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703B1 -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703B1
KR101759703B1 KR1020100101518A KR20100101518A KR101759703B1 KR 101759703 B1 KR101759703 B1 KR 101759703B1 KR 1020100101518 A KR1020100101518 A KR 1020100101518A KR 20100101518 A KR20100101518 A KR 20100101518A KR 101759703 B1 KR101759703 B1 KR 101759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cation
user terminal
sess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0021A (ko
Inventor
이규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1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703B1/ko
Publication of KR20120040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이종망 환경을 구성하는 네트워크별 각각의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서버; 이종망 연결을 위한 멀티모드를 지원하며, 위치 측위가 불가할 경우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Neighbor)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이웃정보를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세션을 통해 수신되는 위치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정보저장서버로부터 상기 이웃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위치추정서버를 포함함으로써, 이종망 환경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수득하여 각각의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역산함으로써 효과적인 위치 추정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ESTIMATION BASED ON HETEROGENEOUS NETWORK}
본 발명은 단말기 위치 추정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종망 환경에서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에 기반하여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현재 접근 가능한 다수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득하고, 각각의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이종망 환경에서의 위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사용자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위치추정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업자는 다수의 무선 기술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국내의 경우 주요 사업자는 WCDMA, CDMA, WiBro 및 최근 근거리 무선 네트웍인 WLAN(WiFi) 기술까지 도입하여 망을 구축 서비스하고 있다.
나아가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해 단말에서부터 다양한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의 한 부분으로 위치기반 서비스-LBS(Location Based Service)의 확산이 일어나고 있다.
이에 사업자 및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위치는 크게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기지국 기반, 단말기가 내장하고 있는 GPS 기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근 WLAN의 확산에 따라 해당 망의 정보를 기준으로 망과의 연동을 통해 고객이 위치정보를 수득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 및 서비스는 좀 더 정밀한 위치 정보가 요구되게 되고, 현재 대중적이며 가장 정확한 위치 정보로 단말에 내장된 GPS 정보를 들 수 있다.
그러나, GPS는 위성 신호를 바탕으로 위치 추정을 하기 때문에 실내 등 위성과의 LOS(Line Of Sight)가 보장되지 않는 곳에서는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단일 네트워크 상의 기지국 정보만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정하는 경우, 기지국의 커버리지(Coverage)만큼의 오차율을 가지게 되어 실질적으로 세밀한 서비스의 제공이 불가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사용자단말기가 위치 측위가 불가할 경우 이종망 연결을 위한 멀티모드 지원을 통해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Neighbor)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수집된 이웃정보를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요청하면, 이를 수신한 위치추정서버가 상기 형성된 세션을 통해 수신되는 위치정보 요청에 따라 정보저장서버로부터 상기 이웃정보에 대응하는 네트워크별 기지국장치에 대한 각각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에 기반하여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현재 접근 가능한 다수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득하고, 각각의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지정된 프로토콜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위치추정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형성하고, 설정조건에 따라 이종망 연결을 위한 멀티모드 지원을 통해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Neighbor)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수집된 이웃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위치추정서버에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위치추정서버로부터 상기 이웃정보를 기반으로 추정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에 기반하여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현재 접근 가능한 다수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득하고, 각각의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지정된 프로토콜을 통해 이종망 연결을 위한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사용자단말기와의 세션을 형성하며, 상기 형성된 세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Neighbor)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이웃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추정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에 기반하여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현재 접근 가능한 다수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득하고, 각각의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이종망 환경을 구성하는 네트워크별 각각의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서버; 이종망 연결을 위한 멀티모드를 지원하며, 위치 측위가 불가할 경우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Neighbor)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이웃정보를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세션을 통해 수신되는 위치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정보저장서버로부터 상기 이웃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위치추정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사용자단말기가 제공되며: 이 단말기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위치추정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형성하는 서버접속부; 설정조건에 따라 이종망 연결을 위한 멀티모드 지원을 통해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Neighbor)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이웃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위치추정서버에 위치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서버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접속부는, DM(Diagnostic Monitoring)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위치추정서버와 세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수집부는, 위치 측위가 불가할 경우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상기 이웃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연동부는, 상기 위치추정서버로부터 상기 이웃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추정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위치추정서버가 제공되며: 이 서버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통해 이종망 연결을 위한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사용자단말기와의 세션을 형성하는 단말접속부; 상기 형성된 세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Neighbor)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말연동부; 및 상기 이웃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위치추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접속부는, DM(Diagnostic Monitoring)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세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추정부는, 이종망 환경을 구성하는 