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434B1 -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 - Google Patents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5434B1 KR101765434B1 KR1020170024236A KR20170024236A KR101765434B1 KR 101765434 B1 KR101765434 B1 KR 101765434B1 KR 1020170024236 A KR1020170024236 A KR 1020170024236A KR 20170024236 A KR20170024236 A KR 20170024236A KR 101765434 B1 KR101765434 B1 KR 1017654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exchange
- reactor
- exchange tube
- connection port
- tub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the heat-exchange conduits forming part of, or being attached to, the tank containing the body of fl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53—Details of the reac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2—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emical reac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1—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hase-change applications
- F28D2021/0064—Vaporizers, e.g. evapo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유동중인 열교환 유체가 흡열하여 기화되더라도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열교환 유체의 유동방향으로 열교환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라인이 증가되도록 한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는, 내부에 열교환 유체가 유동되는 열교환 튜브가 외측면에 나선형의 형태로 감기도록 설치된 반응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튜브는,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동하는 단면적이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동되는 방향을 따라 증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는, 내부에 열교환 유체가 유동되는 열교환 튜브가 외측면에 나선형의 형태로 감기도록 설치된 반응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튜브는,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동하는 단면적이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동되는 방향을 따라 증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외측에 열교환 유체가 유동하는 열교환 튜브가 설치된 반응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유동중인 열교환 유체가 흡열하여 기화되더라도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열교환 유체의 유동방향으로 열교환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라인이 증가되도록 한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고압탱크나 내부에서 화학반응이 발생하는 반응기 등은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냉각수와 같은 열교환 유체가 유동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기(110)의 외측에 내부에 열교환 유체가 유동하는 열교환 튜브(120)를 형성하여, 상기 열교환 튜브(120)를 통하여 열교환 유체를 유동시킴으로써, 상기 반응기(110)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열교환 튜브(120)는 상기 반응기(110) 내부의 압력을 상기 반응기(110)의 외측에서 지지하는 역할도 함께 한다. 상기 열교환 튜브(120)가 상기 반응기(110)의 외측을 지지하므로, 상기 반응기(11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반응기(110)에서는 상기 열교환 튜브(120)가 하나의 채널, 즉 하나의 열교환 튜브(120)를 상기 반응기(110)의 외측면에 감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열교환 튜브(120)를 유동중인 열교환 유체는 상기 반응기(110)로부터 전달된 열에 의해 열교환 튜브(120)의 내부에서 상변화, 즉 기화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튜브(120)는 입구로부터 출구까지 통상 동일한 단면적으로 형성된다. 열교환 유체가 상기 열교환 튜브(120)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상기 반응기(110)로부터 열을 흡수함에 따라, 상기 열교환 유체의 온도가 상기 열교환 유체의 끓는점을 넘으면 상기 열교환 유체가 기화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상기 열교환 튜브(120)의 내부는 유량 증가에 따라 압력이 상승하여, 상기 열교환 튜브(120)와 이에 인접한 장비가 손상되거나, 연결부위 등에서 상기 열교환 유체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 유체를 순환시키는 펌프의 수두압을 높여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고온 반응기의 수냉 자켓'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열교환 유체가 유동할수록 열교환 튜브의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하여, 열교환 유체가 흡열되어 기화되더라도 이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열교환 튜브의 수가 증가되도록 한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응기로 공급되는 반응물질이 흡열하여 액체에서 기체로 상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를 제공하는 것인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는, 내부에 열교환 유체가 유동되는 열교환 튜브가 외측면에 나선형의 형태로 감기도록 설치된 반응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튜브는,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동하는 단면적이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동되는 방향을 따라 증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유체는 상기 열교환 튜브를 유동하면서, 상기 반응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액체에서 기체로 상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 튜브는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동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열교환 튜브의 개수가 증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응기에는 양측으로 각각 열교환 튜브가 연결되어, 일측으로 열교환 유체가 유입되고 타측으로 열교환 유체가 배출되는 접속구가 설치되고, 상기 접속구로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입되는 열교환 튜브의 개수보다 상기 접속구로부터 상기 열교환 유체가 배출되는 열교환 튜브의 개수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 