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187B1 - Window system for blocking out the fine dust - Google Patents

Window system for blocking out the fine du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187B1
KR101757187B1 KR1020170076438A KR20170076438A KR101757187B1 KR 101757187 B1 KR101757187 B1 KR 101757187B1 KR 1020170076438 A KR1020170076438 A KR 1020170076438A KR 20170076438 A KR20170076438 A KR 20170076438A KR 101757187 B1 KR101757187 B1 KR 101757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ter
window
fine dus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4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락출
Original Assignee
성락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락출 filed Critical 성락출
Priority to KR1020170076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1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1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B05B17/085Fountains designed to produce sheets or curtains of liquid, e.g. wate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충망프레임의 상부에서 하향으로 분사된 물이 바람에 의해 실내로 침입하여 발생하는 2차 오염 피해를 방지하고, 미세먼지가 섞인 물을 보관 후 따로 배수하여 제 3자에게 발생하는 피해를 방지하며, 분사된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이 얼지 않도록 하는 미세먼지 차단기능이 구비된 창문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창틀프레임과,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부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창틀프레임을 개폐하는 한 쌍의 창문과, 상기 창문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충망프레임과, 상기 방충망프레임의 내부 외측방향에 결합된 그물망 구조를 가진 방충망과, 상기 방충망프레임의 내부 내측방향에 결합되고, 상기 방충망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차단하도록 물의 분사를 통해 워터커튼(water curtain)을 형성하는 미세먼지차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damages of secondary pollution caused by the inflow of downward sprayed water from the upper part of the screen frame to the room by wind, draining the water mixed with fine dust and discharging it separately, The window apparatus includes a window frame frame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slidable inside the window frame frame to prevent dust from being frozen. A window screen frame having a pair of windows for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frame frame, an ins screen frame slidably installed inside the window frame frame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window, a screen net having a mesh structure coupled to the inside direction of the ins screen frame, A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direction of the insect screen frame to block fine dust flowing from the outside of the insect screen net It comprises parts of the lock off fine dust to form a water curtain (water curtain) through the water spray.

Description

미세먼지 차단기능이 구비된 창문장치{WINDOW SYSTEM FOR BLOCKING OUT THE FINE DUST}[0001] WINDOW SYSTEM FOR BLOCKING OUT THE FINE DUST [0002]

본 발명은 건물의 외부로부터 창으로 들어오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창문의 상부에서 하향으로 물을 분사하여 워터커튼을 형성하여 차단함으로써 미세먼지가 걸러진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미세먼지 차단기능이 구비된 창문장치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fine dust contained in air entering a window from the outside of a building is sprayed downward from an upper part of a window to form a water curtain to block the indoor air by introducing the outside air filtered by the fine dust into the interi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device having a fine dust barrier function.

사람들이 생활하는 주거공간은 사방이 벽으로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공급될 수 없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고, 실외의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여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거공간의 일면에 창틀프레임(10)을 설치하고, 창틀프레임(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문(20)을 통해 내부공기와 외부공기를 환기시킨다. 그러나 창문(20)을 열게 되면 창문을 통해 각종 해충과 먼지들이 유입되게 된다. 이러한 해충과 먼지들을 막기 위해 그물망으로 형성되어 해충이 건물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막고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공기는 통과시키는 방충망(40)을 설치한다.The residential space in which people liv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four sides are formed as walls and external air can not be supplied to the inside. 1 and 2, the window frame 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esidential space in order to discharge the air from the room to the outside and to supply the outside air to the inside to vent air, The indoor air and the outside air are ventilated through the window 20 slidably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10. However, when the window (20) is opened, various pests and dusts are introduced through the window. In order to prevent such pests and dusts, it is formed as a mesh to prevent insects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building, and an insect control net (40) for passing air from the outside is installed.

한편, 시대가 변하고 인간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인간의 편의를 위한 각종 시설과 장비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편의 시설과 장비는 환경오염이란 결과를 만들어냈고, 오염된 환경속에서 인간이 생존하기 위한 시설과 장비들을 개발하는 단계에 이르렀다.On the other hand, as the age changed and the quality of human life improved, various facilities and equipments for human convenience began to be created. These amenities and equipment have produced the consequence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have reached the stage of developing facilities and equipment for human survival in a polluted environment.

한 예로써 사람을 이송하는 장치인 자동차가 있다. 자동차는 천연가스나 석유와 같은 연료를 연소하여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장치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편의 장비중 하나이다.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는 공기 중에 장기간 떠다니며 대기오염을 발생시키고, 배기가스에는 아황산가스, 질소산화물, 납, 오존 및 일산화탄소 등과 같은 입경이 10나노미터 이하의 수많은 대기오염물질이 포함되어있다. 이러한 먼지를 미세먼지라 부르고 있다.As an example, there is a car that is a device for transporting people. Automobiles are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conveniences that utilize the energy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fuels such as natural gas and petroleum. Exhaust gases generated from automobiles float in the air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cause air pollution. Exhaust gases include a large number of air pollutants with particle diameters of 10 nanometers or less, such as sulfur dioxide, nitrogen oxides, lead, ozone, and carbon monoxide. Such dust is called fine dust.