네트워크별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서버로부터 상기 이웃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사용자단말기가 위치추정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형성하는 세션형성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위치 측위가 불가할 경우 이종망 연결을 위한 멀티모드 지원을 통해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Neighbor)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단계;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수집된 이웃정보를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위치정보요청단계; 상기 위치추정서버가 상기 형성된 세션을 통해 수신되는 위치정보 요청에 따라 정보저장서버로부터 상기 이웃정보에 대응하는 네트워크별 기지국장치에 대한 각각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집단계; 및 상기 위치추정서버가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위치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션형성단계는, DM(Diagnostic Monitoring)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위치추정서버와 세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지정된 프로토콜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위치추정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형성하는 서버접속단계; 설정조건에 따라 이종망 연결을 위한 멀티모드 지원을 통해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Neighbor)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단계; 상기 수집된 이웃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위치추정서버에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위치정보요청단계; 및 상기 위치추정서버로부터 상기 이웃정보를 기반으로 추정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접속단계는, DM(Diagnostic Monitoring)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위치추정서버와 세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수집단계는, 위치 측위가 불가할 경우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상기 이웃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정보수신단계는, 상기 위치추정서버로부터 상기 이웃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추정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지정된 프로토콜을 통해 이종망 연결을 위한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사용자단말기와의 세션을 형성하는 단말접속단계; 상기 형성된 세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Neighbor)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단계; 상기 이웃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여 위치추정단계; 및 상기 추정된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위치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접속단계는, DM(Diagnostic Monitoring)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세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추정단계는, 이종망 환경을 구성하는 네트워크별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서버로부터 상기 이웃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단말기 자체의 위치 측위가 불가할 경우,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에 기반하여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현재 접근(Access) 가능한 다수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득하고, 각각의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역산함으로써 효과적인 위치 추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정서버의 개력적인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이종망 연결을 위한 멀티모드를 지원을 통해 이웃(Neighbor)정보를 수집하여 전달하는 사용자단말기(100),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이웃정보를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추정하는 위치추정서버(200), 및 이종망 환경을 구성하는 네트워크별 각각의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서버(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이종망(Heterogeneous N/W, Multi Radio Access Technology(RAT))은 각 사업자가 서비스하는, 혹은 다수의 사업자가 보유한 N/W의 연동을 통해 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대상이 되는 모든 또는 일부의 무선망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WCDMA, CDMA, WiBro 및 최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인 WLAN(WiFi) 등이 연동된 환경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00)는 상술한 이종망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멀티모드 즉, 이종망 연결을 지원하며, 사용자단말기(100)는 전원 종료를 제외한 서비스 사용 및 대기 상태에서 주변 무선망의 기지국(AP) 정보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이종망 연결을 위한 멀티모드를 지원하며,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Neighbor)정보를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기(100)는 멀티모드 지원을 통해 이종망 환경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아울러, 사용자단말기(100)는 예컨대,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 기술 기반인 DM(Diagnostic Monitoring)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위치추정서버(200)와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수립한다.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단말기(100)는 예컨대, GPS를 이용한 위치 추정 시 실내 등 위성과의 LOS(Line Of Sight)가 보장되지 않는 곳에 위치하는 등 단말기 자체의 위치 측위 불가할 경우,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Neighbor)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이웃정보를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상기 수집되는 이웃정보에는 예컨대, 사용자단말기(100)가 현재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의 기지국장치(AP) 식별정보, 신호세기, 및 현재시간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위치추정서버(200)는 사용자단말기(100)와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세션을 통해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이웃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요청에 따라 사용자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추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추정서버(200)는 예컨대,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 기술 기반인 DM(Diagnostic Monitoring)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100)와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수립한다. 이를 기반으로, 위치추정서버(200)는 상기 형성된 세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수집된 이웃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한다. 또한, 위치추정서버(200)는 상기 이웃정보에 포함된 예컨대 네트워크의 기지국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별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정보저장서버(30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단말기(100)에 근접한 복수의 기지국장치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정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단말기(100)에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사용자단말기(100)는 위치추정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형성하는 서버접속부(110), 이웃(Neighbor)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120) 및 상기 수집된 이웃정보를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서버연동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서버접속부(110)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위치추정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접속부(110)는 멀티모드 지원을 통해 이종망 환경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아울러, 서버접속부(110)는 예컨대,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 기술 기반인 DM(Diagnostic Monitoring)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위치추정서버(200)와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수립한다.
