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193B1 - drying device - Google Patents

dry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193B1
KR101253193B1 KR1020100042761A KR20100042761A KR101253193B1 KR 101253193 B1 KR101253193 B1 KR 101253193B1 KR 1020100042761 A KR1020100042761 A KR 1020100042761A KR 20100042761 A KR20100042761 A KR 20100042761A KR 101253193 B1 KR101253193 B1 KR 101253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t
filter
air
dryer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7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23329A (en
Inventor
김동현
이상익
김정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00042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193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AU2011249152A priority patent/AU2011249152B2/en
Priority to CN201180022955.1A priority patent/CN102884244B/en
Priority to DE212011100095U priority patent/DE212011100095U1/en
Priority to EP11777573.4A priority patent/EP2567016B1/en
Priority to CA2798779A priority patent/CA2798779C/en
Priority to BR112012028414-2A priority patent/BR112012028414B1/en
Priority to PCT/KR2011/003339 priority patent/WO2011139092A2/en
Priority to TW100115746A priority patent/TWI443242B/en
Priority to US13/102,080 priority patent/US8789287B2/en
Publication of KR20110123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3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1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풍량 유지 및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지나가는 배출덕트; 및 상기 배출덕트 상에 설치되며, 배출되는 공기의 린트를 포집하는 필터부와 포집된 린트가 모이는 린트포집부가 일체로 형성된 필터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er that can automatically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by automatically cleaning the filter, and can maintain the air volume and prevent excessive rise in internal temperature, the cabinet forming an appearance;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to accommodate a drying object; A discharge duct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passes; And a filter assembly installed on the discharge duct, the filter assembly collecting the lint of the discharged air and the lin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collected lint integrally.

Description

건조기{drying device}Drying device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풍량 유지 및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yer that can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by automatically cleaning the filter, and can maintain the air volume and prevent excessive internal temperature rise.

의류처리장치는 통상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와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를 포함한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ypically includes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laundry and a dryer for drying the laundry.

건조기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주로 의류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물 수용부를 갖는다. 상기 세탁물 수용부로 건조공기를 공급하고, 세탁물 수용부 내의 습 공기를 배기시키는 과정을 거쳐 세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진다.A dryer is a household appliance in which laundry is normally washed, that is, clothes are mainly dried using high temperature air. In general, a dryer has a laundry container for receiving laundry. The laundry is dried by supplying dry air to the laundry accommodating part and evacuating the wet air in the laundry accommodating part.

건조기는 세탁물을 건조기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세탁물이 건조기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 로딩 방식에서는 세탁물이 건조기의 전면에서 투입된다.The dryer may be divided into a top loading method and a front loading method according to a method of putting laundry into the dryer. In the top loading method, laundry is input from the upper side of the dryer, and in the front loading method, the laundry is input from the front of the dryer.

이러한 건조기는 또한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물 수용부의 형태에 따라 나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캐비닛 타입 건조기와 드럼 타입 건조기가 있다.Such dryers may also be divided depending on the type of laundry container in which the laundry is accommodated. Examples are cabinet type dryers and drum type dryers.

상기 캐비닛 타입 건조기는 세탁물이 옷걸이 등을 통해 세탁물 수용부 내부에 걸려 있거나, 선반 등을 통해 뉘여 있게 된다.In the cabinet-type dryer, the laundry is hung inside the laundry accommodating part through a hanger or the like, and is lying through the shelf.

상기 드럼 타입 건조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rum type dryer includes a drum accommodating laundry, a driving source for driving the drum, heating means for heating air introduced into the drum, and a fan for sucking or discharging air in the drum.

건조기를 또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응축식 건조기와 배기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Another way to distinguish a dryer is to classify it as a condensation dryer and an exhaust dryer.

응축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세탁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In the condensing dryer, the air that has been heated and exchanged with the laundry in the drum is circulated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ryer, and the condensate is made by exchanging heat with the outside air in a separate condenser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배기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세탁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In the exhaust dryer, the air that has been heat-exchanged with the laundry in the drum and becomes humid is discharged directly to the outside of the dryer.

