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810B1 - 과실수용 유인추 - Google Patents

과실수용 유인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810B1
KR101758810B1 KR1020140181519A KR20140181519A KR101758810B1 KR 101758810 B1 KR101758810 B1 KR 101758810B1 KR 1020140181519 A KR1020140181519 A KR 1020140181519A KR 20140181519 A KR20140181519 A KR 20140181519A KR 101758810 B1 KR101758810 B1 KR 101758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slot
fitting
elastic member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3119A (ko
Inventor
이일준
Original Assignee
이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준 filed Critical 이일준
Priority to KR1020140181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810B1/ko
Publication of KR20160073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05Cultiva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장가지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추로서, 생장가지가 관통하는 가지장착홀과 상기 가지장착홀과 연결되는 제1 측면에서 상기 가지장착홀까지 절개 형성된 입구를 포함하는 제1 가지끼움슬롯과, 제2 측면에서 상기 가지장착홀까지 연결되는 슬라이드 슬롯을 포함하는 추몸체; 상기 슬라이드 슬롯에 삽입되며, 상기 가지가 관통하는 제2 가지끼움슬롯을 포함하는 걸림블록; 상기 슬라이드 슬롯과 상기 걸림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린가지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과실수용 유인추를 제공하여, 가지장착홀에 가지가 장착된 상태에서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블록이 가지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지에 탈부착이 용이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과실수용 유인추{Guide weight for branch of fruit-tree}
본 발명은 과실수용 유인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실이 열리는 생장가지를 지면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하는 과실수용 유인추에 관한 것이다.
사과, 배, 감, 등의 각종 유실수는 과실이 열리지 않는 영양생장가지와 과실이 열리는 생식생장가지가 성장(생장)하게 되는데, 영양생장가지가 주로 하늘을 향하여 뻗어나고, 반면에 생식생장가지는 대체로 땅을 향하여 생장한다.
자연적인 과실 생산 행태는 도장 생장하려는 유실수의 본성에 의해 인위적으로 억제를 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과실이 맺어 지도록 하면서 이를 수확하였으므로 생산량이 적고 품질도 좋지 않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생식생장가지를 제외한 영양생장가지를 가지치기 방법 등에 의해 제거하였고, 근자에는 영양생장가지를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과실이 열리는 생식생장가지로 전환시켜 줌으로서 과실의 수확량을 증대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단순히 끈을 이용하여 영양생장가지를 지면 방향으로 구부려 주는 방법은 주로 메인가지를 억지로 구부러주므로 메인가지가 찢어지면서 고사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땅에는 박아 고정된 걸고리가 바람 등의 충격에 의해 쉽게 뽑혀지면서 영양생장가지를 효과적으로 억류시킬 수 없으므로 생식생장가지로 전환시키는 효율이 현저하게 낮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하늘을 향하여 뻗어 성장하는 영양생장가지의 선단에는 45 ~ 65g 정도의 중량을 갖는 너트(무게추)의 외면을 합성수지로 코팅하고, 이를 철사 또는 끈으로 메달아 영양생장가지가 지면(땅)을 향하도록 전환시켜 주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추를 매달아 주는 방법은, 추의 무게와 크기가 정형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탈부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어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작업비용(인건비)가 많이 소용되는 문제가 있다.
