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397B1 - 점막 재생이 가능한 기관재생용 매트릭스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점막 재생이 가능한 기관재생용 매트릭스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397B1
KR101757397B1 KR1020140143358A KR20140143358A KR101757397B1 KR 101757397 B1 KR101757397 B1 KR 101757397B1 KR 1020140143358 A KR1020140143358 A KR 1020140143358A KR 20140143358 A KR20140143358 A KR 20140143358A KR 101757397 B1 KR101757397 B1 KR 101757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rix
regeneration
organ
tube
polyvinyl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634A (ko
Inventor
이진호
김태호
안단비
오세행
권성근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43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39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61L27/24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40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2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3Bronch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6Trachea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균다공크기가 10~100 nm인 내표면, 평균다공크기가 10 ㎛ 이상인 컬럼 형태의 중간층, 및 평균다공크기가 50~200 ㎛인 외표면으로 구성된 튜브 형태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 및 상기 매트릭스 표면에 형성된 점막세포 유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 재생이 가능한 기관 재생용 매트릭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 형태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는 내표면, 컬럼 형태의 중간층 및 외표면으로 구성되는 튜브 전체가 다공성 구조를 가지며, 그 굵기와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의 손상된 조직과 상처에 적용이 용이하고, 체내에 이식 시, 지지체로 사용된 고분자 재료의 물성에 의해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견디며 기관재생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정상 기관과 유사한 골격을 유지하여 기관의 재협착을 방지할 수 있는 충분한 물성을 가지면서 기관이 재생된 후에는 자연스럽게 분해되는 성질을 지녀 매트릭스 제거를 위한 위험한 재수술이 필요 없게 된다.

Description

점막 재생이 가능한 기관재생용 매트릭스 및 이의 제조방법 {Porous matrix for trachea regenera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점막 재생이 가능한 기관재생용 매트릭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관'은 척추동물의 후두(喉頭)에서 폐로 이어지는 관을 의미하며, 숨을 쉴 때 공기가 통하는 반원통 모양으로 된 관(管)으로 보통 16개 내지 20개의 링(Ring)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관은 연골, 점막하층, 점막층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이 중 연골은 기관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점막하층에는 기관 내부로 점액을 분비하는 분비선이 존재한다. 점막세포는 꼭대기에 섬모 (cilia)가 부착되어 있는 컬럼 형태의 상피 (columnar epithelium)와 배상세포 (goblet cell), 기저 세포 (basal cell)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섬모는 배상세포에서 분비된 점액에 걸린 공기 속의 먼지나 세균, 바이러스를 외부로 배설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여 폐렴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점막 세포는 각종 수로 (water channel)를 통해 기도에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점막 세포는 점막하층과 바로 연결된 것이 아니고 기저막 (basement membrane) 이라고 불리는 막 위에 부착이 되어 있으며, 이는 점막이 재생될 때 매우 필수적인 구조물로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관은 선천적인 원인 및 식생활 변화, 환경오염에 의해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종양의 제거, 다양한 외상에 의해 기관 손상 등의 이유로 그 손상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중증 환자들의 치료에 필수적인 인공호흡기 사용 빈도의 증가로 인해 기관 손상이 심각한 의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망한 사람의 공여 조직을 손상 기관에 이식하는 방법이 최근 보고되고 있지만 공여 조직을 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공여조직을 구한다고 해도 오랜 기간에 걸쳐 복잡한 전처리 과정을 거쳐야 기관을 이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인공삽입물에 의한 기관 재건을 시도해 보았으나 이식 후에 점막 재생이 신속히 되지 않아 호흡하는 공기를 통해 들어오는 세균 및 바이러스에 대한 염증에 취약하고 육아조직의 형성, 접합부의 분리, 주위 조직의 손상 및 재협착, 이식물의 탈락 등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임상적으로 적용하는 데는 많은 문제점이 남아 있다.
이상과 같이 손상된 기관을 위한 이상적인 치료법이 아직까지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환자와 임상의에게 심리적 안정감과 이를 통한 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기관재생매트릭스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1) 긴급 상황에서 시간의 지체 없이 언제 어디에서든 곧바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하고, 2) 기관의 폐색을 억제할 정도의 물성을 지녀야 하며, 3) 손상 조직의 재건을 유도할 정도의 생체적합성을 가져야하고, 4) 기관 조직과 유사한 연골 및 섬모조직의 재생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하며, 5) 신속한 점막 재생이 동시에 수반되어 세균 및 바이러스에 대한 염증 발생이 없고, 여러 합병증을 유발시키지 않아야 한다.