그런데 이러한 건조기에서 건조 대상물의 건조에 사용된 공기중에는 린트(lint)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린트는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상에 설치된 린트 필터에 의해 걸러진다.However, lint is included in the air used to dry the object to be dried in such a dryer. This lint is filtered by a lint filter installed on the flow path of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그런데 종래에는 건조 행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매번 린트 필터를 꺼내 린트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오랜 시간 린트 필터를 청소하지 않는 경우 풍량이 줄어들어 건조 효율이 저하되고 원활한 풍량이 확보되지 않으면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after the drying stroke is completed, the user has to take out the lint filter every time to remove the lint. If the lint filter is not cleaned for a long time, the air volume decreases, and thus the drying efficiency is lowered.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풍량 유지 및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ier which can improve user convenience by automatically cleaning a filter, and can maintain air volume and prevent excessive internal temperature ri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지나가는 배출덕트; 및 상기 배출덕트 상에 설치되며, 배출되는 공기의 린트를 포집하는 필터부와 포집된 린트가 모이는 린트포집부가 일체로 형성된 필터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cabinet forming an appearance;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to accommodate a drying object; A discharge duct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passes; And a filter assembly installed on the discharge duct, the filter assembly collecting the lint of the discharged air and the lin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collected lint integrally.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일측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린트 포집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 바디와, 상기 필터 바디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상기 필터부와, 상기 필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부를 청소하는 필터청소부와, 청소된 린트가 포집되는 상기 린트포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ter assembly may include a filter body having an air inlet formed at one side and a lint collecting space therein, the filter unit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lter body, and installed inside the filter body to clean the filter unit. And a filter cleaning unit and the lint collecting unit in which the cleaned lint is collected.

상기 필터청소부는 상기 필터부에 접촉하여 린트를 청소하는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ter clean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rush for cleaning the lint in contact with the filter unit, and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 brush.

상기 필터부는 원형의 메쉬와, 상기 메쉬를 지지하는 다수의 리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ter un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circular mesh, and a plurality of ribs for supporting the mesh.

상기 린트포집부는 상기 필터부에 형성되되 상기 브러쉬의 이동 경로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nt collecting unit is formed on the filter unit and is install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brush.

상기 린트포집부는 상기 브러쉬의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된 린트유입구와, 상기 린트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린트가 압축되어 포집되는 포집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nt collecting unit may include a lint inlet form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rush, and a collecting box in which the lint introduced through the lint inlet is compressed and collected.

상기 린트유입구는 상기 공기 유입구를 향해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nt inlet is opened toward the air inlet.

상기 브러쉬는 회동시 상기 린트포집부를 넘어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rush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rotating over the lint collector.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 바디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ter unit may be formed on a surface on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filter body is discharged.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 바디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면에 대향되는 면에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ter unit may be further formed on a surface opposite to a surface on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filter body is discharg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는 린트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함으로써 사용자가 린트 필터를 건조 후 매번 청소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cleans the lint filter,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clean the lint filter every time,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또한, 린트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함으로써 적절한 건조 풍량을 항상 유지할 수 있어 건조 성능이 향상되고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에 따른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utomatically cleaning the lint filter can maintain an appropriate amount of dry air at all times, the drying performance is improve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problems due to excessive internal temperature rise.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b는 도 1에 따른 건조기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주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측단면도.
Figure 1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plan view of the dryer according to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structure of the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FIG. 4.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은 배기식 건조기나 응축식 건조기 및 건조 겸용 세탁기 등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both an exhaust type dryer, a condensation type dryer and a combined washing machine.

여기서 배기식 건조기는 외부 공기를 가열하여 드럼 내로 공급하고, 드럼 내에서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는데 사용된 후 습해진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건조기이다.Here, the exhaust type dryer is a dryer configured to heat external air to be supplied into the drum, and the wet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being used to dry the object to be dried in the drum.

응축식 건조기는 드럼 내에서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킨 습한 공기를 응축기 또는 히트펌프 모듈을 통해 제습한 후 가열하여 다시 드럼 내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건조기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응축식 건조기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하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densation type dryer is a dryer configured to dehumidify the humid air dried by drying the object in the drum through a condenser or a heat pump module, and then heat and supply the same to the drum. Hereinafter, a condensation type dryer will be describ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a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용 건조기는 크게 외관을 형성하며,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 컨트롤러(미도시)가 구비된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20)과, 드럼(20)의 개방된 전방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런트 서포터와, 드럼(20)의 후방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저널 베어링부재(24)와, 드럼(2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6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drying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rge appearance, the cabinet 10 is provided with a main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dryer, the cabinet The drum 20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10 to receive the drying object, the front supporter which rotatably supports the open front of the drum 20, and the rear of the drum 20 to be rotatable And a journal bearing member 24 for supporting and a motor 60 for rotating the drum 20.

