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650B1 - 헬스 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헬스 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650B1
KR101757650B1 KR1020170016696A KR20170016696A KR101757650B1 KR 101757650 B1 KR101757650 B1 KR 101757650B1 KR 1020170016696 A KR1020170016696 A KR 1020170016696A KR 20170016696 A KR20170016696 A KR 20170016696A KR 101757650 B1 KR101757650 B1 KR 101757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r
health
user
cours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교
Original Assignee
양평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평군 filed Critical 양평군
Priority to KR1020170016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650B1/ko
Priority to PCT/KR2017/001378 priority patent/WO201814747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Abstract

본 발명은 헬스 투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숲이나 산, 공원이나 들녘 등과 같이 자연을 즐기면서도 건강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함께 수행함으로써 단순히 산책 등만 이루는 것이 아니라 건강에 도움이 되고 이로써 사회생활에 의한 스트레스 지수 등을 개선하는 헬스 투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헬스 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System for health tou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헬스 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숲이나 산, 공원이나 들녘 등과 같이 자연을 즐기면서도 건강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함께 수행함으로써 단순히 산책 등만 이루는 것이 아니라 건강에 도움이 되고 이로써 사회생활에 의한 스트레스 지수 등을 개선하는 헬스 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생활을 통해서 생활의 편의를 다양하게 제공받고 있고 생활이 편리한 점이 있으나, 이러한 도시의 생활로부터는 스트레스를 받아 건강에 이상이 발생되곤 한다.
이러한 현대인의 질병의 개선으로 의료의 도움을 받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생활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근래들어 이를 반영하여 도시의 생활보다는 전원생활을 이루고자 하나 전원으로 생활 근거를 옮기기가 매우 어려운 처지에 있는 것이다.
일부 자연 체험으로 등산이나 산책 등이 있지만 이는 어떠한 지표나 프로그램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단순한 소문 등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개별 사용자별로 체형에 맞는 개선책이라고 보기 곤란한 것이다.
특히 많은 운동량을 소모하게 되는 등산의 경우에는 급작스러운 격한 운동이라서 고혈압환자, 저혈압환자, 당뇨환자 등에게는 심혈관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관절이 약한 사용자에게도 등산이 오히려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별로 각자 체형이라던가 몸상태에 맞는 자연체험의 프로그램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등록특허번호 제10-0168864호(1999년 01월 15일 공고) 등록특허번호 제10-1221384호(2013년 01월 11일 공고) 공개특허번호 제10-2016-0147879호(2016년 12월 23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을 이용한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수행을 통해서 단순히 자연경관을 즐기는 것에 더하여, 자연물이나 헬스 도구 등을 이용하여 자연을 즐기면서도 건강에 도움이 되도록 하여 힐링과 함께 스트레스 등도 개선할 수 있는 헬스 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헬스 투어 코스의 다양한 코스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건강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이를 미리 서버에서 감지하여 코스 수행의 중지 또는 다른 코스의 변경을 안내함으로써 건강 이상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헬스 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들을 수행함에 앞선 코스 과정에서 시간을 지체함으로써 후속되는 투어 과정을 진행하기 곤란하다고 판별된 경우, 다른 코스의 수행을 안내하여 시간 낭비가 없고 투어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는 헬스 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헬스 투어 시스템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 및 헬스 투어 서버를 포함한 헬스 투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몸상태 정보를 헬스 투어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초기 몸상태 정보 저장단계; 상기 초기 몸상태 정보 저장단계에서 입력된 사용자 몸상태 정보를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몸상태에 따른 헬스 투어 코스를 분석하는 헬스 투어 코스 분석단계; 상기 헬스 투어 코스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헬스 투어 코스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헬스 투어 코스 시작버튼의 선택 정보를 상기 헬스 투어 서버로 전송하는 헬스 투어 코스 시작단계; 및 해당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완료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헬스 투어 코스 종료버튼을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를 상기 헬스 투어 서버로 전송하는 헬스 투어 코스 종료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헬스 투어 코스 종료단계에 따라 해당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종료 후, 해당 사용자의 종료 몸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센싱하여 상기 헬스 투어 서버로 전송하는 종료 몸상태 정보 입력단계; 및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수행 이전과 종료 후의 해당 사용자의 몸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값을 산출하는 헬스 투어 전후 상태변화 산출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초기 몸상태 정보 저장단계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몸상태 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헬스 투어 코스의 각 코스 단계별로, 사용자의 몸상태 정보의 예상 수치값을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산출하는 투어 코스 단계별 예상치 산출단계; 상기 헬스 투어 코스 시작단계에 따라 소정의 헬스 투어 코스를 단계별로 수행함에 따라, 사용자가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중에, 투어 중의 사용자의 몸상태 정보인 투어 몸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센싱하여 헬스 투어 서버로 전송하는 투어 현몸상태 