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757B1 - 작물의 수확량 영향 요인 평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작물의 수확량 영향 요인 평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757B1
KR101762757B1 KR1020150189971A KR20150189971A KR101762757B1 KR 101762757 B1 KR101762757 B1 KR 101762757B1 KR 1020150189971 A KR1020150189971 A KR 1020150189971A KR 20150189971 A KR20150189971 A KR 20150189971A KR 101762757 B1 KR101762757 B1 KR 101762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ield
factor
value
period
influence f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825A (ko
Inventor
현수정
박교원
유상호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씨드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씨드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씨드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9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757B1/ko
Publication of KR20170080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전자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영향 요인 평가 방법에 있어서, 기간별 수확량 및 기간별 영향 요인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향 요인 값을 영향 요인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영향 요인 값이 상기 영향 요인 기준 값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기간을 분석 기간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기간에서의 수확량 및 상기 분석 기간에서의 기준 수확량에 기초하여 상기 영향 요인을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 또는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물의 수확량 영향 요인 평가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작물의 수확량 영향 요인 평가 방법 및 장치 {A method for estimating factors affecting the yield of the crop}
본 발명은 작물의 수확량에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ICT 기술의 발달로 그 적용 범위가 확대되어 농업 분야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농업 분야에서 ICT 기술을 적용하면, 작물의 생육과 관련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작물을 최적의 상태로 재배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작물을 최적의 상태로 재배하기 위해서는 작물의 수확량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그런데 작물의 재배 환경에 있어서 지역별 기온의 편차가 크고, 각 지역별로 온실이나 하우스 등의 농장 구조가 상이하며, 해당 시설 내에서는 복합제어기, 양액공급기 등 다양한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위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발생되는 데이터의 종류 및 형태가 상이하여 데이터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활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작물의 수확량이 어떤 요인에 의해서 증가 혹은 감소하는지 알아내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작물을 재배함에 있어서 그 작물의 수확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물의 수확량 증감 요인 결정 방법은 전자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영향 요인 평가 방법에 있어서, 기간별 수확량 및 기간별 영향 요인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향 요인 값을 영향 요인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영향 요인 값이 상기 영향 요인 기준 값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기간을 분석 기간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기간에서의 수확량 및 상기 분석 기간에서의 기준 수확량에 기초하여 상기 영향 요인을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 또는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분석 기간에서의 수확량이 기준 수확량보다 크면 상기 영향 요인은 상기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으로 결정되고, 상기 분석 기간에서의 수확량이 기준 수확량보다 작으면 상기 영향 요인은 상기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으로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영향 요인 값이 상기 영향 요인 기준 값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기간을 분석 기간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확량이 상기 기준 수확량과 차이가 존재하는 기간에 대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 및 상기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 중 적어도 하나는 허용 오차 범위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 또는 상기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은 상기 분석 기간으로 결정된 기간의 개수 및 상기 기간마다 결정된 상기 영향 요인 값과 상기 영향 요인 기준 값의 차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확량의 시간적 측정 단위는 상기 영향 요인 값의 시간적 측정 단위보다 짧지 않은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기간별 수확량 및 기간별 영향 요인 값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영향 요인 값을 영향 요인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영향 요인 값이 상기 영향 요인 기준 값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기간을 분석 기간으로 결정하고, 상기 분석 기간에서의 수확량 및 상기 분석 기간에서의 기준 수확량에 기초하여 상기 영향 요인을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 또는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으로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물의 수확량 영향 요인 평가 방법은 작물의 수확량의 증가 또는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결정함으로써, 작물을 재배하는 자로 하여금 작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재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향 요인 평가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석 기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 또는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물의 수확량과 기준 수확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영향 요인 중 생육정보의 초장(생육)과 경경의 길이 값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향 요인 중 환경정보의 온도 값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향 요인 값과 영향 요인 기준 값의 차이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물의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으로 결정된 영향 요인인 이슬점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향 요인 값과 영향 요인 기준 값의 차이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물의 수확량을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물의 기준 수확량을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향 요인 평가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영향 요인이란 작물의 수확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의미한다. 작물의 종류나 농장의 형태, 지역마다 작물의 수확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를 수 있다. 지역별, 농장의 형태 별 또는 작물의 종류별로 본 발명에 따른 영향 요인 평가 방법을 수행하여 각 상황에 맞는 영향 요인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전자 장치는 기간별 수확량 및 기간별 영향 요인 값을 획득한다(S110). 작물의 수확량이란 작물로부터 수확되는 열매나 과실 등의 양을 의미한다. 수확량은 개수 또는 무게를 단위로 할 수 있으며, 작물의 특성이나 측정 편의에 따라 여러 방식으로 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수확량을 측정하는 방법도 다양할 것이다. 예를 들어, 화방 별로 분석된 착과율과 평균수확량을 이용하여 전체 수확량과 평당 평균 수확량이 계산될 수 있다. 화방에 대한 분석은 하나의 화방에서 최초로 개화하여 그 화방의 수확이 마무리 되는 기간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한 예로, 방울토마토의 경우 약 5~8주가 될 수 있다. 표 1은 수확량을 측정하기 위한 데이터의 예시이다. 전자 장치는 수확량 측정을 위하여 표 1에 열거된 데이터를 입력 받고, 연산을 통하여 수확량을 획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아래 도 4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구체적 예시를 확인할 수 있다.
