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883B1 - 시계열 항공영상의 화면분할을 위한 구간별 영상이미지 편집장치 - Google Patents

시계열 항공영상의 화면분할을 위한 구간별 영상이미지 편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883B1
KR101763883B1 KR1020160160588A KR20160160588A KR101763883B1 KR 101763883 B1 KR101763883 B1 KR 101763883B1 KR 1020160160588 A KR1020160160588 A KR 1020160160588A KR 20160160588 A KR20160160588 A KR 20160160588A KR 101763883 B1 KR101763883 B1 KR 101763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ground
change
aerial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태
오지용
이호현
김현희
이은정
Original Assignee
(주)신한항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한항업 filed Critical (주)신한항업
Priority to KR1020160160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계열 항공영상의 화면분할을 위한 구간별 영상이미지 편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위치를 촬영한 다수의 항공영상 이미지를 서로 조합해서 하나의 통합된 항공영상 이미지로 서로 편집하고, 상기 통합된 항공영상 이미지에 포함되는 지상물이미지별로 GPS좌표와 지상물 명칭을 수집데이터로 링크해서 항공영상 데이터로 생성하는 데이터 수집부(10)와, 항공영상DB(21); 수집데이터DB(21'); 시계열영상DB(27); 영상이미지 처리모듈(22); 분석모듈(23); 검색모듈(28); 갱신대상 분류모듈(24); 영상이미지 편집모듈(25); 시계열 처리모듈(29); 갱신모듈(26);을 구비한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시계열 항공영상의 화면분할을 위한 구간별 영상이미지 편집장치{EDITING APPARATUS FOR AERIAL IMAGES DISPLAYING PICTURE OF SEGMENTED REGION}
본 발명은 시계열 항공영상의 화면분할을 위한 구간별 영상이미지 편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상에 있는 인공적인 지상물은 물론 자연 지상물도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영상지도의 바탕을 이루는 항공영상에 변화요인이고, 영상지도 또한 주기적인 갱신 이유가 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영상지도 갱신은 일정한 주기를 갖고 이루어지므로, 항공영상을 수집할 당시에 특정 지상물이 건설 또는 해체 중이며 다음 수집 주기 이전에 완공 또는 해체가 완료되면, 상기 다음 수집 주기 이전에는 영상지도와 실제 현장에 차이가 발생한다. 즉, 영상지도의 신뢰도가 낮아지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항공영상 수집 주기를 짧게 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항공영상 수집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므로 영상지도 제작이 비경제적일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0-0586034호(2006.06.02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별도의 항공영상 수집 없이도 영상지도를 구간별로 빈번하게 갱신해서 신뢰도 높은 영상지도의 영상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는 시계열 항공영상의 화면분할을 위한 구간별 영상이미지 편집장치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위치를 촬영한 다수의 항공영상 이미지를 서로 조합해서 하나의 통합된 항공영상 이미지로 서로 편집하고, 상기 통합된 항공영상 이미지에 포함되는 지상물이미지별로 GPS좌표와 지상물 명칭을 수집데이터로 링크해서 항공영상 데이터로 생성하는 데이터 수집부(10), 및
상기 통합된 항공영상 이미지와 수집데이터와 변화전 영상이미지와 변화후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되, 상기 영상이미지는 영상이미지 베이스에 다수의 지상물 집합체가 조합되어 이루어진 항공영상DB(21); 변화전 영상이미지 내에서 일정한 간격의 격자형 파트 구성과 지상물이미지의 배치 기준을 잡기 위한 기준점 정보와, 상기 수집데이터를 저장하는 수집데이터DB(21'); 항공영상DB(21)에 저장된 항공영상 데이터 및 영상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시간대별 편집이미지를 저장하는 시계열영상DB(27); 상기 항공영상 데이터의 항공영상 이미지와 해당 영상이미지와 수집데이터를 항공영상DB(21) 및 수집데이터DB(21')에서 각각 검색해서 영상이미지를 제작하되, 변화후 영상이미지는 신규 항공영상 이미지를 바탕으로 지상물이미지만을 도화하며, 항공영상DB(21)에 저장하는 영상이미지 처리모듈(22); 항공영상DB(21)에서 검색한 상기 변화후 영상이미지에서 일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변화후 지상물이미지들의 중점을 각각 변화후 연결선으로 연결하고, 상기 변화후 영상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화전 영상이미지를 항공영상DB(21)에서 검색하며, 상기 변화전 영상이미지에서 일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변화전 지상물이미지들의 중점을 각각 변화전 연결선으로 연결하는 분석모듈(23); 분석모듈(23)의 확인대상인 상기 변화전 영상이미지와 변화후 영상이미지에 대한 시간대별 편집이미지들을 시계열영상DB(27)에서 검색하는 검색모듈(28); 상기 변화전 연결선과 변화후 연결선을 서로 비교해서 소멸되거나 생성된 연결선을 확인하고, 소멸 또는 생성된 해당 연결선의 중점을 확인하여 영상이미지에서 삭제 대상 지상물이미지와 신생 지상물이미지를 확인하는 갱신대상 분류모듈(24); 상기 변화후 영상이미지 내 신생 지상물이미지의 중점과 연결된 변화후 연결선을 이웃 연결선과 연결하고, 상기 변화전 영상이미지 내 변화전 지상물이미지의 중점과 연결된 변화전 연결선 중에서 상기 이웃 연결선에 대응하는 변화전 연결선의 배치각도와 길이 비율로 상기 변화후 연결선과 이웃 연결선을 맞춰서 상기 신생 지상물이미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영상이미지 편집모듈(25); 상기 변화전,후 영상이미지와 시간대별 편집이미지를 비교해서 위치별 지상물이미지들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확인하고, 변화가 확인된 대상 집합체의 지상물이미지를 추정형상으로 편집하는 시계열 처리모듈(29); 영상이미지 편집모듈(25)이 상기 신생 지상물이미지를 이동시킨 위치에 대한 파트들을 설정하고, 상기 파트들의 집합체를 신생 지상물 집합체(401)로 생성하며, 상기 영상이미지 베이스에 신생 지상물 집합체(401)가 삽입되어야 할 위치 및 범위로 구간을 생성하여, 신생 지상물 집합체(401)를 상기 구간에 삽입하는 갱신모듈(26);을 구비한 영상처리부
를 포함하는 시계열 항공영상의 화면분할을 위한 구간별 영상이미지 편집장치이다.