미세먼지는 인체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물질이다. 1948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도노라에서 20명이 사망한 대기오염사고, 1952년 약 4,000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런던스모그 사건을 통해 미세먼지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다. 그 이후로 미세먼지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양한 역학조사가 실시되었고, 특히 10나노미터 이하의 미세먼지 입자가 질병발생률과 사망률을 높이는 등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후 대기오염대책을 마련하기 시작하며, 사람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대기오염기준도 마련하였다.Fine dust is a substance that greatly affects the human body. In 1948, an air pollution accident that killed 20 people in Donora, Pennsylvania, USA, and a London smog in 1952, which caused about 4,000 deaths, shows how fine dust affects the human body. Since then, various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effects of fine dust on the human body, and it has been found that particulate particles of less than 10 nanometers are highly likely to have a detrimental effect on the human body, such as increasing disease incidence and mortality. Since then, we have begun to prepare air pollution countermeasures, and we have also established air pollution standards to reduce human and environmental impacts.

또한, 미세먼지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한 각종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특히 사람들이 가장 오랜 시간 생활하는 주거공간에서 창문(20)을 통해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특허 10-1285409에서는 창틀프레임(10) 외부에 창틀프레임(10) 상부에서 하향으로 물을 분사시켜 창문(20)을 통해 들어오는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장치를 설치하는 방식을 사용한다.In addition, various techniques for protecting the human body from fine dust have been developed. In particular, various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block fine dust entering through windows 20 in the residential space where people live the longest. Korean Patent No. 10-1285409 discloses a method of disposing a device for blocking fine dust coming in through the window 20 by spraying water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window frame 10 to the outside of the window frame 10.

이 경우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비용 증가의 문제점뿐 만 아니라 분사되는 물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공기에 의해 실내로 들어와 오염된 물에 의한 2차적인 실내 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사되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조실이 창문의 외부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위험에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외부의 기온이 떨어지게 되면 수조실에 저장된 물이 얼어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In this case, since it is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not only is the installation cost increased, but also the injected water enters the room by the air coming in from the outside, which may cause secondary indoor pollution by contaminated water. 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receiving room for supplying water to be sprayed is installed outside the window, which is not only difficult to supply water but also exposed to danger. Particularly,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drop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drinking chamber can not be used to freeze.

또 다른 발명의 예로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12-0065650에서는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정전기를 발생시켜 공기 중의 먼지를 방충망에 집진하여 창틀프레임(10)의 상부에서 하향으로 물을 분사하여 방충망(40)에 집진된 먼지를 씻어내는 방식을 사용한다. 분사하기 위해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와 펌프가 방충망프레임(30)의 외부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작업이 어렵고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사된 후 미세먼지가 섞인 오염된 물을 담는 수조실이 따로 구비되지 않고 외부로 그대로 배수하여 건물 아래에 있는 자동차나 지나가는 행인에게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공기에 의해 분사된 물이 실내로 들어와 오염된 물에 의한 2차적인 실내 오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In another example of the inven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65650 generates static electricity by using ultrasonic vibration, dust in the air is collected in an insect screen, water is sprayed down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window frame 10, Use a method to wash dust collec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storage part for storing the water for spraying and the pump are installed outside the screen frame 30 to work for supplying water and are exposed to dange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fter the spraying, there is no separate water room for containing contaminated water mixed with fine dust, and the water is drained out to the outside, thereby damaging a car under the building or passers-by.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injected by the air coming from the outside enters into the room and secondary contamination by the contaminated water may occu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충망프레임의 상부에서 하향으로 분사된 물이 바람에 의해 실내로 침입하여 발생하는 2차 오염 피해를 방지하고, 미세먼지가 섞인 물을 보관 후 따로 배수하여 제 3자에게 발생하는 피해를 방지하며, 분사된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이 얼지 않도록 하는 미세먼지 차단기능이 구비된 창문자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prevents water from being sprayed downward from an upper portion of a screen fram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autonomous system which is provided with a fine dust blocking function for preventing damage caused to a third person by being drained after storage, storing sprayed water, and freezing stored wat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기능이 구비된 창문장치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창틀프레임과,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부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창틀프레임을 개폐하는 한 쌍의 창문과, 상기 창문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충망프레임과, 상기 방충망프레임의 내부 외측방향에 결합된 그물망 구조를 가진 방충망과, 상기 방충망프레임의 내부 내측방향에 결합되고, 상기 방충망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차단하도록 물의 분사를 통해 워터커튼(water curtain)을 형성하는 미세먼지차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ndow device having a fine dust-blocking function, the window device including a window frame frame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n insect screen having a pair of windows, an insect screen frame slidably installed inside the window frame frame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window, a net screen structure having a mesh structure coupled to the inside direction of the ins screen frame, And a fine dust barrier which forms a water curtain through the spray of water to block the fine dust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insect control net.