한국공개특허 2009-0037439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기관재생 매트릭스가 가지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굵기 및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기관에 적합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기관이 재생될 때까지 기관의 형태를 유지하여 재협착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기관이 재생된 후에는 생분해되어 재수술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점막 재생이 가능한 다공성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기관재생용 매트릭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막 재생이 가능한 기관 재생용 매트릭스는 평균다공크기가 10~100 nm인 내표면, 평균다공크기가 10 ㎛ 이상인 컬럼 형태의 중간층, 및 평균다공크기가 50~200㎛인 외표면으로 구성된 튜브 형태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 및 상기 매트릭스 표면에 형성된 점막세포 유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 형태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는 전체가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튜브 형태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는 그 내부 직경이 10 ~ 100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튜브 형태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이며, 튜브 형태의 매트릭스 제조를 위해 하이드로겔 고분자 지지체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중량평균분자량 1,000 ~ 1,000,000 g/mol인 폴리락틱산 [poly(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 [poly(glycolic acid)], 폴리락틱산-글리콜산 공중합체[poly(lactic acid-co-glycolic acid)], 폴리카프로락톤 (polycaprolactone) 공중합체, 폴리락틱산-카프로락톤 공중합체 [poly(lactic acid-co-ε-caprolactone)], 폴리하이드록시부티릭산-하이드록시발러릭산 공중합체(polyhydroxybutyric acid-co-hydroxyvaleric acid), 폴리다이옥사논 (polydioxanone), 폴리포스포에스터 (polyphosphoester)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 고분자 지지체는 알긴산 (alginic acid), 하이알룬산 (hyaluronic acid),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 [carboxymethyl cellulose (CMC)], 덱스트란(dextran),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우스[hydroypropyl methyl celluolse (HPMC)], 폴리하이드록시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polyhydroethyl methacrylate (polyHEMA)],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N-vinyl pyrrolidone (PVP)), 폴리아이소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poly(N-isopropyl acrylamide) (PNIPAAm)],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PVA)],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PEO)],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oxide)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튜브 형태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는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중량평균분자량 1,000~1,000,000 g/mol인 친수성 고분자를 0.1~20 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oxide) 공중합체 (PEO-PPO 공중합체; Pluronic series),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틱산 (polyethylene oxide-polylactic acid) 공중합체(PEO-PLA),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틱글리콜산 [polyethylene oxide-poly(lactic-co-glycolic acid)] 공중합체 (PEO-PLGA),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카프로락톤 (polyethylene oxide-polycaprolactone) 공중합체 (PEO-PCL),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 폴리비닐알콜 (PVA),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류 (polyoxyethylene alkyl ethers; Brij Series), 폴리옥시에틸렌 케스터 오일 유도체류 (polyoxyethlene castor oil derivatives; Cremophores),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페티 에시드 에스터류 (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s; Tween Series), 및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류 (polyoxyethylene stearates)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점막세포 유도층은 콜라겐, 젤라틴, 어그레칸 (aggrecan), 엘라스틴, 파이브로넥틴 (fibronectin), 비트로넥틴 (vitronectin), 폴리라이신 (poly lysine), 피브리노겐 (fibrinogen) 및 라미닌 (laminin)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질 단백질; 및 NFF-1 [Mca-Pro-Lys-Pro-Gln-Gln-Phe-Phe-Gly-Leu-Lys-(Dnp)-Gly], NFF-2 [Mca-Arg-Pro-Lys-Pro-Tyr-Ala-Nva-Trp-Met-Lys(Dnp)-NH2], 및 NFF-3 [Mca-Arg-Pro-Lys-Pro-Val-Glu-Nva-Trp-Arg-Lys(Dnp)-NH2]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질 펩타이드 (peptid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관 재생용 매트릭스의 제조방법은 원통형 하이드로겔 고분자 지지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하이드로겔 고분자 지지체를 생분해성 고분자 용액에 함침시켜 상기 원통형 하이드로겔 고분자 지지체 표면에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를 침착시키고, 이를 세척하여 매트릭스는 전체가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튜브 형태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튜브형 매트릭스를 점막세포 유도 용액에 침지시켜 그 매트릭스 표면에 점막세포 유도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 형태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는 내표면, 외표면 및 내·외표면 사이의 충진층은 모두 특정 크기의 다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굵기와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점막세포의 재생 촉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를 체내에 이식 시, 매트릭스로 사용된 고분자 재료의 물성에 의해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견뎌, 정상 기관과 유사한 골격을 유지하여 기관의 재협착을 방지할 수 있는 충분한 물성을 가지면서 기관이 재생된 후에는 자연스럽게 분해되는 성질을 지녀 사용된 매트릭스의 제거를 위한 위험한 재수술이 필요 없고, 또한 점막세포 재생을 촉진하므로 먼지나 세균, 바이러스를 외부로 배출하여 페렴을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로써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는 고령 출산으로 인한 신생아 기형, 두경부 종양의 제거, 다양한 외상에 의한 기관 손상 및 기관협착으로 손상된 기관의 재건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기관재생용 매트릭스의 전자주사현미경사진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대조군 1과 실시예 2에 따른 기관재생용 매트릭스의 점막세포 유도층(라미닌) 형성 유무에 따른 기관조직 재생 형태를 평가한 SEM 결과이다.