상기 본 발명은, 해체 또는 건설 중인 지상물에 대해서는 항공영상을 시계열적으로 가공처리해서, 별도의 항공영상 수집 없이도 영상지도를 구간별로 빈번하게 갱신해서 신뢰도 높은 영상지도의 영상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집장치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집장치의 처리 대상 항공영상 이미지를 보인 도면이고,
도 3는 도 2의 항공영상을 기반으로 해서 파트 단위로 영상처리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집장치의 시계열 영상처리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집장치의 시계열 영상처리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편집장치가 정밀 지상물 위치 표시를 위한 기준장치의 설치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기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집장치가 변화전과 변화후 영상이미지 비교용 거리기준을 표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편집장치가 변화전과 변화후 영상이미지를 비교해서 갱신 지상물을 확인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편집장치가 변화전 영상이미지의 지상물에 변화후 영상이미지의 지상물을 맞추기 위한 배치위지 조정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집장치가 영상이미지의 개체에 유효범위를 표시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편집장치가 지상물을 영상이미지에서 파트 단위로 분리해 갱신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집장치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집장치의 처리 대상 항공영상 이미지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항공영상을 기반으로 해서 파트 단위로 영상처리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집장치의 시계열 영상처리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집장치의 시계열 영상처리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다.
본 실시의 편집장치은 차량의 지상 카메라 또는 라이다장비 등이 수집한 지상정보 데이터와, 항공기의 디지털카메라 등의 촬영 장비로부터 수집한 항공영상 데이터를, 도 2에서 보인 항공영상 이미지로 편집하는 데이터 수집부(10); 데이터 수집부(10)에서 편집해 제작한 항공영상 이미지를 바탕으로 영상처리하고 기존 영상이미지를 갱신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의 영상처리를 위한 기준점 정보를 생성하는 기준장치(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데이터 수집부(10)에서 항공영상 이미지로 통합 편집해 생성한 항공영상 데이터 및 영상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항공영상DB(21)와, 상기 항공영상 데이터에 기록된 지상물이미지(B-1 내지 B-15; 이하 'B')별 링크 정보와 기준장치(30)에서 수집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수집데이터를 저장하는 수집데이터DB(21')와, 항공영상DB(21)에 저장된 항공영상 데이터 및 영상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시간대별 편집이미지를 저장하는 시계열영상DB(27)와, 상기 항공영상 데이터와 영상이미지 데이터와 수집데이터를 기반으로 영상이미지를 제작해서 항공영상DB(21)에 저장하는 영상이미지 처리모듈(22)과, 항공영상DB(21)에서 검색한 변화전 영상이미지 데이터와 변화후 영상이미지 데이터를 확인해서 지상물이미지(B)의 배치위치와 형태 등을 분석하고 변화전 영상이미지와 변화후 영상이미지의 차이를 확인하는 분석모듈(23)과, 분석모듈(23)에서 분석한 변화전 영상이미지와 변화후 영상이미지의 대상이 되는 시간대별 편집이미지들을 시계열영상DB(27)에서 검색하는 검색모듈(28)과, 분석모듈(23)에서 확인한 상기 차이에 따라 갱신 대상 지상물이미지(B)를 확인하는 갱신대상 분류모듈(24)과, 갱신 대상 지상물(B)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수정 편집하는 영상이미지 편집모듈(25)과, 상기 변화전,후 영상이미지와 시간대별 편집이미지를 비교해서 위치별 지상물이미지들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확인하고, 변화가 확인된 대상 집합체의 지상물이미지를 추정형상으로 편집하는 시계열 처리모듈(29); 편집이 완료된 파트 단위를 기존 영상이미지의 해당 파트 단위에 삽입해 갱신하는 갱신모듈(26)을 포함한다.
전술한 본 실시의 편집장치에 구성된 장치 및 모듈별 기능과 동작 플로우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STEP 1) 항공영상 및 수집데이터 수집
데이터 수집부(10)는 차량과 항공기에서 각각 수집한 항공영상 데이터와 지상정보 데이터를 수신해서 항공영상 이미지를 기초로 한 하나의 통합 항공영상 이미지를 완성한다. 상기 항공영상 이미지는 서로 다른 위치를 촬영한 다수의 항공영상 이미지를 서로 조합해 완성하되 GPS위치와 지상물이미지(B)에 대한 위치와 배율 등의 정보를 맞춰 조합하며, 조합 과정에서 항공영상 이미지 간의 경계 구간은 색상과 이미지 등의 편집을 통해 일체로 된 자연스러운 외관을 갖게 한다.
계속해서 데이터 수집부(10)는 항공영상 이미지 편집 과정에서 지상물이미지(B)별로 GPS좌표와 지상물 명칭 등의 수집데이터를 링크한다. 이렇게 링크되는 정보는 수집데이터로서 영상처리부의 수집데이터DB(21')에 저장해 관리된다.
