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093B1 -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093B1
KR101768093B1 KR1020160152904A KR20160152904A KR101768093B1 KR 101768093 B1 KR101768093 B1 KR 101768093B1 KR 1020160152904 A KR1020160152904 A KR 1020160152904A KR 20160152904 A KR20160152904 A KR 20160152904A KR 101768093 B1 KR101768093 B1 KR 101768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ent
support
bent portion
gener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재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주)해미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미래 filed Critical (주)해미래
Priority to KR1020160152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02S40/345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with cool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electrical connection means, e.g. cooling means associated with or applied to the junction bo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태양광 패널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력 계통에 공급하는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으로서,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 지지부에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 단자함, 지지부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수직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프레임, 지지 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어 복수의 인버터가 장착되는 복수의 거치패널, 지지부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인버터와 연결되는 전력선이 인입되도록 관통되는 복수의 배선용관을 포함하는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전효율이 높고, 설치가 간편하며, 단자함의 냉각이 용이한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발전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태양광 패널에서 발전한 전기를 접속반으로 보내고, 이후 접속반에서 병렬식으로 통합한 전기를 1개 또는 복수의 인버터로 보내어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변환시킨 후 보호설비 및 계량설비 등의 분전반함을 거쳐 사용자가 사용하거나 축전지 등에 저장하거나, 전력계통에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기술과 관계되는 선행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0930132호와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9127호가 있으며, 이들 선행문헌에는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접속반과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감시진단장치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10-0930132호는 출력단자를 통해 연결된 인버터로 과전압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서지보호기와 출력전류 검출을 위하여 출력전류를 분류하여 검출부로 출력하는 분류기가 구비되어 이상전력을 모니터링하는 장치로, 이는 대용량의 인버터 1~2개를 사용할 경우에 발생되는 이상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으나, 이상이 발생될 경우에는 시스템 전체가 마비되어 전력생산이 중단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9127호에 개시되어 있는 접속반은 태양전지 어레이로부터 병렬군으로 입력받은 직류전력을 하나의 입력전력으로 통합하여 계통연계형 인버터에 출력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통상 사용되는 접속반의 경우 스테인리스 재질의 접속반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스테인리스 재질의 접속반은 녹이 잘 슬지않는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재료비 절감을 위해 강판의 두께를 얇게 하여 제작되며 이로써 내구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또한, 아무리 스테인리스 재질로 만든다 하더라도 일정시간이 지나면 녹이 슬게 되고 이로써 육안을 보기에도 좋지 않아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접속반은 태양광 등의 외부열과 내부에 수용된 기판에서 발생한 내부열로 인해 상당히 고온으로 온도가 상승되고, 이러한 고온의 온도를 냉각시켜줄 별도의 구성이 내부에 내장되어 있어 기판에 장착된 다이오드 등의 부품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력 변환 시 변환 효율이 높고, 분전반함, 계량기함, 차단기함 등의 단자함들의 내부를 용이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태양광 패널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력 계통에 공급하는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으로서,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단자함;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단자함; 상기 지지부의 정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는 제3 단자함;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어 복수의 인버터가 장착되는 복수의 거치패널;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인버터와 연결되는 전력선이 인입되도록 관통되는 복수의 배선용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단자함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함은 하부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지붕; 상기 지붕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다각형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 하단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고, 빗물의 유입이 방지되는 공기 유입부가 형성된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의 끝단에서 지면과 수평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 상기 제2 절곡부의 끝단에서 지면방향으로 수직으로 적곡되는 제3 절곡부; 상기 제3 절곡부의 끝단에서 지면과 수평으로 절곡되는 제4 절곡부; 및 상기 제4 절곡부의 끝단이 본체부와 이격되어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공기 유입구에 설치되어 곤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충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방충망 상부에 형성되어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지지부 하부에 형성되어 지열을 충진하는 지열 충진 공간; 상기 지열 충진 공간과 상기 제1 내지 제3 단자함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열 공급 라인; 및 상기 지열 공급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지열을 상기 지열 공급 라인과 연결된 제1 내지 제3 단자함 중 어느 하나에 공급하는 순환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전력량을 통해 상기 복수의 태양광 패널 모듈의 작동 상태, 상기 복수의 인버터 각각의 상태, 상기 태양광 패널 모듈의 전력 변환 효율을 확인하는 스마트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은 복수의 태양광 패널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력 계통에 공급하는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으로서, 수상에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 모듈; 상기 태양광 패널 모듈과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태양광 패널 모듈에서 입력되는 직류 전력을 인버터로 공급하도록 복수의 소켓이 형성되는 분전반함; 및 상기 분전반함을 통해 상기 직류 전력이 공급되면, 이를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력 계통에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버터;를 포함하되, 상기 분전반함은 하부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지붕; 상기 지붕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다각형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 하단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고, 빗물의 유입이 방지되는 공기 유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은 제1 내지 제3 단자함의 본체부 하단에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부의 지붕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자연 냉각 방식으로 냉각되며, 동시에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열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단자함을 냉각시켜 외부로부터 물 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은 수상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적용되어 태양광 패널 모듈의 인접한 거리에 설치되는 분전반함의 냉각 및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은 소용량의 인버터를 복수개 사용하여 전력 변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와 동시에 각 인버터의 상태 및 전력 변환 효율 등을 스마트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모티터링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을 도시한 시스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의 전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의 후면을 도시한 후면도.
