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354B1 - 텔레마케팅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마케팅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354B1
KR101764354B1 KR1020100069359A KR20100069359A KR101764354B1 KR 101764354 B1 KR101764354 B1 KR 101764354B1 KR 1020100069359 A KR1020100069359 A KR 1020100069359A KR 20100069359 A KR20100069359 A KR 20100069359A KR 101764354 B1 KR101764354 B1 KR 101764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marketing
call
list
customer
called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9544A (ko
Inventor
백수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9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35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9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1Blocking transmission of caller identification to called par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93Notifying the calling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ed or connected par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텔레마케팅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은 무분별한 텔레마케팅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는 교환기로부터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의 호를 전달받는 호 수신부, 상기 호에 포함된 고객 구분자와 착신 번호를 추출하는 호 분석부, 상기 착신 번호가 상기 고객 구분자에 연계된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텔레마케팅 거부 리스트 확인부, 상기 착신 번호가 상기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교환기로 하여금 상기 호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하는 호 연결/차단 요청부 및 상기 거부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텔레마케팅 방지 시스템에 의하면 텔레마케팅 방지를 원하는 착신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텔레마케팅을 수행하는 고객(텔레마케터)의 이미지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텔레마케팅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EVENTING TELEMARKETING}
본 발명은 텔레마케팅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마케터로부터 발신된 호에 대해 그 호의 착신 번호 중 텔레마케팅을 거부하는 착신번호가 있는 지를 확인하여 호의 차단 또는 연결을 행함으로써 한편으로는 텔레마케터로부터의 무분별한 호 발신으로부터 착신자를 보호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텔레마케팅 회사의 대외적 이미지를 관리하는 것에 관한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이다.
현재 대부분의 사람들은 유선전화 또는 이동 통신 기기, 즉 핸드폰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다른 사람과 다양한 정보를 주고 받는다. 또한, 인터넷 등의 보급으로 인해 이메일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교환한다.
그런데, 통신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지만 이러한 통신수단을 통해 불필요한 스팸 메일이나 광고성 전화 즉, 텔레마케팅이 기승을 부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유럽연합은 2001년에 이메일 사용자의 동의 없이 이메일 광고와 휴대전화기 문자메시지 광고를 보낼 수 없도록 하는 옵트인 방식을 기본 안티 스팸 정책으로 정했다.
하지만 법 제정 당시 스팸 메일의 엄청난 증가와 스패머들의 수법 발달을 예측하지 못함으로써 옵트인을 가장한 스팸이 범람하고 있다. 현재 유럽연합 법 제정 의원들은 계속해서 늘어나는 스팸 메일을 줄여달라고 이메일 서버 관리자에게 호소하고 있다. 스팸 메일에 관련된 안건은 2004년에 재토의 하기로 예정돼 있어 교묘한 수법으로 무장한 스패머들이 계속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본에서는 작년 6월 네티즌이 광고성 이메일을 받은 후 수신거부를 하면 발송업체는 다시 보낼 수 없는 옵트아웃 방식을 채택했다. 이와 관련 스패머는 자신의 이름, 주소, 정확한 이메일 주소를 남겨야 한다. 또한, 법원은 스패머에게 최고 50만엔의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스팸 메일을 받고 수신 거부하게 되면 수신 거부된 메일주소는 액티브한 메일주소로 판단되어, 그 메일주소 리스트를 다른 업체에 팔아서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악순환이 발생하고 있다.
