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365B1 - Device for maintaining tension of anchor - Google Patents

Device for maintaining tension of anch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365B1
KR101763365B1 KR1020160042516A KR20160042516A KR101763365B1 KR 101763365 B1 KR101763365 B1 KR 101763365B1 KR 1020160042516 A KR1020160042516 A KR 1020160042516A KR 20160042516 A KR20160042516 A KR 20160042516A KR 101763365 B1 KR101763365 B1 KR 101763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pulling wire
bobbin
tension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5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선태
이경환
손준식
김헌우
전주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Priority to KR1020160042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3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3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50Control devices automatic for maintaining predetermined rope, cable, or chain tension, e.g. in ropes or cables for towing craft, in chains for anchors; Warping or mooring winch-cable tens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66D1/72Anchor-chain sprockets; Anchor capst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5/00Tethers
    • B63B270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커 장력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위 변화가 변하더라도 부체를 해저에 고정시키는 앵커 체인에 가해지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부체의 전후좌우 이동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부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 장력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는, 부체와 해저 바닥에 고정된 앵커를 연결하는 앵커연결 체인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앵커 장력 유지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인양부에 연결되어 당겨지고 이완되는 당김 와이어와, 움직도르래와 상기 부체에 고정된 고정도르래가 구비되어, 상기 당김 와이어가 상기 움직도르래를 거쳐 움직도르래와 고정도르래의 풀리 사이를 왕복하게 감겨 타단이 상기 움직도르래 또는 고정도르래에 고정되고, 상기 앵커연결 체인이 상기 움직도르래에 연결되는 풀리윈치 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chor tension maintai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chor tension maintaining apparatus capable of maintaining a tension applied to an anchor chain fixed to a submarine even when a water level change is changed, Thereby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anchor tension.
The anchor tension maint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chor tension maintaining device for maintaining the tension of an anchor connecting chain connecting a subject and an anchor fixed to the bottom of the sea floor, And a fixed sheave fixed to the moving body, wherein the pulling wire is wound around the moving sheave and the pulley of the fixed sheave so as to be reciprocated,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moving sheave or fixed sheave, And an anchor connecting chain connected to the moving pulley.

Description

앵커 장력 유지 장치{DEVICE FOR MAINTAINING TENSION OF ANCHO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chor tension mainta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앵커 장력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위 변화가 변하더라도 부체를 해저에 고정시키는 앵커 체인에 가해지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부체의 전후좌우 이동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부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 장력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chor tension maintai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chor tension maintaining apparatus capable of maintaining a tension applied to an anchor chain fixed to a submarine even when a water level change is changed, Thereby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anchor tension.

선박이나 부잔교와 같은 부체는 부두에서의 정박을 위해서는 해저 바닥에 고정된 앵커에 체인으로 연결된다. 도 1, 도 2a 및 도 2b는 일반적인 종래의 해상에서 정박된 부체를 갖는 부잔교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부잔교는 일반적으로 수상에 부유된 부체(1)가 잔교(2)로 육상 부두(F)에 연결된다. Vessels such as ships or float bridges are connected by chains to anchors fixed to the bottom of the sea for berth at berth. Figures 1, 2a and 2b illustrate a typical conventional marine floating bridges with maritime anchors. Referring to the drawings, a conventional floating bridge is generally connected to a land jetty F by a piercing bridge 2, which is a floating body 1 floating on the water.

상기 부체(1)는 그 전단은 부두연결 체인(3)으로 육상부두(F)와 연결되고, 그 후단은 앵커연결 체인(4)으로 해저면에 고정된 앵커(4a)와 연결되어 해상에 정박된다. 상기 부두연결 체인(3) 및 앵커연결 체인(4)은 각각 한 쌍이 구비되어 좌우 균형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자형으로 교차되어 부체(1)에 연결된다. The front end of the body 1 is connected to the land jetty F by a dock connecting chain 3 and the rea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an anchor 4a fixed to the sea floor by an anchor connecting chain 4, do. The pier coupler chain 3 and the anchor coupler chain 4 are each provided with a pair and are connected to the body 1 in an 'X' shape as shown in FIG.

통상 상기 부체(1)는 조수간만차가 큰 해상에서 잔교(2)로 육상부두(F)와 연결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조석 간만의 변화에 따라 부체(1)가 상하로 높이가 달라지는 과정에서 잔교(2)가 부체(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부체(1)와 육상부두(F)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부두연결 체인(3) 및 앵커연결 체인(4)은 통상 중량이 무겁게 하여 느슨하게 처지게 설치되어 체인 무게에 의한 장력이 부두연결 체인(3) 및 앵커연결 체인(4)에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Since the main body 1 is provid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land jetty F by a bridle 2 in a marine state where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tides is larg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ing body 1 and the land jetty F is kept constant so that the supporting body 1 is not separated from the supporting body 1. [ For this purpose, the dock connection chain 3 and the anchor connection chain 4 are normally loosely sagged so that their weight is heavy, so that tension due to the chain weight is formed in the dock connection chain 3 and the anchor connection chain 4 have.