생육정보 화방
1화방 개화수
착과수
수확수
수확량
평균과중
누적수확량
n화방
평균과중
누적수확량
영향 요인이란 작물의 수확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가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 또는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으로 결정하려는 후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상식이나 경험적으로 파악되는 영향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아래 표 2은 영향 요인의 예시이다.
환경정보 내부 온도 설정값
센싱값
습도 설정값
센싱값
Figure 112015128936201-pat00001
설정값
센싱값
슬라브 온도
습도
EC(전기전도도)
pH
무게
종류
배액 EC(전기전도도)
pH
계산 값 이슬점
포화수분
수분부족분
일평균온도
외부 온도
순간일사
누적일사
양액정보 설정값 누적광량당
일회공급량
급액 EC
급액 pH
작동값 급액횟수
급액 EC
급액 pH
일회공급량
총공급량
생육정보 초장의 길이
잎 길이
잎 폭
잎 수
경경
마디간격
평균당도
엽면적지수
잎 온도
과실온도
표 2에 예시된 영향 요인 중 생육정보의 경우, 영향 요인 값은 농장의 작물을 사용자가 임의로 정하는 개수로 샘플을 골라서 측정하여 나온 평균 값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울토마토의 경우 5~12개 내외가 적정한 개수가 될 수 있다.
표 2에 예시된 영향 요인 중 환경정보의 경우, 계산 값은 측정된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연산에 의해 획득된 값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슬점의 경우 온도와 습도와의 상관관계를 계산하여 나온 값에 해당한다.
수확량과 영향 요인은 기간별로 측정될 수 있다. 수확량의 시간적 측정 단위와 영향 요인의 시간적 측정 단위는 다를 수 있다. 영향 요인에 있어서도 각 영향 요인 별 특성이나 측정 편의에 따라 달리 할 수 있다. 수확량은 일간, 주간, 월간 등 일정한 기간을 정하고 그 기간마다 획득할 수 있다. 수확량 측정 기간 역시 작물의 특성이나 측정 편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수확량의 시간적 측정 단위를 영향 요인 값의 시간적 측정 단위보다 짧지 않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확량은 주 단위로 측정하여 획득하고, 영향 요인 중 온도, 습도 등과 같은 환경정보는 시간 단위로 측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 생육정보 중 초장, 경경, 엽면적지수 등은 주 단위로 측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 온도와 같은 환경정보는 하루를 주기로 하여 낮에는 올라가고 밤에는 낮아지는 경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주 단위로 측정하는 것에 비하여 시간 단위로 측정하게 될 경우 보다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을 세부적으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전자 장치는 영향 요인 값을 영향 요인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영향 요인 값이 상기 영향 요인 기준 값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기간을 분석 기간으로 결정한다(S120). 영향 요인 기준 값이란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값으로서, 누적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내부 연산에 의해 해당 영향 요인의 값이 작물의 수확량을 최적화 할 수 있도록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향 요인 평가 방법에 의하여 계속해서 업데이트 되는 값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S120 단계를 수확량이 기준 수확량과 차이가 존재하는 기간에 대하여 수행할 수 있다. 기준 수확량이란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된 값으로서, 누적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내부 연산에 의해 영향 요인 기준 값에 따라 최적화 된 예상 수확량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향 요인 평가 방법에 의해서 계속해서 업데이트 되는 값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는 분석 기간을 결정하기 전에, 수확량을 기준 수확량과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먼저 판단한다. 기간별로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와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나타나고,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기간의 경우에 대해서는 S120 단계를 거치지 않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S120 단계를 수행하는 기간을 좀더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확량과 기준 수확량의 차이가 큰 순서대로 일정 개수의 기간 또는 수확량과 기준 수확량의 차이가 일정 개수 이상으로 연속하는 기간만으로 한정할 수 있다. 획득한 영향 요인에 대하여 전 기간에 걸쳐 S120 단계를 수행하는 것보다 수행 시간 또는 비교해야 할 데이터의 양이 단축된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전자 장치는 분석 기간에서의 수확량 및 분석 기간에서의 기준 수확량에 기초하여 영향 요인을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 또는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으로 결정한다(S130).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 또는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으로 결정할 때에, 분석 기간으로 결정된 기간의 개수 및 기간마다 결정된 영향 요인 값과 영향 요인 기준 값의 차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a시점부터 b시점에 해당하는 기간이 모두 분석 기간으로 결정되었다고 했을 때, n은 분석 기간의 횟수일 수 있고, f(x)는 영향 요인의 값과 영향 요인 기준 값의 차이에 해당할 수 있다.
