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803B1 - 거품을 이용해서 단열 보온되는 온실 - Google Patents

거품을 이용해서 단열 보온되는 온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803B1
KR101762803B1 KR1020170029304A KR20170029304A KR101762803B1 KR 101762803 B1 KR101762803 B1 KR 101762803B1 KR 1020170029304 A KR1020170029304 A KR 1020170029304A KR 20170029304 A KR20170029304 A KR 20170029304A KR 101762803 B1 KR101762803 B1 KR 101762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wall
frame
foam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청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친환경농부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친환경농부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친환경농부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9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69Greenhouses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8Greenhouses for treating plants with carbon dioxid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실은 수용 공간을 형성하면서 지면 상에 위치되는 내부 프레임부; 상기 지면 상에서 상기 내부 프레임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내부 프레임부의 외측에 위치된 외부 프레임부; 상기 내부 프레임부와 상기 외부 프레임부 사이에 위치되고, 폐쇄된 형태의 충진 공간을 가지면서 팽창 및 수축가능한 프레임 백부; 상기 프레임 백부에 연결되어, 상기 충진 공간에 대한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공기 가이드부; 및 상기 충진 공간에 위치되고, 거품을 생성하여 상기 충진 공간을 충진하는 거품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거품 발생부가 작동될 때, 공기는 상기 공기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충진 공간에 공급되어 상기 프레임 백부는 팽창되고, 거품은 상기 거품 발생부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거품 발생부가 정지될 때, 공기는 상기 공기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충진 공간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프레임 백부는 수축되고, 거품은 거품액으로 변하여 상기 충진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온실은 공기와 거품을 조합하여 단열 및 보온 성능을 향상시키고, 지속적으로 단열 및 보온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유지 비용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거품을 이용해서 단열 보온되는 온실{HEAT INSULATION GREENHOUSE USING BUBBLE}
본 발명은 온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열 및 보온을 향상시키는 온실에 관한 것이다.
온실은 광선, 온도, 습도 등을 인공적으로 조절하여 식물을 자유롭게 재배할 수 있는 건축물이다. 이러한 온실은 단층의 골조 외면을 합성수지필름, 유리 등과 같은 투명한 재료로 둘러싸서 태양광 및 태양열을 투과시키고,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높은 내부 온도로 유지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식물은 온실 내에서 일 년 내내 재배될 수 있고, 그 수확기도 조절될 수 있다.
하지만, 겨울철에 온실의 외부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온실의 내부열이 쉽게 손실된다. 또한, 여름철에는 강렬한 직사광선 및 외부 온도의 고온화로 인해 온실의 내부 온도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된다. 이때 온실의 내부에서 과채류가 재배되는 경우, 과채류는 고온피해를 입게 된다. 이로 인해, 온실에는 난로, 보일러 등과 같은 난방설비 또는 냉방설비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설비들은 상당한 설치 비용 및 유지 비용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온실에는 보온 덮개가 적용되기도 한다. 보온 덮개는 온실의 외측면 상에 위치되어 온실을 덮어, 온실에 보온 및 차광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보온 덮개는 상대적으로 작은 온실에는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큰 온실에 적용될 때에는 펼쳤다가 개는 데에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상대적으로 큰 온실에 적용되는 보온 덮개에는 보온 덮개를 펼쳤다가 갤 수 있도록 별도의 기계 장치가 설치된다. 하지만, 보온 덮개는 부피가 커서 기계 장치에 의해서도 원활하게 펼쳐졌다가 개어지지 않을 수 있고, 눈이나 비가 올 때에는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1995-0028603호(공개일: 1995년 11월 22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실은 공기와 거품을 조합하여 단열 및 보온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실은 지속적으로 단열 및 보온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유지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실은 수용 공간을 형성하면서도 지면 상에 위치되는 내부 프레임부; 상기 지면 상에서 상기 내부 프레임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내부 프레임부의 외측에 위치된 외부 프레임부; 상기 내부 프레임부와 상기 외부 프레임부 사이에 위치되고, 폐쇄된 형태의 충진 공간을 가지면서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프레임 백부; 상기 프레임 백부에 연결되어, 상기 충진 공간에 대한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공기 가이드부; 및 상기 충진 공간에 위치되고, 거품을 생성하여 상기 충진 공간을 충진하는 거품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거품 발생부가 작동될 때, 공기는 상기 공기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충진 공간에 공급되어 상기 프레임 백부는 팽창되고, 거품은 상기 거품 발생부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거품 발생부가 정지될 때, 공기는 상기 공기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충진 공간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프레임 백부는 수축되고, 거품은 거품액으로 변하여 상기 충진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프레임부 및 상기 외부 프레임부의 각각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면 상에서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벽체 프레임부; 및 상기 벽체 프레임부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상면을 폐쇄하는 지붕 프레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백부는, 상기 벽체 프레임부에 대응하도록 충진 공간을 형성하는 벽체 백부; 및 상기 벽체 백부에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지붕 프레임부에 대응하도록 충진 공간을 형성하는 지붕 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거품 발생부는, 상기 벽체 백부에 수용되어 상기 벽체 백부의 상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거품을 생성하여 상기 벽체 백부에 충진하는 벽체 거품부; 및 상기 지붕 백부에 수용되어 