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869B1 -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869B1
KR101759869B1 KR1020150124617A KR20150124617A KR101759869B1 KR 101759869 B1 KR101759869 B1 KR 101759869B1 KR 1020150124617 A KR1020150124617 A KR 1020150124617A KR 20150124617 A KR20150124617 A KR 20150124617A KR 101759869 B1 KR101759869 B1 KR 101759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body block
solar cell
water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7962A (ko
Inventor
이동운
진태석
김상백
김민찬
장성하
유민우
추예찬
김영현
윤준호
임덕건
최영헌
박정민
허효정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4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869B1/ko
Publication of KR20170027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은 집광을 통한 태양광 발전과 전원공급, 빗물 수집에 의한 정수와 급수, 외부 조명 등이 단일한 구조물을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구조물의 활용성이 현저하게 증대될 수 있도록 하며, 구조물이 버섯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질감없는 에코 건축디자인의 구현과 유니크한 장식미의 향상이 도모될 수 있도록 하고, 단독주택의 마당이나 캠핑장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 속 또는 숲 속에 설치되어 지나가는 행인에게 도움을 제공하거나 구조활동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은 설치면에 고정되는 몸체 블록(10)과; 몸체 블록(10) 상부면에 노출 형성되는 태양전지(20)와; 태양전지(20) 상측에 배치되어 태양광을 태양전지로 유도하는 집광렌즈(30)와; 몸체 블록(10) 내부에 설치되어 태양전지(20)와 연결되고, 태양전지(2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의 저장과 관리를 수행하는 전원장치(40)와; 몸체 블록(10)에 설치되고, 몸체 블록(10) 외부로 광을 방출시키는 조명장치(50)와; 몸체 블록(10)에 설치되고, 몸체 블록(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이 정화되고 저장되는 정수장치(60) 및; 정수장치(60)와 연결되어 몸체 블록(10)에 설치되고, 내부에 개폐밸브가 구비되어 필요시 개폐밸브의 개방동작으로 정수된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게 되는 급수장치(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Hybrid mushroom structure based on sunlight generation}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집광을 통한 태양광 발전과 전원공급, 빗물 수집에 의한 정수와 급수, 외부 조명 등이 단일한 구조물을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구조물의 활용성이 현저하게 증대될 수 있으며, 구조물이 버섯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질감없는 에코 건축디자인의 구현과 유니크한 장식미의 향상이 도모될 수 있고, 단독주택의 마당이나 캠핑장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 속 또는 숲 속에 설치되어 지나가는 행인에게 도움을 제공하거나 구조활동에 사용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석유,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가 고갈되어감에 따라 대체에너지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태양에너지를 활용하는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인데,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는 태양전지의 경우 다양한 조건에서 뛰어난 적응성을 가짐에 따라, 태양전지를 활용하는 기술분야가 넓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태양전지는 주택, 가로등 등의 각종 구조물에 부착되어 구조물의 운용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게 되거나, 별도의 축전장치에 전원을 저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전원공급 기능 상의 이점이 확보될 수 있으나, 구조물에 부가되는 기능이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축전과 전원 공급에 한정되는 한계가 있어, 현재 하이브리드 기술개발 추세에 따라 태양광 발전/축전과 전원 공급 이외의 추가적인 기능이 부가된 구조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삭제
삭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116672호 "태양 전지를 이용한 공동 주택용 환기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29203호 "태양전지와 배터리를 이용한 통합형 LED 가로등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집광렌즈와 태양전지의 조합에 의해 집광을 통한 고효율 태양광 발전이 가능해지고, 이를 통해 생성된 전원이 전원장치에 전달되고 저장되면서 몸체 블록에 설치된 조명장치, 정수장치, 급수장치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몸체 블록에 노출 설치된 전원 콘센트를 통해 각종 외부 전기장치로도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며, 정수장치와 급수장치를 통해 빗물이 수집되면서 정수와 급수가 수행되고, 조명장치를 통해 외부 조명도 수행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단일한 구조물에 의해서도 발전, 축전, 전원공급, 외부 조명, 정수, 급수 등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고, 구조물의 활용성이 현저하게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물이 버섯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질감없는 에코 건축디자인의 구현과 유니크한 장식미의 향상이 도모될 수 있도록 하고, 단독주택의 마당이나 캠핑장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 속 또는 숲 속에 설치되어 지나가는 행인에게 도움을 제공하거나 구조활동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설치면에 고정되는 몸체 블록(10)과; 몸체 블록(10) 상부면에 노출 형성되는 태양전지(20)와; 태양전지(20) 상측에 배치되어 태양광을 태양전지로 유도하는 집광렌즈(30)와; 몸체 블록(10) 내부에 설치되어 태양전지(20)와 