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365B1 -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365B1
KR101769365B1 KR1020100069514A KR20100069514A KR101769365B1 KR 101769365 B1 KR101769365 B1 KR 101769365B1 KR 1020100069514 A KR1020100069514 A KR 1020100069514A KR 20100069514 A KR20100069514 A KR 20100069514A KR 101769365 B1 KR101769365 B1 KR 101769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rush
foreign
foreign mat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5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9583A (en
Inventor
김동현
이상익
김정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00069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365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A2798779A priority patent/CA2798779C/en
Priority to US13/100,541 priority patent/US8869421B2/en
Priority to AU2011249152A priority patent/AU2011249152B2/en
Priority to RU2012150276/12A priority patent/RU2517815C1/en
Priority to CN201180022482.5A priority patent/CN102884245B/en
Priority to EP11777578.3A priority patent/EP2567018B1/en
Priority to DE202011110331U priority patent/DE202011110331U1/en
Priority to DE212011100095U priority patent/DE212011100095U1/en
Priority to AU2011249157A priority patent/AU2011249157B2/en
Priority to BR112012028154A priority patent/BR112012028154B8/en
Priority to EP11777573.4A priority patent/EP2567016B1/en
Priority to CN201180022955.1A priority patent/CN102884244B/en
Priority to BR112012028414-2A priority patent/BR112012028414B1/en
Priority to PCT/KR2011/003348 priority patent/WO2011139097A2/en
Priority to PCT/KR2011/003339 priority patent/WO2011139092A2/en
Priority to TW100115746A priority patent/TWI443242B/en
Priority to US13/102,080 priority patent/US8789287B2/en
Publication of KR20120009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5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3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06F39/082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detecting faulty draining operations, e.g. filter blockage, faulty pump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4Filtering, e.g. control of lint remova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의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어셈블리를 구비한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순환식 세탁장치의 경우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에 의해 열교환장치의 열교환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배기식 세탁장치의 경우 세탁장치가 구비된 공간에 이물질을 배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apparatus having a filter assembly for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air discharged from a receiving space of clothes, and in the case of a circulating type washing apparatus,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heat exchanging apparatus is lowered due to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from the receiving space In the case of the exhaust type washing machin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space provided with the washing machine.

Description

세탁장치{Washing machine}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세탁장치는 의류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과 건조가 가능한 가전기기로 세탁기, 건조기 및 건조 겸용 세탁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washing machine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is capable of washing, drying, or washing and drying clothes, and includes a washing machine, a dryer, and a washing machine for both drying.

의류의 건조가 가능한 세탁장치는 고온의 공기(열풍)를 의류에 공급하는데 공기의 유동방식에 근거하여 배기식 세탁장치와 순환식(응축식) 세탁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A washing machine capable of drying clothes can be classified into an exhaust type washing machine and a circulating type (condensing type) washing machine based on the air flow method to supply hot air (hot air) to clothes.

순환식 세탁장치는 의류가 저장된 수용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되 수용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습기를 제거(제습)하여 가열한 뒤 수용부로 공급하는 구조이고, 배기식 세탁장치는 수용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되 수용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순환시키지 않고 수용부의 외부에 버리는 방식이다.The circulating type washing machine is a structure that circulates the air in the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clothes are stored, removes moisture (dehumidification)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receiving portion, and supplies the heated air to the receiving portion. The exhaust type washing device supplies heated air Bu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receiving por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without being circulated.

한편, 의류의 건조가 가능한 종래 세탁장치는 수용부로 공급되는 공기에서 린트(Lint)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Meanwhile, in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capable of drying clothing, it is necessary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lint from the air supplied to the receiving portion.

순환식 세탁장치의 경우 수용공간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습한 뒤 열교환장치를 통해 가열하여 수용공간로 재공급하기 때문에 수용공간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하지 않으면 열교환장치에 이물질이 쌓여 열교환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irculating type washing machine, sinc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receiving space is dehumidified and then re-su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by heat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foreign substances are accumulated in the heat exchanging device without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receiving space, You can drop it.

또한, 배기식 세탁장치의 경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여과없이 배출하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나 먼지를 세탁장치가 구비된 가정 내에 공급하는 결과가 되므로 의류의 건조가 가능한 세탁장치에 있어서 수용공간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여과됨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case of the exhaust type washing machine, if the air inside the housing space is discharged without filtration, the result is that the lint or dust contained in the discharged air is supplied into the home provided with the washing machine.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pace is filtered.

본 발명은 의류의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어셈블리를 구비한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apparatus having a filter assembly for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air discharged from a receiving space of a garment.

또한, 본 발명은 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여과된 이물질을 필터어셈블리의 외부로 자동배출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h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a foreign matter filtered through a filter assembly to the outside of a filter assembly.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교환장치,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흡입구가 구비된 덕트, 상기 덕트에 구비되는 필터하우징과, 상기 필터하우징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고 상기 필터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는 이물질이 저장되는 이물수용부와,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의 이물질을 상기 이물수용부로 이동시켜 압축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브러쉬 유닛이 구비된 필터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housing space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a heat exchanger for supplying hot air to the housing space; A filter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lter housing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nd a foreign matter detachable from the filter housing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housing. And a filter assembly including a brush unit that rotates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so as to compress foreign substances in the filter housing by moving the foreign matter into the foreign matter receiving portion.

이 경우, 상기 브러쉬 유닛은 상기 소정 각도범위 내에서 정역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rush unit may be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within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또한, 상기 소정 각도범위는 상기 브러쉬 유닛의 정역회전 영역이 상기 이물수용부가 제공하는 저장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Further,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may be set so that the normal rotation area of the brush unit has an area overlapping with the storage area provided by the foreign body accommodation part.

또한, 상기 필터하우징은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유입홀과, 상기 필터에 의해 여과된 이물질이 상기 필터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n inle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fil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housing.

또한, 상기 이물수용부는 상기 배출홀에 착탈 가능한 연결부와, 상기 필터하우징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포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reign body receiving portion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that is detachable from the discharge hole, and a collecting portion in which the foreign matter discharged from the filter housing is received.

이 경우, 상기 포집부는 그물망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llecting par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mesh.