그런데, 상기와 같이 부두연결 체인(3) 및 앵커연결 체인(4)이 연결된 상태에서 조석 간만에 의해 부체(1)가 상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앵커연결 체인(4)의 일부는 해저면에 놓이고 들리는 정도가 달라져 앵커연결 체인(4)의 무게 변화로 이에 걸리는 장력이 변화하는 문제를 갖는다. 도 2a 및 도 2b는 간만의 차에 의해 부체(1)의 높이가 변화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만조시의 상태를 도 2b는 간조시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수위가 변화하더라도 부두연결 체인(3)은 만조시의 처진 길이(L11)과 간조시의 처진 길이(L12)의 변화가 없어 이에 걸리는 장력에는 변화가 없다. 이에 반하여, 만조시와 같이 수위가 상승하면 앵커연결 체인(4)은 해저면에서 들려 수중에서 처진 길이(L21)이가 길어지고, 간조시와 같이 수위가 하강하면 앵커연결 체인(4)는 해저 바닥에 놓이는 부분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수중에서 처진 길이(L22)가 짧아져 체인의 무게에 의해 발생되는 장력의 변화가 상기 앵커연결 체인(4)에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장력의 변화는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이 부체(1)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의 변화를 의미하며 결과적으로 간조시에 상기 부체(1)가 부두(F)를 향하는 방향(A)으로 당겨져 이동되고 반대의 경우가 발생되는 등 조석 간만에 의해 상기 부체(1)가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문제가 발생된다.In the process of moving the supporting body 1 up and down only by the tide interval in a state where the pier connecting chain 3 and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are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a part of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is placed on the sea floor The tension applied to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varies depending on the weight change of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Figs. 2A and 2B show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supporting body 1 is changed by the difference in the tide. Fig. 2A shows a state during high tide, and Fig. 2B shows a state during low tide. Referring to FIGS. 2A and 2B, even if the water level changes, there is no change in the tension applied to the dock connection chain 3 because there is no change in the sagging length L11 during high tide and the sagging length L12 during low tide. 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level rises as in the high tide,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is lifted from the sea floor and the length L21 of the water droplet is increased. When the water level falls as in low water level, So that the length L22 in the water is shortened and a change in the tension caused by the weight of the chain is generated in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 The change in the tension described above means a change in the force by which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pulls the main body 1 backward and consequently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1 faces the quay F And the opposite case is generated. In this case, the main body 1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only by the tide of the tide.

아울러, 상기 앵커연결 체인(4)에 걸리는 장력의 변화가 좌우에 불균형적으로 발생되는 경우 부체(1)에 가해지는 힘의 불균형으로 부체(1)가 좌우로 틀어지거나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In addition, when the tension applied to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is unevenly generat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supporting body 1 is tilted or tilted right and left due to unbalanced force applied to the supporting body 1. [

상기와 같은 부체(1)의 전후좌우 방향 이동 및 회전, 부체(1)의 기울어짐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경우 잔교(2)가 부체(1)에 연결된 부위에 손상이 진행되고, 잔교(2)에 비틀림이 가해지면서 결과적으로 잔교의 파손을 불러온다.When the body 1 is continuously moved and rotated in the longitudinal and lateral directions and the inclination of the body 1 is continuously repeated, damage is progressed at the portion where the bridges 2 are connected to the body 1, As a result, the breakage of the pier is caused.

상기와 같은 수위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정박 와이어의 장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2683호에는 수위의 변화에 따라 부유체를 정박시키기 위한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소형 선박을 위한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접안시설'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cope with the change in the tension of the anchoring wire varying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water level chang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3-0062683 discloses a small vessel " And an eyepiece equipped with the module.