연결되고, 태양전지(2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의 저장과 관리를 수행하는 전원장치(40)와; 몸체 블록(10)에 설치되고, 몸체 블록(10) 외부로 광을 방출시키는 조명장치(50)와; 몸체 블록(10)에 설치되고, 몸체 블록(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이 정화되고 저장되는 정수장치(60) 및; 정수장치(60)와 연결되어 몸체 블록(10)에 설치되고, 내부에 개폐밸브가 구비되어 필요시 개폐밸브의 개방동작으로 정수된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게 되는 급수장치(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에서 몸체 블록(10)은 전원장치(40), 조명장치(50), 정수장치(60), 급수장치(70)가 설치되고, 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단(11)과; 몸체단(11) 상부에 형성되고, 태양전지(20)와 집광렌즈(30)가 상부면에 장착되며, 몸체단(11)보다 큰 수평 단면적을 갖는 원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판(1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에서 집광렌즈(30)는 태양전지(20)보다 큰 수평 단면적을 가져 집광렌즈(30) 내부에 태양전지(20)가 배치되도록 하고, 몸체 블록(10)의 상판(12)은 집광렌즈(30)보다 큰 수평 단면적을 가져 집광렌즈(30) 외측의 상판(12) 표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빗물이 수집되는 빗물 수집구(121)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에서 정수장치(60)는 몸체단(11)의 상부 측벽(111)을 이루는 투명한 외벽(111a)과 외벽(111a)으로부터 이격형성된 투명한 내벽(111b)을 갖는 링형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몸체단(11)의 측벽(111) 상측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판(12)의 빗물 수집구(121)와 연결되어 빗물을 전달받아 수용하게 되는 빗물 수집탱크(61)와; 빗물 수집탱크(61) 하부에 배치되어 빗물을 전달받고, 몸체단(11)의 측벽(111)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여과재(621)가 구비되어 빗물을 정화하게 되되, 몸체단(11)의 측벽(111) 일부분을 이루는 개폐판(64)이 형성되어 개폐판(64)의 개폐동작에 따라 여과재(621)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여과기(62)와; 여과기(62) 하부에 배치되어 정수된 물을 전달받아 저장되게 되는 정수 저장탱크(63)를 포함하고, 급수장치(70)는 여과기(62)와 정수 저장탱크(6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정수된 물을 전달받게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급수장치(70)는 개폐밸브가 구비된 수도꼭지(71)와; 수도꼭지(71)와 연결되고, 몸체단(11)의 측벽(11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구(72)로 이루어지고, 정수장치(60)는 몸체단(11)의 상부 측벽(111)을 이루는 투명한 외벽(111a)과 외벽(111a)으로부터 이격형성된 투명한 내벽(111b)을 갖는 링형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몸체단(11)의 측벽(111) 상측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판(12)의 빗물 수집구(121)와 연결되어 빗물을 전달받아 수용하게 되는 빗물 수집탱크(61)와; 급수장치(70)의 수도꼭지(71)와 연결구(72) 사이에 교체가능하게 배치되고, 빗물 수집탱크(61)와 연결된 급수장치(70)의 연결구(72)를 통해 빗물을 전달받으며, 여과재(621)가 구비되어 빗물을 정화하게 되는 여과기(62)와; 빗물 수집탱크(61) 하부에 배치되어 빗물을 전달받아 저장하게 되는 빗물 저장탱크(6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에서 전원장치(40)와 조명장치(50)는 몸체 블록(10)의 상판(12) 하부와 몸체단(11) 상부에 설치되되, 조명장치(50)는 몸체단(11) 상부 중앙에 배치되는 램프(51)를 구비하여 램프(51)의 광이 몸체단(11)의 투명한 상부 측벽(111)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에서 램프(51)의 광이 통과하는 몸체단(11)의 상부 측벽(111)은 둘레를 따라 복수의 오목렌즈체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에서 몸체 블록(10)에 노출형성되어 외부 전기장치(200)가 접속하게 되고, 전원장치(40)와 연결되어 접속된 외부 전기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전원 콘센트(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에 의하면, 집광을 통한 태양광 발전과 전원공급, 빗물 수집에 의한 정수와 급수, 외부 조명 등이 단일한 구조물을 통해서도 복합적으로 구현되어 구조물의 활용성이 현저하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은 버섯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질감없는 에코 건축디자인의 구현과 유니크한 장식미의 향상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단독주택의 마당이나 캠핑장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 속 또는 숲 속에 설치되어 지나가는 행인에게 도움을 제공하거나 구조활동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의 외형도;
도 3과 도 4는 빗물 수집구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의 상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는 집광렌즈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의 전원공급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를 이루는 여과기에 구비되는 여과재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와 급수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태양전지, 전원장치, 조명장치, 정수장치, 급수장치, 집광렌즈, 볼록렌즈, 오목렌즈, 프렌넬 렌즈, 수도꼭지, 전원 콘센트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100)은 도 1에서와 같이 몸체 블록(10), 태양전지(20), 집광렌즈(30), 전원장치(40), 조명장치(50), 정수장치(60), 급수장치(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몸체 블록(10)은 설치면에 고정되어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100)의 몸체를 이루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몸체 블록(10)은 몸체단(11)과 상판(12)은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단(11)은 