많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구들은 상기 반응기의 외측에 상기 반응기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구로 입력되는 각 열교환 튜브의 단면적은 모두 동일하고, 상기 접속구로부터 출력되는 각 열교환 튜브의 단면적은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구 중 어느 하나의 접속구로부터 출력되는 열교환 튜브는, 그 다음번 접속구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구에는 상기 열교환 유체의 온도 또는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응기의 표면에는 상기 반응기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열교환 튜브와 접하는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에 따르면, 열교환 유체가 유동할수록 열교환 튜브가 증가됨으로써, 열교환 유체가 반응기로부터 흡열한 열에 의해 기화되더라도, 이를 열교환 튜브가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튜브에서 기화한 열교환 유체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열교환 튜브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열교환 튜브와 연결된 다른 장비가 손상되거나, 연결부위에서 열교환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 튜브로 열교환 유체를 순환시키는 펌프의 수두압이 증가되지 않으므로, 소비전력이 증가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반응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의 요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에서 열교환 튜브의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의 외측면에 리브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에서 하나의 파이프를 이용하여 접속구를 형성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B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의 외측면에 리브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의 요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에서 열교환 튜브의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의 외측면에 리브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에서 하나의 파이프를 이용하여 접속구를 형성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B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의 외측면에 리브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는, 내부에 열교환 유체가 유동되는 열교환 튜브가 외측면에 나선형의 형태로 감기도록 설치된 반응기에서, 상기 열교환 튜브는,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동하는 단면적이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동되는 방향을 따라 증가되도록 구비되도록 한다.
반응기(11)는 통형(筒形)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각종 화학물질이 채워져 반응된다. 상기 반응기(11)의 내부에서는 상기 화학물질의 반응에 따라 열이 발생되어 상기 반응기(11)의 내부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상기 반응기(11)의 내부가 발열 되더라도, 상기 반응기(11) 내부의 온도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적정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반응기(11)의 외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열교환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열교환 튜브(21)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 반응기(11)의 내부에서 흡열반응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응기(11)의 내부에서 발열반응이 발생하는 경우에 더 적합하다.
특히, 본 발명의 반응기(11)는 고압 개질 반응기가 될 수 있다.
열교환 튜브(21)는 상기 반응기(11)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데, 상기 열교환 튜브(21)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열교환 유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 상기 열교환 튜브(21)의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반응기(11)에서 발생한 열을 사이 열교환 유체가 흡열할 수 있고, 그 양이 상기 열교환 유체의 유동방향을 따라 증가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열교환 튜브(21)가 상기 반응기(11)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유동한다면, 상기 열교환 튜브(21)가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상기 열교환 튜브(21)의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태로 상기 반응기(11)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 튜브(21)는 상기 열교환 유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 튜브(21)의 수가 증가하도록 한다.
즉, 상기 열교환 튜브(21)는 하나로 유입된 후, 유동방향을 따라 그 수를 하나씩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접속구(22)가 상기 반응기(11)의 외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접속구(22)는 양측에 각각 상기 열교환 튜브(21)가 연결되어, 일측의 열교환 튜브(21)를 통하여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입되고, 타측의 열교환 튜브(21)를 통하여 상기 열교환 유체가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접속구(22)로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입되는 열교환 튜브(21)의 개수보다 상기 접속구(22)로부터 상기 열교환 유체가 배출되는 열교환 튜브(21)의 개수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많도록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 튜브(21)는 상기 반응기(11)에서 발생한 열을 흡수하는 열교환기의 역할도 할 수 있지만, 상기 열교환 튜브(21)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열교환 유체가 액체에서 기체로 상변화하는 증발기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보면, 제일 하단의 접속구(22)는 일측으로 하나의 열교환 튜브(21)가 연결되고 타측으로 두 개의 열교환 튜브가 연결되어 있어서, 하나의 열교환 튜브(21)를 통하여 열교환 유체가 제일 하단의 접속구(22)로 유입된 후, 2개의 열교환 튜브(21)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유동한 상기 열교환 유체는 상기 열교환 튜브(21)가 그 다음 접속구(22)로 연결되고, 상기 접속구(22)를 지날 때마다 상기 열교환 튜브(21)의 개수가 늘어난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접속구(22)로부터 상기 열교환 유체가 배출되는 열교환 튜브(21)는 그 다음 접속구(21)로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입되도록 하는 열교환 튜브(21)가 된다.