상기 지붕 백부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거품을 생성하여 상기 지붕 백부에 충진하는 지붕 거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벽체 거품부는 거품을 생성하여 하향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붕 거품부는 거품을 생성하여 상기 지붕 백부의 측면을 향하여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거품 발생부는, 상기 충진 공간에 수용되고, 복수 개의 개구들이 형성된 발생 몸체부; 상기 발생 몸체부의 개구들을 향하여 거품액을 분사하여 도포하는 거품액 분사부; 및 상기 발생 몸체부의 개구들을 향하여 공기를 유도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되, 거품액이 상기 발생 몸체부에 도포된 상태에서, 공기는 상기 송풍부에 의해 상기 발생 몸체부로 유도되어 거품액과 함께 상기 개구들을 통과하여 거품액을 거품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거품 발생부는, 상기 지면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거품액을 저장하는 거품액 저장부; 상기 거품액 저장부와 상기 거품액 분사부를 연결하는 거품액 주입부; 및 상기 프레임 백부를 상기 거품액 저장부에 연결하는 거품액 배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품액 분사부가 작동할 때, 거품액은 상기 거품액 저장부로부터 상기 거품액 주입부를 따라 상기 거품액 분사부에 공급되어 분사되고, 상기 충진 공간의 거품액은 상기 거품액 배출부를 통해 상기 거품액 저장부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공기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 백부의 상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거품액 주입부는 상기 공기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충진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거품액 저장부와 상기 거품액 분사부를 연결하고, 상기 거품액 주입부의 외경은 상기 공기 가이드부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온실은, 상기 프레임 백부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백부의 적어도 일부를 풀었다가 감아서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벽체 백부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벽체 백부를 감았다 풀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외부 프레임부의 벽체 프레임부와 상기 내부 프레임부의 벽체 프레임부 사이를 개폐하는 벽체 개폐부; 및 상기 지붕 백부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지붕 백부를 감았다가 풀면서 상기 지붕 백부의 중앙에 대하여 이동하여 상기 외부 프레임부의 지붕 프레임부와 상기 내부 프레임부의 지붕 프레임부 사이를 개폐하는 지붕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벽체 개폐부는, 상기 벽체 백부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벽체 샤프트부; 및 상기 벽체 샤프트부의 적어도 일종단에 연결되고, 상기 벽체 샤프트부를 회전시켜 상기 벽체 백부를 상기 벽체 샤프트부에 감기거나 상기 벽체 샤프트부로부터 풀리도록 하는 벽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벽체 개폐부는, 상기 내부 프레임부의 벽체 프레임부와 교차하도록 연결되는 벽체 개폐 고정부; 및 상기 벽체 개폐 고정부 및 상기 벽체 구동부에 링크 연결되고, 상기 벽체 샤프트부의 위치에 따라 변하는 길이를 갖는 벽체 개폐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벽체 개폐 연결부는, 상기 벽체 개폐 고정부 및 상기 벽체 구동부 중 어느 하나에 링크 연결되는 제 1 벽체 연결부; 및 상기 벽체 개폐 고정부 및 상기 벽체 구동부 중 다른 하나에 링크 연결되고, 상기 제 1 벽체 연결부의 일종단면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벽체 연결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제 2 벽체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붕 개폐부는, 상기 지붕 백부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지붕 샤프트부; 및 상기 지붕 샤프트부의 적어도 일종단에 연결되어, 상기 지붕 샤프트부를 회전시켜 상기 지붕 백부를 상기 지붕 샤프트부에 감기거나 상기 지붕 샤프트부로부터 풀리도록 하는 지붕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붕 프레임부가 아치 형상으로 이루어질 때, 상기 지붕 개폐부는, 상기 내부 프레임부의 지붕 프레임부의 양측단을 연결하고, 상기 내부 프레임부의 지붕 프레임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지붕 개폐 고정부; 및 상기 지붕 개폐 고정부 및 상기 지붕 구동부에 링크 연결되고, 상기 내부 프레임부의 지붕 프레임부 상에서 상기 지붕 샤프트부의 위치에 따라 변하는 길이를 갖는 지붕 개폐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붕 개폐 연결부는, 상기 지붕 개폐 고정부 및 상기 지붕 구동부 중 어느 하나에 링크 연결되는 제 1 지붕 연결부; 및 상기 지붕 개폐 고정부 및 상기 지붕 구동부 중 다른 하나에 링크 연결되고, 상기 제 1 지붕 연결부의 일종단면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지붕 연결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제 2 지붕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온실은, 상기 프레임 백부의 충진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충진 공간에 충진된 거품의 양을 감지하고, 감지된 거품의 양에 따라 상기 거품 발생부를 제어하는 감지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실이 달성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공기 및 거품을 이용하여 단열 및 보온 성능이 향상된다.
(2) 지속적으로 단열 및 보온 성능이 유지되면서 유지 비용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온실의 프레임 백부에 거품이 충진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온실이 개폐부에 의해 폐쇄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온실이 개폐부에 의해 개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온실에서 거품 발생부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실(1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온실(100)의 프레임 백부(103)에 거품이 충진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온실(100)이 개폐부(106)에 의해 폐쇄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온실(100)이 개폐부(106)에 의해 개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온실(100)에서 거품 발생부(151, 153)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실(100)은 내부 프레임부(101), 외부 프레임부(102), 프레임 백부(103), 공기 가이드부(104) 및 거품 발생부(105)를 포함하며, 온실(100)의 외부 조건에 따라 프레임 백부(103)를 조절하고, 프레임 백부(103)의 내부에 거품을 생성하여 충진함으로써, 온실(100)에 대한 단열 및 보온 성능을 조절한다.
내부 프레임부(101)는 수용 공간(100a)을 형성하면서 지면(10) 상에 위치된다. 수용 공간(100a)은 터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식물들이 그 내부에 수용되어 성장될 수 있는 공간이나, 터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식물들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기만 하면 다양한 형상(예를 들어, 돔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부 프레임부(101)는 골조(framework)로 이루어진다.
