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582B1 - 버스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버스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582B1
KR101769582B1 KR1020110107276A KR20110107276A KR101769582B1 KR 101769582 B1 KR101769582 B1 KR 101769582B1 KR 1020110107276 A KR1020110107276 A KR 1020110107276A KR 20110107276 A KR20110107276 A KR 20110107276A KR 101769582 B1 KR101769582 B1 KR 101769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fixing
fixed
heads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3269A (ko
Inventor
김자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7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582B1/ko
Publication of KR20130043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2Open installations
    • H02G5/025Supporting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고정체(10)에는 고정보스(1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보스(12)는 길이방향 중앙을 따라 변형공간(1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보스(12)는 서로 나란히 연장되는 제1 몸체(13)와 제2몸체(13')의 사이에 상기 변형공간(16)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13)와 제2몸체(13')의 선단에는 각각 반구형상의 제1머리(14) 및 제2머리(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머리(14)와 제2머리(14')의 선단에 해당되는 변형공간(16)의 폭은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체(10)에 고정되는 버스바(20)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고정보스(12)가 관통하는 고정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공(22)의 일측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부분에서 연장되게 고정브릿지(24)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브릿지(24)는 일단부는 상기 버스바(2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자유단부로 된다. 상기 고정브릿지(24)는 대략 아치형상으로 된다. 상기 고정브릿지(24)는 상기 고정보스(12)의 변형공간(16) 내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보스(12)의 탄성변형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바(20)를 고정체(1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버스바(20)의 유지보수가 쉽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버스바 고정장치{Busbar faste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버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바를 박스의 일부나 절연판 등에 고정함에 있어서
버스바는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프레스장치에서 절단하고 절곡하여 만드는 것으로, 전원과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버스바는 박스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박스몸체나 절연판 등에 설치되어 그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버스바는 상기 박스몸체나 절연판 등에 설치됨에 있어 박스몸체나 절연판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만약, 박스몸체나 절연판에 고정된 버스바에 이들과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면 진동이 발생할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박스몸체나 절연판에 버스바를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버스바를 관통하는 고정보스의 선단을 초음파융착을 통해 상대적으로 크게 만들어 버스바를 고정시키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으로 버스바를 고정하면 버스바를 박스몸체나 절연판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버스를 파손해야 하므로 절연판이나 박스몸체의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박스몸체나 절연판에 형성된 고정보스를 사용하여 버스바를 박스몸체나 절연판 등의 고정체에 상대 유동없이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스바를 고정체에 유동없이 고정함과 동시에 버스바를 분해한 후에 재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절연재질로 만들어지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 중앙을 따라 변형공간이 형성되도록 선단에 제1 및 제2 머리가 각각 구비되는 제1몸체와 제2몸체가 나란히 배치되어 구성되는 고정보스와, 상기 고정체 상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보스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며 도전성 금속재질의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의 고정공을 가로질러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버스바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자유단부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보스의 변형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보스의 탄성변형을 제어하는 고정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머리의 선단부분에서 상기 제1 및 제2 머리사이의 간격은 상기 고정브릿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고정브릿지의 나머지 변형공간의 폭은 상기 고정브릿지의 폭과 같거나 좁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릿지는 아치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고정브릿지의 자유단부에는 조작단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머리와 제2 머리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변형공간을 제외한 부분이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보다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머리와 제2머리가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와 만나는 부분에는 상기 고정공의 가장자리가 안내되는 분리가이드면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머리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적어도 일측에는 걸림턱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에는 상기 제1 및 제2 머리의 선단을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삽입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릿지의 양단을 안내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절연재질로 만들어진 고정체의 고정보스가 도전성 금속재질의 버스바의 고정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하는 버스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보스의 길이방향 중앙을 따라서는 변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변형공간에는 상기 버스바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공을 가로지르고 선단이 자유단부로 형성된 고정브릿지가 위치되어 변형공간의 양단에 형성된 제1몸체와 제2몸체의 탄성변형정도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및 제2 몸체의 선단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머리가 상기 고정공을 통과하거나 걸리도록 한다.
