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893B1 -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 - Google Patents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893B1
KR101760893B1 KR1020160049142A KR20160049142A KR101760893B1 KR 101760893 B1 KR101760893 B1 KR 101760893B1 KR 1020160049142 A KR1020160049142 A KR 1020160049142A KR 20160049142 A KR20160049142 A KR 20160049142A KR 101760893 B1 KR101760893 B1 KR 101760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product
commodity
information
recrui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석원
정영주
백형일
한예지
최재근
홍은택
이진수
김성현
김은진
추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메이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메이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메이커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5Supply or demand aggre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1차 주문 모집 기간에 대한 정보, 상기 1차 주문 모집 기간 동안에 주문 모집이 가능한 제 1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상기 제 1 상품의 최소 주문 수량에 대한 정보 및 주문 모집이 종료된 제 2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상품 정보 제공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주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상품의 최소 주문 수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주문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상품의 주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상품에 대한 재주문 모집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재주문 모집 요청이 기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상기 제 2 상품의 주문 모집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METHOD FOR PROVIDING PREORDER-PRODUCTION SERVICE AND PREORDER-PRODU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본 발명은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통 시스템은 규격화된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 및 판매하는 대량 생산 체제가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대량 생산 체제는 생산의 표준화와 자동 조립 시스템 등으로 인해 가능하게 되었다. 대량 생산 체제로 인하여 제품단위당 제조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었고, 제품의 표준화와 품질보장이 가능하게 되었다. 대량 생산 체제에서는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 및 서비스의 수요가 기업의 성과 및 성장에 주요인이므로, 수요 예측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했다.
하지만, 최근 경제 성장의 둔화로 시장 예측이 어려워지고, 소비가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면서 수요 예측으로 시작하는 대량 생산은 자원 배분 비효율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요를 예측하거나, 공급자 입장에서 수요를 인위적으로 규정하는 방식을 넘어 실수요에 맞춰 생산하고 유통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다. 대표적인 예로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소셜 커머스가 있다.
하지만, 초기의 소셜 커머스의 유통 방식은 실수요 기반에 가까웠으나, 거래규모의 급격한 증가와 소셜 커머스의 성장으로 수요 예측 시장으로 회귀하였다.
종래의 유통 시스템은 수요 예측 실패로 인해 과잉 생산된 제품이 재고로 쌓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악성 재고로 인해 신규 프로젝트를 진행할 운영 자금 확보의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품 판매가에 이러한 비용을 전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통 시스템에서는 구매자가 남아 있는 재고 중에 선택을 강요당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모바일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모바일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정보와 요구를 더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시장이 실제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2002-0078209에는 선주문 공동구매 방식의 인터넷 전자상거래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주문 모집 기간 동안에 수요를 예측하고, 기설정된 최소 주문 수량 이상의 수요를 확보한 후에 제품을 주문 및 생산함으로써 실수요 기반의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1차 주문 모집 기간에 대한 정보, 상기 1차 주문 모집 기간 동안에 주문 모집이 가능한 제 1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상기 제 1 상품의 최소 주문 수량에 대한 정보 및 주문 모집이 종료된 제 2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상품 정보 제공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주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상품의 최소 주문 수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주문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상품의 주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상품에 대한 재주문 모집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재주문 모집 요청이 기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상기 제 2 상품의 주문 모집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주문 모집 기간 동안에 주문 모집이 가능한 제 1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상기 제 1 상품의 최소 주문 수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주문 요청을 수신하는 주문 모집부, 주문 모집이 종료된 제 2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상품에 대한 재주문 모집 요청을 수신하는 재주문 모집부 및 상기 제 1 상품의 최소 주문 수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주문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상품의 주문 여부를 결정하는 주문 결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문 모집부는 상기 제 2 상품에 대한 재주문 모집 요청이 기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상기 제 2 상품의 주문 모집을 재개하는 것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기설정된 주문 모집 기간 동안에 수요를 예측하고, 최소 주문 수량 이상의 수요를 확보한 후에 제품을 주문 및 생산함으로써 실수요 기반의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급자는 최소 주문 수량 이상의 수요를 확보하고 생산에 들어가기 때문에, 재고 비용과 금융 비용을 제거 또는 최소화하여 합리적 가격을 제시할 수 있다. 