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934B1 - 온라인을 통하여 전송된 결제영수증을 이용한 결제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을 통하여 전송된 결제영수증을 이용한 결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934B1
KR101763934B1 KR1020100059751A KR20100059751A KR101763934B1 KR 101763934 B1 KR101763934 B1 KR 101763934B1 KR 1020100059751 A KR1020100059751 A KR 1020100059751A KR 20100059751 A KR20100059751 A KR 20100059751A KR 101763934 B1 KR101763934 B1 KR 101763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ler
payment
buyer
tag
sett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9583A (ko
Inventor
양준호
Original Assignee
양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준호 filed Critical 양준호
Priority to KR1020100059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934B1/ko
Publication of KR20110139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하여 전송된 결제영수증을 이용한 결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카드 결제를 위하여 신용카드, 체크카드등을 카드리더기에 직접 접촉시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카드리더기의 접촉에 따른 카드 복제사고의 위험이 높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직접 카드를 접촉하는 일없이도 중개사를 통하여 결제를 하고 구매자와 판매자가 간단하게 결제 내용을 받아 진정한 구매자와 판매자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온라인을 통하여 전송된 결제영수증을 이용한 결제 방법{METHOD FOR TRANSACTIONS USING ONLINE TRANSMITTED RECEIPT}
본 발명은 현재의 신용카드 결제를 대신하고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거래를 도모하기 위한 결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현재의 신용카드 결제를 대신하고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거래를 도모하기 위한 결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드 결제 과정에서는 결제하는 카드를 넘겨주어 결제를 진행하도록 하는데 카드를 가맹점의 단말에 접촉하게 되는 경우 카드 소유자가 의도하지 않았던 카드복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외에도 거래액수, 거래자를 확실하게 확인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부정확한 거래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 또한, 결제해야할 사람이 많은 경우에도 가맹점 단말을 이용하기 위하여 줄을 서야만 하며 기다린 시간에 비해서 각 개인은 결제를 위한 짧은 시간동안만 결제에 관한 문의가 가능하기 때문에 급하게 결제만 하고 결제에 대해서 주어질 수 있는 다양한 혜택들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가 없게 된다.
온라인으로 카드결제를 하는 경우에도 작은 금액은 패스워드를 이용하거나 보다 큰 금액은 공인인증서를 이용함으로써 현재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데 공인인증서의 경우 2중,3중의 패스워드에 의하여 보호되기 때문에 보다 안전한 거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거래상대를 인지하는 과정이 불명확하여 결제 자체는 보호될 수 있어도 결제의 원인이 되는 거래상에 문제가 있는 경우 안전한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는 미흡함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애스크로결제나 기타 제3자의 중개를 거치는 결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카드거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방법이든지 거래 상개가 해당 거래의 정당한 대상인지 서로가 인지되어야만 한다. 즉, 오프라인 거래에서 카드거래를 하기 위하여 카드를 사용하는 사람이 정당한 카드 소유주 인지가 확인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카드의 뒷면에 있는 서명과 카드 영수증의 서명을 확인하여야 하지만 오프라인 거래에서 이러한 서명을 확인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며 현재는 해당 카드를 소유하고 있으면서 카드를 사용할 때 도난 카드로 신고가 되어 있지만 않으면 일단 정당한 사용자로 인정하고 거래를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식당 등의 오프라인에서는 서비스제공자가 누구이고 결제자가 누구인지 명확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구매자와 판매자가 카운터에 모여 그 앞에서 카드를 긁고 금액을 확인하고 서명을 하도록 한다. 이렇게 구매자와 판매자가 모여서 결제행위를 하지 않으면 구매자와 판매자가 모두 서로를 신뢰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제는 카드사와 같은 신용제공자에 의하여 중개되지만 카드사는 결제만 관련될 뿐 거래자 양쪽이 진정한 거래지인지에 대해서는 확인하여 주지 않는다.
또한, 온라인 구매와 같은 경우에는 피싱사이트와 같은 사이트를 만들어 결제행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에 카드사는 결제행위만을 돕기 때문에 온라인 사이트의 제공자로부터 서비스가 제공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주지 않고 결제를 진행하며 카드결제를 취소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판매자의 동의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거래행위가 보호되지 않는다.