센싱단계; 및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 의해서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수행 중 사용자의 몸상태에 대한 투어 몸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투어 중의 사용자의 투어 몸상태 정보의 분석에 따른 투어 중 사용자의 몸상태 정보의 분석 수치값과, 상기 투어 코스 단계별 예상치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예상 수치값과의 판별에 의해서 이상으로 판별한 경우, 휴식안내, 현재 헬스 투어 코스의 종료안내, 및 헬스 투어 코스 변경안내 중 어느 하나의 안내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이상 안내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헬스 투어 코스는, 걷기, 뜀뛰기, 등산, 및 찜질하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헬스 투어 코스는, 경사지고 요철의 길을 걷는 지형요법; 숲속 길을 걷는 기후요법; 나무숲 삼림욕장을 걷는 삼림요법; 흐르는 물에 손과 발을 담그고 말리는 냉자극(크나이프)요법; 숲속 나무 위에 눕는 횡와외기욕요법; 숯가마찜질, 온천, 난로의 열기를 이용한 온열요법; 및 건강식단으로 식사하는 식이요법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요법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몸상태 정보는, 혈압, 체온, 심박수, 스트레스 지수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헬스 투어 코스는, 복수의 투어 코스들로 이루어지고, 개별 투어 코스들은 복수의 투어 과정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투어 과정을 수행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투어 단말기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중에, 소정의 투어 과정의 장소에 설치된 투어 단말기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와의 신호 송수신으로, 해당 장소에 사용자가 위치한 정보를 상기 투어 단말기에서 사용자 정보와 함께 상기 헬스 투어 서버로 전송하는 투어 과정 장소 도착 정보 전송단계; 상기 투어 과정의 장소에 위치한 사용자가 수행하는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리딩하고, 해당 사용자가 수행하는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상에서 해당 투어 코스에 도착한 시간과, 해당 장소에서의 투어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시간을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비교하는 투어 수행 시간 비교단계; 상기 투어 수행 시간 비교단계의 비교판별에 의해서, 해당 사용자가 해당 장소에 도착한 시간이 해당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상에 도착한 시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정상 헬스 투어 코스 수행으로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판별하고, 해당 장소에서의 정상 헬스 투어 코스 수행에 대한 정보를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정상 투어 코스 수행 판별단계; 해당 사용자가 해당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수행하는 중에, 각 투어 과정의 장소에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몸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헬스 투어의 변경의 안내에 대한 정보를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투어 변경 알림단계; 상기 투어 변경 알림단계 이후,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해당 장소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른 투어 과정들 또는 투어 코스를 분석하는 변경 투어 검색단계; 상기 변경 투어 검색단계를 통해서 검색된 다른 투어 과정들 또는 다른 투어 코스의 정보를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다른 투어 안내단계; 및 사용자가 선택한 변경된 투어 과정 또는 변경된 투어 코스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헬스 투어 서버 측으로 전송되고, 변경된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의 안내정보와 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시작버튼의 선택정보가 상기 헬스 투어 서버로 전송되는 변경 투어 시작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어 변경 알림단계는, 상기 투어 수행 시간 비교단계의 비교판별에 의해서, 해당 사용자가 해당 장소에 도착한 시간이 해당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상에 도착한 시간 범위를 경과한 경우, 비정상 헬스 투어 코스 수행으로써 수행시간 초과로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판별하고, 해당 장소에서의 비정상 헬스 투어 코스 수행에 대한 정보를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투어 시간 초과 변경 안내단계; 및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수행 중 사용자의 몸상태에 대한 투어 몸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투어 몸상태 정보의 분석에 의해서 이상이 발생될 경우, 휴식안내, 현재 헬스 투어 코스의 종료안내, 및 헬스 투어 코스 변경 안내 중 어느 하나의 안내의 정보를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몸상태 이상 변경 안내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어 과정들은, 걷기, 뜀뛰기, 등산, 찜질, 경사면 걷기, 요철길 걷기, 숲속 길 걷기, 흐르는 물에 손과 발을 담그기, 숯가마찜질, 온천찜질, 숲속 나무위에 눕기, 건강식단 식사하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과정들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헬스 투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헬스 투어 서버; 및 사용자가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헬스 투어 코스의 세부 투어 과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장소별로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는 투어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헬스 투어 서버는, 사용자가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몸상태 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 헬스 관리부; 및 사용자가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투어 과정들의 수행에 따른 정보를 전송받아 분석하는 사용자 투어 관리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헬스 관리부는,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수행 중 사용자의 몸상태에 대한 투어 몸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투어 몸상태 정보의 분석에 의해서 이상이 발생될 경우, 휴식안내, 현재 헬스 투어 코스의 종료안내, 및 헬스 투어 코스 변경 안내 중 어느 하나의 안내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투어 관리부는,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수행 중 사용자가 투어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소에 도착한 시간이 해당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상에 