따라서, 도 2와 도 3에는 제일 하단의 접속구(22)에서는 1개의 열교환 튜브(21)가 2개의 열교환 튜브(21)로 늘어나고, 그 다음 접속구(22)에서는 2개의 열교환 튜브(21)가 3개의 열교환 튜브(21)로 늘어나며, 또 그 다음 접속구(22)에서는 3개의 열교환 튜브가 4개의 열교환 튜브(21)로 늘어나는 방식을 갖는다.
도 4에는 상기 열교환 튜브(21)를 전개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 접속구(22)는 좌우가 등분하여 도시되어 있다. 하나의 열교환 튜브(21)를 통하여 유입된 열교환 유체는 최하단의 접속구(22)에서 2개의 열교환 튜브(21)로 분기된 후, 그 다음 접속구(22)를 통과할 때마다 하나의 열교환 튜브(21)가 증가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열교환 튜브(21)가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동할수록 상기 열교환 튜브(21)의 개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상기 열교환 튜브(21)가 열교환기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동하는 단면적이 늘어나고, 이는 상기 반응기(11)와 상기 열교환 유체 사이의 열전달양을 증가시켜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동하는 단면적이 늘어난다는 것은 상기 열교환 유체가 일정한 거리(접속구에서 다음 접속구까지의 거리)를 이동할 때마다, 열교환 유체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열을 흡수할 수 있는 양이 늘어나게 되어, 전체적인 열교환 성능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 튜브(21)가 증발기로 사용된다면, 상기 열교환 유체가 상기 열교환 튜브(21)의 내부를 유동하는 도중에 상변화, 특히 액체에서 기체로 기화되는 경우, 상기 열교환 유체의 기화에 의해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교환 튜브(21)의 내부를 유동하는 상기 열교환 유체가 액체에서 기체로 상변화하는 경우에 더 적합하므로, 상기 열교환 튜브(21)는 단순한 열교환기가 아니라 증발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열교환 튜브(21)가 상기 접속구(22)를 통과할 때 마다 그 개수가 늘어난다면, 상기 열교환 튜브(21)의 단면적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열교환 튜브(21)가 열교환 유체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동하는 단면적이 늘어나는 것이므로, 상기 열교환 튜브(21)의 개수가 늘어난다면, 각 개별 열교환 튜브(21)의 단면적은 동일한 상태에서, 상기 열교환 튜브(21)의 개수를 증가시켜,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동하는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접속구(22)는 상기 반응기(11)의 외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구(22)는 상기 반응기(11)의 외측에 상기 반응기(11)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익 접속구(22)는 상기 반응기(11)의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접속구(22)가 상기 반응기(11)의 외측면에 직선상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접속구(22)의 유지/보수가 간단해지고, 동시에 여러 개의 센서(23)를 읽을 수 있어서, 상기 반응기(11)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하기에 유리하다.
상기 접속구(22)에는 상기 열교환 튜브(21)와 상기 접속구(22)를 통하여 유동하는 열교환 유체의 온도 또는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2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반응기(11)의 외측에 상기 반응기(11)이 밀착되도록 설치된 열교환 튜브(21)를 통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기(11)에서 발생한 열은 상기 열교환 튜브(21)를 통하여 유동하는 열교환 유체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반응기(11)는 냉각된다.
