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915B1 - 네일 광택기 - Google Patents

네일 광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915B1
KR101762915B1 KR1020160167389A KR20160167389A KR101762915B1 KR 101762915 B1 KR101762915 B1 KR 101762915B1 KR 1020160167389 A KR1020160167389 A KR 1020160167389A KR 20160167389 A KR20160167389 A KR 20160167389A KR 101762915 B1 KR101762915 B1 KR 101762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s
base member
nail
diame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호
지이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텀
Priority to KR1020160167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915B1/ko
Priority to PCT/KR2017/014352 priority patent/WO20181060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1Polishing devices for nails
    • A45D29/12Polishing devices for nails manuall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8Manicure or pedicure sets, e.g. combinations without case, etui,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8Glass

Landscapes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톱이나 발톱의 절삭 및 광택 기능을 한꺼번에 하면서 분진 발생도 적고, 광택기의 방향에 상관없이 어느 방향으로나 손톱을 연마할 수 있으며, 광택기의 표면에 크롬과 같은 중금속이 남아 있지 않아서 인체에 무해(無害)한 네일 광택기를 위하여,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제2 면을 갖는 판상 형태의,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제1 면에 위치하며, 각각이 중앙에 인입부를 가지며 원기둥 형상인, 복수개의 패턴들을 구비하는, 네일 광택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네일 광택기{Nail polisher }
본 발명은 네일 광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손톱이나 발톱의 절삭 및 광택 기능을 한꺼번에 하면서 분진 발생도 적고, 광택기의 방향에 상관없이 어느 방향으로나 손톱을 연마할 수 있으며, 광택기의 표면에 크롬과 같은 중금속이 남아 있지 않아서 인체에 무해(無害)한 네일 광택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손톱과 발톱의 미용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고, 전문적으로 네일케어 내지 페디큐어를 하는 샵이 늘어나고 있으며, 굳이 샵에 가지 않더라도 가정에서도 손쉽게 네일케어 또는 페디큐어를 할 수 있도록 손톱과 발톱을 손질하기 위한 다양한 미용기구 및 화장품과 매니큐어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건강에 알게 모르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최근 들어 매니큐어에 사용되는 물질의 유해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손톱이나 발톱을 손질하기 위해서는 메탈로 된 제품 또는 숯돌 형태의 다양한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은 손톱이나 발톱의 외곽라인을 가다듬기 위한 것으로, 광이 나지 않기 때문에 손톱이나 발톱에 광을 내기 위해서는 드릴 형태의 광택기를 사용해야 하며, 이러한 광택기는 전문가가 해줘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인이 쉽게 손톱이나 발톱에 광을 낼 수 있는 네일 광택기가 출현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네일 광택기는 글라스에 다양한 패턴을 형성한 것으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을 잘 알면서 패턴에 대한 구조적인 형태 분석이 가능해야 하는 등 네일 아트 관련 직종 종사자들이 알기 어렵기 때문에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다. 현재 글라스 형태의 네일 광택기는 매우 고가에 판매되고 있으며, 이를 일부 사람들만 사용하는 제한적인 제품으로 알려져 있다.