도 3는 대조군 1과 실시예 2에 따른 기관재생용 매트릭스의 점막세포 유도층(라미닌) 형성 유무에 따른 기관조직 재생 효능을 평가한 결과이다 [면역염색 (immunostaining); 파란색, DAPI (세포핵 표시인자) ; 초록색, β-tubline (점막세포 표시인자)].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는 평균다공크기가 10~100 nm인 내표면, 평균다공크기가 10㎛ 이상인 컬럼 형태의 중간층, 및 평균다공크기가 50~200㎛인 외표면으로 구성된 튜브 형태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 및 상기 매트릭스 표면에 형성된 점막세포 유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는 튜브 형태로서, 내표면과 중간층, 및 외표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표면, 중간층 및 외표면 모두가 일정한 크기의 기공들을 가지는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데 특징을 가진다.
상기 내표면의 평균다공크기는 10~100 nm인 것이 점막세포에서 섬모의 재생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층은 컬럼 형태의 다공 구조를 가지며, 그 평균다공크기가 10 ㎛ 이상인 것이 영양분과 산소만이 투과할 수 있도록 하여 섬모재생 유도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최외각의 외표면은 평균다공크기가 50~200 ㎛인 것이 주변의 섬유 조직과 단단하게 결합하여 매트릭스가 보다 안정하게 인체에 존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는 기관 재생 후 재수술이 필요없이 생분해되어야 하므로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의 구체적인 예로는, 중량평균분자량 1,000~1,000,000 g/mol인 폴리락틱산 [poly(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 [poly(glycolic acid)], 폴리락틱산-글리콜산 공중합체[poly(lactic acid-co-glycolic acid)], 폴리카프로락톤 (polycaprolactone) 공중합체, 폴리락틱산-카프로락톤 공중합체 [poly(lactic acid-co-ε-caprolactone)], 폴리하이드록시부티릭산-하이드록시발러릭산 공중합체(polyhydroxybutyric acid-co-hydroxyvaleric acid), 폴리다이옥사논 (polydioxanone), 폴리포스포에스터 (polyphosphoester)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폴리락틱산-글리콜산 공중합체가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관재생용 매트릭스의 제조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중량평균분자량 1,000~1,000,000 g/mol인 친수성 고분자를 0.1~20 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기관재생용 매트릭스에 포함되어 친수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원활한 영양분 공급과, 주변 조직과의 점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첨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oxide) 공중합체 (PEO-PPO 공중합체; Pluronic series),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틱산 (polyethylene oxide-polylactic acid) 공중합체(PEO-PLA),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틱글리콜산 [polyethylene oxide-poly(lactic-co-glycolic acid)] 공중합체 (PEO-PLGA),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카프로락톤 (polyethylene oxide-polycaprolactone) 공중합체 (PEO-PCL),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 폴리비닐알콜 (PVA),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류 (polyoxyethylene alkyl ethers; Brij Series), 폴리옥시에틸렌 케스터 오일 유도체류 (polyoxyethlene castor oil derivatives; Cremophores),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페티 에시드 에스터류 (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s; Tween Series), 및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류 (polyoxyethylene stearates)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튜브 형태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는 그 내부 직경이 10 ~ 1000 mm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사용자의 기관의 굵기가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적합하도록 그 굵기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관재생용 매트릭스가 튜브 형태를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 하이드로겔 고분자 지지체를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기관재생용 매트릭스의 내부 직경은 사용되는 원통형 하이드로겔 고분자 지지체의 굵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직경에 부합되는 하이드로겔 고분자 지지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상기 하이드로겔 고분자 지지체는 알긴산 (alginic acid), 하이알룬산 (hyaluronic acid),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 [carboxymethyl cellulose (CMC)], 덱스트란(dextran),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우스[hydroypropyl methyl celluolse (HPMC)], 폴리하이드록시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polyhydroethyl methacrylate (polyHEMA)],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N-vinyl pyrrolidone (PVP)), 폴리아이소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poly(N-isopropyl acrylamide) (PNIPAAm)],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PVA)],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PEO)],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oxide)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조된 튜브 형태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가 기관매트릭스로 사용될 때 점막세포의 재생을 촉진할 수 있도록, 상기 매트릭스 표면에 점막세포 유도층을 형성시키는 데 특징이 있다.