데이터 수집부(10)가 수행하는 항공영상 이미지의 통합 편집과 기본적인 수집데이터의 지상물이미지(B)별 링크 작업은 이미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항공영상 이미지의 편집기술과 수집데이터 링크기술 등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 설명은 여기선 생략한다.
한편, 도 7(본 발명에 따른 편집장치의 정밀 지상물 위치 표시를 위한 기준장치의 설치모습을 보인 사시도)와 도 8(도 7의 기준장치의 분해 사시도)에서 보인 기준장치(20, 20', 20")는 기준점이 되는 특정 GPS좌표 지상에 3개 이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기준점은 도 3에서 보인 파트 단위별 영상이미지의 기준점(x, x', x")이고, 본 실시의 편집장치가 처리하는 영상이미지는 기준점(x, x', x")을 기초로 파트 단위로 분리되며, 상기 파트 단위는 일정한 사이즈의 격자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GPS좌표의 간격과 파트는 단위별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영상이미지는 본 실시의 편집장치에 의해서 파트 단위로 분리하여 관리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의 편집장치가 관리하는 영상이미지는 전술한 바와 같은 파트 단위로 관리되고, 따라서 도 3의 (a)도면에서와 같이, 하나의 지상물이미지(B-1) 관리는 다수의 파트가 집합해 이루는 지상물 집합체(101)로 관리된다. 이때, 지상물 집합체(101)는 해당 영상이미지에 고유의 배치위치정보를 포함하며, 따라서 영상이미지 편집모듈(25)은 상기 배치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영상이미지의 지정 구간(D1)에 삽입하거나 삭제한다.
이외에도 본 실시의 편집장치은 도 3의 (b)도면에서와 같이, 지상물이미지(B)와 함께 하는 유효범위이미지(201)를 설정하고, 유효범위이미지(201) 관리는 다수의 파트가 집합해 이루는 유효범위 집합체(301)로 관리된다. 이때, 유효범위 집합체(301)는 해당 영상이미지에 배치위치정보를 포함하며, 따라서 영상이미지 편집모듈(25)은 상기 배치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영상이미지의 지정 구간(D2)에 해당하는 집합체를 합성하거나 삭제한다.
참고로, 유효범위이미지(201)는 실제 지상 위치에 지상물이 설치될 때 함께 설치되고 철거시 함께 철거되는 바닥구조물에 해당한다. 따라서 지상물이 실제 지상 위치에 설치됐다고 함은 유효범위 또한 설치된 것이므로, 실제 지상 위치에 지상물이 설치되면 이에 해당하는 지상물이미지(B)와 함께 유효범위이미지(201)를 생성해서 영상이미지에 포함시킨다.
도 3에서 보인 지상물 집합체(101)와 유효범위 집합체(301)의 합성 방법은 아래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준장치(20, 20', 20")는 갱신 대상 영상이미지의 기준점에 해당하는 실제 지상 위치에 입설되며, 일정 범위 이내에 위치한 지상물과 기준장치(20, 20', 20")를 인식해서 해당 거리를 측정한다. 이렇게 측정한 거리에서 지상물과의 거리는 영상이미지에 'y1 내지 y6'으로 저장 및 표시되고, 다른 기준장치(20, 20', 20")와의 거리는 영상이미지에 'M1 내지 M3'로 저장 및 표시된다.
기준장치(20, 20', 20")의 구성 및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의 기준장치(20; 도 8 참조)는 구동모터(31)와, 구동모터(31)에 수직으로 입설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홀라인(32a)을 형성한 관 형상의 가이드프레임(32)과, 가이드프레임(32)에 삽입되며 구동모터(31)의 동력을 받아 롤링하는 스크류(33)와, 홀라인(32a)을 관통하게 인출되는 거치대(34a)를 갖추고 스크류(33)의 나선피치와 맞물려서 스크류(33)의 회전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는 이동자(34)와, 가이드프레임(32)이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거치대(34a)에 안착되어서 이동자(34)의 이동을 따라 이동하며 일정 범위 이내의 지상물과 다른 기준장치(20', 20"의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35)와, 가이드프레임(32)에 삽입된 스크류(33)를 롤링 가능하게 지지하며 가이드프레임(32)의 상단을 마감하는 마개(36)와, 현재 GPS위치를 감지하며 기준장치(20)의 최상단인 마개(36) 상에 설치되는 GPS계측기(37)와, 구동모터(31)의 구동을 제어하고 GPS계측기(37)가 감지한 GPS위치를 출력하며 라이다(35)가 측정한 지상물과의 거리와 다른 기준장치와의 거리에 대한 거리정보로 저장하는 제어기(38)를 포함한다.
여기서 라이다(35)는 360도 둘레에 위치한 주변 사물인 지상물 또는 다른 기준장치(20, 20', 20")들을 인식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방되고, 이를 위해서 가이드프레임(32)은 라이다(35)를 관통하게 설치된다.
한편, 제어기(38)가 수집한 거리정보는 수집데이터로서 수집데이터DB(21')에 저장된다.
