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725B1 - 지골피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디하이드로파세익 애시드 쓰리프라임-오-베타-디-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골피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디하이드로파세익 애시드 쓰리프라임-오-베타-디-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725B1
KR101759725B1 KR1020150058639A KR20150058639A KR101759725B1 KR 101759725 B1 KR101759725 B1 KR 101759725B1 KR 1020150058639 A KR1020150058639 A KR 1020150058639A KR 20150058639 A KR20150058639 A KR 20150058639A KR 101759725 B1 KR101759725 B1 KR 101759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steoporosis
cells
glucopyranoside
osteobl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7852A (ko
Inventor
허담
정선용
박은국
김문창
이지원
김정현
Original Assignee
동우당제약(주)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당제약(주),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우당제약(주)
Priority to KR1020150058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725B1/ko
Priority to US15/569,897 priority patent/US11207338B2/en
Priority to PCT/KR2016/002063 priority patent/WO2016175441A1/ko
Publication of KR20160127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화합물 디하이드로파세익 애시드 쓰리프라임-오-베타-디-글루코피라노사이드(Dihydrophaseic acid 3'-O-β-D-glucopyranoside:D3G)에 관한 것으로, 지골피추출물에서 분리한 D3G는 조골모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면서 조골세포 분화 활성을 유도하고, 조골세포 전구체인 조골모세포와 파골세포 전구체인 단핵세포의 혼합 배양 시에 조골세포 및 파골세포 모두 분화를 촉진하여 골재형성을 촉진 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D3G는 골재형성의 균형 이상에 의해 발병하는 질환인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에 효능이 있는 약학적 제제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지골피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디하이드로파세익 애시드 쓰리프라임-오-베타-디-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Dihydrophaseic acid 3'-O-β-D-glucopyranoside isolated from lycium root bark extract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본 발명은 지골피추출물에서 분리된 화합물를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골피추출물로부터 골재형성을 촉진시킴으로써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기능을 가지는 화합물의 분리동정 및 이 화합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골 조직은 골세포와 골세포 주위의 딱딱한 칼슘조직으로 둘러싸인 밀집된 결합조직으로, 지지와 근 부착의 기계적 기능을 하며, 이러한 골 조직에 의해서 뼈가 이루어져 인체의 골격을 형성한다. 또한, 생체기관 및 골수를 보호하는 기능과 칼슘과 인 이온의 항상성 유지를 위해 이들을 보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골 조직은 교원질, 당단백질과 같은 세포 기질과 조골세포(osteoblast), 파골세포(osteoclast) 및 골세포(osteocyte) 등 여러 종류의 세포들로 구성된다. 골수 내 간질세포 (bone marrow stromal cell)로부터 유래한 조골세포는 골 형성에 주된 역할을 담당하며, 조혈모세포로부터 유래 되는 파골세포는 파괴되어 노화된 골 흡수를 담당하는데, 이러한 조골세포와 파골세포에 의한 골 형성과 골 흡수의 균형 있는 작용을 통하여 골의 재형성(remodeling)을 유지하게 된다.