상기 점막세포 유도층은 콜라겐, 젤라틴, 어그레칸 (aggrecan), 엘라스틴, 파이브로넥틴 (fibronectin), 비트로넥틴 (vitronectin), 폴리라이신 (poly lysine), 피브리노겐 (fibrinogen) 및 라미닌 (laminin)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질 단백질; 및 NFF-1 [Mca-Pro-Lys-Pro-Gln-Gln-Phe-Phe-Gly-Leu-Lys-(Dnp)-Gly], NFF-2 [Mca-Arg-Pro-Lys-Pro-Tyr-Ala-Nva-Trp-Met-Lys(Dnp)-NH2], 및 NFF-3 [Mca-Arg-Pro-Lys-Pro-Val-Glu-Nva-Trp-Arg-Lys(Dnp)-NH2]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질 펩타이드 (peptid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관 재생용 매트릭스의 제조방법은 원통형 하이드로겔 고분자 지지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하이드로겔 고분자 지지체를 생분해성 고분자 용액에 함침시켜 상기 원통형 하이드로겔 고분자 지지체 표면에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를 침착시키고, 이를 세척하여 매트릭스는 전체가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튜브 형태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매트릭스를 점막세포 유도 용액에 침지시켜 그 매트릭스 표면에 점막세포 유도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원통형 하이드로겔 고분자 지지체의 제조는 먼저, 고분자를 용매인 물에 용해시켜 수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다양한 굵기와 길이를 가지는 형태로 만들기 위하여 상기 고분자 수용액을 다양한 굵기(1 ~ 100 mm)와 길이(10 ~ 250 mm)의 원통형 몰드에 넣어 가교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수용액의 농도는 0.1 ~ 5 중량%인 것이 기관재생용 매트릭스의 안정한 구조 획득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지지체는 하이드로겔 형태를 가지는 것이 구조적인 면에서 바람직하며, 하이드로겔 형성을 위한 재료의 가교는 적절한 가교제의 사용, 자외선 또는 열의 적용 등을 포함하여 상기 재료를 가교시킬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을 어느 것이나 사용해도 무방하다.