또한, 상기 미세먼지차단부는, 사각틀 형상으로 상기 방충망프레임의 내부 내측방향에 결합되는 차단프레임과, 상기 차단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수조실과, 상기 수조실의 일측 공간을 구획하여 수밀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수조실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가 설치된 펌프실과, 일단이 상기 펌프로부터 펌핑된 물을 공급받아 타단으로 이송하는 이송관과, 상기 차단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관의 타단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하방을 향해 각각 분사하도록 복수의 분사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형의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을 가이드하여 상기 차단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워터커튼을 형성하는 워터커튼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ne dust blocker may include a shielding fram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nsecting shield frame in a rectangular shape and a water tub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shielding frame to store water and a space in one side of the water receiving chamber A pump chamber formed to be watertight and having a pump for pumping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ing chamber therein, a transfer pipe for transferring the water pumped from the pump to the other end, An elongate injection nozzle in which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inject water supplied from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pipe downward, respectively, and a water jetting device for guiding water jetted from the jetting nozzle, And a water curtain forming portion for forming a water curtain.

또한, 상기 워터커튼형성부는, 각각이 상기 차단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로 배열 설치되고, 각각의 하단이 상기 방충망프레임의 내측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외측루버와, 각각이 상기 차단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외측루버 각각과 대칭되도록 설치되고, 각각의 하단이 상기 방충망프레임의 외측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내측루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curtain forming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outer louvers arranged vertically in the interception frame and each having a lower end inclined toward the inside lower side of the insect screen frame, And an inner louver provided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outer louvers, respectively, and each lower end of the inner louver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so as to face the outer lower side of the insect screen frame.

또한, 상기 워터커튼형성부는, 각각이 상기 차단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로 배열 설치되고, 각각의 하단이 상기 방충망프레임의 내측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외측루버와, 상기 차단프레임의 내부 내측방향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는 보조프레임과, 각각이 상기 보조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외측루버 각각과 대칭되도록 설치되고, 각각의 하단이 상기 방충망프레임의 외측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내측루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curtain form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outer louvers arranged vertically in the interception frame and each having a lower end inclined toward an inner lower side of the insect screening frame, And an inner louver provided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outer louvers, respectively, in the interior of the subframe, each of the inner louvers being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lower ends thereof are directed downward outside the insect screen frame .

또한, 상기 외측루버 및 내측루버 각각은, 광투과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each of the outer louver and the inner louver is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또한, 상기 수조실은, 내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tub may further include a drain valve that is installed to be openable and closable so as to drain the water stored therein.

또한, 상기 미세먼지차단부는, 상기 수조실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ne dust barrier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for heat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receiving chamber.

또한, 상기 미세먼지차단부는, 상기 펌프를 온오프시키는 펌프스위치와, 상기 히터를 온오프시키는 히터스위치와, 상기 수조실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상기 수조실에 저장된 물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상시 히터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icro dust blocking unit may include a pump switch for turning the pump on and off, a heater switch for turning the heater on and off,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receiving chamber,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temperature of the stored water and controlling the heater to be turned on and off.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물의 온도값과 기 설정된 상기 물의 온도설정값을 비교 판단하는 온도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tting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information o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from the temperature sensor and comparing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stored water with a preset temperature value of the water .

또한, 상기 온도설정부는, 상기 기 설정된 온도 설정값보다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저장된 물의 온도값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히터를 온시켜 상기 기 설정된 온도 설정값보다 상기 수조실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mperature sett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turn on the heater when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stored water receiv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is lower than the preset temperature setting value to set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receiving chamber Is controlled to be higher.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기능이 구비된 창문장치는, 방충망프레임의 내부에 수조실을 설치하여 분사된 물이 외부로 배수되지 않고, 수조실에 재저장되도록 하여 오염된 물에 의한 제 3자에게 가해지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The window device provided with the fine dust barrier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water receiving room is provided inside the screen frame to allow the water to be re-stored in the receiving room without draining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to the user.

또한, 수조실에 개폐 가능한 배수밸브를 설치하고, 호스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수조실에 저장된 물을 별도의 분해 작업없이 교체할 수 있게 하여 저장된 물의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In addition, a water drain valv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n the water supply room is provided, and the hose can be coupled, thereby allow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room to be replaced without any disassembly.