또한, 건조기에는 프런트 서포터(30)에 연결된 배출덕트(50)와, 캐비닛(10)의 후면으로 연결되어 드럼(20)에 연통되는 공급 덕트(40)와, 배출덕트(50) 내에 설치되어 드럼(20)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송풍팬(52)과, 공급 덕트(40) 상에 설치되어 외기를 가열하는 히터(42)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dryer has a discharge duct 50 connected to the front supporter 30, a supply duct 40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cabinet 10 to communicate with the drum 20, and a drum installed in the discharge duct 50. (20) A blowing fan 52 for exhausting the air inside and a heater 42 provided on the supply duct 40 to heat outside air are provided.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고 습해진 공기는 응축기(70)를 통해 제습되며, 응축기(70)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배수펌프 어셈블리(80)에 의해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수된다. 응축기(70)의 일측에는 응축기(70)의 냉각을 위한 냉각팬(72) 및 구동모터(60)가 설치된다.The air to be dried and dried is dehumidified through the condenser 70, and th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condenser 70 is drained out of the cabinet 10 by the drain pump assembly 80. One side of the condenser 70 is provided with a cooling fan 72 and a driving motor 60 for cooling the condenser 70.

캐비닛(10)의 전방에는 드럼(20)의 전방에 형성된 개구부(21a)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된 부분은 도어(15)에 의해 개폐된다.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21a formed in front of the drum 20 is formed in front of the cabinet 10, and the opened portion is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15.

프런트 서포터(30) 및 저널 베어링부재(24)는 드럼(20)의 전방 및 후방을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드럼(20)의 전방 상부 또는 하부는 롤러(90) 등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드럼(20)이 회전하더라도 프런트 서포터(30)는 회전하지 않고 캐비닛(10) 내측에 고정된다.The front supporter 30 and the journal bearing member 24 rotatably support the front and rear of the drum 20, respectively, and the front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drum 20 can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ller 90 or the like. Can be. Even if the drum 20 rotates, the front supporter 30 is fixed inside the cabinet 10 without rotating.

또한, 저널 베어링부재(24) 역시 캐비닛(10)의 내측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으며, 저널 베어링부재(24)의 내측에 설치된 베어링을 중심으로 드럼(20)이 상대 회전하게 된다.In addition, the journal bearing member 24 is also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does not rotate, the drum 20 is rotated relative to the bearing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journal bearing member 24.

프런트 서포터(30)의 하측에는 배출덕트(50)가 연결되고, 배출덕트(50) 내에는 송풍팬(52)이 설치되어 건조가 완료된 후 드럼(2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배출덕트(50)의 일단은 프런트 서포터(30)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 덕트(40)와 연통된다. 프런트 서포터(30)와 배출덕트(50)의 연결 부위에는 건조 후 드럼(20)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1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어셈블리(100)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A discharge duct 50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upporter 30, and a blowing fan 52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duct 50 to circulate air in the drum 20 after drying is completed. One end of the discharge duct 50 is connected to the front supporter 30 and the other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upply duct 40. The connection assembly between the front supporter 30 and the discharge duct 5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ilter assembly 100 for filtering the air exhausted from the drum 20 after drying. The filter assembly 100 will be described later.

송풍팬(52)은 모터(60)에 직결되어 드럼(20)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송풍시킨다.The blowing fan 52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otor 60 to forcibly blow air inside the drum 20.

캐비닛(10)의 후방에는 다수의 관통홀(10a)이 형성되고, 배출덕트(50)를 통해 순환되는 공기를 드럼(20)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덕트(40)가 연결된다. 공급 덕트(4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다른 곳으로 유출되지 않고 드럼(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캐비닛(10)의 후방 내측면과 드럼(20)의 후방 외측면 사이에는 커버(22)가 장착된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0a are formed at the rear of the cabinet 10, and a supply duct 40 for supplying air circulated through the discharge duct 50 to the drum 20 is connected. A cover 22 is provided between the rear inner surface of the cabinet 10 and the rear outer surface of the drum 20 so that the air supplied from the supply duct 40 can be supplied into the drum 20 without flowing out. Is mounted.

드럼(20)의 후방에도 공기 연통을 위한 다수의 통기홀(20b)이 형성되며, 캐비닛(10)에 형성된 관통홀(10a)과 드럼(20)에 형성된 통기홀(20b)은 커버(22)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vent holes 20b are formed at the rear of the drum 20 for air communication, and the through holes 10a formed in the cabinet 10 and the vent holes 20b formed in the drum 20 are covered with a cover 22. It is preferably located inside of.

관통홀(10a)과 통기홀(20b)이 커버(22)의 내측에 위치해야 공급 덕트(4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드럼(20) 내부로 바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급 덕트(40) 상에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42)가 설치된다.The through-hole 10a and the vent hole 20b should be positioned inside the cover 22 so that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pply duct 40 may directly flow into the drum 20. On the supply duct 40, a heater 42 for heating air is provided.