구매자는 표준화된 제품 대신에 다양한 시제품을 보고 자신의 가치가 반영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주문 생산 서비스의 주문 모집 기간 및 제작 기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주문 생산 서비스의 제 1 페이지(상)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주문 생산 서비스의 제 1 페이지 (하)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주문 생산 서비스의 제 2 페이지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주문 생산 서비스의 제 3 페이지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주문 생산 서비스의 제 4 페이지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과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의 채팅창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 및 채팅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채팅 서버(120)를 통해 채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접속하여,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가 제공하는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채팅 서버(120)를 경유하여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접속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00)은 채팅 서버(120)로부터 제공되는 채팅 서비스의 부가 서비스로서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가 제공하는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채팅 서비스와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연계함으로써 즉시 수요 파악이 가능하며, 본인 확인이 용이하여 진성 수요 모집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채팅 서버(120)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는 시점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00)이 채팅 서버(120)를 경유하여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접속하는 경우에,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에 접속하는 시점에 로그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00)이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이용하는 도중에 로그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00)이 상품에 대한 주문 또는 결제를 할 때 로그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채팅 서버(120)로부터 제공되는 채팅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과 채팅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주문 모집 기간에 대한 정보, 주문 모집 기간 동안에 주문 모집이 가능한 제 1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제 1 상품의 최소 주문 수량에 대한 정보 및 주문 모집이 종료된 제 2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00)과의 채팅 세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상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 1 상품에 대한 주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제 1 상품의 최소 주문 수량에 대한 정보 및 주문 요청에 기초하여 제 1 상품의 주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기설정된 주문 모집 기간 동안에 수요를 예측하고, 최소 주문 수량 이상의 수요를 확보한 후에 제품을 주문 및 생산함으로써 실수요 기반의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생산자는 최소 주문 수량 이상의 수요를 확보하고 생산에 들어가기 때문에, 재고 비용과 금융 비용을 제거 또는 최소화하여 합리적 가격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에게는 실험적 디자인을 상품화하고, 테스트베드로서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채팅 서버(120)에 대한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채팅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제 1 상품의 1차 주문 모집 기간에 대한 정보 및 최소 주문 수량의 충족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 2 상품에 대한 재주문 모집 요청 또는 앵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재주문 모집 요청 또는 앵콜 요청이 기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제 2 상품의 주문 모집을 재개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채팅 서버(120)에 대한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채팅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제 2 상품에 대한 기설정된 수의 충족 여부를 제공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00)과의 채팅 세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상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채팅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00) 및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팅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00) 및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간의 채팅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일예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네트워크(13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120)의 일 예에는 인터넷(Internet),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Gig(Wireless Gigabit)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 판매자 관리 서버(200) 및 생산자 관리 서버(210)를 포함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판매자 리스트 및 생산자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판매자 리스트는 복수의 판매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생산자의 정보는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통해 판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 판매한 각 상품의 주문 모집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판매자별로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통해 판매한 복수의 상품 및 각 상품이 몇 차의 주문 모집 기간에 판매되었는지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생산자 리스트는 복수의 생산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생산자의 정보는 생산자별 생산 가능한 제품 카테고리, 원자재 정보 및 제조 공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생산 가능 원자재 정보는 원단, 원료, 재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조 공정은 봉제, 조립, 가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판매자 관리 서버(200)로부터 상품의 판매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판매자 단말(미도시)을 통해 직접 상품의 