도착한 시간 범위를 경과한 경우, 비정상 헬스 투어 코스 수행으로써 수행시간 초과로 판별하고, 해당 장소에서의 비정상 헬스 투어 코스 수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며, 상기 헬스 투어 서버는, 헬스 투어 코스의 변경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변경된 다른 헬스 투어 코스의 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가 선택한 변경된 헬스 투어 코스의 관리정보로 갱신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본 발명은 자연을 이용한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수행을 통해서 단순히 자연경관을 즐기는 것에 더하여, 자연물이나 헬스 도구 등을 이용하여 자연을 즐기면서도 건강에 도움이 되도록 하여 힐링과 함께 스트레스 수치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헬스 투어 코스의 다양한 코스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건강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이를 미리 서버에서 감지하여 코스 수행의 중지 또는 다른 코스의 변경을 안내함으로써 건강 이상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구나,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들을 수행함에 앞선 코스 과정에서 시간을 지체함으로써 후속되는 투어 과정을 진행하기 곤란하다고 판별된 경우, 다른 코스의 수행을 안내하여 시간 낭비가 없고 투어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 투어 시스템을 적용하여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한 코스 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 투어 시스템을 적용하여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한 코스 내용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 투어 시스템을 적용하여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으로써, 크나이프요법, 기후요법, 온열요법 등을 수행하는 코스 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 투어 시스템을 적용하여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으로써, 크나이프요법, 기후요법, 온열요법, 뜸요법, 자전거투어 등을 수행하는 코스 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 투어 시스템을 적용하여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으로써, 삼림요법, 사족보행요법, 크나이프요법, 지형요법, 횡와외기욕요법 등을 수행하는 코스 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따라 코스 수행을 관리하기 위한 헬스 투어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따라 코스 수행을 관리하기 위한 헬스 투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한 주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따라 수행하는 코스를 변경하는 내용으로 하는 헬스 투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따라 수행하는 코스를 변경하는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투어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따라 수행에 따른 스트레스지수 수치값의 연산에 대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헬스 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정해진 코스들을 이동하는 중에 해당 코스에서 걷거나 뛰거나 또는 정해진 프로그램들을 수행함으로써, 단순히 자연을 즐기는 것에 더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이로써 사회생활에 따른 스트레스도 해소하는 등에 의해 건강한 삶을 이룰 수 있도록 일조를 이루게 하는 구성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헬스 투어 시스템의 주요 구성들을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 사용자 단말기(2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헬스 투어 서버(40); 사용자가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헬스 투어 코스의 세부 투어 과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장소별로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기(20)와 연결되는 투어 단말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사용하게 된다. 대체로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로는 사용자가 사용함에 사용자 이름, 나이, 연락처 등의 기본 정보를 입력하는 데스크탑, 노트북, 테블릿PC, 스마트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사용자의 건강정보로써, 혈압, 스트레스 지수, 혈당, 맥박수, 혈액형, 신장, 몸무게 등의 사용자 몸의 건강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나 센터 등에 설치된 단말기 등도 해당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사용자가 몸에 착용하는 스마트 워치 등으로써, 손목이나 기타 사용자 몸에 착용하면서 사용자의 몸에 대한 체온, 맥박, 혈압, 호흡 등을 측정하여 스마트폰이나 서버 등으로 전송할 수 있는 수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사용자 단말기(20)로는 이상에서 설명한 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써, 단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서로 연동되는 복합 단말기 구성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스마트 워치의 경우 사용자 몸에 부착되어 맥박, 혈압,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스마트폰으로 전송되고 나아가 스마트폰은 무선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서 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헬스 투어 서버(40)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헬스 투어 서버(40)를 통해서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사용자에 대한 코스 일정이나 건강상태를 관제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아울러 사용자가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헬스 투어 코스의 세부 투어 과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장소별로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기(20)와 연결되는 투어 단말기(30)를 포함하여 헬스 투어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투어 단말기(30)는, 사용자가 수행하는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에 따른 세부 투어 과정을 수행하는 장소에 설치된 것으로, 위치정보, 단말기 정보 등과 함께, 사용자 단말기(20)와 통신으로 해당 사용자가 정해진 장소에 도착하고 출발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상기 헬스 투어 서버(40)에는, 사용자가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사용자 단말기(20)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몸상태 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 헬스 관리부(50)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헬스 투어 코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미리 사용자의 몸 상태 정보, 즉 건강정보를 미리 입력하게 되고, 이로써 사용자에게 적합한 코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코스를 수행하는 중에 해당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수시로 입력받아, 건강에 이상없이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게 될 것이다. 