또한,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하우징에 구비되되 상기 유입홀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한쌍의 그물망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may be provided as a pair of mesh networks provided in the filter housing and facing each other with the inlet hole therebetween.

현편, 상기 브러쉬 유닛은 상기 필터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여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브러쉬와, 상기 회전축을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정역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ush unit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filter, a brush accommodating the rotating shaft and rotatable in the filter housing, and a mot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이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브러쉬가 상기 소정 각도범위 내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한 때 접하도록 구비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브러쉬가 스토퍼와 접촉하면 회전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lter assembly further includes a stopper provided to contact the brush assembly when the brush is rotated in one direction within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and the motor changes the rotation direction when the brush contacts the stopper .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필터하우징에 구비되되 상기 소정 각도범위와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topper may be a pair of protrusions provided on the filter housing, the protrusions being spaced at the same angle as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또한, 상기 필터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축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축관통홀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브러쉬는 상기 회전축이 수용되는 축삽입부와, 상기 브러쉬가 기 설정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와 접하도록 상기 축삽입부에 구비되는 스토퍼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may further include a shaf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passes, the stopper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through hole, the brush including an axis insertion portion in which the rotation axis is received, And a stopper accommodating groove provided in the shaft inserting portion to contact the stopper when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한편, 본 발명 세탁장치는 상기 이물수용부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이 수용 가능한 이물질의 양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mount of the foreign matter stored in the foreign-body accommodating unit exceeds the amount of foreign matter that can be accommodated.

이 경우, 상기 감지부는 상기 브러쉬 유닛이 상기 소정 각도범위 보다 작은 각도범위 내에서 정역회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검출수단과, 상기 브러쉬 유닛이 상기 소정 각도범위보다 작은 각도범위 내에서 정역회전할 경우 세탁장치 외부에 이를 표시하는 알림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position detecting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rush unit rotates normally or within an angular range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angular range, and a control unit for, when the brush unit is rotated in the normal or reverse direction within an angular range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angular range And an informing means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on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한편, 본 발명 세탁장치는 상기 이물수용부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이 수용 가능한 이물질의 양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세탁장치의 외부에 표시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for indicating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whether or not the amount of the foreign matter stored in the foreign body accommodating unit exceeds the amount of foreign matter that can be accommodated.

이 경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스토퍼와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브러쉬의 접촉을 감지하는 위치검출수단과, 상기 위치검출수단이 상기 브러쉬의 접촉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세탁장치 외부로 이를 표시하는 알림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position detecting unit that is provid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stopper and senses the contact of the brush, and a notifying unit that displays the outside of the washing unit when the position detecting unit fails to detect the contact of the brush .

또한, 상기 덕트는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장치는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열교환장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duct may further include an exhaust port for supply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ake port to the accommodation space, wherein the heat exchange device is provided inside the duct, and the filter assembly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take port and the heat exchange device have.

또한, 본 발명 세탁장치는 상기 수용공간 외부의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덕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장치는 상기 공급덕트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ly duct for supplying air outside the accommodation space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wherein the heat exchange apparatus may be provided in the supply duct.

또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흡입구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lter assembly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ction port.

본 발명은 의류의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어셈블리를 구비한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washing apparatus having a filter assembly for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air discharged from a receiving space of a garment.

또한, 본 발명은 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여과된 이물질을 필터어셈블리의 외부로 자동배출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ffect of providing a wash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discharges foreign matters filtered through a filter assembly to the outside of a filter assembly.

도 1은 본 발명 세탁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세탁장치에 구비되는 필터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필터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이물수용부와 브러쉬 유닛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필터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스토퍼의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필터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 세탁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assembly included in the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ush receiving unit and the brush receiving unit provided in the filter assembly.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topper provided in the filter assembly.
5 is a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stopper provided in the filter assembly.
6 and 7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herein are the same as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as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if the terms used herein conflict with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Are as defined herein.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세탁장치의 개념도로, 이하에서는 도 1을 참고하여 세탁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overall structure of a washing machin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 세탁장치(100)는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한다.The washing machi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 having an outer appearance and a receiving space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for storing clothes.

상기 수용공간은 건조 대상물인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21)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럼은 전방면과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receiving space may be provided with a drum 21 for provi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clothes, which are objects to be dried, and the drum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open front and rear surfaces.

상기 드럼의 전방면에는 도어(3)가 수용되는 개구부를 구비한 전방지지부(25)가 구비되며, 상기 드럼의 후방면에도 상기 드럼의 후방을 지지하는 후방지지부(27)가 구비될 수 있다.A front support portion 25 having an opening for receiving the door 3 is provided on the front face of the drum and a rear support portion 27 for supporting the rear of the drum may be provided on the rear face of the drum.

상기 전방지지부(25)는 상기 드럼의 전방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상기 도어(3)가 수용될 수 있는 개구부와 후술할 필터어셈블리(5)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착탈부(251)를 일측에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The front supporting part 25 is provided to support the front face of the drum and includes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door 3 can be received and a detachable part 251 detachably attached to a filter assembly 5, Is provided on one side.

상기 후방지지부(27)는 상기 드럼의 후방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후술할 공기공급장치의 덕트(41)가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rear support part 27 is provided to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drum and is connected to a duct 41 of an air supply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따라서, 상기 드럼은 전방지지부(25)와 후방지지부(27)에 의해 전방면과 후방면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드럼의 외부에 구비되는 드럼모터(211)는 벨트(v)를 통해 드럼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드럼에 제공하게 된다.Therefore, the drum is supported by the front supporting portion 25 and the rear supporting portion 27 so that the front face and the rear face are respectively rotatable, and the drum motor 211 provided at the outside of the drum is supported by the drum v, Thereby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provided by the motor to the drum.

이 경우,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는 의류의 교반을 용이하게하는 리프터(29)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lifter 29 for facilitating agitation of the clothes.

한편, 본 발명 세탁장치는 드럼 내부에 수용된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4)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ir supplying device 4 for supplying hot air to clothes accommodated in the drum.