판매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판매 등록 요청은 상품의 정보, 가격 정보, 원자재 및 제조 공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판매 등록 요청 및 생산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산자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생산자 중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판매 등록 요청에 포함된 상품의 정보, 가격 정보, 원자재 및 제조 공정 중 적어도 하나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를 선택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생산자 관리 서버(210)로부터 상품에 대한 최소 생산 수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생산자 단말(미도시)로부터 상품에 대한 최소 생산 수량에 대한 정보를 직접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각각의 최소 생산 수량을 수신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생산자 관리 서버(210)로부터 수신한 최소 생산 수량에 기초하여 상품에 대한 최소 주문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생산자 각각의 최소 생산 수량을 합산하여 최소 주문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선주문 생산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기설정된 주문 모집 기간 동안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상품의 주문을 받을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상품의 주문 수량이 최소 주문 수량을 초과하는 경우, 생산자 관리 서버(210)로 상품의 제작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판매자 관리 서버(200)로 생산자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판매자 단말(미도시)로 직접 생산자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판매자 관리 서버(200)는 생산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작할 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판매자 관리 서버(200)는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로 상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의 정보는 상품의 디자인, 원자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상품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작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제작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 제품의 디자인, 원자재, 최소 주문 수량 및 제작 기간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판매자 관리 서버(200)로부터 상품의 판매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주문 모집부(300), 재주문 모집부(310), 주문 결정부(320), 상품 정보 제공부(330), 인증부(340), 세션 연결부(350) 및 판매자 추천 수신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주문 모집부(300)는 주문 모집 기간 동안에 주문 모집이 가능한 제 1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제 1 상품의 최소 주문 수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고, 제 1 상품에 대한 주문 요청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주문 모집 중인 제 1 상품의 주문 모집 기간은 1차 주문 모집 기간일 수 있다. 여기서, 최소 주문 수량에 대한 정보는 최소 주문 수량의 달성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문 모집부(3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주문 모집 기간에 대한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 모집 기간에 대한 정보는 주문 모집 기간의 개시일 및 종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잠시, 도 4를 참조하여 주문 모집 기간 및 제작 기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주문 생산 서비스의 주문 모집 기간 및 제작 기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주문 모집 기간 동안에 복수의 상품의 주문을 모집할 수 있다. 주문 모집 기간은 예를 들면, 1주일의 기간일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각 주문 모집 기간의 개시일에 상품 리스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1차 주문 모집 기간(400) 동안에 복수의 제 1 상품의 주문을 모집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1차 주문 모집 기간(400) 동안에 최소 주문 수량이 초과한 제 1 상품에 대하여 생산자 관리 서버(210)로 제작을 요청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2차 주문 모집 기간(410) 동안에 복수의 제 2 상품의 주문을 모집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2 차 주문 모집 기간(410) 동안에 최소 주문 수량이 초과한 제 2 상품에 대하여 생산자 관리 서버(210)로 제작을 요청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제 1 상품은 최소 주문 수량을 달성하지 못한 상품, 최소 주문 수량을 달성한 상품, 품절된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주문 모집부(300)는 제 1 페이지를 통해 복수의 제 1 상품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스트는 최소 주문 수량을 달성하지 못한 상품, 최소 주문 수량을 달성한 상품, 품절된 상품 순으로 정렬되어 있을 수 있다.
주문 모집부(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 1 페이지를 통해 제공된 복수의 제 1 상품 중 최소 주문 수량을 달성하지 못한 상품 또는 최소 주문 수량을 달성한 상품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페이지를 통해 선택된 상품에 대한 최소 주문 수량, 제작 및 판매가 가능한 최대 수량 및 현재 주문자수를 나타내는 그래프, 예를 들어, 상태 바를 제공할 수 있다.
주문 모집부(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 1 페이지를 통해 제공된 복수의 제 1 상품 중 품절된 상품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제 3 페이지를 통해 품절된 상품에 대한 재주문 모집 요청을 위한 인터페이스, 예를들어, 버튼, 아이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재주문 모집부(310)는 주문 모집이 종료된 제 2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제공하고, 제 2 상품에 대한 재주문 모집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상품은 제 1 상품에 포함된 품절된 상품 및 지난 차수의 주문 모집 기간에 판매한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재주문 모집부(310)는 제 2 상품에 대한 재주문 모집 요청의 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재주문 모집부(310)는 재주문 모집 요청이 기설정된 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주문 모집부(300)는 제 2 상품에 대한 재주문 모집 요청이 기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제 2 상품의 주문 모집을 재개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문 모집부(300)는 현재 주문 모집 중인 제 1 상품의 주문 모집 기간의 다음 차수의 주문 모집 기간에 제 2 상품의 주문을 모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문 모집부(300)는 제 2 상품의 주문 모집을 2차 주문 모집 기간의 개시일에 재개할 수 있다.