Figure 112015128936201-pat00002
도 10은 f(x)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파란색 부분은 영향 요인 값이 영향 요인 기준 값 보다 큰 경우에 해당하고 노란색 부분의 경우 영향 요인 값이 영향 요인 기준 값 보다 작은 경우에 해당한다. 위 수식을 이용하면 도 10의 그래프 상의 면적을 계산하게 된다. 그 결과 f(x)라는 영향 요인은 a시점부터 b시점까지의 기간에 해당하는 수확량이 기준 수확량 보다 큰 경우에는 수확량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결정되고, 작은 경우에는 수확량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결정 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석 기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의 S120 단계는 도2와 같이 구체화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영향 요인 값이 영향 요인 기준 값과 상이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S210).
영향 요인 값이 영향 요인 기준 값이 상이한지 여부를 판단할 때, 허용 오차를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영향 요인 값과 영향 요인 기준 값의 차이가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으면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허용 오차의 범위 수치는 영향 요인 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같은 영향 요인에 대해서도 작물의 종류나 농장의 환경 등에 따라 적정 값이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값 등으로 전자 장치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변경할 수 있다. 아래 표 3은 허용 오차의 범위 수치에 대한 예이다.
영향 요인 영향 요인 기준 값 허용 오차 상이 판단 범위
생육-초장의 길이 30cm 2cm 28~32cm
환경-내부 온도 27.5℃ 2.5℃ 25~30℃
양액-급액 pH 6.25 0.25 6~6.5
환경-수분부족분 3.5 0.5 3~4
영향 요인 값이 영향 요인 기준 값과 상이하지 않으면, 전자 장치는 분석 기간으로 결정하지 않는다(S220). 영향 요인 값이 영향 요인 기준 갑과 상이하면, 전자 장치는 분석 기간으로 결정한다(S230). 분석 기간을 결정할 때, 영향 요인이 수확량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시간적 간격을 고려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영향 요인 중 환경정보 및 양액정보는 수확량에 영향을 주는데 있어서 즉각적인 경우도 있지만, 시간이 지나서 나타날 수 있으므로 영향 요인 값과 영향 요인 기준 값이 상이한 경우에 해당하는 기간으로부터 적정 시간의 후까지를 분석기간으로 정할 수 있다. 적정 시간은 2주 내외가 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 또는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의 S130 단계는 도 3과 같이 구체화 될 수 있다.
먼저, 전자 장치는 분석 기간에서의 수확량이 분석 기간에서의 기준 수확량과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310). 수확량이 기준 수확량과 차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때, 허용 오차를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확량과 기준 수확량의 차이가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으면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분석 기간을 결정하게 되는 과정인 S120 단계를 수확량이 기준 수확량과 차이가 존재하는 기간에 대하여 수행했을 경우에는 S310 단계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미 수확량이 기준 수확량과 차이가 존재한 기간에 대하여 분석 기간을 결정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전자 장치는 분석 기간에서의 수확량이 분석 기간에서의 기준 수확량보다 큰지를 결정한다(S320). 수확량이 기준 수확량보다 작은 경우는 수확량이 감소한 경우에 해당할 것이고, 수확량이 기준 수확량보다 큰 경우는 수확량이 증가한 경우에 해당할 것이다.