스팸 메일뿐만 아니라 텔레마케팅도 기승을 부리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이동통신사별로 수신거부 서비스를 적용하고 있지만 이로 인한 효과는 적어서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지만 완벽하게 텔레마케팅 광고를 차단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호의 프리픽스(prefix)를 이용하여 텔레마케팅을 수행하는 고객의 단위별로 텔레마케팅이 방지되도록 하는 텔레마케팅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텔레마케팅 방지 시스템은 텔레마케팅 고객센터의 발신호 정보를 확인하여 텔레마케팅 방지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에 호를 전달하는 교환기 및 상기 호로부터 고객 구분자와 착신번호를 추출하여 그 착신번호가 상기 고객 구분자에 연계된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고,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교환기로 하여금 상기 호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하는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호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한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의 요청에 의해 상기 호의 발신 번호로 차단 안내 음성을 송출하는 안내 음성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는 교환기로부터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의 호를 전달받는 호 수신부, 상기 호에 포함된 고객 구분자와 착신 번호를 추출하는 호 분석부, 상기 착신 번호가 상기 고객 구분자에 연계된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텔레마케팅 거부 리스트 확인부, 상기 착신 번호가 상기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교환기로 하여금 상기 호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하는 호 연결/차단 요청부 및 상기 거부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호 연결/차단 요청부가 상기 교환기에 호 연결을 차단할 것을 요청하는 경우, 안내 음성 서버에 차단 안내 음성을 송출하도록 요청하는 안내 음성 요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텔레마케팅 거부 리스트 확인부는, 상기 착신번호가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착신번호가 임시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지를 추가로 확인하고, 상기 호 연결/차단 요청부는, 상기 착신 번호가 상기 임시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교환기에 상기 호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거부 리스트 및 상기 임시 거부 리스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는 상기 거부 리스트 및 임시 거부 리스트에 착신번호를 등록하거나 삭제하는 거부리스트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호 연결/차단 요청부는, 상기 착신 번호가 상기 임시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교환기에 상기 호의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거부 리스트 관리부는 상기 교환기로부터 상기 착신 번호에 대한 호 연결 성공을 보고 받아 상기 착신 번호를 상기 임시 거부 리스트에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시 거부 리스트에 등록된 착신번호는 소정의 설정 기간 후에는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텔레마케팅 방지 방법은 교환기로부터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의 호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호에 포함된 고객 구분자 및 착신 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착신 번호가 상기 고객 구분자에 연계된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거부 리스트에 상기 착신 번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교환기로 하여금 상기 호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호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이후에, 안내 음성 서버로 하여금 상기 연결이 차단되도록 요청된 호의 발신 번호로 차단 안내 음성을 송출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신 번호가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착신 번호가 상기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착신 번호가 임시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번호가 상기 임시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교환기에 호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신 번호가 임시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착신 번호가 상기 임시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교환기에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교환기로부터 상기 호 연결 성공을 보고 받아 상기 착신 번호를 상기 임시 거부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시 거부 리스트에 등록된 착신번호는 소정의 설정 기간 후에는 삭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텔레마케팅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은 프리픽스를 이용하여 텔레마케팅 수행측, 즉 발신자를 추출한 후 상기 발신자(텔레마케팅 사업자)에 대하여 텔레마케팅을 거부한 착신 번호로의 텔레마케팅을 방지한다.
프리픽스에서 추출된 발신자는 예하에 복수의 발신 번호를 포함할 수 있는데, 착신 번호측의 입장에서는 개개의 발신 번호에 대한 텔레마케팅 차단을 요청할 필요없이 발신자에 대해 차단을 요청하는 것으로 복수의 발신 번호를 통한 텔레마케팅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신자의 편의가 증대된다.
또한, 텔레마케팅이 수행된 착신 번호에 대해서 중복적인 텔레마케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기간 텔레마케팅이 방지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착신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발신자에 대한 이미지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텔레마케팅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텔레마케팅 방지의 절차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텔레마케팅 방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텔레마케팅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텔레마케팅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텔레마케팅 방지 시스템은 텔레마케팅 고객센터(170)의 발신호로부터 추출한 프레픽스를 확인하여 텔레마케팅 방지 서비스 가입 고객인 경우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130)에 호를 전달하는 교환기(110) 및 상기 호에 포함된 프리픽스(prefix)의 고객 구분자를 분석하고, 상기 호의 착신 번호가 상기 고객 구분자가 나타내는 고객으로부터의 텔레마케팅을 거부하는지 확인하고 거부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교환기로 하여금 상기 호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하는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130)를 포함하고 있다.