참고로, 작업자는 2차원 격자 형태의 파트를 영상이미지에 적용하기 위해서 파트 형성의 기준점을 이루도록, 3개 이상의 기준장치(20, 20', 20")를 영상이미지별로 지정된 기준점(x, x', x")의 해당 위치에 정확히 배치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의 편집장치가 관리하는 영상이미지는 앞서 설명한 기준점(x, x', x")이 설정된다. 이때, 기준점(x, x', x")에는 GPS좌표가 링크되므로, 작업자는 상기 GPS좌표를 확인해서 해당하는 실제 지상 위치에 기준장치(20, 20', 20")를 입설한다. 작업자는 GPS계측기(37)의 계측 결과를 제어기(38)를 통해 확인하면서 기준장치(20, 20', 20")의 위치를 확인해 조정하고, 기준점(x, x', x")에 해당하는 실제 지상 위치에 이르면 라이다(35)를 구동시켜서 지상물과 다른 기준장치(20, 20', 20") 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렇게 수집한 수집데이터인 거리정보로부터는 지상물과 기준장치(20, 20', 20") 간의 거리는 물론 지상물의 외관형상 또한 개략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이를 토대로 지상물의 위치라고 할 수 있는 중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점을 기초로 도 3의 (a)도면에서 보인 영상이미지 내 지상물이미지(B-2)의 중점(c2)을 파악하고, 이 중점(c2)의 GPS좌표 또한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렇게 확인한 지상물이미지(B-2)의 중점(c2)과 기준점(x, x', x") 등을 기초로 영상이미지에 도화된 지상물이미지(B)들의 배치 위치를 파트 단위로 정확히 조정해서 정밀도 높은 영상처리를 완성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의 편집장치은 3게 이상의 기준장치(20, 20', 20")를 기초로 한 기준점(x, x', x")을 토대로 영상이미지를 파트 단위로 분리할 수 있고, 지상물이미지(B) 또한 정확히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의 기준장치(20, 20', 20")를 활용한 기준점 정보는 변화전 영상이미지를 작성할 때 활용되며, 변화후 영상이미지를 작성할 때에는 별도로 활용하지 않는다. 이는 변화후 영상이미지는 영상이미지 처리모듈(22)이 지상물에 변화가 발생한 신규 항공영상 이미지를 바탕으로 지상물이미지만을 도화한 이미지이기 때문이며, 이렇게 제작된 변화후 영상이미지는 지상물이미지 등에 대한 기타 수집정보는 링크되지 않는다.
STEP 2) 변화후 영상이미지 제작
본 실시의 영상이미지 처리모듈(22)은 항공영상DB(21)에서 신규 항공영상 이미지를 검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지상물이미지와 유효범위를 도화하여 변화후 영상이미지로 제작한다. 이렇게 제작한 변화후 영상이미지는 항공영상DB(21)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신규 항공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기존 항공영상 이미지가 항공영상DB(21)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기존 항공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화전 영상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영상이미지 처리모듈(22) 새로 제작한 변화후 영상이미지를 신규 항공영상 이미지와 기존 항공영상 이미지와 변화전 영상이미지 등에 짝을 맞춰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TEP 3) 영상이미지 분석
도 9(본 발명에 따른 편집장치가 변화전과 변화후 영상이미지 비교용 거리기준을 표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과 도 10(본 발명에 따른 편집장치가 변화전과 변화후 영상이미지를 비교해서 갱신 지상물을 확인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분석모듈(23)은 항공영상DB(21)에 저장된 변화전,후의 항공영상 및 영상이미지를 검색해서 변화전 영상이미지와 변화후 영상이미지를 서로 비교한다. 여기서 변화전 영상이미지는 도 9의 (a)도면이고, 변화후 영상이미지는 도 9의 (b)도면이다. 또한 영상이미지는 항공영상을 기반으로 영상처리를 진행해 작성한 이미지이며, 일반적으로 2차원으로 표현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3차원으로도 표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변화전 영상이미지는 지상물이미지는 물론 GPS좌표와 지상물 명칭과 같은 수집데이터 등을 모두 링크하고 있는데 반해, 변화후 영상이미지는 항공영상DB(21)의 항공영상 이미지를 바탕으로 지상물이미지와 유효범위이미지만을 도화하고, 필요한 경우에 해당 지상물의 GPS좌표 등의 수집데이터를 링크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9의 (b)도면에서 변화후 영상이미지 내 'B-1'' 지상물이미지는 도 9의 (a)도면에서 변화전 영상이미지 내 'B-1' 지상물이미지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므로, 각 지상물이미지의 중점인 'c1'과 'c1''의 위치는 변화전,후에 상관없이 지상물이미지(B-1, B-1') 범위 내에서는 동일한 위치에 존재한다. 이와 동일하게 'B-2' 지상물이미지와 'B-2'' 지상물이미지 각각의 해당 중점(c2, c2') 위치도 해당 지상물이미지(B-2, B-2')에서는 동일하다.
그러나 항공촬영 과정과 항공영상 편집 등의 과정에서 지상물이미지들의 위치에 미세한 변화가 있을 수 있고, 이렇게 위치가 변화후 지상물이미지(B-1', B-2')을 파트 단위로 분리하여 정밀하게 작성된 변화전 영상이미지에 그대로 삽입하는데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변화후 영상이미지에 도시된 지상물이미지들을 변화전 영상이미지에 도시된 지상물이미지들의 위치와 동일하게 맞춰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의 분석모듈(23)은 변화전 영상이미지에서 서로 이웃하는 지상물이미지(B-1, B-2)의 각 중점(c1, c2)을 변화전 연결선(T1)으로 서로 연결하고, 이와 동일하게 변화후 영상이미지 내 지상물이미지(B-1', B-2', NB-1)의 중점(c1', c2', c3)을 변화후 연결선(T1')으로 서로 연결한다. 이때 연결선(T1, T1')은 일정범위 이내에 이웃하는 모든 지상물이미지의 중점을 연결하며, 본 실시에서 연결선(T1, T1')은 지상물이미지(B-1, B-2)의 중점(c1, c2)과 지상물이미지(B-1', B-2', NB-1)의 중점(c1', c2', c3)을 각각 연결했다.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지상물이미지의 중점에도 이와 같이 변화전,후 연결선을 연결한다. 예를 들어 변화전 영상이미지에서 'B-5' 지상물이미지와 'B-8' 지상물이미지의 각 중점(c5, c8)을 변화전 연결선(T2)으로 연결했고, 변화후 영상이미지에서 'B-5'' 지상물이미지와 'B-8'' 지상물이미지와 'NB-2' 지상물이미지의 각 중점(c5, c8, c2N)을 변화후 연결선(T2')으로 연결했다.
