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571B1 -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 - Google Patents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571B1
KR101769571B1 KR1020150061073A KR20150061073A KR101769571B1 KR 101769571 B1 KR101769571 B1 KR 101769571B1 KR 1020150061073 A KR1020150061073 A KR 1020150061073A KR 20150061073 A KR20150061073 A KR 20150061073A KR 101769571 B1 KR101769571 B1 KR 101769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direction
axis
tread
treadmi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9257A (ko
Inventor
차무현
박성환
이한민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61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571B1/ko
Publication of KR20160129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85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elt, e.g. material, surface, indic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트레드부를 Y축 방향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Y축구동부를 트레드부와 분리하여 형성하되, 상기 Y축구동부는 트레드와 면접하여 간접적으로 동력을 공급하는 롤러벨트 형식으로 형성함으로써, 트레드부의 무게를 감소시켜 X축 방향으로의 가감속이 유리하며, 트레드밀의 시스템을 단순화하여 트레드부의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동력 전달 시 미끄러져 헛도는 현상 또는 저항의 발생의 억제하여 Y축 방향으로의 순환을 위한 동력 전달이 효율적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Two-Dimensional Treadmill Using Roller-Belt}
본 발명은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레드를 Y축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Y축구동부를 트레드와 면접하도록 형성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롤러벨트 형식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에 관한 것이다.
트레드밀(Treadmill)은 에르고미터(ergometer)의 하나로, 정확하게는 Motor Driven Treadmill이라 한다.
트레드밀은 동력에 의하여 일정방향으로 이동하는 벨트를 주체로 하며, 전신 지구성의 측정이나 심장맥관계의 기능 테스트, 트레이닝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보행자는 이 벨트 위에서 벨트의 이동 속도에 맞추어 걷거나 달리게 된다.
트레드밀은 이동방향에 따라 1차원 또는 2차원 트레드밀로 분류할 수 있으며, 1차원 트레드밀은 전진 및 후진의 단방향 이동이 가능한 시뮬레이션 장치로서, 상기에 기재된 전신 지구성의 측정, 심장맥관계의 기능 테스트 및 트레이닝 등을 위한 러닝머신에 주로 사용된다.
2차원 트레드밀은 전진 및 후진의 단방향의 이동이 가능한 1차원 트레드밀과는 달리, 전, 후, 좌, 우의 360도 전방향 이동이 가능한 시뮬레이션 장치로서, 체감 및 체력 훈련이 필요한 가상현실의 시뮬레이터에 이용될 뿐만 아니라, 병사의 전투훈련, 가상 투어, 소방 안전 훈련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즉, 2차원 트레드밀은 한 공간에서 모든 방향으로의 자연스러운 보행이 가능하여 다양한 시뮬레이터에 적용되어 이용되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2차원 트레드밀은 Y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유닛몸체를 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결하여 트레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트레드부를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전 방향(X+Y) 모션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종래의 2차원 트레드밀은 X축 방향으로 회전운동은 일반적으로 체인에 체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방법을 이용하며, Y축 방향으로의 회전의 경우 트레드부 내부에 모터를 탑재하여 자체 동력을 생성하는 방법 또는 트레드부 내부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설치하여 간접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트레드부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설치하여 간접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은 미국 등록특허 제7780573호("Omni-directional Treadmill with Applications")에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에 기재된 트레드부 내부에 모터를 탑재하여 자체 동력을 생성하여 전달하는 방식은 동력 전달이 확실한 반면, 트레드부의 전체 무게가 증가함으로써, X축 방향으로의 가감속이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트레드부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설치하여 간접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은 트레드부의 무게는 가벼워지는 장점이 있는 데 반해, 동력 전달 시 미끄러져 헛돌게 되거나, 저항이 발생하여 동력 전달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7780573호("Omni-directional Treadmill with Application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2차원 트레드밀의 트레드부를 Y축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Y축구동부를 트레드와 면접하여 간접적으로 동력을 공급하는 롤러벨트 형식으로 형성함으로써, 트레드부의 무게를 감소시켜 X축 방향으로의 가감속이 유리한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Y축구동부를 트레드부와 면접하여 간접적으로 동력을 공급하는 롤러벨트 형식으로 형성함으로써, 동력 전달 시 미끄러져 헛도는 현상 및 저항의 발생을 억제하여 Y축 방향으로의 순환을 위한 동력 전달이 효율적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은 유닛몸체와, 상기 유닛몸체를 Y축 방향으로 감싸도록 형성되어 Y축 방향으로 순환 가능하게 형성되는 트레드를 포함하며, 상기 유닛몸체가 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양단이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X축 방향으로 순환 가능하게 형성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 Y축 방향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유닛몸체 Y축 방향 양단과 연결되어 상기 유닛몸체를 X축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X축구동부; 및 상기 트레드부 내측의 트레드와 면접되도록 형성되는 롤러벨트 형식이며, 상기 트레드를 Y축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Y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X축구동부는 체인벨트 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X축구동부는 X축구동부몸체; 상기 X축구동부 몸체 X축 방향 양단에 형성되며, X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X축회전체; 