상기 공기공급장치(4)는 드럼 내부의 공기를 드럼 외부로 배출시킨 뒤 상기 드럼(21) 내부로 재공급하되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습, 가열하기 위한 구성으로 덕트(41), 열교환장치(43) 및 팬(45)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supply device 4 discharges the air inside the drum to the outside of the drum and re-supplies the air into the drum 21, and is configured to dehumidify and he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43 and a fan 45. [

상기 덕트(41)는 상기 전방지지부(25)에 구비된 착탈부(251)에 연통하는 흡입구(411)와, 상기 후방지지부(27)에 연통하는 배출구(41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duct 41 may include a suction port 411 communicating with the detachable portion 251 provided on the front support portion 25 and a discharge port 413 communicated with the rear support portion 27.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411)는 상기 착탈부(251)의 하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후술할 필터어셈블리(5)가 착탈부를 통해 덕트(41)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413)는 상기 후방지지부(27)를 관통하는 홀과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1, the suction port 411 is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detachable portion 251 so that the filter assembly 5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received in the duct 41 through the detachable portion. And the outlet 413 may be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a hole passing through the rear support portion 27.

한편, 상기 열교환장치(43)는 흡입구(411)를 통해 배출되는 드럼(21) 내부의 공기를 제습한 뒤 가열하여 배출구(413)를 통해 상기 드럼 내부로 열풍을 재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exchanger 43 is provided so as to dehumidify the air inside the drum 21 discharged through the suction port 411 and then reheat the heated air to the inside of the drum through the discharge port 413 Hida.

드럼(21)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을 위해 상기 열교환장치(43)는 덕트 내부로 냉수를 공급하여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응축수 공급수단과 제습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dehumidification and heating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21 is performed by the heat exchanger 43. The heat exchanger 43 is provided with condensed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cold water into the duct to remove moisture in the air and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dehumidified air .

다만,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열교환장치(43)는 히트펌프(Heat Pump)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히트펌프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가 냉매순환유로로 연결된 장치이다. 증발기는 덕트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냉매가 증발하므로 덕트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응축기는 냉매가 응축되는 과정에서 덕트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로 열을 공급하여 덕트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한다. However, unlike the above, the heat exchanger 43 may be equipped with a heat pump. The heat pump is a device in which an evaporator, a compressor, a condenser, and an expander are connected to a refrigerant circulation channel. The evaporator absorbs heat from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thereby evaporating the refrigerant. Therefore, the condenser dehumidifies the air flowing into the duct by supplying heat to the inside of the duct during the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

따라서, 히트펌프를 통해 열교환장치를 구성하면 덕트(41)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수 공급수단을 덕트에 연통시키기 위한 구조가 불필요하고, 덕트 내부로 공급된 응축수 처리와 관련한 구조(배수유로 등)가 불필요하므로 보다 단순한 공기공급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heat exchanger is constructed through the heat pump,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tructure for communicating the condensed water supply means for condensing the air flowing in the duct 41 to the duct, and the structure related to the condensate water supplied into the duct And the like) is unnecessary, a simpler air supply device can be constructed.

상기 팬(45)은 드럼 내부의 공기가 덕트를 따라 순환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덕트(41)에 구비된다.The fan (45) is provided in the duct (41) so that the air inside the drum can provide power to circulate along the duct.

즉, 상기 팬(45)이 회전하면 덕트(41) 내부의 공기가 배출구(413)를 통해 드럼 내부로 유동할 것이고, 드럼 내부로 덕트의 공기가 유입되면 드럼 내부의 공기는 유입구(411)를 통해 덕트(41) 내부로 유입될 것이다. 따라서, 드럼(21) 내부의 공기는 팬에 의해 덕트 내부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열교환장치(43)에 의해 제습 및 가열될 것이다.That is, when the fan 45 rotates, the air inside the duct 41 flows into the drum through the discharge port 413. When the air of the duct flows into the drum, the air inside the drum flows through the inlet 411 To the inside of the duct (41). Therefore, the air inside the drum 21 will be dehumidified and heated by the heat exchanger 43 in the process of flowing through the duct by the fan.

한편, 상기 드럼(2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드럼 내부의 의류를 건조하는 경우, 의류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린트(Lint)와 같은 이물질이 발생할 수 있고, 의류에서 배출된 이물질은 덕트(41)를 따라 순환하게 될 것이다.Meanwhile, when clothes in the drum are dried while circulating the air inside the drum 21, a foreign matter such as a lint may b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rying the clothes, As shown in FIG.

린트와 같은 이물질이 여과되지 않은 채 덕트(41)를 순환할 경우,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열교환장치의 표면에 흡착될 수 있고, 열교환장치에 이물질이 흡착되면 열교환장치의 효율이 저하되므로 세탁장치의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When foreign substances such as lint are circulated through the duct 41 without being filtered, th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can be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 apparatus. If foreign substances are adsorbed on the heat exchange apparatus, the efficiency of the heat exchange apparatus is lowered,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drying apparatus may be lowered.

따라서, 본 발명 세탁장치는 덕트(41)를 따라 순환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여과하고, 여과된 이물질을 청소하여 여과용량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필터어셈블리(5)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assembly 5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from the air circulating along the duct 41, and cleaning the foreign matter filtered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filtration capacity.

상기 필터어셈블리(5)는 상기 전방지지부(25)의 착탈부(251)를 통해 상기 흡입구(411)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도어(3)를 개방한 뒤 필터어셈블리(5)를 세탁장치로부터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다.The filter assembly 5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ction port 411 through the detachable portion 251 of the front support portion 25. In this case, the user may open the door 3, 5 can be detached and coupled from the washing machine.

도 2는 필터어셈블리(5)의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assembly 5. Fig.

상기 필터어셈블리(5)는 상기 착탈부(251)를 통해 덕트(41)의 흡입구(411)에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상기 흡입구(411)로 배출되는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하우징(51)과, 상기 필터하우징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이물질을 저장하는 이물수용부(53)와,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의 이물질을 상기 이물수용부(53)로 배출시켜 압축하는 브러쉬 유닛(55)을 포함한다.The filter assembly 5 is detachable from the suction port 411 of the duct 41 through the detachable portion 251 and includes a filter housing 51 for filtering air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discharged to the suction port 411 And a brush unit 55 which removes foreign matter from the filter housing and stores the foreign matter, and a brush unit 55 that discharges the foreign matter in the filter housing to the foreign body accommodating unit 53 and compresses the foreign matter. do.