또한, 외측루버를 차단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로 배열하고, 각각의 하단이 방충망프레임의 내측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하며, 내측루버를 상기 보조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외측루버 각각과 대칭되도록 설치하고, 각각의 하단이 방충망프레임의 외측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분사된 물이 실내로 들어오지 않도록 방지한다.The inner louver is installed inside the subframe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f the outer louvers, and the outer louver is disposed inside the interrupting frame, Each lower end of the insect net frame is inclined so as to face the outer lower side of the insect screen frame to prevent the water injected from the outside from entering the room.

또한, 외측루버 및 내측루버를 서로 대칭되고, 지그재그로 배열하여 분사되는 물이 외측루버 및 내측루버의 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흐르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흩날리지 않도록 워터커튼(Water Curtain)을 형성할 수 있게 만들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louver and the inner louver are symmetrically arranged in a zigzag arrangement so that the water to be sprayed flows down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outer louver and the inner louver, and water curtains are prevented from being scattered by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fine dust introduced from the outside can be effectively blocked.

또한, 수조실의 내부에 히터를 설치하여 수조실에 저장된 물이 얼지 않도록 하여 기온에 상관없이 워터커튼을 형성하여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a heater is installed inside the water receiving chamber to prevent water stored in the water receiving chamber from freezing, thereby forming a water curtain regardless of the temperature, thereby blocking the fine dust.

또한, 펌프스위치를 부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워터커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히터스위치를 구비하여 수조실의 물이 얼지않는 날씨에서는 히터를 오프시킬 수 있도록 만들어 편리함과 불필요한 전력손실을 막을 수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by attaching a pump position, a water curtain can be 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In a weather where the water in the water making room does not freeze by providing a heater switch, the heater can be turned off to prevent convenience and unnecessary power loss .

또한, 온도센서와 제어부를 설치하여 수조실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낮을 경우 자동으로 히터를 온시켜 수조실의 물을 가열하여 저장된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In addition, a temperature sensor and a control unit are provid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receiving room, and when the temperature is low, the heater is automatically turned on to heat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ing room to prevent freezing of stored wat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대한 방충망이 설치된 창문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유리창이 열린 창문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기능이 구비된 창문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 중 창문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기능이 구비된 창문장치의 실시예 중 전원선과 배수호수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실시예 중 차단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기능이 구비된 창문장치의 워터커튼(Water Curtain)이 형성되는 물의 흐름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실시예 중 워터커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5의 실시예 중 배수밸브에 배수호스를 연결하여 수조실의 물을 배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1의 실시예의 A-A'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8의 실시예 중 분사된 물이 외측루버 및 내측루버의 경사면을 따라 차단프레임의 하방으로 흐르는 과정을 도 11의 실시예의 A-A'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13은 외부의 공기가 외측루버 및 내측루버를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기능이 구비된 창문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15는 도 5의 실시예 중 수조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ndow structure provided with an insect screen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window structure with a window opened in the embodiment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window device provided with a fine dust-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ndow is opened in the embodiment of FIG.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power line and a drainage lane among embodiments of a window device having a fine dust-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ure 5,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locking frame in the embodiment of FIG. 6,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a flow of water in which a water curtain of a window device having a fine dust-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curtain in the embodiment of FIG. 8,
10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raining water in a water receiving room by connecting a drain hose to a drain valve in the embodiment of FIG. 5,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the embodiment of FIG. 11,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1, illustrating the process in which the injected water flows downward along the slope of the outer louver and the inner louver of the embodiment of FIG. 8,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outside air flows into the inside through the outside louver and the inside louver,
FIG. 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window device having a fine dust-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ater receiving chamber of the embodiment of Fig. 5;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미세먼지 차단기능이 구비된 창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indow device having a fine dust barrier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기능이 구비된 창문장치는,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프레임(100), 창문(200), 방충망프레임(300), 방충망(400) 및 미세먼지차단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 to 6, the window device with the fine dust-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window frame 100, the window 200, the screen net 300, the screen net 400, (500).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창틀프레임(100)과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부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창틀프레임(100)을 개폐하는 한 쌍의 창문(200)과 상기 창문(200)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창틀프레임(10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충망프레임(300)과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의 내부 외측방향에 결합된 그물망 구조를 가진 방충망(400)과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의 내부 내측방향에 결합되고, 상기 방충망(40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차단하도록 물의 분사를 통해 워터커튼(water curtain)을 형성하는 미세먼지차단부(500)로 이루어 진다. 이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창문 구조물의 구조와 동일하며, 방충망프레임(300)에 미세먼지차단부(50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미세먼지 차단기능이 구비된 창문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창틀프레임(100) 및 창문(200)을 교체할 필요가 없는 구조로 설치비용을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 window frame 100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s shown in FIGS. 3 and 4 and a pair of windows 200 slidably installed inside the window frame 100 to open and close the window frame 100, An insect screen frame 300 slidably installed inside the window frame 100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window 200 and an insect screen 400 having a mesh structur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ns screen frame 300 And a fine dust block 500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nsect screen frame 300 and forming a water curtain through the spray of water to block the fine dust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insect control net 400 ). This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window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it is possible to install and use the fine dust blocking part 500 in the screen frame 300,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the window frame 100 and the window 200 in order to install the provided window device, and the installation cost can be reduced.