및 상기 X축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순환하되, 상기 유닛몸체 Y축 방향 양단과 결합되는 체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Y축구동부는 Y축구동부몸체; 상기 Y축구동부몸체 상에 Y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양단이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Y축방향으로 순환 가능하게 형성되는 Y축구동유닛; 및 상기 Y축구동부몸체 Y축 방향 양단에 상기 Y축구동유닛 내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Y축구동유닛을 Y축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Y축구동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Y축구동유닛은 외측면이 상기 트레드와 면접되며, 상기 Y축구동롤러의 Y축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트레드를 Y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유닛몸체 Y축 방향 양단에 상기 트레드 내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트레드회전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Y축구동유닛은 상기 트레드와 면접하는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
또, 상기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은 상기 X축구동부와 Y축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은 트레드부를 Y축 방향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Y축구동부를 트레드부와 분리하여 형성하되, 상기 Y축구동부는 트레드와 면접하여 간접적으로 동력을 공급하는 롤러벨트 형식으로 형성함으로써, 트레드부의 무게를 감소시켜 X축 방향으로의 가감속이 유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은 트레드부를 Y축 방향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Y축구동부를 트레드부와 분리하여 형성하되, 상기 Y축구동부는 트레드와 면접하여 간접적으로 동력을 공급하는 롤러벨트 형식으로 형성함으로써, 트레드밀의 시스템을 단순화하여 트레드부의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은 Y축구동부를 면접에 의한 마찰력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롤러벨트 형식으로 형성함으로써, 동력 전달 시 미끄러져 헛도는 현상 또는 저항의 발생의 억제하여 Y축 방향으로의 순환을 위한 동력 전달이 효율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을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을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의 트레드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의 X축구동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의 Y축구동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을 사시도로 나타낸 또 다른 도면.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을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을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의 트레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의 X축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의 Y축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을 사시도로 나타낸 또 다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1000)은 보행자로 하여금 전, 후, 좌, 우 등 360도 전 방향으로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2차원 트레드밀로서, 크게 트레드부(100), X축구동부(200) 및 Y축구동부(30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드부(100)는 보행자가 2차원 모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순환함으로써, 측정하고자 하는 시뮬레이션 상황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때 보행자로는 사람뿐만 아니라, 인공관절을 가지는 로봇, 운송장치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1000)의 보행자를 사람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트레드부(100)는 유닛몸체(110)를 가지며, 상기 유닛몸체(110)는 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양단이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X축 방향으로 순환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트레드부(100)는 상기 유닛몸체(110)를 Y축 방향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며, Y축 방향으로 순환 가능하게 형성되는 트레드(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트레드부(100)는 상기 트레드(120)가 상기 유닛몸체(110)상의 Y축 방향으로 순환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Y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유닛몸체(110)가 X축 방향으로 순환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트레드부(100)는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으며, X축 방향과 Y축 방향과의 순환 속도를 제어하여 2차원 전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유닛몸체(110)는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의 이동 구현을 위해 트레드(120)가 Y축 방향으로 순환 가능하게 형성되어야 하며, X축 방향으로의 이동 구현을 위해 상기 유닛몸체(110)가 X축 방향으로 순환되어야 하므로, 상기 유닛몸체(110)의 X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트레드부(100)의 X축 방향으로의 순환에 방해되지 않을 만큼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권장되며, 상기 유닛몸체(110)의 Y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Y축 방향으로의 이동 구현을 위한 길이만큼 형성되는 것이 권장되므로, 상기 유닛몸체(110)의 Y축 방향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X축 방향으로의 길이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것이 권장된다.
다만, 상기 유닛몸체(110)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길이는 구현하고자 하는 시뮬레이션의 목적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길이의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상기에 기재된 바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트레드부(100)는 상기 유닛몸체(110) Y축 방향 양단에 트레드(120) 내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트레드회전체(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드회전체(130)는 상기 트레드(120)가 상기 유닛몸체(110) 상의 Y축 방향으로의 순환을 돕는 역할을 한다.