분석 기간에서의 수확량이 분석 기간에서의 기준 수확량보다 작으면, 전자 장치는 영향 요인을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으로 결정한다(S330). 분석 기간에서의 수확량이 분석 기간에서의 기준 수확량보다 크면, 전자 장치는 영향 요인을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으로 결정한다(S340).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영향 요인 평가 방법의 일 실시 예로서 도4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실제 A농장에서 재배한 작물에 대한 수확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물의 수확량과 기준 수확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수확량은 1주 단위로 측정한 것이고, 도 4의 그래프 세로축에 나타난 수치는 단위면적당 수확 과실 수로서 단위는 (개수/평)이다. 도면 11은 농장에서 토마토를 35주간 생육하여 28화방까지 수확한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고, 도면 12는 도면 11과 비교하게 되는 기준 수확량을 구하기 위한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11과 도면 12를 이용하여 도 4와 같은 수확량과 기준 수확량을 획득할 수 있다.
주 별로 전체 수확 과실수는 해당 화방의 수확 과실 수를 모두 더하여 구할 수 있다. A농장의 평당 재식수는 9그루이므로, 평당 평균 수확량은 전체 수확 과실수에 9를 곱하여 수확량을 획득할 수 있다. 기준 수확량 역시 화방 별 기준 수확 과실수에 기반하여 같은 방식으로 정해질 수 있다. 만약, 수확량의 단위를 무게로 할 경우에는 평균 과중을 곱하여 구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영향 요인 중 생육정보의 초장(생육)과 경경의 길이 값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아래의 표 4는 영향 요인 중 초장(생육), 경경, 엽면적지수를 나타낸 것이다. 표 4를 이용하여 도 5와 같은 그래프를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5128936201-pat00003
측정 값과 기준 값을 비교하여 그 값의 차이가 큰 것을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붉은 화살표로 표시된 기간은 한 주간 경경의 굵기는 굵지만 초장(생육)은 저조한 것을 뜻하며, 검은 화살표로 표시된 기간은 한 주간 경경의 굵기는 저조하고 초장(생육)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위의 생육정보가 수확량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지 판단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대로 기준 값의 범위를 벗어난 값에 대하여 기준 값보다 높은 경우와 기준 값보다 낮은 경우에 대하여 각 경우의 횟수 또는 각 경우의 그래프 상의 면적을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향 요인 중 환경정보의 온도 값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농장 온도 값이 환경정보 중 내부 온도 값으로 즉, 영향 요인 값에 해당하고, 도 6의 기준 설정온도 값이 영향 요인 기준 값에 해당한다. 분석 기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두 값을 비교하게 된다. 그 차이를 나타낸 것이 도 7과 같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향 요인 값과 영향 요인 기준 값의 차이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향 요인 중 시간 별 농장의 내부 온도를 온도 기준 값과 비교한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세로 축의 양수 값 부분은 실제 측정된 내부 온도가 기준 값보다 높은 경우이고 세로 축의 음수 값 부분은 실제 측정된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 값보다 낮은 경우이다. 가로 축의 8시에서 9시까지의 기간에서 영향 요인 값과 영향 요인 기준 값 차이가 가장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기간에 해당되는 수확량이 기준 수확량보다 적었다고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향 요인 값이 영향 요인 기준 값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기간이 분석 기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된 분석 기간에서의 수확량 및 분석 기간에서의 기준 수확량에 기초하여, 영향 요인이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인지 또는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인지 결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영향 요인의 해당되는 특정 값이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인지 또는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인지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영향 요인의 값의 차이가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인지 또는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인지 결정될 수 있다.
도 7의 예를 참조하여 내부 온도와 기준 온도의 차이가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인지 또는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인지를 결정하는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 값보다 높은 경우, 수확량이 기준 수확량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난다. 도 7의 예에서, 기준 온도 값과 차이를 가지는 내부 온도의 값은 동일 기간에서의 수확량의 비교 결과에 따라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와 다르다는 것이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내부 온도의 값이 기준 온도 값보다 크다는 것이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물의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으로 결정된 영향 요인인 이슬점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내부온도가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은 이슬점을 고려하여 상세히 평가될 수 있다.
