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881B1 -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881B1
KR101761881B1 KR1020160080549A KR20160080549A KR101761881B1 KR 101761881 B1 KR101761881 B1 KR 101761881B1 KR 1020160080549 A KR1020160080549 A KR 1020160080549A KR 20160080549 A KR20160080549 A KR 20160080549A KR 101761881 B1 KR101761881 B1 KR 101761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combustion chamber
igniter
cooling holes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우진
이동곤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0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6Starting; Ignition
    • F02C7/264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5/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fluid being generated by intermittent combustion
    • F02C5/02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fluid being generated by intermittent combus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bustion chamber in the chamber in the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12Cooling of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12Cooling of plants
    • F02C7/16Cooling of plants characterised by cooling medium
    • F02C7/18Cooling of plants characterised by cooling medium the medium being gaseous,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개시되는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는, 연소실로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라이너에 구비된 포트;와, 상기 포트에 설치되고, 점화 말단이 상기 연소실 내부로 돌출되는 제1 위치와 상기 포트 내부에 위치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점화기; 및 상기 점화 말단이 후퇴한 상기 제2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포트의 원주선을 기준으로 그보다 상기 연소실 쪽에 치우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 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igniter for gas turbine}
본 발명은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가스 터빈의 연소실로 분사된 연료/공기의 혼합가스를 최초로 점화시킨 후 가스 터빈의 운전 중에 계속해서 열을 받는 점화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가스터빈은 고온, 고압의 연소가스로 터빈을 가동시키는 회전형 열기관이다. 고온, 고압의 연소가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연소 노즐에서 분사되는 연료/공기의 혼합기를 연소기에 딸려 있는 연소실에서 태워야 한다. 이러한 연소가 지속되는 동안 가스 터빈은 계속 운전되며, 연료와 공기의 공급(특히, 연료의 공급)을 중단하면 운전은 정지된다.
가스 터빈에서는 일단 연료/공기 혼합기의 최초 연소가 개시되어 연소실에 고온 환경이 만들어져야만 그 이후에 공급되는 연료/공기의 혼합기가 그 열에 의해 스스로 연소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이 정지된 가스 터빈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최초의 혼합기에 대해 인위적인 연소를 발생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점화기(이그나이터)가 사용된다. 점화기는 전기 에너지를 방출하거나 전기 에너지로 말단을 가열하는 타입일 수 있으며, 또는 연료를 태우는 점화 토치 타입일 수도 있다.
점화기는 일반적으로 라이너의 외측에 마련된 포트를 통해 연소실에 접근하게 되고, 연소 노즐에서 분사되는 연료/공기 혼합기에 인접하게 비교적 바로 옆에 배치되므로, 점화기는 연소 노즐 하류의 주 연소 영역 안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혼합기의 최초 연소에 성공한 점화기를 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도 1은 점화기(300)를 고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종래의 점화기 장착 구조를 보여준다. 점화기(300)는 라이너(200)에 마련된 포트(100)에 설치되는데, 점화기(300)는 포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연소실 쪽 방향)과 후퇴를 할 수 있다. 즉, 점화를 시킬 때에는 연소실(250) 쪽으로 전진하여 그 말단이 주 연소 영역 안으로 돌출되게 하고, 점화가 완료된 후에는 다시 후퇴함으로써 연소실(250) 안의 화염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제까지는 점화를 끝마친 점화기를 포트 위쪽으로 후퇴시켜 연소실 안의 화염에서 일정 거리 떨어뜨려 놓는 방식을 통해 점화기를 열로부터 보호하고 있었지만, 이런 구조만으로 장시간 점화기를 보호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미국등록특허 제3,990,834호 (1976.11.09. 등록) 미국등록특허 제6,715,279호 (2004.04.06. 등록)
본 발명은 가스 터빈용 점화기를 연소실 안의 고온 환경으로부터 장기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점화기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는, 연소실로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라이너에 구비된 포트;와, 상기 포트에 설치되고, 점화 말단이 상기 연소실 내부로 돌출되는 제1 위치와 상기 포트 내부에 위치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점화기; 및 상기 점화 말단이 후퇴한 상기 제2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포트의 원주선을 기준으로 그보다 상기 연소실 쪽에 치우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 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냉각 홀은 상기 포트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 홀은 상기 연소실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포트에는 상기 냉각 홀로 유입되는 압축 공기의 흐름을 상기 냉각 홀 안으로 유도하는 가이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냉각 홀을 따라 상기 냉각 홀로 유입되는 압축 공기의 흐름을 상기 냉각 홀 안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포트에 구비되는 가이드는 링 형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는 점화를 마친 후 포트 안으로 후퇴한 점화기의 점화 말단 영역에 압축 공기의 냉각막이 형성됨으로써 점화기를 연소실의 고열로부터 좀더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냉각 홀을 통해 유입되는 압축 공기는 충분한 냉각막을 형성하면서 연소실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런 공기 흐름에 의해 연소실로부터의 대류 열전달과 복사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그리고, 냉각 홀로 압축 공기가 원활하게 들어오도록 냉각 홀을 설계하고 압축 공기를 적극적으로 유인하는 가이드를 추가함으로써 냉각 효율을 손쉽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할 것이며, 도면을 참조할 때에는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이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면서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도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인데,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포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연소실 쪽 방향)과 후퇴를 할 수 있는 점화기(300)가 점화를 할 때에는 연소실(250) 쪽으로 전진하여 그 말단이 주 연소 영역 안으로 돌출되게 하지만, 점화가 완료된 후에는 다시 원위치로 후퇴함으로써 연소실(250) 안의 화염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하고 있다.
