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783B1 -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783B1
KR101760783B1 KR1020150189234A KR20150189234A KR101760783B1 KR 101760783 B1 KR101760783 B1 KR 101760783B1 KR 1020150189234 A KR1020150189234 A KR 1020150189234A KR 20150189234 A KR20150189234 A KR 20150189234A KR 101760783 B1 KR101760783 B1 KR 101760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opening
clothes
closing doo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9070A (ko
Inventor
이상권
전재성
Original Assignee
이상권
전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권, 전재성 filed Critical 이상권
Priority to KR1020150189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783B1/ko
Publication of KR20170079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92Details of rods for suspending clothes-hange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 사무실 또는 기타 건물 천장의 내부 빈 공간을 활용하여 의복류를 수납하기 위해 천장을 개폐할 수 있는 장치와 천장 내부에 의류의 구김을 방지하며 용이하게 의류를 수납하고 인출할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눈에 보이지 않는 공간에 의복류를 수납하여 주거공간의 미관을 개선하고,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측은 천장과 힌지 결합하고 타측은 상호 인접하여 위치하고,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호 간 상반되는 방향으로 힌지 회동하며 개폐 동작을 수행하며, 천장에 설치되는 한 쌍의 천장 개폐 도어; 천장 개폐 도어의 내측 천장에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어 대칭되는 위치에 평행하게 부착되고, 소정길이로 펼쳐지거나 절첩되며 천장 개폐 도어의 내측에서 인출되거나 내측으로 수용되는 한 쌍의 절첩식 천장 지지대; 절첩식 천장 지지대의 양측 하단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측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된 의류 걸이대; 일측 절첩식 천장 지지대의 하단에 일측이 힌지 결합하여 힌지 회동을 하는 의류 받침판; 일측이 의류 받침판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동하는 윈치에 권취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와이어; 및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천장 개폐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포함한 작동 스위치를 포함하는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Clothes Collecting Device Using the Ceiling space}
본 발명은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 사무실 또는 기타 건물 천장의 내부 빈 공간을 활용하여 의복류를 수납하기 위해 천장을 개폐할 수 있는 장치와 천장 내부에 의류의 구김을 방지하며 용이하게 의류를 수납하고 인출할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눈에 보이지 않는 공간에 의복류를 수납하여 주거공간의 미관을 개선하고,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장은 그 전면에 도어가 설치되어 의복류나 침구류 및 서류 등의 다양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고, 내부에는 다수의 패널을 이용하여 여러 층으로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수납공간에 의복류나 침구류 및 서류 등의 물품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 가정의 실내에 놓이는 다양한 형태의 수납장은 그 부피로 인해 비교적 넓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유효공간을 적절히 활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장치로 실내 바닥과 천장 사이에 설치되는 각종 포스트를 이용하여 의복류를 걸어 수납할 수 있는 의복 걸이대의 경우에도 실내공간을 비교적 넓게 차지하고, 그 미관 또한 깔끔하지 못하여 실내 공간을 보다 넓고 다양하게 활용하고, 아름답게 꾸미고자 하는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10-0954143호(2010.04.14.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정, 사무실 또는 기타 건물 천장의 내부 빈 공간을 활용하여 의복류를 수납하기 위해 천장을 개폐할 수 있는 장치와 천장 내부에 의류의 구김을 방지하며 용이하게 의류를 수납하고 인출할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눈에 보이지 않는 공간에 의복류를 수납하여 주거공간의 미관을 개선하고,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는 일측은 천장과 힌지 결합하고 타측은 상호 인접하여 위치하고,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호 간 상반되는 방향으로 힌지 회동하며 개폐 동작을 수행하며, 천장에 설치되는 한 쌍의 천장 개폐 도어; 천장 개폐 도어의 내측 천장에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어 대칭되는 위치에 평행하게 부착되고, 소정길이로 펼쳐지거나 절첩되며 천장 개폐 도어의 내측에서 인출되거나 내측으로 수용되는 한 쌍의 절첩식 천장 지지대; 절첩식 천장 지지대의 양측 하단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측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된 의류 걸이대; 일측 절첩식 천장 지지대의 하단에 일측이 힌지 결합하여 힌지 회동을 하는 의류 받침판; 일측이 의류 받침판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동하는 윈치에 권취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와이어; 및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천장 개폐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포함한 작동 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동작에 의해 윈치에 권취된 지지 와이어가 풀어지거나 감기면서 의류 받침대의 하방 또는 상방의 힌지 회동에 의해 절첩식 천장 지지대가 하방으로 펼쳐지거나 상방으로 절첩되는 동작과 천장 개폐 도어의 개폐 동작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천장 개폐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온(On)/오프(Off) 동작을 수행하는 천장발광장치 및 천장 개폐 도어가 닫힐 경우 소정시간 동안 자동으로 작동하는 습도조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정, 사무실 또는 기타 건물 천장의 내부 등 눈에 보이지 않는 공간에 의복류를 수납하기 할 수 있어 주거공간의 미관을 개선하고,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는, 도 2를 참조하면, 천장 개폐 도어(10), 절첩식 천장 지지대(20), 의류 걸이대(30), 의류 받침판(40), 지지 와이어(50), 작동 스위치(60), 천장발광장치(70), 및 습도조절장치(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천장 개폐 도어(10)는 도 1을 참조하면, 한 쌍이 천장에 설치되어 양측 도어가 동시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개폐 동작을 수행한다.