상기 열교환 튜브(21)는 상기 반응기(11)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속구(22)를 통과할 때마다 그 개수가 증가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열교환 유체는 상기 열교환 튜브(21)를 통과할수록 그 유량이 증가한다. 이는 상기 열교환 유체가 상기 열교환 튜브(21)를 유동할수록 상기 반응기(11)로부터 흡수할 수 있는 열이 증가함으로 의미하는 바, 상기 반응기(11)의 열교환 성능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도 7에는 상기 반응기(11)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열교환 튜브(21)와 접촉하는 리브(12)가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리브(12)가 상기 열교환 튜브(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상기 리브(12)에 의해 상기 반응기(11)의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리브(12)를 통하여, 열전달량이 증대된다. 즉, 상기 열교환 튜브(21)를 유동하는 유체로의 열이 상기 반응기(11)로 직접 전달되기도 하지만, 상기 리브(12)를 통하여 상기 반응기(11)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반응기(11)의 내부로 전달되는 열전달량이 증대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구(22)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반응기(11)의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파이프를 구획하여, 상기 접속구(22)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반응기(11)의 외측면에 상하로 설치하고, 상기 파이프의 내부를 정해진 길이로 구획하여, 상기 접속구(22)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파이프는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동할수록 더 길게 구획된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응기(11)가 내부하우징(11a)과 외부하우징(1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하우징(11a)과 상기 외부하우징(11b) 사이에 열교환 유체가 1차로 흐르고, 상기 외부하우징(11b)의 외측에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열교환 튜브(21)가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열교환 튜브(21)가 증발기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교환 유체는 상기 내부하우징(11a)과 외부하우징(11b)의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유동되고, 상기 열교환 튜브(21)의 내부에는 반응물질이 유동한다.
상기 내부하우징(11a)에 촉매가 채워져, 상기 내부하우징(11a)의 내부에서 촉매에 의한 화학반응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내부하우징(11a)의 내부로 열을 공급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내부하우징(11a)과 상기 외부하우징(11b)의 사이로 상기 내부하우징(11a)의 내부보다 온도가 높은 열교환 유체를 유동시켜, 상기 내부하우징(11a)의 내부로 열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반응기(11), 즉 상기 내부하우징(11a)의 내부로 상기 반응기(11)의 내부에서 반응이 될 반응물질은 상기 반응기(11)의 내부에서 촉매와 반응을 위하여 기화된 상태로 유동해야 한다. 이때, 상기 열교환 튜브(21)가 상기 외부하우징(11b)의 외부에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외부하우징(11b)의 외측에 설치된 열교환 튜브(21)는 일정한 거리마다 접속구(22)가 설치되고, 상기 접속구(22)를 통과할 때 마다 상기 열교환 튜브(21)의 개수가 늘어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하우징(11a)가 상기 외부하우징(11b)의 사이를 유동하는 열교환 유체는 상기 내부하우징(11a)의 내부로 열을 공급하여 상기 반응기(11) 내부로 반응에 필요한 열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반응물질이 상기 열교환 튜브(21)를 유동하면서, 상기 열교환 유체로부터 흡열하여 용이하게 기화된 상태로 상기 내부하우징(11a)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기화된 상태로 상기 내부하우징(11a)으로 유입된 반응물질은 상기 내부하우징(11a)에서 반응한 후, 상기 내부하우징(11a)으로부터 생성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하우징(11b)의 외부에 설치된 열교환 튜브(21)가 내부의 유체가 유동할수록 개수가 늘어남으로써, 상기 열교환 튜브(21)를 유동중인 액체의 반응물질이 기체로 상변화하더라도 상기 열교환 튜브(21)의 내부가 과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향상과 열전달향 증대를 위해 리브(12)가 형성될 수 있다.