즉, 종래의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는 가스 터빈의 운전 중에는 점화기(300)가 연소실로부터 어느 정도 거리를 두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연소실의 고열을 직접 받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인데, 도 1의 종래 장착 구조와 비교하면 그 기술적 특징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는 포트(10)와 점화기(30), 그리고 포트(10)에 관통 형성된 냉각 홀(40)을 포함한다.
포트(10)는 연소실(25)로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라이너(20)에 구비된 관 형상의 부재이다. 포트(10)의 위치는 연소기에 구비된 연소 노즐에서 분사되는 연료/공기 혼합기에 인접하게 바로 옆쪽에 배치된다. 포트(10)의 비어있는 내부는 연소실(25)과 연통되는 통로를 형성하며, 이 통로를 통해 연소실(25) 안으로 분사되는 연료/공기의 혼합기와 점화기(30)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점화기(30)는 연료/공기 혼합기에 최초의 연소를 일으키는 일종의 시동 장치이다. 연소실(25) 내부로 돌출되는 점화기(30)의 단부는 점화 말단(32)을 형성한다. 점화 말단(32)은 접촉하는 연료/공기 혼합기가 연소를 일으킬 수 있는 그 이상의 활성화 에너지를 공급한다. 이 에너지는 점화 말단(32)이 전기 에너지를 스파크나 아크의 형태로 방출하거나 그 자체가 고온으로 가열됨으로써 연료/공기 혼합기의 최초 연소를 촉발한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점화기(30)는 라이너(20)의 외부에 구비된 포트(10)에 설치되는데, 점화기(30)는 그 점화 말단(32)이 연소실(25) 내부로 돌출되는 제1 위치(P1)와, 제1 위치(P1)로부터 후퇴하여 포트(10) 내부에 위치하는 제2 위치(P2)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점화기(30)를 포트(1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전진과 후퇴의 직선운동을 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가 구비된다. 액추에이터는 공압식, 유압식, 솔레노이드 방식 등의 공지된 직선운동을 일으키는 액추에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 다만, 고온의 연소실(25) 주변에 액추에이터가 설치되므로, 실온보다 상당히 많이 높은 온도 환경에서도 문제없이 작동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가 바람직할 것이다.
도 2에는 점화 말단(32)에 대한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가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2는 점화기(30)가 제2 위치(P2)에 있을 때, 즉 점화를 마친 후 후퇴하여 점화 말단(32)이 포트(10) 안으로 숨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포트(10)를 관통하여 형성된 냉각 홀(40)도 도시되어 있다. 이 냉각 홀(40)은 포트(10) 바깥으로 흐르는 압축 공기를 포트(10) 안으로 도입하여 점화기(30)를 냉각시킴으로써 열로부터 점화기(30)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냉각 홀(40)이 점화기(30)에 대해 어느 지점에 형성되었는지가 중요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 말단(32)이 포트(10) 안으로 후퇴한 제2 위치(P2)에 대응하여 포트(10)의 외주면을 따라 가상의 원주선(또는 원주면)을 그렸을 때, 이 원주선을 기준으로 그보다 연소실(25) 쪽에 치우치는 위치에 냉각 홀(40)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제2 위치(P2)보다 아래쪽(연소실 쪽)에 냉각 홀(40)을 형성하게 되면, 냉각 홀(40)로 유입된 압축 공기는 점화 말단(32) 아래로 통로가 열려 있는 라이너(20) 쪽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점화 말단(32) 아래로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압축 공기가 계속 흐르기 때문에 점화기(30)는 냉각된다. 또한, 이러한 압축 공기의 흐름은 일종의 에어 커튼을 형성하기 때문에 연소실(25)로부터의 열전달을 상당히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두 가지 작용에 의해 점화기(30)는 효과적으로 냉각되며, 점화기(30)의 충분한 냉각은 그 수명과 기능을 오랜 기간 동안 보증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로서, 포트(1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냉각 홀(40)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냉각 홀(40)은 적어도 하나만 형성되어도 어느 정도의 점화기(30) 냉각 효과와 열전달 차단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가능한 압축 공기의 유입면적을 균등하게 확장시킨다는 측면에서 복수 개의 냉각 홀(40)을 방사상으로 배열할 수 있다. 각 냉각 홀(40)로 유입된 압축 공기는 대체로 포트(10)의 중심 영역에서 부딪혀 난류를 형성하여 점화 말단(32)의 냉각을 촉진하는 한편, 연소실(25) 쪽으로 흐르는 에어 커튼을 형성한다.