그런데, 변화전 영상이미지의 경우에는 두 개의 지상물이미지(B-1, B-2)의 중점(c1, c2)만이 변화전 연결선(T1)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반해, 변화후 영상이미지의 경우에는 3개의 지상물이미지(B-1', B-2', NB-1)의 중점(c1, c2, c3)에 연결되었다. 이는 분석모듈(23)이 변화전,후 영상이미지를 분석 및 비교하는 과정에서 도 10의 (a)도면과 같이 변화전 영상이미지에 있던 지상물이미지(B-3, B-15, B-7)가 소멸되고, 변화후 영상이미지에 있던 지상물이미지(NB-1, NB-2)가 생성됐기 때문이다. 즉, 변화전,후 영상이미지 내 지상물이미지에 차이가 발생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의 변화전,후 연결선(T1, T1', T2, T2')은 직선 및 삼각형과 같은 차이가 발생한다.
참고로, 분석모듈(23)은 변화전,후 영상이미지 내 지상물이미지의 변화를 확인하는 것은 아니며, 지상물이미지들 각각의 중점을 파악해서 상기 중점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선(T1, T1', T2, T2')을 표시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STEP 4) 시간대별 편집이미지 검색
한편, 검색모듈(28)은 분석모듈(23)의 분석대상이 되는 변화전 영상이미지와 변화후 영상이미지에 대한 시간대별 편집이미지들을 시계열영상DB(27)에서 검색한다. 여기서 상기 시간대별 편집이미지는 동일 지점을 대상으로 한 영상이미지를 시간대별로 편집해 저장한 영상이미지 데이터로서, 해당 영상이미지에는 특정 지상물의 변화가 시간대별로 기록되어 있다. 특히 상기 영상이미지는 항공영상을 바탕으로 해 이미지화한 내용뿐만 아니라 추정형상을 포함하는 영상이미지를 포함한다.
따라서 검색모듈(28)은 분석모듈(23)의 분석 대상인 변화전 영상이미지와 변화후 영상이미지가 도 3에 도시한 영상이미지인 것으로 확인하였으므로, 이에 해당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시간대별 편집이미지를 검색하고, 이와 더불어서 도 6에서 보인 항공영상 이미지를 항공영상DB(21)에서 검색할 수 있다.
STEP 5) 갱신대상 확인
본 실시의 분석모듈(23)이 분석하고 연결선(T1, T1', T2, T2')을 생성하면, 갱신대상 분류모듈(24)은 변화전 영상이미지와 변화후 영상이미지의 지상물이미지들의 연결선(T1, T1', T2, T2')을 확인해서 갱신대상이 되는 지상물이미지를 확인한다.
갱신대상 분류모듈(24)의 확인 결과, 변화전 영상이미지의 삭제 대상 지상물이미지는 'B-3'과 'B-15'와 'B-7'이고, 변화후 영상이미지의 신생 지상물이미지는 'NB-1'과 'NB-2'이다. 참고로, 갱신대상 영상이미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상물이지미의 중점을 연결하는 연결선(T1, T1', T2, T2')의 차이를 확인해서, 특정 지점에서 연결선(T1, T1', T2, T2')의 형태가 동일하지 않으면, 그 이유가 되는 중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해당하는 지상물이미지의 신생 또는 소멸 등을 파악하여 이루어진다.
STEP 6) 영상처리 편집
본 실시의 영상이미지 편집모듈(25)은 갱신대상 분류모듈(24)이 확인한 갱신대상 지상물이미지를 삽입 및 삭제해서 도 10의 (b)도면과 같이 합성한다. 그런데 변화전 영상이미지의 지상물이미지와 변화후 영상이미지의 지상물이미지는 도 10의 (a)도면과 같이 위치에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변화후 영상이미지의 지상물이미지를 변화전 영상이미지의 지상물이미지에 맞춰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하지만, 변화전 영상이미지와 변화후 영상이미지 모두에 변화가 없는 지상물이미지의 경우에는 옮겨야 할 지점이 있으므로, 변화후 영상이미지의 지상물이미지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나, 본 실시와 같이 변화후 영상이미지의 신생 지상물이미지(NB-1, NB-2)은 이동시킬 위치가 정확히 지정되어 있지 않다. 물론 변화후 영상이미지에 위치하는 해당 지점이 옳은지 여부도 모호하다.
그러므로, 도 11(본 발명에 따른 편집장치가 변화전 영상이미지의 지상물에 변화후 영상이미지의 지상물을 맞추기 위한 배치위지 조정 모습을 도시한 도면)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변화후 영상이미지에 표시되는 연결선(T')을 변화전 영상이미지에 표시되는 연결선(T)의 배치각도와 길이 등의 비율로 맞춰서 도 11의 (b)도면과 같이 새로운 연결선(T")을 생성하고, 이때 해당 중점(c3)에 대한 신생 지상물이미지(NB-1)를 이동시켜서 도 10의 (b)도면과 같이 완성한다. 참고로, 본 실시의 영상이미지 편집모듈은 연결선(T, T') 조정 과정에서 중점만을 이동시킬 뿐이고, 지상물이미지는 원형을 그대로 유지한다.