또한, 가상계좌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가상계좌는 입금하는 과정에서 구매자가 판매자를 확인하고 입금이 된경우 판매자가 구매자를 확인하지만 식당등에서 가상계좌를 테이블마다 할당할 수 없으며 온라인 거래에서 서비스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이미 판매자에게 비용이 지불된 이후기 때문에 거래취소의 주도권은 판매자가 쥐게 되며 악의의 판매자인 경우 입금한 비용을 돌려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매자와 판매자가 서로 마주 하지 않더라도 결제가 이루어졌음을 간단한 절차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하여 전송된 결제영수증을 이용한 결제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방법은 구매자단말이 '식별자'와 '구매금액'을 중개자 서버에 전송하고 중개자 서버에서 온라인상으로 결제를 진행하되 결제의 대상은 상기 식별자에 1:1로 대응되는 판매자인, 제1단계와; 중개자 서버는 상기 결제의 결제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태그를 포함하는 결제영수증을 구매자단말에 전송하는 제2단계와;중개자 서버는 상기 결제의 결제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태그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판매자단말에 전송하는 제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매자단말에 전송되는 태그와 결제정보는 바코드화되어 판매자 단말에 연결되는 바코드 리더로부터 상기 바코드를 읽어 구매자 단말로 전송된 정보와 판매자 단말로 전송된 정보를 비교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그는 구매자단말로부터 전송된것과 중개자가 생성한 것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중개자가 생성한 태그는 이미지화가 가능한 사물의 명칭을 상위범주와 하위범주로 나누어 저장된 DB에서 상위범주를 특정 판매자단말에 할당하되 상기 할당은 미리 지정된 시간마다 변경되며 미리 지정된 시간안에서는 상기 상위범주 밑의 하위범주의 단어들을 할당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단계는 구매자단말은 구매자가 입력한 식별정보를 중개자서버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 판매자단말에 전송되는 결제정보는 제1단계에서 구매자가 입력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3단계 이후에 중개자 서버는 구매자단말로부터 구매결정 메세지를 수신한후에 판매자에 대한 송금을 시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별자는 국가번호를 포함하는 매장의 전화번호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판매자와 구매자가 서로를 신뢰하는 결제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차의 진행을 도시하는 순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거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카드사, 은행을 포함하는 중개서버(11)와 소비자가 소유하며 무선전화망, 무선데이터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구매자단말기(12)와 판매자가 소유하는 판매자 단말기(13)에 의해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래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거래대상은 물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온라인을 통한 물건의 구매, 오프라인에서의 물건 구매, 서비스 구매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오프라인을 통한 구매의 경우에 더욱 효과적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식당에서 식사를 하고 결제를 하는 과정을 통하여 도1을 설명한다.
종래에는 식당에서 식사를 마치고 나설 때 카운터에서 모든 계산이 이루어지며 카드결제도 여기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한꺼번에 손님이 몰리는 경우에는 카드만 건네게 되고 서비스 제공자에게 결제나 서비스에 관해 문의를 하려고 하여도 결제에만 쫓기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기존의 카드 단말기와 같은 경우는 단순한 전화선에 의해 연결이 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며 이러한 카드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카드를 읽게 하는 순간 카드에 담겨있는 정보가 복제되어 타지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이것은 판매자에게 어떠한 악의가 없다고 하여도 이러한 단말기를 사용하게 되면 종종 카드복제 같은 범죄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와 같이 카드를 직접 접촉시키는 형태의 결제가 우선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범죄를 피해가기가 쉽지않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에는 구매자가 식당에 들어가서 주문을 마치게 되면 판매자는 구매자에게 청구서를 제시하게 되며 청구서에 식별자를 함께 제시하게 된다. 식별자는 청구서에 기재되는 것과 같은 통상의 방법으로 명시될 수도 있으며 식당과 같은 오프라인 영업장이라면 식당내에 잘 보이는 장소에 게시될 수 있으며 언제든 변경될 수도 있다. 그러나 식별자는 유일무이한 것으로 정해지는 것이 좋은데 이를 위하여 판매자의 전화번호가 될 수 있으며 국가번호를 포함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국가번호를 붙여 사용할 때 현재의 국제전화 표시방법에 준할 수 있다. 이 같은 국가번호를 붙인 전화번호를 식별자로 사용하는 경우에 이러한 식별자는 세계에서 오직 하나 뿐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전세계어디에서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식별자는 판매자의 계좌번호나 가맹점 번호가 될 수도 있다.