도 4는 인버터 설치를 위한 거치 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단자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지열을 이용한 제1 내지 제3 단자함의 냉각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을 도시한 시스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을 도시한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은 태양광 패널 모듈(100), 전력 변환 설비(200) 및 스마트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태양광 패널 모듈(100)은 복수의 태양광 패널들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때, 복수의 태양광 패널들은 수개가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패널군을 이루며, 하나의 패널군은 전력 변환 설비(200)에 구비된 하나의 인버터(230)에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단말(400)은 전력 변환 설비(20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전력 변환 설비(200)에 구비된 인버터의 상태, 전력 변환 효율, 전력 생산량, 상기 패널군의 작동 상태(고장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400)은 통상의 스마트 폰, 테블릿 PC, 노트북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별, 월별, 년별 전력 변환 효율과 전력 생산량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 단말(400)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전력 변환 설비(200)는 태양광 패널 모듈(100)에서 제공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변환된 교류 전력을 전력 계통(300)에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전력 변환 설비(200)는 복수의 인버터(230), 계량기, 차단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전력 변환 설비(2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다시 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력 변환 설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력 변환 설비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전력 변환 설비의 후면을 도시한 후면도이며, 도 4는 인버터 설치를 위한 거치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전력 변환 설비(200)는 지지부(210), 제1 내지 제3 단자함(212, 214, 216), 수직 프레임(222), 지지 프레임(224), 거치 패널(235) 및 배선용관(2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210)는 지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내부에 복수의 전력선이 배선되도록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10)는 상부면에 제1 내지 제3 단자함(212, 214, 216)이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210)는 철재 소재가 사용되거나, 배선들이 내장된 상태의 콘크리트 구조물일 수 있다.
수직 프레임(222)은 지지부(210)의 양측 끝단에 지지부(210)와 수직으로 기립하여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224)은 수직 프레임(222) 사이에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224)은 적어도 2개가 수평으로 형성되어 추후 복수의 거치 패널(235)이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거치 패널(235)은 인버터(230)가 장착되도록 사각의 패널 형태로 형성된다. 거치 패널(235)은 지지 프레임(224)에 장착되어 추후 인버터(230) 장착시 인버터(23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거치 패널(235)은 전면에 2개가 설치되고, 후면에 3개가 설치된다. 이때, 거치 패널(235)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인버터(230) 설치 개수에 상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선용관(240)은 지지부(210)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배선용관(240)은 인버터(230)와 연결되는 전력선이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선용관(240)은 거치 패널(235)의 개수와 상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자함(212)은 분전반이 설치되는 분전반함일 수 있다. 즉, 제1 단자함(212)은 태양광 패널 모듈과 인버터(230)에서 인출된 전력선이 연결되는 소켓들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단자함(214)은 계량기가 설치되는 계량기함일 수 있다. 제2 단자함(214)은 인버터(230)에서 교류 전력으로 변환된 전력을 전력 계통에 공급하도록 전력용 배선이 설치된다. 이때, 제2 단자함(214)은 전력 계통으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계량기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단자함(216)은 차단기가 설치되는 차단기함일 수 있다. 제3 단자함(216)은 제1 단자함(212)의 전력선들과 제2 단자함(214)의 전력선들을 각각 연결되는 전력용 스위치들이 구비되어 필요시 전력을 차단하여 단자함의 소켓, 인버터, 계량기, 전력 계통 등의 전력 설비를 보호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단자함(212, 214, 216)은 내부에 열이 발생하므로 열을 외부로 배출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1 내지 제3 단자함(212, 214, 216)은 본체부(710), 지붕(720) 및 공기 유입부(73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710)는 직사각형의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710)는 지붕(720)이 설치되는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본체부(710)는 상기와 같이, 소켓, 인버터, 계량기 등이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지붕(720)은 본체부(710)의 상단으로 빗물, 먼지,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지붕(720)의 하부에는 복수의 관통홀(725)이 형성될 수 있다. 지붕(720)은 상부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빗물 등이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형성된다.