그 다음, 상기 제조된 다양한 굵기와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하이드로겔 고분자 지지체를 생분해성 고분자 용액에 함침시켜, 상기 원통형 하이드로겔 고분자 지지체의 표면을 따라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를 침착시키고, 이를 세척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원통형의 하이드로겔 고분자 지지체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튜브 형태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용액의 농도는 0.1 ∼ 50 중량%인 것이 매트릭스의 물성 유지와 상기 언급한 매트릭스의 독특한 형태를 얻기 위한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용액 제조시 사용되는 용매는 테트라글리콜 (Tetraglycol), 1-메틸-2-피롤리디논 [1-methyl-2-pyrrolidinone (NMP)], 트리아세틴 (triacetin), 및 벤질 알콜 (benzyl alcohol)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체 무해한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매트릭스를 점막세포 유도 용액에 침지시켜 그 매트릭스 표면에 점막세포 유도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점막세포 유도 용액은 0.1 내지 100 mg/mL 농도의 수용액으로 제조하고, 상기 수용액에 튜브 형태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를 1초 내지 72시간 침지시키는 과정을 거쳐 형성시킨다. 상기 과정을 거쳐, 튜브 형태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의 내표면 및 외표면 전체에 걸쳐 점막세포 유도층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관 매트릭스를 체내에 이식하는 경우, 점막 재생이 신속히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호흡하는 공기를 통해 들어오는 세균 및 바이러스에 대한 염증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육아조직의 형성, 접합부의 분리, 주위 조직의 손상 및 재협착, 이식물의 탈락 등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적용하는 데 보다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특정 화합물을 이용하여 예시하였으나, 이들의 균등물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동등 유사한 정도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실시예 1
1)고분자 하이드로겔 지지체 제조
폴리비닐알콜(중량평균분자량 89,000~98,000 g/mol, hydrolysis ~98%)을 초순수 (deionized water)에 넣고 90 ℃로 가열하여 5 중량%의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을 제조하고 원통형 몰드 (굵기 7 mm, 길이 30 mm)에 넣었다. 가교 조건으로 -100℃에서 1시간 동결, 상온에서 1시간 동안 해동의 과정을 5회 수행하여 원통형 고분자 하이드로겔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2)기관재생용 매트릭스 제조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폴리카프로락톤 (중량평균분자량 ~ 80,000 g/mol, PCL) 를 인체에 무해한 테트라글리콜에 용해시켜 (90 ℃) 20 중량%의 생분해성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1)에서 제조된 원통형의 폴리비닐알콜 하이드로겔을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용액에 담궈 주었다. 상기 원통형의 폴리비닐알콜 하이드로겔과 생분해성 고분자 용액이 접촉하는 순간, 상기 원통형 폴리비닐알콜 하이드로겔의 표면에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의 침전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일정 시간 후, 폴리비닐알콜 하이드로겔 표면에 침전된 생분해성 고분자와 폴리비닐알콜 하이드로겔을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용액으로부터 꺼내고, 이를 초순수에 담궈서 잔여 테트라글리콜을 완전히 세척하였다. 세척과정에서 폴리비닐알콜 하이드로겔 표면에 존재하는 튜브 형태의 생분해성 고분자막으로부터 폴리비닐알콜 하이드로겔을 매우 손쉽게 제거할 수 있었다. 세척이 끝난 튜브 형태를 띠는 다공성막을 진공 건조시켜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를 제조하였다.
3)점막세포 유도층 코팅
점막세포 유도층으로서, 상기 2)에서 제조된 기관재생용 매트릭스 시료 (1.2 mm x 0.8 mm x 0.4 mm)를 100 /mL 농도의 laminin (라미닌) 수용액 [in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 (DPBS)]에 침지시키고 1시간 동안 37 ℃의 인큐베이터에 방치시켰다. 상기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를 PBS로 4회 세척/동결 건조하여 라미닌이 점막세포 유도층으로 코팅된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카프로락톤 (PCL, 중량평균분자량 ~ 80,000 g/mol, PCL)의 친수화를 위해, 폴리카프로락톤 100중량부에 대하여 친수성 고분자로서 PEO-PPO 공중합체인 Pluronic F127 (중량평균분자량 12,500 g/mol인 것)을 3중량부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4
점막세포 유도층 제조를 위해 20 mg/ml 농도의 NFF-1 [Mca-Pro-Lys-Pro-Gln-Gln-Phe-Phe-Gly-Leu-Lys-(Dnp)-Gly] 수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2와 동일한 과정으로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12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폴리락틱산-글리콜산 공중합체 (중량평균분자량 113,000 g/mol)를 사용하되, 락틱산과 글리콜산의 비율이 50:50, 75:25, 85:15, 95:5인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2와 동일한 과정으로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14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폴리락틱산 [poly(lactic acid)]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2와 동일한 과정으로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5~16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폴리글리콜산 [poly(glycolic acid)]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2와 동일한 과정으로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7~18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폴리다이옥사논 (polydioxanone)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2와 동일한 과정으로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를 제조하였다.
대조군 1
상기 실시예 2에서, 점막세포 유도층 (라미닌) 형성 과정을 거치지 않은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점막세포 유도층 유무에 따른 기관 재생 효과를 비교하였다.
실험예 1 : 구조 확인
상기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기관재생용 매트릭스의 형태를 전자주사전자현미경 (SEM)을 통해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다음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는 평균다공크기가 10~100 nm인 내표면, 평균다공크기가 10 ㎛ 이상인 컬럼 형태의 중간층, 및 평균다공크기가 50~200 ㎛인 외표면으로 구성된 튜브 형태를 가지며, 그 내부직경 ~ 7 mm 정도로 관찰되었다.