상기 필터하우징(51)은 상기 착탈부(251)를 통해 덕트의 흡입구(411)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흡입구(411)로 유입되는 드럼 내부의 공기는 상기 필터하우징을 거쳐 상기 덕트(41) 내부로 공급된다.The filter housing 51 is detachable from the suction port 411 of the duct through the detachable portion 251 and air in the drum flowing into the suction port 411 flows through the filter housing to the inside of the duct 41 .

이 경우, 상기 필터하우징(51)의 상단에는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홀(511)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the filter housing 51 may include an inlet hole 511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flows into the filter housing.

또한, 상기 필터하우징은 상기 유입홀(511)을 통해 필터하우징(51)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를 적어도 일면에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홀(5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housing may include at least one surface of a filter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from air introduced into the filter housing 51 through the inlet hole 511, and the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filter housing may be discharged And a discharge hole 513 formed in the discharge space.

이 경우, 유입홀(511)을 통해 필터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필터(513)에 의해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에 잔류되고, 이물질이 여과된 공기는 상기 덕트(41) 내부에 구비된 열교환장치(43)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는 그물망(mesh)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lter housing through the inlet hole 511 are left in the filter housing by the filter 513, and the air filtered by the foreign matter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duct 41 The filter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form of a mesh so as to flow into the heat exchanger 43 provided.

다만, 상기 필터는 상기 유입홀(511)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제1필터(513a)와 제2필터(513b)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필터어셈블리(5)의 여과용량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However, the filter may be provided as a first filter 513a and a second filter 513b facing each other with the inlet hole 511 therebetween. This is to maximize the filtration capacity of the filter assembly 5.

즉, 필터에 이물질이 잔류하게 되더라도 필터어셈블리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1필터와 제2필터를 통해 덕트 내부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필터만을 구비한 경우에 비해 덕트 내부로 여과된 공기를 더 많이 공급할 수 있게 된다.That is, even if the foreign matter remains in the filter,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lter assembly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duct through the first filter and the second filter. Therefore, compared to the case where only one filter is provided, You will be able to supply more.

상기 배출홀(53)은 상기 필터어셈블리(5) 내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필터어셈블리(5)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배출홀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홀(511)과 마주보는 필터하우징의 하방면에 개구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discharge hole 53 is formed to allow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filter assembly 5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assembly 5, and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inlet hole 511 And a lower end of the filter housing opposite to the lower end of the filter housing.

나아가, 본 발명 세탁장치에 구비되는 필터어셈블리(5)는 상기 배출홀과 연통하여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저장되는 이물수용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filter assembly 5 of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oreign matter receiving part 53 for storing a foreign mat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hole.

상기 이물수용부(53)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포집부(533)와 상기 포집부를 상기 필터하우징(51)에 착탈가능케 하는 연결부(5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31)의 구조는 사용자가 상기 이물수용부(53)를 필터하우징(51)으로부터 착탈가능한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암수 슬롯 또는 후크-후크홈 등의 구조가 일례가 될 수 있다.The foreign body receiving part 53 may include a collecting part 533 for accommodating foreign matter and a connecting part 531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collecting part to the filter housing 51.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on portion 531 can be variously embodied as long as the user can detach the foreign body accommodating portion 53 from the filter housing 51. The structure of the male and female slots or the hook- have.

따라서, 사용자가 이물수용부에 저장된 이물질을 청소하려면 필터어셈블리를 전방지지부(25)와 덕트(41)로부터 분리한 다음 필터하우징(51)에서 이물수용부(53)를 분리시켜 포집부(533)를 비우면 된다(도 2(b)참고).The filter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front supporting portion 25 and the duct 41 and then the foreign body receiving portion 53 is separated from the filter housing 51 to collect the foreign body in the collecting portion 533, (See Fig. 2 (b)).

한편, 상기 포집부(533)는 상부가 개방되어 필터하우징의 배출홀(515)과 연통하고, 상기 배출홀로 배출되는 이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한 다양한 형상이나 재료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llecting part 533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or materials as long as the upper part is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hole 515 of the filter housing and the foreign material discharged to the discharge hole can be stored.

다만, 상기 포집부(533)가 상기 배출홀과 연통하는 그물망(mesh)의 형태로 구비된다면 상기 포집부가 제3의 필터로서의 기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513a, b)뿐만 아니라 상기 이물수용부(53)의 포집부를 통해 이물질이 여과된 뒤 덕트(41) 내부로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However, if the collecting part 53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mesh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hole, the collecting part can function as the third filter. That i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filter housing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duct 41 after the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through the collecting part of the foreign body accommodating part 53 as well as the filters 513a and 513b.

나아가, 본 발명 세탁장치에 구비되는 필터어셈블리(5)는 상기 필터(513a, b)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상기 이물수용부(53)로 이동시켜 압축하는 브러쉬 유닛(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assembly 5 included in the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rush unit 55 for moving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in the filters 513a and 513b to the foreign substance receiving unit 53 and compressing the foreign substances. .

상기 브러쉬 유닛(55)은 상기 필터(513a)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회전축(553)과, 상기 회전축을 일단에 수용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 시 상기 필터(513a, b)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상기 이물수용부로 이동시키는 브러쉬(551)와, 상기 회전축이 소정 각도범위 내에서 정역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ush unit 55 includes a rotating shaft 553 provided through the filter 513a and a rotating shaft 553 which receives the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filters 513a and 513b during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a motor (not shown) that allows the rotation shaft to rotate in a normal or angular rang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상기 회전축(553)은 상기 필터(513a)에 구비되는 축관통홀(5131, 도5(b)참고)에 삽입되어 상기 브러쉬(551)와 연결된다. 다만, 상기 회전축의 일단은 상기 필터하우징(51)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브러쉬에 구비된 축삽입부(5511)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타단은 상기 필터하우징(51)의 외부에 위치하되 종동기어(5531)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The rotary shaft 553 is inserted into the shaft through hole 5131 of the filter 513a (see FIG. 5 (b)) and connected to the brush 551. One end of the rotary shaft is located inside the filter housing 51 and is coupled to an axial insertion portion 5511 provided in the brush.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is positioned outside the filter housing 51, (5531).