골재형성 유지에 주요 역할을 담당하는 조골세포와 파골세포 간의 균형에 이상이 생겼을 때 골 대사성 질환이 발생한다. 골 대사성 질환의 대표적인 예로써 골다공증이 있는데, 골다공증은 조골세포에 의한 골 형성에 비하여 파골세포의 골 흡수 활성이 증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총 골량(total bone mass)이 감소하게 되어 경미한 충격에도 골절이 유발되는 질환을 말한다. 현재까지 골다공증 완치를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은 없으며 예방이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골 형성을 담당하는 조골 세포는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에서 기원되어 형성되는데 조골 세포 분화에 의해 형성되는 칼슘 등을 포함한 무기질화는 뼈의 세기를 유지시켜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체 전체의 칼슘 및 호르몬 대사의 항상성에도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이러한 조골 세포의 분화에 의한 칼슘 형성은 비타민 D 및 부갑상선 호르몬(parathyroid hormone) 등에 의해 조절되며, 세포 내에서 뼈 형태 형성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 Wnt, MAP키나아제, 칼시뉴린-칼모듈린 키나아제(calcineurin-calmodulin kinase), NF-B, AP-1 등의 다양한 신호 전달 체계의 상호 작용(cross-talk)에 의해 조골 세포의 분화에 관련된 알칼라인 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ALP)가 초기 분화단계에서 합성된 후, 무기질화에 관련된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오스테오칼신(osteocalcin), 타입 I 콜라겐 (type 1 collagen) 등이 합성됨으로써 조골 세포의 분화에 의한 골 형성이 이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생체 외 배양조건에서 조골세포를 생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골조직의 기능을 강화하여 예방하거나 골 손상을 치료하고자 하는 노력이 급증하고 있다. 골형성 첨가물(Osteogenic supplement)과 변형 성장 인자 베타계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TGF-beta) subfamily)가 골조직의 형성과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BMP2 또는 BMP4 등을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배양할 경우 조골세포로의 분화 유도가 증가됨이 보고되고 있다. 임상적으로 우수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물질을 확보하기 위해 골세포 분화 유도에 관여하는 인자 및 작용기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들의 활성을 조절하는 물질을 발굴하여 분화 유도 기술에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대사에 영향을 비치는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면서 조골세포 분화활성을 유도하고 골다공증 동물모델에서의 골밀도 개선효과를 가지는 물질을 찾기위해 노력한 결과, 지골피추출물이 중간엽줄기세포와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 활성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지골피추출물의 어떠한 화합물이 이러한 기능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선행기술 문헌]
등록특허 제 10-1451754호
공개특허 제 10-2015-0016712호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 기능을 가지는 지골피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디하이드로파세익 애시드 쓰리프라임-오-베타-디-글루코피라노사이드(Dihydrophaseic acid 3'-O-β-D-glucopyranoside:이하 "D3G"라 칭한다)화합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 기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40527592-pat00001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골피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하이드로파세익 애시드 쓰리프라임-오-베타-디-글루코피라노사이드(Dihydrophaseic acid 3'-O-β-D-glucopyranoside:이하 "D3G"라 칭한다)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골피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하이드로파세익 애시드 쓰리프라임-오-베타-디-글루코피라노사이드(Dihydrophaseic acid 3'-O-β-D-glucopyranoside)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3G는 지골피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유기용매와 수용성용매로 분획하되, 유기용매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와, 수용성용매는 부탄올을 사용하여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활성이 우수한 수용성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1);
상기 1단계에서 수득한 수용성분획물을 물, 메탄올 또는 물과 메탄올의 혼합액을 사용하여 오픈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3~10 종류의 1차 소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2); 및
상기 2단계에서 수득한 1차 소분획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시피를 수행하여 D3G 화합물을 분리 및 정제 하는 단계(3)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D3G는 골재형성에 영향을 끼치는 조골모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면서 조골세포로의 분화 활성을 촉진함으로써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D3G의 화합물은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지골피 추출물에서 조골세포 분화 촉진 효능물질을 분획하는 과정(도 1a)과 최종 동정된 D3G 구조식(도 2b)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은 지골피에서 분획한 D3G의 1H-NMR spectrum(도 2a), 13C-NMR spectrum(도 2b), mass spectrum(도 2c)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D3G를 1 ㎍/ml, 5 ㎍/ml 및 10 ㎍/ml의 농도로 중간엽줄기세포인 C3H10T1/2 세포와 조골모세포인 MC3T3-E1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 