상기 변형공간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및 제2 머리의 선단쪽이 상기 고정브릿지의 폭보다 넓고 나머지 변형공간의 부분은 상기 고정브릿지의 폭과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몸체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머리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고정브릿지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머리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고정공의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분리가이드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릿지는 아치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자유단부에 조작단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 고정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보스의 연장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변형공간에 고정브릿지가 위치되어 고정보스의 탄성변형을 제어하므로 버스바와 고정보스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보스의 변형공간에 있는 고정브릿지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고정보스가 탄성변형가능하도록 위치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여러 번에 걸쳐 고정보스에 버스바를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재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브릿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고정브릿지가 고정보스의 변형공간 내에 고정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고정보스의 변형공간 내에 고정브릿지가 위치되어 고정보스의 탄성변형을 방지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고정체(10)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고정체(10)로는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박스몸체, 절연판 등이다. 상기 고정체(10)에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20)을 고정하기 위해서 다수개의 고정보스(12)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보스(12)는 상기 고정체(1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버스바(20)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그 형성 위치가 결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고정체(10)에 하나의 고정보스(12)가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보스(12)는 상기 고정체(10)의 표면에 직립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1몸체(13)와 제2몸체(13')가 나란히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13)와 제2몸체(13')의 선단에는 각각 제1머리(14)와 제2머리(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머리(14)와 제2머리(14')는 각각 상기 제1몸체(13)와 제2몸체(13')보다는 상기 고정보스(12)의 외면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20)의 고정공(22) 가장자리에 제1머리(14)와 제2머리(14')가 걸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 및 제2 머리(14,14')와 상기 제1 및 제2 몸체(13,13')가 만나는 부분에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2 머리(14,14')에는 분리가이드면(15)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가이드면(15)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20)의 고정공(22)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보스(12)의 길이방향 중앙을 따라서는 변형공간(16)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공간(16)은 상기 제1몸체(13)와 제1머리(14) 그리고 제2몸체(13')와 제2머리(14')의 사이에 해당되는 공간으로 상기 제1몸체(13)와 제2몸체(13') 그리고 제1머리(14)와 제2머리(14')가 탄성변형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1머리(14)와 제2머리(14')는 그 형상이 대략 각각 반구형상으로 된다.
상기 변형공간(16)에서 상기 제1몸체(13)와 제2몸체(13') 사이의 거리 그리고 상기 제1머리(14)와 제2머리(14') 사이의 거리는 다르게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제1몸체(13)와 제2몸체(13') 사이의 거리에 비해 상기 제1머리(14)와 제2머리(14') 사이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길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머리(14)와 제2머리(14') 사이의 거리는 이들 제1 및 제2 머리(14,14')의 선단으로 갈수록 더 길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몸체(13)와 제2몸체(13') 사이의 거리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브릿지(24)의 폭과 같거나 약간 작게 된다. 참고로 상기 제1머리(14)와 제2머리(14')사이의 거리도 제1머리(14)와 제2머리(14')의 중간 부분까지는 상기 제1몸체(13)와 제2몸체(13') 사이의 거리와 같다.
상기 제1머리(14)와 제2머리(14')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걸림턱(17)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7)의 제1머리(14)와 제2머리(14')의 서로 대응되는 면에 서로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7)을 기준으로 상기 변형공간(16)의 폭이 달라지게 된다. 즉, 상기 걸림턱(17)에서 상기 제1머리(14)와 제2머리(14')쪽으로 가면 변형공간(16)의 폭이 고정브릿지(24)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고, 상기 걸림턱(17)을 기준으로 제1몸체(13)와 제2몸체(13') 쪽으로 가면 변형공간(16)의 폭이 고정브릿지(24)의 폭과 같거나 상대적으로 작다.
상기 걸림턱(17)에서 상기 제1 및 제2 머리(14,14')의 선단 방향을 향하는 면은 상기 제1 및 제2 머리(14,14')를 향해 하향 경사진 삽입가이드면(17')이다. 상기 삽입가이드면(17')은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브릿지(24)의 양단이 안내되는 면이다.
버스바(20)는 도전성의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버스바(20)는 판형상이고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금속판을 절단하고 절곡하여 만들어지낟. 상기 버스바(20)에는 고정공(22)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공(22)의 직경은 상기 제1몸체(13)와 제2몸체(13')의 서로 반대되는 외면 사이의 거리와 같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머리(14)와 제2머리(14')가 서로 가까워졌을 때 이들이 고정공(22)을 빠져나갈 수 있도록 고정공(22)의 직경이 만들어진다.