품절된 상품 및 지난 차수의 주문 모집 기간에 판매한 상품에 대한 진성 수요를 파악하여 다음 차수의 주문 모집 기간에 주문 모집을 재개함으로써 1차 주문 모집 기간에 해당 상품을 주문하지 못한 구매자에게 재주문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판매자 및 생산자의 수익성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판매자 추천 수신부(360)는 판매자를 추천하기 위한 제 4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판매자 추천 수신부(36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판매자에 대한 추천을 수신하고, 판매자에 대한 추천수에 기초하여 선주문 생산 서비스에 참여할 판매자를 결정할 수 있다.
주문 결정부(320)는 제 1 상품의 최소 주문 수량에 대한 정보 및 제 1 상품에 대한 주문 요청에 기초하여 제 1 상품의 주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주문 결정부(320)는 주문 요청의 수가 최소 주문 수량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주문 결정부(320)는 주문 요청의 수가 최소 주문 수량을 초과한 경우, 제 1 상품의 주문을 결정하고, 생산자 관리 서버(210)로 상기 제 1 상품의 주문을 요청할 수 있다.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기설정된 주문 모집 기간 동안에 수요를 예측하고, 최소 주문 수량 이상의 수요를 확보한 후에 제품을 주문 및 생산함으로써 실수요 기반의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생산자는 최소 주문 수량 이상의 수요를 확보하고 생산에 들어가기 때문에, 재고 비용과 금융 비용을 제거 또는 최소화하여 합리적 가격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에게 실험적 디자인을 상품화하고, 테스트베드로서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상품 정보 제공부(330)는 인증부(340) 및 채팅 세션 연결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34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채팅 서버(120)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고, 채팅 서버(120)와 연계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인증할 수 있다. 여기서,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의 채팅 서비스의 아이디, 비밀번호, 사용자 단말(100)의 전화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증부(34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채팅 서버(120)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고, 채팅 서버(120)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로그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채팅 서버(120)는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채팅 서비스의 유효한 사용자인지 인증할 수 있다. 채팅 서버(120)는 인증 결과를 인증부(340)로 전송할 수 있다.
세션 연결부(350)는 채팅 서버(120)에 대한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채팅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션 연결부(350)는 로그인 정보를 포함하는 채팅 세션 활성화 요청을 채팅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채팅 서버(120)는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사용자 단말(100)간의 채팅 세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품 정보 제공부(330)는 채팅 서버(120)에 대한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채팅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제 1 상품의 1차 주문 모집 기간에 대한 정보 및 최소 주문 수량의 충족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품 정보 제공부(330)는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사용자 단말(100)간의 채팅 세션을 통해 상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품 정보 제공부(330)는 1차 주문 모집 기간의 잔여일수, 1차 주문 모집 기간의 종료일, 현재 주문자수 및 최소 주문 수량의 달성률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품 정보 제공부(330)는 채팅 서버(120)에 대한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채팅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제 2 상품에 대한 기설정된 수의 충족 여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품 정보 제공부(330)는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 사용자 단말(100)간의 채팅 세션을 통해 상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품 정보 제공부(330)는 재주문 모집 요청의 수, 기설정된 수의 달성률, 기설정된 수의 충족 여부 및 주문 모집 재개일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주문 생산 서비스의 제 1 페이지(상)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페이지(상, 500)는 메인 페이지의 상부일 수 있다. 제 1 페이지(상, 500)는 선주문 생산 서비스의 소개(510), 현재 주문 모집 기간의 잔여 시간(520) 및 상품 리스트(530)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재 주문 모집 기간의 잔여 시간(520)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어 정확한 잔여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품 리스트(530)에 포함된 상품은 최소 주문 수량을 달성하지 못한 상품, 최소 주문 수량을 달성한 상품, 품절된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 리스트(530)는 최소 주문 수량을 달성하지 못한 상품, 최소 주문 수량을 달성한 상품, 품절된 상품 순으로 정렬되어 있을 수 있다.
상품 리스트(530)는 각 상품의 정보(540) 및 각 상품에 대한 현재 주문자수(55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주문 생산 서비스의 제 1 페이지(하)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페이지(하, 600)는 메인 페이지의 하부일 수 있다. 제 1 페이지(하, 600)는 판매자를 추천하기 위한 참여 공간(610), 지난 차수 목록(6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를 추천하기 위한 참여 공간(610)이 선택되는 경우,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판매자를 추천하기 위한 제 4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지난 차수 목록(620)은 각 차수에 판매된 상품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차수에 판매된 복수의 상품 중 최소 주문 수량을 달성한 상품의 이미지만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주문 수량이 많은 상품의 이미지만을 표시할 수 있다.