외부 프레임부(102)는 지면(10) 상에 위치되고, 내부 프레임부(101)에 대응하도록 내부 프레임부(101)의 외측에 위치되어 내부 프레임부(101)로부터 이격된다. 외부 프레임부(102)도 내부 프레임부(101)와 마찬가지로 골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외부 프레임부(102)는 합성수지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커버(102a)에 의해 덮이고, 커버(102a)는 수용 공간(100a)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커버(102a)는 접혔다가 펼쳐질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수용 공간(100a)은 온실(10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내부 프레임부(101)는 벽체 프레임부(111) 및 지붕 프레임부(113)를 포함하고, 외부 프레임부(102)는 벽체 프레임부(121) 및 지붕 프레임부(123)를 포함한다. 내부 프레임부(101) 및 외부 프레임부(102)는 크기와 위치에 있어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이기에,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 프레임부(101)에 포함된 벽체 프레임부(111) 및 지붕 프레임부(113)만을 설명하고자 한다.
벽체 프레임부(111)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수용 공간(10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면(10) 상에 위치되고, 그 사이에는 수용 공간(100a)이 위치된다.
지붕 프레임부(113)는 벽체 프레임부(111)의 상단에 위치되어, 벽체 프레임부(111)를 상호 간에 연결한다. 지붕 프레임부(113)는 수용 공간(100a)의 상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한편, 외부 프레임부(102)의 벽체 프레임부(121) 및 지붕 프레임부(123)는 각각 내부 프레임부(101)의 벽체 프레임부(111) 및 지붕 프레임부(113)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프레임 백부(103)는 내부 프레임부(101)와 외부 프레임부(102) 사이에 위치되고, 폐쇄된 형태의 충진 공간(103a)을 갖는다. 이때, 프레임 백부(103)는 팽창될 수도 있고 수축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레임 백부(103)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봉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합성수지필름을 접착제로 접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기가 충진 공간(103a)에 공급되면, 프레임 백부(103)는 팽창되어 내부 프레임부(101) 및 외부 프레임부(102)에 밀착되고, 내부 프레임부(101)와 외부 프레임부(102) 사이를 폐쇄한다. 이로 인해, 프레임 백부(103)는 충진 공간(103a)에 공급된 공기를 후술될 거품 발생부(105)에 의해 발생하는 거품과 조합하여 온실(100)에 단열 및 보온층으로서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외부 프레임부(102)를 덮는 커버(102a)는 온실(100)의 외부에서 발생한 바람을 차단함으로써 프레임 백부(103)를 보호하여, 프레임 백부(103)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공기가 충진 공간(103a)으로부터 배출되면, 프레임 백부(103)는 수축되어, 온실(100)에 대한 단열 및 보온층을 감소시킨다.
또한, 프레임 백부(103)는 벽체 백부(131) 및 지붕 백부(133)를 포함한다.
벽체 백부(131)는 벽체 프레임부(111, 121)에 대응하도록 충진 공간(103a)을 형성하고, 지붕 백부(133)는 지붕 프레임부(113, 123)에 대응하도록 충진 공간(103a)을 형성한다. 이때, 벽체 백부(131)와 지붕 백부(133)는 상호 간에 분리되고, 벽체 백부(131)의 상면은 지붕 백부(133)의 측면에 밀착된다.
공기 가이드부(104)는 프레임 백부(103)에 연결되어, 충진 공간(103a)과 온실(100)의 외부를 연결하며, 충진 공간(103a)에 대한 공기의 공급 및 배출 경로로 기능한다. 즉, 공기 가이드부(104)는 충진 공간(103a)의 크기, 특히 두께를 조절하는 데에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단열 및 보온이 필요로 할 때(예를 들어, 겨울철 밤 또는 여름철 낮)에는 공기는 공기 가이드부(104)를 통해 충진 공간(103a)에 공급되고, 상대적으로 단열 및 보온이 필요로 하지 않을 때(예를 들어, 겨울철 낮 또는 여름철 밤)에는 공기는 공기 가이드부(104)를 통해 충진 공간(103a)으로부터 배출된다.
본 실시예의 공기 가이드부(104)는 배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프레임 백부(103)를 이루는 벽체 백부(131) 및 지붕 백부(133)의 상단부에 위치된다. 이때, 후술될 거품 발생부(105)가 작동할 때 공기는 공기 가이드부(104)를 통해 충진 공간(103a)에 공급되고, 후술될 개폐부(106)가 작동할 때 공기는 공기 가이드부(104)를 통해 충진 공간(103a)으로부터 배출된다.
거품 발생부(105)는 충진 공간(103a)에 위치되고, 거품을 생성하여 충진 공간(103a)을 거품으로 충진한다. 거품이 거품 발생부(105)에 의해 충진 공간(103a)에 충진될 때, 프레임 백부(103)는 충진 공간(103a)에 공급된 공기뿐 아니라 충진 공간(103a)에 충진된 거품과 조합하여 온실(100)에 단열 및 보온층을 제공한다. 이때, 거품액은 흑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흑색의 거품액으로 생성된 거품은 충진 공간(103a)에 충진되어 차광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거품 발생부(105)는 벽체 거품부(151) 및 지붕 거품부(153)를 포함한다.
벽체 거품부(151)는 벽체 백부(131)에 수용되고 벽체 백부(131)의 상단부에 위치된다. 이때, 벽체 거품부(151)는 수용 공간(100a)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벽체 거품부(151)는 거품을 생성하여 벽체 백부(131)를 거품으로 충진한다. 또한, 벽체 거품부(151)에서 생성된 거품은 하향 유동한다. 이로 인해, 거품은 벽체 거품부(151)에 의해 벽체 프레임부(111, 121)에 대응하도록 벽체 백부(131)에 충진된다.