구매자는 식별자를 확인함으로써 중개자 서버에 접속하여 판매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 판매자 정보라고 함은 판매자의 명의 대표자 성명, 주소, 전화번호, 업종 등이 될 수 있다. 구매자는 식사중이나 식사를 마친후 어느때나 식별자를 이용하여 판매자 정보를 확인한후에 결제대상자로 판매자를 지정하고 청구된 금액에 대한 결제를 마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중개자는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구매자에게 제공하고 구매자는 청구서에 해당하는 금액만큼을 카드, 현금 결제하게 된다. 상기한 무선망을 이용한 결제는 공지의 기술로도 가능한 것이며 공지된 보안기술에 의해 보호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구매자에게 결제가 이루어졌다는 통지를 할때 구매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중개자로부터 별도의태그(TAG)가 전달되어질 수 있다. 상기 태그는 구매자 및 판매자 모두에게 제공이 되며 오프라인 상에서 물품 및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사람이 확인하기 쉬운 사물의 이름이나 도형 등을 태그로 제공하며 온라인 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문자, 숫자로 이루어진 문자열이 될 수 있다.
즉, 구매자가 결제를 하게 되면 결제정보와 태그가 구매자와 판매자에게 모두 전달되는데 구매자는 매장을 나서면서 중개자로부터 받은 영수증을 보여주며 결제를 했음을 알리며 판매자는 별도의 단말기를 통해서 중개자로부터 결제정보와 태그를 함께 전송받아 구매자가 계산서와 태그를 제시했을때 금액과 태그가 맞는지를 확인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카운터에서 많은 시간을 소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구매자가 결제시에 테이블번호나 기타 자신의 식별부호를 함께 입력하여 중개자에게 전달하고 중개자가 이것을 판매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판매자는 테이블번호나 룸번호와함께 태그가 전달되기 때문에 구매자가 내미는 정보만으로도 결제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구매자는 카드를 카드결제단말기에 접촉하지 않으면서도 구매자를 통하여 결제를 할 수 있으며 판매자입장에서도 쉽게 결제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온라인거래에 있어서도 구매자가 구매결정후에 구매자를 통해 결제를 한뒤에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입금하였음을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태그를 전달하고 판매자는 태그를 비교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온라인 거래의 경우 판매자가 중개자로부터 결제정보를 입력받기는 하지만 결제정보만으로는 누가 결제를 하였는지 알기 힘들지만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누가 입력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중개자는 구매자가 물건을 받고 구매결정을 한 이후에 결제대금에서 수수료를 제외하고 송금하도록 하면 구매자는 물건이 제대로 배송되지 않으면 구매결정을 하지 않으면 되기 때문에 안전한 대금결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종래의 결제에 있어 가상계좌를 만들어 가상계좌에 입금이 되는 경우 해당 고객이 입금한것을 확인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오프라인에서 벌어지는 소액결제 모두에 적용하기는 힘이 들며 추후 매출계산을 할때 파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원발명은 오프라인에서 벌어지는 소액의 결제에 대해서 카드 복제의 위험없이 쉽게 결제가 가능하며 결제후에 간단한 확인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상계좌방식은 일단 판매자의 계좌로 입금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구매자가 구매를 취소하려고 하여도 일단 판매자로 입금된 비용을 반환받기는 어렵지만 본 발명에서는 구매결정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언제든 구매가 취소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한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발명에서 태그는 빠른 육안 검사를 위하여 상징적인 이미지나 도형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판매자와 중개자 사이에 미리 약속된 단어등이 선??