손톱이나 발톱을 연마하는 기술을 보면, 특허등록 제519704호 "손발톱 연마용 줄 및 그것의 제조방법", 공개특허 제2006-13132호 "손톱 손질구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따라 제조된 손톱손질구"는 손발톱의 외곽라인의 절삭 및 연마는 가능하지만 손발톱에 광택을 낼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절삭과 광택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출현한 기술이 공개특허 제2015-2132호 "절삭과 광택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손발톱 연마 미용기구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손발톱 연마 미용기구"인데, 이는 글라스의 표면에 금속(크롬)코팅층과 포토레지스트 코팅층을 연속으로 형성하고 패턴을 형성한 다음, 금속에칭공정과 글라스에칭공정 및 포토레지스트층을 제거하는 공정을 거쳐서 네일 광택기를 제조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상기 특허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패턴이 형성된 글라스의 표면에 코팅된 금속(크롬)이 에칭과정을 거치더라도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최종 제품에서 크롬이라는 중금속이 그대로 남아 있고, 글라스의 표면에 크롬이 남아 있는 부분이 손톱과 발톱을 연마하게 되므로, 글라스에 남아 있는 중금속으로 문질러서 손톱이나 발톱의 표면에 광택을 내게 되어 결국 중금속이 사용자의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둘째, 패턴의 높이가 수십㎛ 이상으로 높으면 손톱이나 발톱에 광택이 나지 않고, 수㎛ 이하로 높이가 너무 낮으면 연마하면서 발생하는 가루(분말)가 빠져나가지 않기 때문에 가루를 자주 제거하면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은데, 상기 특허와 같이, 글라스에 형성된 패턴의 볼록부 높이가 5∼100㎛이고, 볼록부의 직경이 50∼150㎛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톱이나 발톱에 광택을 낼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셋째, 글라스에 형성된 패턴의 볼록부의 직경이 100㎛ 이하이면, 고가의 소재를 사용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에서 고가의 장비인 평행광노광기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현저하게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넷째, 네일 광택기가 손톱이나 발톱에 광택을 내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패턴과 패턴 사이의 간격인데, 패턴 사이의 간격에 대한 기술적 사항에 대하여 아무런 기재나 시사하는 바가 없기 때문에 손톱이나 발톱에 광택을 내는 네일 광택기로서는 결정적인 흠결과 기술적인 문제가 있다.
다섯째, 제품(네일 광택기) 자체가 손잡이도 없이 패턴이 형성된 글라스로만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보관이나 사용중에 잘 깨진다는 문제가 있고, 손잡이가 따로 없기 때문에 지난번 사용했을 때 연마한 부분을 잡고 사용해야 하므로, 손톱 연마시 발생한 가루가 묻어 있는 부분을 손으로 잡고 연마해야 하므로 비위생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톱이나 발톱의 절삭 및 광택 기능을 한꺼번에 하면서 분진 발생도 적고, 광택기의 방향에 상관없이 어느 방향으로나 손톱을 연마할 수 있으며, 광택기의 표면에 크롬과 같은 중금속이 남아 있지 않아서 인체에 무해(無害)한 네일 광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제2 면을 갖는 판상 형태의,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제1 면에 위치하며, 각각이 중앙에 인입부를 가지며 원기둥 형상인, 복수개의 패턴들을 구비하는, 네일 광택기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글라스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은 상기 베이스 부재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과 상기 베이스 부재는 일체(一體)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은 평단면의 직경이 상기 베이스 부재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의 인입부의 직경은 상기 베이스 부재와 가까워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의 상면에 있어서, 상기 상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상기 인입부의 직경의 비율은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의 상면의 60% 내지 70% 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의 상면과 측면이 이루는 각도는 100° 내지 110° 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의 깊이는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의 높이의 1/2 이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측에 제2 면을 갖는 판상 형태의,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2 면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 면에 있어서, 외측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상의 복수개의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은 원기둥 형상의 중앙에 내측으로 인입된 인입부를 포함하는, 네일 광택기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글라스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의 평단면의 직경은 돌출된 끝 단부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의 인입부의 직경은 돌출된 끝 단부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의 상면에 있어서, 상기 상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상기 인입부의 직경의 비율은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의 상면의 60% 내지 70% 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의 상면과 측면이 이루는 각도는 100° 내지 110° 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과 상기 베이스 부재는 일체(一體)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일 측에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디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바디 부재의 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바디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톱이나 