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213B1 -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213B1
KR101760213B1 KR1020160078783A KR20160078783A KR101760213B1 KR 101760213 B1 KR101760213 B1 KR 101760213B1 KR 1020160078783 A KR1020160078783 A KR 1020160078783A KR 20160078783 A KR20160078783 A KR 20160078783A KR 101760213 B1 KR101760213 B1 KR 101760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ulp
paper
fibers
fiber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춘
Original Assignee
이동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춘 filed Critical 이동춘
Priority to KR1020160078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02Chemical or chemomechanical or chemothermomechanical pulp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1/00Methods of beating or refining; Beaters of the Hollander typ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1/00Processes for making continuous lengths of paper, or of cardboard, or of wet web for fibre board production, on paper-making machines
    • D21F11/006Making pattern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21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of natural origin; Derivatives thereof
    • D21H17/24Polysaccharides
    • D21H17/28Starch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6Sizing or water-repell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8Reinforcing agents
    • D21H21/20Wet strength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28Colorants ; Pigments or opacify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5/00After-treatment of paper not provided for in groups D21H17/00 - D21H23/00
    • D21H25/04Physical treatment, e.g. heating, irradiating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리된 섬유 10~45중량%를 섬유의 중량대비 1~3배의 물과 혼합하여 칼비터로 섬유를 가늘게 분리하여 혼합기에 투입하는 단계; 혼합기에 닥나무 펄프 5~25중량%, 제지펄프 25~60중량%, 및 상기 닥나무 펄프 중의 1~2중량%를 아까시아나무, 오리나무, 싸리, 밤나무 펄프가 1:1:1:1의 중량비로 조성된 혼합펄프로 대체하여 펄프의 중량대비 1~3배의 물을 넣어 해리하는 단계; 및 습강제 0.2~2중량%, 사이즈제 0.2~2중량% 및 염료 0.2~2중량%를 첨가하여 초지한 박막을 건조 및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의하면, 새로운 섬유복합 멀칭지를 개발하여 농업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생활환경 오염의 주범인 비닐필름 등의 사용을 줄여 환경오염 및 생태계 교란 등의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이에 따른 사회적인 비용을 크게 절감하며, 환경복원과 토양 및 수질보호를 위해 비닐필름을 대체하여 생활환경오염원을 미연에 방지하고 국민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 및 그 제조방법{Environment-friendly fiber complex mulching paper for agricul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리된 섬유에 닥나무 펄프와 제지펄프 등을 혼합하고, 습강제, 사이즈제 및 염료를 첨가하여 초지한 박막을 건조 및 압축으로 제조함으로써 자연분해가 되는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를 개발하고 이를 폴리에스테르 제품을 대체하여 생활환경을 개선함과 동시에 환경오염의 주범인 비닐필름을 대체하여 환경을 살리고 생활환경오염의 주범인 비닐의 사용을 줄여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섬유시장은 이미 사양길로 접어들어 새로운 시장개척의 중요성이 대두된 지는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며, 이로 인해 정부나 자치단체에서는 지역특화사업 등을 내세워 많은 정책과 보조 사업을 펼치고 있지만 그 효과는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또한, 오랫동안 과다하게 여러 용도로써 사용해 온 비닐로 인해 토양오염 및 수질오염으로 생태계 교란 등의 환경 문제가 발생하고, 그로 인한 사회적 2차, 3차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뿐만 아니라 오염된 환경에서 생산된 농수산물은 인체에 흡수될 경우 새로운 질병을 유발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자연친화적인 다용도 섬유필름의 개발은 새로운 섬유시장 개척과 지금까지 편리성의 논리에 눌려 오랫동안 사용해 온 비닐의 사회적 문제점을 해결하고, 생활환경 개선에 기여하여 국민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요구되어진다.