증식의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D3G를 1 ㎍/ml, 5 ㎍/ml 및 10 ㎍/ml의 농도로 중간엽줄기세포인 C3H10T1/2 세포와 조골모세포인 MC3T3-E1 세포에 처리하여 조골세포 분화 마커인 ALP(알칼라인 포스파타제, alkaline phosphatase) 활성 측정을 통하여 D3G가 조골세포 분화 촉진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D3G 처리에 의해 분화 유도 MC3T3-E1 세포의 무기질화(mineralization)가 촉진된 것을 Alizarin red S 염색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D3G를 최적 농도인 5 ㎍/ml를 마우스 골수에서 분리한 단핵세포(Monocyte)(도 6a)에 처리하여, 단핵세포가 파골세포로 분화되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파골세포 분화 마커인 TRAP(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활성(도 6b)과 분화된 파골세포의 TRAP 염색(도 6c) 결과 D3G는 파골세포의 분화에는 영향이 없음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조골모세포인 MC3T3-E1 세포에 D3G 처리에 따른 골형성 관련 유전자 마커 Alp(도 7a), Runx2(도 7b), Bglap(도 7c)의 유전자 발현량을 real-time PCR 방법으로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D3G가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8은 생체 내 환경(in vivo)과 가장 비슷한 조건하에서 D3G의 효과를 실험하기 위하여, 조골모세포인 MC3T3-E1 세포와 파골세포로 분화하는 단핵세포를 같이 혼합배양하여 ALP(알칼라인 포스파타제,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 8a)과 TRAP(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활성(도 8b)을 측정한 결과, D3G가 조골세포와 파골세포 모두 분화를 촉진한다는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본 발명은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지골피추출물에서 분획하여 분리 정제한 D3G의 제공 및 이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D3G는 지골피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유기용매와 수용성용매로 분획하되, 유기용매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와, 수용성용매는 부탄올을 사용하여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활성이 우수한 수용성분획물을 수득하고, 상기 1단계에서 수득한 수용성분획물을 물, 메탄올 또는 물과 메탄올의 혼합액을 사용하여 오픈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3~10 종류의 1차 소분획물을 수득하고, 상기 2단계에서 수득한 1차 소분획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시피를 수행하여 D3G 화합물을 분리 및 정제하였다.
지골피에서 분리한 성분인 본 발명의 D3G는 뼈 관련으로 논문이나 특허로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D3G는 구매할 수 없는 화합물이기 때문에, 지골피 추출물의 분획 중에서 D3G가 포함된 분획층을 이용하여 골형성 및 골흡수 in vitro 유효성 평가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골피에서 분획, 추출한 D3G 분획층에 대한 골재형성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구체적으로 골재형성 연구에 주로 사용되는 중간엽줄기세포인 C3H10T1/2 세포주와 조골모세포인 MC3T3-E1 세포주를 대상으로 지골피 추출물을 처리하여 in vitro 실험을 진행하였다. 중간엽줄기세포는 조골세포 또는 지방세포로의 분화능을 지닌 세포이고, 조골모세포는 조골세포로 분화하기 이전 단계의 세포를 말한다. 이러한 두 종류의 세포주를 대상으로 D3G의 세포 증식 효과를 조사하였고, 분화 활성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Alkaline phosphatase(ALP) 활성 정도와 조골세포 분화 효능을 분자 수준에서 확인하기 위해 조골세포 분화 유전자 마커들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파골세포의 분화 활성을 TRAP(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활성측정법으로 조사하였으며, 생체 내 환경(in vivo)과 가장 비슷한 조건하에서 D3G의 효과를 실험하기 위하여 조골모세포인 MC3T3-E1 세포와 파골세포로 분화하는 단핵세포를 같이 혼합배양하여 골재형성에 관여하는 D3G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D3G가 조골세포 분화 마커인 ALP 활성을 촉진시키고 조골세포 분화 유전자 마커들의 발현량을 증가시킨다는 결과와 조골모세포와 단핵세포의 혼합 배양시에 조골세포 및 파골세포 모두 분화를 촉진하는, 즉 골재형성의 촉진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지골피 추출물의 제조
지골피를 구입하여 시험물질로 사용하기 전에 동우당제약(주)의 약재품질팀에서 대한약전에 근거한 정밀검사, 잔류이산화황 분석, 잔류 중금속 측정, 잔료 농약 분석 등을 통해 시험물질로서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지골피 1.0 kg을 깨끗이 세척하여 60에서 열풍건조시키고, 60매쉬 이하로 분쇄한 다음, 물 3.3 와 에탄올 7.7 를 가하고 80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여 지골피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지골피 추출액을 15,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약 70에서 수분함량이 약 30% 이하가 될 때까지 감압농축한 다음 여과한 후 다시 농축공정을 수행하여 지골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지골피 추출물로부터 D3G 분리 동정
지골피 추출물 254g을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로 용매분획 하였다. 각각의 분획층을 감압상태에서 증발시켜 용매별 추출물을 얻었고 각 추출물을 활성검정을 실시하였다. 활성검정결과 물층에서 활성이 좋게 나와서 물층을 Daion HP-20을 이용하여 open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물, 35%메탄올수용액, 70%메탄올수용액, 100% 메탄올로 분취한 총 4개의 소분획물을 얻었고, 활성검정결과 35% 메탄올수용액의 분획물(D2 분획)이 활성이 좋아서 RP-18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총 7개의 분획물을 얻었다. 활성이 있는 D2-3 분획을 분리정제 하여 단일화합물(single compound)를 분리정제 하였다(도 1a). 분리정제된 화합물은 700 MHz NMR (cryo probe)을 이용하여 분석한 1D 와 2D NMR data, LC-MS data등의 분석결과 및 기존 문헌과 비교 하여 구조를 Dihydrophaseic acid 3'-O-β-D-glucopyranoside(D3G)로 동정하였다(도 2a-c).
