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857B1 -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857B1
KR101760857B1 KR1020160094365A KR20160094365A KR101760857B1 KR 101760857 B1 KR101760857 B1 KR 101760857B1 KR 1020160094365 A KR1020160094365 A KR 1020160094365A KR 20160094365 A KR20160094365 A KR 20160094365A KR 101760857 B1 KR101760857 B1 KR 101760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sound
frequency
amplifier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성
Original Assignee
김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성 filed Critical 김민성
Priority to KR1020160094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02Manually-operated control
    • H03G5/025Equalizers; Volume or gain control in limited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2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in untuned or 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amplifiers
    • H03G7/005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in untuned or 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amplifiers using discontinuously variable devices, e.g. switch-oper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리의 볼륨을 설정하기 위한 제1 볼륨 설정부를 구비하는 좌측 이어폰과 소리의 볼륨을 설정하기 위한 제2 볼륨 설정부를 구비하는 우측 이어폰으로 이루어지는 제1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토대로 사용자가 설정하는 주파수 설정값에 따라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 높낮이를 각각 조절하는 제1 주파수 조절부, 음향기기 주변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파악하여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토대로 사용자가 설정하는 주파수 강도 설정값에 따라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각각 조절하거나,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제1 이퀄라이저 설정부 및 상기 엠프에 구비된 추가 접속구에 제2 이어폰이 연결됨을 인식하는 추가 기기 인식부;를 포함하되, 상기 엠프가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되, 상기 제1 이어폰과 상기 제2 이어폰이 동시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통화 착신 신호가 인식되면, 상기 제1 이어폰에만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EARPHONE CONNECTING WITH AMPLIFIER}
본 발명은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2개 이상의 이어폰과 연결되어 주파수 조절, 노이즈 제어 및 이퀄라이저(Equalizer,EQ)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및 경량화되면서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 및 단말기 제조자는 다른 업체와의 차별화를 위해 제품(또는 서비스)을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게임(game), MP3(MPEG Layer 3) 재생 및 동영상 재생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MP3(MPEG Layer 3) 재생 및 동영상 재생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타인에게 주는 피해를 줄이기 위해 이어폰을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이어폰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음악 및 오디오 신호뿐만 아니라 통화 서비스를 위한 음성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어폰을 통해 제공받기 위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또는 통화 서비스를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직접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MP3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MP3 파일을 선택 및 재생한다. 또한, 재생하는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 볼륨조절이 가능한 Y형 이어폰 연결 단자가 등장하였지만 볼륨조절 기능을 사용하면서 생기는 잡음과 정확하지 않은 음향의 조절로 인해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6-0012184호는 "이어폰 신호를 이용한 볼륨 조절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2개 이상의 이어폰과 연결되어, 주파수 조절, 노이즈 제어 및 이퀄라이저 설정 기능을 수행하는 엠프를 제어하는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퀄라이저를 수동을 조절할 수 있는 수동 모드와 현재의 볼륨과 주파수 노이즈를 토대로 이퀄라이저를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자동 모드를 구비하고 있는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엠프에 2개 이상의 이어폰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통화 착신 신호가 인식되면, 기본 이어폰으로만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는 소리의 볼륨을 설정하기 위한 제1 볼륨 설정부를 구비하는 좌측 이어폰과 소리의 볼륨을 설정하기 위한 제2 볼륨 설정부를 구비하는 우측 이어폰으로 이루어지는 제1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토대로 사용자가 설정하는 주파수 설정값에 따라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 높낮이를 각각 조절하는 제1 주파수 조절부; 음향기기 주변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파악하여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토대로 사용자가 설정하는 주파수 강도 설정값에 따라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각각 조절하거나,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제1 이퀄라이저 설정부; 및 상기 엠프에 구비된 추가 접속구에 제2 이어폰이 연결됨을 인식하는 추가 기기 인식부;를 포함하되, 상기 엠프가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되, 상기 제1 이어폰과 상기 제2 이어폰이 동시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통화 착신 신호가 인식되면, 상기 제1 이어폰에만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이어폰이 상기 엠프에 연결됨이 인식되면, 상기 제2 이어폰의 음질을 설정하는 추가 기기 음질 설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추가 기기 음질 설정부는,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토대로 상기 제2 이어폰 사용자가 설정하는 주파수 설정값에 따라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 높낮이를 각각 조절하는 제2 주파수 조절부; 음향기기 주변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파악하여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2 노이즈 제거부; 