이를 위해 환경복원과 토양보호 및 수질보호를 위해 비닐필름을 대체할 제품이 필요하며, 섬유시장의 새로운 판로개척 역시 절실하게 요구되어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정부나 관련업계에서도 정책적으로 뒷받침을 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섬유복합 멀칭지를 개발하여 사용함으로써 비닐필름 등 생활환경에 해로운 재료의 사용을 줄여 환경오염 및 생태계 교란 등의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이에 따른 사회적인 비용을 크게 절감하며, 또한 환경복원과 토양 및 수질보호를 위해 비닐필름을 대체하여 생활환경오염원을 미연에 방지하고 국민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해리된 섬유를 물과 혼합하여 칼비터로 섬유를 가늘게 분리하여 혼합기에 투입하는 단계;
혼합기에 물과 닥나무 펄프, 제지펄프 및 아까시아나무, 오리나무, 싸리, 밤나무 펄프로 조성된 혼합펄프를 넣어 해리하는 단계; 및
습강제, 사이즈제 및 염료를 첨가하여 초지한 박막을 건조 및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의 제조방법.
(2) 상기 (1)에 있어서,
해리된 섬유는 10~45중량%, 닥나무 펄프는 5~25중량%, 제지펄프는 25~60중량%로 혼합되어지며, 아까시아나무, 오리나무, 싸리, 밤나무 펄프가 1:1:1:1의 중량비로 조성된 혼합펄프는 상기 닥나무 펄프 중의 1~2중량%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의 제조방법.
(3) 상기 (1)에 있어서,
초지시의 사이즈제 처리는 엔진사이징법 또는 표면사이징법을 병행하는 이중사이징법으로 초지장치를 이용하여 평량 15~80g/㎡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의 제조방법.
(4) 상기 (1)에 있어서,
건조 압축한 박막은 사용 용도에 따라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문양(○)을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의 제조방법.
(5) 상기 (1)에 있어서,
건조 압축한 박막은 사용 용도에 따라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열십자(+)로 펀칭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의 제조방법.
(6)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멀칭지는 박막이 형성될 때에 제모하지 않은 실을 길이 방향으로 2~6개 삽입하거나 또는 폭 방향으로 2~6개 추가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의 제조방법.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새로운 섬유복합 멀칭지를 개발하여 농업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생활환경오염의 주범인 비닐필름 등의 사용을 줄여 환경오염 및 생태계 교란 등의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이에 따른 사회적인 비용을 크게 절감하며, 환경복원과 토양 및 수질보호를 위해 비닐필름을 대체하여 생활환경오염원을 미연에 방지하고 국민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섬유복합 멀칭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섬유복합 멀칭지를 사용 용도에 따라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문양(○)을 넣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섬유복합 멀칭지를 사용 용도에 따라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열십자(+)로 펀칭을 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섬유복합 멀칭지를 사용 용도에 따라 박막이 형성될 때에 제모하지 않은 실을 한 방향 또는 여러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제4실시예의 기능성 도포층이 형성된 섬유복합 멀칭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복합 멀칭지의 제조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복합 멀칭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사용 용도에 따라 멀칭지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문양(○)을 넣은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사용 용도에 따라 멀칭지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열십자(+)로 펀칭을 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사용 용도에 따라 섬유복합 멀칭지가 형성될 때에 제모하지 않은 실을 한 방향 또는 여러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도포층이 형성된 섬유복합 멀칭지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도 6의 제조공정도를 참조하여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섬유복합 멀칭지는 농업용(원예작물, 수도작(벼), 특용작물 등) 멀칭필름이나 건식티슈의 제작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복합 멀칭지(100)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주원료로는 해리된 섬유, 닥나무 펄프 및 제지펄프이다. 이때 해리된 섬유와 닥나무 펄프 및 제지펄프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그 혼합비는 멀칭지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중량비로 각각 10~45%(해리된 섬유) : 5~25%(닥나무 펄프) : 25~60%(제지펄프)의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닥나무 펄프 중의 1~2중량%를 아까시아나무, 오리나무, 싸리, 밤나무 펄프가 1:1:1:1의 중량비로 조성된 혼합펄프로 대체하여 사용할 경우 인장력이 보다 증가하면서 잡초발생률을 보다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섬유는 천연섬유가 사용되어지며, 예를 들어 식물섬유(예로, 종자모-면화, 인피섬유-아마, 저마, 대마, 황마, 엽맥섬유-마닐라마, 뉴질랜드마 등), 동물섬유(견모, 양모, 낙타모, 토끼모 등), 및 가공섬유(천연소재로 만든 천, 실 등) 중 선택된 적어도 1종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섬유는 천연섬유로 제조된 원단 중 상품을 만들고 남은 원단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섬유를 직접 해리하거나 혹은 해리된 섬유를 구입하여, 물과 혼합하여 칼비터로 가늘게 분리한다.
