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279B1 - 스마트 화분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화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279B1
KR101766279B1 KR1020160019282A KR20160019282A KR101766279B1 KR 101766279 B1 KR101766279 B1 KR 101766279B1 KR 1020160019282 A KR1020160019282 A KR 1020160019282A KR 20160019282 A KR20160019282 A KR 20160019282A KR 101766279 B1 KR101766279 B1 KR 101766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control unit
polle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홍민
노용훈
Original Assignee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9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화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를 통해 화분의 생육환경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고, 측정된 화분의 생육환경에 대한 정보를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화분의 생육환경에 대한 정보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파악 가능한 스마트 화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시스템은 수분센서 및 온도센서를 통해 화분의 수분정보 및 온도정보 등의 생육환경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고, 측정된 화분의 생육환경에 대한 정보를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화분의 생육환경에 대한 정보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파악 가능하며, 원격으로 필요한 조치나 생육환경의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생육환경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즉시 통지 및 생육환경을 조절함으로써 재배식물의 적정 생육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화분 시스템{Smart flowerpot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화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를 통해 화분의 생육환경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고, 화분의 생육환경에 대한 정보를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화분의 생육환경에 대한 정보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파악 가능한 스마트 화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을 비롯하여 다양한 실내 또는 실외에서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대지로부터 독립적으로 가꾸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형태와 디자인을 가진 화분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화분은 대개 식물이 식재된 상태로 구입하거나, 화분을 별도로 구입하여 원하는 식물을 식재하게 되는데, 화분에 식재된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서 영양을 얻게 되므로, 식물이 제대로 성장하기 위해서 빛과 수분 등의 공급이 중요하다.
종래의 화분은 식물의 광합성 등을 위하여 햇빛이 드는 곳에 두어야 하는데, 이로 인해 장소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주기적인 관리 소홀로 인해 식물의 성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화분은 배수 등에 의해 흙이 물과 함께 배출되어 화분받침대를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재배장치의 일 예로 국내 등록특허 제10-0598013호에는 식물 재배기가 게시된 바 있다.
상기의 식물 재배장치는 통 형상으로 상부 개방형의 용기와, 투명한 관으로 되어 용기의 양측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저부에 배출구를 가지는 수평관 및 수평관의 일 측에 수직 연결되어 상부에 물투입구를 가지는 수직관으로 된 물공급수단과, 용기의 바닥부에 구비되는 히터 및 용기 외측에서 작동을 히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식물 재배기는 식물의 원격 재배가 불가능하여 물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로 장기간 방치시 식물이 고사하는 등 관리 소홀에 의해 식물이 죽는 일이 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센서를 통해 화분의 생육환경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고, 측정된 화분의 생육환경에 대한 정보를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화분의 생육환경에 대한 정보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가 파악이 가능하며, 원격으로 필요한 조치나 생육환경의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화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생육환경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통지하여 식물의 적정 생육 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스마트 화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시스템은 재배대상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화분과; 상기 화분 내의 토양에 함유된 수분을 측정하여 수분데이터를 송출하는 수분센서와; 상기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수분센서에서 송출되는 수분데이터를 수신 및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수분데이터에 대한 열람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수분데이터를 메인통신부를 통해 송출되게 제어하며, 상기 메인통신부를 통해 상기 물공급부에 대한 구동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물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제어유닛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열람요청신호를 상기 제어유닛에 전송하고 수신된 수분데이터를 표시하여 제공하는 열람메뉴와, 상기 물공급부를 통해 상기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물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유닛으로 송출하는 조절메뉴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는 운영모듈이 탑재된 사용자 단말기;를 구비한다.
상기 물공급부는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와, 일 측이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화분으로 연장된 연장관과, 상기 물탱크의 물을 펌핑하여 상기 화분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관에 설치된 모터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구동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화분에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모터펌프를 제어한다.