또, 금속(철)재질로 된 추가 산화되면서 녹이 발생하고, 추의 외면을 도금시키더라도 장기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도금이 벗겨지면서 산화되어, 토양을 오염시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추가 바람에 흔들리면서 나뭇가지와 과실을 타격하여 나뭇가지를 부러뜨리거나 과실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고, 추를 매달고 있는 철사 등이 바람과 진동 등에 의해 와해 되거나 끊어지면서 추가 탈락하여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99415호(2009.05.26.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탈부착이 용이하면서도, 다양한 굵기의 생장가지에 설치할 수 있는 과실수용 유인추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생장가지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추로서, 생장가지가 관통하는 가지장착홀과 상기 가지장착홀과 연결되는 제1 측면에서 상기 가지장착홀까지 절개 형성된 입구를 포함하는 제1 가지끼움슬롯과, 제2 측면에서 상기 가지장착홀까지 연결되는 슬라이드 슬롯을 포함하는 추몸체와, 상기 슬라이드 슬롯에 삽입되며, 상기 가지가 관통하는 제2 가지끼움슬롯을 포함하는 걸림블록과, 상기 슬라이드 슬롯과 상기 걸림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린가지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과실수용 유인추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가지끼움슬롯과 상기 슬라이드 슬롯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가지끼움슬롯과 상기 제2 가지끼움슬롯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드 슬롯은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이 지지되는 제1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블록은 상기 재2 가지끼움슬롯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지장착홀을 지나는 가지가 걸리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재2 가지끼움슬롯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이 지지되는 제2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몸체는 상기 제1가지끼움슬롯과 상기 슬라이드슬롯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제1 가지끼움슬롯과 상기 슬라이드 슬롯을 덮는 덮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블록은 상기 슬라이드 슬롯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재2 가지끼움슬롯의 일측면에는 상기 가지장착홀을 지나는 가지가 걸리는 걸림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재2 가지끼움슬롯의 타측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이 지지되는 제1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슬롯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이 지지되는 제2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축에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블록을 조작하는 경우, 식물가지가 끼워지는 가지장착홀이 개방되고, 가지장착홀에 가지가 장착된 상태에서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블록이 가지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지에 탈부착이 용이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추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걸림블록을 누르거나 미는 동작만으로 추몸체를 가지에 장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블록이 추몸체 내부에서 움직이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생장가지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영역이 가변되어 다양한 굵기의 생장가지에 추몸체를 설치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실수용 유인추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과실수용 유인추의 분해도,
도 3은 가지장착홀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가지장착홀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가지장착홀에 생장가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가지장착홀에 생장가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실수용 유인추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서 도시한 과실수용 유인추의 가장장착홀에 생장가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실수용 유인추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과실수용 유인추의 분해도이다. 이러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실수용 유인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실수용 유인추는, 추몸체(100)와 걸림블록(200)과, 탄성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추몸체(100)는 생장가지 즉, 생장가지가 지면을 향하여 자라도록 하중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추몸체(100)는 육면체 블록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한 손으로 쥘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로 설계될 수 있다.
추몸체(100)는 제1 가지끼움슬롯(110)과 슬라이드슬롯(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지끼움슬롯(110)은 생장가지가 끼워지는 곳이다. 제1 가지끼움슬롯(110)은 크게 가지장착홀(111)과 입구(112)로 구분될 수 있다. 가지장착홀(111)은 추몸체(100)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슬라이드슬롯(120)과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지장착홀(111)은 추몸체(100)의 중심부에서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설치하고자 하는 생장가지 중 가장 큰 굵기를 갖는 생장가지보다 용이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입구(112)는 추몸체(100)의 어느 한 측면에서 가지장착홀(111)까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입구(112)는 가지장착홀(111)과 연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입구(112)는 추몸체(100)의 에지(edge)를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생장가지가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한편, 입구(112)와 가지장착홀(111)을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그 형상 및 기능적 특성에 따라 구분되어 설명될 수 있을 뿐, 서로 연결된 하나의 수단이다.
추몸체(100)는 본체(100A)와, 덮개(10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본체(100A)와 덮개(100B)가 결합하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체(100A)와 덮개(100B)가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구성요소로 실시될 수 있다.
