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257B1 - 전동식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전동식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257B1
KR101763257B1 KR1020160002273A KR20160002273A KR101763257B1 KR 101763257 B1 KR101763257 B1 KR 101763257B1 KR 1020160002273 A KR1020160002273 A KR 1020160002273A KR 20160002273 A KR20160002273 A KR 20160002273A KR 101763257 B1 KR101763257 B1 KR 101763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position
slide button
electric motor
electric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2930A (ko
Inventor
안덕우
서장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60002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257B1/ko
Publication of KR20170082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6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electr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61C1/0015Electrica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53Portabl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식으로 간편하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동식 핸드피스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피스는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기모터가 장착되어 있는 몸체와, 샤프트에 장착되어 있는 카트리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피스는 슬라이드 버튼, 로킹 메커니즘과 스위칭 메커니즘을 구비한다. 슬라이드 버튼은 전기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동모드위치와 전기모터의 구동을 구속하기 위한 수동모드위치 사이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몸체의 외면에 장착되어 있다. 로킹 메커니즘은 슬라이드 버튼의 전동모드위치에서 샤프트의 구속을 해제하고, 슬라이드 버튼의 수동모드위치에서 샤프트의 회전을 구속한다. 스위칭 메커니즘은 몸체 안에 장착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전기모터에 전력의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접점과, 슬라이드 버튼의 한쪽에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드 버튼의 전동모드위치에서 전기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한 쌍의 고정접점과 접촉되며 슬라이드 버튼의 수동모드위치에서 전기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한 쌍의 고정접점으로부터 이격되어 한 쌍의 고정접점을 개방시키는 가동접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버튼의 조작에 의해 전기모터의 구동과 샤프트의 회전을 단속하여 전동식을 수동식으로 간편하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수동모드에서 전기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어 전기모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핸드피스{ELECTRIC DRIVEN HANDPIECE}
본 발명은 핸드피스(Handpiec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식으로 간편하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동식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핸드피스는 용도에 따라 치과용, 외과수술용, 피부치료용 등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동력원의 종류에 따라 전동식, 공압식, 충전식으로 구분되고 있다. 핸드피스는 몸체(Body)와 공구(Tool)을 척킹(Chucking)하기 위한 카트리지(Cartridge)로 구성되어 있다. 동력원, 예를 들어 전기모터(Electric motor), 공압장치(Pneumatic device)와 연결되는 동력공급라인이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카트리지는 몸체의 헤드(Head)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공구홀더(Tool holder), 척(Chuck), 어태치먼트(Attachment)로 부르고도 있다.
전동식 핸드피스는 등록특허 제10-1501268호 "앵글 핸드피스", 등록특허 제10-1085351호 "핸드피스용 전기모터", 등록특허 제10-1183829호 "일체형 버 핸드피스 및 일체형 버 핸드피스 구동 장치" 등 많은 특허 문헌들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 특허문헌들의 핸드피스는 몸체에 장착되어 있는 전기모터의 구동력을 샤프트(Shaft), 커플러(Coupler), 기어장치 등의 동력공급라인을 통해 카트리지에 전달하여 공구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치과용 전동식 핸드피스는 치과 임플란트(Dental implant)의 고정체(Fixture)로 스크루(Screw)를 식립(Placement) 및 제거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스크루의 식립 및 제거를 위해 전기모터의 사양보다 큰 토크(Torque)가 필요한 경우, 전동식 핸드피스 대신에 수동식 핸드피스나 의료용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수동식 핸드피스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43627호 "의료용 수동 핸드피스"에 개시되어 있고, 의료용 드라이버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72514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61856호에 개시되어 있다. 