히터(42)는 건조 완료 후 송풍팬(52)에 의해 순환된 습한 공기가 후술할 응축기(70)를 통과해 제습된 후 공급 덕트(40)로 유입되면, 유입된 건조 공기를 가열한다. 건조된 공기는 히터(42)에 의해 가열되어 공급 덕트(40)를 통해 드럼(20)에 재공급된다.The heater 42 heats the introduced dry air when the humid air circulated by the blowing fan 52 after the completion of drying is introduced into the supply duct 40 after being dehumidified through the condenser 70 to be described later. The dried air is heated by the heater 42 and resupplied to the drum 20 through the supply duct 40.

즉, 드럼(20)이 회전하면서 드럼(20) 내부의 공기가 송풍팬(52)에 의해 배출덕트(50)를 통해 배기되면, 공급 덕트(40)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드럼(20) 내부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이때 가열된 공기가 공급 덕트(40)를 통해 드럼(2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히터(42)는 공급 덕트(40)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단이나 공급 덕트(4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when the drum 20 rotates and the air inside the drum 20 is exhausted through the discharge duct 50 by the blowing fan 52, the air heated through the supply duct 40 is inside the drum 20. Will be sucked into. At this time, the heater 42 is installed in the inlet end or the supply duct 40 into which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supply duct 40 so that the heated air can be supplied into the drum 20 through the supply duct 40. It is preferable.

모터(60)는 두 개의 회전축을 구비하며, 하나의 회전축은 송풍팬(52)과 연결되어 송풍팬(52)을 구동한다. 모터(60)의 다른 하나의 회전축은 풀리(62)에 결합되어 풀리(62)를 회전시킨다. 풀리(62)는 벨트(64)로 드럼(20)과 연결되므로, 벨트(64)의 회전에 의해 드럼(20)이 회전하게 된다.The motor 60 has two rotation shafts, and one rotation shaft is connected to the blowing fan 52 to drive the blowing fan 52. The other axis of rotation of the motor 60 is coupled to the pulley 62 to rotate the pulley 62. Since the pulley 62 is connected to the drum 20 by the belt 64, the drum 2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belt 64.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70)는 배출덕트(50)와 공급 덕트(40)의 사이에 설치되어 배출덕트(50)를 통해 배기되는 습한 공기를 제습하여 공급 덕트(4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condenser 70 is installed between the discharge duct 50 and the supply duct 40 to dehumidify the humid air exhausted through the discharge duct 50 to supply the duct Allow 40 to be supplied.

응축기(70)는 공냉식 또는 수냉식 응축기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Condenser 70 may be used in both air-cooled or water-cooled condenser.

공냉식 응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건조 후 습해진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차가운 외기를 응축기로 공급함으로써 열효환을 통해 습기를 응축시키게 된다. 수냉식 응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냉매 또는 냉각수를 응축기로 공급함으로써 열교환을 통해 습기를 응축시키게 된다.In the case of using an air-cooled condenser, moisture is condensed through the thermal effect by supplying air to the condenser, which is relatively cooler than air after drying. In the case of using a water-cooled condenser, moisture is condensed through heat exchange by supplying a refrigerant or cooling water to the condenser.

공냉식 또는 수냉식 응축기의 사용시 발생하는 응축수는 배수펌프 어셈블리(80)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수된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공냉식 응축기를 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Condensate generated when using the air-cooled or water-cooled condenser is drained out of the cabinet 10 through the drain pump assembly 8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cooled condense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공냉식 응축기(70)가 사용되는 경우, 열교환에 의해 건조 후 습해진 공기 중의 습기를 응축시키기 위해 캐비닛(10)의 외부로부터 차가운 공기가 공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 덕트(40)가 구비되어 그 일측이 응축기(7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모터(60) 및 송풍팬(5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외기공급 덕트(40)는 캐비닛(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되고, 일단이 응축기(70)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air-cooled condenser 70 is used, cold air must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to condense moisture in the air moistened after drying by heat exchang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side air supply duct 40 is provided to supply the outside air, and one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denser 70, and the motor 60 and the blowing fan 52 are formed at the other side. To this end, the outside air supply duct 4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binet 10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ne end is prefer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denser 70.