물은 해리된 섬유의 중량대비 1~3배 정도 투입하면 충분하며, 칼비터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 투입되는 닥나무펄프 및 제지펄프와의 혼합이 균일하게 일어나지 않아 후속하는 초지 공정에서 표면이 매끈하고 균일한 두께의 필름이 얻어질 수가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칼비터로 가늘게 분리된 섬유는 혼합기에 투입되어진다.
다음 공정으로 상기 혼합기에 물과 닥나무 펄프, 제지펄프 및 혼합펄프를 넣어 투입된 펄프를 해리하게 된다. 이를 위해 물은 펄프의 중량대비 1~3배 정도 투입하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혼합기에는 습강제, 사이즈제 및 염료가 첨가되어진다.
습강제는 물에 젖어도 찢어지지 않게 하는 성질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요소포름알데히드, 글리옥실화 폴리아크릴아미드(PAM), 폴리에틸렌이민(PEI) 등이 이용되며, 그 첨가량은 0.2~2중량%로 한다.
사이즈제로는 엔진사이징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아교, 로진(송진), 전분, 합성수지 등이 이용되고, 표면사이징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젤라틴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0.2~2중량%로 하되, 바람직하게는 엔진사이징법을 사용하고 섬유복합 멀칭지의 용도에 따라 표면사이징법을 병행하여 제품의 다양화를 구현하도록 한다.
염료는 멀칭지에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거나, 빛의 투과 및 반사를 조절하기 위해 투입되는 것으로, 다양한 염료 중에서 최종 제조하고자 하는 섬유복합 멀칭지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되어지며, 그 첨가량은 0.2~2중량%로 한다.
이 과정을 거쳐 얻어진 섬유복합 멀칭지용 조성물은 초지장치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평량 15~80g/㎡으로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섬유복합 멀칭지는 건조 후 압축하여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섬유복합 멀칭지(100)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섬유복합 멀칭지는 도 2에 제시한 바와 같이, 섬유복합 멀칭지(100)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문양(120)을 형성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섬유복합 멀칭지(100)는 도 3에 제시한 바와 같이, 섬유복합 멀칭지(100)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열십자(121)로 펀칭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문양이나 열십자 펀칭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섬유복합 멀칭지가 농업용 멀칭필름으로 사용될 경우 이곳에 원하는 작물을 심어 작물간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흙이 마르는 것과 비료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병충해와 잡초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섬유복합 멀칭지는 도 4에 제시한 바와 같이, 멀칭지(100)의 사용 용도에 따라 박막이 형성될 때에 제모하지 않은 실(110)을 한 방향 또는 여러 방향으로 삽입하여 장력과 기계적 효율성을 높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110)은 경제성을 고려하여 길이방향으로 2~6개 정도 삽입하지만, 폭 방향으로 2~6개 추가 삽입하여 십자형으로 배치하여 어느 방향으로나 장력과 기계적 효율성을 배가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멀칭필름은 원료가 되는 펄프 및 천연섬유의 해리과정에서 식물영양제 또는 식물병해충 억제제를 유효량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식물영양제 또는 병해충 억제제들은 전체 농업용 멀칭필름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0 중량부의 범위에서 첨가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섬유복합 멀칭지는 원료의 해리단계에서 식물영양제 또는 식물병해충 억제제를 유효량으로 첨가하여도 좋고, 초지의 제조과정 중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성 도포층(101)의 형태로 멀칭지(100) 상에 도포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섬유복합 멀칭지는 원료의 해리과정 혹은 멀칭지의 제조과정 중 내지 제조 후에 농업용 멀칭필름(멀칭지)으로 제조하고자 할 경우 상기 식물영양제 또는 식물병해충 방제제를 도포하여 토양으로 서서히 방출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영양성분의 흡수를 장기간 동안 유지시킴은 물론 식물의 병해를 발생시키는 각종 병해충에 대한 방제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멀칭필름(멀칭지)에 함유되거나 기능성 도포층(101)에 함유되어지는 식물영양제로는 식물의 생육을 위해 투여될 수 있는 각종 비료 또는 식물성장촉진제 등을 포함하며, 비료의 예로는 질소(nitrogen), 인산(phosphorus), 칼륨(potassium), 칼슘(calcium), 알루미늄(aluminium), 마그네슘(magnesium), 붕소(boron), 구리(copper), 철(iron), 망간(manganess), 몰리브덴(molybdenum) 및 아연(zin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들 수 있고, 생리활성물질로는 옥신(auxin), 지베렐린(gibberellin), 시토키닌(cytokinin), 에틸렌(ethylene), 아브시스산(abscisic acid), 브라시노 스테로이드(brassino stero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식물병해충 방제제는 주로 천연에서 유래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식물 추출물로서 토양 병해충에 대한 방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멀구슬 추출물, 담배잎추출물, 토란추출물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 예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섬유복합 멀칭지는 도 6에 제시된 공정에 따라 제조되었다. 