그러나, 상기 기술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와이어가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장력을 유지하는 방식이어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체인의 무게로 장력을 발생시키는 통상의 부잔교 등에 적용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technique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conventional floating bridge which causes a tensile force due to the weight of the chain as well as a complicated structure because the tension is maintained by pulling the wire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2683호 : 소형 선박을 위한 접안시설용 부유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접안시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3-0062683: Flotation Module for a Vessel for a Small Ship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위 변화가 변하더라도 부체를 해저에 고정시키는 앵커 체인에 가해지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부체의 전후좌우 이동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부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 장력 유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inimiz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body by keep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anchor chain fixed to the sea floor constant, But also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anchor tension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는, 부체와 해저 바닥에 고정된 앵커를 연결하는 앵커연결 체인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앵커 장력 유지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인양부에 연결되어 당겨지고 이완되는 당김 와이어와, 움직도르래와 상기 부체에 고정된 고정도르래가 구비되어, 상기 당김 와이어가 상기 움직도르래를 거쳐 움직도르래와 고정도르래의 풀리 사이를 왕복하게 감겨 타단이 상기 움직도르래 또는 고정도르래에 고정되고, 상기 앵커연결 체인이 상기 움직도르래에 연결되는 풀리윈치 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chor tension maintaining apparatus for maintaining tension of an anchor connecting chain connecting a body and an anchor fixed to a bottom of a sea floor, And a fixed sheave fixed to the movable sheave, wherein the pulling wire is wound around the moving sheave and the pulley of the fixed sheave in a reciprocating manner, and the other end is moved in the moving sheave Or pulley winch means fixed to the fixed sheave and to which the anchor connecting chain is connected to the moving she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는, 상기 당김 와이어는, 일단이 인양부에 연결된 제1 당김 와이어와, 상기 풀리윈치 수단에 감기는 제2 당김 와이어로 구성되고, 제1 보빈과 제2 보빈이 일체로 회전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보빈에 상기 제1 당김 와이어가 감기고 풀리게 연결되며, 상기 제1 당김 와이어가 제1 보빈에 감기는 경우 상기 제2 당김 와이어가 상기 제2 보빈에서 풀리고 상기 제1 당김 와이어가 제1 보빈에서 풀리는 경우 상기 제2 당김 와이어가 상기 제2 보빈에 감기게 상기 제2 당김 와이어가 상기 제2 보빈에 연결된 중계 풀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nchor tension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ulling wire comprises a first pulling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ifting portion and a second pulling wire wound around the pulley winch means, The first pulling wire is wound and loosely connected to the first bobbin, and when the first pulling wire is wound on the first bobbin, the second pulling wire is loosened from the second bobbin, And a relay pulley connected to the second bobbin so that the second pulling wire is wound on the second bobbin when the first pulling wire is unwound from the first bobbi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는, 상기 중계 풀리는 제2 보빈의 직경이 상기 제1 보빈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anchor tension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second bobbin for relaying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bobbin.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는 수위 변화가 변하더라도 부체를 해저에 고정시키는 앵커 체인에 가해지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부체의 전후좌우 이동을 최소화할 뿐만 부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anchor tension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tension applied to the anchor chain fixing the body to the seabed even when the water level change changes, thereby minimizing the lateral movement of the body, To be maintained.

도 1은 일반적인 부잔교에 종래와 같이 체인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a 및 도 2b는 일반적인 부잔교에서 수위 변화에 따른 체인의 길이 변화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상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에서 중계 풀리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에서 장력 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chains are connected to a general floating bridge in a conventional manner;
Figs. 2A and 2B are side views conceptually showing a change in length of a chain due to a change in water level in a general floating bridge
3 is a side view of a floating bridge having an anchor tension maint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floating bridge having an anchor tension maint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n anchor tension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a floating bridge having an anchor tension maint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a floating bridge having an anchor tension maint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etailed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anchor tension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pulley in the anchor tension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a tension relationship in an anchor tension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nchor tension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embodiment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부잔교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상세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에서 중계 풀리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에서 장력 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floating bridge having an anchor tension maint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floating bridge having an anchor tension maint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n anchor tension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floating bridge having an anchor tension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8 is a detailed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anchor 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chor tension hol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a relay pulley in an anchor tension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tension relationship in an anchor tension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10)는 부두에 정박되는 선박이나 부잔교 등에 적용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10)가 부두(F)에 정박된 부체(1)를 갖는 부잔교에 적용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anchor tension hold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hip or a floating bridge which is anchored to a whar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applied to floating bridges having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10)가 적용되어 질 수 있는 부잔교는 수상에 부유된 부체(1)가 잔교(2)로 육상 부두(F)에 연결되며, 상기 부체(1)는 그 전단은 부두연결 체인(3)으로 육상부두(F)와 연결되고, 그 후단은 앵커연결 체인(4)으로 해저면에 고정된 앵커(4a)와 연결되어 해상에 정박된다. 상기 부두연결 체인(3) 및 앵커연결 체인(4)은 각각 한 쌍이 구비되어 좌우 균형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자형으로 교차되어 부체(1)에 연결된다. 상기 부체(1)는 저부(1a)가 수면에 떠서 부력을 발생시키고, 상부가 갑판(1b)으로 덮힌 구조를 갖는다.The floating body 1 to which the anchor tension hold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s connected to the land jetty F with the bridge 2 as the floating body 1, Is connected to the land jetty (F) by a dock connecting chain (3), and its rear end is connected to an anchor (4a) fixed to the sea floor by an anchor connecting chain (4) The pier coupler chain 3 and the anchor coupler chain 4 are each provided with a pair and are connected to the body 1 in an 'X' shape as shown in FIG. The body 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portion 1a is floated on the water surface to generate buoyancy and the upper portion is covered with the deck 1b.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10)는 조수간만차에 의해 부체(1)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을 느슨하게 하고, 상기 부체(1)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을 잡아당겨 팽팽하게 함으로써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이 해저 바닥에서 들려진 앵커연결 체인(4)의 부분의 변화를 최소화시켜 앵커연결 체인(4)의 무게에 의한 장력 변화를 최소화시켜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장력 유지 장치(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nchor tension hold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osens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when the supporting body 1 is lifted by the tide difference tandem and when the supporting body 1 descends, 4) is stretched to minimize the change of the portion of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lifted from the floor of the anchor by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thereby minimizing the change in the tension due to the weight of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And a tension holding device 10 for holding the tension hold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장력 유지 장치(10)는 중계 풀리(11), 움직도르래(12), 고정도르래(13), 보호 공간(14), 가이드롤러(15,16), 제1 및 제2 당김 와이어(W1,W2) 및 연결 와이어(W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nchor tension hold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xiliary pulley 11, a movable pulley 12, a fixed pulley 13, a protective space 14, guide rollers 15 and 16, Wires W1 and W2, and a connection wire W3.