및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토대로 상기 제2 이어폰 사용자가 설정하는 주파수 강도 설정값에 따라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각각 조절하거나,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제2 이퀄라이저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이퀄라이저 설정부 및 상기 제2 이퀄라이저 설정부는 사용자가 기 설정한 소리 설정값, 주파수 설정값, 노이즈 제거값, 음원 소스별 및 음원 장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상기 제1 이어폰과 상기 제2 이어폰의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엠프가 상기 제1 이어폰과 상기 제2 이어폰이 동시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음향 재생기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통화 착신 신호가 인식되면, 인식된 통화 착신 신호를 상기 제1 이어폰에 전달하는 음성 데이터 송수신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이어폰에 전달된 통화 착신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제1 이어폰 사용자가 좌측 이어폰 또는 우측 이어폰에 구비되는 통화 버튼부를 조작하면 상기 제1 이어폰으로 음성 데이터가 송수신 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이어폰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음향 재생기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음성 데이터 송수신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방법은 소리의 볼륨을 설정하기 위한 제1 볼륨 설정부를 구비하는 좌측 이어폰과 소리의 볼륨을 설정하기 위한 제2 볼륨 설정부를 구비하는 우측 이어폰으로 이루어지는 제1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주파수 조절부에 의해,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토대로 사용자가 설정하는 주파수 설정값에 따라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 높낮이를 각각 조절하는 단계: 노이즈 제어부에 의해, 음향기기 주변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파악하여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 제1 이퀄라이저 설정부에 의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토대로 사용자가 설정하는 주파수 강도 설정값에 따라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각각 조절하거나,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단계; 및 추가 기기 인식부에 의해, 상기 엠프에 구비된 추가 접속구에 제2 이어폰이 연결됨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음성 데이터 송수신 인식부에 의해, 상기 엠프가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되, 상기 제1 이어폰과 상기 제2 이어폰이 동시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통화 착신 신호가 인식하는 단계; 및 통화 착신 신호를 상기 제1 이어폰에만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은 2개 이상의 이어폰과 연결되어, 주파수 조절, 노이즈 제어 및 이퀄라이저 설정 기능을 수행하는 엠프를 제어함으로써, 하나의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음악을 2인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보다 좋은 음질의 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퀄라이저를 수동을 조절할 수 있는 수동 모드와 현재의 볼륨과 주파수 노이즈를 토대로 이퀄라이저를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자동 모드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음질로 자유롭게 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엠프에 2개 이상의 이어폰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통화 착신 신호가 인식되면, 기본 이어폰은 음악 소리는 통화가 끝날 때까지 차단되고 통화가 끝나면 음악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되고, 추가 이어폰은 통화와 상관없이 계속 음악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어폰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과 엠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제1 이퀄라이저 설정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추가 기기 음질 설정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과 엠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소리의 볼륨을 설정하기 위한 제1 볼륨 설정부(11)를 구비하는 좌측 이어폰(10)과 소리의 볼륨을 설정하기 위한 제2 볼륨 설정부(21)를 구비하는 우측 이어폰(20)으로 이루어진다. 이어폰은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었을 때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통화 버튼부와 마이크(도면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통화 버튼부와 마이크부는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에 동시에 또는 하나에 자유롭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상 이어폰을 제1 이어폰과 제2 이어폰으로 구분하였는데, 제1 이어폰은 엠프(100)에 기본으로 고정 연결 있는 이어폰이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기본 이어폰으로 설정되어 있는 이어폰이거나 이후 설명되는 엠프의 접속구 중 메인이 되는 접속구에 연결된 이어폰이고, 제2 이어폰은 이후 설명되는 엠프의 접속구 중 서브가 되는 접속구에 추가 연결된 이어폰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엠프는 일측에는 휴대 단말 또는 음향기기와 연결을 위한 연결잭(103)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1 이어폰과 연결되는 접속구와 제2 이어폰과 연결되는 추가 접속구(10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접속구 및 추가 접속구(101)의 위치는 편의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고 개수도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엠프(100)는 현재 엠프의 배터리 용량, 현재 음질 설정 상태, 시간, 이어폰 연결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창(102)을 구비한다. 또한, 엠프의 전원 공급은 외부에 충전 선을 꽂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방식과 소리와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연결 단자에 연결되어 충전을 할 수 있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100)는 크게 제1 주파수 조절부(110), 제2 노이즈 제거부(120), 제1 이퀄라이저 설정부(130), 상태 표시부(140), 추가 기기 인식부(150), 추가 기기 음질 설정부(160), 음성 데이터 송수신 인식부(170) 및 음성 데이터 송수신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제1 주파수 조절부(110)는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토대로 사용자가 설정하는 주파수 설정값에 따라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 높낮이를 조절한다. 즉, 제1 주파수 조절부(110)는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 높낮이를 각각 조절한다.