먼저, 해리된 면화섬유 20중량%를 중량비로 3배의 물과 혼합하여 칼비터를 이용하여 가늘게 분리하여 혼합기에 도입하였다. 다음 공정으로 상기 혼합기에 닥나무펄프 15중량% 및 제지펄프 60중량%를 펄프의 중량대비 3배수의 물과 함께 넣었다. 여기에 습강제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2중량%, 사이즈제로 전분 2중량% 및 염료 1중량%를 첨가하였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섬유복합 멀칭지용 조성물을 초지장치를 이용하여 평량 60g/㎡으로 하여 박막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박막을 건조 및 압축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섬유복합 멀칭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따라 멀칭지를 제조하되, 멀칭지의 표면에 도 2에서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문양(○)을 넣어 섬유복합 멀칭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따라 멀칭지를 제조하되, 멀칭지의 표면에 도 3에서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열십자(+)를 넣어 섬유복합 멀칭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따라 멀칭지를 제조하되, 도 4에서와 같이 기능성을 높이기 위해 멀칭지가 형성될 때에 제모하지 않은 실을 한 방향 또는 여러 방향으로 삽입하였다.
[실시예 5]
면화 대신 아마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섬유복합 멀칭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면화 대신 마닐라마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섬유복합 멀칭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면화 대신 견모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섬유복합 멀칭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면화 대신 양모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섬유복합 멀칭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박막의 제조과정 중 식물생장제로 옥신을 필름의 중량에 대하여 1ppm이 되도록 균일하게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섬유복합 멀칭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박막의 제조과정 중 병해충 방지제로 멀구슬 추출액을 박막 100중량부에 대하여 0.2중량부가 되도록 균일하게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섬유복합 멀칭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닥나무펄프 중 아까시아나무, 오리나무, 싸리, 밤나무 펄프가 1:1:1:1의 중량비로 조성된 혼합펄프를 2중량%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섬유복합 멀칭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인장강도 및 빛차단율
인장강도는 KS K ISO 9073-3:2009(부직포 시험방법, 인장강도 및 신도측정)에 의하여 측정하였고,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11의 섬유복합 멀칭지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50mm×250mm의 크기로 절단하여 시험편을 채취하였으며, 정속 신장식 인장강도 시험기의 클램프 간격을 200mm로 조절한 상태에서 100mm/min로 정속 신장시켜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인장력(㎏f/㎟) 종방향 4.51
횡방향 2.12
빛차단율(%) 88
실시예 2 인장력(㎏f/㎟) 종방향 4.53
횡방향 2.13
빛차단율(%) 88
실시예 3 인장력(㎏f/㎟) 종방향 4.54
횡방향 2.12
빛차단율(%) 88
실시예 4 인장력(㎏f/㎟) 종방향 4.76
횡방향 2.52
빛차단율(%) 88
실시예 5 인장력(㎏f/㎟) 종방향 4.53
횡방향 2.13
빛차단율(%) 88
실시예 6 인장력(㎏f/㎟) 종방향 4.54
횡방향 2.14
빛차단율(%) 88
실시예 7 인장력(㎏f/㎟) 종방향 4.54
횡방향 2.15
빛차단율(%) 88
실시예 8 인장력(㎏f/㎟) 종방향 4.53
횡방향 2.12
빛차단율(%) 88
실시예 9 인장력(㎏f/㎟) 종방향 4.54
횡방향 2.13
빛차단율(%) 88
실시예 10 인장력(㎏f/㎟) 종방향 4.54
횡방향 2.16
빛차단율(%) 88
실시예 11 인장력(㎏f/㎟) 종방향 4.68
횡방향 2.37
빛차단율(%) 89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평량이 40g/㎡ 이하임에도 불구하고 인장강도가 종방향 4.51㎏f/㎟ 이상으로 우수하여 쉽게 찢어지지 않는 등 작업성이 우수하고, 빛차단율이 88% 이상으로 매우 우수하여 햇빛에 의한 잡초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혼합펄프가 적용된 실시예 11의 경우 인장력의 증대는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난다.