이 경우, 상기 모터(미도시)에는 상기 종동기어(5531)에 치합되는 주동기어(미도시)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tor (not shown) further includes a driven gear (not shown)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5531.

상기 회전축(553)에 종동기어(5531)를 구비시키고 모터에 주동기어를 구비시켜 모터의 동력이 브러쉬에 간접적으로 전달되도록한 이유는 본 발명의 필터어셈블리(5)가 전방지지부의 착탈부(251)와 덕트(41)의 흡입구(411)로부터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driving shaft 553 is provided with the driven gear 5531 and the motor is provided with the driven gear so that the power of the motor is indirectly transmitted to the brush because the filter assembly 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detachable portion 251 And the suction port 411 of the duct 41, as shown in FIG.

즉, 상기 회전축(533)이 모터에 직결되는 형태로 구비된다면 필터(513a, b)의 표면에는 모터가 직결되어야 하므로 필터어셈블리(5)가 전방지지부(25)의 착탈부(251)에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지기 위해서는 착탈부가 모터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야 한다(착탈부 및 흡입구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That is, if the rotating shaft 533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otor, the motor must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urface of the filters 513a and 513b so that the filter assembly 5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detachable part 251 of the front support part 25 In order to have a structure, a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attachment / detachment unit from interfering with the motor should be provid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of the attaching / detaching unit and the suction port becomes complicated).

또한, 모터가 필터의 표면에 구비되면 필터어셈블리를 전방지지부에서 분리할 때 상기 모터의 전원공급부가 모터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야 한다.In addition, when the motor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the power supply portion of the motor must be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motor when the filter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front support portion.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에 종동기어(5331)가 구비되고 모터에 주동기어(미도시)가 구비되면 모터와 모터의 전원공급부간 결합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착탈부 및 흡입구의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으며, 세탁장치의 구조 상 모터를 종동기어에 인접하게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도 다수의 기어를 이용하여 종동기어로 모터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However, if a driven gear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motor and the driven gear 5331 is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motor and the power supply portion of the motor can be simplified, and the structure of the attaching / Even when the motor can not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driven gear due to the structure of the washing machine,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power of the motor using the plurality of gears.

한편, 상기 브러쉬(551)는 상기 모터와 회전축(553)에 의해 소정 각도범위 내에서 정역회전함으로써 필터(513a, b)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이물수용부로 이동시킨 뒤 가압한다.Meanwhile, the brush 551 rotat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by the motor and the rotating shaft 553, thereby moving the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in the filters 513a and 513b to the foreign body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n pressurizing them.

상기 브러쉬가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이물수용부로 이동시키는 것은 사용자가 필터(513a, 513b)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청소하지 않아도 필터어셈블리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이물수용부로 이동한 이물질을 가압하여 이물질을 압축저장하는 것은 사용자가 이물수용부를 자주 청소하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함이다.The brush moves the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filter to the foreign matter accommodating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maintain the function of the filter assembly without cleaning the foreign matters remaining on the filters 513a and 513b, Compressing and storing the foreign matter is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frequently cleaning the foreign body accommodating portion.

상기 브러쉬(551)가 소정 각도범위 내에서 정역회전한다는 의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쉬가 회전축(553)을 기준으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반복한다는 의미이다.Means that the brush 551 rotates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553 as shown in FIG. 3, meaning that the brush 551 rotates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또한, 상기 브러쉬가 이물수용부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브러쉬(551)의 정역회전 영역(A)은 이물수용부가 제공하는 이물질 저장영역(B)과 중첩되는 영역(C)을 포함함이 바람직하고, 이는 상기 브러쉬의 정역회전 각도범위를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The normal and reverse rotation areas A of the brushes 551 include a region C overlapping with the foreign matter storage area B provided by the foreign body accommodation part so that the brush presses the foreign matter stored in the foreign matter receiving part. And this can be realized by appropriately designing the normal rotation angle range of the brush.

브러쉬의 정역회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모터는 상기 브러쉬(551)가 도면 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축(533)을 회전시키고, 상기 브러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필터(513a, b)에 잔류하는 이물질은 배출홀(515)을 통해 이물수용부(53)로 이동하게 된다.The motor rotates the rotary shaft 533 so that the brush 551 rotates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When the brush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motor rotates the filters 513a, b, The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foreign matter receiving portion 53 is mov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515 to the foreign matter receiving portion 53.

이때, 상기 모터는 상기 브러쉬(551)의 자유단(회전축이 삽입되지 않은 일단)이 이물수용부(53)에 수용될 때 까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고, 상기 브러쉬의 자유단이 이물수용부에 수용된 때 브러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축을 회전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motor rotates the rotation shaft until the free end (one end where the rotation axis is not inserted) of the brush 551 is received in the foreign-body accommodating portion 53, and the free end of the brush is accommodated in the foreign- The rotation axis is rotated so that the brush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상기 이물수용부(53)에 브러쉬의 자유단이 수용된 때 브러쉬의 회전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은 포집부(533)에 저장된 이물질을 가압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세탁장치의 가동횟수가 증가하여 포집부(533)에 많은 이물질이 저장되더라도 상기 브러쉬(551)는 포집부에 저장된 이물질을 압축시키므로 포집부 내에 저장된 이물질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Changing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brush when the free end of the brush is accommodated in the foreign body accommodating portion 53 is to press foreign matter stored in the collecting portion 533. Therefore, even if many foreign substances are stored in the collecting part 533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imes of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the brush 551 compresses foreign substances stored in the collecting part, there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foreign substances stored in the collecting part.

한편, 상기 브러쉬(531)가 기 설정된 각도범위 내에서 정역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방법은 브러쉬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모터의 회전방향을 변경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고, 브러쉬의 회전을 방해하는 저항이 감지될 경우 스스로 회전방향을 변경하는 모터 및 스토퍼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후자를 일례로 설명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such that the brush 531 can rotate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may include a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brush and a sensor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nsor to chang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Not shown), and may be realized through a motor and a stopper which change the rotation direction by itself when a resistance which interrupts the rotation of the brush is sensed. Hereinafter, the latt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모터는 회전을 방해하는 저항이 감지되면 축의 회전방향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싱크로너스 모터(synchronous motor)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브러쉬가 기 설정된 각도만큼 일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상기 브러쉬에 접촉하여 브러쉬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motor may be provided with a synchronous motor that automatically changes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shaft when a resistance to the rotation is sensed. The stopper may contact the brush when the brush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angle, Thereby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brush.