미세먼지차단부(500)는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프레임(510), 수조실(520), 펌프실(530), 이송관(540), 분사노즐(550), 워터커튼형성부(560), 히터(570), 펌프스위치(581), 히터스위치(582), 온도센서(583) 및 제어부(590)로 이루어진다.7 and 8, the fine dust blocking unit 500 includes a blocking frame 510, a water receiving chamber 520, a pump chamber 530, a transfer pipe 540, a spray nozzle 550, a water curtain forming unit 550, A heater switch 560, a heater 570, a pump position 581, a heater switch 582, a temperature sensor 583, and a control unit 590.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프레임(510)은 사각틀 형상으로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의 내부 내측방향에 결합되고, 상기 차단프레임(510)의 하부에 설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수조실(520)이 있다. 수조실(520)이 차단프레임(5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조실(520)에 저장된 물을 교체 시에 방충망(400)을 열어 외부에 부착된 수조실(520)를 해체하여 저장된 물을 교체해야 되는 종래 기술의 미세먼지 차단장치의 단점을 보완하였다.7 and 8, the blocking frame 51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nsecting net frame 300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locking frame 510, (520). The water receiving chamber 520 is installed inside the blocking frame 510 to open the insecting net 400 to dismantle the water receiving chamber 520 attached to the outside to replace the stored water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receiving chamber 520 is replace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fine dust barrier device.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실(530)은 상기 수조실(520)의 일측 공간을 구획하여 수밀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수조실(520)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531)를 설치하여 수조실(520)에 저장된 물을 후술하는 분사노즐(550)로 이송한다. 수조실(520)과 펌프(531)를 동일한 위치상에 배치하는 구조는 저장된 물을 차단프레임(510)의 상부로 이송하고, 이송된 물이 후술하는 분사노즐(550)을 통해 차단프레임(510)의 하방으로 분사된 물을 다시 수조실(520)가 저장하게 하여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해야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불필요한 공간을 줄여 장치를 소형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8, the pump chamber 530 is formed to be watertight by dividing one space of the water receiving chamber 520, and a pump 531 for pumping water in the water receiving chamber 520 is installed therein And transfer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receiving chamber 520 to an injection nozzle 550 to be described later. The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receiving chamber 520 and the pump 531 are disposed on the same position transports the stored wate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hut-off frame 510 and the water is transferred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550 The water suppl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receiving chamber 520 is stored again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 of continuously supplying water, and the unnecessary space can be reduced to miniaturize the apparatus.

또한, 이송관(540)은 일단이 상기 펌프(531)로부터 펌핑된 물을 공급받아 타단으로 이송하고, 분사노즐(550)은 상기 차단프레임(5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관(540)의 타단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하방을 향해 각각 분사하도록 복수의 분사홀(551)이 길이방향을 따라 장형으로 형성된다. The transfer pipe 540 receives the water pumped from the pump 531 and transfers the water to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pipe 540. The injection nozzle 55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hut-off frame 510, A plurality of spray holes 551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spray the water supplied from the other end of the spray nozzle 551 downward.

또한, 워터커튼형성부(560)는 상기 분사노즐(550)로부터 분사되는 물을 가이드하여 상기 차단프레임(510)의 내부에 상기 워터커튼(WC)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단프레임(510)에서 물의 흐름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The water curtain forming unit 560 guides the water sprayed from the injection nozzle 550 to form the water curtain WC in the shut-off frame 510. As described above, the flow of water in the blocking frame 510 can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실(520)에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을 펌프실(530)에 설치된 펌프(531)가 흡입하여 펌핑하여 펌프(530)와 연결된 이송관(540)을 통해 분사노즐(550)로 이송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송된 물이 분사노즐(550)의 분사홀(551)을 통해 하방으로 분사되고, 분사된 물은 워터커튼형성부(560)를 따라 다시 수조실(520)에 담기게 된다. 수조실(520)에 담긴 물은 다시 펌프(531)를 통해 분사노즐(550)로 이송되고, 분사되어 하방으로 떨어져 다시 수조실(520)에 담기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 기술의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해야되는 미세먼지 차단장치의 문제점을 보완한 것이다.8, the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receiving chamber 520 and the stored water is sucked and pumped by the pump 531 installed in the pump chamber 530 to connect the transfer pipe 540 connected to the pump 530 To the injection nozzle 550. [ Next, the transferred water is injected downward through the injection hole 551 of the injection nozzle 550, and the injected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receiving chamber 520 along the water curtain forming part 560.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ceiving chamber 520 is conveyed to the injection nozzle 550 through the pump 531, sprayed downward, and then dropped into the water receiving chamber 520 again. This structure complement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microdirt interception device which must continuously supply water.