지붕(720)의 양단측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쪽으로 더 하향하여 형성된다. 즉, 지붕(720)의 양단측은 본체부(710)의 끝단보다 더 낮게 형성되어 빗물이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관통홀(725)은 지붕(720)의 일측 하단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본체부(710)에서 유입되는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관통홀(725)의 상부에는 곤충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곤충유입 방지망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입부(7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유입되도록 본체부(710)의 일측 하단에 형성된다. 공기 유입부(730)는 하부면의 일부가 상부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731), 제1 절곡부(731)에서 지면과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2 절곡부(732), 제2 절곡부(732)의 끝단에서 지면방향을 수직으로 절곡되는 제3 절곡부(733) 및 제3 절곡부(733)의 끝단에서 지면과 수평으로 절곡되는 제4 절곡부(73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4 절곡부(734)의 끝단은 본체부(710)와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1 내지 제4 절곡부(731 내지 734)에 의해, 호우, 청소 등으로 인하여 본체부(710) 내부로 빗물 또는 청소시 사용되는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유입구에는 곤충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충망(7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충망(740)의 상단에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7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기 유입부(730)는 공기 유입구 하부면이 개방되거나, 본체부(710)에서 연장되는 연장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연장부는 공기 유입구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공기 유입구의 내측으로 빗물 또는 청소시 사용되는 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연장부는 본체부(710)의 하부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거나, 하부면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체부(710)는 전력선 등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지지부(210)에서 인출된 전력선들이 본체부(71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환경으로부터 전력선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은 지열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단자함(212, 214, 216)의 내부를 냉각 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력 변환 설비(200)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변환 설비(200)는 지열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단자함(212, 214, 216)의 내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전력 변환 설비(200)의 하부 지하에는 지열을 충전하기 위한 지열 충진 공간(510)이 마련된다. 지열 충진 공간(510)은 지지부(210)로부터 약 10 내지 50m 이격되어 형성된다. 지열 충진 공간(510)은 상시 약 15~23℃로 유지되어 제1 내지 제3 단자함(212, 214, 216)의 온도에 비해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지열 충진 공간(510)과 제1 내지 제3 단자함(212, 214, 216) 사이에 지열 공급 라인(520)이 형성된다.
지열 공급 라인(520)은 지열 충진 공간(510)의 지열이 상기 제1 내지 제3 단자함(212, 214, 216)으로 공급되는 통로로 작용한다. 이때, 지열 충진 공간(510)의 기온이 더 낮으므로, 강제로 지열을 제1 내지 제3 단자함(212, 214, 216)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각 지열 공급 라인(520)에 순환팬(53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순환팬(530)은 지열 공급 라인(520)에 설치되지 않고, 단자함들(212 내지 216)에 설치되어 단자함들(212 내지 216)의 외부로 지열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며, 이때, 지열 충진 공간(510)의 지열이 단자함들(212 내지 216)의 내부로 유입되어 단자함들(212 내지 216)을 냉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은 제1 내지 제3 단자함이 자연 냉각 방식으로 냉각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3 단자함의 본체부 하단에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부의 지붕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열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단자함을 냉각시켜 외부로부터 물 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에 따른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은 수상에서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는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으로서, 태양광 패널 모듈(100), 분전반함(600), 인버터(230) 및 전력 계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태양광 패널 모듈(100)은 수상에 설치된다. 수상 설치시 일반 노면에 비해 지면에 대해 수평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지열로 인한 방열 문제 등을 해소할 수 있다. 이때, 태양광 패널 모듈(100)은 지상에 설치시 사용되는 별도의 구조물 등이 사용되지 않고, 부력 수단만 사용하면 되므로 설치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분전반함(600)은 태양광 패널 모듈(100)과 인버터(230) 사이를 연결한다. 분전반함(600)은 태양광 패널 모듈(100)과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태양광 패널 모듈(100)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때, 분전반함(600)은 수상 설비의 분리대 등에 설치되므로 물과 가깝게 위치하므로, 물 또는 습기에 의하여 내부에 형성된 소켓 또는 분전반함(600)의 본체부가 부식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분전반함(600)은 상술한 제1 단자함(212)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분전반함(600)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체부(710), 지붕(720) 및 공기 유입부(7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전반함(600)은 수상 설비와 인접하여도 물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 본체부(71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의 분전반함은 수상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적용되어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자연 냉각 방식으로 분전반함을 냉각시킬 수 있다.
