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112B1 - 휴대용 이벤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이벤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이벤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이벤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112B1
KR101758112B1 KR1020150118810A KR20150118810A KR101758112B1 KR 101758112 B1 KR101758112 B1 KR 101758112B1 KR 1020150118810 A KR1020150118810 A KR 1020150118810A KR 20150118810 A KR20150118810 A KR 20150118810A KR 101758112 B1 KR101758112 B1 KR 101758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vent
content
information
e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3539A (ko
Inventor
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팝
Priority to KR1020150118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112B1/ko
Publication of KR20170023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서트, 클럽, 파티, 스포츠 등에서 참여자가 손목, 어깨 등에 착용하면서 다양한 발광패턴, 문자, 숫자, 이모티콘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 이벤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이벤트장치는, 손목, 팔목이나 어깨 등을 감싸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하우징부재(110)와; 하우징부재(110)에서 외주방향으로 다양한 정보를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재(120)와; 하우징부재(1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재(130)와;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되는 각종 콘텐츠를 제어하는 콘텐츠 제어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이벤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이벤트 시스템{Portable event apparatus and portable ev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이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서트, 클럽, 파티, 스포츠 등에서 참여자가 손목, 어깨 등에 착용하면서 다양한 발광패턴, 문자, 숫자, 이모티콘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 이벤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이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축구, 야구 등의 스포츠에서 플랜카드, 머리띠, 손수건 등의 다양한 응원 용품이 사용된다. 또한, 레저 활동시에도 참여자의 공동체 의식을 고양하고 나아가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모자, 티셔츠 등의 레저 용품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응원 용품 및 레저 용품은 특히 야간 및 밤에는 제대로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고, 또한 어린이 보행 안전 용품은 완전히 빛이 차단된 장소에서는 발광되지 않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346776호에서는 응원 용품으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밴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용신안등록 제20-346776호의 발광밴드는 단순히 투명창에 글자 또는 그림을 새긴 후에 발광다이오드로 표시하기 때문에 단순히 식별력을 증대시키는 용도로만 사용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9025호(등록일: 2008.09.10)
본 발명의 목적은 콘서트, 클럽, 파티, 스포츠 등에 참여, 관람 등의 활동 시 활동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손목, 어깨 등에 착용할 수 있으면서 정보들을 발광패턴, 문자, 숫자, 이모티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 이벤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포츠 경기장, 콘서트 등과 같이 다수의 휴대용 이벤트장치가 존재하는 경우에 이벤트 관리센터에서 통신으로 해당 장소에 따른 다양한 이벤트 내용을 응원문자, 노래가사 등으로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이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이벤트장치와 통신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이벤트장치들을 포함하는 소규모 그룹들이 동일한 내용을 표시하여 동질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이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이벤트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재(130)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전원부재(130)를 내부에 구비하고, 양측 끝단에는 체결부(111)가 구비되며, 체결부(111)의 일측은 상기 전원부재(130) 및 외부장치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USB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하우징부재(110)와; 상기 USB 연결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하우징부재(110)에서 외주방향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재(120)와; 상기 USB 연결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되는 각종 콘텐츠를 제어하는 콘텐츠 제어부재(150)와; 하우징부재(110)에 설치되며 신체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재(160)와; 상기 USB 연결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센서부재에서 측정된 착용자의 신체정보를 기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착용자의 감정을 확인하여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하는 