상기 버스바(20)에는 상기 고정공(22)의 상부를 가로질러 가도록 고정브릿지(24)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릿지(24)는 일단부가 상기 버스바(2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공(22)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에서 부터 시작해서 고정공(22)의 타측 가장자리 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고정브릿지(24)의 타단부는 상기 버스바(20)와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브릿지(24)는 버스바(20)에 연결된 반대쪽 단부인 자유단부쪽에 힘을 가하면 원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릿지(24)는 도 4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아치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고정브릿지(24)에서 가장 높은 부분인 중심부(25)는 대략 상기 고정공(22)의 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다. 상기 고정브릿지(24)의 자유단부에는 조작단(26)이 있다. 상기 조작단(26)는 상기 버스바(20)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되어 작업자가 공구나 손가락으로 조작하여 고정브릿지(24)를 탄성변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 고정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버스바(20)는 상기 고정체(10)의 고정보스(12)가 고정공(22)을 관통하여 설치됨에 의해 고정체(10)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상기 고정체(10)의 고정보스(12) 상부에 상기 버스바(20)의 고정공(22)이 위치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버스바(20)의 고정공(22)에 상기 고정보스(12)의 제1 및 제2머리(14,14')가 들어가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브릿지(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17)보다 상부에 있게 된다. 즉, 상기 고정브릿지(24)가 상기 제1 및 제2 머리(14,14')의 사이에 있게 되므로 상기 제1 및 제2 머리(14,14')사이는 상기 고정브릿지(24)의 양단에 닿게 될 때까지는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머리(14,14') 사이의 거리는 상기 고정브릿지(24)의 폭보다 크므로 상기 제1 및 제2 머리(14,14') 사이가 가까워지면서 상기 고정공(22)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도면상으로 볼 때, 상기 제1 및 제2 머리(14,14')의 사이중에 상기 걸림턱(17)에 인접한 부분은 그 거리가 상기 고정브릿지(24)의 폭과 거의 유사하다. 하지만, 상기 제1 및 제2머리(14,14')가 상기 고정공(22)을 통과하면서 서로 가까워지려고 하면 상기 고정브릿지(24)의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머리(14,14')의 삽입가이드면(17')에 의해 안내되면서 점차 제1 및 제2 머리(14,14')의 선단쪽으로 고정브릿지(24)가 이동되도록 고정브릿지(24)가 탄성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머리(14,14')는 상기 고정공(22)을 통과하여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브릿지(24)의 중심부(25)쪽을 작업자가 도구나 손가락으로 눌러주면 상기 고정브릿지(24)는 상기 걸림턱(17)을 타고 넘어 상기 제1 및 제2 몸체(13,13')의 사이에 해당되는 변형공간(16)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릿지(24)가 상기 걸림턱(17)의 하부에 해당되는 변형공간(16)에 있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 몸체(13,13')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탄성변형될 수 없다. 즉, 외력이 상기 제1 및 제2 머리(14,14')에 작용하더라도 상기 고정보스(12)가 상기 고정공(22)을 통과하도록 탄성변형되는 것을 상기 고정브릿지(24)가 막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머리(14,14')의 하단이 상기 버스바(20)의 고정공(22) 가장자리에 걸려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13,13')의 사이에 고정브릿지(24)가 위치되어 서로 가까워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도 6의 상태에서는 상기 양측의 제1 및 제2 몸체(13,13')가 변형공간(16)쪽으로 이동되지 못하므로 제1 및 제2 머리(14,14')가 상기 고정공(22)을 통과하여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사용중에 유지보수의 필요 때문에 상기 버스바(20)를 고정체(10)의 고정보스(12)에서 분리해야할 경우가 있다. 이때에는 작업자가 상기 버스바(20)의 고정브릿지(24)를 들어올려 상기 걸림턱(17) 사이를 빠져 나가게 한다. 이때, 상기 고정브릿지(24)의 조작단(26)을 작업자가 조작하면 된다.
상기 고정브릿지(24)를 들어 올려 탄성변형시키면, 상기 걸림턱(17) 사이를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머리(14,14')와 상기 제1 및 제2 몸체(13,13')가 연결된 부분에서 탄성변형이 생기면서 상기 제1 및 제2 머리(14,14')가 약간 젖혀지게 되어 걸림턱(17) 사이를 상기 고정브릿지(24)가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고정브릿지(24)가 상기 걸림턱(17)의 사이를 빠져나가 상기 고정브릿지(24)의 폭보다 넓은 제1 및 제2 머리(14,14') 사이의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 머리(14,14')가 상기 고정공(22)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까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상기 고정브릿지(24)를 상기 걸림턱(17)을 통과시키도록 들어올리면 된다. 상기 고정브릿지(24)를 들어 올리면 상기 버스바(20)가 함께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제1 및 제2 머리(14,14')의 분리가이드면(15)이 상기 고정공(22)의 가장자리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제1 및 제2 머리(14,14') 사이가 가까워지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머리(14,14')가 가까워지면서 상기 고정공(22)을 빠져나가게 되면 상기 고정보스(12)와 버스바(20)의 결합이 분리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턱(17)이 상기 제1 및 제2 머리(14,14')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나, 어느 일측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형성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물론, 상기 걸림턱(17)이 있으면, 상기 고정브릿지(24)의 위치이동이 제어될 수 있으나, 상기 고정브릿지(24)의 복원방향이 향상 상기 버스바(20)의 표면쪽으로 되도록 한다면 반드시 걸림턱(17)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릿지(24)의 조작단(26)도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있으면 조작이 더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10: 고정체 12: 고정보스
13: 제1몸체 13': 제2몸체
14: 제1머리 14': 제2머리
15: 분리가이드면 16: 변형공간
17: 걸림턱 17': 삽입가이드면
20: 버스바 22: 고정공
24: 고정브릿지 25: 중심부
26: 조작단

Claims (12)

  1. 절연재질로 만들어지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 중앙을 따라 변형공간이 형성되도록 선단에 제1 및 제2 머리가 각각 구비되는 제1몸체와 제2몸체가 나란히 배치되어 구성되는 고정보스와,
