 모드변경의 통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
  10. 삭제
KR1020150047171A 2015-04-03 2015-04-03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 KR101770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171A KR101770170B1 (ko) 2015-04-03 2015-04-03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171A KR101770170B1 (ko) 2015-04-03 2015-04-03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686A KR20160118686A (ko) 2016-10-12
KR101770170B1 true KR101770170B1 (ko) 2017-09-04

Family

ID=5717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171A KR101770170B1 (ko) 2015-04-03 2015-04-03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377B1 (ko) * 2017-09-15 2019-03-04 류경 터널 벽면 및 터널 노면 조명 장치
KR102138962B1 (ko) * 2017-12-15 2020-07-28 이화준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
KR102512957B1 (ko) * 2022-06-08 2023-03-23 주식회사 비에스테크닉스 조립형 led 블록체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7603A (ko) 2006-03-28 2007-10-05 주식회사 필룩스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
KR101000272B1 (ko) 2008-05-22 2010-12-09 박호병 엘이디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686A (ko)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65545C (en) Intelligent lighting module for a lighting fixture
US9033569B2 (en) Lamp holder has built-in night light
KR102223034B1 (ko) 조명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신호 변환 장치
CN103604097B (zh) 用于led灯具的插拔式控制组件
KR20100082413A (ko) 조명 장치
KR100904792B1 (ko)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및 그를 채용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관리 시스템
US9976716B1 (en) Enhanced solid-state light source and electronic simulated candle
KR20100082412A (ko) 조명 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3138653U (ja)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KR101770170B1 (ko) 3차원 결합형 led 조명 기구
CN102748679A (zh) 智能生态调光led吸顶灯
TW201534180A (zh) 照明裝置及其上的照明組件及調節件
CN202629900U (zh) 调色调光led吸顶灯
TW201240525A (en) Illumination system and energy-saving lamp apparatus thereof
CN201887979U (zh) 一种多色led灯控制系统
US11480307B2 (en) Downlight apparatus
CN203279244U (zh) 可遥控吊灯
KR101370116B1 (ko) 천장 조명 시스템
KR20140060675A (ko) 통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CN203431598U (zh) 一种色温值及亮度可调的led灯具
KR20140132491A (ko) 통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CN201437974U (zh) Led光源与供电界面组合结构
KR200450186Y1 (ko) Led와 시계를 이용한 조명 장치
TWI461628B (zh) 燈具
CN202327739U (zh) 超市商品渲染led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