교환기(telephone exchange)(110)는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의 호를 연결하기 위한 요소이다. 인입된 호가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로부터 인입된 것으로서 발신자가 텔레마케팅 방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인입된 호를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로 전달한다.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의 경우 사전 계약에 의해 부여된 088, 089 등의 프리픽스/발신 번호가 포함되므로 이를 이용하면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에서 인입된 것인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는 교환기로부터 전달받은 호를 착신 단말기(190)에 연결해도 되는지 판단하는 요소이다. 판단 결과에 따라 교환기로 하여금 호를 연결하도록 요청하거나 텔레마케팅을 방지하기 위해 호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한다. 텔레마케팅의 경우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착신자)는 특정 기업의 텔레마케팅을 소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착신 단말기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먼저, 통화를 거부하는 특정 전화 번호로서 블랙 리스트를 형성하고 이러한 블랙 리스트에 포함된 특정 전화 번호로부터의 호 연결을 차단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 또는 이와 다르게 통화를 원하는 특정 전화 번호로서 화이트 리스트를 형성하고 이러한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된 특정 전화 번호에 대해서만 호 연결을 수행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동일한 기업의 텔레마케팅을 거부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업의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에 포함되는 모든 전화 번호를 블랙 리스트로 등록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A, B, C 전화 번호를 사용하는 기업의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에서 A 전화 번호로 텔레마케팅을 수행하는 경우 착신 단말기에서 A 전화 번호를 블랙 리스트에 포함시킨다 하더라도 B 전화 번호나 C 전화 번호로부터의 텔레마케팅을 차단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 착신 단말기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끼게 되며 반복적으로 텔레마케팅을 받게 됨으로써 해당 기업에 대한 이미지 또한 저하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텔레마케팅의 포괄적인 차단이 가능하지만 통화를 허용하는 전화 번호를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과정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대부분의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통화가 차단되므로 착신 단말기의 근본 취지에 어긋난다.
이상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프리픽스(prefix)를 이용한다.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에서 인입된 호에 포함된 프리픽스에는 기업(이하에서는 고객이라 칭함)을 나타내는 고객 구분자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프리픽스에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의 호임을 나타내는 088이 포함되는 경우 고객 구분자는 088 뒤에 숫자로서 표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객 구분자는 동일한 고객에 속한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라면 발신 번호와 상관없이 동일한 값을 갖는다. 따라서 고객 구분자를 이용하여 텔레마케팅을 거부하는 대상을 선정하게 되면 동일한 고객에 포함된 모든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의 발신 번호를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는 교환기로부터 전달된 호에 포함된 프리픽스에서 고객 구분자를 분석하고, 상기 호의 착신 번호가 고객 구분자가 나타내는 고객으로부터의 텔레마케팅을 거부하는지 확인한다. 확인 결과 거부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교환기로 하여금 호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한다. 거부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교환기로 하여금 호를 연결하도록 요청한다.
호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한 경우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에서는 어떠한 상황에 의해 호의 연결이 차단되었는지 알 수 없다. 따라서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에서 호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교환기에 요청한 경우 차단 요청된 호의 발신 번호로 차단 안내 음성을 송출하는 안내 음성 서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 음성 서버에서 송출되는 안내 음성은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와 교환기를 거쳐 발신 번호에 해당하는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로 송출되거나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를 거치지 않고 송출될 수도 있다.
차단 안내 음성의 내용은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며, 일예로 '연결하고자 하는 번호는 텔레마케팅이 차단된 번호입니다'와 같은 내용일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텔레마케팅 방지 대상을 발신 번호가 아니라 프리픽스를 이용한 고객(기업) 단위로 선정함으로써 착신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이런 불편함의 해소로 고객의 이미지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는 교환기로부터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의 호를 전달받는 호 수신부(131), 상기 호에 포함된 프리픽스(prefix)의 고객 구분자를 추출하고 상기 호로부터 착신 번호를 추출하는 호 분석부(133), 상기 고객 구분자가 나타내는 고객으로부터의 텔레마케팅을 거부하는 거부 리스트에 상기 착신 번호가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텔레마케팅 거부 리스트 확인부(135)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거부 리스트에 상기 착신 번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교환기로 하여금 상기 호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하는 호 연결/차단 요청부(137)를 포함하고 있다.
호 수신부(131)는 교환기로부터 호를 전달받는다. 이때 교환기로부터 전달된 호는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의 호가 된다.