위 특허 문헌들 각각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이와 같이 치과 치료와 같은 시술 시 전동식 핸드피스를 수동식 핸드피스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동식 핸드피스를 수동식으로 간편하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전동식 핸드피스를 수동식으로 사용하는 경우, 샤프트의 회전을 단속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새로운 전동식 핸드피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동식 핸드피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핸드피스는,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기모터가 장착되어 있는 몸체와, 샤프트에 장착되어 있는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전동식 핸드피스에 있어서, 전기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동모드위치와 전기모터의 구동을 구속하기 위한 수동모드위치 사이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몸체의 외면에 장착되어 있는 슬라이드 버튼과; 슬라이드 버튼의 전동모드위치에서 샤프트의 구속을 해제하고, 슬라이드 버튼의 수동모드위치에서 샤프트의 회전을 구속하는 로킹 메커니즘과; 몸체 안에 장착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전기모터에 전력의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접점과, 슬라이드 버튼의 한쪽에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드 버튼의 전동모드위치에서 전기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한 쌍의 고정접점과 접촉되며 슬라이드 버튼의 수동모드위치에서 전기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한 쌍의 고정접점으로부터 이격되어 한 쌍의 고정접점을 개방시키는 가동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칭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핸드피스는, 버튼의 조작에 의해 전기모터의 구동과 샤프트의 회전을 단속하여 전동식을 수동식으로 간편하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수동모드에서 전기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어 전기모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핸드피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핸드피스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핸드피스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핸드피스의 다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핸드피스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핸드피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핸드피스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핸드피스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핸드피스(10)는 시술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는 몸체(20) 또는 하우징(Housing), 케이스(Case)를 구비한다.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기모터(30)가 몸체(20) 안에 장착되어 있다. 전기모터(30)의 구동력은 샤프트(32) 또는 스핀들(Spindle)을 통해 카트리지(40)에 전달된다. 버(Bur) 등의 공구(42)가 샤프트(3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40)에 척킹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핸드피스(10)는 전동모드(Electric driven mode)와 수동모드(Manual mode)를 선택할 수 있도록 몸체(20)의 외면 한쪽에 장착되어 있는 로킹 버튼(Locking button: 50)을 구비한다. 로킹 버튼(50)은 몸체(20)의 외면에 전동모드위치(P1)와 수동모드위치(P2) 사이를 슬라이딩(Sliding)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슬라이드 버튼(Slide button: 52)으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버튼(52)은 몸체(20)의 선단 부분에 이웃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드 버튼(52)은 몸체(20)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슬롯(Guide slot: 22)에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는 로드(Rod: 52a)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핸드피스(10)는 수동모드위치(P2)에서 슬라이드 버튼(52)의 조작에 의해 샤프트(32)를 제동시킬 수 있는 로킹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 60)을 구비한다. 로킹 메커니즘(60)은 복수의 걸림돌기(62)와 멈춤돌기(64)로 구성되어 있다. 걸림돌기(62)들은 몸체(20)의 선단 부분과 이웃하는 샤프트(32)의 외면에 복수의 키홈(Key groove: 66)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에 걸림돌기(62)들은 샤프트(32)의 외면에 결합되는 슬리브(Sleeve: 68)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걸림돌기(62)들은 샤프트(32)의 외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62)들은 스플라인(Spline)과 세레이션(Serration)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멈춤돌기(64)는 로드(52a)의 말단에 형성되어 있다. 멈춤돌기(64)는 전동모드위치(P1)에서 키홈(66)들로부터 벗어나 샤프트(32)의 회전을 허용한다. 멈춤돌기(64)는 수동모드위치(P2)에서 걸림돌기(62)들 사이의 키홈(66)들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걸림돌기(62)들과 접촉되면서 샤프트(32)의 회전을 구속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걸림돌기(62)들이 스플라인과 세레이션으로 형성되는 경우, 멈춤돌기(64)는 스플라인과 세레이션의 홈에 끼워져 샤프트(32)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는 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핸드피스(10)는 슬라이드 버튼(52)의 조작에 의해 전기모터(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칭 메커니즘(Switching mechanism: 70)을 구비한다. 스위칭 메커니즘(70)은 인쇄회로기판(72), 한 쌍의 고정접점(Stationary contact: 74)과 가동접점(Traveling contact: 7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72)은 전기모터(30)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컨트롤 보드(Motor control board)로 슬라이드 버튼(52)과 이웃하도록 몸체(20) 안에 장착되어 있다.