복수 개의 냉각 홀(40)은 균등하게 등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도 3 참조)될 수도 있지만, 만일 각 냉각 홀(40)로 유입되는 압축 공기의 유량에 편차가 심하다면 유량이 부족한 영역에 좀더 냉각 홀(40)이 밀집되도록 불균일하게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냉각 홀(40)에 대한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실시형태는 연소실(25)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냉각 홀(40)을 관통 형성한 것이다. 이는 포트(10) 안으로 유입된 압축 공기가 좀더 유연하게 연소실(25) 쪽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압축 공기의 흐름을 처음부터 연소실(25) 쪽으로 유도한 실시형태이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전술한 압축 공기의 난류를 통한 점화기(30)의 열전달 촉진보다는 연소실(25)로부터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에어 커튼의 효과를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라이너(20) 안에서 흘러가는 연소가스의 유속이 빠른 경우에는 베르누이 효과로 인해 포트(10) 안의 압력이 낮아져 압축 공기의 유입과 배출이 잘 일어나는데, 설계상 연소가스의 흐름이 다소 느린 영역에 포트(10)가 설치되면 포트(10) 안으로 연소가스가 들어갈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냉각 홀(40)을 연소실(25)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실시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포트(10)에 냉각 홀(40)로 유입되는 압축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가이드(50)를 추가한 것이다.
도 5는 포트(1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냉각 홀(40)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었을 때, 링 형상의 가이드(50)를 포트(10)에 끼워 고정시키는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링 형상의 가이드(50)는 하나의 부재로 모든 냉각 홀(40)에 가이드(50)를 배치할 수 있다. 냉각 홀(40)이 하나만 형성되거나 또는 원주 상의 일부 영역에만 몇몇 개의 냉각 홀(40)이 형성된 경우라면 링의 일부를 잘라낸 형태의 가이드(50)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가이드(50)는 냉각 홀(40) 쪽으로 수렴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평면 또는 곡면을 구비함으로써 압축 공기의 흐름을 냉각 홀(40) 안으로 유도하게 된다. 여기서, 도 5에는 냉각 홀(40)의 상부에 하나의 가이드(50)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냉각 홀(40)의 하부에 대칭형상의 가이드(50)를 하나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명시적으로 기재된 구성 요소 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리고,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특별히 명세서에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시형태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내용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 포트 20: 라이너
25: 연소실 30: 점화기
32: 점화 말단 40: 냉각 홀
50: 가이드
P1: 제1 위치 P2: 제2 위치

Claims (19)

  1. 연소실로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라이너에 구비된 포트;
    상기 포트에 설치되고, 점화 말단이 상기 연소실 내부로 돌출되는 제1 위치와 상기 포트 내부에 위치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점화기; 및
    상기 점화 말단이 후퇴한 상기 제2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포트의 원주선을 기준으로 그보다 상기 연소실 쪽에 치우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 홀;
    을 포함하는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홀은 상기 포트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홀은 상기 연소실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에는 상기 냉각 홀로 유입되는 압축 공기의 흐름을 상기 냉각 홀 안으로 유도하는 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에는 상기 복수 개의 냉각 홀을 따라 상기 냉각 홀로 유입되는 압축 공기의 흐름을 상기 냉각 홀 안으로 유도하는 링 형상의 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 형상의 가이드는 상기 냉각 홀 쪽으로 수렴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평면 또는 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홀이 상기 포트의 원주 상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링 형상의 가이드는 링의 일부를 잘라낸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홀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각 냉각 홀로 유입된 압축 공기는 상기 포트의 중심 영역에서 부딪혀 난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
  9. 연소실 내부로 연료, 또는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를 공급하는 연소 노즐;
    상기 연소실로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라이너에 구비된 포트;
    상기 포트에 설치되고, 점화 말단이 상기 연소실 내부로 돌출되는 제1 위치와 상기 포트 내부에 위치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점화기; 및
    상기 점화 말단이 후퇴한 상기 제2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포트의 원주선을 기준으로 그보다 상기 연소실 쪽에 치우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 홀;