다만, 상기 트레드회전체(130)는 트레드부(100)의 무게 증가 및 장치의 복잡함을 억제하기 위하여 자체 동력은 가지지 않고, Y축구동부(200)에 의한 트레드(120)의 Y축 방향으로의 순환을 돕는 역할에 한정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1000)은 트레드부(100)의 Y축 방향으로의 순환을 위한 동력을 자체적으로 구비하지 않고, Y축구동부(300)를 통해 간접적으로 동력을 공급받아 순환함으로써, 불필요한 트레드부(100)의 무게를 감소시켜 상기 유닛몸체(100)의 X축 방향으로의 가감속이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상기 트레드(120)는 상기에 기재된 보행자가 시뮬레이터 등에 의해 이동하는 면으로서, 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권장되나,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강도를 지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의 장애요소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상기 천 재질 외에 고무,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의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축구동부(200)는 상기 트레드부(100) Y축 방향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유닛몸체(110) Y축 방향 양단과 연결되어 상기 유닛몸체(110)를 X축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X축구동부(200)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1000)의 X축구동부(200)는 동력전달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으로 형성 가능한 체인벨트 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X축구동부(200)는 상기 트레드부(100) Y축 방향 양단에 형성되는 X축구동부몸체(210)를 포함하며, 상기 X축구동부몸체(210) X축 방향 양단에 형성되며, X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X축회전체(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X축회전체(220)의 회전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순환하되, 상기 유닛몸체(110) Y축 방향 양단과 결합되는 체인부(2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X축구동부(200)는 동력을 공급받아 모터 등의 장치가 구비된 상기 X축회전체(220)가 회전하며, 상기 X축회전체(220)에 결속되어 순환되는 체인부(230)가 X축 방향으로 순환되고, 이에 따라 상기 체인부(230)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유닛몸체(110)가 X축 방향으로 순환함으로써, 상기 트레드부(100)로 하여금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X축회전체(2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양단에 형성되는 것이 권장되나, 구현하고자 하는 트레드밀의 크기 또는 이동속도에 따라 다양한 수의 X축회전체(220)의 구비가 가능하므로, 상기에 기재된 2개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Y축구동부(300)는 상기 트레드부(100) 내측의 트레드(120)와 면접되도록 형성되는 롤러벨트 형식이며, 상기 트레드(120)를 Y축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X축구동부(200)는 유닛몸체(110)와 연결되는 체인부(230)에 의해 상기 유닛몸체(110)를 X축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체인벨트 형식이므로, 상기 Y축구동부(300)는 X축구동부(200)처럼 체인벨트 형식으로 형성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1000)의 Y축구동부(300)는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동력을 공급받아 Y축 방향으로 순환하되, 상기 트레드(120)와 면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드(120)를 Y축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롤러벨트 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X축구동부(200)는 유닛몸체(110) 양단 일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직접적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유닛몸체(110)를 X축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반면에, 상기 Y축구동부(300)는 트레드(120)와 면접하도록 형성되어 간접적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트레드(120)를 Y축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Y축구동부(300)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X축구동부(200) 내측에 형성되는 Y축구동부몸체(310)를 포함하며, 상기 Y축구동부몸체(310) 상에 Y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양단이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Y축 방향으로 순환 가능하게 형성되는 Y축구동유닛(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Y축구동부몸체(310) Y축 방향 양단에 상기 Y축구동유닛(320) 내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며, 동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Y축구동유닛(320)을 Y축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Y축구동롤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Y축구동부(300)는 상기 Y축구동유닛(320)의 외측면이 상기 트레드(120)와 면접되며, 상기 Y축구동롤러(3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트레드(120)를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상기 Y축구동롤러(3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Y축구동유닛(320)이 Y축 방향으로 순환하고, 상기 트레드(120)는 상기 Y축구동유닛(320)과의 마찰력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순환된다.