상술한 워터커튼형성부(5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루버(561), 내측루버(562) 및 보조프레임(5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curtain forming portion 560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louver 561, an inner louver 562 and an auxiliary frame 563 as shown in Fig.

외측루버(561)는 각각이 상기 차단프레임(510)의 내부에 상하로 배열 설치되고, 각각의 하단이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의 내측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Each of the outer louvers 561 is vertically arranged in the interception frame 510 and each lower end of the outer louver 561 is inclined so as to face the inner lower side of the insect screen frame 300.

내측루버(562)는 각각이 상기 차단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외측루버(561) 각각과 대칭되도록 설치되고, 각각의 하단이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의 외측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외측루버(561)의 하단이 내측루버(562)의 하단보다 상향으로 설치되는 경우, 도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550)을 통해 분사된 물이 먼저 외측루버(561)의 경사면을 따라 흐르게 되고, 외측루버(551)의 하단에서 떨어진 물이 내측루버(562)의 경사면을 따라 흐르게 되며, 내측루버(562)의 하단에서 떨어진 물은 다시 외측루버(551)의 경사면을 따라 흐르게 된다.Each of the inner louvers 562 is provid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f the outer louvers 561 in the interception frame and each lower end is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face the outer lower side of the insect screen frame 300. 10 and 11, when the lower end of the outer louver 561 is installed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inner louver 562, the water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550 is first introduced into the outer louver 561, The water that has fallen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louver 551 flow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ner louver 562 and the water that falls from the lower end of the inner louver 562 flows again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outer louver 551 .

다른 예로 내측루버(562)의 하단이 외측루버(561)의 하단보다 상향으로 설치되는 경우, 분사노즐(550)을 통해 분사된 물이 먼저 내측루버(562)의 경사면을 따라 흐르게 되고, 내측루버(562)의 하단에서 떨어진 물이 외측루버(561)의 경사면을 따라 흐르게 되며, 외측루버(561)의 하단에서 떨어진 물은 다시 내측루버(562)의 경사면을 따라 흐르게 된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lower end of the inner louver 562 is installed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louver 561, the water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550 first flows along the slope of the inner louver 562, The water dropp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louver 562 flows along the slope of the outer louver 561 and the water that falls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louver 561 flows again along the slope of the inner louver 562. [

이러한 구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커튼(WC)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를 통과시켜 내부로 공급하고, 분사된 물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공기에 의해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분사된 물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공기에 의해 실내로 들어와 오염된 물에 의한 2차적인 실내 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is structure not only can effectively form the water curtain WC as shown in FIG. 11 but also supplies the inside air through the outside air as shown in FIG. 12, Thereby prevent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injected water enters the room by the air coming in from the outside and secondary pollution of the room is caused by the contaminated water.

또한, 워터커튼형성부(560)를 상술한 바와 같이 외측루버(561)와 상기 차단프레임(510)의 내부 내측방향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는 보조프레임(563)과 각각이 상기 보조프레임(563)의 내부에 상기 외측루버(561) 각각과 대칭되도록 설치되고, 각각의 하단이 상기 방충망프레임(300)의 외측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내측루버(562)를 제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curtain forming portion 560 is connected to the outer louver 561 and the auxiliary frame 563,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blocking frame 510, The inner louvers 562 may be formed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outer louvers 561 in the interior of the insect screen frame 300 and formed so that their lower ends are inclined toward the outer lower side of the insect screen frame 300.

보조프레임(563)을 제작하여 내측루버(562)를 설치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프레임(563)을 해체하여 외측루버(561)를 유지 보수할 수 있고, 수조실(520)에 저장된 물을 교체하기 용이하게 된다.9, the auxiliary frame 563 can be disassembled to maintain the outer louver 561, and the inner louver 562 can be maintained in the receiving chamber 520 The water can be easily replaced.

이때, 외측루버(561) 및 내측루버(562)를 광투과성 재질로 제작하여 각각의 루버에 의한 시야차단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er louver 561 and the inner louver 562 may be made of a light-transmissive material, thereby preventing the field of view from being blocked by each louver.

더 나아가 수조실(520)에 저장된 물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밸브(521)를 설치할 수 있다. 배수밸브(521)를 설치하게 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호수를 배수밸브(521)에 결합하여 수조실(520)에 저장된 오염된 물을 손쉽게 배수할 수 있다. Furthermore, in order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receiving chamber 520, a drain valve 521, which is openably and closably installed to drain the water stored inside, may be installed as shown in FIG. When the drain valve 521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13, the drain water is connected to the drain valve 521 to easily drain the contaminated water stored in the water receiving chamber 520.