발톱의 절삭 및 광택 기능을 한꺼번에 하면서 분진 발생도 적고, 광택기의 방향에 상관없이 어느 방향으로나 손톱을 연마할 수 있으며, 광택기의 표면에 크롬과 같은 중금속이 남아 있지 않아서 인체에 무해(無害)한 네일 광택기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네일 광택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네일 광택기의 A 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관한 네일 광택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한편,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또는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네일 광택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네일 광택기의 A 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네일 광택기는 제1 면(10a)과 제2 면(10b)을 갖는 판상 형태의 베이스 부재(10), 베이스 부재(10)의 제1 면(10a)에 위치하는 원기둥 형상의 복수개의 패턴(20)들 및 베이스 부재(10)에 부착되는 접착 부재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10)는 일 평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판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이러한 베이스 부재(10)가 직사각형 형상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 부재(10)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10)는 글라스재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0)는 제1 면(10a)과 제1 면(10a)의 반대측에 제2 면(10b)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부재(10)의 제1 면(10a)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패턴(20)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패턴(20)들은 일정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0)의 제2 면(10b) 상에는 접착 부재(3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접착 부재(30)는 양면에 접착력을 갖는 소재일 수 있으며, 예컨대, OCA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Film)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베이스 부재(10)의 제1 면(10a)에는 복수개의 패턴(20)들이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 부재(10)의 제2 면(10b) 상에는 접착 부재(30)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패턴(20)들은 평단면이 원형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외부로 돌출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개의 패턴(20)들이 외부로 돌출되었다고 함은, 도 1을 참조할 때 +z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은 중앙에 내부로 인입된 인입부(22)를 가질 수 있다. 인입부(22)가 내부로 인입되었다고 함은, 도 1을 참조할 때 -z 방향으로 인입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의 상면(20a)에 있어서, 상면(20a)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는 인입부(22)의 직경(d2)의 비율은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의 상면(20a)의 직경(d1)의 60% 내지 70%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의 상면(20a)이 직경 200~300㎛을 갖는 경우, 인입부(22)의 직경(d2)은 이의 60% 내지 70%인, 120~21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복수개의 패턴(20)들 중 일 패턴(20)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 부재(10)의 제1 면(10a)에는 복수개의 패턴(20)들이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 부재(10)의 제2 면(10b) 상에는 접착 부재(3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10)와 복수개의 패턴(20)들을 일체(一體)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즉, 제조과정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10) 상에 별도의 재료로써 복수개의 패턴(20)들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베이스 부재(10) 자체를 식각하여 복수개의 패턴(20)들을 형성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복수개의 패턴(20)들은 베이스 부재(1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은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복수개의 패턴(20)들은 일정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은 예컨대, 평단면의 형상이 직경 200~300㎛의 원형이고, 높이는 10~30㎛인 원기둥 형상이며, 복수개의 패턴(20)들 사이의 간격은 직경의 50~80%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은 평단면의 직경이 베이스 부재(10)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즉,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의 평단면의 직경은 돌출된 끝 단부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이때 평단면의 직경이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패턴(20)들을 X-Y평면으로 자른 단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은 원기둥의 형상을 갖기 때문에, 이를 X-Y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원형이고, 평단면의 직경은 이러한 원형의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복수개의 패턴(20)들을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 B-B선은 복수개의 패턴(20)들의 중심을 지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평단면의 직경은 도 3에 도시된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의 단면의 폭일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의 폭은 돌출된 끝 단부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즉,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의 상부의 폭(d1)은 하부의 폭(d1') 보다 좁을 수 있다. 