호 분석부(133)는 호에 포함된 프리픽스(prefix)에서 고객 구분자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088을 포함한 프리픽스에서 088 다음에 오는 숫자가 고객 구분자가 될 수 있다. 고객 구분자는 예를 들어 0880인 경우 0이 되며 이때 사전에 0에 대응되는 고객 A가 설정되어 있으면 고객 A로부터의 발신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물론 고객 구분자의 위치와 자릿수 등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호 분석부는 또한 발신 호 정보로부터 착신 번호를 추출한다. 착신 번호를 추출하는 것은 텔레마케팅 방지를 요청한 착신 번호인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텔레마케팅 거부 리스트 확인부(135)는 호 분석부에서 추출된 착신 번호가 호 분석부에서 추출된 고객 구분자가 나타내는 고객으로부터의 텔레마케팅을 거부하는지 확인한다. 이때 고객의 텔레마케팅을 거부하는 착신 번호는 거부 리스트로서 관리될 수 있다. 따라서 텔레마케팅 거부 리스트 확인부는 추출된 착신 번호가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하면 된다. 거부 리스트는 별도로 마련되거나 또는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에 일체로 마련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거부 리스트는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소정 착신 번호를 소정 고객의 텔레마케팅을 거부하는 리스트에 포함시킬지 여부는 착신 번호의 사용자(착신자)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착신 번호의 사용자로부터 소정 고객의 텔레마케팅을 거부한다는 의사를 수렴해야 한다. 이때 거부 의사의 수렴은 해당 착신 번호의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해당 착신 번호의 단말기 외의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소정 고객에 대한 텔레마케팅을 방지하고자 하는 착신 번호를 별도로 알려주어야 한다. 이와 같은 거부 의사는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 측에서 수렴될 수도 있으나 대체로 텔레마케팅을 방지하고자 하는 고객의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에서 수렴될 것이다. 착신자는 소정 고객의 텔레마케팅을 거부하고자 할 때 해당 고객의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로 통화를 시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에서는 거부 의사를 수렴하여 해당 착신 번호를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로 전송한다.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는 이렇게 전송된 착신 번호를 수합하여 거부 리스트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를 위해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는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로부터 거부 리스트에 포함될 착신 번호를 전송받는 거부 번호 수신부(미도시), 거부 번호 수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착신 번호 또는 착신자로부터 직접 전송받은 착신 번호를 수합하여 거부 리스트를 생성하는 거부 리스트 관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거부 리스트는 고객이 생성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호 연결/차단 요청부(137)는 텔레마케팅 거부 리스트 확인부의 확인 결과에 따라 교환기로 하여금 호를 연결하도록 요청할지 호를 차단하도록 요청할지 판단하고 해당하는 요청 신호를 교환기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텔레마케팅 거부 리스트 확인부의 확인 결과 거부 리스트에 착신 번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교환기로 하여금 호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한다. 이렇게 호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한 경우 교환기에 의해 호의 연결이 차단된다. 이렇게 호가 차단되면 발신자에 해당하는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에서는 통신 회선의 문제로 호가 차단되었는지 착신 번호가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차단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가 없다. 따라서 착신 번호가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차단되었음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안내 음성 요청부(1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 음성 요청부(139)는 안내 음성 서버로 하여금 연결이 차단되도록 요청된 호의 발신 번호로 차단 안내 음성을 송출하도록 요청한다. 이때의 발신 번호는 호를 발신한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의 발신 번호가 된다. 안내 음성 요청부로부터 요청을 받은 안내 음성 서버에서는 텔레마케팅의 방지를 위해 호를 차단하였음을 안내하게 된다.