    상기 고정체 상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보스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며 도전성 금속재질의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의 고정공을 가로질러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버스바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자유단부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보스의 변형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보스의 탄성변형을 제어하는 고정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머리의 선단부분에서 상기 제1 및 제2 머리사이의 간격은 상기 고정브릿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고정브릿지의 나머지 변형공간의 폭은 상기 고정브릿지의 폭과 같거나 좁게 형성되는 버스바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릿지는 아치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릿지의 자유단부에는 조작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머리와 제2 머리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변형공간을 제외한 부분이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보다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머리와 제2머리가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와 만나는 부분에는 상기 고정공의 가장자리가 안내되는 분리가이드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고정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머리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적어도 일측에는 걸림턱이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고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에는 상기 제1 및 제2 머리의 선단을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삽입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릿지의 양단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고정장치.
  8. 절연재질로 만들어진 고정체의 고정보스가 도전성 금속재질의 버스바의 고정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하는 버스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보스의 길이방향 중앙을 따라서는 변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변형공간에는 상기 버스바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공을 가로지르고 선단이 자유단부로 형성된 고정브릿지가 위치되어 변형공간의 양단에 형성된 제1몸체와 제2몸체의 탄성변형정도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및 제2 몸체의 선단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머리가 상기 고정공을 통과하거나 걸리도록 하는 버스바 고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공간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및 제2 머리의 선단쪽이 상기 고정브릿지의 폭보다 넓고 나머지 변형공간의 부분은 상기 고정브릿지의 폭과 같거나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고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머리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고정브릿지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고정장치.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머리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고정공의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분리가이드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고정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릿지는 아치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자유단부에 조작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고정장치.
KR1020110107276A 2011-10-20 2011-10-20 버스바 고정장치 KR101769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276A KR101769582B1 (ko) 2011-10-20 2011-10-20 버스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276A KR101769582B1 (ko) 2011-10-20 2011-10-20 버스바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269A KR20130043269A (ko) 2013-04-30
KR101769582B1 true KR101769582B1 (ko) 2017-08-21

Family

ID=48441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276A KR101769582B1 (ko) 2011-10-20 2011-10-20 버스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5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2119A (ja) 2001-09-25 2003-04-04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ャンクション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2119A (ja) 2001-09-25 2003-04-04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ャンクションブロ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269A (ko) 201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3154B1 (en) Raceway construction for cables and pipes, including an antislipping cover
WO2016194329A1 (ja) 締結部品および締結部品の形成方法
JP5594617B2 (ja) アンテナ固定ユニット
US20180309276A1 (en) Wedge cable clamp
KR101769582B1 (ko) 버스바 고정장치
US10427621B2 (en) Vehicle tether clip
JP2013198330A (ja) 車両における機器ボックスの支持構造
KR200484015Y1 (ko) 전력 변환 장치
KR101823508B1 (ko) 인장 유지 금속 로킹 타이 및 공압식 수동 공구
JP2006336858A (ja)
CN107430832A (zh) 用于支承尤其是带有射频应答机的标牌的标牌托架
JP2016040971A (ja) 電気機器
JP2023112206A (ja) シートベルトウェビングのアンカープレート及びアンカー装置
CA2515799C (en) An improved nail restrainer and a nailing machine equipped with said restrainer
KR200480390Y1 (ko) 전자기기의 케이싱 체결 구조
TWM568022U (zh) 理線組件及其理線單元
US6883886B2 (en) Drawer guide
US3722093A (en) Wire cutting plier with severed end holding means
KR100846852B1 (ko) 프로그레시브금형의 터미널 안내장치
CN217952498U (zh) 一种过线结构、空调电控盒和空调器
KR101121274B1 (ko) 슬라이드 레일용 전력부품의 유동방지장치
JP2018003498A (ja) レール締結装置
KR20120005002U (ko) 밴드케이블의 라운드 절단장치
KR101655050B1 (ko) 쐐기형 인장 클램프
KR200442225Y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소재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