[실험예 2] 잡초 발생 억제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1에 따른 섬유복합 멀칭지를 이용하여, 시험 토양에 멀칭 후 60일 경과 후 멀칭을 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실험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잡초발생량(g/㎡) 대조구 대비(%)
실시예 1 0.9 0.80
실시예 2 0.9 0.80
실시예 3 0.9 0.80
실시예 4 0.8 0.71
실시예 5 0.9 0.80
실시예 6 0.9 0.80
실시예 7 0.9 0.80
실시예 8 0.9 0.80
실시예 9 0.5 0.45
실시예 10 0.5 0.45
실시예 11 0.3 0.27
대조구 112 100.00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섬유복합 멀칭지는 60일 경과 후 대조구의 잡초발생량을 100으로 하였을 때의 상대적인 발생량으로 환산한 결과 잡초발생이 대조구의 0.8% 수준 이하로 완벽히 억제가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혼합펄프가 적용된 실시예 11의 경우 잡초발생량이 보다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실험예 3] 식물생장 촉진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 9의 섬유복합 멀칭지에 대한 수도 생육효과를 측정한 결과, 하기 표 3에서와 같이 이식 후 22일 경과 후 및 유수형성기에 걸쳐 초장, 경수, 엽령 및 엽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생장 촉진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식 후 22일 유수형성기
초장
(cm)
경수
(본/)
엽색 초장
(cm)
경수
(본/)
엽색
실시예 9 20.6 84 31.3 68.5 548 37.3
대조구 20.2 73 29.1 66.3 516 34.1
[실험예 4] 병충해 방제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따른 섬유복합 멀칭지를 이용하여 실험예 3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의해 벼 물바구미와 도열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확인한 결과는 하기 표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섬유복합 멀칭지가 병해충 방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벼 물바구미 도열병(%)
실시예 10 32 38
대조구 2 4
100 : 섬유복합 멀칭지
101 : 기능성 도포층
110 : 면실
120 : 문양(○)
121 : 열십자(+)

Claims (9)

  1. 해리된 섬유 10~45중량%를 섬유의 중량대비 1~3배의 물과 혼합하여 칼비터로 섬유를 가늘게 분리하여 혼합기에 투입하는 단계;
    혼합기에 닥나무 펄프 5~25중량%, 제지펄프 25~60중량%, 및 상기 닥나무 펄프 중의 1~2중량%를 아까시아나무, 오리나무, 싸리, 밤나무 펄프가 1:1:1:1의 중량비로 조성된 혼합펄프로 대체하여 펄프의 중량대비 1~3배의 물을 넣어 해리하는 단계; 및
    습강제 0.2~2중량%, 사이즈제 0.2~2중량% 및 염료 0.2~2중량%를 첨가하여 초지한 박막을 건조 및 압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칭지는 박막이 형성될 때에 제모하지 않은 실을 길이 방향으로 2~6개 삽입하거나 또는 폭 방향으로 2~6개 추가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지시의 사이즈제 처리는 엔진사이징법 또는 표면사이징법을 병행하는 이중사이징법으로 초지장치를 이용하여 평량 15~80g/㎡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의 제조방법.