심리상태 관리부재(170)를 포함하되, 콘텐츠 제어부재(150)는, 각각의 휴대용 이벤트장치(100)의 식별정보가 등록되는 식별정보 관리모듈(151)과;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되는 각종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300) 및 이벤트 관리센터(2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받아 등록하여 관리하는 콘텐츠 등록모듈(152)과;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하는 콘텐츠 표시모듈(153);를 포함하고, 심리상태 관리부재(170)는, 착용자의 감정상태에 대응하는 혈당, 맥박,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감정상태 저장부(171)와; 센서부재(160)에서 측정된 혈당, 맥박,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감정정보 확인부(172)와; 감정정보 확인부(172)에서 확인된 센서부재들로부터 출력되는 정보인 센싱값을 감정상태 저장부에 기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대응하는 감정상태를 확인하는 감정상태 확인부(173)와; 감정상태 확인부(173)에서 확인된 사용자의 감정을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하는 감정상태 표시부(174)와; 감정상태 확인부(173)에서 확인된 사용자의 감정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감정상태 제공부(1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부재(110)의 일면에는 콘텐츠에 포함된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1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텐츠는 RGB 색상으로 점멸되는 패턴과, 문자, 숫자, 이모티콘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혈당은 혈당측정센서, 심박상태는 심장박동센서(Pulse Sensor), 온도는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용 이벤트장치(100)는 속도센서에서 일정범위 이내에 일정속도이상으로 다가오는 물체가 감지되면 경고하는 충돌 방지부재(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충돌 방지부재(180)는, 하우징에 장착되어 일정거리 이내에서 이동물체가 다가오는 지의 여부와 속도를 확인하는 이동물체 확인부(181)와; 이동물체 확인부(181)에서 기준 이상의 속도를 갖는 물체가 감지되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충돌 경고부(1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용 이벤트장치(100)는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일정거리 이상 벗어나게 되면 경고하는 이탈방지부재(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탈방지부재(190)는, 근거리 통신으로 일정거리 이내에서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를 감지하는 단말기 감지부(191)와; 단말기 감지부(191)에서 사용자 단말기(300)가 인식되지 않으면 미리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부재(120)에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이탈 경고부(1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이벤트 관리시스템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재(130)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양측 끝단에는 체결부(111)가 구비되고, 체결부(111)의 일측은 상기 전원부재(130)를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전원부재(130) 및 외부장치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USB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하우징부재(110)와, 상기 USB 연결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하우징부재(110)에서 외주방향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재(120)와, 상기 USB 연결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되는 각종 콘텐츠를 제어하는 콘텐츠 제어부재(150)와, 하우징부재(110)에 설치되며 신체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재(160)와, 상기 USB 연결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센서부재에서 측정된 착용자의 신체정보를 기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착용자의 감정을 확인하여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하는 심리상태 관리부재(170)를 포함하는 휴대용 이벤트장치(100); 휴대용 이벤트장치(100)의 통신부재(140)와 통신하면서 휴대용 이벤트장치(100)를 확인하는 이벤트장치 확인모듈(210)과; 이벤트장치에 표시되도록 제공하는 각종 콘텐츠를 입력받는 콘텐츠 입력모듈(220)과; 콘텐츠 입력모듈(220)을 통해서 입력된 콘텐츠를 이벤트장치 확인모듈(210)을 통해 확인된 이벤트장치로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모듈(230)을 포함하는 이벤트 관리센터(200); 및 휴대용 이벤트장치(100)의 통신부재(140)와 통신하면서 휴대용 이벤트장치(100)를 확인하는 제2 이벤트장치 확인모듈(310)과; 휴대용 이벤트장치(100)로 제공하는 각종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제2 콘텐츠 입력모듈(320)과; 제2 콘텐츠 입력모듈(320)을 통해서 입력된 콘텐츠를 확인된 휴대용 이벤트장치(100)로 전송하는 제2 콘텐츠 전송모듈(330)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하되, 콘텐츠 제어부재(150)는, 각각의 휴대용 이벤트장치(100)의 식별정보가 등록되는 식별정보 관리모듈(151)과;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되는 각종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300) 및 이벤트 관리센터(2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받아 등록하여 관리하는 콘텐츠 등록모듈(152)과;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하는 콘텐츠 표시모듈(153);를 포함하고, 심리상태 관리부재(170)는, 착용자의 감정상태에 대응하는 혈당, 맥박,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감정상태 저장부(171)와; 센서부재(160)에서 측정된 