고정접점(74a, 74b)들은 인쇄회로기판(72)의 윗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전기모터(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기모터(30)와 연결되어 있다. 가동접점(76)들은 고정접점(74a, 74b)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버튼(52)의 로드(52a)에 형성되어 있다. 가동접점(76)은 전동모드위치(P1)에서 고정접점(74a, 74b)들을 접촉시켜 전기모터(30)의 구동이 가능하게 한다. 가동접점(76)은 수동모드위치(P2)에서 고정접점(74a, 74b)들을 개방시켜 전기모터(30)의 구동을 불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핸드피스(10)는 슬라이드 버튼(52)의 전동모드위치(P1)와 수동모드위치(P2)를 결정하는 위치결정 메커니즘(Positioning mechanism: 80)을 구비한다. 위치결정 메커니즘(80)은 한 쌍의 제1 및 제2 위치결정홈(82a, 82b)과 탄성을 갖는 제1 및 제2 판스프링(Plate spring: 84a, 84b)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위치결정홈(82a, 82b)들 각각은 슬라이드 버튼(52)의 전동모드위치(P1)와 수동모드위치(P2)를 결정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버튼(52)의 하면 양쪽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판스프링(84a, 84b) 각각은 몸체(20)와 슬라이드 버튼(52) 사이에 배치되도록 몸체(20)에 장착되어 있다. 위치결정돌기(86)가 제1 및 제2 위치결정홈(82a, 82b)들에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맞춤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판스프링(84a, 84b)의 윗면에 돌출되어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판스프링(84a, 84b)의 위치결정돌기(86)가 제1 위치결정홈(82a)들에 맞춤되면, 슬라이드 버튼(52)은 전동모드위치(P1)에 위치되어 있게 된다. 도 3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판스프링(84a, 84b)의 위치결정돌기(86)가 제2 위치결정홈(82b)들에 맞춤되면, 슬라이드 버튼(52)은 수동모드위치(P2)에 위치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핸드피스(10)는 슬라이드 버튼(52)이 전동모드위치(P1)에 있으면, 가동접점(76)이 고정접점(74a, 74b)들에 접촉되고, 멈춤돌기(64)가 걸림돌기(62)들 사이의 키홈(66)을 빠져나와 전기모터(30)의 구동에 의해 샤프트(32)가 구속받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된다. 슬라이드 버튼(52)이 전동모드위치(P1)로부터 수동모드위치(P2)로 작동되면, 가동접점(76)이 고정접점(74a, 74b)들로부터 떨어져 고정접점(74a, 74b)들을 개방시킴으로써 전기모터(30)가 구동되지 못하게 한다. 또한, 멈춤돌기(64)가 키홈(66)들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면서 걸림돌기(62)들에 접촉되어 샤프트(32)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핸드피스(10)는 슬라이드 버튼(52)의 조작에 의해 전동모드와 수동모드를 간편하게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동모드로 전환 시 샤프트(32)가 로킹 메커니즘(60)의 로킹에 의해 회전되지 못한다. 샤프트(32)의 고정 상태에서 전기모터(30)를 구동시키는 모터 기능 버튼(Motor function button)을 시술자의 실수로 조작하여 전기모터(30)가 구동되더라도 샤프트(32)가 회전되지 못하면서 전기모터(30)의 발열, 기어장치, 베어링(Bearing)의 손상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동식 핸드피스(10)는 수동모드 시 스위칭 메커니즘(70)이 전기모터(30)의 회로를 단절시켜 전력 공급을 차단시킴으로써 전기모터(3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4와 도 5에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핸드피스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전동식 핸드피스(10A)와 앞에서 설명한 전동식 핸드피스(10)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의 전동식 핸드피스(10A)의 스위칭 메커니즘(170)은 인쇄회로기판(172), 한 쌍의 고정접점(174a, 174b), 가동접점(176)과 절연판(Insulation plate: 17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172)은 슬라이드 버튼(52)과 이웃하도록 몸체(20) 안에 장착되어 있다. 고정접점(174a, 174b)들은 인쇄회로기판(172)의 윗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전기모터(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기모터(30)와 연결되어 있다. 가동접점(176)은 고정접점(174a, 174b)들에 접촉 및 이격될 수 있도록 몸체(20) 안에 장착되어 있다.