그런데 건조 행정이 계속되면 필터 어셈블리(100)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적층된다. 오랜 시간 린트 필터를 청소하지 않는 경우 풍량이 줄어들어 건조 효율이 저하되고 원활한 풍량이 확보되지 않으면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건조기의 사용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매번 린트 필터를 꺼내 린트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if the drying stroke continues, foreign matters such as lint are stacked on the filter assembly 100. If the lint filter is not cleaned for a long time, the air volume decreases, and thus the drying efficiency is lowered. Therefore, after the use of the dryer is complete, the user has to take out the lint filter every time to remove the lin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자동으로 린트 필터를 청소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풍량 확보 및 온도 과열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필터어셈블리(100)가 제공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ter assembly 100 which can automatically clean the lint filter to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and solve problems caused by airflow and temperature overheatin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지나가는 배출덕트(50) 상에는 필터어셈블리(100)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filter assembly 100 is installed on the discharge duct 50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20 passes.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어셈블리(100)는 필터 바디(110)와, 필터 바디(11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필터부(120)와, 필터부(120)를 자동으로 청소하는 필터청소부(130)와, 청소된 린트가 포집되는 린트포집부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filter assembly 100 automatically cleans the filter body 110, the filter unit 120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lter body 110, and the filter unit 120. It consists of a filter cleaner 130, and a lin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cleaned lint.

필터 바디(110)는 일측에 공기 유입구(111a)가 형성되고, 내부에 린트 포집 공간이 형성된다. 즉, 전면(112)과 후면(114), 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측면(116)과 하면(118)으로 형성된다. 전면(112)에 필터부(1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전면(112)이 양측면(116)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개폐된다(편의상 공기가 빠져나가는 면을 필터 바디의 정면, 이에 대향되는 면을 후면, 공기 유입구 쪽을 상측, 반대쪽을 하측이라고 정의하기로 함).The filter body 110 has an air inlet 111a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lint collection space is formed therein. That is, the front surface 112 and the rear surface 114, the relatively narrow side 116 and lower surface 118 compared to these are formed. The filter unit 12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112, and the front surface 112 is rotatably opened and closed about the lower ends of both side surfaces 116 (for convenience, the air exit surface is oppos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body and is opposed thereto). The back side, the air inlet side is defined as upper side, and the opposite side is defined as lower side).

공기 유입구(111a)가 형성된 필터 바디(110)의 상부는 결합 부위와의 간섭 방지를 위해 곡면형상으로 형성된다.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공기 유입구(111a)를 통해 필터 바디(110)로 유입되어 필터 바디(110)의 전면(112)에 형성된 필터부(120)를 통해 빠져나간다.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body 110 having the air inlet 111a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coupling portio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20 flows into the filter body 110 through the air inlet 111a and exits through the filter unit 12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112 of the filter body 110.

필터부(120)는 적어도 필터 바디(110)의 전면(112)에 일체로 형성되며, 추가적으로 필터 바디(110)의 후면(114)에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120)가 양면에 형성될 경우 한족으로만 공기가 빠져나가는 경우 보다 풍량 확보에 유리하여 건조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된다.The filter unit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t least the front side 112 of the filter body 110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side 114 of the filter body 110. When the filter unit 120 is formed on both sides, it is advantageous to secure the air volume more than when the air escapes only to the Han group, which helps to improve the drying performance.

필터부(120)는 공기 유입구(111a)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가 필터링되는 부분으로, 가늘고 촘촘한 원형의 메쉬(122)와, 메쉬(122)를 지지하는 다수의 리브(124)로 구성된다. 메쉬(122)가 원형이므로 리브(124)는 원형의 메쉬(122)를 골고루 지지하고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원형 및 직선형이 복합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lter unit 120 is a part in which lint contained in the air is filtered whil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11a is passed out. The filter unit 120 supports a thin and dense circular mesh 122 and a plurality of meshes 122. Rib 124. Since the mesh 122 is circular, the rib 124 is preferably formed in a combination of a circular and a straight line so as to support the circular mesh 122 evenly and reinforce the strength.

또한, 필터부(120)의 리브(124) 상에는 린트포집부가 형성된다(이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a lint collec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rib 124 of the filter portion 120 (to be described later).

필터부(120)를 통해 린트가 제거된 공기가 빠져나가면 린트는 필터부(120)에 달라붙어 있는 상태로 서서히 적층되며, 이를 자동으로 청소하기 위해 필터 바디(110)의 내측에는 필터청소부(130)가 설치된다.When the air from which the lint is removed through the filter unit 120 escapes, the lint is gradually stacked in a state in which the lint is attached to the filter unit 120, and the filter cleaning unit 130 is disposed inside the filter body 110 to automatically clean the lint. ) Is install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청소부(130)는 필터부(120)에 접촉하여 린트를 청소하는 브러쉬(132)와, 브러쉬(13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34, 도 2참조)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filter cleaner 130 may include a brush 132 for cleaning the lint by contacting the filter unit 120, and a driving motor 134 (see FIG. 2) for driving the brush 132. It is composed.