따라서, 상기 브러쉬가 일방향으로 설정된 각도범위만큼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브러쉬가 스토퍼와 접촉하게 되면 상기 모터는 브러쉬의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설정된 각도범위까지 회전시키게 될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brush rotates by an angle range set in one direction, the brus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When the brus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the motor change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rush and rotates to a set angle range.

도 4와 도 5는 본 발명 세탁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스토퍼의 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스토퍼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FIGS. 4 and 5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topper included in the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topp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스토퍼(517)는 상기 필터하우징(51)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브러쉬에 설정된 소정 각도범위와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The stopper 517 may be provided in the filter housing 51 as a pair of protrusions spaced at an angle equal to a predetermined angle range set in the brush.

이 경우, 상기 스토퍼(517)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513a)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513a)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topper 517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lter 513a as shown in FIG. 4 (a) or may be provided outside the filter 513a as shown in FIG. 4 (b) .

한편, 도 5는 하나의 스토퍼(5133)가 필터(513a)에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브러쉬(551)에는 상기 스토퍼(5133)를 수용하는 스토퍼 수용홈(5513)이 구비된다.5 shows a case where one stopper 5133 is provided in the filter 513a. In this case, the brush 551 is provided with a stopper receiving groove 5513 for receiving the stopper 5133 .

즉, 도 5에 도시된 스토퍼(5133)는 회전축(553)이 관통하는 축관통홀(5131)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 수용홈(5513)은 상기 회전축(553)이 수용되는 축삽입부(5511)에 구비된다.5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through hole 5131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553 passes, and the stopper receiving groove 5513 is formed in the shaft receiving hole 5513, (5511).

이 경우, 상기 스토퍼 수용홈(5513)은 상기 브러쉬가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5133)에 접하도록 상기 축삽입부(5511)의 외주면에 절곡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stopper receiving groove 5513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insertion portion 5511 so as to contact the stopper 5133 when the brush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 세탁장치는 의류의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린트와 같은 이물질을 여과하고, 필터면의 메쉬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필터부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건조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filters out foreign matter such as lint generated in the drying process of the clothes and discharges the foreign matter remaining on the mesh of the filter surface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unit, .

또한, 본 발명 세탁장치는 이물질을 압축하여 이물수용부에 저장하기 때문에 필터부의 빈번한 청소가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esses foreign matter and stores it in the foreign-body accommodating portion, frequent cleaning of the filter unit is not required.

다만, 본 발명 세탁장치는 상기 이물수용부(53)를 사용자가 상기 필터하우징(51)으로부터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해 줄 필요가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물수용부에 저장된 이물질의 청소 시점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감지부에 대해 설명한다.However, in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for the user to remove the foreign substance by separating the foreign substance accommodating portion 53 from the filter housing 51. Hereinafter, the user is informed of the cleaning time of the foreign substance stored in the foreign body accommodat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감지부(미도시)는 브러쉬(551)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미도시)과 상기 위치감지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이물질 제거 시점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알림수단(6)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not shown) includes position sensing means (not shown)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brush 551 and notification means 6 for notifying a user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al timing according to a signal provided from the position sensing means can do.

상기 이물수용부(53)에 이물질이 용량을 초과하여 저장되면, 이물수용부 내부의 이물질이 필터어셈블리(51)의 배출홀(515)을 통해 필터어셈블리(5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If foreign matter is stored in the foreign substance receiving portion 53 in a state where the foreign substance is stored in the foreign substance receiving portion 53, foreign substances in the foreign substance receiving portion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lter assembly 51 through the discharge hole 515 of the filter assembly 51.

상기 이물질이 배출홀(515)로 유입되면 상기 브러쉬(551)는 설정된 각도범위 보다 작은 각도범위 내에서 정역회전운동을 할 것이므로 상기 위치감지수단(미도시)이 상기 브러쉬가 설정된 각도범위보다 작은 각도범위 내에서 정역회전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면 이물수용부(53)에 수집된 이물질을 청소해야하는 시점을 판단할 수 있게 될 것이다.When the foreign matter flows into the discharge hole 515, the brush 551 is rotated in an angle range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so that the position sensing means (not show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oint at which the foreign object collected in the foreign object accommodating portion 53 should be cleaned.

따라서, 상기 위치감지수단은 상기 스토퍼가 구비되는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감지센서로 구현되거나, 상기 브러쉬에 설정된 왕복운동 각도범위보다 작은 각도범위를 갖는 2 개의 접촉감지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osition sensing means may be implemented by at least one contact detection sensor provid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position of the stopper, or by two contact detection sensors having an angular range smaller than the reciprocating motion angle range set in the brush .

나아가, 사익 감지부는 상기 위치감지수단을 통해 상기 브러쉬가 기 설정된 왕복운동 각도범위보다 작은 각도범위로 운동한다고 판단될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알림수단(6)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jaw detec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notifying means (6)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movement of the brush through the position sensing mean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rush moves in an angular range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reciprocating motion angle range.

상기 알림수단(6)은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알림수단(6)은 사용자에게 포집부(533)에 저장된 이물질을 비우라는 문자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는 패널(LCD, LED패널 등)로 구비될 수 있다.The notification means 6 can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abinet as shown in FIG. 1, and in this case, the notification means 6 can display a text message to the user to empty the foreign substance stored in the collection means 533 (LCD, LED panel, etc.).

또한, 상기 알림수단은 상기 문자 메시지와 더불어 경고음을 제공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세탁장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는 사용자에게도 포집부의 교체 내지 청소시기를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notification means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for providing a warning sound in addition to the text message. The notification means may notify a user at a position apart from the laundry apparatus of replacement or cleaning time of the collection portion.

이하에서는 상술한 필터어셈블리가 적용 가능한 배기식 건조기의 구조에 대해 먼저 설명한 뒤 세탁과 건조가 가능한 세탁장치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exhaust type drier to which the above-described filter assembly is applicable will be described first, and then the structure of the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washing and drying will be described.