한편, 텔레마케팅 거부 리스트 확인부는 거부 리스트 확인 결과 착신 번호가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다시 임시 거부 리스트를 확인한다. 임시 거부 리스트는 어떤 착신번호가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호 연결이 이뤄진 경우, 그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은 동일 텔레마케터로부터의 텔레마케팅 호의 연결이 되지 않도록 관리하기 위해 그 착신번호를 임시 거부 리스트에 등록하여 짧은 기간에 반복적인 텔레마케팅 호가 시도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텔레마케팅 거부 리스트 확인부는 상기 착신번호가 임시 거부 리스트에도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교환기로 하여금 호를 연결하도록 요청한다. 이에 따라 정상적인 텔레마케팅이 이루어진다. 이때 호의 연결이 이루어진 착신 번호를 임시 거부 번호로서 임시 거부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동일 텔레마케터로부터 동일 착신번호에 대한 반복적인 텔레마케팅으로 착신자를 불편하게 하거나 짜증스럽게 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텔레마케터(텔레마케팅 사업자)의 이미지 추락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고객 A의 발신 번호 ①에 의해 텔레마케팅을 받은 착신자에 대해 고객 A의 발신 번호 ②의 텔레마케팅이 수행될 수 있다. 발신 번호 ②의 사용자가 발신 번호 ①에서 이미 텔레마케팅이 이루어졌는지 모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경우 착신자는 중복되는 텔레마케팅을 받게 됨으로써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텔레마케터에 대한 이미지가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발신 번호 ①에 의해 텔레마케팅이 수행된 착신 번호를 거부 리스트에 포함시키면 이후 텔레마케터 A의 어떠한 발신 번호로도 해당 착신 번호에 대한 텔레마케팅을 수행할 수 없다. 즉, 동일 텔레마케터로부터 동일 착신자에 대한 중복 텔레마케팅이 방지된다. 다만 이렇게 중복 텔레마케팅을 방지하기 위해 임시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는 착신 번호는 착신자의 요청에 의해 거부 리스트에 포함된 착신 번호(거부 번호)와는 성격이 다르다. 중복된 텔레마케팅을 방지하기 위해 임시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는 것이므로 일정 조건 하에서는 임시 거부 리스트에서 해제될 수 있는 임시 거부 번호가 된다. 이때의 일정 조건은 텔레마케터가 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착신자의 요청에 의해서만 거부 리스트에서 해제가 가능한 거부 번호와는 다르다. 텔레마케터가 정하는 일정 조건은 기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마케터 A가 일정 조건을 1개월의 설정 기간으로 한 경우 텔레마케터 A에 대한 임시 거부 번호는 1개월 경과 시 텔레마케터 A의 텔레마케팅을 거부하는 임시 거부 리스트에서 해제되어 다시 텔레마케팅을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지금까지는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로부터 인입된 호가 텔레마케팅 방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텔레마케터로부터의 호인지를 교환기에서 판단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교환기는 텔레마케팅 호인지만을 확인하여 텔레마케팅 방지서버로 호를 전달하고 서비스 가입여부는 텔레마케팅 방지서버에서 확인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는 교환기로부터 전달된 호의 발신자인 텔레마케터가 텔레마케팅 방지 서비스를 원하는지 확인하여야 하는데, 이는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의 관리자가 제공하는 텔레마케팅 방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면 되고, 이를 위해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에는 텔레마케터 확인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텔레마케터 확인부는 호 분석부에서 추출된 고객 구분자가 나타내는 텔레마케터가 텔레마케팅 방지 서비스에 가입된 고객인지 확인한다. 이를 위해서 텔레마케터 확인부는 텔레마케팅 방지 서비스에 가입된 고객의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놓고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텔레마케팅 거부 리스트 확인부(135)는 발신자인 텔레마케터가 텔레마케팅 방지 서비스에 가입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구동된다. 텔레마케터가 텔레마케팅 방지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호 연결/차단 요청부(137)는 교환기로 하여금 호를 연결하도록 요청한다.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텔레마케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텔레마케팅이 이루어진 착신 번호는 임시 거부 번호로서 임시 거부 리스트에 등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텔레마케팅 방지 시스템과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의 동작을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텔레마케팅 방지의 절차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발신 단말기에서 호를 발신한다.
교환기에서는 상기 호의 프리픽스로부터 발신자인 텔레마케터가 텔레마케팅 방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로 호를 전달하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호를 연결한다.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는 호를 전달받으면 발신 호 정보로부터 고객 구분자 및 착신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착신 번호가 해당 텔레마케터로부터의 텔레마케팅을 거부하는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교환기로 하여금 호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하고 안내 음성 서버로 하여금 차단 안내 음성을 송출하도록 요청한다. 안내 음성 서버는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로부터 안내 음성 송출 요청이 있는 경우 차단 안내 음성을 추출하여 발신 번호로 송출하는데 이때의 송출 경로는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와 교환기를 순서대로 거칠 수도 있으며 바로 교환기에 연결될 수도 있다.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는 추출된 착신 번호가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다시 임시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포함되어 있으면 교환기에 호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하고 음성안내서버에는 차단음성안내를 요청하며, 임시 거부 리스트에도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교환기에 호 연결을 요청한다. 이후 교환기로부터 해당 호 연결에 성공했다는 보고가 있으면 그 착신 번호를 임시 거부 번호로서 임시 거부 리스트에 등록한다.