노이즈 제거부(120)는 음향기기 주변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파악하여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제1 이퀄라이저 설정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토대로 사용자가 설정하는 주파수 강도 설정값에 따라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각각 조절하거나,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즉, 제1 이퀄라이저 설정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이퀄라이저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후 설명되는 도 3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추가 기기 인식부(150)는 엠프에 구비된 추가 접속구에 제2 이어폰이 연결됨을 인식한다.
추가 기기 음질 설정부(160)는 제2 이어폰이 엠프에 연결됨이 인식되면, 제2 이어폰의 음질을 설정할 수 있다. 추가 기기 음질 설정부(160)는 앞서 설명한 제1 주파수 조절부(110), 제1 노이즈 제거부(120) 및 제1 이퀄라이저 설정부(13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추가 기기 음질 설정부(160)는 없이도 제1 주파수 조절부(110), 제1 노이즈 제거부(120) 및 제1 이퀄라이저 설정부(130)가 제2 이어폰의 음질 설정을 수행할 수 있으나 발명의 편의상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따라서, 제작의 편의에 따라 추가 기기 음질 설정부(160)는 추가 접속구에 따라 추가로 다수개 구성될 수도 있고 기존의 제1 주파수 조절부, 제1 노이즈 제거부 및 제1 이퀄라이저 설정부로 대체될 수 있다.
음성 데이터 송수신 인식부(170)는 엠프가 제1 이어폰과 제2 이어폰이 동시에 연결되어 휴대 단말기의 음향 재생기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통화 착신 신호가 인식한다.
음성 데이터 송수신 인식부(170)는 인식된 통화 착신 신호를 제1 이어폰에 전달한다. 이때, 음성 데이터 송수신 인식부는 엠프에 제1 이어폰만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통화 착신 신호를 제1 이어폰에 전달한다.
음성 데이터 송수신 제어부(180)는 제1 이어폰에 전달된 통화 착신 신호에 반응하여 제1 이어폰 사용자가 좌측 이어폰 또는 우측 이어폰에 구비되는 통화 버튼부를 조작하면 제1 이어폰으로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음성 데이터 송수신 제어부(180)는 통화 착신 신호에 상관없이 제2 이어폰에는 휴대 단말기의 음향 재생기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계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태 표시부(140)는 현재 엠프의 배터리 용량, 현재 음질 설정 상태, 시간, 이어폰 연결 상태 등을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제1 이퀄라이저 설정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이퀄라이저 설정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토대로 사용자가 설정하는 주파수 강도 설정값에 따라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각각 조절(수동 모드)하거나,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자동으로 조절(자동 모드)한다.
이를 위해, 제1 이퀄라이저 설정부(130)는 수동 이퀄라이저 조절부(131) 및 자동 이퀄라이저 조절부(132)를 포함한다.
수동 이퀄라이저 조절부(13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토대로 사용자가 설정하는 주파수 강도 설정값에 따라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각각 조절한다. 즉, 수동 이퀄라이저 조절부9131)는 사용자가 조절하는 주파수 강도 설정값을 토대로 최적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에 맞춰 제1 이어폰을 조절할 수 있다.
자동 이퀄라이저 조절부(132)는 사용자가 기 설정한 소리 설정값, 주파수 설정값, 노이즈 제거값, 음원 소스별 및 음원 장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제1 이어폰의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즉, 자동 이퀄라이저 조절부(132)는 기 설정한 소리 설정값, 주파수 설정값, 노이즈 제거값에 따라 기 설정된 최적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 값을 이용하여 제1 이어폰의 이퀄라이저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최적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 값은 소리 설정값, 주파수 설정값, 노이즈 제거값, 음원 소스별 및 음원 장르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기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음원 소스는 테이프, 컴팩트 디스크, 라디오, MP3파일 등을 의미한다.