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제내용을 포함하여 태그를 바코드에 의해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바코드 형태로 구매자 단말기에 보낼 수 있다. 판매자 단말기는 구매자 단말기의 바코드로부터 태그와 결제금액을 받아서 판매자가 입력한 매출정보와 비교하여 결제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중개자는 일련의 범주들과 그 하위 용어들을 사전식으로 모아서 순차적으로 발행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꽃, 풀, 나무, 새, 천연기념물, 국보, 보물, 산, 강, 나라 등의 범주를 만들어 결제가 이루어지는데로 꽃의 범주라면 그 하위범주에 있는 '민들레','해바라기'등의 태그를 구매자와 판매자에게 송신하며 구매자가 중개자로부터 받은 전자 영수증을 제시하면 판매자는 이것을 육안으로 확인하게 된다. 사람이 확인하는 경우 숫자난 단순한 문자보다는 관념을 가진 단어일 수록 인식하기가 쉽기 때문에 육안확인이 필요한 경우 몇 개 범주를 정하고 해당 범주에 속하는 단어들을 태그로 송신하게 된다. 구매자또한 어떤 범주가 태그로서 사용되는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영수증을 위조하기는 힘들며 판매자가 해당 태그에 해당하는 결제정보를 받지 못했다면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중개자가 보내는 전자영수증을 위조할 수는 없다.
또한 구매자가 결제시에 테이블번호등을 입력하게 한다면 '민들레-T04'처럼 테이블번호등의 식별자와 태그를 함께 보내어 전자영수증에 있는 금액을 확인할 때 중개자가 보낸 결제정보만으로도 판매자가 구매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중개자는 가맹점별로 범주를 돌려가며 사용하고 해당범주에 해당하는 용어를 순차적으로 사용하며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는 것을 선택한다. 따라서, 판매자 1의 가게는 들꽃의 범주를 사용하고 판매자2의 가게는 강이름을 범주로 사용하게 되면 판매자는 구매자의 전자영수증에 나타난 범주의 명칭이나 이미지를 확인하면서 결제가 올바로 이루어졌는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전자영수증은 이미지와 같은 형태로 제시되어도 무방하며 판매자와 구매자의 정당한 단말기에서만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핸드폰이나 스마트폰 등은 전화번호나 기기만의 식별번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결제를 요청한 단말기로 전자영수증을 전송할 때 해당 전화번호나 기기번호만을 갖는 기기에서만 표시가 될 수 있도록 할수 있다.
또한, 판매자나 구매자는 중개자에 상대방을 검증하는 검증요청을 할수 있는데 중개자는 판매자와 구매자에게 중복가능성이 희박한 고유 거래 확인 식별자를 동일하게 전송하여 구매자와 판매자가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정당한 구매자와 판매자간에 거래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거래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청구서를 제시하면서 식별자를 전달하거나 별도로 게시된 식별자를 확인하고 중개자에게 접속하여 식별자를 이용하여 결제를 한다.
이때 식별자를 이용하여 판매자의 명의, 대표자성명, 주소, 전화번호, 업종등과 같은 정보를 통하여 정당한 판매자인가를 구매자가 확인할 수 있으며 통상의 온라인 결제방법을 이용하여 구매자는 결제를 하며 태그를 입력하거나 구매자로부터 태그를 할당받을 수 있다. 태그를 할당받는경우에도 본인을 인증하기 위하여 테이블 번호, 룸번호 등을 입력하여 태그와 함께 판매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판매자와 구매자는 각각 태그를 전송받으며 구매자는 태그와 함께 구매내역, 금액, 거래일시, 판매자 정보, 구매자 정보, 태그 등이 명시된 전자영수증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받으며 판매자또한 이러한 정보가 들어가 있는 판매내역을 전송받으며 구매자가 판매자의 매장을 떠날 때 금액과 태그를 비교함으로써 정당한 구매자가 맞는지를 검사하게 된다. 또한 직관적인 판단을 위하여 태그를 이미지 형태로 하거나 태그에 별도의 이미지를 추가하도록 할 수 있다.