이상에서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의 호가 연결되는 상황을 살펴보면,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의 호가 아닌 경우,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의 호이지만 고객이 텔레마케팅 방지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경우,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의 호이고 고객이 텔레마케팅 방지 서비스에 가입된 상태이면서 착신 번호가 거부 리스트 및 임시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호 연결이 차단되는 경우는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의 호이고 고객이 텔레마케팅 방지 서비스에 가입된 상태이면서 착신 번호가 거부 리스트 또는 임시 거부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텔레마케팅 방지 절차를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텔레마케팅 방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앞에서 설명된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의 동작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먼저, 교환기로부터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의 호를 전달받는다(S 510). 교환기에서는 사전에 고객(텔레마케터)과의 협의에 의해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의 호에 특정 발신 번호 또는 특정 프리픽스를 포함시킬 수 있으므로 별다른 무리없이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의 호를 전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에서 전달받은 호는 모두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의 호가 된다.
교환기로부터 전달받은 발신 호 정보로부터 고객 구분자와 착신번호를 추출한다(S 520).
추출된 착신 번호가 연계된 고객 구분자가 나타내는 텔레마케터로부터의 텔레마케팅을 거부하는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S 530)하고, 확인 결과 상기 거부 리스트에 착신 번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교환기에 호 연결 차단을 요청(S 540)한다. 그리고 텔레마케팅 방지 서비스에 의해 호 연결이 차단되었음을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에서 알 수 있도록 안내 음성 서버로 하여금 상기 연결이 차단되도록 요청된 호의 발신 번호로 차단 안내 음성을 송출하도록 요청(S 550)한다.
한편, 상기 확인 결과 착신번호가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다시 착신번호가 임시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S 560)하여 착신번호가 임시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교환기로 하여금 호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S 560)하고, 음성 안내 서버에는 차단 안내 음성 송출을 요청한다.
상기 임시 거부 리스트 확인 결과, 착신번호가 임시 거부 리스트에도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교환기에 호 연결을 요청(S 570)한다. 이후 교환기로부터 호 연결에 성공하였다는 보고가 있으면 그 착신번호를 임시 거부 번호로서 상기 임시 거부 리스트에 등록(S 580)한다. 임시 거부 번호는 설정 기간 경과 후 임시 거부 리스트에서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텔레마케팅 방지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기업에서 자신의 텔레마케팅을 거부하는 착신 번호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신의 텔레마케팅을 거부하는 착신 번호를 관리하고 이때의 착신 번호를 거부 리스트로서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로 전송하여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에서 이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110...교환기 130...텔레마케팅 방지 서버
131...호 수신부 133...호 분석부
135...텔레마케팅 거부 리스트 확인부
137...호 연결/차단 요청부 139...안내 음성 요청부

Claims (13)

  1. 텔레마케팅 고객센터의 발신호 정보 내의 프리픽스(prefix)를 확인하여 텔레마케팅 방지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에 호를 전달하는 교환기; 및
    상기 프리픽스로부터 고객 구분자를 추출하고, 상기 발신호로부터 착신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착신번호가 고객 구분자와 착신번호를 연계하여 저장하고 있는 거부 리스트 에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고, 상기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서, 상기 추출된 고객 구분자가 상기 저장된 착신 번호와 연계된 고객 구분자와 일치하면 상기 교환기로 하여금 호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하는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거부 리스트는,
    상기 착신 번호가 수신을 거부할 고객 구분자를 저장한 리스트인
    텔레마케팅 방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한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의 요청에 의해 상기 호의 발신 번호로 차단 안내 음성을 송출하는 안내 음성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마케팅 방지 시스템.