STEP 7) 유효범위 확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이미지는 지상물이미지(B)와 함께 하는 유효범위이미지(201)가 각각 설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의 신생 지상물이미지(NB-1', NB-2')의 둘레에는 도 12(본 발명에 따른 편집장치가 영상이미지의 개체에 유효범위를 표시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와 같이, 항공영상DB(21)에 저장된 변화전,후 영상이미지에 유효범위이미지(202, 206)를 포함하며, 영상이미지 편집모듈(25)은 신생 유효범위이미지(202)와 삭제 대상 유효범위이미지(203, 204)를 각각 확인한다.
한편, 본 실시는 도 12의 (a)도면과 같이 1차 편집이 완료된 영상이미지에서 신생 유효범위이미지(202)와 삭제 대상 유효범위이미지(203, 204)에 갭(gap)이 발생하며, 영상이미지 편집모듈(25)은 이렇게 확인된 갭(S1, S2)의 위치와 범위를 정확히 파악한다.
STEP 8) 추정형상 편집
시계열 처리모듈(29)은 검색모듈(28)이 검색한 시간대별 편집이미지를 확인한다. 더 나아가 시계열 처리모듈(29)은 상기 변화전 영상이미지와 변화후 영상이미지와 관련한 항공영상 이미지를 항공영상DB(21)에서 검색한다.
이렇게 검색된 상기 시간대별 편집이미지와 항공영상이미지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작업 화면에 출력되고, 작업자는 상기 시간대별 편집이미지 상에 지상물이미지의 변화를 확인한다. 참고로, 출력된 상기 시간대별 편집이미지들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간격을 이루므로, 작업자는 상기 시간대별 편집이미지 상에 지상물이미지의 변화를 상세히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간대별 편집이미지의 지상물이미지는 실제 지상물의 형상에 상응하는 지상물이미지 외에도, 추정형상으로 삽입해 편집된 지상물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에서 도 4의 (a)도면은 시간대별 편집이미지에서 변화 이전의 학교 운동장 이미지(G-1)이고, 도 4의 (b)도면은 시간대별 편집이미지에서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중의 학교 운동장 이미지(G-1')이다. 여기서, 학교 운동장 이미지(G-1')에는 공사구간(P)을 구획하기 위한 경계선(P1)이 도시되고, 공사구간(P)에는 공사 등을 위한 각종 물품(P2, P3)이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도 6에서 보인 항공영상 이미지에서는 공사구간(P)이 학교 본관과 통하는 제1통로(W1)와 학교 외부로 나갈 수 있는 2개의 출구(W2, W3)에 연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모래바닥이었던 해당 공사구간(P)을 포장 도로(P1')로 시공하기 위한 것임을 추정할 수 있고, 물품(P2, P3)의 배치 위치를 토대로 포장 도로(P1')의 완공된 형상을 추정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추정형상에 관한 데이터를 시계열 처리모듈(29)에 입력하고, 시계열 처리모듈(29)은 상기 추정형상의 대상이 되는 지상물이미지 또는 유효범위이미지의 집합체를 검색하여 상기 집합체의 이미지를 추정형상으로 편집해 갱신한다.
STEP 9) 파트 단위 구성
본 실시의 편집장치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이미지를 파트 단위로 관리한다. 따라서 지상물이미지(B)는 물론 유효범위이미지 또한 도 13(본 발명에 따른 편집장치가 지상물을 단위별로 분류해서 갱신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에서 보인 대로 지상물 집합체(401)와 유효범위 집합체(601)로 구성해 관리되고, 해당 영상이미지의 베이스에도 지상물 집합체(401)와 유효범위 집합체(601)가 각각 배치되는 구간(D3, D4)이 설정된다.
따라서 갱신모듈(26)은 신생 지상물이미지(NB-1', NB-2')가 위치하는 파트와 신생 유효범위이미지(202, 206)가 위치하는 파트를 각각 설정하고, 이렇게 설정된 파트 집합체인 신생 지상물 집합체(401)와 신생 유효범위 집합체(601)를 생성한다.
한편, 영상이미지 편집모듈(25)이 확인한 갭(S1, S2)은 변화전,후 영상이미지 내 지상물 집합체 또는 유효범위 집합체에 변화가 있음을 의미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상물 집합체 또는 유효범위 집합체가 삽입되는 영상이미지의 베이스 내 구간에도 변화가 있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이유로, 갱신모듈(26)은 신생 유효범위이미지(202)와 삭제 대상 유효범위이미지(203, 204) 간의 갭(S1, S2)은 물론, 신생 지상물이미지와 삭제 대상 지상물이미지 간의 갭을 확인하고, 변화전 영상이미지의 베이스에서 삭제 대상 유효범위 집합체(303, 315)의 삽입 구간과 삭제 대상 지상물 집합체(103, 115)의 삽입 구간을 삭제한다. 대신에 갱신모듈(26)은 신생 지상물 집합체(401)와 신생 유효범위 집합체(601)를 삽입하는 구간(D3, D4)을 생성한다.
계속해서, 갱신모듈(26)은 새로 생성한 영상이미지의 베이스 내 구간(D3, D4)에 신생 지상물 집합체(401)와 신생 유효범위 집합체(601)를 모두 삽입한다.
참고로, 영상이미지 내 베이스 구간과 집합체는 영상이미지에 삽입되거나 삭제되어야 할 유효범위이미지와 지상물이미지 각각의 대상과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정보에 불과하므로, 도 13과 같이 임의의 집합체가 다른 집합체의 유효범위이미지 또는 지상물이미지과 겹쳐도 다른 집합체의 유효범위이미지 또는 지상물이미지가 가려지거나 삭제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집합체 내 유효범위이미지 또는 지상물이미지만이 영상이미지에 삽입되거나 삭제된다.