11 : 반응기
11a : 내부하우징
11b : 외부하우징
12 : 리브
21 : 열교환 튜브
22 : 접속구
23 : 센서
110 : 반응기
120 : 열교환 튜브
11a : 내부하우징
11b : 외부하우징
12 : 리브
21 : 열교환 튜브
22 : 접속구
23 : 센서
110 : 반응기
120 : 열교환 튜브
Claims (9)
- 내부에 열교환 유체가 유동되는 열교환 튜브가 외측면에 나선형의 형태로 감기도록 설치된 반응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튜브는, 상기 반응기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동하는 단면적이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동되는 방향을 따라 증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열교환 튜브는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동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열교환 튜브의 개수가 증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반응기에는 양측으로 각각 열교환 튜브가 연결되어, 일측으로 열교환 유체가 유입되고 타측으로 열교환 유체가 배출되는 접속구가 설치되고, 상기 접속구로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입되는 열교환 튜브의 개수보다 상기 접속구로부터 상기 열교환 유체가 배출되는 열교환 튜브의 개수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 많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속구의 내부에서 상기 접속구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열교환 유체가 유동하도록 상기 접속구로 열교환 유체를 유입하는 열교환 튜브와 상기 접속구로부터 열교환 유체가 배출되는 열교환 튜브는 상기 접속구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양측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접속구들은 상기 반응기의 외측에 상기 반응기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접속구는 상기 반응기의 외측에 상기 반응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파이프의 내부를 정해진 길이로 구획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유체는 상기 열교환 튜브를 유동하면서, 상기 반응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액체에서 기체로 상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로 입력되는 각 열교환 튜브의 단면적은 모두 동일하고,
상기 접속구로부터 출력되는 각 열교환 튜브의 단면적은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 중 어느 하나의 접속구로부터 출력되는 열교환 튜브는, 그 다음번 접속구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에는 상기 열교환 유체의 온도 또는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의 표면에는 상기 반응기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열교환 튜브와 접하는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4236A KR101765434B1 (ko) | 2017-02-23 | 2017-02-23 |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4236A KR101765434B1 (ko) | 2017-02-23 | 2017-02-23 |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65434B1 true KR101765434B1 (ko) | 2017-08-10 |
Family
ID=59652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4236A KR101765434B1 (ko) | 2017-02-23 | 2017-02-23 |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543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6961B1 (ko) * | 2020-12-17 | 2021-03-12 | 이찬희 | 딤플 자켓을 포함하는 열교환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14141A (ja) * | 2002-06-03 | 2004-01-15 | Mitsubishi Heavy Ind Ltd | 改質器用蒸発器 |
JP2013068358A (ja) * | 2011-09-22 | 2013-04-18 | Mitsubishi Electric Corp | 異径捩り管形熱交換器 |
JP2015212596A (ja) * | 2014-05-02 | 2015-11-26 | 三浦工業株式会社 | ボイラ及びボイラシステム |
-
2017
- 2017-02-23 KR KR1020170024236A patent/KR1017654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14141A (ja) * | 2002-06-03 | 2004-01-15 | Mitsubishi Heavy Ind Ltd | 改質器用蒸発器 |
JP2013068358A (ja) * | 2011-09-22 | 2013-04-18 | Mitsubishi Electric Corp | 異径捩り管形熱交換器 |
JP2015212596A (ja) * | 2014-05-02 | 2015-11-26 | 三浦工業株式会社 | ボイラ及びボイラシステム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6961B1 (ko) * | 2020-12-17 | 2021-03-12 | 이찬희 | 딤플 자켓을 포함하는 열교환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351979B1 (en) | Heat Exchanger comprising three concentric tubes | |
CN104949552B (zh) | 管壳式换热器 | |
BR112013015664B1 (pt) | Tubo trocador de calor | |
US4084546A (en) | Heat exchanger | |
CN101738122B (zh) | 一种盘管及具有该盘管的换热器 | |
KR101765434B1 (ko) | 열교환 튜브가 증가되는 반응기 | |
US20130233525A1 (en) | Multi-flow passage device | |
RU2378594C1 (ru) | Теплообменник | |
JP5965281B2 (ja) | 流下液膜蒸発式熱交換器 | |
KR20090044185A (ko) | 열 교환장치 | |
EP3842724B1 (en) |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 system including the same | |
CN109974509A (zh) | 一种折流板组件 | |
KR100494185B1 (ko) | 실리콘 카바이드 튜브가 구비된 열교환기 | |
KR101725717B1 (ko) | 이중 원통 다관형 열교환기 | |
KR101917484B1 (ko) | 배관 구조, 그 배관 구조를 사용한 냉각 장치, 및 냉매 증기 수송 방법 | |
KR20150098451A (ko) | 쉘 앤드 튜브 타입 열교환기 | |
CN211178072U (zh) | 换热板、换热器及洗涤冷却塔 | |
JP2007271194A (ja) | 熱交換器 | |
JP2018506010A (ja) | 高真空直列凝縮器 | |
RU2473856C1 (ru) | Теплообменный аппарат | |
CN101738121B (zh) | 盘管及具有该盘管的换热器 | |
ITVR20070114A1 (it) | Struttura di reattore chimico | |
RU2583316C1 (ru) | Теплообменник радиально-спирального типа (варианты) | |
KR20130117898A (ko) | 열교환 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 | |
KR102114200B1 (ko) | 열교환 배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