상기 정보수집부(120)는 멀티모드 지원을 통해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Neighbor)정보를 수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수집부(120)는 GPS를 이용한 위치 추정 시 실내 등 위성과의 LOS(Line Of Sight)가 보장되지 않는 곳에 위치하는 등 단말기 자체의 위치 측위 불가할 경우,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Neighbor)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상기 수집되는 이웃정보에는 예컨대, 사용자단말기(100)가 현재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의 기지국장치(AP) 식별정보, 신호세기, 및 현재시간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버연동부(130)는 상기 수집된 이웃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위치추정서버에 위치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연동부(130)는 수집된 이웃정보를 기반으로 위치추정서버(200)에 위치정보를 요청함으로써, 상기 이웃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추정된 위치정보 다시 말해, 사용자단말기(100)에 근접한 복수의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토대로 추정된 사용자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정서버(2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위치추정서버(200)는 사용자단말기(100)와의 세션을 형성하는 단말접속부(210),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이웃(Neighbor)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말연동부(220) 및 정보저장서버(300)와 연동하여 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추정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단말접속부(210)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통해 사용자단말기(100)와의 세션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접속부(210)는 예컨대,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 기술 기반인 DM(Diagnostic Monitoring)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종망 연결을 위한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사용자단말기(100)와의 세션을 형성한다.
상기 단말연동부(220)는 상기 형성된 세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연동부(220)는 상기 형성된 세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한다. 여기서, 이웃정보에는 예컨대, 사용자단말기(100)가 현재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의 기지국장치(AP) 식별정보, 신호세기, 및 현재시간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위치추정부(230)는 상기 이웃정보에 대응하는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추정부(230)는 상기 이웃정보에 포함된 예컨대 네트워크의 기지국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별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정보저장서버(30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단말기(100)에 근접한 복수의 기지국장치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정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단말기(100)에 제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시스템에 따르면, 단말기 자체에서 위치 측위가 불가할 경우,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에 기반하여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현재 접근(Access) 가능한 다수의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정보를 수득하여 각각의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100)의 위치를 역산함으로써 효과적인 위치 추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단말기(100)가 이종망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다(S110).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단말기(100)는 멀티모드 지원을 통해 이종망 환경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단말기(100)가 지정된 프로토콜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위치추정서버(200)와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단말기(100)는 예컨대,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 기술 기반인 DM(Diagnostic Monitoring)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위치추정서버(200)와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수립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단말기(100)가 멀티모드 지원을 통해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Neighbor)정보를 수집한다(S130). 바람직하게는, 정보수집부(120)는 GPS를 이용한 위치 추정 시 실내 등 위성과의 LOS(Line Of Sight)가 보장되지 않는 곳에 위치하는 등 단말기 자체의 위치 측위 불가할 경우,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Neighbor)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상기 수집되는 이웃정보에는 예컨대, 사용자단말기(100)가 현재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의 기지국장치(AP) 식별정보, 신호세기, 및 현재시간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단말기(100)가 위치추정서버(200)에 위치정보를 요청한다(S140).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단말기(100)는 수집된 이웃정보를 기반으로 위치추정서버(200)에 위치정보를 요청한다.
다음으로, 위치추정서버(200)가 상기 이웃정보에 대응하는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정한다(S150-S180).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추정서버(200)는 상기 위치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이웃정보에 포함된 예컨대 네트워크의 기지국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별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정보저장서버(30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정한다.