이는 상술한 것과 같이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은 평단면의 직경이 베이스 부재(10)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제조 과정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10)를 에칭하는 과정에서 기인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은 중앙에 내측으로 인입된 인입부(22)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인입부(22) 역시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의 형상을 따라, 원기둥 형상으로 내측으로 인입된 형태일 수 있다. 즉, 복수개의 패턴(20)들은 베이스 부재(10)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z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인입부(22)는 베이스 부재(10)를 기준으로 내측 방향(-z 방향)으로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인입부(22)에 있어서 X-Y평면의 형상이 원형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의 단면은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패턴의 단면이라 함은, 베이스 부재(10)의 제1 면(10a)과 수직인 단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베이스 부재(10)의 제1 면(10a)과 평행한 평면은 X-Y평면일 수 있으며, 제1 면(10a)에 수직인 평면은 X-Z 평면 또는 Y-Z평면일 수 있다. 도 4에서는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의 단면은 X-Z 평면으로 자른 단면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의 단면은 Y-Z평면일 수도 있는데, X-Z 평면이던 Y-Z평면이던 복수개의 패턴(20)들의 원형인 평단면에 있어서 중심을 지나는 단면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에 있어서 상면(20a)과 측면(20b)이 이루는 각도(θ)는 100° 내지 11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2° 내지 104° 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의 단면에 있어서 상면(20a)과 측면(20b)이 이루는 각도(θ)가 100° 보다 작은 경우에는 손톱 등에 광택을 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상면(20a)과 측면(20b)이 이루는 각도(θ)가 110° 보다 큰 경우에는 손톱을 연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의 단면에 있어서 상면(20a)과 측면(20b)이 이루는 각도(θ)는 100° 내지 110° 인 경우에는, 손톱 등을 용이하게 연마함과 동시에 광택을 낼 수 있어 매우 획기적이다.
한편,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은 중앙에 내측으로 인입된 인입부(22)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인입부(22)의 깊이(h2)는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의 높이(h1)에 1/2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의 높이(h1)가 약 10∼30㎛인 경우, 인입부(22)의 깊이(h2)는 약 5∼15㎛일 수 있다. 반면에 인입부(22)의 깊이(h2)가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의 높이(h1)에 1/2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손톱 등을 연마하면서 발생하는 분진이 인입부(22)에 끼어서 잘 빠지지 않기 때문에 위생상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인입부(22)의 직경은 베이스 부재(10)와 가까워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즉, 인입부(22)의 직경은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의 돌출된 끝 단부에서 가장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입부(22)의 직경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입부(22)의 단면의 폭으로 정의될 수 있는데, 인입부(22) 상부의 폭(d2)은 하부의 폭(d2')보다 넓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제조 과정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10)를 에칭하는 과정에서 기인하는 것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관한 네일 광택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네일 광택기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바디 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네일 광택기는 바디 부재(40)에 부착되는 베이스 부재(10)를 포함하며, 베이스 부재(10)는 베이스 부재(10)와 바디 부재(40)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 부재(30)에 의해 바디 부재(40)의 안착홈(42)에 부착될 수 있다.
바디 부재(4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플라스틱재 또는 금속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바디 부재(40)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에 산화아연(ZnO2)을 혼합하여 항균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디 부재(40)가 금속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산화아연을 혼합하면 플라스틱의 경화(노화)를 지연시키고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측에 구비된 손잡이부(41) 및 타 측에 구비된 안착홈(42)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41)는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측면에 오목부(43)를 형성할 수 있다. 