상기 중계 풀리(11)는 상기 부체(1)의 상하 승강에 의해 부두(F)와 같은 육상이나 별도의 윈치와 같은 인양수단에 연결된 제1 당김 와이어(W1)의 당겨지고 늘어나는 길이의 변화를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의 당겨지고 늘어나는 길이 변화로 전환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부체(1)의 전방 좌우 각각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중계 풀리(11)에는 직경이 작은 제1 보빈(111)과, 직경이 큰 제2 보빈(112)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일체로 회전되게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 보빈(111)에는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가 감기고 풀리게 연결되며, 상기 제2 보빈(112)에는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가 감기고 풀리게 연결된다. 도 9는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이 부두(F)를 인양부로 하여 연결되어 상기 중계 풀리(11)에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 및 제2 당김 와이어(W2)가 감긴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간조시에 상기 부체(1)가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부체(1)가 부두(F)에서 멀어지기 때문에 육상으로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부두(F)에 연결된 제1 당김 와이어(W1)는 상기 부두(F)에 의해 당겨지게 되어 도 9의 (a)부분에 도시된 바와 상기 제1 보빈(111)에서 풀려(B11) 길이가 길어 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가 제1 보빈(111)에서 풀리는(B11) 경우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는 상기 제2 보빈(112)에 감기게(B21) 상기 제2 보빈(112)에 연결된다. 한편, 만조시에 상기 부체(1)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부체(1)는 부두(F)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상기 부두(F)에 연결된 제1 당김 와이어(W1)는 느슨해지게 이완되고, 그에따라 도 9의 (b)부분에 도시된 바와 상기 제1 보빈(111)에서 감기면서(B12) 길이가 짧아 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가 제1 보빈(111)에 감기는(B12) 경우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는 상기 제2 보빈(112)에서 풀리게 된다(B22).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 및 제2 당김 와이어(W2)는 제2 당김 와이어(W2)에 연결된 움직도르래(12)를 잡아당기게 되는데, 제1 보빈(111) 및 제2 보빈(112)의 직경차로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와 제2 당김 와이어(W2)가 잡아 당겨지는 길이 및 와이어에 걸리는 장력에 변화가 발생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면에는 상기 제1 보빈(111)의 반경(r1)과 제2 보빈(112)의 반경(r2)의 비가 r1:r2=1:2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반경비를 갖는 경우 상기 중계 풀리(11)의 중계에 의해 제2 당김 와이어(W2)는 제1 당김 와이어(W1)의 당겨지거나 풀어지는 길이의 2배만큼 당겨지고 풀리게 되고, 제2 당김 와이어(W2)에 걸리는 장력(T2)는 제1 당김 와이어(W1)에 걸리는 장력(T1)의 0.5배가 된다. 즉, r2 = 2*r1, T2 = 0.5*T1인 관계가 성립한다.The relay pulley 11 is configured to change the pulling and elongating length of the first pulling wire W1 connected to the lifting means such as land or another winch such as the quay F by the vertical lifting of the body 1 And is fixedly installed on each of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1 in a configuration for switching to a pulled and extended length change of the second pulling wire W2. Referring to FIG. 1, the relay pulley 11 includes a first bobbin 111 having a small diameter and a second bobbin 112 having a large diameter, which are integrally rotated. The first pulling wire W1 is wound and loosely connected to the first bobbin 111 and the second pulling wire W2 is wound and loosely connected to the second bobbin 112. [ 9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pulling wire W1 is connected with the pier F as a lifting portion and the first pulling wire W1 and the second pulling wire W2 are wound on the relay pulley 11 Respectively. The first pulling wire W1 connected to the wharf F which is kept fixed on the land because the body 1 moves away from the wharf F when the body 1 descends during low tide Is pulled by the quay (F), and the length of the first bobbin 111 is loosened (B11) as shown in FIG. 9 (a). When the first pulling wire W1 is unwound (B11) from the first bobbin 111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pulling wire W2 is wound on the second bobbin 112 (B21) Lt; / RTI > On the other hand, when the body 1 is lifted at the time of high tide, the first pulling wire W1 connected to the quay F is relaxed loosely because the body 1 is close to the quay F, As shown in FIG. 9 (b), the length of the first bobbin 111 is shortened while the first bobbin 111 is wou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pulling wire W1 is wound on the first bobbin 111 (B12), the second pulling wire W2 is released from the second bobbin 112 (B22). As a result, the first pulling wire W1 and the second pulling wire W2 pull the movable sheave 12 connected to the second pulling wire W2, and the first bobbin 111 and the second bobbin 112 The length of the first pulling wire W1 and the pulling force of the second pulling wire W2 are pulled and the tension applied to the wire is changed. 8, the ratio r1: r2 = 1: 2 between the radius r1 of the first bobbin 111 and the radius r2 of the second bobbin 112 is shown in the figure, The second pulling wire W2 is pulled and unwound by twice the length of pulling or loosening of the first pulling wire W1 by the relay of the relay pulley 11, The tension T2 applied to the wire W2 is 0.5 times the tension T1 applied to the first pulling wire W1. That is, r2 = 2 * r1 and T2 = 0.5 * T1 are satisfied.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 일단이 인양부(도면에 미도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중계 풀리(11)의 제1 보빈(111)에 연결되어 상기 부체(111)의 승하강시 상기 제1 보빈(111)에 감기고 풀리게 된다. 상기 인양부는 상기 부체(1)의 하강으로 앵커연결 체인(4)이 느슨해지게 이완되면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를 당기고, 반대로 상기 부체(1)의 상승으로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이 팽팽하게 잡아당겨지면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를 이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에는 상기 인양부로 간만에 의해 전혀 고도(높이)가 변하지 않는 육상 부두(F)가 인양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이 연결되어 상기 부체(1)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가 팽팽해지거나 느슨해지게 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가 윈치와 같은 별도의 인양수단에 연결되게 구성되어 질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pulling wire W1 is connected to a lifting portion (not shown in the figur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first bobbin 111 of the relay pulley 11, It is wound around the bobbin 111 and released. The lifting portion pulls the first pulling wire W1 when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is loosened due to the lowering of the body 1 and conversely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is pulled up by the lifting of the body 1, And is configured to relax the first pulling wire W1 when it is pulled tightly. The first pulling wire W1 is connected so that a land jetty F in which the altitude (height) does not change at all by the tilt of the lifting portion serves as a lifting portion, An embodiment is shown in which one pulling wire W1 is strained or loosen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pulling wire W1 is connected to a separate lifting means such as a winch as shown in the drawing.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는 일단이 상기 중계 풀리11)의 제2 보빈(112)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보빈(112)에 감기고 풀리게 된다.One end of the second pulling wire W2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bbin 112 of the relay pulley 11 and is wound and unwound on the second bobbin 112. [