<Y축구동부의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1000)의 Y축구동부(300)는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Y축구동유닛(320)과의 마찰력에 의해 트레드(120)가 Y축 방향으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상기에 기재된 마찰력의 극대화를 위해 상기 Y축구동유닛(320)은 상기 트레드(120)와 면접하는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3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21)의 형상은 Y축 방향으로의 일정속도 및 목표속도에 근접하기 위해 일정하게 배열되는 것이 권장된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321)는 일정하게 배열되어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1000)의 Y축 방향으로의 이동 구현에 있어 일정속도 및 목표속도에 근접하게 구현할 수 있다면,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1000)은 X축 방향으로의 이동속도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속도를 제어하여 2차원 전 방향으로 이동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10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축구동부(200)와 Y축구동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X축구동부(200)와 Y축구동부(300)에 의한 상기 트레드부(100)의 X축 방향으로의 동작 및 속도와 Y축 방향으로의 동작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트레드밀(1000)과 연결되는 컴퓨터 또는 2차원 트레드밀(1000)의 외부면에 부착되어 구비되는 제어 장치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1000)은 상기 X축구동부(200)와 Y축구동부(300)로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공급부가 구비되어야 함은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0 :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
100 : 트레드부
110 : 유닛몸체 120 : 트레드
130 : 트레드회전체
200 : X축구동부
210 : X축구동부몸체 220 : X축회전체
230 : 체인부
300 : Y축구동부
310 : Y축구동부몸체
320 : Y축구동유닛 321 : 돌출부
330 : Y축구동롤러
400 : 제어부

Claims (7)

  1. 유닛몸체와, 상기 유닛몸체를 Y축 방향으로 감싸도록 형성되어 Y축방향으로 순환 가능하게 형성되는 트레드를 포함하며, 상기 유닛몸체가 X축방향으로 나란하게 양단이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X축 방향으로 순환 가능하게 형성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 Y축 방향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유닛몸체 Y축 방향 양단과 연결되어 상기 유닛몸체를 X축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X축구동부; 및
    상기 트레드부 내부의 트레드의 외면과 면접되도록 형성되는 롤러벨트 형식이며, 상기 트레드를 Y축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Y축구동부;
    를 포함하되,
    상기 Y축구동부는
    Y축구동부몸체,
    상기 Y축구동부몸체 상에 Y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양단이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Y축방향으로 순환가능하게 형성되는 롤러벨트 형식의 Y축구동유닛 및
    상기 Y축구동부몸체 Y축 방향 양단에 상기 Y축구동유닛 내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Y축구동유닛을 Y축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Y축구동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Y축구동유닛은 외측면이 상기 트레드의 내측면과 면접되며, 상기 Y축구동롤러의 Y축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트레드를 Y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X축구동부는
    체인벨트 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X축구동부는
    X축구동부몸체;
    상기 X축구동부 몸체 X축 방향 양단에 형성되며, X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X축회전체; 및
    상기 X축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순환하되, 상기 유닛몸체 Y축 방향 양단과 결합되는 체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유닛몸체 Y축 방향 양단에 상기 트레드 내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트레드회전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Y축구동유닛은
    상기 트레드와 면접하는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은
    상기 X축구동부와 Y축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
KR1020150061073A 2015-04-30 2015-04-30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 KR101769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073A KR101769571B1 (ko) 2015-04-30 2015-04-30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073A KR101769571B1 (ko) 2015-04-30 2015-04-30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257A KR20160129257A (ko) 2016-11-09
KR101769571B1 true KR101769571B1 (ko) 2017-08-21

Family

ID=57529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073A KR101769571B1 (ko) 2015-04-30 2015-04-30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5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6829A (ja) * 1996-08-27 2000-12-19 イー イー カーメイン,デイヴィッド 全方向性トレッドミル
US20070270285A1 (en) * 2006-05-22 2007-11-22 Reel Efx, Inc. Omni-directional treadmil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6829A (ja) * 1996-08-27 2000-12-19 イー イー カーメイン,デイヴィッド 全方向性トレッドミル
US20070270285A1 (en) * 2006-05-22 2007-11-22 Reel Efx, Inc. Omni-directional treadmi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257A (ko)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4412B2 (en) Cordless treadmill
Seok et al. Design principles for highly efficient quadrupeds and implementation on the MIT Cheetah robot
WO2018018942A1 (en) Omnidirectional mo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2530259B1 (ko) 측면 기어벨트를 구비한 2차원 트레드밀
CN113507968A (zh) 马达驱动的全方位运动表面
KR101679223B1 (ko) 측면 옴니휠을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
CN206243293U (zh) 一种高速四足仿生机器人及其仿生腿
CN103612687A (zh) 利用轴径向反力驱动的自平衡摇摆行走机器人
JP2021516639A (ja) 壁面でジャンプする片脚型ロボット機構及び制御方法
CN105599822A (zh) 一种基于柔性驱动器的欠驱动双足步行机器人
KR20130014286A (ko) 저전력 보행이 가능한 4족 로봇의 구현 방법
KR101372740B1 (ko) 사족 주행로봇
KR101769571B1 (ko) 롤러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
Garcia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 biomimetic leg using hybrid actuators
KR200494348Y1 (ko) 상호 작용형 운동장치
KR101672705B1 (ko) 측면벨트를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
KR101740945B1 (ko) 롤러벨트와 옴니휠을 이용한 전 방향 모션 생성장치
KR101943643B1 (ko) 가상현실 걷기체험장치
KR101672702B1 (ko) 측면 옴니볼을 이용한 2차원 트레드밀
KR101778588B1 (ko) 전방향 옴니 드라이브 볼 조립체를 이용한 전방향 모션 생성 장치
CN107648803A (zh) 万向跑步机
KR20180010523A (ko) 측면 동력전달 휠을 구비한 2차원 트레드밀
CN105856218A (zh) 一种基于皮带传动的仿人型平面多关节机器人
CN107754306B (zh) 一种滚珠介质式行走平台
KR102180047B1 (ko) 전 방향 모션 생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