오목부(43)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바디 부재(40)의 안착홈(42)에는 베이스 부재(10)가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0)는 접착 부재(30)를 통해 안착홈(42)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 부재(30)는 양면에 접착력을 갖는 필름 형태가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부재(10)를 접착 부재(30)를 이용하여 바디 부재(40)에 부착시킴에 따라, 손톱 등을 연마함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10)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손잡이부(41)와 안착홈(42)을 갖는 별도의 바디 부재(40)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면(10a)에 복수개의 패턴(20)들이 형성되고, 제2 면(10b)에 접착 부재(30)가 배치된 베이스 부재(10)는 다양한 형태의 바디 부재(40)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바디 부재(40)는 휴대폰 케이스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베이스 부재(10)는 휴대폰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폰 케이스에 네일 광택기를 부착함으로써, 네일 광택기의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바디 부재(40)는 휴대용 공구 세트 또는 휴대용 공구 세트의 일부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베이스 부재(10)는 휴대용 공구 세트의 일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성이 편리한 휴대용 공구 세트에 네일 광택기를 부착함으로써, 네일 광택기의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의 네일 광택기는 하기와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첫째, 패턴이 형성된 글라스의 표면에 코팅된 금속(크롬)이 에칭과정을 거치더라도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최종 제품에서 크롬이라는 중금속이 그대로 남아 있고, 글라스의 표면에 크롬이 남아 있는 부분이 손톱과 발톱을 연마하게 되므로, 글라스에 남아 있는 중금속으로 문질러서 손톱이나 발톱의 표면에 광택을 내게 되어 결국 중금속이 사용자의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둘째, 패턴의 높이가 수십㎛ 이상으로 높으면 손톱이나 발톱에 광택이 나지 않고, 수㎛ 이하로 높이가 너무 낮으면 연마하면서 발생하는 가루(분말)가 빠져나가지 않기 때문에 가루를 자주 제거하면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은데, 상기 특허와 같이, 글라스에 형성된 패턴의 볼록부 높이가 5∼100㎛이고, 볼록부의 직경이 50∼150㎛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톱이나 발톱에 광택을 낼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셋째, 글라스에 형성된 패턴의 볼록부의 직경이 100㎛ 이하이면, 고가의 소재를 사용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에서 고가의 장비인 평행광노광기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현저하게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넷째, 네일 광택기가 손톱이나 발톱에 광택을 내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패턴과 패턴 사이의 간격인데, 패턴 사이의 간격에 대한 기술적 사항에 대하여 아무런 기재나 시사하는 바가 없기 때문에 손톱이나 발톱에 광택을 내는 네일 광택기로서는 결정적인 흠결과 기술적인 문제가 있다.
다섯째, 제품(네일 광택기) 자체가 손잡이도 없이 패턴이 형성된 글라스로만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보관이나 사용 중에 잘 깨진다는 문제가 있고, 손잡이가 따로 없기 때문에 지난번 사용했을 때 연마한 부분을 잡고 사용해야 하므로, 손톱 연마시 발생한 가루가 묻어 있는 부분을 손으로 잡고 연마해야 하므로 비위생적이며, 동시에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일 광택기는 제조 과정에서 베이스 부재(10)에 잔여할 수 있는 금속, 예컨대 크롬 등의 중금속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일 광택기는 베이스 부재(10)의 제1 면(10a)에 형성된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의 중앙에 내측으로 인입된 인입부(22)를 형성하고, 복수개의 패턴(20)들 각각의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짐으로써, 손톱 등을 용이하게 연마함과 동시에 광택 효과도 획기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일 광택기는 다양한 형태의 바디 부재(40)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비됨에 따라,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는 네일 광택기에 대해서만 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러한 네일 광택기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 이다.
10: 베이스 부재
10a: 제1 면
10b: 제2 면
20a: 상면
20b: 측면
20: 복수개의 패턴들
22: 인입부
30: 접착 부재
40: 바디 부재
41: 손잡이부
42: 안착홈
43: 오목부

Claims (18)

  1.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제2 면을 갖는 판상 형태의,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제1 면에 위치하며, 각각이 중앙에 인입부를 가지며 원기둥 형상인, 복수개의 패턴들;
    을 구비하는, 네일 광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글라스재로 형성되는, 네일 광택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은 상기 베이스 부재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네일 광택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과 상기 베이스 부재는 일체(一體)로 형성되는, 네일 광택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은 평단면의 직경이 상기 베이스 부재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네일 광택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의 인입부의 직경은 상기 베이스 부재와 가까워질수록 작아지는, 네일 광택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의 상면에 있어서, 상기 상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상기 인입부의 직경의 비율은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의 상면의 60% 내지 70% 인, 네일 광택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의 상면과 측면이 이루는 각도는 100° 내지 110° 인, 네일 광택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의 깊이는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의 높이의 1/2 이하인, 네일 광택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네일 광택기.