슬라이드슬롯(120)은 걸림블록(200)이 위치하는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슬라이드슬롯(120)은 추몸체(100)의 다른 측면에 형성되어 제1 가지끼움슬롯(110)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슬롯(120)은 가지장착홀(111)과 연통되도록 제1 가지끼움슬롯(110)과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슬롯(120)은 제1 지지면(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면(121)은 가지장착홀(111)에 인접하여 슬라이드슬롯(120)을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걸림블록(200)은 슬라이드슬롯(120)에 삽입되어 가지장착홀(111)에 위치한 생장가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서, 이러한 걸림블록(200)은 육면체 블록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블록(200)에는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2 가지끼움슬롯(2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지끼움슬롯(210)은 제1 가지끼움슬롯(110)과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가지끼움슬롯(210)은 제1 가지끼움슬롯(110)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재2 가지끼움슬롯(210)의 일측면에는 가지장착홀(111)을 지나는 생장가지가 걸리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홈(211)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홈(211)은 가지장착홀(111)에 위치한 생장가지를 직접 가압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홈(211)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생장가지의 표면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재2 가지끼움슬롯(210)의 타측면에는 제2 지지면(212)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지지면(212)은 제1 지지면(121)과 대향 배치되어 탄성부재(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300)는 슬라이드 슬롯(120)과 걸림블록(200) 사이에 개재되어 걸림홈(211)에 걸린 생장가지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300)는 압축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도 3은 가지장착홀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가지장착홀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걸림블록(200)이 탄성부재(300)의 복원력에 의해 도면상 위쪽으로 올라간 상태이다. 걸림블록(200)이 올라간 상태에서는 걸림블록(200)의 측면에 의해 제1 가지끼움슬롯(110)이 폐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작업자가 걸림블록(200)을 누르게 되면, 탄성부재(300)의 복원력을 극복하면서 걸림블록(200)이 슬라이드슬롯(120)을 따라 하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걸림블록(200)이 하향 이동하면, 제1 가지끼움슬롯(110)이 개방된다. 이에 작업자는 걸림블록(200)을 누른 상태에서 생장가지(T)를 제1 가지끼움슬롯(110)에 끼워 가지장착홀(111)에 장착시킬 수 있다.
도 5는 가지장착홀에 생장가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가지장착홀에 생장가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생장가지(T)가 가지장착홀(111)에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걸림블록(200)을 놓게 되면, 탄성부재(300)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블록(200)이 슬라이드슬롯(120)을 따라 상향 이동한다. 걸림블록(200)이 상향 이동함에 따라 가지장착홀(111)에 위치한 생장가지(T)에 걸림홈(211)이 삽입되고 생장가지(T)를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추몸체(100)에 생장가지(T)가 설치된 경우,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추몸체(100)의 하중이 생장가지(T)에 작용하기 때문에 생장가지(T)가 지면을 향하여 자라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하늘을 향하여 자라는 영양생장가지를 생식생장가지로 전환시킬 수 있다.
추몸체(100)는 대체로 45g 내지 65g 범위 내에서 다양한 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실수용 유인추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실수용 유인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서 도시한 과실수용 유인추의 가지장착홀에 생장가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실수용 유인추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실수용 유인추와 대부분 동일한 구성을 갖게 되나 걸림블록(200)의 작동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실수용 유인추의 걸림블록(200)은 회동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걸림블록(200)은 슬라이드슬롯(120)에서 회전축(P)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밀게 되면, 탄성부재(300)의 복원력을 극복하면서 걸림블록(200)이 회전축(P)을 따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걸림블록(200)이 회동하면, 제1 가지끼움슬롯(110)이 개방된다. 이에 작업자는 걸림블록(200)을 밀어 놓은 상태에서 생장가지(T)를 제1 가지끼움슬롯(110)에 끼워 가지장착홀(111)에 장착시킬 수 있다. 이후, 작업자가 걸림블록(200)을 놓게 되면, 탄성부재(300)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블록(200)이 슬라이드슬롯(120)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걸림블록(200)이 회동함에 따라 가지장착홀(111)에 위치한 생장가지(T)에 걸림홈(211)이 삽입되고 생장가지(T)를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과실수용 유인추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추몸체