지붕 거품부(153)는 지붕 백부(133)에 수용되고 지붕 백부(133)의 중앙에 위치된다. 이때, 지붕 거품부(153)는 수용 공간(100a)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지붕 거품부(153)는 거품을 생성하여 지붕 백부(133)를 거품으로 충진한다. 또한, 지붕 거품부(153)에서 생성된 거품은 지붕 백부(133)의 측면을 향하여 유동한다. 이로 인해, 거품은 지붕 거품부(153)에 의해 지붕 프레임부(113, 123)에 대응하도록 지붕 백부(133)에 충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벽체 거품부(151) 및 지붕 거품부(153)의 각각은 발생 몸체부(105a), 거품액 분사부(105b), 및 송풍부(105c)를 포함한다.
발생 몸체부(105a)는 벽체 백부(131) 및 지붕 백부(133)의 충진 공간(103a)에 수용된다. 발생 몸체부(105a)는 복수 개의 개구(105a')들이 형성된다. 이때, 발생 몸체부(105a)는 망 형태의 직물 또는 스펀지일 수 있다.
거품액 분사부(105b)는 벽체 백부(131) 및 지붕 백부(133)의 충진 공간(103a)에 수용되어, 발생 몸체부(105a)의 개구(105a')들을 향하여 거품액을 분사한다. 분사된 거품액은 발생 몸체부(105a)에 도포된다.
송풍부(105c)는 벽체 백부(131) 및 지붕 백부(133)의 충진 공간(103a)에 수용되어, 발생 몸체부(105a)의 개구(105a')들을 향하여 공기를 유도한다. 이때, 송풍부(105c)는 바람을 일으킨다. 유도된 공기는 발생 몸체부(105a)에 도포된 거품액을 발생 몸체부(105a)의 개구(105a')로 유도한다. 이때, 거품액은 공기와 함께 개구(105a')들을 통과하면서, 거품으로 생성된다. 여기서, 송풍부(105c)는 전동식 송풍기 또는 수압을 이용한 터빈식 송풍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송풍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송풍부(105c)가 작동할 때, 공기는 공기 가이드부(104)를 통해 충진 공간(103a)에 공급된다.
또한, 벽체 거품부(151) 및 지붕 거품부(153)의 각각은 거품액 저장부(105d), 거품액 주입부(105e) 및 거품액 배출부(105f)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거품액 저장부(105d)는 지면(10)의 하측에 위치되어, 거품액을 저장한다.
거품액 주입부(105e)는 거품액 저장부(105d)와 거품액 분사부(105b)를 연결한다. 이때, 거품액 주입부(105e)는 호스(hose) 형태로 이루어지고, 공기 가이드부(104)를 통해 충진 공간(103a)에 삽입된다. 거품 분사부(105b)가 작동할 때, 거품액은 거품액 저장부(105d)로부터 거품액 주입부(105e)를 따라 유동하여 거품액 분사부(105b)에 공급되어 거품액 분사부(105b)로부터 분사된다. 이때, 거품액 주입부(105e)의 외경은 공기 가이부(104)의 내경보다 작다. 이로 인해, 공기 가이드부(104)를 통한 공기의 유동은 거품액 주입부(105e)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거품액 배출부(105f)는 호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프레임 백부(103), 특히 벽체 백부(131) 및 지붕 백부(133)를 거품액 저장부(105d)에 연결하고 개폐가능하다. 이때, 거품액 배출부(105f)는 공기 가이드부(104)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거품액 배출부(105f)는 거품액이 거품으로 생성될 때에는 폐쇄된 상태이고, 거품으로부터 변한 거품액을 배출하기 위하여 개방된다. 거품액은 거품액 배출부(105f)를 통과하여 거품액 저장부(105d)에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거품액 저장부(105d), 거품액 주입부(105e) 및 거품액 배출부(105f)는 상호 간에 조합하여 거품액을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즉, 거품액은 거품으로 생성된 이후에 거품이 사그라져 다시 액체 형태로 이루어지더라도, 거품액 저장부(105d)로 회수하여 거품을 생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거품액은 지속적으로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거품액은 글리세린, 물엿, 설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거품액에 포함된 상기 성분의 양은 거품액으로부터 생성된 거품이 10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유지 시간을 갖는 거품은 거품 발생부(105)의 작동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온실(100)은 개폐부(106)를 더 포함한다.
개폐부(106)는 프레임 백부(103)에 연결되어, 프레임 백부(103)의 일부를 감았다가 풀어서 수용 공간(100a)을 보온이 필요로 할 때 프레임 백부(103)를 이용하여 수용 공간(100a)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한다. 이때, 프레임 백부(103)에는 거품 발생부(105)의 송풍부(105c)에 의해 공기가 공급되고, 거품 발생부(105)의 거품액 분사부(105b)가 송풍부(105c)와 조합하여 작동할 때 거품은 생성되어 프레임 백부(103)에 충진된다. 이로 인해, 프레임 백부(103)는 수용 공간(100a)에 대한 단열 및 보온뿐 아니라 차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106)는 수용 공간(100a)을 개방하고자 프레임 백부(103)의 일부를 감는다. 이때, 거품액 배출부(105f)는 폐쇄된 상태로부터 개방된 상태로 전환되고, 거품 및 거품액은 거품액 배출부(105f)를 통해 프레임 백부(103)로부터 배출된다. 거품 및 거품액이 프레임 백부(103)로부터 완전히 배출된 상태에서, 개폐부(106)는 프레임 백부(103)를 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폐부(106)가 프레임 백부(103)를 감을 때, 공기는 프레임 백부(103)의 충진 공간(103a)으로부터 공기 가이드부(104)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개폐부(106)는 벽체 개폐부(161) 및 지붕 개폐부(163)를 포함한다.
벽체 개폐부(161)는 프레임 백부(103)의 벽체 백부(131)의 하면에 연결된다. 벽체 개폐부(161)는 벽체 백부(131)를 감았다가 풀면서 상하이동하여, 온실(100)에서 벽체의 일부를 개폐한다. 또한, 벽체 개폐부(161)는 벽체 샤프트부(161a) 및 벽체 구동부(161b)를 포함한다.