100: 태양광 패널 모듈
200: 전력 변환 설비
210: 지지부
212, 214, 216: 제1 내지 제3 단자함
222: 수직 프레임
224: 지지 프레임
230: 인버터
235: 거치 패널
240: 배선용관
300: 전력 계통
400: 스마트 단말
510: 전력 충진 공간
520: 지열 공급 라인
530: 순환팬
600: 분전반함
710: 본체부
720: 지붕
725: 관통홀
730: 공기 유입부
731 ~ 734: 제1 내지 제4 절곡부
740: 방충망
750: 필터

Claims (7)

  1. 복수의 태양광 패널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력 계통에 공급하는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으로서,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단자함;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단자함;
    상기 지지부의 정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는 제3 단자함;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에 상기 지지부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어 복수의 인버터가 장착되는 복수의 거치패널;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인버터와 연결되는 전력선이 인입되도록 관통되는 복수의 배선용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단자함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함은
    하부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지붕;
    상기 지붕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다각형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 하단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고, 빗물의 유입이 방지되는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되,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의 끝단에서 지면과 수평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
    상기 제2 절곡부의 끝단에서 지면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되는 제3 절곡부;
    상기 제3 절곡부의 끝단에서 지면과 수평으로 절곡되는 제4 절곡부;
    상기 제4 절곡부의 끝단이 본체부와 이격되어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 유입구;
    상기 공기 유입구에 설치되어 곤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충망; 및
    상기 방충망 상부에 형성되어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절곡부는 상기 필터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2 절곡부와 대비하여 지면에 더 가깝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센서부에서 측정된 전력량을 통해 상기 복수의 태양광 패널 모듈의 작동 상태, 상기 복수의 인버터 각각의 상태, 상기 태양광 패널 모듈의 전력 변환 효율을 확인하는 스마트 단말을 더 포함하는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
  7. 삭제
KR1020160152904A 2016-11-16 2016-11-16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 KR101768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904A KR101768093B1 (ko) 2016-11-16 2016-11-16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904A KR101768093B1 (ko) 2016-11-16 2016-11-16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093B1 true KR101768093B1 (ko) 2017-08-17

Family

ID=59753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904A KR101768093B1 (ko) 2016-11-16 2016-11-16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0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915B1 (ko) * 2021-03-26 2022-04-18 주식회사 티에스파워텍 인버터 거치대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 수배전반용 지지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386B1 (ko) * 2015-12-07 2016-07-26 운지파워텍(주) 수상태양광발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386B1 (ko) * 2015-12-07 2016-07-26 운지파워텍(주) 수상태양광발전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915B1 (ko) * 2021-03-26 2022-04-18 주식회사 티에스파워텍 인버터 거치대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 수배전반용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19558B (zh) 一种模块化水上光伏阵列及其电站
US201302691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ular photovoltaic power
US20120268158A1 (en) Failure detecting method for a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478019B1 (ko) 태양광발전 모니터링 및 제어 관리 시스템
US20200313132A1 (en) Environmental Enclosures, Systems, and Methods, for Use with Off-Grid Outdoor Power Systems
KR101159531B1 (ko) 태양광발전 시스템용 접속반
KR20200094731A (ko) 자동 태양 전지판 세척
Prasanna et al. Financial analysis of solar photovoltaic power plant in India
CN202954588U (zh) 一种预装式光伏逆变集装箱
CN116054741A (zh) 一种基于大数据在线监测的光伏组件故障定位分析方法
KR101768093B1 (ko) 태양광 종합 발전 시스템
Kaplani Design and performance considerations in stand alone PV powered telecommunication systems
KR102197262B1 (ko) 해상 풍력발전 및 해상 태양광 발전을 위한 해상 전기실 모니터링 장치
KR102088056B1 (ko) 태양광 발전 수배전반 시스템
CN205864904U (zh) 采气井监控箱装置
CN210053046U (zh) 一种电力设备箱
Zahraoui et al. System‐Level Condition Monitoring Approach for Fault Detection in Photovoltaic Systems
KR101080111B1 (ko) 태양광 전지판 냉각장치
KR101257639B1 (ko) 고효율 태양광 발전관리시스템
KR102155665B1 (ko) 태양광 발전 장치용 스마트 접속반
KR101326798B1 (ko) 태양광 발전장치
CN209593334U (zh) 一种集光伏发电与热能发电为一体的发电装置
CN203734614U (zh) 一种新型智能光伏汇流箱
JP2014052325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1957195B1 (ko)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