  3. 교환기로부터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의 호를 전달받는 호 수신부;
    상기 호에 포함된 프리픽스(prefix)로부터 고객 구분자를 추출하고, 상기 호로부터 착신 번호를 추출하는 호 분석부;
    상기 추출된 착신 번호가 고객 구분자와 착신번호를 연계하여 등록하고 있는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텔레마케팅 거부 리스트 확인부;
    상기 추출된 착신 번호가 상기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추출된 고객 구분자가 상기 등록된 착신 번호와 연계된 고객 구분자와 일치하면 상기 교환기로 하여금 상기 호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하는 호 연결/차단 요청부; 및
    상기 거부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거부 리스트는,
    상기 착신 번호가 수신을 거부할 고객 구분자를 저장한 리스트인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연결/차단 요청부가 상기 교환기에 호 연결을 차단할 것을 요청하는 경우, 안내 음성 서버에 차단 안내 음성을 송출하도록 요청하는 안내 음성 요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마케팅 거부 리스트 확인부는,
    상기 호의 연결이 차단되지 않은 경우, 상기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임시 거부 리스트로의 등록을 요청 받아, 상기 착신번호에 상기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의 고객 구분자를 연계시켜 임시 거부 리스트에 등록하고, 상기 등록 이후 전달받은 호에 포함된 착신번호가 상기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착신번호가 임시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지를 추가로 확인하고,
    상기 호 연결/차단 요청부는,
    상기 추가로 확인한 착신 번호가 상기 임시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등록 이후 전달 받은 호에 포함된 고객 구분자가 상기 추가로 확인한 착신 번호와 연계되어 등록된 고객 구분자와 일치하면, 상기 교환기에 상기 호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하는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
  6. 삭제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거부 리스트에 등록된 착신번호는 상기 기 설정된 기간 후에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마케팅 방지 서버.
  9. 교환기로부터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의 호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호에 포함된 프리픽스(prefix)로부터 고객 구분자를 추출하고, 상기 호로부터 착신 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착신 번호가 고객 구분자와 착신번호를 연계하여 등록하고 있는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거부 리스트에 상기 착신 번호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추출된 고객 구분자가 상기 등록된 착신 번호와 연계된 고객 구분자와 일치하면 상기 교환기로 하여금 상기 호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거부 리스트는,
    상기 착신 번호가 수신을 거부할 고객 구분자를 저장한 리스트인
    텔레마케팅 방지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호의 연결이 차단되지 않은 경우,
    상기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임시 거부 리스트로의 등록을 요청 받아, 상기 착신번호에 상기 텔레마케팅 고객 센터의 고객 구분자를 연계시켜 임시 거부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 이후 전달받은 호에 포함된 착신번호가 상기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착신번호가 임시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지를 추가로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로 확인한 착신 번호가 상기 임시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등록 이후 전달 받은 호에 포함된 고객 구분자가 상기 추가로 확인한 착신 번호와 연계되어 등록된 고객 구분자와 일치하면, 상기 교환기에 상기 호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텔레마케팅 방지 방법.
  11. 삭제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연결을 차단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이후에,
    음성 안내 서버에 차단 안내 음성을 상기 호에 전송한 발신번호로 송출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마케팅 방지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거부 리스트에 등록된 착신번호는 상기 기 설정된 기간 후에는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마케팅 방지 방법.
KR1020100069359A 2010-07-19 2010-07-19 텔레마케팅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764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359A KR101764354B1 (ko) 2010-07-19 2010-07-19 텔레마케팅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359A KR101764354B1 (ko) 2010-07-19 2010-07-19 텔레마케팅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544A KR20120009544A (ko) 2012-02-02
KR101764354B1 true KR101764354B1 (ko) 2017-08-03

Family

ID=45834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359A KR101764354B1 (ko) 2010-07-19 2010-07-19 텔레마케팅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3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544A (ko)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58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rupting an active telephony session to deliver information to a subscriber
US8311204B2 (en) Automatic complaint registration for violations of telephonic communication regulations with call rejection
US844219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process of establishing call
EP1675334A1 (en) Storing anti-spam black lists
US7751855B2 (en) Private routing control numbers
EP1675329A1 (en) Blocking spam messages
US8572113B2 (en) Network calling privacy with recording
CA2809838C (en) Network calling privacy with recording
JP2016103800A (ja) 迷惑電話撃退システム
JP2010147645A (ja) 接続制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0767968B1 (ko) 스팸 전화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A2666724A1 (en) Automatic complaint registration for violations of telephonic communication regulations with call rejection
JP5381087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KR101764354B1 (ko) 텔레마케팅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508942B1 (ko) 스팸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68431B1 (ko) 스펨 전화 차단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01698B1 (ko) 개인 호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70015675A (ko) 착신 제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12181B1 (ko) 변경전화번호 평생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KR101206271B1 (ko) 콜렉트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콜렉트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00062592A (ko) 통신망에서의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88836B1 (ko) 음성호 스팸 차단 장치 및 방법
KR20050072327A (ko) 착신 제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U2012200599A1 (en) "Automatic complaint registration for violations of telephonic communication regulations with call rejection"
KR20100079768A (ko) 불법 스팸 차단 시스템 및 불법 스팸 차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