지난 차수 목록(62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선택된 차수의 상품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주문 생산 서비스의 제 2 페이지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이 제 1 페이지(500, 600)를 통해 제공된 복수의 상품 중 최소 주문 수량을 달성하지 못한 상품 또는 최소 주문 수량을 달성한 상품을 선택하는 경우, 제 2 페이지(700)가 출력될 수 있다.
제 2 페이지(700)는 제품 정보(701), 주문 모집 기간의 잔여시간(703), 담기(705), 주문 하기(707), 참여 인원(709), 브랜드 배너(711) 및 제품 상세 정보(7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품 정보(701)에는 공유 하기 아이콘(715)이 포함될 수 있다. 공유 하기 아이콘(715)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채팅 서비스의 주소록이 출력될 수 있다. 채팅 서비스의 주소록에서 복수의 지인이 선택되면, 해당 제품의 정보가 선택된 복수의 지인의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복수의 지인이 선택되면, 선택된 복수의 지인에 대한 정보, 공유 요청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채팅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채팅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과 선택된 각 지인의 단말간의 채팅 세션을 통해 공유 요청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지인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주문 모집 기간의 잔여시간(703)은 주문 모집 기간의 종료일(717) 및 주문 모집 기간의 종료일(717)까지의 잔여시간(719)을 포함할 수 있다. 잔여시간(719)에 남은 일수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잔여시간(719)에 5day, 4day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잔여시간(719)이 24시간 이하인 경우, 잔여시간(719)은 시, 분, 초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시, 분, 초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주문 모집 기간의 잔여시간(703)은 전체 주문 모집 기간에 대한 잔여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인터페이스(721)를 제공할 수 있다.
담기(705)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이 담기(705)를 선택한 상품의 목록을 제공하는 페이지로 연결될 수 있다.
주문 하기(707)가 선택된 경우, 주문하기 위에 옵션 선택 박스가 오버레이될 수 있다. 해당 상품이 현재 판매 중일 경우에는 담기(705) 및 주문 하기(707)가 표시될 수 있고, 상품이 현재 판매 종료되거나 품절된 경우, 담기(705) 및 주문 하기(707)는 재주문 모집 요청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변경될 수 있다. 재주문 모집 요청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의 변경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여 인원(709)에 대한 인터페이스는 해당 상품에 대한 최소 주문 수량, 제작 및 판매가 가능한 최대 수량 및 현재 주문자수를 나타내는 상태바(7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바(723)는 최소 주문 수량을 나타내는 제 1 눈금(725), 제작 및 판매가 가능한 최대 수량을 나타내는 제 2 눈금(727)을 포함할 수 있다. 상태바(723)는 최소 주문 수량을 나타내는 제 1 눈금(725)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눈금(725) 및 제 2 눈금(727)의 하단에는 최소 주문 수량 및 제작 및 판매가 가능한 최대 수량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상태바(723)는 제작 및 판매가 가능한 최대 수량에 대한 현재 주문자수의 비율 또는 최소 주문 수량에 대한 현재 주문자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제 1 부분(729) 및 제 1 부분(729)을 제외한 제 2 부분(7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729) 및 제 2 부분은 주문이 진행됨에 따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제 1 부분(729) 및 제 2 부분(729)은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분(729)만이 음영 처리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주문 생산 서비스의 제 3 페이지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100)이 제 1 페이지(500, 600)를 통해 제공된 복수의 상품 중 품절된 상품을 선택하는 경우, 제 3 페이지(800)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 단말(100)이 제 1 페이지(하, 600)의 하단의 지난 차수 목록(6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차수의 상품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상품을 선택한 경우에도 제 3 페이지(800)가 출력될 수 있다.