<시험예 1> 세포의 배양
마우스 중간엽줄기세포인 C3H10T1/2 세포와 조골모세포인 MC3T3-E1 세포를 각각 10% 우태아 혈청, 1mM의 피루브산 나트륨, 100 unit/L 페니실린 및 100 ㎎/L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Basal Medium Eagle(BME) 배지와 α-최소 필수 배지(α-MEM) 배지에서 37, 5% CO2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MC3T3-E1 세포의 경우에는 조골 분화 유도제인 ascorbic acid (50 ㎍/ml)와 β-Glycerophosphate (10 mM)를 첨가하여 3일 동안 분화 유도시킨 후 D3G 분획층을 처리하였다.
상기 실시예 1,2 에서 획득된 D3G 분획층을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켜 1 ㎍/ml, 5 ㎍/ml, 10 ㎍/ml의 3 종류의 농도군으로 C3H10T1/2 세포 및 MC3T3-E1 세포에 각각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대조군으로 D3G 분획층을 처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배양한 세포를 사용하였다.
파골세포는 6주령 마우스 골수로 부터의 파골세포의 근원세포인 프라이머리 단핵세포(primary monocyte)를 분리 배양하였다. 마우스 조혈모세포에서 분리한 파골세포는 FACS(도 6a)를 통한 마우스 골수로부터의 분리 단핵세포(primary monocyte) 확인 후(단핵세포 positive 마커 항체: CD11b) 실험을 하였다. 분리된 마우스 단핵세포는 파골 분화 유도제인 30 ng/ml M-CSF 와50 ng/ml LANKL을 첨가하여 3일 동안 분화를 유도시킨 후 D3G 분획층을 처리하였다.
<시험예 2> 세포 증식 분석(cell proliferation assay)
세포 증식 분석은 수용성 Tetrazolium salt를 이용한 EZ-Cytox Enhanced Cell Viability Assay Kit 제품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C3H10T1/2 세포 및 MC3T3-E1 세포(3×103 cells/well)를 96 well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5% CO2가 공급되는 37℃ 조건으로 성장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 후, 3가지의 농도(1 ㎍/ml, 5 ㎍/ml, 10 ㎍/ml)의 지골피 추출물을 세포에 처리하고, 2일 동안 배양하였다. Tetrazolium salt를 각각의 배양세포 및 샘플에 처리하고 37℃에서 2시간 배양하였다. 흡광도는 450 nm에서 측정하였으며, 참고 파장으로 655 nm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통계 분석은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각각의 추출물 처리 실험군에 대해 Student T-test를 시행하였으며, 유의 수준에 따라, *p<0.05 로 표기하였다.