이후, 위치추정서버(200)가 추정된 위치정보를 사용자단말기(100)에 제공한다(S190). 바람직하게는, 위치추정서버(200)는 사용자단말기(100)에 근접한 복수의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토대로 추정된 사용자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형성된 세션을 통해 사용자단말기(100)에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0)의 구동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지정된 프로토콜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위치추정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형성한다(S210-S220). 바람직하게는, 서버접속부(110)가 멀티모드 지원을 통해 이종망 환경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아울러, 서버접속부(110)는 예컨대,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 기술 기반인 DM(Diagnostic Monitoring)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위치추정서버(200)와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수립한다.
그리고 나서, 멀티모드 지원을 통해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Neighbor)정보를 수집한다(S230-S240). 바람직하게는, 정보수집부(120)가 예컨대, GPS를 이용한 위치 추정 시 실내 등 위성과의 LOS(Line Of Sight)가 보장되지 않는 곳에 위치하는 등 단말기 자체의 위치 측위 불가할 경우,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Neighbor)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수집되는 이웃정보에는 예컨대, 사용자단말기(100)가 현재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의 기지국장치(AP) 식별정보, 신호세기, 및 현재시간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수집된 이웃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위치추정서버에 위치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다(S250-S280). 바람직하게는, 서버연동부(130)가 수집된 이웃정보를 기반으로 위치추정서버(200)에 위치정보를 요청함으로써, 상기 이웃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추정된 위치정보 다시 말해, 사용자단말기(100)에 근접한 복수의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토대로 추정된 사용자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정서버(200)의 구동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지정된 프로토콜을 통해 사용자단말기(100)와의 세션을 형성한다(S310). 바람직하게는, 단말접속부(210)가 예컨대,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 기술 기반인 DM(Diagnostic Monitoring)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100)와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수립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접속부(210)는 예컨대,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 기술 기반인 DM(Diagnostic Monitoring)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종망 연결을 위한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사용자단말기(100)와의 세션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형성된 세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한다(S320-S340). 바람직하게는, 단말연동부(220)가 상기 형성된 세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한다. 여기서, 이웃정보에는 예컨대, 사용자단말기(100)가 현재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의 기지국장치(AP) 식별정보, 신호세기, 및 현재시간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웃정보에 대응하는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한다(S350-S390). 바람직하게는, 위치추정부(230)가 상기 이웃정보에 포함된 예컨대 네트워크의 기지국장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별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정보저장서버(30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단말기(100)에 근접한 복수의 기지국장치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정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단말기(100)에 제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방법에 따르면, 단말기 자체에서 위치 측위가 불가할 경우,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에 기반하여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현재 접근(Access) 가능한 다수의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정보를 수득하여 각각의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사용자단말기(100)의 위치를 역산함으로써 효과적인 위치 추정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에 기반하여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현재 접근(Access) 가능한 다수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득하고, 각각의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단말기의 현재위치를 추정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사용자단말기
110: 서버접속부 120: 정보수집부
130: 서버연동부
200: 위치추정서버
210: 단말접속부 220: 단말연동부
230: 위치추정부
300: 정보저장서버

Claims (17)

  1. 삭제
  2. 지정된 프로토콜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위치추정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형성하는 서버접속부;
    상기 세션 형성 완료 후 위치 측위가 불가할 경우, 설정조건에 따라 이종망 연결을 위한 멀티모드 지원을 통해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하고, 상기 위치추정서버와의 세션 형성에 사용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Neighbor)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 및
    상기 형성된 세션을 통해 상기 위치추정서버로, 상기 수집된 이웃정보를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서버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접속부는,
    DM(Diagnostic Monitoring)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위치추정서버와 세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부는,
    위치 측위가 불가할 경우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상기 이웃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연동부는,
    상기 위치추정서버로부터 상기 이웃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추정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기.
  6. 지정된 프로토콜을 통해 이종망 연결을 위한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사용자단말기와의 세션을 형성하는 단말접속부;
    상기 세션 형성 완료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위치 측위가 불가하여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하고 상기 세션 형성에 사용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Neighbor)정보가 수집되어 위치정보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형성된 세션을 통해 상기 이웃(Neighbor)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말연동부; 및
    상기 이웃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위치추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정서버.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접속부는,
    DM(Diagnostic Monitoring)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세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정서버.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추정부는,
    이종망 환경을 구성하는 네트워크별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서버로부터 상기 이웃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정서버.