도 6은 배기식 건조기의 구조로, 배기식 건조기는 수용공간 외부의 공기를 열교환장치로 가열한 뒤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되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된 열풍은 수용공간 내부의 의류와 열교환한 뒤 수용공간 외부로 버려진다.FIG. 6 shows a structure of an exhaust-type dryer. In the exhaust-type dryer, hot air is supplied into the drum after the air outside the housing space is heated by a heat-exchanging device, and hot air supplied into the drum is heat- It is thrown out of the receiving space.

한편,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여과하지 않고 드럼 외부로 배출시키면 세탁장치가 구비되는 가정 내에 린트나 먼지를 공급하는 결과가 되므로 배기식 건조기의 경우에도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to the outside of the drum without being filtered, it is necessary to filter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even in the case of the exhaust type dryer since the laundry is supplied with lint or dust. have.

따라서, 배기식의 경우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드럼 내부의 공기의 배출시키는 배출덕트(41a)와, 드럼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덕트(41b)를 각각 구비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exhaust type, the air supply device preferably includes a discharge duct 41a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drum and a supply duct 41b for supplying air into the drum.

이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5)는 전방지지부(25)의 착탈부(251)를 통해 상기 배출덕트(41a)에 수용되도록 구비되어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열교환장치는 상기 공급덕트(41b)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filter assembly 5 is provided to be accommodated in the discharge duct 41a through the attaching / detaching part 251 of the front supporting part 25 so as to filter th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And the heat exchanger is provided in the supply duct 41b.

도 7은 세탁과 건조가 가능한 순환식 세탁장치의 개념도이다. 이 경우,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는 드럼(21)이 수용되는 터브(23)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공기공급장치의 덕트(41)는 터브(23)의 전방과 후방에 연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irculating type washing machine capable of washing and drying.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tub 23 in which the drum 21 is accommodated is further provided in the cabinet 1, and the duct 41 of the air supply device is communicat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tub 23 .

즉, 터브가 구비되는 건조겸용 세탁장치의 경우 전방지지부와 후방지지부와 같은 구성은 불요하다. 따라서, 상기 필터어셈블리(5)는 덕트의 흡입구(411)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드럼모터(211)는 터브의 후벽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drying and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the tub, the structure such as the front support portion and the rear support portion is unnecessary.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 assembly 5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ction port 411 of the duct, and the drum motor 211 is provided on the rear wall of the tub.

도 7에 도시된 드럼모터(211)는 그 회전축이 상기 드럼(21)의 배면과 직접 연결된 직결식모터이나 도면에 개시된 구조로 건조겸용 세탁장치의 구조를 한정할 필요는 없다.The drum motor 211 shown in Fig. 7 is a direct-coupled motor whose rotation axis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drum 21, or the structure disclosed in the drawings does not need to limit the structure of the drying and washing machine.

즉, 상기 드럼은 터브를 관통하는 드럼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회전축에는 종동풀리가 구비되며, 드럼모터는 밸트나 체인을 통해 상기 종동풀리로 드럼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That is, the drum includes a drum rotation shaft passing through the tub, the drum rotation shaft is provided with a driven pulley, and the drum motor may be provided in a form of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drum motor to the driven pulley through a belt or a chain.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기식 건조겸용 세탁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터브(23)와 연통하는 배출덕트와 공급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배출덕트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면 충분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the case of the exhaust type drying and washing machine, an exhaust duct communicating with the tub 23 and a supply duct are provided. When the filter assembly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exhaust duct, Is omitted.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세탁장치 1: 캐비닛 3: 도어
4: 공기공급장치 5: 필터어셈블리 6: 알림수단
51: 필터하우징 511: 유입홀 513: 필터
515: 배출홀 517: 스토퍼 53: 이물수용부
55: 브러쉬 유닛 551: 브러쉬 553: 회전축
100: Washing device 1: Cabinet 3: Door
4: air supply 5: filter assembly 6:
51: filter housing 511: inlet hole 513: filter
515: discharge hole 517: stopper 53: foreign body receiving portion
55: Brush unit 551: Brush 553:

Claims (18)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교환장치;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흡입구가 구비된 덕트;
상기 덕트에 구비되는 필터하우징과, 상기 필터하우징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고 상기 필터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는 이물질이 저장되는 이물수용부와,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의 이물질을 상기 이물수용부로 이동시켜 상기 이물수용부에서 압축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이물수용부 내부에서 소정 각도범위 만큼 정역회전하는 브러쉬 유닛과, 상기 브러쉬 유닛이 상기 소정 각도범위 내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한 때 접하도록 상기 필터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스토퍼가 구비된 필터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쉬 유닛은
상기 필터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수용되는 축삽입부와, 일단이 상기 축삽입부에 결합하며 타단이 상기 소정 각도범위 내에서 정역회전을 함에 따라 상기 필터하우징을 거쳐 상기 이물수용부에 인입 및 인출을 반복하도록 구비되는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가 상기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와 접하도록 상기 축삽입부의 외주면 일측이 상기 축삽입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함입되어 상기 스토퍼를 수용하는 스토퍼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clothes;
A heat exchange device for supplying hot air to the accommodation space;
A duct having a suc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ng space such that air in the accommodating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A filter housing provided in the duct, a filter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lter housing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 foreign matter receiving part detachable from the filter housing and storing a foreign mat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housing, A filter housing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filter housing and moving foreign matter in the filter housing to the foreign body accommodating portion so as to be compressed in the foreign body accommodating portion, And a stopper protruding from the filter so as to contact the brush unit when the brush unit is rotated forward or reverse within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The brush unit
And a rotation shaft passing through the filter, a shaft insertion portion in which the rotation shaft is received, and a shaft insertion portion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shaft insertion portion and the other end rotating in the predetermined angular range, And a stopper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stopper when the brush is rotated by the predetermined angle so that one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haft insertion por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topper, And a washing device for washing laundr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각도범위는 상기 브러쉬 유닛의 정역회전 영역이 상기 이물수용부가 제공하는 저장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is set so that the normal and reverse rotation areas of the brush unit have areas overlapping with the storage areas provided by the foreign body accommodation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은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유입홀과, 상기 필터에 의해 여과된 이물질이 상기 필터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housing
An inle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fil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hou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수용부는
상기 배출홀에 착탈 가능한 연결부와, 상기 필터하우징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oreign-
A connection portion that is detachable from the discharge hole, and a collecting portion that receives a foreign matter discharged from the filter hou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그물망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llecting par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mesh.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하우징에 구비되되 상기 유입홀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한쌍의 그물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lter is a pair of nets provided in the filter housing and facing each other with the inlet hole therebetw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유닛은
상기 회전축을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정역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ush unit
Further comprising a motor for rotating the rotary shaft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브러쉬가 스토퍼와 접촉하면 회전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otor changes the direction of rotation when the brush contacts the stopper.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축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축관통홀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lter further includes an axial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rotary shaft passes, and the stopper is protrude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xial through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수용부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이 수용 가능한 이물질의 양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ns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amount of the foreign matter stored in the foreign-matter receiving unit exceeds an amount of foreign matter that can be accommodat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브러쉬 유닛이 상기 소정 각도범위 보다 작은 각도범위 내에서 정역회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검출수단과, 상기 브러쉬 유닛이 상기 소정 각도범위보다 작은 각도범위 내에서 정역회전할 경우 세탁장치 외부에 이를 표시하는 알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nsing unit comprises: position detecting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rush unit is normally or reversely rotated within an angular range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and position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whether the brush unit is rotated in the normal or reverse direction within an angle range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And a notification means for displaying the message on the display mean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수용부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이 수용 가능한 이물질의 양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세탁장치의 외부에 표시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sensing unit for indicating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whether or not the amount of the foreign matter stored in the foreign-matter accommodating unit exceeds an amount of the acceptable foreign matt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스토퍼와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브러쉬의 접촉을 감지하는 위치검출수단과, 상기 위치검출수단이 상기 브러쉬의 접촉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세탁장치 외부로 이를 표시하는 알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etecting unit may include a position detecting unit provid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stopper to sense contact of the brush and an informing unit for indicating the outside of the washing unit when the position detecting unit fails to detect the contact of the brush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장치는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열교환장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uct further comprises a discharge port for supply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to the accommodation space,
Wherein the heat exchanger is disposed inside the duct, and the filter assembly is disposed between the inlet and the heat excha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외부의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덕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장치는 상기 공급덕트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pply duct for supplying air outside the accommodation space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wherein the heat exchange apparatus is provided in the supply du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흡입구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assembly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ction port.
KR1020100069514A 2010-05-04 2010-07-19 Washing machine KR1017693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514A KR101769365B1 (en) 2010-07-19 2010-07-19 Washing machine
BR112012028154A BR112012028154B8 (en) 2010-05-04 2011-05-04 Method of controlling equipment for treating clothes
AU2011249152A AU2011249152B2 (en) 2010-05-07 2011-05-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RU2012150276/12A RU2517815C1 (en) 2010-05-04 2011-05-04 Method for clothes treatment device control
CN201180022482.5A CN102884245B (en) 2010-05-04 2011-05-04 For the control technology of clothes treatment device
EP11777578.3A EP2567018B1 (en) 2010-05-04 2011-05-04 Control technology for clothes treatment apparatus
DE202011110331U DE202011110331U1 (en) 2010-05-04 2011-05-04 Control device for laundry treatment device
DE212011100095U DE212011100095U1 (en) 2010-05-07 2011-05-04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filter technology
CA2798779A CA2798779C (en) 2010-05-07 2011-05-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US13/100,541 US8869421B2 (en) 2010-05-04 2011-05-04 Control technology for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11777573.4A EP2567016B1 (en) 2010-05-07 2011-05-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CN201180022955.1A CN102884244B (en) 2010-05-07 2011-05-04 Device for clothing processing and filtering technique
BR112012028414-2A BR112012028414B1 (en) 2010-05-07 2011-05-04 clothing treatment equipment
PCT/KR2011/003348 WO2011139097A2 (en) 2010-05-04 2011-05-04 Control technology for clothes treatment apparatus
PCT/KR2011/003339 WO2011139092A2 (en) 2010-05-07 2011-05-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AU2011249157A AU2011249157B2 (en) 2010-05-04 2011-05-04 Control technology for clothes treatment apparatus
TW100115746A TWI443242B (en) 2010-05-07 2011-05-05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US13/102,080 US8789287B2 (en) 2010-05-07 2011-05-06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514A KR101769365B1 (en) 2010-07-19 2010-07-19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583A KR20120009583A (en) 2012-02-02
KR101769365B1 true KR101769365B1 (en) 2017-08-18

Family

ID=45834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514A KR101769365B1 (en) 2010-05-04 2010-07-19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36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8389A1 (en) * 2018-03-02 2019-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Home appliance
KR20190106448A (en) * 2018-03-09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1014A1 (en) * 2005-03-14 2006-09-1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ousehold clothes drying machine with improved lint filter
US20100146811A1 (en) * 2008-12-11 2010-06-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te Gmbh Dryer with recirculated air proportion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1014A1 (en) * 2005-03-14 2006-09-1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ousehold clothes drying machine with improved lint filter
US20100146811A1 (en) * 2008-12-11 2010-06-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te Gmbh Dryer with recirculated air proportion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8389A1 (en) * 2018-03-02 2019-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Home appliance
KR20190106448A (en) * 2018-03-09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ratus
KR102455068B1 (en) * 2018-03-09 2022-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583A (en)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67016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EP2788540B1 (en) Dryer
CN102884243B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substance removal, collection and compression units for the filter unit
EP2230349B1 (en) Filtering cartridge for home laundry driers and home laundry drier provided with said filtering cartridge
KR101779422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JP2015002847A (en) Drum-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EP2749689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241915B1 (en) drying device
KR101769365B1 (en) Washing machine
KR101199392B1 (en) drying device
CN202369823U (en) Clothes treating device
KR101191212B1 (en) Washing Machine
KR101191210B1 (en) drying device
KR101685977B1 (en) drying device
KR101191207B1 (en) drying device
KR101177479B1 (en) drying device
KR101629327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253193B1 (en) drying device
KR20110123333A (en) Drying device
KR20120005189A (en) Washing machine
KR20110123346A (en) Dr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