도 3에서 보듯이, D3G 분획층의 농도별 처리 시에 중간엽줄기세포인 C3H10T1/2 세포와 조골모세포인 MC3T3-E1 세포의 증식이 다양한 농도에서 세포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C3H10T1/2 세포와 분화 유도된 MC3T3-E1 세포에서의 D3G 분획층에 대한 세포 증식을 분석한 결과, 실험에 사용한 2종의 세포주 모두에서 D3G 분획층이 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결과를 보여 주고 있으며, 특히 최적 농도인 5 ㎍/mL의 D3G 처리 시 세포 증식 촉진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험예 3> ALP 활성분석
세포의 ALP 활성을 3 종류의 농도(1 ㎍/ml, 5 ㎍/ml, 10 ㎍/ml)의 D3G을 처리한 실험군 및 대조군을 48시간 동안 배양 후 측정하였다. ALP 활성은 ALP Assay Kit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구체적으로, 생리식염수로 세포를 세척한 후, 세포 용해제를 이용하여 용해된 세포에 ALP의 기질인 p-니트로페닐 포스페이트를 처리하여 37℃에서 1시간 배양하였다. 이어서, 반응 중지 용액인 0.5N NaOH를 첨가한 후 405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C3H10T1/2 세포와 분화 유도된 MC3T3-E1 세포에서의 지골피 추출물에 대한 세포의 ALP 활성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통계 분석은 Student T-test를 시행하였으며, 유의 수준에 따라, *p<0.05로 표기하였다.
도 4에서 보듯이, 중간엽줄기세포인 C3H10T1/2 세포와 조골모세포인 MC3T3-E1 세포는 D3G처리 시 5 ㎍/mL 처리군에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는 ALP 활성을 증가 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실험에 사용한 2종의 세포주 모두에서 D3G처리 시 세포의 ALP 활성을 증진 시키는 결과를 보여 주고 있으며, 특히 지골피 추출물 5 ㎍/ml 농도군에서 세포 ALP 활성 증진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험예 4> 무기질화 작용 분석
세포의 무기질화작용(mineralization) 분석은 5 ㎍/ml의 D3G을 처리한 실험군 및 대조군을 3주 동안 배양 후 측정하였다. 무기질작용 분석은 Alizarlin red S 염색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5에서 보듯이, 조골모세포인 MC3T3-E1 세포는 D3G처리 시 5 ㎍/mL 처리군에서 무기질작용이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실험에 D3G처리 시 조골모세포인 MC3T3-E1 세포주에서 무기질화작용을 증진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시험예 5> 파골세포 분화
파골세포는 조혈모세포로부터 유래 되며 노화된 뼈를 파괴하는 골흡수를 담당하는데, 조골세포에 의한 골형성과 파골세포에 의한 골흡수의 균형 있는 작용을 통하여 골재형성(bone remodeling)을 유지하게 된다. 마우스의 대퇴부에서 조혈모세포를 추출하여 배양한 단핵세포에 30 ng/mL M-CSF와 50 ng/mL RANKL를 함께 처리하여 5일간 배양 후 파골세포 분화 마커인 TRAP 활성을 측정하였다.
생리식염수로 세포를 세척한 후, Acid-Phosphatase Kit를 이용하여 TRAP 활성을 405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염색을 하여 현미경을 통해 파골세포를 관찰하였다.
도 6a에서 보듯이, 마우스 대퇴부에서 분리한 조혈모세포는 파골세포의 모체인 단핵세포(Monocyte)를 잘 분리하였다.
도 6b, 6c에서 보듯이, 분리된 단핵세포는 파골세포 유도제를 통해 분화하였지만 D3G 처리군과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실험에 D3G처리 시 파골세포 분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왔다.
<시험예 6> 조골세포 분화 유전자 마커 발현양 분석
골재형성 관련 유전자 마커 중 조골세포 분화 유전자 마커인 Alp, Runx2, Bglap(Osteocalcine)의 mRNA의 발현량 변화를 정량적 역전사-PCR(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세포를 수확한 후 Trizol을 이용하여 total RNA를 분리하였고, genomic DNA를 제거하기 위해 DNase I을 상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EDTA를 처리하여 DNase I을 불활성화하였다.