온도가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슬점이 고려될 수 있다. 이슬점은 온도와 습도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이슬점보다 과실온도가 낮은 구간에서는 과실에 이슬이 발생한다. 이슬이 발생한 기간에 해당하는 수확량이 기준 수확량보다 낮다. 이는 과실에 이슬이 발생되면 병(곰팡이병)의 발생율이 높아져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슬점보다 낮은 과실온도는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슬점보다 과실온도를 낮게 하는 농장의 온도는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한 영향 요인 평가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의 예에서, 7시 ~ 10시의 시간에서 과실온도가 이슬점보다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는 도 7의 4시 ~ 7시의 시간에서 나타나는 기준 온도와 내부온도와의 차이에 기인한다.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내부 온도의 변화에 비하여 과실의 온도 변화는 3시간 정도 지연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점에 기초하여 이슬점과 관련된 농장의 내부온도의 영향 평가 기준 시점은 수확량 증감을 판단하는 시점보다 3시간 전을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따라서, 이슬점을 고려하는 경우 4시~7시에서 나타나는 기준 온도보다 낮은 내부 온도는 7시 ~ 10시에서의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입력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자 장치는 통신부 등을 더 포함하여 앞서 설명된 수확량, 기준 수확량, 영향 요인 값, 영향 요인 기준 값 등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다른 농장의 정보 또는 지역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다른 농장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출력부 등을 더 포함하여 앞서 설명된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 또는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 등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작물의 수확량 및 영향 요인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더하여, 입력부(110)는 수확량의 시간적 측정 단위를 상기 영향 요인 값의 시간적 측정 단위보다 짧지 않게 하여 작물의 수확량 및 영향 요인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입력부를 제어하고, 분석 기간을 결정하며,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 또는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분석 기간에서의 수확량이 기준 수확량보다 크면 영향 요인을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으로 결정하고, 분석 기간에서의 수확량이 기준 수확량보다 작으면 영향 요인을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으로 결정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 및 상기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 중 적어도 하나는 허용 오차 범위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더하여, 프로세서(120)는 수확량이 상기 기준 수확량과 차이가 존재하는 기간에 대하여, 영향 요인 값이 영향 요인 기준 값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기간을 분석 기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 또는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을 상기 분석 기간으로 결정된 기간의 개수 및 기간마다 결정된 영향 요인 값과 영향 요인 기준 값의 차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전자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영향 요인 평가 방법에 있어서,
    기간별 수확량 및 기간별 영향 요인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향 요인 값을 영향 요인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영향 요인 값이 상기 영향 요인 기준 값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기간을 분석 기간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기간에서의 수확량 및 상기 분석 기간에서의 기준 수확량에 기초하여 상기 영향 요인을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 또는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 또는 상기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은 상기 분석 기간으로 결정된 기간의 개수 및 상기 기간마다 결정된 상기 영향 요인 값과 상기 영향 요인 기준 값의 차이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분석 기간에서의 수확량이 기준 수확량보다 크면 상기 영향 요인은 상기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으로 결정되고, 상기 분석 기간에서의 수확량이 기준 수확량보다 작으면 상기 영향 요인은 상기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으로 결정되고,
    상기 영향 요인 값이 상기 영향 요인 기준 값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기간을 분석 기간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확량이 상기 기준 수확량과 차이가 존재하는 기간에 대하여 수행되고,
    상기 수확량을 높이는 요인 및 상기 수확량을 낮추는 요인 중 적어도 하나는 허용 오차 범위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수확량의 시간적 측정 단위는 상기 영향 요인 값의 시간적 측정 단위보다 짧지 않고,
    상기 수확량은 작물로부터 수확되는 과실의 개수를 단위로 하며,
    상기 영향 요인 값은 환경정보, 양액정보 및 생육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정보는 온도, 습도 및 이슬점을 포함하고,
    상기 수확량의 시간적 측정 단위는 주 단위로 획득되고,
    상기 온도 및 상기 습도의 시간적 측정 단위는 시간 단위로 획득되고,
    상기 분석 기간은, 상기 영향 요인 값이 상기 환경정보 또는 상기 양액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영향 요인 값이 상기 영향 요인 기준 값과 상이한 기간으로부터 2주 후까지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향 요인 평가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189971A 2015-12-30 2015-12-30 작물의 수확량 영향 요인 평가 방법 및 장치 KR101762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971A KR101762757B1 (ko) 2015-12-30 2015-12-30 작물의 수확량 영향 요인 평가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971A KR101762757B1 (ko) 2015-12-30 2015-12-30 작물의 수확량 영향 요인 평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825A KR20170080825A (ko) 2017-07-11