구동모터(134)는 필터부(12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필터 바디(110) 내부에 설치되며, 브러쉬(132)에 직결될 수도 있고, 회전 기어 등에 의해 브러쉬(132)와 연결될 수도 있다. 구동모터(134)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The driving motor 134 is installed inside the filter body 110 to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filter unit 12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brush 132, or may be connected to the brush 132 by a rotating gear or the like. The driving motor 134 may be a motor that rotates in one direction.

즉, 구동모터(134)는 구동모터(134)에 연결된 원동축 기어(미도시)와, 브러쉬(132)에 결합되며 원동축 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축 기어(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at is, the drive motor 134 is rotatably driven by a drive shaft gear (not shown)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134 and a driven shaft gear (not shown) coupled to the brush 132 and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drive shaft gear. Combined.

브러쉬(132)의 회전시 토크 보다는 속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원동축 기어에 대한 종동축 기어의 기어비는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동축 기어가 원동축 기어에 비해 훨씬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원동축 기어의 1회전시 종동축 기어는 수회 회전할 수 있다.Since the speed is more important than the torque when the brush 132 rotates, the gear ratio of the driven shaft gear to the driven shaft gear is preferably 1: 2. That is, since the driven shaft gear has a much smaller size than the driven shaft gear, the driven shaft gear can rotate several times in one rotation of the driven shaft gear.

구동모터(134)의 회전력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어 구조 외에도 풀리 및 벨트의 구조나 체인 구조, 또는 마찰차를 이용하는 방법 등에 의해 필터부(브러쉬)에 전달될 수 있다.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134 may be transmitted to the filter unit (brush) by a pulley and a belt structure, a chain structure, or a method using a friction difference, in addition to the gear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브러쉬(132)는 일단이 구동모터(134)에 직결되고 타단이 필터부(120)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며, 필터부(120)에 접촉한 상태로 필터부(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 구동된다. 브러쉬(132)는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곡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도면에서는 편의상 직선형 브러쉬의 예만을 도시하였다). 브러쉬(132)가 회전하면서 브러쉬(132)의 솔이 필터부(120)에 부착된 린트를 긁어 모은 상태에서 회동하여 린트포집부로 이동시킨다.One end of the brush 132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134 and the other end extends toward the outside of the filter unit 120, and rotat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lter unit 120 in contact with the filter unit 120. Driven. The brush 132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or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in the drawing, only an example of a straight brush is shown for convenience). As the brush 132 rotates, the brush of the brush 132 rotates while collecting the lint attached to the filter unit 120 to move to the lint collecting unit.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린트포집부는 브러쉬(132)의 이동 경로상에 위치하며, 필터부(120)의 리브(124)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lint collecting portion is position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brush 132 and is integrally formed on the rib 124 of the filter portion 120.

린트포집부는 브러쉬(132)의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된 린트유입구(152)와, 린트유입구(152)를 통해 유입된 린트가 압축되어 포집되는 포집박스(150)로 구성된다.The lint collecting unit includes a lint inlet 152 form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rush 132, and a collecting box 150 in which lint introduced through the lint inlet 152 is compressed and collected.

린트유입구(152)는 필터 바디(110)의 상측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110a)를 향해 개구되어 있다. 공기 유입구(110a)를 향해 개구되면 공기의 유입 방향과 린트유입구(152)가 일치하므로 린트유입구(152)로 유입된 린트가 공기에 의해 좀더 쉽게 포집박스(150)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lint inlet 152 is opened toward the air inlet 110a formed above the filter body 110. When opening toward the air inlet 110a, the inlet direction of the air and the lint inlet 152 coincid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lint introduced into the lint inlet 152 can be moved to the collection box 150 more easily by air.

또한, 공기 유입구(110a) 쪽의 폭이 넓고 포집박스(150) 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져 린트유입구(152)의 내측은 포집박스(150)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air inlet (110a) is wider and the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collection box 150, the inner side of the lint inlet 152 is formed with the same width as the width of the collection box 150.

린트유입구(152)는 브러쉬(132)에 의해 모인 린트가 쉽게 유입될 수 있도록 포집박스(150)의 폭보다 다소 넓게 형성되는 것이다. 린트유입구(152)로 유입된 린트가 포집박스(150) 내부로 낙하하지 않더라도 브러쉬(132)가 회전하면서 계속해서 린트유입구(152)로 린트를 밀어 넣으므로 린트는 조금씩 포집박스(150) 내부로 유입된다.The lint inlet 152 is formed to be somewhat wider than the width of the collection box 150 so that the lint collected by the brush 132 can be easily introduced. Even though the lint introduced into the lint inlet 152 does not fall into the collecting box 150, the brush 132 rotates and continuously pushes the lint into the lint inlet 152 so that the lint gradually enters the collecting box 150. Inflow.