결국, 항공영상을 바탕으로 단순 도화작업을 한 신생 이미지만으로도 새로운 영상이미지를 손숩게 완성해서 지도로서 활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서로 다른 위치를 촬영한 다수의 항공영상 이미지를 서로 조합해서 하나의 통합된 항공영상 이미지로 서로 편집하고, 상기 통합된 항공영상 이미지에 포함되는 지상물이미지별로 GPS좌표와 지상물 명칭을 수집데이터로 링크해서 항공영상 데이터로 생성하는 데이터 수집부(10), 및
    영상이미지 베이스에 다수의 지상물 집합체가 조합되어 이루어진 변화전,후 영상이미지와 상기 통합된 항공영상 이미지와 수집데이터를 저장하는 항공영상DB(21); 변화전 영상이미지 내에서 일정한 간격의 격자형 파트 구성과 지상물이미지의 배치 기준을 잡기 위한 기준점 정보와, 상기 수집데이터를 저장하는 수집데이터DB(21'); 항공영상DB(21)에 저장된 항공영상 데이터 및 영상이미지 데이터 기반의 시간대별 편집이미지를 저장하는 시계열영상DB(27); 상기 항공영상 데이터의 항공영상 이미지와 해당 영상이미지와 수집데이터를 항공영상DB(21) 및 수집데이터DB(21')에서 각각 검색해서 영상이미지를 제작하되, 신규 항공영상 이미지를 바탕으로 지상물이미지만을 도화해서 변화후 영상이미지을 제작하고 항공영상DB(21)에 저장하는 영상이미지 처리모듈(22); 항공영상DB(21)에서 검색한 상기 변화후 영상이미지에서 일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변화후 지상물이미지들의 중점을 각각 변화후 연결선으로 연결하고, 상기 변화후 영상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화전 영상이미지를 항공영상DB(21)에서 검색하며, 상기 변화전 영상이미지에서 일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변화전 지상물이미지들의 중점을 각각 변화전 연결선으로 연결하는 분석모듈(23); 분석모듈(23)의 확인대상인 상기 변화전 영상이미지와 변화후 영상이미지에 대한 시간대별 편집이미지들을 시계열영상DB(27)에서 검색하는 검색모듈(28); 상기 변화전 연결선과 변화후 연결선을 서로 비교해서 소멸되거나 생성된 연결선을 확인하고, 소멸 또는 생성된 해당 연결선의 중점을 확인하여 영상이미지에서 삭제 대상 지상물이미지와 신생 지상물이미지를 확인하는 갱신대상 분류모듈(24); 상기 변화후 영상이미지 내 신생 지상물이미지의 중점과 연결된 변화후 연결선을 이웃 연결선과 연결하고, 상기 변화전 영상이미지 내 변화전 지상물이미지의 중점과 연결된 변화전 연결선 중에서 상기 이웃 연결선에 대응하는 변화전 연결선의 배치각도와 길이 비율로 상기 변화후 연결선과 이웃 연결선을 맞춰서 상기 신생 지상물이미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영상이미지 편집모듈(25); 상기 변화전,후 영상이미지와 시간대별 편집이미지를 비교해서 위치별 지상물이미지들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확인하고, 변화가 확인된 대상 집합체의 지상물이미지를 추정형상으로 편집하는 시계열 처리모듈(29); 영상이미지 편집모듈(25)이 상기 신생 지상물이미지를 이동시킨 위치에 대한 파트들을 설정하고, 상기 파트들의 집합체를 신생 지상물 집합체(401)로 생성하며, 상기 영상이미지 베이스에 신생 지상물 집합체(401)가 삽입되어야 할 위치 및 범위로 구간을 생성하여, 신생 지상물 집합체(401)를 상기 구간에 삽입하는 갱신모듈(26);을 구비한 영상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열 항공영상의 화면분할을 위한 구간별 영상이미지 편집장치.