    을 포함하는 가스 터빈용 연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홀은 상기 포트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용 연소기.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홀은 상기 연소실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용 연소기.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에는 상기 냉각 홀로 유입되는 압축 공기의 흐름을 상기 냉각 홀 안으로 유도하는 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용 연소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에는 상기 복수 개의 냉각 홀을 따라 상기 냉각 홀로 유입되는 압축 공기의 흐름을 상기 냉각 홀 안으로 유도하는 링 형상의 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용 연소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링 형상의 가이드는 상기 냉각 홀 쪽으로 수렴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평면 또는 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용 연소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홀이 상기 포트의 원주 상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링 형상의 가이드는 링의 일부를 잘라낸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용 연소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홀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각 냉각 홀로 유입된 압축 공기는 상기 포트의 중심 영역에서 부딪혀 난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용 연소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 말단이 상기 연소실 내부로 돌출되는 제1 위치는 상기 연소 노즐 하류의 주 연소 영역 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용 연소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기의 점화 말단은 상기 연료와 공기 혼합기를 점화시키는 동안에는 상기 제1 위치를 유지하고, 상기 연료와 공기 혼합기의 점화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제2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용 연소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기는 전기 에너지를 스파크나 아크의 형태로 방출하거나 그 자체가 고온으로 가열됨으로써 상기 연료와 공기 혼합기가 연소를 일으킬 수 있는 이상의 활성화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용 연소기.
KR1020160080549A 2016-06-28 2016-06-28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 KR101761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549A KR101761881B1 (ko) 2016-06-28 2016-06-28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549A KR101761881B1 (ko) 2016-06-28 2016-06-28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1881B1 true KR101761881B1 (ko) 2017-07-26

Family

ID=59427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549A KR101761881B1 (ko) 2016-06-28 2016-06-28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9502A (ko) 2022-02-07 2023-08-16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연소기의 점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와 가스 터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0425A (ja) * 2008-01-15 2009-07-30 Snecm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燃焼室内の半導体型点火プラグ装置
JP2013510992A (ja) * 2009-11-17 2013-03-28 スネクマ 通気式スパークプラグを有する燃焼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0425A (ja) * 2008-01-15 2009-07-30 Snecm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燃焼室内の半導体型点火プラグ装置
JP2013510992A (ja) * 2009-11-17 2013-03-28 スネクマ 通気式スパークプラグを有する燃焼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9502A (ko) 2022-02-07 2023-08-16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연소기의 점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와 가스 터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6202B2 (en) Combustor liner for a gas turbine engine and an associated method thereof
KR101742409B1 (ko) 연소버너 및 가압형 가스화 노
JP5167238B2 (ja) ボアクール冷却孔を備えた点火プラグ付きガスエンジン
CN102667346B (zh) 具有通风火花塞的燃烧室
US8181440B2 (en) Arrangement of a semiconductor-type igniter plug in a gas turbine engine combustion chamber
JP6522953B2 (ja) 冷却スリーブ付きライナー、冷却スリーブ付きフロースリーブ、及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2014238253A (ja) ガス・タービンの燃焼器に点火するためのイグナイタを有する燃料噴射器
CN103635750B (zh) 合理的延迟贫喷射
CN207762892U (zh) 一体化开工点火烧嘴自动点火装置
JP2011052691A (ja) インピンジメント冷却式トランジションピース後部フレーム
JP6754595B2 (ja) ガスタービン
US20160341427A1 (en) Fuel supply nozzle for minimizing burning damage
JP6387551B2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
US9429326B2 (en) Combustor nozzle assembly, combustor equipped with the same, and gas turbine
KR101761881B1 (ko) 가스 터빈용 점화기의 장착 구조
US20150198332A1 (en) Channel defining fuel nozzle of combustion system
CN108518673B (zh) 涡喷式燃烧机
KR101885413B1 (ko) 가스 터빈 연소기의 스월러
KR102021128B1 (ko) 연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CN107110504B (zh) 用于将燃料喷射到燃气涡轮机的燃烧室中的喷杆喷射器
KR101531161B1 (ko) 다중의 연료노즐을 구비한 가스터빈
KR101867047B1 (ko) 예혼합챔버를 포함하는 점화시스템을 갖춘 가스터빈 연소기.
KR101857787B1 (ko) 연료공급튜브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노즐.
KR102377720B1 (ko) 압력 강하가 개선된 라이너 냉각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터빈용 연소기
KR102574983B1 (ko) 버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