벽체 샤프트부(161a)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벽체 백부(131)의 하면에 연결되어, 수용 공간(10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된다.
벽체 구동부(161b)는 벽체 샤프트부(161a)의 일종단에 연결되어, 벽체 샤프트부(161a)를 회전시킨다. 벽체 샤프트부(161a)는 벽체 샤프트부(161a)의 길이방향을 따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벽체 백부(131)는 벽체 샤프트부(161a)에 감기거나, 벽체 샤프트부(161a)로부터 풀린다. 이때, 벽체 샤프트부(161a)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벽체 샤프트부(161a)가 상향이동하여, 온실(100)의 벽체는 개방되고, 벽체 샤프트부(161a)가 하향이동하여, 온실(100)의 벽체는 폐쇄된다.
한편, 벽체 구동부(161b)는 벽체 샤프트부(161a)의 일종단 뿐 아니라, 벽체 샤프트부(161a)의 타종단에 연결될 수도 있다.
벽체 개폐부(161)은 벽체 개폐 고정부(161c) 및 벽체 개폐 연결부(161d)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벽체 개폐 고정부(161c)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 프레임부(101)의 벽체 프레임부(111)와 교차하도록 연결되고, 지면(10) 상에 위치된다. 이때, 벽체 개폐 고정부(161c)는 수용 공간(100a)의 폭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고정된다.
벽체 개폐 연결부(161d)는 벽체 개폐 고정부(161c) 및 벽체 구동부(163b)에 링크 연결되고, 길이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벽체 샤프트부(161a)가 내부 프레임부(101)의 벽체 프레임부(111)를 따라 상하이동할 때, 벽체 개폐 연결부(161d)는 벽체 개폐 고정부(163c)와 연결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그 길이가 변경된다. 예를 들어, 벽체 샤프트부(161a)가 상향이동할수록, 벽체 개폐 연결부(161d)의 길이는 증가하는 반면에, 벽체 샤프트부(161a)가 하향이동할수록, 벽체 개폐 연결부(161d)의 길이는 감소한다. 또한, 벽체 개폐 연결부(161d)는 제 1 벽체 연결부(161d') 및 제 2 벽체 연결부(161d")를 포함한다.
제 1 벽체 연결부(161d')는 벽체 개폐 고정부(161c)에 링크 연결된다.
제 2 벽체 연결부(161d")는 벽체 구동부(161b)에 링크 연결되고, 제 1 벽체 연결부(161d')의 일종단면에 삽입되어 제 1 벽체 연결부(161d')를 따라 이동가능하다. 특히, 제 2 벽체 연결부(161d")는 제 1 벽체 연결부(161d')와 함께 벽체 개폐 고정부(161c)와 연결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 1 벽체 연결부(161d')를 따라 이동한다. 예를 들어, 벽체 샤프트부(161a)가 상향이동할수록, 제 2 벽체 연결부(161d")는 제 1 벽체 연결부(161d')로부터 분리되어, 벽체 개폐 연결부(161d)의 길이는 증가하고 반면에, 벽체 샤프트부(161a)가 하향이동할수록, 제 2 벽체 연결부(1631")는 제 1 벽체 연결부(161d')에 삽입되어, 벽체 개폐 연결부(161d)의 길이는 감소한다.
상기와 같은 벽체 개폐 고정부(161c) 및 벽체 개폐 연결부(161d)는 상호 간에 조합하여 벽체 샤프트부(161a)를 내부 프레임부(101)의 벽체 프레임부(111)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하고, 고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벽체 개폐 고정부(161c) 및 벽체 개폐 연결부(161d)는 프레임 백부(103)를 이용한 온실(100)에서 벽체의 개폐를 안정적으로 구현하도록 한다.
지붕 개폐부(163)는 프레임 백부(103)의 지붕 백부(133)의 측면에 연결된다. 지붕 개폐부(163)는 지붕 백부(133)를 감았다가 풀면서 수용 공간(100a)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온실(100)에서 지붕의 일부를 개폐한다. 또한, 지붕 개폐부(163)는 지붕 샤프트부(163a) 및 지붕 구동부(163b)를 포함한다.
지붕 샤프트부(163a)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붕 백부(133)의 측면에 연결되어 수용 공간(10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된다. 이때, 지붕 샤프트부(163a)는 내부 프레임부(101)의 지붕 프레임부(113) 상에 위치된다.
지붕 구동부(163b)는 지붕 샤프트부(163a)의 일종단에 연결되어, 지붕 샤프트부(163a)를 회전시킨다. 지붕 샤프트부(163a)는 지붕 샤프트부(163a)의 길이방향을 따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지붕 백부(133)는 지붕 샤프트부(163a)에 감기거나, 지붕 샤프트부(131a)로부터 풀린다. 이때, 지붕 샤프트부(163a)는 내부 프레임부(101)의 지붕 프레임부(113)를 따라 이동한다. 즉, 지붕 샤프트부(163a)가 지붕 거품부(153)를 향하여 이동하여, 온실(100)의 지붕은 개방되고, 지붕 샤프트부(163a)가 지붕 거품부(153)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온실(100)의 지붕은 폐쇄된다.
한편, 지붕 구동부(163b)는 지붕 샤프트부(163a)의 일종단 뿐 아니라, 지붕 샤프트부(163a)의 타종단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지붕 프레임부(113)가 아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지붕 개폐부(163)는 지붕 개폐 고정부(163c) 및 지붕 개폐 연결부(163d)를 더 포함한다.
지붕 개폐 고정부(163c)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 프레임부(101)의 지붕 프레임부(113)의 양측을 연결하고, 내부 프레임부(101)의 지붕 프레임부(113)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때, 지붕 개폐 고정부(163c)는 수용 공간(100a)의 폭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고정된다.