혈당, 맥박,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감정정보 확인부(172)와; 감정정보 확인부(172)에서 확인된 센서부재들로부터 출력되는 정보인 센싱값을 감정상태 저장부에 기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대응하는 감정상태를 확인하는 감정상태 확인부(173)와; 감정상태 확인부(173)에서 확인된 사용자의 감정을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하는 감정상태 표시부(174)와; 감정상태 확인부(173)에서 확인된 사용자의 감정을 단말기로 제공하는 감정상태 제공부(1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텐츠 전송모듈(230)은 이벤트장치 확인모듈(210)에 의해서 다수의 이벤트장치가 표시되는 경우에 구역별로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휴대용 이벤트장치는 팔목, 어깨, 목 등에 착용하면서 빛의 발광, 글자, 문자 등을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스포츠, 콘서트의 응원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이벤트 시스템은 스포츠 경기장, 콘서트와 같이 다수의 휴대용 이벤트장치가 존재하는 경우에 이벤트 관리센터에서 통신으로 응원문자, 노래가사 등을 다양한 이벤트 내용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이벤트 시스템은 휴대용 이벤트장치와 통신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규모 그룹들이 동일한 내용을 표시하여 동질감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용 이벤트장치는 착용자의 혈당, 맥박, 온도 등의 신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어 착용자의 심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행사, 즉 이벤트에 참여한 참여자가 해당 이벤트에 대한 응원 등에 의해 감정이 격양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용 이벤트장치의 착용자가 달리기를 하는 경우, 자전거를 타고 이동하는 경우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이벤트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이벤트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이벤트 관리시스템의 이벤트 관리센터에 대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이벤트 관리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휴대용 이벤트장치의 심리상태 관리부재에 대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추가되는 휴대용 이벤트장치의 충돌방지부재에 대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추가되는 휴대용 이벤트장치의 이탈방지부재에 대한 블록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이벤트장치(100)는 하우징부재(110), 디스플레이부재(120), 전원부재(130), 통신부재(140), 콘텐츠 제어부재(15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재(110)는 내부에 메모리 등의 다수의 전자부품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손목, 팔목이나 어깨 등을 감싸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된다.
하우징부재(110)의 양측 끝단에는 체결부(111)가 구비된다. 체결부(111)는 하우징부재(110)의 양측 끝단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한다. 체결부(111)의 일측은 외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USB 연결단자로 형성될 수 있고, 타측은 USB 연결단자가 삽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USB 연결단자는 내부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하우징부재(110)를 체결하는 체결부(111)로 사용되면서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부재(110)의 일면에는 콘텐츠에 포함된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12)가 설치된다. 스피커에는 이어폰이 삽입되어 이어폰을 통해서 음성을 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재(120)는 하우징부재(110)에서 외주방향으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재(120)는 하우징부재(110)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하우징부재(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된 정보가 하우징부재(110)를 투과하여 외부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재(120)는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전원부재(130)는 하우징부재(110)의 내부에 위치하며 디스플레이부재(120)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부재(130)는 착탈식으로 창작되는 전지가 사용되거나 또는 하우징부재(11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전원연결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충전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전원연결부는 USB 연결단자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스마트폰 충전기 등의 다른 종류의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재(120)의 일측에는 충전기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재(130)는 하우징부재(110)의 외면에 설치된 전원스위치(131) 또는 디스플레이부재(120)가 터치스크린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되는 전원메뉴에 의해서 on-off된다.
통신부재(140)는 외부와 통신하면서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수신한다. 통신부재(140)는 블루투스, 비콘(Beacon) 등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수단을 포함한다.
콘텐츠 제어부재(150)는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되는 각종 콘텐츠를 제어한다. 이러한 콘텐츠 제어부재(150)는 식별정보 관리모듈(151), 콘텐츠 등록모듈(152), 콘텐츠 표시모듈(153)을 포함한다.
식별정보 관리모듈(151)은 각각의 휴대용 이벤트장치(100)의 식별정보를 등록받아 관리한다.