제 3 페이지(800)는 제 2 페이지(700)의 담기(705) 및 주문 하기(707) 대신에 재주문 모집 요청을 위한 인터페이스(81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이 재주문 모집 요청을 위한 인터페이스(810)를 선택하는 경우,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추후 채팅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제 2 상품에 대한 기설정된 수의 충족 여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재주문 모집 요청의 수, 기설정된 수의 달성률, 기설정된 수의 충족 여부 및 주문 모집 재개일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2 페이지(700)의 주문 하기(707)가 선택된 경우, 주문 하기(707) 위에 옵션 선택 박스(730)가 오버레이될 수 있다.
옵션 선택 박스(730)를 통해 옵션이 선택된 경우, 교환, 반품, 환불 안내 팝업창(730)이 출력될 수 있다. 교환, 반품, 환불 안내 팝업창(730)의 동의(750)가 선택된 경우, 채팅 서버(120)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는 페이지(미도시), 채팅 서비스의 결제 부가 서비스의 가입을 위한 페이지(710) 및 결제를 진행하는 페이지(720)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문 하기(707)가 선택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는 페이지(미도시)로 이동할 수 있다.
주문 하기(707)가 선택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였으나, 사용자 단말(100)이 채팅 서비스의 결제 부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채팅 서비스의 결제 부가 서비스의 가입을 위한 페이지(710)로 이동할 수 있다.
결제를 진행하는 페이지(720)에서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결제가 완료된 경우,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00)의 채팅 서버(120)에 대한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채팅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해당 상품의 주문 모집 기간에 대한 정보 및 최소 주문 수량의 충족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주문 모집 기간의 잔여일수, 주문 모집 기간의 종료일, 현재 주문자수 및 최소 주문 수량의 달성률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주문 생산 서비스의 제 4 페이지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100)이 제 1 페이지(하, 600)의 판매자를 추천하기 위한 참여 공간(610)을 선택한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제 4 페이지(1000)를 제공할 수 있다.
제 4 페이지(1000)는 게시글 목록(1010)을 포함할 수 있다. 게시글 목록(1010)은 시간 순으로 정렬되어 있을 수 있다.
게시글에는 프로필 사진(1020), 프로필명(1030), 작성 시간(1040), 작성글(1050), 추천수(1060), 댓글수(1070) 및 댓글 롤링 영역(1080)을 포함할 수 있다.
작성글(1050)은 작성한 글의 일부 및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작성글(1050)에는 판매자에 대한 태그(1090)가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이 작성글(1050)을 추천하는 경우, 추천수(1060)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판매자에 대한 태그(1090)에 기초하여 판매자 별로 추천수(1060)를 카운트할 수 있다.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판매자의 추천수(1060)가 기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선주문 생산 서비스에 참여할 판매자로 결정할 수 있다.
댓글 롤링 영역(1080)에는 작성글(1050)의 댓글을 롤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댓글 롤링 영역(1080)에는 기설정된 수의 최근 댓글을 5초 간격으로 롤링할 수 있다. 작성글(1050)의 댓글을 롤링함으로써 작성글(1050)을 선택하지 않고도 제 4 페이지(1000)에서 즉시 댓글을 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과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와의 채팅창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채팅창(1100)은 채팅 영역(1110), 입력 영역(1120) 및 서비스 영역(1130)을 포함할 수 있다. 채팅 영역(1110)에는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의 상품 정보 제공부(33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되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입력 영역(1120)은 홈 아이콘(1140) 및 상담 아이콘(1150)을 포함할 수 있다. 홈 아이콘(1140)이 선택된 경우, 선주문 생산 서비스의 제 1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상담 아이콘(1150)이 선택된 경우,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00)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영역(1130)에는 사용자가 자주 묻는 질문으로서, 주문 방법, 배송 일정 및 배송지 변경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문 방법이 선택된 경우,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선주문 생산 서비스의 주문 방법을 채팅 영역(11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배송 일정 또는 배송지 변경이 선택된 경우,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00)이 주문을 한 상품에 대한 배송 일정 및 배송지 변경을 위한 안내를 채팅 영역(11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송 일정 및 배송지 변경이 선택된 경우,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00)이 주문을 한 복수의 상품을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100)이 복수의 상품 중 어느 한 상품을 선택한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배송 일정 및 배송지 변경을 위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수행되는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 S1210에서,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는 1차 주문 모집 기간에 대한 정보, 1차 주문 모집 기간 동안에 주문 모집이 가능한 제 1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제 1 상품의 최소 주문 수량에 대한 정보 및 주문 모집이 종료된 제 2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220에서,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1 상품에 대한 주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230에서,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제 1 상품의 최소 주문 수량에 대한 정보 및 주문 요청에 기초하여 제 1 상품의 주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240에서,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2 상품에 대한 재주문 모집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250에서,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재주문 모집 요청이 기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제 2 상품의 주문 모집을 재개할 수 있다.