이로써 안전하게 해당 코스들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사용자 헬스 관리부(50)는,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수행 중 사용자의 몸상태에 대한 투어 몸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투어 몸상태 정보의 분석에 의해서 이상이 발생될 경우, 휴식안내, 현재 헬스 투어 코스의 종료안내, 및 헬스 투어 코스 변경 안내 중 어느 하나의 안내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 측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헬스 투어 서버(40)에는, 사용자가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각각의 투어 과정들의 수행에 따른 정보를 전송받아 분석하는 사용자 투어 관리부(60)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사용자의 투어 일정을 관리하며, 혹여 일부 코스에서 시간이 지체되거나 정해진 이후의 코스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코스를 변경하는 내용도 안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사용자 투어 관리부(60)는,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수행 중 사용자가 투어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소에 도착한 시간이 해당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상에 도착한 시간 범위를 경과한 경우, 비정상 헬스 투어 코스 수행으로써 수행시간 초과로 판별하고, 해당 장소에서의 비정상 헬스 투어 코스 수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 측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헬스 투어 서버(40)는, 헬스 투어 코스의 변경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변경된 다른 헬스 투어 코스의 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가 선택한 변경된 헬스 투어 코스의 관리정보로 갱신하게 된다. 이로써 새로이 변경되어 갱신된 코스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들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헬스 투어 시스템을 적용하여 운영하는 헬스 투어 방법을 수행하며, 이를 위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20), 헬스 투어 서버(40)를 포함한 헬스 투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6의 예시도들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몸상태 정보를 헬스 투어 서버(40)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초기 몸상태 정보 저장단계(S10)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해당 사용자의 건강정보로써 사용자 몸상태 정보에 맞는 헬스 투어 코스를 안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기 사용자 몸상태 정보의 세부 내용에 대한 예로써, 혈압, 체온, 심박수, 스트레스 지수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이러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기타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하거나, 사용자가 다룰 수 있는 단말기나, 그리고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여 몸상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는 단말기 등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초기 몸상태 정보 저장단계(S10)에서 입력된 사용자 몸상태 정보를 헬스 투어 서버(40)에서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몸상태에 따른 헬스 투어 코스를 분석하는 헬스 투어 코스 분석단계(S20)를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헬스 투어 코스에는 걷기, 뜀뛰기, 등산, 및 찜질하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헬스 투어 코스를 통해 세부 투어 과정들로써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는, 경사지고 요철의 길을 걷는 지형요법; 숲속 길을 걷는 기후요법; 나무숲 삼림욕장을 걷는 삼림요법; 흐르는 물에 손과 발을 담그고 말리는 냉자극(크나이프)요법; 숲속 나무 위에 눕는 횡와외기욕요법; 숯가마찜질, 온천, 난로의 열기를 이용한 온열요법; 두 다리와 두 손을 짚어 네 발로 걷는 사족요법; 등산으로써 산을 오르는 등산요법; 닥종이 인형 만들기 등의 문화체험요법; 및 건강식단으로 식사하는 식이요법 등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도 2 내지 도 5 참조).
이러한 상기 헬스 투어 코스는, 복수의 투어 코스들로 이루어지고, 개별 투어 코스들은 복수의 투어 과정들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세부적인 투어 과정들로는 앞서 살펴 본, 지형요법의 투어 과정, 기후요법의 투어 과정, 삼림요법의 투어 과정, 냉자극(크나이프)요법의 투어 과정, 횡와외기욕요법의 투어 과정, 온열요법의 투어 과정, 식이요법의 투어 과정, 사족요법의 투어 과정, 등산요법의 투어 과정, 문화체헙요법의 투어 과정 등의 세부 투어 과정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초기 몸상태 정보 저장단계(S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몸상태 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헬스 투어 코스의 각 코스 단계별로, 사용자의 몸상태 정보의 예상 수치값을 헬스 투어 서버(40)에서 산출하는 투어 코스 단계별 예상치 산출단계(S30)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투어 과정의 안내를 받은 사용자는 해당 코스의 내용으로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승인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아니면 다른 내용으로 코스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른 코스의 안내를 요청하여 변경된 내용으로 헬스 투어 코스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입력된 사용자의 몸상태 정보의 종류, 연산방법 등은 관리자에 의하여 기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 등에 저장된 다음에, 해당 사용자별로 입력되는 각자의 몸상태 정보의 입력에 따라서 기 저장되어 있는 몸상태 정보의 종류 및 연산방법에 의해서 사용자의 몸상태 정보의 예상 수치값을 연산하여 산출하게 된다. 