콘텐츠 등록모듈(152)은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되는 각종 콘텐츠를 등록받아 관리한다. 이때, 등록된 콘텐츠는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또는 저장되지 않으면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한다. 이때, 콘텐츠는 RGB 색상으로 점멸되는 패턴과, 노래가사, 이름, 문장 등의 문자, 전화번호 등의 숫자, 이모티콘 등을 포함하며, 통신부재(140)를 통해 관리센터 또는 사용자 단말기(300) 등의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콘텐츠 표시모듈(153)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한다. 콘텐츠 표시모듈(153)은 하우징부재(110)의 일측에 장착된 콘텐츠 선택버튼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표시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부재(120)가 터치스크린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되는 콘텐츠 선택메뉴를 통해 선택된 콘텐츠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콘텐츠 표시모듈(153)은 통신부재(140)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받은 콘텐츠 실행신호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표시하거나 또는 외부장치로부터 직접 수신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콘텐츠 표시모듈(153)에 의해서 콘서트, 클럽, 등산, 동호회, 스포츠 경기 등의 이벤트에서 팬들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재(120)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표시하거나 또는 동일한 문구, 문양을 응원 내용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벤트 관리시스템은 휴대용 이벤트장치(100)에 표시되는 각종 콘텐츠를 제공하는 이벤트 관리센터(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관리센터(200)는 이벤트장치 확인모듈(210), 콘텐츠 입력모듈(220), 콘텐츠 전송모듈(230)을 포함한다.
이벤트장치 확인모듈(210)은 휴대용 이벤트장치(100)의 통신부재(140)와 통신하면서 휴대용 이벤트장치(100)를 확인한다. 이러한 이벤트장치 확인모듈(210)은 통신가능한 지역에 위치하는 휴대용 이벤트장치(100)의 식별번호를 확인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이벤트장치 확인모듈(210)은 확인된 휴대용 이벤트장치(100)의 위치도 함께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텐츠 입력모듈(220)은 이벤트장치에 표시되도록 제공하는 각종 콘텐츠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콘텐츠 입력모듈(220)에 의해서 콘서트, 클럽, 스포츠 경기 등의 경우에 이벤트 관리센터(200)에서 즉석으로 응원문구(I love you), 색상, 응원가사, 노래가사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입력모듈(220)은 이벤트장치 확인모듈(210)에 의해서 다수의 이벤트장치가 표시되는 경우에 구역별로 제공되는 콘텐츠를 입력받을 수 있다.
콘텐츠 전송모듈(230)은 콘텐츠 입력모듈(220)을 통해서 입력된 콘텐츠를 이벤트장치 확인모듈(210)을 통해 확인된 이벤트장치로 전송한다. 이때, 콘텐츠 전송모듈(230)은 이벤트장치 확인모듈(210)에 의해서 다수의 이벤트장치가 표시되는 경우에 구역별로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콘텐츠 전송모듈(230)은 구역별로 서로 다른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 관리센터(200)에 의해서 콘서트, 클럽, 스포츠 경기 등과 같은 대규모 인원이 모이는 장소에서 실시간으로 참여자의 동질감을 확인하는 문구, 색상 등이 휴대용 이벤트장치(100)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휴대용 이벤트장치(100)에 표시되는 각종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00)는 제2 이벤트장치 확인모듈(310), 제2 콘텐츠 입력모듈(320), 제2 콘텐츠 전송모듈(330)을 포함하고, 어플리케이션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개인 PC 등을 포함한다.
제2 이벤트장치 확인모듈(310)은 휴대용 이벤트장치(100)의 통신부재(140)와 통신하면서 휴대용 이벤트장치(100)를 확인한다. 이때, 제2 이벤트장치 확인모듈(310)은 이벤트장치의 식별번호를 확인하여 인식할 수도 있다.
제2 콘텐츠 입력모듈(320)은 휴대용 이벤트장치(100)로 제공하는 각종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제2 콘텐츠 입력모듈(320)에 의해서 개인적인 문구, 색상 등을 실시간으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제2 콘텐츠 전송모듈(330)은 제2 콘텐츠 입력모듈(320)을 통해서 입력된 콘텐츠를 확인된 휴대용 이벤트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300)에 의해서 휴대용 이벤트장치(100)에서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자신만의 문구, 색상 등을 신속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의하면 휴대용 이벤트장치(100)는 센서부재(160), 심리상태 관리부재(170)를 더 포함한다.
센서부재(160)는 하우징부재(110)에 설치되며 각종 정보를 센싱한다. 이때 센서부재는 혈당측정센서, 온도센서, 심장박동센서(Pulse Sensor), 근접하는 물체의 속도는 가속도센서 등을 포함한다.