전원장치(40), 조명장치(50), 정수장치(60), 급수장치(70)가 설치되는 것으로, 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단(11)은 도 2에서와 같이 버섯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12)은 몸체단(11)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태양전지(20)와 집광렌즈(30)가 상부면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상판(12)은 몸체단(11)보다 큰 수평 단면적을 갖는 원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12)은 도 2에서와 같이 버섯갓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판(12)과 집광렌즈(30)가 전체적으로 버섯갓 형상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버섯대 형상의 몸체단(11)과 버섯갓 형상의 상판(12)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 블록(10)의 외형은 도 2에서와 같이 버섯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태양전지(20)는 몸체 블록(10)의 상판(12) 상부면에 노출 형성되는 것으로,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원을 생성시켜 전원장치(40)로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태양전지(20)는 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집광렌즈(30)는 태양전지(20) 상측에 배치되어 태양광을 태양전지(20)로 유도하는 것으로, 반구(半球)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집광렌즈(30)는 볼록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블록렌즈와 오목렌즈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프레넬 렌즈(fresnel lens)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집광렌즈(30)는 태양전지(20)보다 큰 수평 단면적을 가져 집광렌즈(30) 내부에 태양전지(20)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집광렌즈(30)는 몸체 블록(10)의 상판(12)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는데, 몸체 블록(10)의 상판(12)은 도 3에서와 같이 집광렌즈(30)보다 큰 수평 단면적을 가져 집광렌즈(30) 외측의 상판(12) 표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빗물이 수집되는 빗물 수집구(121)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빗물 수집구(121)는 도 3에서와 같이 원형 라인의 채널(121a)로 형성되거나 도 4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통공(121b)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100)은 볼록한 형상의 집광렌즈(30)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빗물 수집구(121)가 형성되므로, 우천시 집광렌즈(30) 표면을 타고 흐르는 빗물이 용이하게 수집되게 된다.
한편 집광렌즈(30)에는 도 5의 (a)와 같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36624호 "태양광 발전용 집광장치"가 적용될 수도 있고, 도 5의 (b)와 같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86699호 "태양광 집광렌즈"가 적용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전원장치(40)는 몸체 블록(10) 내부에 설치되어 태양전지(20)와 연결되는 것으로, 태양전지(2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의 저장과 관리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 블록(10)은 도 2와 도 6에서와 같이 전원장치(40)와 연결되는 전원 콘센트(41)를 노출형성할 수 있다. 전원 콘센트(41)는 연결케이블(42)을 통해 전원장치(4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전원 콘센트(41)는 외부 전기장치(200)가 접속하게 되는 것으로, 접속된 외부 전기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전원장치(40)는 필요시 도 6에서와 같이 조명장치(50)와 정수장치(6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장치(40)에 저장된 전원의 잔량은 도 2에서와 같이 몸체 블록(10) 표면에 노출 형성되는 전원잔량 표시용 발광체(43)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전원잔량 표시용 발광체(43)는 전원의 잔량 크기에 비례하여 밝기가 달라지면서 전원잔량이 추정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전원잔량 크기가 막대그래프 형태로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조명장치(50)는 몸체 블록(10)에 설치되어 몸체 블록(10) 외부로 광을 방출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조명장치(50)는 전원장치(4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이와 같은 조명장치(50)는 몸체단(11) 상부 중앙에 배치되는 램프(51)를 구비하여 램프(51)의 광이 몸체단(11)의 투명한 상부 측벽(111)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램프(51)로는 파워 LED가 사용되어 저전력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램프(51)의 보호를 위하여 투명한 램프 하우징(52)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 블록(10)은 램프(51)의 광이 통과하는 몸체단(11)의 상부 측벽(111)은 복수의 오목렌즈체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광의 분산 방출이 유도되면서 조명 영역의 확장이 도모될 수 있다. 조명장치(50)는 광센서를 통해 주변 밝기 정보가 자동 검출되면서 주변 밝기값이 일정 이하일 경우 자동으로 활성화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2에서와 같이 몸체 블록(10) 표면에 형성되는 온오프 스위치(53)에 의해 온오프 동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100)은 조명장치(50)를 통해 야간이나 어두운 기상 조건에서 가로등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전원장치(40)와 조명장치(50)는 몸체 블록(10)의 상판(12) 하부나 몸체단(11)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장치(40)와 조명장치(50)는 몸체 블록(10)의 빗물 수집구(121), 정수장치(60), 급수장치(70)와 분리되어 방수되는 공간에 설치되도록 한다.