이에 대한 예로써, 사용자의 몸무게, 나이, 성별, 근육량이나 폐활량, 신체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도 10 등의 스트레스지수들의 수치 데이터 등이 활용될 수 있으며, 또한 고혈압, 저혈압 등의 혈압 정보, 당뇨병이나 혈당의 수치 등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골밀도나 관절의 염증 정도에 대한 정보 등도 산입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추후 실행하게 되는 헬스 투어 코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각 사용자들이 너무 무리한 코스를 선택하거나 일부 코스를 수행할 경우 오히려 해가 되는 코스는 선택되지 않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상기 헬스 투어 코스 분석단계(S20)에서 분석된 헬스 투어 코스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되고 사용자 단말기(20)의 헬스투어코스 시작버튼의 선택 정보를 헬스 투어 서버(40)로 전송하는 헬스 투어 코스 시작단계(S40)를 수행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하게 되며, 순차적으로 정해진 안내에 따라 세부 코스들을 수행하면서 숲이나 자연의 정취를 느끼면서 건강한 코스 프로그램들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헬스 투어 코스 시작단계(S40)에 따라 소정의 헬스 투어 코스를 단계별로 수행함에 따라, 사용자가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중에, 투어 중의 사용자의 몸상태 정보인 투어 몸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센싱하여 헬스 투어 서버(40)로 전송하는 투어 현몸상태 센싱단계(S50)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세부 각 코스의 단계별로 사용자의 신체적 상태 변화를 서버에서 통합관리하게 되며, 혹여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이를 즉각 알려서 과도한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심신 미약의 상태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즉 헬스 투어 서버(40)에 의해서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수행 중 사용자의 몸상태에 대한 투어 몸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투어 중의 사용자의 투어 몸상태 정보의 분석에 따른 투어 중 사용자의 몸상태 정보의 분석 수치값과, 투어 코스 단계별 예상치 산출단계(S30)에서 산출된 예상 수치값과의 판별에 의해서 이상으로 판별한 경우, 휴식안내, 현재 헬스 투어 코스의 종료 안내, 및 헬스 투어 코스 변경안내 중 어느 하나의 안내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에 표시하는 이상 안내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는 안전하게 해당 코스를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투어 중의 사용자 신체에 대한 몸상태 정보의 종류나 이를 근거로 분석하여 분석 수치값을 산출하는 정보는 관리자에 의해 기 저장된 종류 및 분석 산출방식 알고리즘에 의해서 정하여질 수 있고, 이러한 종류, 분석 및 산출방식, 앞서 설명한 예상 수치값의 산출 방식 등의 알고리즘 정보 등은 실시되는 코스나 상태, 코스 시설 양태 등에 의해서 정하여져 다양하게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기 알려진 다수의 방식에 의해 다양한 사용자 몸 상태의 분석 정보로 산출되어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상 안내단계(S60)의 경우, 사용자마다 정해진 코스별로 수행함에 따른 신체적 변화가 다르게 될 수 있으며, 갑자기 급격한 체력 소모를 요하는 코스의 수행에서는 혈압이나 당뇨, 심혈관 관련상태, 저혈압이나 고혈압 상태 등에 따라서 일부 사용자에게는 현기증, 어지러움, 졸도 등과 같이 치명적인 신체적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수시로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점검하여 이상이 발생될 경우에는 이를 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처럼 제공된 해당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완료하여 사용자 단말기(20)의 헬스 투어 코스 종료버튼을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를 헬스 투어 서버(40)로 전송하는 헬스 투어 코스 종료단계(S70)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헬스 투어 코스 종료단계(S70)에 따라 해당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종료 후, 해당 사용자의 종료 몸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하여 센싱하여 헬스 투어 서버(40)로 전송하는 종료 몸상태 정보 입력단계(S80)를 수행한다.
또한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수행 이전과 종료 후의 해당 사용자의 몸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값을 산출하는 헬스 투어 전후 상태변화 산출단계(S90)를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헬스 투어 코스를 수행함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적 변화를 산출함으로써, 양호하게 변화된 경우에는 좀더 적극적으로 코스들을 차후에 선정할 수도 있으며, 다만 반대로 나아진 바가 없는 경우, 또는 오히려 관절이나 호흡기 등의 상태가 나쁘게 나온 경우에는 다른 헬스 투어 코스로 차후에 제안되어 수행할 수 있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 투어 시스템을 적용하여, 다양한 내용으로 숲이나 강 등의 자연을 즐기면서 건강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코스들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헬스 투어 코스는, 복수의 투어 코스들로 이루어지고, 개별 투어 코스들은 복수의 투어 과정들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세부 상기 복수의 투어 과정을 수행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투어 단말기(30)들이 설치되어 해당 코스들에서 사용자의 프로그램 수행 여부를 점검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사용자의 투어 코스의 수행 중에 건강이상이나 시간 일정이 변경되어야 할 경우에는 이를 미연에 서버에서 판별하여 사용자에게 새롭게 변경될 수 있는 세부 코스를 안내하도록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중에, 소정의 투어 과정의 장소에 설치된 투어 단말기(30)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20)와의 신호 송수신으로, 해당 장소에 사용자가 위치한 정보를 투어 단말기(30)에서 사용자 정보와 함께 헬스 투어 서버(40)로 전송하는 투어 과정 장소 도착 정보 전송단계(S210)를 수행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세부적인 상기 투어 과정들은, 걷기, 뜀뛰기, 등산, 찜질, 경사면 걷기, 요철길 걷기, 숲속 길 걷기, 흐르는 물에 손과 발을 담그기, 숯가마찜질, 온천찜질, 숲속 나무위에 눕기, 건강식단 식사하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과정들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투어 과정의 장소에 위치한 사용자가 수행하는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정보를 헬스 투어 서버(40)에서 리딩하고, 해당 사용자가 수행하는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상에서 해당 투어 코스에 도착한 시간과, 해당 장소에서의 투어 단말기(30)로부터 전송받은 시간을 헬스 투어 서버(40)에서 비교하는 투어 수행 시간 비교단계(S220)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투어 수행 시간 비교단계(S220)의 비교판별에 의해서, 해당 사용자가 해당 장소에 도착한 시간이 해당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상에 도착한 시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정상 헬스 투어 코스 수행으로 헬스 투어 서버(40)에서 판별하고, 해당 장소에서의 정상 헬스 투어 코스 수행에 대한 정보를 헬스 투어 서버(40)에서 사용자 단말기(20) 측으로 전송하는 정상 투어 코스 수행 판별단계(S230)를 수행하는 것이다.