KR1020160160588A 2016-11-29 2016-11-29 시계열 항공영상의 화면분할을 위한 구간별 영상이미지 편집장치 KR101763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588A KR101763883B1 (ko) 2016-11-29 2016-11-29 시계열 항공영상의 화면분할을 위한 구간별 영상이미지 편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588A KR101763883B1 (ko) 2016-11-29 2016-11-29 시계열 항공영상의 화면분할을 위한 구간별 영상이미지 편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883B1 true KR101763883B1 (ko) 2017-08-01

Family

ID=59650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588A KR101763883B1 (ko) 2016-11-29 2016-11-29 시계열 항공영상의 화면분할을 위한 구간별 영상이미지 편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88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1687A (zh) * 2018-12-12 2019-05-31 深圳慧源创新科技有限公司 无人机图传视频编辑方法和技术
KR102070169B1 (ko) * 2019-08-27 2020-01-28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수치지형도 좌표데이터를 현지에 맞춰 업데이트 처리하는 수치지형도 시스템
KR102200774B1 (ko) * 2020-07-06 2021-01-11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디지털 영상의 왜곡을 수정하고 복원하는 공간영상 처리시스템
KR102350117B1 (ko) 2021-10-06 2022-01-12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지형변화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부분 편집을 처리하는 영상도화 수정처리시스템
KR102350115B1 (ko) 2021-10-06 2022-01-12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산악지대 영상의 보정을 위한 기준점별 영상분석 생성시스템
KR102474731B1 (ko) * 2022-06-02 2022-12-07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공간영상도화 이미지의 매핑을 위한 경계라인의 수정시스템
KR102474733B1 (ko) * 2022-06-02 2022-12-07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불분명 이미지의 자동 복원 기능을 갖춘 영상이미지 처리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034B1 (ko) 2006-04-11 2006-06-02 새한항업(주) 지형지물 정보데이터를 수치지도에 업데이트하는 방법
KR100945087B1 (ko) 2009-08-13 2010-03-04 (주)선운 이앤지 지형 및 지형물 변화에 따른 기준점 대비 측지확인시스템
JP2010128565A (ja) 2008-11-25 2010-06-10 Nec System Technologies Ltd 建築物変化検出装置、建築物変化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02407B1 (ko) 2010-07-23 2010-12-21 (유)대산이앤씨 지표면의 기준점 위치확인 및 지형정보를 적용한 공간영상도화용 보정시스템
KR101502871B1 (ko) 2014-09-29 2015-03-18 (주)아세아항측 오류 영상이미지의 자동인식 및 정밀 수정처리를 위한 영상이미지 수정시스템
KR101564410B1 (ko) 2015-07-27 2015-11-02 (주)아세아항측 영상이미지의 구간별 링크정보 수정을 위한 영상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034B1 (ko) 2006-04-11 2006-06-02 새한항업(주) 지형지물 정보데이터를 수치지도에 업데이트하는 방법
JP2010128565A (ja) 2008-11-25 2010-06-10 Nec System Technologies Ltd 建築物変化検出装置、建築物変化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45087B1 (ko) 2009-08-13 2010-03-04 (주)선운 이앤지 지형 및 지형물 변화에 따른 기준점 대비 측지확인시스템
KR101002407B1 (ko) 2010-07-23 2010-12-21 (유)대산이앤씨 지표면의 기준점 위치확인 및 지형정보를 적용한 공간영상도화용 보정시스템
KR101502871B1 (ko) 2014-09-29 2015-03-18 (주)아세아항측 오류 영상이미지의 자동인식 및 정밀 수정처리를 위한 영상이미지 수정시스템
KR101564410B1 (ko) 2015-07-27 2015-11-02 (주)아세아항측 영상이미지의 구간별 링크정보 수정을 위한 영상처리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1687A (zh) * 2018-12-12 2019-05-31 深圳慧源创新科技有限公司 无人机图传视频编辑方法和技术
KR102070169B1 (ko) * 2019-08-27 2020-01-28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수치지형도 좌표데이터를 현지에 맞춰 업데이트 처리하는 수치지형도 시스템
KR102200774B1 (ko) * 2020-07-06 2021-01-11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디지털 영상의 왜곡을 수정하고 복원하는 공간영상 처리시스템
KR102350117B1 (ko) 2021-10-06 2022-01-12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지형변화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부분 편집을 처리하는 영상도화 수정처리시스템
KR102350115B1 (ko) 2021-10-06 2022-01-12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산악지대 영상의 보정을 위한 기준점별 영상분석 생성시스템
KR102474731B1 (ko) * 2022-06-02 2022-12-07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공간영상도화 이미지의 매핑을 위한 경계라인의 수정시스템
KR102474733B1 (ko) * 2022-06-02 2022-12-07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불분명 이미지의 자동 복원 기능을 갖춘 영상이미지 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883B1 (ko) 시계열 항공영상의 화면분할을 위한 구간별 영상이미지 편집장치
KR101731103B1 (ko) 변화전,후 디지털 항공사진 보정을 통한 지형변화정보 갱신을 위한 수치도화시스템
KR101691620B1 (ko) 드론에서 항공 수집한 원시영상의 분석과 mms 연동을 통한 도로기반시설물의 변화지역 갱신시스템
CN109472483B (zh) 一种基于bim模型及航拍技术的工地现场建模方法和系统
US9183646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to generate electronic records of underground facility marking operations performed with GPS-enabled marking devices
KR101558467B1 (ko) 지피에스 수신기의 동선에 따라 수치지도에 링크된 수치좌표를 보정하는 수치정보 시스템
CN103778681A (zh) 一种车载高速公路巡检系统及数据获取和处理方法
KR102170235B1 (ko) 상하수관로 상태 정보 분석 및 모델링 방법
CA2715312C (en) Searchable electronic records of underground facility locate marking operations
CN111651036A (zh) 用于电力巡检的无人机模拟训练系统及方法
KR101719700B1 (ko) Ufid 부여를 통한 객체단위 구축방식의 수치지도 섹션별 갱신시스템
JP2020064555A (ja) 巡視用サーバ、及び巡視点検システム
CN112837414B (zh) 基于车载点云数据的三维高精度地图的构建方法
KR101393273B1 (ko) 노면 텍스쳐 영상 고도화 시스템
KR102343416B1 (ko) 도엽별 수치지도 분석에 따른 지정 파트의 자동 클리핑 출력시스템
KR102362509B1 (ko) 영상도화이미지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도화오류 자동 검색기능의 영상도화시스템
CN106777078A (zh) 一种基于信息数据库的视频检索方法和系统
KR20230100001A (ko) 도로의 정비보수를 위한 도로 통합관리 시스템
KR102103464B1 (ko) 시설물 설계 정보 복원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Gonçalves et al. Planar projection of mobile laser scanning data in tunnels
KR102642146B1 (ko) Ufid 부여를 통한 개체단위 구축방식으로 수치지도를 섹션별로 갱신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630364B1 (ko) 기준점 설정에 따른 개체단위 구축방식으로 수치지도를 합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668541B1 (ko) Gnss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주변 시설물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534829B1 (ko)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에 지상의 객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JP6996706B2 (ja) 現地調査支援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