지붕 개폐 연결부(163d)는 지붕 개폐 고정부(163c) 및 지붕 구동부(163b)에 링크 연결되고, 길이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지붕 샤프트부(163a)가 내부 프레임부(101)의 지붕 프레임부(113)를 따라 이동할 때, 지붕 개폐 연결부(163d)는 지붕 개폐 고정부(163c)와 연결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지붕 구동부(163b)의 하중에 의해 그 길이가 변경된다. 예를 들어, 지붕 샤프트부(163a)가 지붕 거품부(153)를 향하여 이동할수록, 지붕 개폐 연결부(163d)의 길이는 감소하는 반면에, 지붕 샤프트부(163a)가 지붕 거품부(153)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수록, 지붕 개폐 연결부(163d)의 길이는 증가한다. 또한, 지붕 개폐 연결부(163d)는 제 1 지붕 연결부(163d') 및 제 2 지붕 연결부(163d")를 포함한다.
제 1 지붕 연결부(163d')는 지붕 개폐 고정부(163c)에 링크 연결된다.
제 2 지붕 연결부(163d")는 지붕 구동부(163b)에 링크 연결되고, 제 1 지붕 연결부(163d')의 일종단면에 삽입되어 제 1 지붕 연결부(163d')를 따라 이동가능하다. 특히, 제 2 지붕 연결부(163d")는 제 1 지붕 연결부(163d')와 함께 지붕 개폐 고정부(163c)와 연결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지붕 구동부(163b)의 하중에 의해 제 1 지붕 연결부(163d')를 따라 이동한다. 예를 들어, 지붕 샤프트부(163a)가 지붕 거품부(153)를 향하여 이동할수록, 제 2 지붕 연결부(163d")는 제 1 지붕 연결부(163d')에 삽입되어, 지붕 개폐 연결부(163d)의 길이는 감소하고 반면에, 지붕 샤프트부(163a)가 지붕 거품부(153)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수록, 제 2 지붕 연결부(163d")는 제 1 지붕 연결부(163d')로부터 배출되어, 지붕 개폐 연결부(163d)의 길이는 증가한다.
상기와 같은 지붕 개폐 고정부(163c) 및 지붕 개폐 연결부(163d)는 상호 간에 조합하여 지붕 샤프트부(163a)를 아치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부 프레임부(101)의 지붕 프레임부(113)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하고, 고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지붕 개폐 고정부(163c) 및 지붕 개폐 연결부(164d)는 프레임 백부(103)를 이용한 온실(100)에서 지붕의 개폐를 안정적으로 구현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온실(100)은 감지 제어부(107)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감지 제어부(107)는 프레임 백부(103)의 충진 공간(103a)에 수용되어, 충진 공간(103a)에 충진된 거품의 양을 감지하고, 감지된 거품의 양에 따라 거품 발생부(105)를 제어한다. 즉, 거품 발생부(105)는 감지 제어부(107)에 의해 설정된 양만큼 충진 공간(103a)을 거품으로 충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거품이 설정된 양만큼 충진 공간(103a)에 충진되면, 거품 발생부(105)는 거품을 생성하지 않는다. 감지 제어부(107)는 프레임 백부(103)의 벽체 백부(131) 및 지붕 백부(133) 모두에 수용되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온실(100)은 프레임 백부(103)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배출하여, 프레임 백부(103)의 크기, 특히 두께를 조절한다. 즉, 온실(100)에 대한 단열 및 보온 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프레임 백부(103)는 공기를 공급받아 팽창하고, 증가된 두께를 갖는다. 또한, 온실(100)에 대한 단열 및 보온 성능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프레임 백부(103)는 공기를 배출시켜 수축되고, 감소된 두께를 갖는다. 특히, 프레임 백부(103)에 공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거품 발생부(105)는 거품을 생성하여 거품으로 프레임 백부(103)에 충진하여, 공기와 조합하여 단열 및 보온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폐부(106)는 프레임 백부(103)를 감거나 풀어서 온실(100)을 개폐한다. 이때, 온실(100)의 수용 공간(100a)도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즉, 개폐부(106)는 수용 공간(100a)에 대하여 프레임 백부(103)에 의한 단열 및 보온층을 제어하고, 온실(100)에 대한 차광 기능을 제어하기도 한다. 온실(100)의 수용 공간(100a)은 개폐부(106)에 의해 더욱 다양한 단열 및 보온 조건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온실(100)의 단열 및 보온이 다양하게 제어되기에, 온실(100)의 내부에 냉방 장치 또는 난방 장치가 별도로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온실(100)은 단열 보온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온실
101: 내부 프레임부 102: 외부 프레임부
111, 121: 벽체 프레임부 113, 123: 지붕 프레임부
103: 프레임 백부 131: 벽체 백부
133: 지붕 백부 104: 공기 가이드부
105: 거품 발생부 151: 벽체 거품부
153: 지붕 거품부 105a: 발생 몸체부
105b: 거품액 분사부 105c: 송풍부
105d: 거품액 저장부 105e: 거품액 주입부
105f: 거품액 배출부 106: 개폐부
161: 벽체 개폐부 163: 지붕 개폐부
161a: 벽체 샤프트부 161b: 벽체 구동부
161c: 벽체 개폐 고정부 163d: 벽체 개폐 연결부
163a: 지붕 샤프트부 163b: 지붕 구동부
163c: 지붕 개폐 고정부 163d: 지붕 개폐 연결부
107: 감지 제어부

Claims (17)

  1. 온실에 있어서,
    수용 공간을 형성하면서 지면 상에 위치되는 내부 프레임부;
    상기 지면 상에서 상기 내부 프레임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내부 프레임부의 외측에 위치된 외부 프레임부;
    상기 내부 프레임부와 상기 외부 프레임부 사이에 위치되고, 폐쇄된 형태의 충진 공간을 가지면서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프레임 백부;
    상기 프레임 백부에 연결되어, 상기 충진 공간에 대한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공기 가이드부; 및
    상기 충진 공간에 위치되고, 거품을 생성하여 상기 충진 공간을 충진하는 거품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거품 발생부가 작동될 때, 공기는 상기 공기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충진 공간에 공급되어 상기 프레임 백부는 팽창되고, 거품은 상기 거품 발생부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거품 발생부가 정지될 때, 공기는 상기 공기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충진 공간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프레임 백부는 수축되고, 거품은 거품액으로 변하여 상기 충진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며,
    상기 내부 프레임부 및 상기 외부 프레임부의 각각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면 상에서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벽체 프레임부; 및