해당 사용자가 해당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수행하는 중에, 각 투어 과정의 장소에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몸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헬스 투어의 변경의 안내에 대한 정보를 헬스 투어 서버(40)에서 사용자 단말기(20) 측으로 전송하는 투어 변경 알림단계(S240)를 수행한다.
이에 이러한 상기 투어 변경 알림단계(S240)의 세부적인 단계를 살펴보면, 상기 투어 수행 시간 비교단계(S220)의 비교판별에 의해서, 해당 사용자가 해당 장소에 도착한 시간이 해당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상에 도착한 시간 범위를 경과한 경우, 비정상 헬스 투어 코스 수행으로써 수행시간 초과로 헬스 투어 서버(40)에서 판별하고, 해당 장소에서의 비정상 헬스 투어 코스 수행에 대한 정보를 헬스 투어 서버(40)에서 사용자 단말기(20) 측으로 전송하는 투어 시간 초과 변경 안내단계(S241)를 수행한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이미 정해진 지형(뛰기) -> 기후(숲속 산책) -> 등산 -> 식이(산나물 채식식단)의 식사 등으로 하는 헬스 투어 코스의 예로 진행한다고 볼 경우, 이처럼 미리 정해진 원래의 투어 코스를 수행할 때에는 총 투어 시간이 330분이 소요될 것이다.
이러한 원래 코스의 수행 중에 숲속을 산책하는 중에 사용자 사정에 의해서 1시간 이상이 소요된 경우에는 나머지 코스들을 수행하기가 곤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이러한 일정 수행의 곤란을 감지한 경우에는 서버에서는 다른 코스의 수행여부를 안내하게 될 것이다.
또는 앞서 수행한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수행 중에, 코스 현몸상태 분석단계(S50)에 따라 사용자의 몸상태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이를 반영하여 새로운 코스를 제안하도록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즉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수행 중 사용자의 몸상태에 대한 투어 몸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투어 몸상태 정보의 분석에 의해서 이상이 발생될 경우, 휴식안내, 현재 헬스 투어 코스의 종료안내, 및 헬스 투어 코스 변경 안내 중 어느 하나의 안내의 정보를 헬스 투어 서버(40)에서 사용자 단말기(20) 측으로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몸상태 이상 변경 안내단계(S242)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안심하고 잔여 코스들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투어 변경 알림단계(S240) 이후, 헬스 투어 서버(40)에서, 해당 장소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른 투어 과정들 또는 투어 코스를 분석하는 변경 투어 검색단계(S250)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변경 투어 검색단계(S250)를 통해서 검색된 다른 투어 과정들 또는 다른 투어 코스의 정보를 헬스 투어 서버(40)에서 사용자 단말기(20) 측으로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다른 투어 안내단계(S260)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한 변경된 투어 과정 또는 변경된 투어 코스의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0)에서 헬스 투어 서버(40) 측으로 전송되고, 변경된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의 안내정보와 과정에 대한 정보를 헬스 투어 서버(40)에서 사용자 단말기(20) 측으로 전송되고, 사용자 단말기(20)의 시작버튼의 선택정보가 헬스 투어 서버(40)로 전송되는 변경 투어 시작단계(S270)를 수행하는 것이다.