정수장치(60)는 몸체 블록(10)에 설치되는 것으로, 몸체 블록(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이 정화되고 저장된다. 이와 같은 정수장치(60)를 통해 간편하고 용이하게 생활용수를 입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정수장치(60)는 도 7에서와 같이 빗물 수집탱크(61), 여과기(62), 정수 저장탱크(6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빗물 수집탱크(61)는 몸체단(11)의 상부 측벽(111)을 이루는 투명한 외벽(111a)과 외벽(111a)으로부터 이격형성된 투명한 내벽(111b)을 갖는 링형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빗물 수집탱크(61)는 몸체단(11)의 측벽(111) 상측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데, 상판(12)의 빗물 수집구(121)와 연결되어 빗물을 전달받아 수용하게 된다.
여과기(62)는 빗물 수집탱크(61) 하부에 배치되어 빗물을 전달받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 블록(10)은 빗물 수집탱크(61) 하부에 빗물 유입공(66)이 형성되도록 하여 빗물 유입공(66)을 통해 여과기(62)로 빗물이 전달되도록 한다.
몸체단(11)의 측벽(111)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여과재(621)가 구비되어 빗물을 정화하게 된다. 여과재(621)는 도 8에서와 같이 굵은 자갈, 고운 모래, 숯, 활성탄의 적층 배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외의 다양한 구조나 종류의 여과재(621)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 블록(10)은 도 2에서와 같이 몸체단(11)의 측벽(111) 일부분을 이루는 개폐판(64)이 형성되도록 하여, 개폐판(64)의 개폐동작에 따라 여과재(621)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정수 저장탱크(63)는 여과기(62) 하부에 배치되어 정수된 물을 전달받아 저장되는 탱크이다.
이와 달리 정수장치(60)는 도 9와 도 10에서와 같이 여과기(62)가 급수장치(70)의 수도꼭지(71)와 연결구(72) 사이에 교체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여과기(62)는 빗물 수집탱크(61)와 연결된 급수장치(70)의 연결구(72)를 통해 빗물을 전달받게 되고, 여과재(621)가 구비되어 빗물을 정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수장치(60)는 빗물 수집탱크(61) 하부에 배치되어 빗물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빗물 저장탱크(65)를 구비하게 된다. 수도꼭지(71)와 연결구(72) 사이에 여과기(62)가 배치되는 구조를 통해 여과기(62)의 교체가 번거로움없이 저비용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급수장치(70)는 정수장치(60)와 연결되어 몸체 블록(10)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개폐밸브가 구비되어 필요시 개폐밸브의 개방동작으로 정수된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급수장치(70)는 도 7에서와 같이 정수 저장탱크(63)와 연결되어 정수된 물을 전달받게 되거나, 도 9에서와 같이 여과기(62)와 연결되어 정수된 물을 전달받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70)는 수도꼭지(71)와 연결구(72)로 이루어지는데, 수도꼭지(71)는 개폐밸브가 구비되어 정수된 물을 배출시키는 것이다. 연결구(72)는 몸체단(11)의 측벽(11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수도꼭지(71)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급수장치(70)를 통해 급수가 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100)은 집광렌즈(30)와 태양전지(20)의 조합에 의해 집광을 통한 고효율 태양광 발전이 가능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생성된 전원이 전원장치(40)에 전달되고 저장되면서 몸체 블록(10)에 설치된 조명장치(50), 정수장치(60), 급수장치(70)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몸체 블록(10)에 노출 설치된 전원 콘센트(41)를 통해 각종 외부 전기장치(200)로도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100)은 정수장치(60)와 급수장치(70)를 통해 빗물이 수집되면서 정수와 급수가 수행되도록 하고, 조명장치(50)를 통해 외부 조명도 수행될 수 있도록 하다. 이와 같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100)은 단일한 구조물에 의해서도 발전, 축전, 전원공급, 외부 조명, 정수, 급수 등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고, 구조물의 활용성이 현저하게 증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100)은 구조물이 버섯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질감없는 에코 건축디자인의 구현과 유니크한 장식미의 향상이 도모되고, 단독주택의 마당이나 캠핑장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 속 또는 숲 속에 설치되어 지나가는 행인에게 도움을 제공하거나 구조활동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몸체 블록 11 : 몸체단