한편, 도면에는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와 제2 당김 와이어(W2)가 중계 풀리(11)에 의해 장력이 T1에서 T2로 변환되게 구성되어 있으나, 장력의 변화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와 제2 당김 와이어(W2)는 중계 풀리(11)를 통하지 않고 직접 연결되어 질 수 있다(또는 제1 당김 와이어와 제2 당김 와이어는 일체로 연결되어 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gure, the first pulling wire W1 and the second pulling wire W2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tension is changed from T1 to T2 by the relay pulley 11, but when the change of the tension is not required, The first pulling wire W1 and the second pulling wire W2 can be directly connect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relay pulley 11 (or the first pulling wire and the second pulling wire can be integrally connected).

상기 움직도르래(12) 및 고정도르래(13)로 구성된 풀리윈치 수단은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가 감겨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의 장력(T2)을 증가시켜 움직도르래(12)에 연결된 앵커연결 체인(4)에 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10은 제2 당김 와이어(W1)가 움직도르래(12) 및 고정도르래(13)에 감긴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인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중계 풀리(2)에 일단이 연결된 제2 당김 와이어(W2)는 상기 부체(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상기 부체(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움직도르래(12)의 도르래 풀리(121) 중 하나에 1회 감기고 다시 부체(1)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부체(1)에 고정된 고정도르래(13)의 도르래 풀리(131)에 1회 감긴 다음, 다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움직도르래(12)의 도르래 풀리(121) 중 다른 하나에 2회차 감긴 다음 다시 후방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고정도르래(13)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의 장력(T2) 변화(또는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움직도르래(12)는 상기 부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게 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움직도르래(12)의 연결부(122)에 연결된 앵커연결 체인(4)를 잡아당기거나 늘어지게 이완시킨다. 상기 고정도르래(13)는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고정부(132)가 상기 부체(1)에 고정된다.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에는 T2로 동일한 장력이 걸리기 때문에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움직도르래(12)에 제2 당김 와이어(W2)가 2회 감긴 경우에는 상기 움직도르래(12)에는 T2의 4배에 해당되는 힘이 가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움직도르래(12)에 연결된 앵커연결 체인(4)에는 T2의 4배에 해당되는 장력(T3)가 걸리게 된다. 이를 수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e pulley winch means constituted by the moving pulley 12 and the fixed pulley 13 is wound on the moving pulley 12 by winding the second pulling wire W2 to increase the tension T2 of the second pulling wire W2 To the connected anchor connecting chain (4). 10 conceptually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ulling wire W1 is wound around the moving pulley 12 and the fixed pulley 13. Referring to Fig. 10, the second pulley wire W1 is connected to the second pulley wire 2, The pulling wire W2 extends rearward from the front of the body 1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body 1 and is wound once on one of the pulley pulleys 121 of the moving pulley 12, Of the pulley 121 of the moving pulley 12 and the other of the pulley pulleys 121 of the moving pulley 12 is extended to the rear side of the pulley 121 of the moving pulley 12 by being once wound around the pulley 131 of the fixed pulley 13 fixed to the body 1, And then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xed sheave 13. The fixed sheave 13 is connected to the fixed sheave 13, The movable sheave 12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 in accordance with a change (or change in length) of the tension T2 of the second pulling wire W2, Thus,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22) of the moving sheave (12) is pulled or loosened. The fixed pulley 13 is fixed to the main body 1 by the fixing portion 132 so as to switch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ulling wire W2. 10, since the same tension is applied to the second pulling wire W2, when the second pulling wire W2 is wound twice on the moving pulley 12 as shown in FIG. 10, A force corresponding to 4 times is applied. As a result, a tensile force T3 corresponding to four times of T2 is applied to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connected to the moving sheave 12. Th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3 = 4*T2 = 4*(0.5*T1) = 2*T1T3 = 4 * T2 = 4 * (0.5 * T1) = 2 * T1