천장 개폐 도어(10)는 일측이 천장과 힌지 결합 수단에 의해 힌지 결합하고 타측은 상호 인접하여 위치하여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호 간 상반되는 방향으로 힌지 회동하며 개폐 동작을 수행한다.
천장 개폐 도어(10)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아래에 서술될 의류를 걸기 위한 장치들이 천장 개폐 도어의 내측에 수용되고, 천장 개폐 도어가 열리면서 천장 개폐 도어의 내부에서 인출된다.
절첩식 천장 지지대(20)는 도 1을 참조하면, 천장 개폐 도어의 내측 천장에 한 쌍이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어 대칭되는 위치에 평행하게 부착된다.
절첩식 천장 지지대(20)는 천장 개폐 도어의 개폐 동작에 의해 소정길이로 펼쳐지거나 절첩되며 천장 개폐 도어의 내측에서 인출되거나 내측으로 수용된다.
의류 걸이대(30)는 도 1을 참조하면, 한 쌍의 절첩식 천장 지지대의 양측 하단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측면에 옷걸이를 삽입하여 의류를 걸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된다.
의류 받침판(40)은 도 1을 참조하면, 한 쌍의 절첩식 전장 지지대 중 일측 절첩식 천장 지지대의 하단에 의류 받침판의 일측이 힌지 결합 수단(미도시)에 의해 힌지 결합하여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힌지 회동을 한다.
의류 받침판(40)은 아래에 서술될 지지 와이어의 감김 또는 풀어짐 동작에 의해 상방 힌지 회동을 하며 의류 걸이대(30)를 상방으로 밀어 절접식 천장 지지대(20)를 상방으로 절첩하거나, 하방 힌지 회동을 하며 받치고 있던 의류 걸이대(30)와 분리되며 절접식 천장 지지대(20)를 하방으로 펼치게 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또한, 의류 받침판(40)은 의류 걸이대(30)에 걸린 옷걸이에 걸쳐져 있는 의류가 천장 개폐 도어(10)의 내측으로 수용되거나 인출될 때 의류가 접혀져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의류를 하방에서 받쳐 의류의 구김을 방지한다.
지지 와이어(5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측이 의류 받침판(40)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구동모터(5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동하는 하나 이상의 윈치(54)에 권취되어 연결되며,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 와이어는 의류 받침판의 하단 양측과 하나 이상의 윈치가 상호 연결되어 지지력 향상과 동시에 의류 받침판이 천정개폐도어 내부 수용되거나 인출될 때 의류의 구김을 방지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구동모터(52)와 한 쌍의 천장 개폐 도어(10) 간에는 베벨 기어, 랙과 피니언 기어, 벨트 등과 감속기어장치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장치(56)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지지 와이어를 감거나 풀기 위한 윈치의 회동과 천장 개폐 도어의 개폐 동작이 순차적으로 함께 수행된다.