111 : 측벽 111a : 외벽
111b : 내벽 12 : 상판
121 : 빗물 수집구 121a : 채널
121b : 통공 20 : 태양전지
30 : 집광렌즈 40 : 전원장치
41 : 전원 콘센트 42 : 연결 케이블
43 : 전원잔량 표시용 발광체 50 : 조명장치
51 : 램프 52 : 램프 하우징
53 : 온오프 스위치 60 : 정수장치
61 : 빗물 수집탱크 62 : 여과기
621 : 여과재 63 : 정수 저장탱크
64 : 개폐판 65 : 빗물 저장탱크
66 : 빗물 유입공 70 : 급수장치
71 : 수도꼭지 72 : 연결구
100 :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
200 : 외부 전기장치

Claims (6)

  1. 전원장치(40), 조명장치(50), 정수장치(60), 급수장치(70)가 설치되고, 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단(11)과: 몸체단(11)의 상부에 형성되고, 태양전지(20)와 집광렌즈(30)가 상부면에 장착되며, 몸체단(11)보다 큰 수평 단면적을 갖는 원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판(12)을 포함하여 설치면에 고정되는 몸체 블록(10)과;
    몸체 블록(10) 상부면에 노출 형성되는 태양전지(20)와;
    태양전지(20)보다 큰 수평 단면적을 가지는 반구(半球) 형상으로 볼록렌즈 또는 블록렌즈와 오목렌즈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태양전지(20) 상측에 배치되어 태양광을 태양전지로 유도하는 집광렌즈(30)와;
    몸체 블록(10) 내부에 설치되어 태양전지(20)와 연결되고, 태양전지(2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의 저장과 관리를 수행하는 전원장치(40)와;
    몸체 블록(10)에 설치되고, 몸체 블록(10) 외부로 광을 방출시키는 조명장치(50)와;
    몸체 블록(10)에 설치되고, 몸체 블록(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이 정화되고 저장되는 정수장치(60) 및;
    정수장치(60)와 연결되어 몸체 블록(10)에 설치되고, 내부에 개폐밸브가 구비되어 필요시 개폐밸브의 개방동작으로 정수된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게 되는 급수장치(70)를 포함하되,
    몸체 블록(10)의 상판(12)은 집광렌즈(30)보다 큰 수평 단면적을 가져 집광렌즈(30) 외측의 상판(12) 표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빗물이 수집되는 원형 라인의 채널(121a) 또는 복수개의 통공(121b)으로 빗물 수집구(121)가 형성되도록 하고,
    정수장치(60)는 몸체단(11)의 상부 측벽(111)을 이루는 투명한 외벽(111a)과 외벽(111a)으로부터 이격형성된 투명한 내벽(111b)을 갖는 링형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몸체단(11)의 측벽(111) 상측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판(12)의 빗물 수집구(121)와 연결되어 빗물을 전달받아 수용하게 되는 빗물 수집탱크(61)와; 빗물 수집탱크(61) 하부에 배치되어 빗물을 전달받고, 몸체단(11)의 측벽(111)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여과재(621)가 구비되어 빗물을 정화하게 되되, 몸체단(11)의 측벽(111) 일부분을 이루는 개폐판(64)이 형성되어 개폐판(64)의 개폐동작에 따라 여과재(621)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여과기(62)와; 여과기(62) 하부에 배치되어 정수된 물을 전달받아 저장되게 되는 정수 저장탱크(63)를 포함하고,
    급수장치(70)는 여과기(62)와 정수 저장탱크(6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정수된 물을 전달받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급수장치(70)는 개폐밸브가 구비된 수도꼭지(71)와;
    수도꼭지(71)와 연결되고, 몸체단(11)의 측벽(11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구(72)로 이루어지고,
    정수장치(60)는 몸체단(11)의 상부 측벽(111)을 이루는 투명한 외벽(111a)과 외벽(111a)으로부터 이격형성된 투명한 내벽(111b)을 갖는 링형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몸체단(11)의 측벽(111) 상측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판(12)의 빗물 수집구(121)와 연결되어 빗물을 전달받아 수용하게 되는 빗물 수집탱크(61)와;