  11.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측에 제2 면을 갖는 판상 형태의,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2 면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 면에 있어서, 외측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상의 복수개의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은 원기둥 형상의 중앙에 내측으로 인입된 인입부를 포함하는, 네일 광택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글라스재로 형성되는, 네일 광택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의 평단면의 직경은 돌출된 끝 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네일 광택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의 인입부의 직경은 돌출된 끝 단부로 갈수록 커지는, 네일 광택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의 상면에 있어서, 상기 상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상기 인입부의 직경의 비율은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의 상면의 60% 내지 70% 인, 네일 광택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 각각의 상면과 측면이 이루는 각도는 100° 내지 110° 인, 네일 광택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들과 상기 베이스 부재는 일체(一體)로 형성되는, 네일 광택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일 측에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디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바디 부재의 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바디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네일 광택기.
KR1020160167389A 2016-12-09 2016-12-09 네일 광택기 KR101762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389A KR101762915B1 (ko) 2016-12-09 2016-12-09 네일 광택기
PCT/KR2017/014352 WO2018106050A1 (ko) 2016-12-09 2017-12-08 네일 광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389A KR101762915B1 (ko) 2016-12-09 2016-12-09 네일 광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915B1 true KR101762915B1 (ko) 2017-07-28

Family

ID=59422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389A KR101762915B1 (ko) 2016-12-09 2016-12-09 네일 광택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62915B1 (ko)
WO (1) WO20181060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6050A1 (ko) * 2016-12-09 2018-06-14 주식회사 휴텀 네일 광택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456B1 (ko) * 2006-07-21 2007-05-31 김재영 손톱 미용기구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080003214U (ko) * 2008-07-14 2008-08-08 장태경 개량 각질제거기
KR200451217Y1 (ko) * 2008-09-22 2010-12-03 신우유니온(주) 손발톱연마구
KR200458805Y1 (ko) * 2008-12-19 2012-03-09 최훈섭 연마프레임과 이를 적용한 손발톱 연마기
KR101654334B1 (ko) * 2014-03-27 2016-09-05 (주)글라샤인 손발톱 미용기구
KR101762915B1 (ko) * 2016-12-09 2017-07-28 주식회사 휴텀 네일 광택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6050A1 (ko) * 2016-12-09 2018-06-14 주식회사 휴텀 네일 광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6050A1 (ko)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53640A1 (en) Cosmetics brush cleaning device
US20080223385A1 (en) Nail File
KR20150112727A (ko) 손발톱 미용기구
US20060191553A1 (en) Manicure and pedicure file
US6162117A (en) Nail buffing tool
KR101762915B1 (ko) 네일 광택기
US20050081870A1 (en) Nail buffer and polisher having pliable body
KR20150002132A (ko) 절삭과 광택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손발톱 연마 미용기구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손발톱 연마 미용기구
US9326581B1 (en) Nail abrading implement
KR200482650Y1 (ko) 듀얼 브러쉬
US6913025B2 (en) Callus-removing skin-fi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62008Y1 (ko) 손발톱연마구
US20120151701A1 (en) Multifaceted scrubbing device
KR101648303B1 (ko) 속눈썹 손질용 트레이
KR200451217Y1 (ko) 손발톱연마구
KR102099297B1 (ko) 손톱 광택연마기구
US20140000639A1 (en) Thimble-Like Nail File
KR20180048013A (ko) 네일 광택기 및 그 제조방법
US20180303218A1 (en) Nail filing assembly
KR20160027892A (ko) 손발톱 미용기구
US20180295976A1 (en) Apparatuses for improving grip on handheld devices
KR20170116687A (ko) 네일 광택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375574Y1 (ko) 손톱손질기구
KR200458805Y1 (ko) 연마프레임과 이를 적용한 손발톱 연마기
US20110275294A1 (en) Sand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