  4.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0078783A 2016-06-23 2016-06-23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760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783A KR101760213B1 (ko) 2016-06-23 2016-06-23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783A KR101760213B1 (ko) 2016-06-23 2016-06-23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213B1 true KR101760213B1 (ko) 2017-07-21

Family

ID=59462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783A KR101760213B1 (ko) 2016-06-23 2016-06-23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2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320A (ko) * 2018-09-14 2020-03-24 이범석 농업용 기능성 멀칭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236033B1 (ko) 2020-09-24 2021-04-05 임용환 친환경 자연분해 멀칭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662791B1 (ko) * 2022-02-21 2024-05-02 김건한 해충방지 및 잡초 억제기능이 있고 비료성분이 함유된 생분해성 농업용 멀칭비닐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840B1 (ko) 1998-04-27 2003-11-01 악조 노벨 엔.브이. 제지 방법
KR100933462B1 (ko) 2009-07-10 2009-12-23 대한민국(문화체육관광부장관) 컬이 형성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
KR101472990B1 (ko) 2014-09-19 2014-12-24 김종구 농업용 친환경 자연분해 멀칭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840B1 (ko) 1998-04-27 2003-11-01 악조 노벨 엔.브이. 제지 방법
KR100933462B1 (ko) 2009-07-10 2009-12-23 대한민국(문화체육관광부장관) 컬이 형성된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
KR101472990B1 (ko) 2014-09-19 2014-12-24 김종구 농업용 친환경 자연분해 멀칭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320A (ko) * 2018-09-14 2020-03-24 이범석 농업용 기능성 멀칭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133952B1 (ko) * 2018-09-14 2020-07-14 이범석 농업용 기능성 멀칭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236033B1 (ko) 2020-09-24 2021-04-05 임용환 친환경 자연분해 멀칭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662791B1 (ko) * 2022-02-21 2024-05-02 김건한 해충방지 및 잡초 억제기능이 있고 비료성분이 함유된 생분해성 농업용 멀칭비닐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990B1 (ko) 농업용 친환경 자연분해 멀칭지
KR101347898B1 (ko) 친환경 자연분해 멀칭재
KR101075708B1 (ko) 친환경 유기 농업용 생분해성 멀칭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54576B1 (ko) 농업용 토양보호 천연부직포
SI9600317A2 (sl) Semenska zastirka iz okolju prijaznega naravnega materiala
de Beus et al. Carbon footprint and sustainability of different natural fibres for biocomposites and insulation material
KR101760213B1 (ko) 농업용 친환경 섬유복합 멀칭지 및 그 제조방법
US20100285962A1 (en) Biodegradable, plant-based covering and premixture
DE19516572A1 (de) Pflanz- und Kulturgefäß
KR101680328B1 (ko) 그물구조를 갖는 친환경 멀칭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52156B1 (ko) 벼 직파용 기능성 피복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피복재
KR101967041B1 (ko) 다용도 섬유필름과 그 제조방법
KR101183264B1 (ko) 카폭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고기능성 안전성 솜의 제조 방법
KR102337547B1 (ko) 대마섬유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
Uygur The future of organic fibres
KR20160108634A (ko) 펄프와 천염섬유를 이용한 농업용 멀칭필름 및 그 제조방법
DE102016115901A1 (de) Biologisch abbaubarer Pflanzbehält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KR101465113B1 (ko) 천연 멀칭재
KR102336332B1 (ko) 천연면을 이용한 친환경 농업용 생분해성 멀칭부직포 생산시스템 및 그 시스템 운용방법
JPH07224430A (ja) 植生マット
JP7347583B2 (ja) 抑草工法
CN104264374A (zh) 一种作物栽培用植物纤维无纺布的制备方法
US9260591B1 (en) Hydroseed substrate and method of making such
JP2003092925A (ja) 植物生育基盤材及びそれを使用する吹付け緑化工法
EP0751705A1 (de) Unkrautunterdrückungsmittel,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sowie verwendung zur unkrautbekämpf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