이때 린트유입구(152)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으므로 린트가 포집박스(150) 쪽으로 유입될수록 안쪽의 린트는 밀려 들어오는 린트에 의해 조금씩 압축된다.At this time, since the width becomes narrower from the end of the lint inlet 152 toward the inner side, the lint inside the lint is compressed little by little as the lint is pushed toward the collection box 150.

이렇게 압축된 린트는 포집박스(150) 내측으로 유입되어 낙하하고, 브러쉬(132)는 린트유입구(152)를 지나 포집박스(150) 위로 넘어가서 회전을 계속하게 된다.The compressed lint is introduced into the collection box 150 and falls, and the brush 132 passes over the lint inlet 152 and moves over the collection box 150 to continue the rota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건조기의 작동 완료 후 매번 필터를 청소하지 않아도 되며, 주기적으로 필터어셈블리를 분리하여 압축된 린트를 버려주면 된다. 즉, 기존의 린트 필터 사용시 건조기 작동시마다 린트를 청소해야 했다면, 본 발명의 경우 건조기 10회 작동이나 20회 작동 후에 청소하면 되므로 린트 제거 주기가 길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user does not have to clean the filter every time after the operation of the dryer, and periodically removes the filter assembly and discards the compressed lint. That is, if the lint filter had to be cleaned every time the dryer was used when using the existing lint filt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10 operations or 20 operations of the dryer were to be cleaned, the lint removal cycle was lengthened,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에 있어서 린트가 제거되는 과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process of removing the lint in the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s follows.

브러쉬(132)가 구동모터(134)에 의해 회전하면서 필터부(120)의 표면에 붙어 있는 린트를 청소한다. 린트는 브러쉬(132)에 붙어서 브러쉬(132)가 회전하는 대로 끌려가게 되며, 브러쉬(132)의 이동 경로상에 형성된 린트포집부로 이송된다.The brush 132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134 to clean the lint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filter unit 120. The lint is attached to the brush 132 and dragged as the brush 132 rotates, and is transferred to the lint collecting unit form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brush 132.

브러쉬(132)가 린트유입구(152)를 지나면서 개구된 부분과 간섭이 일어나 린트가 브러쉬(13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린트는 린트유입구(152)로 유입되고 브러쉬(132)는 린트유입구(152)를 넘어 다시 회전한다.As the brush 132 passes through the lint inlet 152, interference occurs with the opened portion, and the lint may be separated from the brush 132. The separated lint is introduced into the lint inlet 152 and the brush 132 rotates again beyond the lint inlet 152.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린트유입구(152)에 쌓이는 린트는 브러쉬(132)에 의해 계속 린트유입구(152)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고, 점점 좁아지는 린트유입구(152) 내측에서 압축되어 포집박스(150)로 유입된다.As the process is repeated, the lint accumulated in the lint inlet 152 is continuously pushed into the lint inlet 152 by the brush 132, and is compressed in the lint inlet 152 that is narrowed and introduced into the collection box 150. do.

이때, 포집박스(150) 내측에는 린트의 효율적인 유입을 위해 린트 흡입을 위한 별도의 흡입 모듈이 설치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a separate suction module for lint suction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ollecting box 150 to efficiently inject lint.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에 의해 린트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적절한 건조 풍량을 항상 유지할 수 있어 건조 성능이 향상되고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에 따른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automatically clean the lint filter,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maintaining an appropriate amount of drying air at all times, improving drying performance and increasing excessive internal temperatu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problem.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캐비닛 20 : 드럼
50 : 배출덕트 70 : 응축기
100 : 필터어셈블리 110 : 필터 바디
120 : 필터부 130 : 필터청소부
150 : 포집박스 152 : 린트유입구
10 cabinet 20 drum
50: discharge duct 70: condenser
100: filter assembly 110: filter body
120: filter unit 130: filter cleaning unit
150: collection box 152: lint inlet