이어서, oligo dT 프라이머를 시발체로 하여 역전사 반응을 유도하여 cDNA를 합성한 후, 각 유전자의 서열 특이적 프라이머와 SYBR Green을 사용하여 real-time PCR을 수행하였다. 발현양에 대한 분석은 Gapdh 유전자를 control로 한 대상 유전자의 상대 정량법을 사용하였다. 조골세포 및 파골세포 분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 유전자 마커의 발현양 확인을 위한 유전자 특이적 프라이머 서열 정보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종류 유전자 서열이름 서열 정보 (5-> 3)
Control Gapdh Gapdh-F TGA CCA CAG TCC ATG CCA TC (서열번호 1)
Gapdh-R GAC GGA CAC ATT GGG GGT AG(서열번호 2)
조골세포 분화
유전자 마커
Alp Alp-F TCC CAC GTT TTC ACA TTC GG (서열번호 3)
Alp-R CCC GTT ACC ATA TAG GAT GGC C (서열번호 4)
Runx2 Runx2-F TAA AGT GAC AGT GGA CGG TCC C (서열번호 5)
Runx2-R TGC GCC CTA AAT CAC TGA GG (서열번호 6)
Bglap
(Osteocalcin)
Bglap-F TAG TGA ACA GAC TCC GGC GCT A (서열번호 7)
Bglap-R TGT AGG CGG TCT TCA AGC CAT (서열번호 8)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분화 유도된 MC3T3-E1 세포에서의 D3G에 대한 골재형성 관련 3종의 유전자 마커 Alp, Runx2, Bglap의 발현양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도 7a, 7b, 7c에 나타내었다. 통계 분석은 Student T-test를 시행하였으며, 유의 수준에 따라, *p<0.05로 표기하였다. D3G의 처리 농도는 세포 증식과 ALP 활성 시험에서 가장 효과가 좋았던 5 ㎍/ml의 농도로 실험하였다. 도 7a, 7b, 7c에서 보듯이, MC3T3-E1 세포주에서 D3G 처리한 3종의 유전자 마커 Alp, Runx2, Bglap의 발현양이 모두 증가되었다.
<시험예 7> 조골세포와 파골세포의 혼합배양
조골세포와 파골세포에 의한 골 형성과 골 흡수의 균형 있는 작용을 통하여 보다 더 in vivo 조건에 가까운 상태에서 골의 재형성을 유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조골모세포인 MC3T3-E1(2×104 cells/well)와 마우스의 대퇴부에서 조혈모세포를 추출하여 배양한 단핵세포(4×104 cells/well)의 혼합배양을 시행하였다.
조골세포와 파골세포의 혼합배양 상태에서 조골 분화 유도제인 ascorbic acid(50 ㎍/ml)와 β-Glycerophosphate(10 mM)를 첨가하여 3일 동안 분화 유도시킨 후 D3G 분획층을 처리하였다. 혼합배양액에 D3G 분획층(5 ㎍/mL)을 처리한 후 조골세포 분화 마커인 ALP 활성과 파골세포 분화 마커인 TRAP 활성을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Student T-test를 시행하였으며, 유의 수준에 따라, *p<0.05와 **p<0.01로 표기하였다.