110: 제1 가지끼움슬롯
111: 가지장착홀
112: 입구
120: 슬라이드슬롯
121: 제1 지지면
200: 걸림블록
210: 제2 가지끼움슬롯
211: 걸림홈
212: 제2 지지면
300: 탄성부재

Claims (6)

  1. 생장가지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추로서,
    제1 가지끼움슬롯(110)과 슬라이드 슬롯(120)을 포함하는 추몸체(100);
    제2 가지끼움슬롯(21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지끼움슬롯(110)과 상기 제2 가지기움슬롯(210)이 교차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슬롯(120)에 삽입되는 걸림블록(200);및
    상기 슬라이드 슬롯(120)과 상기 걸림블록(20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지끼움슬롯(110)은 상기 추몸체(100)의 어느 한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슬롯(120)은 상기 추몸체(100)의 다른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지끼움슬롯(210)의 일측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걸림홈(211)을 포함하는 과실수용 유인추.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지끼움슬롯(110)과 상기 슬라이드 슬롯(120)은 수직하게 배치되는 과실수용 유인추.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지끼움슬롯(110)과 상기 제2 가지끼움슬롯(210)은 수직하게 배치되는 과실수용 유인추.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슬롯(120)은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면(121)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블록(200)은 상기 제2 가지끼움슬롯(210)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면(212)을 포함하는 과실수용 유인추.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블록(200)은 상기 슬라이드 슬롯(120)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가지끼움슬롯(210)의 일측면에는 걸림홈(211)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가지끼움슬롯(210)의 타측면에는 상기 탄성부재(300)의 일측이 지지되는 제2 지지면(212)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슬롯(120)에는 상기 탄성부재(300)의 타측이 지지되는 제1 지지면(121)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300)는 상기 회전축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과실수용 유인추.
KR1020140181519A 2014-12-16 2014-12-16 과실수용 유인추 KR101758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519A KR101758810B1 (ko) 2014-12-16 2014-12-16 과실수용 유인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519A KR101758810B1 (ko) 2014-12-16 2014-12-16 과실수용 유인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119A KR20160073119A (ko) 2016-06-24
KR101758810B1 true KR101758810B1 (ko) 2017-07-17

Family

ID=56343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519A KR101758810B1 (ko) 2014-12-16 2014-12-16 과실수용 유인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8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014B1 (ko) * 2017-06-30 2019-03-07 제천시 과수가지 유인클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977Y1 (ko) 2005-06-21 2005-09-15 이승준 유실수의 생식생장가지 전환용 교정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2593A (ko) 2007-08-01 2007-08-21 김태욱 과실수용 가지유인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977Y1 (ko) 2005-06-21 2005-09-15 이승준 유실수의 생식생장가지 전환용 교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119A (ko) 2016-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1861A (en) Combination plant pot and trellis
CN103918487B (zh) 一种樱花嫁接方法
KR101758810B1 (ko) 과실수용 유인추
US20130047506A1 (en) Hanging planter assembly
KR20160144893A (ko) 유실수 나뭇가지의 인위적 결속·지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899415B1 (ko) 과실수용 가지유인추
KR100907788B1 (ko) 과수나무용 가지 유인기
KR20130030414A (ko) 과수 지지 및 유인구
US6862844B1 (en) Plant pot including a removabe base
KR101373944B1 (ko) 과수나무용 가지 유인기
KR101191285B1 (ko) 원예용 접목클립
KR200478386Y1 (ko) 과일 수확기
CN205196518U (zh) 一种苗木固定装置
KR101064579B1 (ko) 과수나무의 가지유인구
KR200459609Y1 (ko) 과수나무용 가지유인구
KR200395977Y1 (ko) 유실수의 생식생장가지 전환용 교정구
KR200447063Y1 (ko) 과실수용 가지유인구
CN107896678A (zh) 一种具有打薄功能的园艺剪
KR200392333Y1 (ko) 유실수의 생식생장가지 전환용 교정구
CN208624248U (zh) 一种树木固定装置
CN202535752U (zh) 果树长剪
CN2925065Y (zh) 花木换盆换土器
KR20170001634U (ko) 과일이나 열매의 낙하방지 기능이 있는 그물망과 그의 고정 장치
US6978574B1 (en) Flower bouquet support
JPH051693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