상기 물공급부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되며, 내부에는 물을 수용 및 상기 화분을 상하방향으로 출입시킬 수 있도록 저수공간이 형성된 저수탱크와,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방되고, 상기 화분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저수탱크에 상기 저수탱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저수공간으로 상기 화분이 출입되게 안내하는 안내프레임과,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안내프레임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화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수탱크에 수용된 물의 수면에 접촉될 시 상기 제어유닛으로 수면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수면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승강구동부를 통해 상기 안내프레임을 하강시킬 때, 상기 수면감지센서로부터 수면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안내프레임을 설정된 거리만큼 하강시키도록 상기 승강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시스템은 수분센서 및 온도센서를 통해 화분의 수분정보 및 온도정보 등의 생육환경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고, 측정된 화분의 생육환경에 대한 정보를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화분의 생육환경에 대한 정보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파악 가능하며, 원격으로 필요한 조치나 생육환경의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생육환경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즉시 통지 및 생육환경을 조절함으로써 재배식물의 적정 생육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시스템의 제어계통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시스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시스템의 제어계통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시스템의 수위에 따라 화분의 하강위치가 변화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화분 시스템은 화분(10)과, 수분센서(21)와, 온도센서(22)와, 물공급부(30)와, 제어유닛(40)과, 사용자 단말기(50)를 구비한다.
상기 화분(10)은 재배대상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토양 및 재배대상식물이 식재되는 식재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 및 바닥에는 물의 유입 또는 배수를 위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화분(10) 주변에는 화분(10) 주변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공급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열공급부 히터(15)나 온풍기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수분센서(21)는 화분(10) 내의 토양에 함유된 수분을 측정하여 수분데이터를 송출하는 것으로서, 토양 내의 수분 함량에 따른 토양의 저항 변화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토양에 꽂을 수 있게 형성되고 전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 제1전극핀 및 제2전극핀(21a, 21b)과, 제1전극핀 및 제2전극핀(21a, 21b)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제1전극핀 및 제2전극핀(21a, 21b)을 통해 감지되는 전류값을 검측하는 전류검측부(21c)를 포함한다.
상기 수분센서(21)는 전류값에 대한 수분함량을 알 수 있는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있고, 전류검측부(21c)를 통해 전류값이 측정되면 측정된 전류값과 테이블을 비교하여 해당 전류값에 대한 수분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수분데이터는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을 통해 후술하는 제어유닛(40)으로 송출된다. 이때,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22)는 화분(10)의 일 측에 설치되어 화분(10)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데이터를 제어유닛(40)으로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온도센서(22) 또한 수분센서(21)와 마찬가지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제어유닛(40)으로 온도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분센서(21) 및 온도센서(22)는 각각에 별도의 통신모듈을 부가하여 개별적으로 제어유닛(40)과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별도의 보드에 수분센서(21) 및 온도센서(22)를 연결하고, 해당 보드에 구비된 통신모듈을 통해 각 센서에서 검측된 데이터를 제어유닛(40)으로 송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의 보드는 아두이노 I/O 보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30)는 화분(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31)와, 일 측이 물탱크(31)에 연결되고 타 측은 화분(10)으로 연장된 연장관(32)과, 물탱크(31)의 물을 펌핑하여 화분(10)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연장관에 설치된 모터펌프(33)를 구비한다. 상기 연장관(32)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관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단속밸브(3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모터펌프(33) 및 단속밸브(34)는 후술하는 제어유닛(4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제어유닛(40)은 메인통신부(41)와, 데이터저장부와, 중앙처리부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통신부(41)는 수분센서(21) 및 온도센서(22)와 통신 가능하게 되어 수분센서(21) 및 온도센서(22) 송출되는 수분데이터 및 온도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들을 중앙처리부에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통신부(41)는 후술하는 사용자 단말기(50)와 기존의 유/무선통신망(60)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사용자 단말기(5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저장부는 메인통신부(41)에 수신된 수분데이터 및 온도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수분데이터 및 온도데이터에 대한 열람요청신호가 메인통신부(41)에 수신되면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수분데이터 및 온도데이터를 메인통신부(41)를 통해 송출되게 제어하며, 메인통신부(41)를 통해 물공급부(30)에 대한 구동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물공급부(30)를 통해 화분(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모터펌프(33) 및 단속밸브의 작동을 제어한다. 일 예로, 상기 중앙처리부는 구동제어신호가 수신될 시, 모터펌프(33)를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주기로 작동시키거나, 설정된 시간 동안 연속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저장부에는 최저수분데이터 및 최저온도데이터가 미리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수분센서(21) 및 온도센서(22)에서 수신되는 수분데이터 및 온도데이터를 저장된 데이터들과 비교하여 수신된 수분 및 온도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들보다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50)로 경고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물공급부(30) 및 히터를 제어하여 화분(10)에 물을 공급하거나 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50)는 통신모듈과, 입력부와, 디스플레이와, 제어부와, 운영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50)는 PC(51) 또는 노트북 또는 스마트폰(52)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제어유닛(40)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더넷, 블루투스, NFC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적용하며, 입력부는 PC,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서 사용자가 명령 또는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 예로,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을 적용한다.