도 8a와 8b에서 보듯이, 혼합배양 세포는 D3G처리 시 ALP와 TRAP 활성을 모두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혼합배양에서 조골세포 분화와 파골세포 분화 양쪽 모두 현저한 증가를 나타냈다. 실험 결과를 종합하면, D3G가 뼈의 교체율(turn over) 즉 골재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D3G는 골재형성 촉진에 영향을 미치는 조골모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면서 조골세포 분화 활성을 유도하고, 조골모세포와 단핵세포의 혼합배양에서는 조골세포뿐만 아니라 파골세포 분화까지 유도함으로써 골재형성의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D3G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제제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10> DONG WOO DANG CO., LTD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Composition containing Dihydrophaseic acid 3'-O-b-D-glucopyranoside isolated from lycium root bark extract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130> PA00445 <160> 8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F <400> 1 tgaccacagt ccatgccatc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R <400> 2 gacggacaca ttgggggtag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lp-F <400> 3 tcccacgttt tcacattcgg 20 <210> 4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lp-R <400> 4 cccgttacca tataggatgg cc 22 <210> 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unx2-F <400> 5 taaagtgaca gtggacggtc cc 22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unx2-R <400> 6 tgcgccctaa atcactgagg 20 <210> 7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glap-F <400> 7 tagtgaacag actccggcgc ta 22 <210> 8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glap-R <400> 8 cccgttacca tataggatgg cc 22

Claims (6)

  1. 지골피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하이드로파세익 애시드 쓰리프라임-오-베타-디-글루코피라노사이드(Dihydrophaseic acid 3'-O-β-D-glucopyranoside:D3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7024573025-pat00002

  2. 지골피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제 1 항에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하이드로파세익 애시드 쓰리프라임-오-베타-디-글루코피라노사이드(Dihydrophaseic acid 3'-O-β-D-glucopyranoside:D3G)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하이드로파세익 애시드 쓰리프라임-오-베타-디-글루코피라노사이드(Dihydrophaseic acid 3'-O-β-D-glucopyranoside:D3G)는 지골피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유기용매와 수용성용매로 분획하여,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활성이 우수한 수용성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1);
    상기 1단계에서 수득한 수용성분획물을 물, 메탄올 또는 물과 메탄올의 혼합액을 사용하여 오픈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3~10 종류의 1차 소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2); 및
    상기 2단계에서 수득한 1차 소분획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D3G 화합물을 분리 및 정제 하는 단계(3)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하이드로파세익 애시드 쓰리프라임-오-베타-디-글루코피라노사이드(Dihydrophaseic acid 3'-O-β-D-glucopyranoside:D3G)는 지골피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유기용매와 수용성용매로 분획하여,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활성이 우수한 수용성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1);
    상기 1단계에서 수득한 수용성분획물을 물, 메탄올 또는 물과 메탄올의 혼합액을 사용하여 오픈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3~10 종류의 1차 소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2); 및
    상기 2단계에서 수득한 1차 소분획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D3G 화합물을 분리 및 정제 하는 단계(3)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수용성용매는 부탄올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수용성용매는 부탄올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150058639A 2015-04-27 2015-04-27 지골피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디하이드로파세익 애시드 쓰리프라임-오-베타-디-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59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639A KR101759725B1 (ko) 2015-04-27 2015-04-27 지골피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디하이드로파세익 애시드 쓰리프라임-오-베타-디-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15/569,897 US11207338B2 (en) 2015-04-27 2016-03-02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steoporosis, comprising dihydrophaseic acid 3′-O-β-D-glucopyranoside isolated from lycium root bark extracts
PCT/KR2016/002063 WO2016175441A1 (ko) 2015-04-27 2016-03-02 지골피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디하이드로파세익 애시드 쓰리프라임-오-베타-디-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639A KR101759725B1 (ko) 2015-04-27 2015-04-27 지골피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디하이드로파세익 애시드 쓰리프라임-오-베타-디-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852A KR20160127852A (ko) 2016-11-07
KR101759725B1 true KR101759725B1 (ko) 2017-08-01

Family

ID=57198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639A KR101759725B1 (ko) 2015-04-27 2015-04-27 지골피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디하이드로파세익 애시드 쓰리프라임-오-베타-디-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07338B2 (ko)
KR (1) KR101759725B1 (ko)
WO (1) WO20161754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07338B2 (en) 2015-04-27 2021-12-28 Dong Woo Dang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steoporosis, comprising dihydrophaseic acid 3′-O-β-D-glucopyranoside isolated from lycium root bark extrac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A41052A (fr) * 2014-10-09 2017-08-15 Celgene Corp Traitement d'une maladie cardiovasculaire à l'aide de pièges de ligands d'actrii
CN108456237A (zh) * 2018-02-12 2018-08-28 南方医科大学 二氢红花菜豆酸葡萄糖苷的异构体
KR102156540B1 (ko) * 2018-04-11 2020-09-1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구꼬아민 a 및 구꼬아민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격근 위축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13181195B (zh) * 2021-04-07 2023-02-07 中山大学 葡萄糖多酚酸酯类衍生物在制备异亮氨酰tRNA合成酶抑制剂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544B1 (ko) * 2003-08-21 2005-11-17 김은철 우골과 우육을 주원료로 한 콜레스테롤이 저감된건강식품의 제조방법
CN103263572B (zh) * 2013-05-31 2014-07-02 李伟丽 一种治疗骨质疏松症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451754B1 (ko) 2013-08-05 2014-10-16 동우당제약(주) 지골피와 속단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대사 질환 예방 및 골 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524230B1 (ko) * 2013-08-05 2015-05-29 동우당제약(주) 지골피 에탄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대사 질환 예방 및 골 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576352B1 (ko) * 2014-02-18 2015-12-09 한국콜마주식회사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경구투여 조성물
KR101759725B1 (ko) 2015-04-27 2017-08-01 동우당제약(주) 지골피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디하이드로파세익 애시드 쓰리프라임-오-베타-디-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ull. Korean Chem. 32(11), 4083-4085, 2011.