또 다른 문제인 기온이 낮을 경우 수조실(520)에 저장된 물이 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미세먼지차단부(500)의 상기 수조실(52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570)를 설치할 수 있다. 히터(570)를 설치할 경우 미세먼지차단부(500)를 사용하지 않아 수조실(520)에 저장된 물이 어는 경우 전원을 연결하여 히터(570)를 작동시켜 수조실(520)에 저장된 물을 해빙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receiving chamber 520 from being frozen when the air temperature is low, a heater 570 for heat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receiving chamber 520 of the fine dust blocking unit 500 Can be installed.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receiving chamber 520 is frozen without using the fine dust blocker 500 when the heater 570 is used, the heater 570 is operated by connecting the power source to dissolv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receiving chamber 520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또한, 펌프(531)와 히터(570)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도 14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531)를 온오프시키는 펌프스위치(581)와 상기 히터(570)를 온오프시키는 히터스위치(582)와 상기 수조실(52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583)와 상기 온도센서(583)로부터 상기 수조실(520)에 저장된 물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히터(570)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90)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In order to efficiently use the pump 531 and the heater 570, a pump position 581 for turning the pump 531 on and off and the heater 570 are turned on and off as shown in FIGS. 14 and 15 A heater switch 582 and a temperature sensor 583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receiving chamber 520 and information o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receiving chamber 520 from the temperature sensor 583, The control unit 59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control the ON /

이때, 제어부(59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센서(583)로부터 상기 수조실(520)에 저장된 물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물의 온도값과 기 설정된 상기 물의 온도설정값을 비교 판단하는 온도설정부(591)가 있어서 자동으로 히터(570)을 작동시킬 수 있다.14, the control unit 590 receives and stores information o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receiving room 520 from the temperature sensor 583, and stores the stored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receiving room 520, The temperature setting unit 591 for comparing and judging the temperature set value can automatically operate the heater 570. [

즉, 온도설정부(591)는 상기 기 설정된 온도 설정값보다 상기 온도센서(583)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저장된 물의 온도값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히터(570)를 온시켜 상기 기 설정된 온도 설정값보다 상기 수조실(520)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stored water receiv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583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setting value, the temperature setting unit 591 turns on the heater 570 to set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setting value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receiving chamber 520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water.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창문(200)을 열어 미세먼지를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 전원을 연결하여 펌프스위치(581)를 온하게 되면, 워터커튼(WC)이 형성되어 미세먼지를 차단하게 된다. This configuration makes the user optional. When the window 200 is opened to cut off the fine dust, when the power source is connected and the pump position 581 is turned on, the water curtain WC is formed to block the fine dust.

또 다른 경우 창문(200)을 열어 미세먼지를 차단하고자 할 때 수조(520)에 저장된 물이 언 경우 전원을 연결하게 되면 온도센서(583)에서 수조(52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고, 제어부(590)에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정보와 온도설정부(591)에 기 설정된 온도설정값과 비교하여 히터(570)를 자동으로 작동시킨다. 이후 수조(520)에 저장된 물이 해빙되면 펌프스위치(581)를 온하여 워터커튼(WC)을 형성하여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다.In another case,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520 is opened when the window 200 is opened to cut off the fine dust, the temperature sensor 583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520, (590) and compares the received information with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et value in the temperature setting unit (591) to automatically operate the heater (570). Thereafter,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520 is thawed, the pump 581 is turned on to form the water curtain WC to block the fine dust.

또한, 미세먼지 농도가 낮을 경우 전원이 연결되어 있어도 펌프스위치(581)를 오프시켜 장치를 멈출 수 있다. 이러한 장치구성은 불필요한 전력손실을 막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Further,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low, the pump position 581 can be turned off to stop the apparatus even if the power source is connected. Such a device configuration prevents unnecessary power loss and provides convenience to the user.

마지막으로 미세먼지차단부(500)에 필터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분사된 물이 미세먼지와 섞여 수조(520)에 재저장되었을 경우 오염된 물을 펌프(531)가 흡입하여 오작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Finally, a filter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fine dust blocker 500 to prevent the contaminated water from being sucked by the pump 531 and malfunctioning when the sprayed water is mixed with fine dust and re-stored in the water tank 520 hav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C : 워터커튼(Water Curtain)
10 : 창틀프레임
20 : 창문
30 : 방충망프레임
40 : 방충망
100 : 창틀프레임
200 : 창문
300 : 방충망프레임
400 : 방충망
500 : 미세먼지차단부 510 : 차단프레임
520 : 수조실 521 : 배수밸브
530 : 펌프실 531 : 펌프
540 : 이송관
550 : 분사노즐 551 : 분사홀
560 : 워터커튼형성부 561 : 외측루버
562 : 내측루버 563 : 보조프레임
570 : 히터
581 : 펌프스위치 582 : 히터스위치
583 : 온도센서
590 : 제어부 591 : 온도설정부
WC: Water Curtain
10: window frame frame
20: Window
30: Screen frame
40: Screening screen
100: window frame frame
200: Window
300: screen frame
400: insect screen
500: fine dust blocking part 510: blocking frame
520: Water conditioning room 521: Drain valve
530: pump chamber 531: pump
540: Transfer pipe
550: injection nozzle 551: injection hole
560: Water curtain forming portion 561: Outer louver
562: Inner louver 563: Auxiliary frame
570: Heater
581: Pump position 582: Heater switch
583: Temperature sensor
590: Control section 591: Temperature setting section