    상기 벽체 프레임부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상면을 폐쇄하는 지붕 프레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백부는,
    상기 벽체 프레임부에 대응하도록 충진 공간을 형성하는 벽체 백부; 및
    상기 벽체 백부에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지붕 프레임부에 대응하도록 충진 공간을 형성하는 지붕 백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실은 상기 프레임 백부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백부의 적어도 일부를 풀었다가 감아서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벽체 백부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벽체 백부를 감았다 풀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외부 프레임부의 벽체 프레임부와 상기 내부 프레임부의 벽체 프레임부 사이를 개폐하는 벽체 개폐부; 및
    상기 지붕 백부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지붕 백부를 감았다가 풀면서 상기 지붕 백부의 중앙에 대하여 이동하여 상기 외부 프레임부의 지붕 프레임부와 상기 내부 프레임부의 지붕 프레임부 사이를 개폐하는 지붕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 개폐부는,
    상기 벽체 백부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벽체 샤프트부; 및
    상기 벽체 샤프트부의 적어도 일종단에 연결되고, 상기 벽체 샤프트부를 회전시켜 상기 벽체 백부를 상기 벽체 샤프트부에 감기거나 상기 벽체 샤프트부로부터 풀리도록 하는 벽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2. 온실에 있어서,
    수용 공간을 형성하면서 지면 상에 위치되는 내부 프레임부;
    상기 지면 상에서 상기 내부 프레임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내부 프레임부의 외측에 위치된 외부 프레임부;
    상기 내부 프레임부와 상기 외부 프레임부 사이에 위치되고, 폐쇄된 형태의 충진 공간을 가지면서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프레임 백부;
    상기 프레임 백부에 연결되어, 상기 충진 공간에 대한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공기 가이드부; 및
    상기 충진 공간에 위치되고, 거품을 생성하여 상기 충진 공간을 충진하는 거품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거품 발생부가 작동될 때, 공기는 상기 공기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충진 공간에 공급되어 상기 프레임 백부는 팽창되고, 거품은 상기 거품 발생부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거품 발생부가 정지될 때, 공기는 상기 공기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충진 공간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프레임 백부는 수축되고, 거품은 거품액으로 변하여 상기 충진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며,
    상기 내부 프레임부 및 상기 외부 프레임부의 각각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면 상에서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벽체 프레임부; 및
    상기 벽체 프레임부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상면을 폐쇄하는 지붕 프레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백부는,
    상기 벽체 프레임부에 대응하도록 충진 공간을 형성하는 벽체 백부; 및
    상기 벽체 백부에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지붕 프레임부에 대응하도록 충진 공간을 형성하는 지붕 백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실은 상기 프레임 백부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백부의 적어도 일부를 풀었다가 감아서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벽체 백부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벽체 백부를 감았다 풀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외부 프레임부의 벽체 프레임부와 상기 내부 프레임부의 벽체 프레임부 사이를 개폐하는 벽체 개폐부; 및
    상기 지붕 백부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지붕 백부를 감았다가 풀면서 상기 지붕 백부의 중앙에 대하여 이동하여 상기 외부 프레임부의 지붕 프레임부와 상기 내부 프레임부의 지붕 프레임부 사이를 개폐하는 지붕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붕 개폐부는,
    상기 지붕 백부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지붕 샤프트부; 및
    상기 지붕 샤프트부의 적어도 일종단에 연결되어, 상기 지붕 샤프트부를 회전시켜 상기 지붕 백부를 상기 지붕 샤프트부에 감기거나 상기 지붕 샤프트부로부터 풀리도록 하는 지붕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 발생부는,
    상기 벽체 백부에 수용되어 상기 벽체 백부의 상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거품을 생성하여 상기 벽체 백부에 충진하는 벽체 거품부; 및
    상기 지붕 백부에 수용되어 상기 지붕 백부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거품을 생성하여 상기 지붕 백부에 충진하는 지붕 거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거품부는 거품을 생성하여 하향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거품부는 거품을 생성하여 상기 지붕 백부의 측면을 향하여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 발생부는,
    상기 충진 공간에 수용되고, 복수 개의 개구들이 형성된 발생 몸체부;
    상기 발생 몸체부의 개구들을 향하여 거품액을 분사하여 도포하는 거품액 분사부; 및
    상기 발생 몸체부의 개구들을 향하여 공기를 유도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되,
    거품액이 상기 발생 몸체부에 도포된 상태에서, 공기는 상기 송풍부에 의해 상기 발생 몸체부로 유도되어 거품액과 함께 상기 개구들을 통과하여 거품액을 거품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 발생부는,
    상기 지면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거품액을 저장하는 거품액 저장부;
    상기 거품액 저장부와 상기 거품액 분사부를 연결하는 거품액 주입부; 및
    상기 프레임 백부를 상기 거품액 저장부에 연결하는 거품액 배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품액 분사부가 작동할 때, 거품액은 상기 거품액 저장부로부터 상기 거품액 주입부를 따라 상기 거품액 분사부에 공급되어 분사되고,
    상기 충진 공간의 거품액은 상기 거품액 배출부를 통해 상기 거품액 저장부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 백부의 상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거품액 주입부는 상기 공기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충진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거품액 저장부와 상기 거품액 분사부를 연결하고,