Bull. Korean Chem. 32(12), 4447-4449, 201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07338B2 (en) 2015-04-27 2021-12-28 Dong Woo Dang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steoporosis, comprising dihydrophaseic acid 3′-O-β-D-glucopyranoside isolated from lycium root bark extra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14471A1 (en) 2018-08-02
WO2016175441A1 (ko) 2016-11-03
US11207338B2 (en) 2021-12-28
KR20160127852A (ko) 2016-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725B1 (ko) 지골피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디하이드로파세익 애시드 쓰리프라임-오-베타-디-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ng et al. Quercetin stimulates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 differentiation through an estrogen receptor-mediated pathway
Gu et al. Ginkgo biloba extract promotes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human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in a pathway involving Wnt/β-catenin signaling
Liu et al. Effect of simvastatin on the osteogenetic behavior of alveolar osteoblasts and periodontal ligament cells
Ying et al. Myricetin enhances osteogenic differentiation through the activation of canonical Wnt/β-catenin signaling in human bone marrow stromal cells
Zhang et al. Parthenolide promotes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s through the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 in inflammatory environments
Peng et al. Antiosteoporotic activity of Dioscorea alata L. cv. phyto through driving mesenchymal stem cells differentiation for bone formation
Dey et al. Symphytum officinale augments osteogenesis in human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in vitro as they differentiate into osteoblasts
Oh et al. Curcumin inhibits osteoclastogenesis by decreasing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ligand (RANKL) in bone marrow stromal cells
Chang et al. Piceatannol stimulates osteoblast differentiation that may be mediated by increased bone morphogenetic protein-2 production
Kushwaha et al. Azadirachta indica triterpenoids promote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mineralization in vitro and in vivo
Lee et al. Tectorigenin promotes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in vivo bone healing, but suppresses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in vivo bone resorption
Jin et al. Role of skeletal muscle satellite cells in the repair of osteoporotic fractures mediated by β‐catenin
Kim et al. Saurolactam inhibits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stimulates apoptosis of mature osteoclasts
Balwani et al. 2-Methyl-pyran-4-one-3-O-β-D-glucopyranoside isolated from leaves of Punica granatum inhibits the TNFα-induced cell adhesion molecules expression by blocking nuclear transcription factor-κB (NF-κB)
Cepeda et al. Beneficial role of the phytoestrogen genistein on vascular calcification
Wu et al. Coumestrol promotes proliferation and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in rat bone marrow stromal cells
Shim et al. Alpinia officinarum stimulates osteoblast mineralization and inhibits osteoclast differentiation
KR100991857B1 (ko) 견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약학 조성물
Caballé‐Serrano et al. Conditioned medium from fresh and demineralized bone enhances osteoclastogenesis in murine bone marrow cultures
Seo et al. Inhibitory effect of α-amyrin acetate isolated from Fraxinus rhynchophylla on Th17 polarization
JP7089266B2 (ja) 骨代謝調整剤
KR102400226B1 (ko) 골 형성 촉진용 조성물
Kim et al. Licochalcone A inhibits the formation and bone resorptive activity of osteoclasts
KR101712927B1 (ko) 오랍텐 유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아세포분화촉진제, 골형성촉진용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