한편, 도면에는 상기 움직도르래(12)에 제2 당김 와이어(W2)가 2회 감긴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감긴 횟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이 곧바로 상기 움직도르래(12)에 연결되지 않고 연결 와이어(W3)의 일단이 상기 움직도르래(12)의 연결부(122)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앵커연결 체인(4)에 연결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연결 와이어(W3)는 필요에 따라 삭제되어 질 수 있는 구성이다.In the figure, the second pulling wire W2 is wound around the moving pulley 12 tw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number of turns may be selected as necessary. In the drawing,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moving sheave 12, one end of the connecting wire W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22 of the moving sheave 12, Although the embodiment is show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hain 4, the connection wire W3 can be eliminated if necessary.

상기 부체(1)의 전방에는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에 걸린 장력 T1과 상기 부두연결 체인(3)에 걸린 장력 T4의 합력(T1+T4)이 가해져 상기 부체(1)를 전방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상기 부체(1)의 후방에 연결된 앵커연결 체인(4)에 걸린 장력 T3에 의해 상기 부체(1)가 후방으로 잡아당겨지면서 평형을 이루게 된다. 즉, 하기 식에 의한 힘의 평형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resultant force (T1 + T4) of the tension T1 caught by the first pulling wire W1 and the tension T4 caught by the pier coupling chain 3 is applied to the front of the body 1 to hold the body 1 forward And the main body 1 is pulled backward by the tension T3 caught by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 to form a balance. That is, the equilibrium of force by the following equation is achieved.

T1+T4(부체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는 장력의 합) = T3 = 2*T1(부체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장력)T1 + T4 = T3 = 2 * T1 (tension pulling the body backwards)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간조시 상기 부체(1)가 하강되는 경우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는 상기 부두(F)에 의해 잡아당겨져 상기 중계 풀리(11)에서 풀리면서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가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을 잡아당기고, 반대로 만조시 상기 부체(1)가 상승되는 경우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는 느슨해지면서 상기 중계 풀리(11)에 감기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가 상기 앵커연결 체인(4)를 놓아줌으로써 상기 앵커연결 체인(4)가 이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이 수중에서 처진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되며 결과적으로 앵커연결 체인(4)에 걸리는 장력 T3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앵커연결 체인(4)에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부체(1)의 하강시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가 제1 보빈(111)에서 풀림으로써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가 제2 보빈(112)에 감겨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가 당겨지면서 그에 따라 상기 움직도르래(12)가 당겨지게 된다.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가 움직도르래(12)를 잡아 당기는 것은 제2 당김 와이어(W2)가 앵커연결 체인(4)을 잡아당기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간조시에는 상기 부체(1)의 하강으로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의 해저 바닥에 놓여지는 부분이 증가하면서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의 수중에서 처진 길이가 감소하게 되지만, 그 감소된 처진 길이는 상기 움직도르래(12)가 앵커연결 체인(4)을 잡아당김으로써 반대로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의 수중에서 처진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The first pulling wire W1 is pulled by the quay F and is pulled by the second pulling wire W2 while being unwound by the relay pulley 11, The first pulling wire W1 is loosened and wound on the relay pulley 11 when the main body 1 is lifted at the time of high tide,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is released by releasing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by the second pulling wire W2. As a result, the length of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is maintained constant in the water, and as a result, the tension T3 applied to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is kept constant. The process of keeping the tension on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The first pulling wire W1 is unwound from the first bobbin 111 so that the second pulling wire W2 is wound on the second bobbin 112 and the second pulling wire W2 Is pulled so that the movable sheave 12 is pulled. The pulling of the movable pulley 12 by the second pulling wire W2 means that the second pulling wire W2 pulls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That is, at the time of low altitude, the portion of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lying on the bottom of the sea floor increases due to the descent of the body 1, thereby reducing the swinging length of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in the water. The swinging length is increased inversely by pulling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by the moving sheave 12 so that the swinging length of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is kept constant.