심리상태 관리부재(170)는 착용자의 혈당, 맥박, 온도 등의 신체정보를 측정하고 기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착용자의 감정을 확인하여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한다. 이러한 심리상태 관리부재(170)는 감정상태 저장부(171)와, 감정정보 확인부(172)와, 감정상태 확인부(173)와, 감정상태 표시부(174), 감정상태 제공부(175)를 포함한다. 심리상태 관리부재(170)는 디스플레이부재(120)가 터치스크린인 경우에 터치스크린으로 제공되는 심리상태 관리메뉴를 통해서 작동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작동될 수 있다.
감정상태 저장부(171)는 착용자의 감정상태에 대응하는 혈당, 맥박,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감정상태는 보통, 기쁨, 슬픔, 화남 등으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감정정보 확인부(172)는 센서부재(160)에서 측정된 혈당, 맥박,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예를 들면, 혈당은 혈당측정센서, 심박상태는 심장박동센서(Pulse Sensor), 온도는 온도센서 등에 의해 측정된다.
감정상태 확인부(173)는 감정정보 확인부(172)에서 확인된 센서들의 센싱값을 감정상태 저장부를 통해 등록된 기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대응하는 감정상태를 확인한다.
감정상태 표시부(174)는 감정상태 확인부(173)에서 확인된 사용자의 감정을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한다. 감정상태 표시부는 착용자의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되는 색상, 문구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정상태 제공부(175)는 감정상태 확인부(173)에서 확인된 사용자의 감정을 단말기로 제공한다. 사용자의 감정을 제공받은 단말기는 감정상태를 저장하면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심리상태 관리부재(170)에 의해서 착용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단말기에서 누적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의하면 휴대용 이벤트장치(100)는 충돌 방지부재(180)를 더 포함한다.
충돌 방지부재(180)는 속도센서에서 일정범위 이내에 일정속도이상으로 다가오는 물체가 감지되면 경고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충돌 방지부재(180)는 이동물체 확인부(181)와, 충돌 경고부(182)를 포함한다. 충돌 방지부재(180)는 디스플레이부재(120)가 터치스크린인 경우에 터치스크린으로 제공되는 충돌방지메뉴를 통해서 작동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작동될 수 있다.
이동물체 확인부(181)는 하우징에 장착되어 일정거리 이내에서 자전거, 자동차, 달리는 사람 등의 이동물체가 다가오는 지의 여부와 속도를 확인한다. 이동물체 확인부는 센서부재(160)의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근접하는 물체의 속도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돌 경고부(182)는 이동물체 확인부(181)에서 기준 이상의 속도를 갖는 물체가 감지되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때, 경고 메시지는 음성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진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충돌 방지부재(180)에 의해서 착용자가 달리기를 하는 경우, 이동하는 자전거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의하면 휴대용 이벤트장치(100)는 이탈방지부재(190)를 더 포함한다.
이탈방지부재(190)는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일정거리 이상 벗어나게 되면 경고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이탈방지부재(190)는 단말기 감지부(191)와, 이탈 경고부(192)와, 최종위치 전송부(193)를 포함한다. 이탈방지부재(190)는 디스플레이부재(120)가 터치스크린인 경우에 터치스크린으로 제공되는 이탈방지메뉴를 통해서 작동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작동될 수 있다.
단말기 감지부(191)는 근거리 통신으로 일정거리 이내에서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를 감지한다.