도 9의 예에서와 같이 앞선 코스의 수행 중에 시간이 지체됨에 의해 이후의 과정(등산이나 식이요법 등)을 수행하기 곤란한 경우의 예를 보면, 변경된 크나이프요법(냇물에 손, 발 담그기) -> 문화체험(닥종이 인형 만들기)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써 총 90분 소요되는 코스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20 : 사용자 단말기 30 : 투어 단말기
40 : 헬스 투어 서버 50 : 사용자 헬스 관리부
60 : 사용자 투어 관리부

Claims (11)

  1.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 및 헬스 투어 서버를 포함한 헬스 투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몸상태 정보를 헬스 투어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초기 몸상태 정보 저장단계;
    상기 초기 몸상태 정보 저장단계에서 입력된 사용자 몸상태 정보를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몸상태에 따른 헬스 투어 코스를 분석하는 헬스 투어 코스 분석단계;
    상기 헬스 투어 코스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헬스 투어 코스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헬스 투어 코스 시작버튼의 선택 정보를 상기 헬스 투어 서버로 전송하는 헬스 투어 코스 시작단계; 및
    해당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완료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헬스 투어 코스 종료버튼을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를 상기 헬스 투어 서버로 전송하는 헬스 투어 코스 종료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초기 몸상태 정보 저장단계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몸상태 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헬스 투어 코스의 각 코스 단계별로, 사용자의 몸상태 정보의 예상 수치값을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산출하는 투어 코스 단계별 예상치 산출단계;
    상기 헬스 투어 코스 시작단계에 따라 소정의 헬스 투어 코스를 단계별로 수행함에 따라, 사용자가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중에, 투어 중의 사용자의 몸상태 정보인 투어 몸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센싱하여 헬스 투어 서버로 전송하는 투어 현몸상태 센싱단계; 및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 의해서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수행 중 사용자의 몸상태에 대한 투어 몸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투어 중의 사용자의 투어 몸상태 정보의 분석에 따른 투어 중 사용자의 몸상태 정보의 분석 수치값과, 상기 투어 코스 단계별 예상치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예상 수치값과의 판별에 의해서 이상으로 판별한 경우, 휴식안내, 현재 헬스 투어 코스의 종료안내, 및 헬스 투어 코스 변경안내 중 어느 하나의 안내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이상 안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투어 시스템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투어 코스 종료단계에 따라 해당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종료 후, 해당 사용자의 종료 몸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센싱하여 상기 헬스 투어 서버로 전송하는 종료 몸상태 정보 입력단계; 및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수행 이전과 종료 후의 해당 사용자의 몸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값을 산출하는 헬스 투어 전후 상태변화 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투어 시스템 제어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 워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헬스 투어 코스는,
    걷기, 뜀뛰기, 등산, 및 찜질하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헬스 투어 코스는,
    경사지고 요철의 길을 걷는 지형요법;
    숲속 길을 걷는 기후요법;
    나무숲 삼림욕장을 걷는 삼림요법;
    흐르는 물에 손과 발을 담그고 말리는 냉자극(크나이프)요법;
    숲속 나무 위에 눕는 횡와외기욕요법;
    숯가마찜질, 온천, 난로의 열기를 이용한 온열요법; 및
    건강식단으로 식사하는 식이요법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요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투어 시스템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몸상태 정보는,
    혈압, 체온, 심박수, 스트레스 지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투어 시스템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투어 코스는, 복수의 투어 코스들로 이루어지고,
    개별 투어 코스들은 복수의 투어 과정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투어 과정을 수행하는 장소에 설치되는 투어 단말기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중에, 소정의 투어 과정의 장소에 설치된 투어 단말기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와의 신호 송수신으로, 해당 장소에 사용자가 위치한 정보를 상기 투어 단말기에서 사용자 정보와 함께 상기 헬스 투어 서버로 전송하는 투어 과정 장소 도착 정보 전송단계;
    상기 투어 과정의 장소에 위치한 사용자가 수행하는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리딩하고, 해당 사용자가 수행하는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상에서 해당 투어 코스에 도착한 시간과, 해당 장소에서의 투어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시간을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비교하는 투어 수행 시간 비교단계;
    상기 투어 수행 시간 비교단계의 비교판별에 의해서, 해당 사용자가 해당 장소에 도착한 시간이 해당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상에 도착한 시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정상 헬스 투어 코스 수행으로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판별하고, 해당 장소에서의 정상 헬스 투어 코스 수행에 대한 정보를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정상 투어 코스 수행 판별단계;
    해당 사용자가 해당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수행하는 중에, 각 투어 과정의 장소에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몸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헬스 투어의 변경의 안내에 대한 정보를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투어 변경 알림단계;
    상기 투어 변경 알림단계 이후,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해당 장소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른 투어 과정들 또는 투어 코스를 분석하는 변경 투어 검색단계;
    상기 변경 투어 검색단계를 통해서 검색된 다른 투어 과정들 또는 다른 투어 코스의 정보를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다른 투어 안내단계; 및
    사용자가 선택한 변경된 투어 과정 또는 변경된 투어 코스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헬스 투어 서버 측으로 전송되고, 변경된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의 안내정보와 과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시작버튼의 선택정보가 상기 헬스 투어 서버로 전송되는 변경 투어 시작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투어 시스템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어 변경 알림단계는,
    상기 투어 수행 시간 비교단계의 비교판별에 의해서, 해당 사용자가 해당 장소에 도착한 시간이 해당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상에 도착한 시간 범위를 경과한 경우, 비정상 헬스 투어 코스 수행으로써 수행시간 초과로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판별하고, 해당 장소에서의 비정상 헬스 투어 코스 수행에 대한 정보를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투어 시간 초과 변경 안내단계; 및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수행 중 사용자의 몸상태에 대한 투어 몸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투어 몸상태 정보의 분석에 의해서 이상이 발생될 경우, 휴식안내, 현재 헬스 투어 코스의 종료안내, 및 헬스 투어 코스 변경 안내 중 어느 하나의 안내의 정보를 상기 헬스 투어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몸상태 이상 변경 안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투어 시스템 제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어 과정들은,
    걷기, 뜀뛰기, 등산, 찜질, 경사면 걷기, 요철길 걷기, 숲속 길 걷기, 흐르는 물에 손과 발을 담그기, 숯가마찜질, 온천찜질, 숲속 나무위에 눕기, 건강식단 식사하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과정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투어 시스템 제어 방법.