Claims (1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지나가는 배출덕트와, 상기 배출덕트 상에 설치되며, 배출되는 공기의 린트를 포집하고 수용하는 필터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일측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린트 포집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 바디;
상기 필터 바디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필터부;
상기 필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부를 청소하기 위한 브러쉬를 포함하는 필터청소부; 및
상기 필터청소부에 의해 청소된 린트가 포집되는 린트포집부;를 포함하되,
상기 린트포집부는 상기 브러쉬의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를 향해 개구된 린트유입구와, 상기 린트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린트가 압축되어 포집되는 포집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린트 유입구는 상기 포집박스 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A cabinet forming an exterior,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to accommodate a drying object, an exhaust duct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passes, and a lint of air discharged on the discharge duct In the dryer comprising a filter assembly for collecting and containing the,
The filter assembly,
An air inlet is formed at one side and a filter body defining a lint collection space therein;
A filter part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lter body;
A filter clean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filter body and including a brush for cleaning the filter unit; And
And a lin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lint cleaned by the filter cleaner.
The lint collecting unit is formed along a moving direction of the brush and comprises a lint inlet opening toward the air inlet, and a collecting box in which the lint introduced through the lint inlet is compressed and collected.
The lint inlet is a d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narrower toward the collection box.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청소부는 상기 브러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 clean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yer further comprises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 brus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원형의 메쉬와, 상기 메쉬를 지지하는 다수의 리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 unit is a dry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ircular mesh and a plurality of ribs for supporting the mes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포집부는 상기 필터부에 형성되되 상기 브러쉬의 이동 경로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int collecting unit is formed in the filter unit,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brush.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회동시 상기 린트포집부를 넘어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brush is rotated over the lint collector during ro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 바디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 unit is a dry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lter body is discharg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 바디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면에 대향되는 면에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lter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yer is further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lter body is discharg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박스 내측에는 린트의 효율적인 유입을 위해 흡입모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The method of claim 1,
D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module is installed inside the collection box for efficient introduction of lint.
KR1020100042761A 2010-05-07 2010-05-07 drying device KR1012531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761A KR101253193B1 (en) 2010-05-07 2010-05-07 drying device
CN201180022955.1A CN102884244B (en) 2010-05-07 2011-05-04 Device for clothing processing and filtering technique
DE212011100095U DE212011100095U1 (en) 2010-05-07 2011-05-04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filter technology
EP11777573.4A EP2567016B1 (en) 2010-05-07 2011-05-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AU2011249152A AU2011249152B2 (en) 2010-05-07 2011-05-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CA2798779A CA2798779C (en) 2010-05-07 2011-05-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BR112012028414-2A BR112012028414B1 (en) 2010-05-07 2011-05-04 clothing treatment equipment
PCT/KR2011/003339 WO2011139092A2 (en) 2010-05-07 2011-05-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TW100115746A TWI443242B (en) 2010-05-07 2011-05-05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US13/102,080 US8789287B2 (en) 2010-05-07 2011-05-06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761A KR101253193B1 (en) 2010-05-07 2010-05-07 dry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329A KR20110123329A (en) 2011-11-15
KR101253193B1 true KR101253193B1 (en) 2013-04-10

Family

ID=45393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761A KR101253193B1 (en) 2010-05-07 2010-05-07 dry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19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370A (en) * 2018-01-25 2018-03-02 (주)에이피 Dust inflow preventing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8993A (en) * 1992-09-21 1994-04-12 Tokyo Gas Co Ltd Clothing drying machine with filter cleaner
KR20090102415A (en) * 2008-03-26 200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8993A (en) * 1992-09-21 1994-04-12 Tokyo Gas Co Ltd Clothing drying machine with filter cleaner
KR20090102415A (en) * 2008-03-26 200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370A (en) * 2018-01-25 2018-03-02 (주)에이피 Dust inflow preventing apparatus
KR102144861B1 (en) * 2018-01-25 2020-08-14 (주)에이피 Dust inflow preven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329A (en)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9653B1 (en) Laundry drying apparatus
KR101241915B1 (en) drying device
KR101779422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1199392B1 (en) drying device
KR20120019209A (en) Dryer
CN202369823U (en) Clothes treating device
KR101191208B1 (en) drying device
KR101191210B1 (en) drying device
KR101253193B1 (en) drying device
JP2001300192A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101191207B1 (en) drying device
KR101177479B1 (en) drying device
KR101685977B1 (en) drying device
KR20110123333A (en) Drying device
KR101227515B1 (en) Dryer
KR101191209B1 (en) drying device
JP4013622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101191211B1 (en) Controlling method of a drying device
KR101692725B1 (en) drying device
KR101265644B1 (en) drying device
JP2011098021A (en) Clothes dryer
KR20110123332A (en) Drying device
KR101314624B1 (en) drying device
KR20120008645A (en) Dryer
KR20120009086A (en) Control method of dr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