반대로, 상기 부체(1)의 상승시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가 제1 보빈(111)에 감김으로써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가 제2 보빈(112)에서 풀리면서 상기 제2 당김 와이어(W2)가 길어지게 되면서 그에 따라 상기 움직도르래(12)가 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움직도르래(12)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은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이 느슨하게 이완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만조시에는 상기 부체(1)의 상승으로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의 해저 바닥에 놓여지는 부분이 감소하면서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의 수중에서 처진 길이가 증가하게 되지만, 그 증가된 처진 길이는 상기 움직도르래(12)가 앵커연결 체인(4)을 풀어줌으로써 반대로 감소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의 수중에서 처진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Conversely, when the body 1 is lifted, the first pulling wire W1 is wound on the first bobbin 111 so that the second pulling wire W2 is unwound from the second bobbin 112, The wire W2 becomes long and the moving sheave 12 is moved backward. The movement of the movable sheave 12 to the rear means that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is loosely relaxed. That is, at the time of high tide, the portion of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lying on the bottom of the sea floor decreases due to the rise of the main body 1, while the length of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is increased in the water. The swinging length of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is reduced by reversely rotating the moving sheave 12 by releasing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so that the swinging length of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is kept constant.

상기 보호 공간(14)은 중계 풀리(11), 고정도르래(12), 움직도르래(13) 및 당김 와이어(W1,W2)가 수용되어 보호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 공간(14)은 상기 부체(1)의 갑판(1b)의 하부 좌우 각각에 배치되며, 상기 부체(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중계 풀리(11), 고정도르래(12), 움직도르래(13) 및 당김 와이어(W1,W2)는 상기 보호 공간(14) 내부에 수용된다.The protective space 14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protect the relay pulley 11, the fixed sheave 12, the moving sheave 13 and the pulling wires W1 and W2. Referring to FIG. 1, the protection space 14 is dispos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deck 1b of the body 1, and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 The relay pulley 11, the fixed pulley 12, the moving pulley 13 and the pulling wires W1 and W2 are accommodated in the protective space 14.

상기 가이드롤러(15,16)는 상기 보호 공간(14)의 전방 입구 및 후방 입구 각각에 설치되어 각각 제1 당김 와이어(W1)와 연결 와이어(W3)의 방향이 전환되게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당김 와이어(W1)는 상기 보호 공간(14) 전방 입구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롤러(15)에 지지되어 상기 보호커버(14) 전방 입구에서 인출되어 인양부인 상기 부두(F)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앵커연결 체인(4)을 움직도르래(12)로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W3)은 상기 보호 공간(14) 후방 입구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롤러(16)에 지지되어 상기 보호커버(14) 후방 입구에서 인출되어 상기 앵커연결 체인(4)에 연결된다.The guide rollers 15 and 16 are installed at the front entrance and the rear entrance of the protective space 14 to respectively support the first pulling wire W1 and the connecting wire W3 in a reversed direction. The first pulling wire W1 is supported by the guide roller 15 provided at the front entrance of the protective space 14 and is pulled out from the front entrance of the protective cover 14 to be pulled out from the pier F . The connecting wire W3 connecting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with the moving sheave 12 is supported by the guide roller 16 provided at the rear entrance of the protection space 14, Is drawn out from the inlet and connected to the anchor connecting chain (4).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장력 유지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tension retention device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matter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and the embodiments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bvious to thos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 부두
1 부체
1a 부구
1b 갑판
2 잔교
3 부두연결 체인
4 앵커연결 체인
4a 앵커
10 앵커 장력 유지 장치
11 중계 풀리
111 제1 보빈
112 제2 보빈
12 움직도르래
121 도르래 풀리
122 연결부
13 고정도르래
131 도르래 풀리
132 고정부
14 보호 커버
15,16 가이드 롤러
W1,W2 제1 및 제2 당김 와이어
W3 연결 와이어
F Pier
1 body
1a
1b deck
2 piers
3 Pier connection chain
4 Anchor connection chain
4a anchor
10 Anchor tensioner
11 relay pulley
111 1st bobbin
112 second bobbin
12 moving pulleys
121 pulley pulley
122 connection
13 Fixed Pulley
131 pulley pulley
132 fixed portion
14 Protective cover
15, 16 guide rollers
W1, W2 First and second pulling wires
W3 connection wire

Claims (3)