  9.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헬스 투어 서버; 및
    사용자가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헬스 투어 코스의 세부 투어 과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장소별로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는 투어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헬스 투어 서버는,
    사용자가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몸상태 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 헬스 관리부; 및
    사용자가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을 수행함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투어 과정들의 수행에 따른 정보를 전송받아 분석하는 사용자 투어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헬스 관리부는,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수행 중 사용자의 몸상태에 대한 투어 몸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투어 몸상태 정보의 분석에 의해서 이상이 발생될 경우, 휴식안내, 현재 헬스 투어 코스의 종료안내, 및 헬스 투어 코스 변경 안내 중 어느 하나의 안내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투어 관리부는,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수행 중 사용자가 투어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소에 도착한 시간이 해당 헬스 투어 코스의 프로그램 상에 도착한 시간 범위를 경과한 경우, 비정상 헬스 투어 코스 수행으로써 수행시간 초과로 판별하고, 해당 장소에서의 비정상 헬스 투어 코스 수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며,
    상기 헬스 투어 서버는,
    헬스 투어 코스의 변경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변경된 다른 헬스 투어 코스의 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가 선택한 변경된 헬스 투어 코스의 관리정보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투어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KR1020170016696A 2017-02-07 2017-02-07 헬스 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57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696A KR101757650B1 (ko) 2017-02-07 2017-02-07 헬스 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7/001378 WO2018147475A1 (ko) 2017-02-07 2017-02-08 헬스 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696A KR101757650B1 (ko) 2017-02-07 2017-02-07 헬스 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650B1 true KR101757650B1 (ko) 2017-07-13

Family

ID=5935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696A KR101757650B1 (ko) 2017-02-07 2017-02-07 헬스 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57650B1 (ko)
WO (1) WO201814747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7335A (ja) * 2010-07-14 2015-06-11 アディダス アーゲー フィットネスモニタリング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製品並びにその応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2604A (ja) * 2003-02-19 2004-09-09 Okinawa Pref Gov 観光評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及びそれらを用いた健康保養型観光旅行方法
KR20160104230A (ko) * 2015-02-26 2016-09-05 주식회사 플랫폼스토리 사물인터넷 기반 모바일디바이스를 이용한 토탈 관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284016A1 (en) * 2015-03-23 2016-09-29 Live Ever Fit, LLC Health and fitness networking and manag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7335A (ja) * 2010-07-14 2015-06-11 アディダス アーゲー フィットネスモニタリング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製品並びにその応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47475A1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2971B2 (en) Wearable device utilizing flexible electronics
US10194836B2 (en) GPS accuracy refinement using external sensors
US10178973B2 (en) Wearable heart rate monitor
EP3158928B1 (en) Stamina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WO2017181196A1 (en) Pacing templates for performance optimization
WO2008038868A1 (en) System for managing physical training and method thereof
EP1222895A1 (en) Body weight control device
EP34966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exercising of a subject
US202301810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cardiorespiratory fitness
JP7241910B2 (ja) 糖尿病患者の運動のためのインスリン投与ガイダンスおよび意思決定支援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Phillips et al. Performance relationships in timed and mass-start events for elite omnium cyclists
Piatrikova et al. Monitoring the heart rate variability responses to training loads in competitive swimmers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and the banister impulse-response model
US2018032706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KR101757650B1 (ko) 헬스 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825734B1 (ko) 피지컬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1200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ifestyle recommendations
US10276053B2 (en) Cognitive system to improve athletic performance with motivation from different training styles
WO2021106667A1 (ja) トレーニング施設を管理する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JP7413658B2 (ja) 運動支援システム、運動支援装置、運動支援方法及び運動支援プログラム
Cvetković et al. Mobile application to stimulate physical activity in schoolchildren
CN116600708A (zh) 用于改善的锻炼表现的呼吸反馈
Frederiks et al. Correlated neurocardiologic and fitness changes in athletes interrupting training.
Przednowek et al. Estimation of VO 2 max based on 20 m shuttle run test using statistical learning methods: An example of male physical education students
KR20230091237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기능성 게임 제공 시스템
Bird et al. Age as a poor predictor of blood-lactate and heart-rate responses during club-level oriente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