도 12를 통해 설명된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단말
110: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
120: 채팅 서버
200: 판매자 관리 서버
210: 생산자 관리 서버

Claims (20)

  1.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1차 주문 모집 기간에 대한 정보, 상기 1차 주문 모집 기간 동안에 주문 모집이 가능한 제 1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상기 제 1 상품의 최소 주문 수량에 대한 정보 및 주문 모집이 종료된 제 2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상품 정보 제공 단계;
    상기 1차 주문 모집 기간 동안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주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상품의 최소 주문 수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주문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상품의 주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1차 주문 모집 기간의 다음 차수인 2차 주문 모집 기간 동안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상품에 대한 재주문 모집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재주문 모집 요청이 기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상기 제 2 상품의 주문 모집을 재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상품은 상기 최소 주문 수량을 달성하지 못한 상품, 상기 최소 주문 수량을 달성한 상품 또는 품절된 상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상품은 상기 제 1 상품 중 품절된 상품 및 상기 2차 주문 모집 기간의 이전 차수에 판매되었던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제 1 상품 또는 상기 제 2 상품을 나타내는 제 1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페이지를 통해 제공된 상기 제 1 상품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한 최소 주문 수량, 제작 및 판매가 가능한 최대 수량 및 현재 주문자수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제 2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페이지를 통해 제공된 상기 제 2 상품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상품에 대한 상기 재주문 모집 요청을 위한 제 3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채팅 서버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서버에 대한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채팅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 1 상품의 1차 주문 모집 기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최소 주문 수량의 충족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품의 최소 주문 수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주문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상품의 주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문 요청의 수가 상기 최소 주문 수량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요청의 수가 상기 최소 주문 수량을 초과하는 경우, 생산자 관리 서버로 상기 제 1 상품의 주문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서버에 대한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채팅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 2 상품에 대한 상기 기설정된 수의 충족 여부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주문 모집 요청이 기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상기 제 2 상품의 주문 모집을 재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상품의 주문 모집을 상기 2차 주문 모집 기간의 개시일에 재개하는 것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주문 모집 기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1차 주문 모집 기간의 개시일 및 종료일을 포함하고, 상기 최소 주문 수량에 대한 정보는 상기 최소 주문 수량의 달성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페이지는 복수의 상기 제 1 상품의 리스트를 포함하되, 상기 리스트는 상기 최소 주문 수량을 달성하지 못한 상품, 상기 최소 주문 수량을 달성한 상품 및 상기 품절된 상품 순으로 정렬되어 있는 것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페이지는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한 최소 주문 수량, 제작 및 판매가 가능한 최대 수량 및 현재 주문자수를 나타내는 상태바를 포함하는 것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페이지는 상기 재주문 모집 요청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판매자를 추천하기 위한 제 4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4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판매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판매자에 대한 추천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자에 대한 추천수에 기초하여 상기 선주문 생산 서비스에 참여할 판매자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방법.