이탈 경고부(192)는 단말기 감지부(191)에서 사용자 단말기(300)가 인식되지 않으면 미리 녹음된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부재(120)에 경고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재(120)에는 연락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300)의 전화번호 등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탈방지부재(190)에 의해서 맹인 또는 알츠하이머 환자 등이 이벤트장치를 착용하는 경우에 이벤트장치가 사용자 단말기(300)와 일정거리 이상 벗어나게 되면 외부인이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되는 전화번호 등을 이용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휴대용 이벤트장치 110 : 하우징부재
120 : 디스플레이부재 130 : 전원부재
140 : 통신부재 150 : 콘텐츠 제어부재
151 : 식별정보 관리모듈 152 : 콘텐츠 등록모듈
153 : 콘텐츠 표시모듈 160 : 센서부재
170 : 심리상태 관리부재 171 : 감정상태 저장부
172 : 감정정보 확인부 173 : 감정상태 확인부
174 : 감정상태 표시부 175 : 감정상태 제공부
180 : 충돌 방지부재 181 : 이동물체 확인부
182 : 충돌 경고부 190 : 이탈방지부재
191 : 단말기 감지부 192 : 이탈 경고부
200 : 이벤트 관리센터 210 : 이벤트장치 확인모듈
220 : 콘텐츠 입력모듈 230 : 콘텐츠 전송모듈
300 : 사용자 단말기 310 : 제2 이벤트장치 확인모듈
320 : 제2 콘텐츠 입력모듈 330 : 제2 콘텐츠 전송모듈

Claims (19)

  1.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재(130)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전원부재(130)를 내부에 구비하고, 양측 끝단에는 체결부(111)가 구비되며, 체결부(111)의 일측은 상기 전원부재(130) 및 외부장치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USB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하우징부재(110)와;
    상기 USB 연결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하우징부재(110)에서 외주방향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재(120)와;
    상기 USB 연결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되는 각종 콘텐츠를 제어하는 콘텐츠 제어부재(150)와;
    하우징부재(110)에 설치되며 신체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재(160)와;
    상기 USB 연결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센서부재에서 측정된 착용자의 신체정보를 기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착용자의 감정을 확인하여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하는 심리상태 관리부재(170)를 포함하되,
    콘텐츠 제어부재(150)는,
    각각의 휴대용 이벤트장치(100)의 식별정보가 등록되는 식별정보 관리모듈(151)과;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되는 각종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300) 및 이벤트 관리센터(2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받아 등록하여 관리하는 콘텐츠 등록모듈(152)과;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하는 콘텐츠 표시모듈(153);를 포함하고,
    심리상태 관리부재(170)는,
    착용자의 감정상태에 대응하는 혈당, 맥박,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감정상태 저장부(171)와;
    센서부재(160)에서 측정된 혈당, 맥박,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감정정보 확인부(172)와;
    감정정보 확인부(172)에서 확인된 센서부재들로부터 출력되는 정보인 센싱값을 감정상태 저장부에 기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대응하는 감정상태를 확인하는 감정상태 확인부(173)와;
    감정상태 확인부(173)에서 확인된 사용자의 감정을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하는 감정상태 표시부(174)와;
    감정상태 확인부(173)에서 확인된 사용자의 감정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감정상태 제공부(1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이벤트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부재(110)의 일면에는 콘텐츠에 포함된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1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이벤트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콘텐츠는 RGB 색상으로 점멸되는 패턴과, 문자, 숫자, 이모티콘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이벤트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혈당은 혈당측정센서, 심박상태는 심장박동센서(Pulse Sensor), 온도는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이벤트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휴대용 이벤트장치(100)는 속도센서에서 일정범위 이내에 일정속도이상으로 다가오는 물체가 감지되면 경고하는 충돌 방지부재(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이벤트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충돌 방지부재(180)는, 하우징에 장착되어 일정거리 이내에서 이동물체가 다가오는 지의 여부와 속도를 확인하는 이동물체 확인부(181)와; 이동물체 확인부(181)에서 기준 이상의 속도를 갖는 물체가 감지되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충돌 경고부(1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이벤트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휴대용 이벤트장치(100)는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일정거리 이상 벗어나게 되면 경고하는 이탈방지부재(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이벤트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이탈방지부재(190)는, 근거리 통신으로 일정거리 이내에서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를 감지하는 단말기 감지부(191)와; 단말기 감지부(191)에서 사용자 단말기(300)가 인식되지 않으면 미리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부재(120)에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이탈 경고부(1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이벤트장치.