작동 스위치(60)는 도 2를 참조하면, 구동모터(52)를 구동하여 천장 개폐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동 스위치의 열림 버튼 또는 닫힘 버튼의 누림 동작에 의해 구동모터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함에 따라 윈치에 감겨져 있는 지지 와이어가 풀어지거나 감겨짐에 따라 의류 받침대의 힌지 회동과 천장 개폐 도어의 개폐동작이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작동 스위치(60)는 구동모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벽면에 부착될 수 있고, 구동모터 구동을 위한 리모콘 수신 장치 등이 부가되어 천장 개폐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열림 버튼 및 닫힘 버튼이 구비된 리모콘을 사용하여 원격에서 천장 개폐 도어의 개폐 동작을 조정할 수도 있다.
천장발광장치(70)는 도 2를 참조하면, 천장 개폐 도어(10)의 개폐동작에 따라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LED 등의 발광수단 및 천장 개폐 도어에 부착되는 접지 수단(미도시)을 통해 천장 개폐 도어(10)가 열릴 때 통전되어 발광하고, 천장 개폐 도어(10)가 닫힐 때 단전되어 소등하게 된다.
한편, 천장발광장치(70)로 살균 자외선 LED 등을 사용하고, 이를 작동하기 위해 작동 스위치에 타이머 설정 기능에 의해 작동되는 살균 타이머 스위치를 장착하여 천장 개폐 도어(10)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도 작동 스위치에 타어머 설정을 통해 일정시간 동안 의류의 살균을 위한 자외선 LED를 사용할 수 있다.
습도조절 장치(80)는 도 2를 참조하면, 천장 개폐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 있는 경우 의류에 스며든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써, 열선 코일 등의 발열 수단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습도조절장치(80)는 천장 개폐 도어(10)가 닫힐 경우 자동으로 소정시간 동안 작동할 수 있으며, 상술한 살균 자외선 LED와 마찬가지로 방식으로 작동 스위치의 타이머 설정에 의해 작동되는 습기 제거 타이머 스위치를 장착하여 작동시간을 설정하여 작동될 수 있고, 수동 조작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의 작동 방식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동 스위치(60)의 열림 버튼을 누르면, 구동모터(52)의 천장 개폐 도어(10)를 열리게 하는 회전에 의해 구동모터와 연결된 동력전달장치(56)가 천장 개폐 도어를 열게 된다.
천장 개폐 도어의 열림과 동시에 구동모터(52)와 연결된 윈치(54)가 회동하며, 윈치에 감겨져 있던 지지 와이어(50)가 풀어지면서 접혀진 상태로 있던 절첩식 천장 지지대가 천장 개폐 도어의 외부로 펼쳐지면서 하방으로 내려오게 된다.
지지 와이어(50)가 윈치(54)로부터 더욱 풀어지게 되면 의류 걸이대의 하면에 접하며 절첩식 천장 지지대(20)와 의류 걸이대(30)를 상방으로 지지하고 있던 의류 받침대(30)가 힌지 회동을 하며 지지 와이어와 연결된 측이 하방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때 의류 걸이대(30)에 걸려 의류 받침대(30)의 상면에 서로 층을 이루며 포개져 누워져 있던 의류가 자중에 의해 서서히 아래로 내려오며 의류 걸이대에 매달린 상태로 놓이게 된다.
또한, 작동 스위치(60)의 닫힘 버튼을 누르면, 구동모터가 열림 버튼을 누를 때와 반대되는 회전을 하고, 풀어져 있던 지지 와이어가 윈치에 감기게 된다.
이때, 지지 와이어와 연결된 의류 받침대 측이 상방으로 힌지 회동하며 의류를 하방에서 받치며 의류가 의류 걸이대에 접하게 되고, 지지 와이어가 윈치에 계속 감기면서 의류 받침대가 의류, 의류 지지대 및 절첩식 천장 지지대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면서 절첩식 천장 지지대를 상방으로 절첩한다.