가동접점(176)이 고정접점(174a, 174b)들로부터 떨어져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180)가 가동접점(176)과 몸체(20)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탄성부재(180)는 가동접점(176)을 고정접점(174a, 174b) 쪽으로 탄성 편향시켜 가동접점(176)이 고정접점(174a, 174b)이 접촉되게 한다. 탄성부재(180)는 판스프링, 코일스프링, 탄성중합체(Elastom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가동접점(176)은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고정접점(174a, 174b)들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탄성부재, 예를 들면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절연판(178)은 슬라이드 버튼(52)의 한쪽에 장착되어 있다. 절연판(178)은 전동모드위치(P1)에서 고정접점(174a, 174b)들과 가동접점(176)으로부터 떨어져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가동접점(176)은 탄성부재(180)의 탄성에 의해 고정접점(174a, 174b)들과 안정적으로 접촉되어 있게 된다. 절연판(178)은 수동모드위치(P2)에서 고정접점(174a, 174b)들과 가동접점(176) 사이에 게재된다. 이에 따라 가동접점(176)은 고정접점(174a, 174b)들로부터 떨어져 고정접점(174a, 174b)들을 개방시킴으로써 전력의 공급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180)는 압축변형되어 가동접점(176)이 고정접점(174a, 174b)들로부터의 원활히 이격되게 한다. 절연판(178)이 고정접점(174a, 174b)들과 가동접점(176) 사이에서 분리되면, 탄성부재(180)의 탄성에 의해 가동접점(176)이 고정접점(174a, 174b)들에 다시 접촉되면서 전력이 공급되어 전기모터(30)의 구동이 가능하게 한다. 절연판(178)은 절연필름(Insulation film)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과 도 7에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핸드피스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의 전동식 핸드피스(10B)와 앞에서 설명한 전동식 핸드피스(10)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예의 전동식 핸드피스(10B)는 로킹 버튼(50)으로 푸시 버튼(Push button: 54)을 구비한다. 푸시 버튼(54)은 몸체(20)의 선단 부분에 이웃하도록 몸체(20)의 외면에 장착되어 있고, 상승되어 있는 전동모드위치(P1)와 하강되어 있는 수동모드위치(P2) 사이를 승강한다. 푸시 버튼(54)은 몸체(20)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4)에 끼워져 있는 로드(54a)를 갖는다. 푸시 버튼(54)은 리턴 스프링(Return spring: 56)의 탄성력에 의해 수동모드위치(P2)로부터 전동모드위치(P1)으로 복귀된다.
수동모드위치(P2)에서 푸시 버튼(54)에 의해 샤프트(32)를 제동시킬 수 있는 로킹 메커니즘(260)은 복수의 걸림구멍(262)과 멈춤돌기(264)로 구성되어 있다. 걸림구멍(262)들 각각은 몸체(20)의 선단 부분과 이웃하는 샤프트(32)의 외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멈춤돌기(264)는 걸림구멍(262)들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질 수 있도록 로드(54a)의 말단에 형성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걸림구멍(262)들은 앞에서 설명한 걸림돌기(62)들 사이의 키홈(66)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푸시 버튼(54)의 조작에 의해 전기모터(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칭 메커니즘(270)은 인쇄회로기판(272), 한 쌍의 고정접점(274a, 274b)과 가동접점(276)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접점(274a, 274b)들은 인쇄회로기판(272)의 아랫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가동접점(276)들은 고정접점(274a, 274b)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푸시 버튼(54)의 로드(54a)에 형성되어 있다. 가동접점(276)은 전동모드위치(P1)에서 고정접점(274a, 274b)들을 접촉시켜 전기모터(30)의 구동이 가능하게 한다. 가동접점(276)은 수동모드위치(P2)에서 고정접점(274a, 274b)들을 개방시켜 전기모터(30)의 구동을 불가능하게 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푸시 버튼(54)은 몸체(20)의 피봇(Pivot)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시소 버튼(seesaw button)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전동식 핸드피스(10B)는 푸시 버튼(54)이 상승되어 전동모드위치(P1)에 있으면, 가동접점(276)이 고정접점(274a, 274b)들에 접촉되고, 멈춤돌기(264)가 걸림구멍(262)들을 빠져나와 전기모터(30)의 구동에 의해 샤프트(32)가 구속받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된다. 푸시 버튼(54)이 전동모드위치(P1)로부터 수동모드위치(P2)로 작동되면, 가동접점(276)이 고정접점(274a, 274b)들로부터 떨어져 고정접점(274a, 274b)들을 개방시킴으로써 전기모터(30)가 구동되지 못하게 한다. 또한, 멈춤돌기(264)가 걸림구멍(262)들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샤프트(32)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핸드피스 20: 몸체
30: 전기모터 32: 샤프트
50: 로킹 버튼 52: 슬라이드 버튼
54: 푸시 버튼 60, 260: 로킹 메커니즘
62: 걸림돌기 64, 264: 멈춤돌기
66: 키홈 70, 170, 270: 스위칭 메커니즘
72, 172, 272: 인쇄회로기판
74a, 74b, 174a, 174b, 274a, 274b: 고정접점
76, 176, 276: 가동접점 80: 위치결정 메커니즘
82a, 82b: 제1 및 제2 위치결정홈 84a, 84b: 제1 및 제2 판스프링
86: 위치결정돌기 178: 절연필름
180: 탄성부재 262: 걸림구멍

Claims (8)

  1.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기모터가 장착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어 있는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전동식 핸드피스에 있어서,
    상기 전기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동모드위치와 상기 전기모터의 구동을 구속하기 위한 수동모드위치 사이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외면에 장착되어 있는 슬라이드 버튼과;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전동모드위치에서 상기 샤프트의 구속을 해제하고,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수동모드위치에서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구속하는 로킹 메커니즘과;