    급수장치(70)의 수도꼭지(71)와 연결구(72) 사이에 교체가능하게 배치되고, 빗물 수집탱크(61)와 연결된 급수장치(70)의 연결구(72)를 통해 빗물을 전달받으며, 여과재(621)가 구비되어 빗물을 정화하게 되는 여과기(62)와;
    빗물 수집탱크(61) 하부에 배치되어 빗물을 전달받아 저장하게 되는 빗물 저장탱크(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
  6. 제 5항에 있어서,
    전원장치(40)와 조명장치(50)는 몸체 블록(10)의 상판(12) 하부와 몸체단(11) 상부에 설치되되,
    조명장치(50)는 몸체단(11) 상부 중앙에 배치되는 램프(51)를 구비하여 램프(51)의 광이 몸체단(11)의 투명한 상부 측벽(111)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
KR1020150124617A 2015-09-03 2015-09-03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 KR101759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617A KR101759869B1 (ko) 2015-09-03 2015-09-03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617A KR101759869B1 (ko) 2015-09-03 2015-09-03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962A KR20170027962A (ko) 2017-03-13
KR101759869B1 true KR101759869B1 (ko) 2017-07-20

Family

ID=5841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617A KR101759869B1 (ko) 2015-09-03 2015-09-03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8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099B1 (ko) 2017-03-03 2021-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475B1 (ko) * 2009-08-28 2011-03-02 기재권 발전기능을 갖는 물탱크
KR101230077B1 (ko) * 2011-08-29 2013-02-0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빗물 재순환 분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6672A (ko) 2010-04-20 2011-10-26 김두일 태양 전지를 이용한 공동 주택용 환기 시스템
KR101429203B1 (ko) 2014-03-11 2014-09-22 (주)레프코리아 태양전지와 배터리를 이용한 통합형 led 가로등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475B1 (ko) * 2009-08-28 2011-03-02 기재권 발전기능을 갖는 물탱크
KR101230077B1 (ko) * 2011-08-29 2013-02-0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빗물 재순환 분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962A (ko) 201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8453B2 (en) Solar powered light assembly
US7029144B2 (en) Multi-purpose lighting fixture
KR101622971B1 (ko) 주·야간 충전이 가능한 태양광 가로등 시스템
KR101039463B1 (ko) 하이브리드형 자연채광 조명시스템
CN201190906Y (zh) 多功能野营灯
KR101759869B1 (ko) 태양광 발전 기반 하이브리드 버섯 구조물
JP4286303B2 (ja) 屋外照明設備
JP2002015610A (ja) ソーラー電源街路灯
CN204821192U (zh) 一种太阳能电动车充电桩
KR20170052890A (ko) 태양광에너지로 구동되는 조명시스템
KR102316596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보행등이 구비된 가로등 장치
KR20120131566A (ko) 자연채광장치
JP2007188685A (ja) 照明器具
CN210319802U (zh) 一种园林设计用便于散热的观赏性定制灯
KR102177454B1 (ko)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가로등
KR200412723Y1 (ko) 태양전지가 내장된 발광기능을 갖는 도로 표시판
CN203033277U (zh) 多功能环卫箱
CN109539118B (zh) 社区边缘led照明设备
CN203341206U (zh) 一种太阳能led水杯灯
CN202617995U (zh) 一种便携式光控太阳能鸟巢
JP5672462B2 (ja) 集光レンズ、発光ダイオード(可視光線)、反射板を内蔵した太陽電池セル及び高階層構造を一体化した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20100121347A (ko) 자연채광을 위한 태양광 집광 및 전송 장치
CN201318604Y (zh) 发光二极管紧急照明装置
CN206310424U (zh) 集成式太阳能led庭院灯
KR102152104B1 (ko) 전력강화형 기둥타입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