절첩식 천장 지지대와 의류 받침대가 완전히 천장 개폐 도어의 내측으로 수용되면, 구동모터와 천장 개폐 도어를 연결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천천히 천장 개폐 도어가 닫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천장 개폐 도어 20 - 절첩식 천장 지지대
30 - 의류 걸이대 40 - 의류 받침판
50 - 지지 와이어 60 - 작동 스위치
70 - 천장발광장치 80 - 습도조절장치

Claims (3)

  1. 일측은 천장과 힌지 결합하고 타측은 상호 인접하여 위치하고,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호 간 상반되는 방향으로 힌지 회동하며 개폐 동작을 수행하며, 천장에 설치되는 한 쌍의 천장 개폐 도어;
    천장 개폐 도어의 내측 천장에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어 대칭되는 위치에 평행하게 부착되고, 소정길이로 펼쳐지거나 절첩되며 천장 개폐 도어의 내측에서 인출되거나 내측으로 수용되는 한 쌍의 절첩식 천장 지지대;
    절첩식 천장 지지대의 양측 하단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측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된 의류 걸이대;
    일측 절첩식 천장 지지대의 하단에 일측이 힌지 결합하여 힌지 회동을 하는 의류 받침판;
    일측이 의류 받침판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동하는 윈치에 권취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와이어;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천장 개폐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포함한 작동 스위치;
    천장 개폐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온(On)/오프(Off) 동작을 수행하는 천장발광장치; 및
    천장 개폐 도어가 닫힐 경우 소정시간 동안 자동으로 작동하는 습도조절 장치
    를 포함하고,
    구동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동작에 의해 윈치에 권취된 지지 와이어가 풀어지거나 감기면서 의류 받침대의 하방 또는 상방의 힌지 회동에 의해 절첩식 천장 지지대가 하방으로 펼쳐지거나 상방으로 절첩되는 동작과 천장 개폐 도어의 개폐 동작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
    을 포함하며,
    천장발광장치와 습도조절 장치는 작동 스위치에 타어머 설정을 통해 작동시간을 설정하여 작동되거나 수동 조작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것
    을 포함하는,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50189234A 2015-12-30 2015-12-30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 KR101760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234A KR101760783B1 (ko) 2015-12-30 2015-12-30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234A KR101760783B1 (ko) 2015-12-30 2015-12-30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070A KR20170079070A (ko) 2017-07-10
KR101760783B1 true KR101760783B1 (ko) 2017-07-24

Family

ID=5935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234A KR101760783B1 (ko) 2015-12-30 2015-12-30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7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6080A (zh) * 2018-07-27 2019-01-01 芜湖市常春汽车内饰件有限公司 一种汽车内饰件储放装置
CN111838987B (zh) * 2020-07-01 2021-10-29 浙江华胜智能家具实业有限公司 一种家居用移动式衣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4418A1 (en) * 2014-03-05 2015-09-11 Beanius, L.L.C. System for mounting, accessing, moving and folding away articles on, under or along a surfa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4418A1 (en) * 2014-03-05 2015-09-11 Beanius, L.L.C. System for mounting, accessing, moving and folding away articles on, under or along a su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070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48119B2 (en) A wardrobe apparatus
CN103799713B (zh) 智能多功能衣物存储装置及系统
US9010549B2 (en) Wardrobe lift with extended lowering capability
CN203709580U (zh) 智能多功能衣物存储装置及系统
KR101760783B1 (ko)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
KR20190053329A (ko) 옷을 자동으로 접어주는 기능과 살균 건조 기능을 갖춘 세탁물 보관함
CN103054348A (zh) 一种将鞋悬挂在天花板上隐藏收纳的方法及装置
CN112586898A (zh) 一种智能遥控衣柜的操作方法
KR101249935B1 (ko) 자동 슬라이트형 수납 메커니즘
KR200467112Y1 (ko) 세탁물 건조대
JP2017198030A (ja) 建物
EP2123196A1 (en) Retractable bed structure
CN113142840A (zh) 一种可旋转折叠组合柜子
WO2010055396A1 (en) A room divider, and piece of furniture provided with said room divider
CN106213849A (zh) 一种客厅和卧室可相互转换的居住空间
KR101256645B1 (ko) 건조대 겸용 창문 잠금 장치
CN111195008A (zh) 一种适用于老年人使用的衣柜
KR20200049093A (ko) 살균 및 건조 장치
CN204311774U (zh) 百变多功能收纳屋
KR200479956Y1 (ko) 빨래 건조대
KR101573864B1 (ko) 전동식 리프트 장치를 갖는 빨래 건조대
WO2008108685A1 (ru) Антресоль
CN111067264A (zh) 一种衣柜
CN209228127U (zh) 干蒸房
RU67828U1 (ru) Антресо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