11: 중개자 서버 12: 구매자 단말
13: 판매자 단말

Claims (7)

  1. 온라인을 통하여 전송된 결제영수증을 이용한 결제 방법으로서,
    구매자단말이 '식별자'와 '구매금액'을 중개자 서버에 전송하고 중개자 서버에서 온라인상으로 결제를 진행하되 결제의 대상은 상기 식별자에 1:1로 대응되는 판매자인, 제1단계와;
    중개자 서버는 상기 결제의 결제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태그를 포함하는 결제영수증을 구매자단말에 전송하는 제2단계와;
    중개자 서버는 상기 결제의 결제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태그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판매자단말에 전송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며
    구매자단말에 전송되는 태그와 결제정보는 바코드화되어 판매자 단말에 연결되는 바코드 리더로부터 상기 바코드를 읽어 구매자 단말로 전송된 정보와 판매자 단말로 전송된 정보를 비교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태그는 구매자단말로부터 전송된것과 중개자 서버가 생성한 것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중개자서버가 생성한 태그는 이미지화가 가능한 사물의 명칭을 상위범주와 하위범주로 나누어 저장된 DB에서 상위범주를 특정 판매자단말에 할당하되 상기 할당은 미리 지정된 시간마다 변경되며 미리 지정된 시간안에서는 상기 상위범주 밑의 하위범주의 단어들을 할당하며
    상기 제1단계는 구매자단말은 구매자가 입력한 식별정보를 중개자서버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 판매자단말에 전송되는 결제정보는 제1단계에서 구매자가 입력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3단계 이후에 중개자 서버는 구매자단말로부터 구매결정 메세지를 수신한후에 판매자에 대한 송금을 시작하며
    상기 식별자는 국가번호를 포함하는 매장의 전화번호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하여 전송된 결제영수증을 이용한 결제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00059751A 2010-06-23 2010-06-23 온라인을 통하여 전송된 결제영수증을 이용한 결제 방법 KR101763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751A KR101763934B1 (ko) 2010-06-23 2010-06-23 온라인을 통하여 전송된 결제영수증을 이용한 결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751A KR101763934B1 (ko) 2010-06-23 2010-06-23 온라인을 통하여 전송된 결제영수증을 이용한 결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583A KR20110139583A (ko) 2011-12-29
KR101763934B1 true KR101763934B1 (ko) 2017-08-01

Family

ID=45505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751A KR101763934B1 (ko) 2010-06-23 2010-06-23 온라인을 통하여 전송된 결제영수증을 이용한 결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9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583A (ko) 201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515B1 (ko) Qr 코드를 이용한 즉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US8464935B2 (en) In-lane money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CN102812480B (zh) 用于验证交易的方法和系统
US8645280B2 (en) Electronic credit card with fraud protection
KR100764422B1 (ko) 전자 지불 방법.
CN103854182B (zh) 利用实名认证进行网络购物的方法
KR101952420B1 (ko) 시세정보를 통해 전자화폐를 환전하여 거래를 진행하는 전자화폐결제서버,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N108027925A (zh) 一种使用二维码的无卡支付方法及其系统
KR101820651B1 (ko) 일회용 qr코드를 이용한 간편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99814A (ko) Qr 코드를 이용한 즉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N102365650A (zh) 一种安全的电子金融资金转账系统
US20040068465A1 (en) Electric commerce credit processing method and electric commerce system
KR20060060521A (ko) 전자 지불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14043A (ko) 계좌번호가 연동되어 있는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주문 결제를 중계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00283A (ko) 전자결제 시스템 및 방법
EP2677486A1 (en) Online shopping system and method
CN102799995A (zh) 线上购物系统及其购物方法
KR100623429B1 (ko) 거래 중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통한 거래 방법
KR101763934B1 (ko) 온라인을 통하여 전송된 결제영수증을 이용한 결제 방법
Von Solms An investigation into credit card information disclosure through Point of Sale purchases
KR102006960B1 (ko) 위치정보 기반의 온라인 중고물품 거래 시스템
RU2295771C1 (ru)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электронных транзакций
KR20140047783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8269093A (zh) 一种安全支付系统
KR20120020912A (ko) 국세청 인증 기반 전자 세금계산서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