상기 운영모듈은 응용프로그램으로서 입력부에 실행을 지시하는 실행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며, 수분데이터 및 온도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열람메뉴와, 급수를 위한 조절메뉴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표시된 열람메뉴를 클릭하면, 수분데이터 및 온도데이터에 대한 열람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열람요청신호를 통신모듈을 통해 제어유닛(40)으로 전송되게 하며, 제어유닛(40)으로부터 송출된 수분데이터 및 온도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상에 수치로 표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어메뉴를 클릭하면, 물공급부(30)를 통해 화분(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공급부(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동제어신호를 통신모듈을 통해 제어유닛(40)으로 전송되게 함으로써 제어유닛(40)에 의해 물공급부(30)가 작동되게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50)는 제어부에 의해 주기적으로 열람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수분데이터 및 온도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만 열람요청신호를 생성하도록 하여 원하는 때에만 수분데이터 및 온도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모든 수분데이터 및 온도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되게 처리함으로써, 수분데이터 및 온도데이터에 대한 이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 화분 시스템은 화분(10)과, 수분센서(21)와, 온도센서(22)와, 수면감지센서(23)와, 물공급부(130)와, 제어유닛(40)과, 사용자 단말기(50)를 구비한다.
상기의 화분(10)과, 수분센서(21)와, 온도센서(22)와 사용자 단말기(50)는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시스템에서 설명하고 있는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적용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면감지센서(23)는 화분(10)의 저면에 구비되어 물에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된 것을 적용한다. 상기 화분(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저수탱크(131)에 수용된 물의 수면에 접촉될 시 제어유닛(40)으로 수면감지신호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물공급부(130)는 저수탱크(131)와, 안내프레임(132)과, 승강구동부(133)를 구비한다.
상기 저수탱크(131)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되며, 내부에는 물을 수용 및 화분(10)을 상하방향으로 출입시킬 수 있도록 저수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수탱크(131)에는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안내프레임(132)이 삽입 및 슬라이딩 이동되는 홈부가 소정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프레임(132)은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방되고, 화분(10)의 상측을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게 안착부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저수탱크(131)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어 저수탱크(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저수공간으로 화분(10)이 출입되게 지지한다.
상기 안내프레임(132)은 저수탱크(131)에 형성된 홈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하되 저수탱크(131)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시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홈의 폭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안내프레임(132)과 화분 사이에는 저수탱크 내부에 수용된 물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안내프레임(132)에는 하강시 저수탱크(131)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통과구멍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133)는 제어유닛(40)의 제어에 따라 안내프레임(132)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를 적용한다.
상기 제어유닛(40)은 메인통신부(41)에 사용자 단말기(50)로부터 전송되는 구동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승강구동부(133)를 통해 안내프레임(132)을 하강시켜 화분(10)을 저수탱크(131)에 저장된 물에 화분(10) 높이의 일정 지점(일 예로, 화분(10) 높이의 50% 이상)까지 잠기게 하고, 일정 시간 후 안내프레임(132)을 상승시켜 화분(10)을 물에서 꺼내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40)은 구동제어신호의 수신과 동시에 안내프레임(132)이 하강되도록 승강구동부(133)를 제어하되, 안내프레임(132)의 하강 도중에 수면감지센서(23)로부터 수면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시점부터 안내프레임(132)을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하강시키도록 승강구동부(133)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탱크(131)에 저장된 물이 화분(10)에 흡수되거나 공기 중으로 증발하여 수위가 최초수위(L0)에서 제1수위(L1)로 변하는 경우에, 수면감지센서(23)로부터 수면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시점부터 안내프레임(132)을 설정된 높이만큼 하강되게 승강구동부(133)를 제어함으로써 저수탱크(131) 내의 수위 변화에 관계없이 화분(10)의 일정 지점까지 물에 잠기도록 하여 항상 동일한 양의 물을 화분(1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화분(10)은 제어유닛(40)의 제어에 의해 저수탱크(131)의 수면으로부터 설정된 깊이만큼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물공급부(130)는 화분(10)이 일정 부분까지 잠길 수 없을 정도로 저수탱크(131)의 수위가 설정된 최저수위로 낮아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최저수위감지센서와, 최저수위감지센서에서 신호가 송출되면 이를 수신하여 저수탱크(131)에 물을 공급하는 