  9. 삭제
  10. 삭제
  11. 지정된 프로토콜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위치추정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세션을 형성하는 서버접속단계;
    상기 세션 형성 완료 후 위치 측위가 불가할 경우, 설정조건에 따라 이종망 연결을 위한 멀티모드 지원을 통해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하고, 상기 위치추정서버와의 세션 형성에 사용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Neighbor)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단계;
    상기 형성된 세션을 통해 상기 위치추정서버로, 상기 수집된 이웃정보를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위치정보요청단계; 및
    상기 위치추정서버로부터 상기 이웃정보를 기반으로 추정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접속단계는,
    DM(Diagnostic Monitoring)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위치추정서버와 세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단계는,
    위치 측위가 불가할 경우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상기 이웃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수신단계는,
    상기 위치추정서버로부터 상기 이웃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추정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방법.
  15. 지정된 프로토콜을 통해 이종망 연결을 위한 멀티모드를 지원하는 사용자단말기와의 세션을 형성하는 단말접속단계;
    상기 세션 형성 완료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위치 측위가 불가하여 현재 위치에서 접속 가능하고 상기 세션 형성에 사용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인 이웃(Neighbor)정보가 수집되어 위치정보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형성된 세션을 통해 상기 이웃(Neighbor)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단계;
    상기 이웃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여 위치추정단계; 및
    상기 추정된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위치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접속단계는,
    DM(Diagnostic Monitoring)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세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추정단계는,
    이종망 환경을 구성하는 네트워크별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서버로부터 상기 이웃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장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방법.
KR1020100101518A 2010-10-18 2010-10-18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59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518A KR101759703B1 (ko) 2010-10-18 2010-10-18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518A KR101759703B1 (ko) 2010-10-18 2010-10-18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986A Division KR101800830B1 (ko) 2017-07-13 2017-07-13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021A KR20120040021A (ko) 2012-04-26
KR101759703B1 true KR101759703B1 (ko) 2017-07-21

Family

ID=46140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518A KR101759703B1 (ko) 2010-10-18 2010-10-18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7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5731A1 (en) * 2007-11-19 2009-05-28 Qualcomm Incorporated Diagnostic monitoring by a wireless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5731A1 (en) * 2007-11-19 2009-05-28 Qualcomm Incorporated Diagnostic monitoring by a wireles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021A (ko)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618B1 (ko) 멀티심 모바일 단말의 위치 파악 방법 및 장치
JP5855278B2 (ja) Lteシステムにおけるドライブ試験の省力化の位置オプション制御方法
CN101461187B (zh) 热点位置数据库系统,在该系统中使用的移动终端以及用于创建、维护和更新该系统的方法
US89719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osition of terminal located in indoor using wireless network
US89588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haracterizing location and/or range based on transmit power
EP2530996A1 (en) Network connection device, method of setting an operation mod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P35705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EP2360959B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a femtocell using measurement reports
WO200808928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historic network information for determining approximate position
CN105009477A (zh) 网络辅助直接设备发现切换
EP2850855B1 (en) Localization configuration to make location information available in user equipment
JP6021368B2 (ja) 位置別アクセスポイントの品質情報を介してネットワークを選択するための無線端末システム、無線通信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接続方法
EP2625666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btaining a service
CN103348723A (zh) 测量不同调制速率发送的数据包往返时间Wi-Fi连接故障诊断
WO2022120538A1 (zh) 确定终端设备位置的方法和设备
CN103458429B (zh) 一种最小化路测方法及网络管理系统及基站
CN102223708B (zh) 定位辅助数据更新的通知方法和系统、以及slp设备
JP2013197729A (ja) 移動通信端末、ローミング管理サーバ、およびローミング網選択方法
KR101417922B1 (ko) 단말기 위치 측위 방법 및 장치
WO2015176292A1 (zh) 高度信息获取方法、用户设备、接入节点及网络侧设备
KR101800830B1 (ko)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59703B1 (ko) 이종망 기반 위치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EP2733980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erminal reporting
TW201002102A (en) System and method for device-assisted measurement of neighboring wireless environment
CN116112494B (zh) 一种基于三网合一的物联网通讯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