    상기 거품액 주입부의 외경은 상기 공기 가이드부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개폐부는,
    상기 내부 프레임부의 벽체 프레임부와 교차하도록 연결되는 벽체 개폐 고정부; 및
    상기 벽체 개폐 고정부 및 상기 벽체 구동부에 링크 연결되고, 상기 벽체 샤프트부의 위치에 따라 변하는 길이를 갖는 벽체 개폐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개폐 연결부는,
    상기 벽체 개폐 고정부 및 상기 벽체 구동부 중 어느 하나에 링크 연결되는 제 1 벽체 연결부; 및
    상기 벽체 개폐 고정부 및 상기 벽체 구동부 중 다른 하나에 링크 연결되고, 상기 제 1 벽체 연결부의 일종단면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벽체 연결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제 2 벽체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14. 삭제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프레임부가 아치 형상으로 이루어질 때,
    상기 지붕 개폐부는,
    상기 내부 프레임부의 지붕 프레임부의 양측단을 연결하고, 상기 내부 프레임부의 지붕 프레임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지붕 개폐 고정부; 및
    상기 지붕 개폐 고정부 및 상기 지붕 구동부에 링크 연결되고, 상기 내부 프레임부의 지붕 프레임부 상에서 상기 지붕 샤프트부의 위치에 따라 변하는 길이를 갖는 지붕 개폐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개폐 연결부는,
    상기 지붕 개폐 고정부 및 상기 지붕 구동부 중 어느 하나에 링크 연결되는 제 1 지붕 연결부; 및
    상기 지붕 개폐 고정부 및 상기 지붕 구동부 중 다른 하나에 링크 연결되고, 상기 제 1 지붕 연결부의 일종단면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지붕 연결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제 2 지붕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은,
    상기 프레임 백부의 충진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충진 공간에 충진된 거품의 양을 감지하고, 감지된 거품의 양에 따라 상기 거품 발생부를 제어하는 감지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KR1020170029304A 2017-03-08 2017-03-08 거품을 이용해서 단열 보온되는 온실 KR101762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304A KR101762803B1 (ko) 2017-03-08 2017-03-08 거품을 이용해서 단열 보온되는 온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304A KR101762803B1 (ko) 2017-03-08 2017-03-08 거품을 이용해서 단열 보온되는 온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803B1 true KR101762803B1 (ko) 2017-07-31

Family

ID=59418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304A KR101762803B1 (ko) 2017-03-08 2017-03-08 거품을 이용해서 단열 보온되는 온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8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681B1 (ko) * 2017-12-18 2018-03-07 박청일 온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6842A2 (en) 2003-07-23 2005-01-27 Sunarc Of Canada Inc. Dynamic foam insulation/shading system with inflatable bags
KR100503859B1 (ko) * 2003-05-27 2005-07-26 주식회사 바투환경기술 버블을 이용한 보온 및 햇빛 가리개 장치
KR200430816Y1 (ko) * 2006-08-28 2006-11-13 오평원 보온 공기팩 및 이를 이용한 하우스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859B1 (ko) * 2003-05-27 2005-07-26 주식회사 바투환경기술 버블을 이용한 보온 및 햇빛 가리개 장치
WO2005006842A2 (en) 2003-07-23 2005-01-27 Sunarc Of Canada Inc. Dynamic foam insulation/shading system with inflatable bags
KR200430816Y1 (ko) * 2006-08-28 2006-11-13 오평원 보온 공기팩 및 이를 이용한 하우스 개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681B1 (ko) * 2017-12-18 2018-03-07 박청일 온실
WO2019124785A1 (ko) * 2017-12-18 2019-06-27 농업회사법인 도시농업유한회사 온실
CN111712128A (zh) * 2017-12-18 2020-09-25 都市农业有限会社 温室
JP2021507725A (ja) * 2017-12-18 2021-02-25 アーバン−アグリ エルエルシーUrban−Agri Llc 温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681B1 (ko) 온실
US6843019B2 (en) Horticultural greenhouse with removable cover
US43875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aining heat in greenhouse and similar structures
US3727345A (en) Method of protecting plants and stimulating their growth
KR101797931B1 (ko) 거품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온실
KR101762803B1 (ko) 거품을 이용해서 단열 보온되는 온실
KR20200025004A (ko) 에어돔형 비닐하우스
PT2179113E (pt) Parede flexível de dupla película e dispositivo de manutenção sob tensão de uma parede de dupla película
US20170071139A1 (en) Greenhouse with synchronizing cover assembly and method for inducing plant photoperiodism in plants
KR102022251B1 (ko) 비닐하우스용 냉각장치
US20140261596A1 (en) Vegetation protection system
US10041295B2 (en) Winding device for covering of building openings
KR101538515B1 (ko) 비닐하우스의 자연 순환식 온도 조절장치
KR101354993B1 (ko) 비닐하우스에 구비된 작물 재배용 다겹 알루미늄부재의 보온터널
KR101951389B1 (ko) 에어돔 하우스
JP6854454B2 (ja) 農業用ハウス
KR100503859B1 (ko) 버블을 이용한 보온 및 햇빛 가리개 장치
KR0128227B1 (ko) 풍선식 비닐 하우스
KR20190030827A (ko) 거품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실
KR20180041867A (ko) 에어돔 하우스
JP2017221119A (ja) 農業用ハウス、農業用ハウスのカーテンシステム
KR101519513B1 (ko) 식물 재배대 보온장치
KR101734403B1 (ko) 에어하우스
CN206812995U (zh) 一种带有伸缩棚的火车站台
KR102438611B1 (ko) 스마트 어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