상기는 제1 이어폰의 제1 이퀄라이저 설정부에 관한 설명이었으나, 제2 이어폰의 제2 이퀄라이저 설정부의 기능과도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추가 기기 음질 설정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가 기기 음질 설정부(160)는 제2 이어폰이 엠프에 연결됨이 인식되면, 제2 이어폰의 음질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추가 기기 음질 설정부(160)는 제2 주파수 조절부(161), 제2 노이즈 조절부(162) 및 제2 이퀄라이저 설정부(163)를 포함한다.
제2 주파수 조절부(161)는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토대로 제2 이어폰 사용자가 설정하는 주파수 설정값에 따라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 높낮이를 각각 조절한다.
제2 노이즈 제거부(162)는 음향기기 주변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파악하여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제2 이퀄라이저 설정부(163)는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토대로 제2 이어폰 사용자가 설정하는 주파수 강도 설정값에 따라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각각 조절하거나,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하는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제1 이어폰과 연결된 엠프의 전원 스위치를 온(ON) 시킨다(S100).
다음,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토대로 사용자가 설정하는 주파수 설정값에 따라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 높낮이를 각각 조절한다(S200).
다음, 음향기기 주변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파악하여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노이즈를 제거한다(S300).
다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토대로 사용자가 설정하는 주파수 강도 설정값에 따라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각각 조절하거나,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한다(S400).
S400 단계에서,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기 설정한 소리 설정값, 주파수 설정값, 노이즈 제거값, 음원 소스별 및 음원 장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좌측 이어폰과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다음, 제1 이어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음질을 최적화하여, 제1 이어폰으로 소리를 출력한다(S500).
다음, 엠프에 제2 이어폰이 추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0).
S600 단계에서 엠프에 제2 이어폰이 추가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 S500 단계로 되돌아간다.
S600 단계에서 엠프에 제2 이어폰이 추가 연결된 경우 제2 이어폰의 음질을 설정한다(S610).
S610 단계는 앞서 언급한 제1 이어폰의 주파수 조절, 노이즈 제거, 이퀄라이저를 조절하는 과정과 동일하다.
다음, 제2 이어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음질을 최적화하여, 제2 이어폰으로 소리를 출력한다(S620).
다음, 엠프가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통화 착신 신호를 인식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0).
S700 단계에서 통화 착신 신호를 인식한 경우 제1 이어폰으로 통화 착신 신호를 전달하고, 제1 이어폰 사용자가 좌측 이어폰 또는 우측 이어폰에 구비되는 통화 버튼부를 조작하면 제1 이어폰으로 음성 데이터가 송수신 되도록 한다(S800).
S800 단계는 통화 착신 신호에 상관없이 제2 이어폰에는 휴대 단말기의 음향 재생기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계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은 2개 이상의 이어폰과 연결되어, 주파수 조절, 노이즈 제어 및 이퀄라이저 설정 기능을 수행하는 엠프를 제어함으로써, 하나의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음악을 2인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보다 좋은 음질의 음악을 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퀄라이저를 수동을 조절할 수 있는 수동 모드와 현재의 볼륨과 주파수 노이즈를 토대로 이퀄라이저를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자동 모드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음질로 자유롭게 음악을 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엠프에 2개 이상의 이어폰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통화 착신 신호가 인식되면, 기본 이어폰은 음악 소리는 통화가 끝날 때까지 차단되고 통화가 끝나면 음악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되고, 추가 이어폰은 통화와 상관없이 계속 음악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어폰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혹은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혹은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특허문헌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혹은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10 : 제1 주파수 조절부
120 : 제1 노이즈 제거부
130 : 제1 이퀄라이저 설정부
140 : 상태 표시부
150 : 추가 기기 인식부
160 : 추가 기기 음질 설정부
170 : 음성 데이터 송수신 인식부
180 : 음성 데이터 송수신 제어부

Claims (5)

  1. 소리의 볼륨을 설정하기 위한 제1 볼륨 설정부를 구비하는 제1 좌측 이어폰과 소리의 볼륨을 설정하기 위한 제2 볼륨 설정부를 구비하는 제1 우측 이어폰으로 이루어지는 제1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토대로 사용자가 설정하는 주파수 설정값에 따라 제1 좌측 이어폰과 제1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 높낮이를 각각 조절하는 제1 주파수 조절부;
    음향기기 주변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파악하여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토대로 사용자가 설정하는 주파수 강도 설정값에 따라 제1 좌측 이어폰과 제1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각각 조절하거나, 제1 좌측 이어폰과 제1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제1 이퀄라이저 설정부; 및
    상기 엠프에 구비된 추가 접속구에 제2 이어폰이 연결됨을 인식하는 추가 기기 인식부;를 포함하되,