삭제delete 부체와 해저 바닥에 고정된 앵커를 연결하는 앵커연결 체인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앵커 장력 유지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인양부에 연결되어 당겨지고 이완되는 당김 와이어와,
움직도르래와 상기 부체에 고정된 고정도르래가 구비되어, 상기 당김 와이어가 상기 움직도르래를 거쳐 움직도르래와 고정도르래의 풀리 사이를 왕복하게 감겨 타단이 상기 움직도르래 또는 고정도르래에 고정되고, 상기 앵커연결 체인이 상기 움직도르래에 연결되는 풀리윈치 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당김 와이어는, 일단이 인양부에 연결된 제1 당김 와이어와, 상기 풀리윈치 수단에 감기는 제2 당김 와이어로 구성되고,
제1 보빈과 제2 보빈이 일체로 회전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보빈에 상기 제1 당김 와이어가 감기고 풀리게 연결되며, 상기 제1 당김 와이어가 제1 보빈에 감기는 경우 상기 제2 당김 와이어가 상기 제2 보빈에서 풀리고 상기 제1 당김 와이어가 제1 보빈에서 풀리는 경우 상기 제2 당김 와이어가 상기 제2 보빈에 감기게 상기 제2 당김 와이어가 상기 제2 보빈에 연결된 중계 풀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장력 유지 장치.
An anchor tensioning device for maintaining tension of anchor connecting chain connecting anchor and anchors fixed to a bottom of an underside,
A pulling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ifting portion and pulled and relaxed,
And a fixed sheave fixed to the body, wherein the pulling wire is wound on the movable pulley and between the movable sheave and the fixed sheave,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movable sheave or the fixed sheave, And a pulley winch means having a chain connected to the moving pulley,
Wherein the pulling wire comprises a first pulling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ifting portion and a second pulling wire wound on the pulley winch means,
Wherein the first bobbin and the second bobbin are integrally rotated so that the first bobbin is wound and loosely connected to the first bobbin and when the first pulling wire is wound on the first bobbin, Further comprising a relay pulley which is loosened in the second bobbin and in which the second pulling wire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bbin so that the second pulling wire is wound on the second bobbin when the first pulling wire is unwound from the first bobbin, And an anchor tension hold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풀리는 제2 보빈의 직경이 상기 제1 보빈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장력 유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bobbin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bobbin.
KR1020160042516A 2016-04-06 2016-04-06 Device for maintaining tension of anchor KR1017633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516A KR101763365B1 (en) 2016-04-06 2016-04-06 Device for maintaining tension of anch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516A KR101763365B1 (en) 2016-04-06 2016-04-06 Device for maintaining tension of anch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365B1 true KR101763365B1 (en) 2017-07-31

Family

ID=59419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516A KR101763365B1 (en) 2016-04-06 2016-04-06 Device for maintaining tension of anch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36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566B1 (en) * 2021-09-14 2021-11-15 우광산업(주) Displacement increasing system and mooring device u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0793A (en) * 2000-04-28 2001-11-06 Molten Corp Ship mooring equipment
KR101675527B1 (en) 2016-04-06 2016-11-11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Pontoon having device for maintaining tension of anch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0793A (en) * 2000-04-28 2001-11-06 Molten Corp Ship mooring equipment
KR101675527B1 (en) 2016-04-06 2016-11-11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Pontoon having device for maintaining tension of ancho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위키백과-도르래",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B%8F%84%EB%A5%B4%EB%9E%98&direction=next&oldid=12853499"(2014.11.2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566B1 (en) * 2021-09-14 2021-11-15 우광산업(주) Displacement increasing system and mooring device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5527B1 (en) Pontoon having device for maintaining tension of anchor
RU2011142292A (en) SHIPPING SYSTEM
US20200398961A1 (en) Submarine Cable Control by Use of Variable Specific Gravity and Diameter Cables and/or External Forces for Cables Used with Cable-Propelled Marine Vessels
US20050058509A1 (en) Floating modular breakwater
KR101984917B1 (en) Fender Davit Device
KR101763365B1 (en) Device for maintaining tension of anchor
KR101358312B1 (en) Marine vessel
KR920002160B1 (en) Process for bringing ashore the ends of underwater cables at arrival landing points
KR102640051B1 (en) Fender moving apparatus of floating structure
JPH0325136B2 (en)
JP2000064318A (en) Immersion method for immersing tube
JP3228681B2 (en) Racing course configuration device
JPH09509114A (en) Mooring means
JPS61115794A (en) Float-on float-off vessel
KR102505044B1 (en) Anchor apparatus using weighting blocks for maintaining a mooring tension of cable connecting floating body in water
KR20150104734A (en) Vessel mooring apparatus using pulley
SU1014787A1 (en) Floating pier
KR102629003B1 (en) Fender of floating structure
KR20140111060A (en) Floating dock system
JPS621283Y2 (en)
JP3238184B2 (en) Flotation device
KR102252154B1 (en) Floating ship pontoon
JPH01244996A (en) Method of mooring floating body in shallow sea area
IES20050266A2 (en) A mooring assembly
JP3331445B2 (en) Floating p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