    상기 몸체 안에 장착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모터에 전력의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접점과,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한쪽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전동모드위치에서 상기 전기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과 접촉되며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수동모드위치에서 상기 전기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을 개방시키는 가동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칭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전동식 핸드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메커니즘은,
    상기 샤프트의 외면에 복수의 키홈을 갖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걸림돌기와;
    상기 슬라이드 버튼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수동모드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 중 어느 하나에 걸려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키홈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멈춤돌기로 이루어지는 전동식 핸드피스.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전동모드위치와 수동모드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 메커니즘을 더 구비하고,
    상기 위치결정 메커니즘은,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전동모드위치와 수동모드위치 각각을 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하면 양쪽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위치결정홈과;
    상기 몸체와 상기 슬라이드 버튼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위치결정홈 각각에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맞춤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는 위치결정돌기를 갖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전동식 핸드피스.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02273A 2016-01-07 2016-01-07 전동식 핸드피스 KR101763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273A KR101763257B1 (ko) 2016-01-07 2016-01-07 전동식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273A KR101763257B1 (ko) 2016-01-07 2016-01-07 전동식 핸드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930A KR20170082930A (ko) 2017-07-17
KR101763257B1 true KR101763257B1 (ko) 2017-08-03

Family

ID=5944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273A KR101763257B1 (ko) 2016-01-07 2016-01-07 전동식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2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069B1 (ko) * 2018-08-02 2020-11-16 주식회사 메디칼파크 생체 검사용 니들 가이드 장치
KR102506018B1 (ko) * 2020-12-22 2023-03-06 주식회사 세양 내진동성 회로기판이 내장된 무선핸드피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735B1 (ko) 2000-01-27 2002-03-15 이희영 하악 측면접근이 가능한 구강내 수술용 드릴 및 드라이버
KR100930369B1 (ko) * 2009-05-04 2009-12-08 김영우 척추 시술용 전동나사못 드라이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735B1 (ko) 2000-01-27 2002-03-15 이희영 하악 측면접근이 가능한 구강내 수술용 드릴 및 드라이버
KR100930369B1 (ko) * 2009-05-04 2009-12-08 김영우 척추 시술용 전동나사못 드라이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049467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930A (ko) 2017-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17729A1 (en) Surgical apparatus and tools for same
US20060206100A1 (en) Surgical apparatus and power module for same, and a method of preparing a surgical apparatus
EP0906812B1 (en) Power tool having interchangeable tool head
US6257351B1 (en) Powered surgical instrument having locking systems and a clutch mechanism
TW200924921A (en) Multiple chuck hand tool
US20150122523A1 (en) Power tool
US9924954B2 (en) Handheld power machine for orthopaedic drill and saw and orthopaedic drill and saw power system with same
CA2648637A1 (en) A handle assembly for a power tool
EP2094450A2 (en) Modular power hand tool
AU2016101315A4 (en) Power tool
KR101763257B1 (ko) 전동식 핸드피스
JP2006015480A (ja) 電動工具
US6988734B2 (en) Rotating machine, approximately in the form of a hand drill, a percussion drill, a drill hammer or a battery screwdriver
WO2020241086A1 (ja) 電動工具
JP2006205286A (ja) 手持ち式電動工具
JP3288690B2 (ja) ハンドピース
CN209996414U (zh) 一种脊柱磨头设备
JP2002273668A (ja) 電動ドライバ装置
US20240122608A1 (en) Clamp Guard
CA2916327A1 (en) Tool for manually operating oscillating motorized tool accessory
WO2023050483A1 (zh) 电动螺丝批的操作方法
KR20160148694A (ko) 회전 가공 공구
EP3427900B1 (en) Power tool including power tool base couplable with power tool implements
EP2990163B1 (en) Electric power tool
CN212170299U (zh) 电动工具的转向控制机构及功能可切换电动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