  15. 휴대용 이벤트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재(130)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양측 끝단에는 체결부(111)가 구비되고, 체결부(111)의 일측은 상기 전원부재(130)를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전원부재(130) 및 외부장치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USB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하우징부재(110)와, 상기 USB 연결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하우징부재(110)에서 외주방향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재(120)와, 상기 USB 연결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되는 각종 콘텐츠를 제어하는 콘텐츠 제어부재(150)와, 하우징부재(110)에 설치되며 신체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재(160)와, 상기 USB 연결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센서부재에서 측정된 착용자의 신체정보를 기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착용자의 감정을 확인하여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하는 심리상태 관리부재(170)를 포함하는 휴대용 이벤트장치(100);
    휴대용 이벤트장치(100)의 통신부재(140)와 통신하면서 휴대용 이벤트장치(100)를 확인하는 이벤트장치 확인모듈(210)과; 이벤트장치에 표시되도록 제공하는 각종 콘텐츠를 입력받는 콘텐츠 입력모듈(220)과; 콘텐츠 입력모듈(220)을 통해서 입력된 콘텐츠를 이벤트장치 확인모듈(210)을 통해 확인된 이벤트장치로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모듈(230)을 포함하는 이벤트 관리센터(200); 및
    휴대용 이벤트장치(100)의 통신부재(140)와 통신하면서 휴대용 이벤트장치(100)를 확인하는 제2 이벤트장치 확인모듈(310)과; 휴대용 이벤트장치(100)로 제공하는 각종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제2 콘텐츠 입력모듈(320)과; 제2 콘텐츠 입력모듈(320)을 통해서 입력된 콘텐츠를 확인된 휴대용 이벤트장치(100)로 전송하는 제2 콘텐츠 전송모듈(330)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하되,
    콘텐츠 제어부재(150)는,
    각각의 휴대용 이벤트장치(100)의 식별정보가 등록되는 식별정보 관리모듈(151)과;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되는 각종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300) 및 이벤트 관리센터(2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받아 등록하여 관리하는 콘텐츠 등록모듈(152)과;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하는 콘텐츠 표시모듈(153);를 포함하고,
    심리상태 관리부재(170)는,
    착용자의 감정상태에 대응하는 혈당, 맥박,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감정상태 저장부(171)와;
    센서부재(160)에서 측정된 혈당, 맥박,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감정정보 확인부(172)와;
    감정정보 확인부(172)에서 확인된 센서부재들로부터 출력되는 정보인 센싱값을 감정상태 저장부에 기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대응하는 감정상태를 확인하는 감정상태 확인부(173)와;
    감정상태 확인부(173)에서 확인된 사용자의 감정을 디스플레이부재(120)에 표시하는 감정상태 표시부(174)와;
    감정상태 확인부(173)에서 확인된 사용자의 감정을 단말기로 제공하는 감정상태 제공부(1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이벤트 관리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콘텐츠 전송모듈(230)은 이벤트장치 확인모듈(210)에 의해서 다수의 이벤트장치가 표시되는 경우에 구역별로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이벤트 관리시스템.
  19. 삭제
KR1020150118810A 2015-08-24 2015-08-24 휴대용 이벤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이벤트 시스템 KR101758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810A KR101758112B1 (ko) 2015-08-24 2015-08-24 휴대용 이벤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이벤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810A KR101758112B1 (ko) 2015-08-24 2015-08-24 휴대용 이벤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이벤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539A KR20170023539A (ko) 2017-03-06
KR101758112B1 true KR101758112B1 (ko) 2017-07-17

Family

ID=5839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810A KR101758112B1 (ko) 2015-08-24 2015-08-24 휴대용 이벤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이벤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1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134B1 (ko) * 2020-08-25 2021-12-01 신동혁 다기능 신체 착용 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45013A (zh) * 2017-11-02 2019-05-14 凯健企业股份有限公司 生理信号监控设备
KR102314413B1 (ko) * 2021-03-15 2021-10-19 김영욱 Led 표시등을 구비한 완장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025B1 (ko) 2006-04-12 2008-09-18 김미진 발광 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134B1 (ko) * 2020-08-25 2021-12-01 신동혁 다기능 신체 착용 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539A (ko) 2017-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5327B2 (en) Athletic band with removable module
KR101758112B1 (ko) 휴대용 이벤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이벤트 시스템
KR102670792B1 (ko) 제거가능한 모듈을 갖는 운동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