또한, 상기 내표면은 원통형 폴리비닐알콜 하이드로겔 고분자 지지체와 접촉하여 그 형태가 PCL/Pluronic F127 다공성 막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튜브 전체가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 기관재생용 매트릭스의 기관조직 재생 효과 확인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점막세포 유도층 (라미닌)이 코팅된 기관재생용 매트릭스와 라미닌을 도입하지 않은 기관재생용 매트릭스 (대조군 1)의 기관조직 재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체중 2.9 ~ 3.5 kg의 토끼 [New Zealand white rabbits]를 모델 동물로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의 마취를 위해 tiletamine/zolazepam (10 mg/kg; Zoletil 50, Virbac Laboratories, France) 과 2% xylazine hydrochloride (2 mg/kg, Rumpun, Byely Co., Korea)이 사용되었다. 기관절개술 후 절개된 기관의 점막에 일정하게 상처를 가한 후 한 그룹에는 PCL/F127 기관재생 매트릭스(대조군 1)를 삽입하였고 다른 군에는 PCL/F127 기관재생 매트릭스 표면에 laminin이 각 코팅된 매트릭스 (실시예 2)를 삽입하여, 한달 후 조직,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동물을 희생하여 기관 결손부를 채취해 조직검사 (면역염색)를 통해 라미닌이 도입된 기관재생용 매트릭스의 사용에 따른 기관조직 재생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도 2에 나타내었다.
다음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관조직 재생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형태학적으로 관찰하기 위하여 SEM으로 분석한 결과, 점막세포 유도층 (라미닌)이 형성되지 않은 대조군 1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에 비해 점막세포 유도층 (라미닌)이 형성된 실시예 2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에서 보다 우수한 점막 재생 효과가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관조직 재생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관재생에 주요 구성인 점막 세포 (columnar cell)를 면역염색 (tubulin)하여 본 결과, 점막세포 유도층 (라미닌)이 형성되지 않은 대조군 1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에 비해 점막세포 유도층 (라미닌)이 형성된 실시예 2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에서 보다 우수한 점막 재생 효과가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기관재생용 매트릭스의 우수한 물성 (기관 재생동안 형태 유지)과 라미닌에 의한 점막 재생 유도 촉진으로 설명할 수 있다.

Claims (10)

  1. 평균다공크기가 10~100 nm인 내표면, 평균다공크기가 10 ㎛ 이상인 컬럼 형태의 중간층, 및 평균다공크기가 50~200 ㎛인 외표면으로 구성된 폴리카프로락톤 (polycaprolactone)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튜브 형태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 및
    상기 매트릭스 표면에 라미닌, 및 NFF 기질 펩타이드(peptide)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재료로만 이루어진 점막세포유도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점막세포유도층은 0.1 내지 100 mg/mL 농도의 점막 세포 유도 수용액에 상기 튜브 형태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를 1초 내지 72시간 침지시켜 상기 튜브 형태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의 내표면 및 외표면 전체에 걸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하며,
    상기 튜브 형태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의 안정한 구조 획득을 위하여 0.1~5중량%의 폴리비닐알콜(PVA) 수용액을 원통형 몰드에 넣고 동결-해동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물리적으로 가교시켜 제조된 굵기 3~100mm의 원통형 폴리비닐알콜(PVA) 하이드로겔 고분자를 지지체로 사용하여 제조되며,
    상기 튜브 형태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는, 상기 굵기 3~100mm의 원통형 폴리비닐알콜 하이드로겔 고분자 지지체를 기관재생용 매트릭스 제조를 위한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 용액에 함침시켜, 상기 하이드로겔 고분자 지지체의 표면에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생분해성 고분자가 침착하여 매트릭스가 형성되게 한 다음, 상기 기관재생용 매트릭스 내부의 폴리비닐알콜 하이드로겔 고분자 지지체를 제거하여 상기 원통형 폴리비닐알콜(PVA) 하이드로겔 고분자 지지체와 동일한 굵기 3~100mm의 내경 크기를 가지는 튜브 형태의 기관 재생용 매트릭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 재생이 가능한 기관 재생용 매트릭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형태의 기관재생용 매트릭스는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중량평균분자량 1,000~1,000,000 g/mol인 친수성 고분자를 0.1~20 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인 기관 재생용 매트릭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oxide) 공중합체 (PEO-PPO 공중합체; Pluronic series),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틱산 (polyethylene oxide-polylactic acid) 공중합체(PEO-PLA),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틱글리콜산 [polyethylene oxide-poly(lactic-co-glycolic acid)] 공중합체 (PEO-PLGA),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카프로락톤 (polyethylene oxide-polycaprolactone) 공중합체 (PEO-PCL)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기관 재생용 매트릭스.