  12.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1차 주문 모집 기간 동안에 주문 모집이 가능한 제 1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상기 제 1 상품의 최소 주문 수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주문 요청을 수신하는 주문 모집부;
    상기 1차 주문 모집 기간의 다음 차수인 2차 주문 모집 기간 동안에 주문 모집이 종료된 제 2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상품에 대한 재주문 모집 요청을 수신하는 재주문 모집부 및
    상기 제 1 상품의 최소 주문 수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주문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상품의 주문 여부를 결정하는 주문 결정부
    를 포함하되,
    상기 주문 모집부는 상기 제 2 상품에 대한 재주문 모집 요청이 기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상기 제 2 상품의 주문 모집을 재개하고,
    상기 제 1 상품은 상기 최소 주문 수량을 달성하지 못한 상품, 상기 최소 주문 수량을 달성한 상품 또는 품절된 상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상품은 상기 제 1 상품 중 품절된 상품 및 상기 2차 주문 모집 기간의 이전 차수에 판매되었던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문 모집부는
    상기 제 1 상품 또는 상기 제 2 상품을 나타내는 제 1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페이지를 통해 제공된 상기 제 1 상품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한 최소 주문 수량, 제작 및 판매가 가능한 최대 수량 및 현재 주문자수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제 2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페이지를 통해 제공된 상기 제 2 상품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상품에 대한 상기 재주문 모집 요청을 위한 제 3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채팅 서버에 대한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채팅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 1 상품 및 상기 제 2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품 정보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채팅 서버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채팅 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인증부
    를 포함하는 것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제공부는
    상기 채팅 서버에 대한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채팅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 1 상품의 상기 1차 주문 모집 기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최소 주문 수량의 충족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제공부는
    상기 채팅 서버에 대한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채팅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 2 상품에 대한 상기 기설정된 수의 충족 여부를 제공하는 것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결정부는
    상기 주문 요청의 수가 상기 최소 주문 수량을 초과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주문 요청의 수가 상기 최소 주문 수량을 초과하는 경우, 생산자 관리 서버로 상기 제 1 상품의 주문을 요청하는 것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페이지는 복수의 상기 제 1 상품의 리스트를 포함하되, 상기 리스트는 상기 최소 주문 수량을 달성하지 못한 상품, 상기 최소 주문 수량을 달성한 상품 및 상기 품절된 상품 순으로 정렬되어 있는 것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페이지는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한 최소 주문 수량, 제작 및 판매가 가능한 최대 수량 및 현재 주문자수를 나타내는 상태바를 포함하는 것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페이지는 상기 재주문 모집 요청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0160049142A 2016-02-15 2016-04-22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 KR101760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488 2016-02-15
KR20160017488 2016-0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893B1 true KR101760893B1 (ko) 2017-07-31

Family

ID=59419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142A KR101760893B1 (ko) 2016-02-15 2016-04-22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8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302B1 (ko) * 2018-10-16 2019-06-03 서웅진 농산물 선주문 생산 플랫폼 시스템
KR102057609B1 (ko) * 2018-05-04 2019-12-20 양윤옥 지능형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지능형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609B1 (ko) * 2018-05-04 2019-12-20 양윤옥 지능형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지능형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85302B1 (ko) * 2018-10-16 2019-06-03 서웅진 농산물 선주문 생산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Optimal collaborative transportation service trading in B2B e-commerce logistics
Yang et al. Just-in-time purchasing: an integrated inventory model involving deterministic variable lead time and quality improvement investment
Xie et al. Electronic tickets, smart cards, and online prepayments: When and how to advance sell
Akçay et al. Joint dynamic pricing of multiple perishable products under consumer choice
KR101533199B1 (ko) 인터넷을 통하여 이용자가 선택한 식재료로 요리한 음식을 주문하는 방법
Gunasekaran et al. Developing an e-logistics system: a case study
Lee et al. Supply chain contracting with competing suppliers under asymmetric information
US20120022965A1 (en) Geolocation based bidd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KR102271733B1 (ko) 가격 통제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US20050049937A1 (en) Business method and processing system
Wang et al. Incorporating ARIMA forecasting and service-level based replenishment in RFID-enabled supply chain
US2014015634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demand sensing
US20040064350A1 (en)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program
Teimoury et al. An integrated operations-marketing perspective for making decisions about order penetration point in multi-product supply chain: a queuing approach
Rangone et al. B2e mobile internet: an exploratory study of Italian applications
Hall et al. Static and dynamic pricing of excess capacity in a make‐to‐order environment
KR101760893B1 (ko) 선주문 생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선주문 생산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276162B1 (ko) 매출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157393B1 (ko) 농산물 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
Sahyouni et al. The effect of lifetime buys on warranty repair operations
Rahimi et al. A robust optimization model for multi-objective multi-period supply chain planning under uncertainty considering quantity discounts
Cai et al. Channel management and product design with consumers’ probabilistic choices
Giri et al. A single-manufacturer multi-buyer supply chain inventory model with controllable lead time and price-sensitive demand
JP6054165B2 (ja) 需要予測システムおよび需要予測方法
KR102057609B1 (ko) 지능형 주문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지능형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