    상기 엠프가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되, 상기 제1 이어폰과 상기 제2 이어폰이 동시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통화 착신 신호가 인식되면, 상기 제1 이어폰에만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어폰이 상기 엠프에 연결됨이 인식되면, 상기 제2 이어폰의 음질을 설정하는 추가 기기 음질 설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추가 기기 음질 설정부는,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토대로 상기 제2 이어폰 사용자가 설정하는 주파수 설정값에 따라 제2 좌측 이어폰과 제2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 높낮이를 각각 조절하는 제2 주파수 조절부;
    음향기기 주변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파악하여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2 노이즈 제거부; 및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토대로 상기 제2 이어폰 사용자가 설정하는 주파수 강도 설정값에 따라 제2 좌측 이어폰과 제2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각각 조절하거나, 제2 좌측 이어폰과 제2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제2 이퀄라이저 설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퀄라이저 설정부는 사용자가 기 설정한 소리 설정값, 주파수 설정값, 노이즈 제거값, 음원 소스별 및 음원 장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제1 좌측 이어폰 및 제1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기 설정된 값으로 자동으로 조절하고,
    상기 제2 이퀄라이저 설정부는 사용자가 기 설정한 소리 설정값, 주파수 설정값, 노이즈 제거값, 음원 소스별 및 음원 장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제2 좌측 이어폰 및 제2 우측 이어폰의 주파수대 상대 강도를 기 설정된 값으로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엠프가 상기 제1 이어폰과 상기 제2 이어폰이 연결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음향 재생기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통화 착신 신호가 인식되면, 인식된 통화 착신 신호를 상기 제1 이어폰에 전달하는 음성 데이터 송수신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어폰에 전달된 통화 착신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제1 이어폰 사용자가 제1 좌측 이어폰 또는 제1 우측 이어폰에 구비되는 통화 버튼부를 조작하면 상기 제1 이어폰으로 음성 데이터가 송수신 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이어폰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음향 재생기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음성 데이터 송수신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
KR1020160094365A 2016-07-25 2016-07-25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760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365A KR101760857B1 (ko) 2016-07-25 2016-07-25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365A KR101760857B1 (ko) 2016-07-25 2016-07-25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857B1 true KR101760857B1 (ko) 2017-07-24

Family

ID=5942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365A KR101760857B1 (ko) 2016-07-25 2016-07-25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8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957B1 (ko) 2010-11-05 2011-12-12 신두식 마이크로폰
KR101381289B1 (ko) 2012-10-25 2014-04-04 신두식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957B1 (ko) 2010-11-05 2011-12-12 신두식 마이크로폰
KR101381289B1 (ko) 2012-10-25 2014-04-04 신두식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2659B2 (en) Duplex audio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ccessory
RU2411691C2 (ru) Аудиогарнитура
US7062223B2 (en) Mobile transceiver and electronic module for controlling the transceiver
US8565458B2 (en) Media player and adapter for providing audio data to hearing aid
US9071900B2 (en) Multi-channel recording
US10863288B2 (en) Hearing aid with assisted noise suppression
KR101059299B1 (ko)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원격 스피커 제어기
US20050190928A1 (en)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transmitting device, and device including speaker
US20070070183A1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RU2424632C2 (ru) Устройство радиосвязи с двусторонним аудиосигналом
CN105554201A (zh) 一种音频电路选择方法、装置和电路以及手持终端
WO2013078916A1 (en) Amplifying loudspeaker apparatus
US20140093097A1 (en) Amplifying loudspeaker apparatus
EP374581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bluetooth device
US112100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dependently variable audio outputs
CN104867296A (zh) 一种音量调节方法及装置
JP5417821B2 (ja) 音声信号再生装置、携帯電話端末
KR101760857B1 (ko) 이어폰과 연결되는 엠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WO2023051083A1 (zh) 音频控制方法、电子设备和音频播放系统
CN108650592B (zh) 一种实现颈带式环绕立体声的方法及立体声控制系统
EP3416357A1 (en) Terminal audio parameter managem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JP3115592U (ja) マルチチャネル無線送信プレーヤー
CN210183378U (zh) 音频输出装置及具有其的通讯终端
KR101782980B1 (ko) 모바일 기기와 채널 스피커간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32450B1 (ko) 오디오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