  9. 삭제
  10. 삭제
KR1020140143358A 2014-10-22 2014-10-22 점막 재생이 가능한 기관재생용 매트릭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7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358A KR101757397B1 (ko) 2014-10-22 2014-10-22 점막 재생이 가능한 기관재생용 매트릭스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358A KR101757397B1 (ko) 2014-10-22 2014-10-22 점막 재생이 가능한 기관재생용 매트릭스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634A KR20160047634A (ko) 2016-05-03
KR101757397B1 true KR101757397B1 (ko) 2017-07-13

Family

ID=5602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358A KR101757397B1 (ko) 2014-10-22 2014-10-22 점막 재생이 가능한 기관재생용 매트릭스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3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10405B (zh) * 2016-06-23 2019-10-11 国家纳米科学中心 一种功能化引导肌组织再生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494701B (zh) * 2019-01-31 2021-07-02 西北大学 具有不对称孔径的聚乙烯醇水凝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74751A (zh) * 2009-04-30 2010-11-03 复旦大学 一种多层多孔支架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74751A (zh) * 2009-04-30 2010-11-03 复旦大学 一种多层多孔支架及其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OH, S. H. and LEE, J.H. JOURNAL OF BIOMEDICAL MATERIALS RESEARCH PART A (2007) 80A(3) pp.530-538
VRANA, N. E. et al., JOURNAL OF VISUALIZED EXPERIMENTS (2013) 77(e5053) pp.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634A (ko)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umer et al. Cell-seeding and in vitro biocompatibility evaluation of polymeric matrices of PEO/PBT copolymers and PLLA
EP2811987B1 (en) Multi-layer biomaterial for tissue regeneration and wound healing
EP1926459B1 (en) Cell-support matrix having narrowly defined uniformly vertically and non-randomly organized porosity and pore density and a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JP6118905B2 (ja) 心臓修復パッチの新しいスキャフォールド
Day et al. In vivo characterisation of a novel bioresorbable poly (lactide-co-glycolide) tubular foam scaffold for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JP5398712B2 (ja) 鼓膜または外耳道再生剤
US7105580B2 (en) Porous structures useful for growing living tissue, and methods of manufacture
WO2010081408A1 (zh) 一种生物活性组织再生膜及其制备方法
EP3490624A1 (en) Nerve guidance conduits,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s thereof
Lee et al. Segmental tracheal reconstruction by 3 D‐printed scaffold: Pivotal role of asymmetrically porous membrane
KR101960598B1 (ko) 3d 프린팅 인공기관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EP3934707B1 (en) Biodegradable mesh implant for soft tissue repair, in particular hernia repair
Lin et al. Surface modification of poly (ε‐caprolactone) porous scaffolds using gelatin hydrogel as the tracheal replacement
Park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degradable anti-adhesive membrane for peritoneal wound healing
KR101757397B1 (ko) 점막 재생이 가능한 기관재생용 매트릭스 및 이의 제조방법
Wu et al. Fast degrading elastomer stented fascia remodels into tough and vascularized construct for tracheal regeneration
KR100806677B1 (ko)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이중막 구조를갖는 인공기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8418B1 (ko) 3d 프린팅으로 형성되며 장막-배양으로 보강된 인공 식도 및 그 제조방법
GB2599209A (en) Fibrous composite material
WO2010087015A1 (ja) 神経再生誘導管
JP5374496B2 (ja) 医療用組成物
KR101875587B1 (ko) 기관 재생 유도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9782B1 (ko) 약물전달시스템을 포함하는 세포담체
Ring et al. Improved neovascularization of PEGT/PBT copolymer matrices in response to surface modification by biomimetic coating
Lee et al. Surface modification of a guided tissue regeneration membrane using tetracycline‐containing biodegradable poly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