KR101762757B1 true KR101762757B1 (ko) 2017-07-31

Family

ID=59354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971A KR101762757B1 (ko) 2015-12-30 2015-12-30 작물의 수확량 영향 요인 평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7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2495B2 (en) 2021-06-01 2023-04-11 Gint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combining farm vehicle and work machine and farm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6718A (en) * 2017-09-22 2019-03-27 30Mhz B V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KR102093544B1 (ko) * 2018-02-07 2020-04-2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곡물 생산량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2242577B1 (ko) * 2019-05-10 2021-04-20 대한민국 농작물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데이터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2338084B1 (ko) * 2021-03-22 2021-12-13 주식회사 스누아이랩 농작물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5545311A (zh) * 2022-10-11 2022-12-30 中国科学院西北生态环境资源研究院 一种农作物估产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호철 외 3인. 뽕나무의 온실재배에서 신초 생육 특성과 기상 요인. 생물환경조절학회지 21(1), 2012.3, 74-78 (5 pages)
박수민 외 4인. 온실 내 위치에 따른 온도 환경과 착색단고추 생육과의 관계. 원예과학기술지. 2012년 12월, 제30권, 제6호, pp.680-685 (2012.12.)*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2495B2 (en) 2021-06-01 2023-04-11 Gint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combining farm vehicle and work machine and farm vehicle
US11785874B2 (en) 2021-06-01 2023-10-17 Gint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combining farm vehicle and work machine and farm vehicle
US11877526B2 (en) 2021-06-01 2024-01-23 Gint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combining farm vehicle and work machine and farm vehicle
US11910737B2 (en) 2021-06-01 2024-02-27 Gint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combining farm vehicle and work machine and farm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825A (ko)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757B1 (ko) 작물의 수확량 영향 요인 평가 방법 및 장치
EP3534689B1 (en) Controlling agricultural production areas
US11310970B2 (en) Method of determination of water stress in a one or more plants in a crop located in the vicinity of a soil moisture sensor array and knowledge of ETo
JP6609800B2 (ja) 生育診断方法、生育診断装置、データ測定装置、生育診断プログラム、生育補助方法、生育補助装置及び生育補助プログラム
KR20200122612A (ko) 작물 생육 제어 시스템
Greer et al. Shoot architecture, growth and development dynamics of Vitis vinifera cv. Semillon vines grown in an irrigated vineyard with and without shade covering
Girón et al. Feasibility of trunk diameter fluctuations in the scheduling of regulated deficit irrigation for table olive trees without reference trees
KR20190106388A (ko) 생육 레시피를 생성 및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JP2016154510A (ja) 情報処理装置、生長状況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547360A (zh) 基于情景感知的作物冠层图像采集方法
JP2015173653A (ja) 植物栽培における灌水の供給制御方法及びそのコントローラ
Liu Yang et al. Modeling the effects of plastic film mulching on irrigated maize yield and water use efficiency in sub-humid Northeast China.
US20220183243A1 (en) Method for managing crop irrigation, and system using same
JP2017205028A (ja) 高糖度果実を栽培するための灌水制御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る灌水制御装置、灌水制御方法
Morales-Santos et al. Assessment of canopy temperature-based water stress indices for irrigated and rainfed soybeans under subhumid conditions
Jo et al.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and water requirements of strawberry plants in greenhouses using environmental data
CN114626010A (zh) 一种基于CatBoost的灌溉量计算方法及系统
JP7295565B2 (ja) 生育環境制御プログラム、生育環境制御方法及び生育環境制御装置
Buono et al. Field-testing of a decision support system (DSS) to optimize irrigation management of kiwifruit in Italy: A comparison with current farm management
CN115135135A (zh) 一种植物生长监测系统和方法
KR102134397B1 (ko) 작물활성지수 기반 시설원예 복합환경 제어시스템 및 방법
Todorovic et al. HYDRO-TECH: An integrat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sustainable irrigation management (i): Main algorithms and field testing
CN111160151A (zh) 基于雷达时序图像的甘蔗连作范围提取方法及装置、设备
Vellidis et al. A smartphone app for precision irrigation scheduling in cotton
KR102234522B1 (ko) 작물 증산량 및 근권 전이온농도를 복합 기준으로 하는 수경재배 양액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