보조공급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공급부는 수도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 단은 저수탱크(131)로 연장된 연장공급관과, 연장공급관에 설치되어 연장공급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부재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밸브부재는 제어유닛(4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시스템은 수분센서(21) 및 온도센서(22)를 통해 화분(10)의 수분정보 및 온도정보 등의 생육환경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고, 측정된 화분(10)의 생육환경에 대한 정보를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화분(10)의 생육환경에 대한 정보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파악 가능하며, 원격으로 필요한 조치나 생육환경의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생육환경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즉시 통지 및 생육환경을 조절함으로써 재배식물의 적정 생육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화분
21 : 수분센서
22 : 온도센서
23 : 수면감지센서
30 : 물공급부
40 : 제어유닛
50 : 사용자 단말기
60 : 유/무선통신망
130 : 물공급부
131 : 저수탱크
132 : 안내프레임
133 : 승강구동부

Claims (4)

  1. 재배대상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화분과;
    상기 화분 내의 토양에 함유된 수분을 측정하여 수분데이터를 송출하는 수분센서와;
    상기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수분센서에서 송출되는 수분데이터를 수신 및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수분데이터에 대한 열람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수분데이터를 메인통신부를 통해 송출되게 제어하며, 상기 메인통신부를 통해 상기 물공급부에 대한 구동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물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제어유닛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열람요청신호를 상기 제어유닛에 전송하고 수신된 수분데이터를 표시하여 제공하는 열람메뉴와, 상기 물공급부를 통해 상기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물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유닛으로 송출하는 조절메뉴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는 운영모듈이 탑재된 사용자 단말기;를 구비하고,
    상기 물공급부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되며, 내부에는 물을 수용 및 상기 화분을 상하방향으로 출입시킬 수 있도록 저수공간이 형성된 저수탱크와,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방되고, 상기 화분을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저수탱크에 상기 저수탱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저수공간으로 상기 화분이 출입되게 안내하는 안내프레임과,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안내프레임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수탱크에 수용된 물의 수면에 접촉될 시 상기 제어유닛으로 수면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수면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승강구동부를 통해 상기 안내프레임을 하강시킬 때, 상기 수면감지센서로부터 수면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안내프레임을 설정된 거리만큼 하강시키도록 상기 승강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19282A 2016-02-18 2016-02-18 스마트 화분 시스템 KR101766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282A KR101766279B1 (ko) 2016-02-18 2016-02-18 스마트 화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282A KR101766279B1 (ko) 2016-02-18 2016-02-18 스마트 화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6279B1 true KR101766279B1 (ko) 2017-08-08

Family

ID=5965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282A KR101766279B1 (ko) 2016-02-18 2016-02-18 스마트 화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691A (ko) 2018-12-28 2020-07-09 (주)티에스피지인터내셔널 환경센서가 구비되는 스마트 화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691A (ko) 2018-12-28 2020-07-09 (주)티에스피지인터내셔널 환경센서가 구비되는 스마트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0689B2 (en) Automated hydroponic growing appliance
JP6966487B2 (ja) 植物の成長制御システム
WO2010029993A1 (ja) 植物栽培システム、植物栽培プラントおよび家庭用の植物栽培装置
KR101582389B1 (ko) 무선 제어 가능한 식물 재배 시스템
KR101426036B1 (ko) 가정용 스마트 식물 재배장치
CN105472969A (zh) 水培装置及水培方法
CN102835273B (zh) 智能型土培植物生长栽培装置
JP2022508999A (ja) 植物の成長を制御するシステム
KR200469809Y1 (ko) 원예 재배기
JP2019118342A (ja) 多区画型栽培施設
CN206260369U (zh) 智能化多用途种植盆
KR101766279B1 (ko) 스마트 화분 시스템
KR102092357B1 (ko) 자동 식물재배장치
KR20200105763A (ko) 반려식물케어시스템
KR102308623B1 (ko) 수경재배 베드 및 뿌리 생장 정보를 이용한 수경재배 방법
KR200317057Y1 (ko) 식물의 성장환경 제어장치를 갖는 화분
KR20160143166A (ko) 수경 재배 장치
KR102383780B1 (ko) 수조가 마련되는 가정용 수경재배장치
CN201107957Y (zh) 盆栽花卉定量滴灌器
CN205052303U (zh) 一种智能恒温式自浇水花盆
KR101522155B1 (ko) 전자식 식물재배기
KR101702445B1 (ko) 수경재배장치
JPWO2017002321A1 (ja) 植物育成装置
KR20170114627A (ko) 스마트 미니 텃밭
CN207820616U (zh) 一种自动调整补光高度的植物生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