Claims (10)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창틀프레임과,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부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창틀프레임을 개폐하는 한 쌍의 창문과, 상기 창문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충망프레임과, 상기 방충망프레임의 내부 외측방향에 결합된 그물망 구조를 가진 방충망과, 상기 방충망프레임의 내부 내측방향에 결합되고, 상기 방충망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차단하도록 물의 분사를 통해 워터커튼(water curtain)을 형성하는 미세먼지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먼지차단부는,
사각틀 형상으로 상기 방충망프레임의 내부 내측방향에 결합되는 차단프레임과, 상기 차단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수조실과, 상기 수조실의 일측 공간을 구획하여 수밀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수조실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가 설치된 펌프실과, 일단이 상기 펌프로부터 펌핑된 물을 공급받아 타단으로 이송하는 이송관과, 상기 차단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관의 타단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하방을 향해 각각 분사하도록 복수의 분사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형의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을 가이드하여 상기 차단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워터커튼을 형성하는 워터커튼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커튼형성부는,
각각이 상기 차단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로 배열 설치되고, 각각의 하단이 상기 방충망프레임의 내측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외측루버와,
각각이 상기 차단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외측루버 각각과 대칭되도록 설치되고, 각각의 하단이 상기 방충망프레임의 외측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내측루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기능이 구비된 창문장치.
A window frame frame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 pair of windows slidably installed inside the window frame fram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indow frame frame, and an insect screening slidably installed inside the window frame frame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window frame A screen frame having a frame and a net structure coupled to the inside direction of the screen frame; and a water curtain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creen frame to block fine dust from the outside of the screen web, water curtain, wherein the fine dust barrier comprises:
The micro dust-
A shielding fram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nsecting shield frame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 water tub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hielding frame to store water; and a watertight compartment formed at one side of the water collecting compartment to be watertight, A transfer tube for transferring the water pumped from the pump to the other end, and a transfer tub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hut-off fram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tube, And a water curtain forming unit for guiding the water jetted from the jetting nozzles and forming the water curtain inside the blocking frame and,
Wherein the water curtain forming por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outer louvers, each of which is vertically arranged in the inside of the shielding frame, each lower end of which is inclined so as to face the inner lower side of the insect screen frame;
And an inner louver install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f the outer louvers inside the blocking frame and each having a lower end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face the outer lower side of the insect screen frame.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창틀프레임과,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부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창틀프레임을 개폐하는 한 쌍의 창문과, 상기 창문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충망프레임과, 상기 방충망프레임의 내부 외측방향에 결합된 그물망 구조를 가진 방충망과, 상기 방충망프레임의 내부 내측방향에 결합되고, 상기 방충망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차단하도록 물의 분사를 통해 워터커튼(water curtain)을 형성하는 미세먼지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먼지차단부는,
사각틀 형상으로 상기 방충망프레임의 내부 내측방향에 결합되는 차단프레임과, 상기 차단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수조실과, 상기 수조실의 일측 공간을 구획하여 수밀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수조실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가 설치된 펌프실과, 일단이 상기 펌프로부터 펌핑된 물을 공급받아 타단으로 이송하는 이송관과, 상기 차단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관의 타단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하방을 향해 각각 분사하도록 복수의 분사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형의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을 가이드하여 상기 차단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워터커튼을 형성하는 워터커튼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커튼형성부는,
각각이 상기 차단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로 배열 설치되고, 각각의 하단이 상기 방충망프레임의 내측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외측루버와,
상기 차단프레임의 내부 내측방향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는 보조프레임과,
각각이 상기 보조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외측루버 각각과 대칭되도록 설치되고, 각각의 하단이 상기 방충망프레임의 외측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내측루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기능이 구비된 창문장치.
A window frame frame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 pair of windows slidably installed inside the window frame fram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indow frame frame, and an insect screening slidably installed inside the window frame frame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window frame A screen frame having a frame and a net structure coupled to the inside direction of the screen frame; and a water curtain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creen frame to block fine dust from the outside of the screen web, water curtain, wherein the fine dust barrier comprises:
The micro dust-
A shielding fram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nsecting shield frame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 water tub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hielding frame to store water; and a watertight compartment formed at one side of the water collecting compartment to be watertight, A transfer tube for transferring the water pumped from the pump to the other end, and a transfer tub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hut-off fram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tube, And a water curtain forming unit for guiding the water jetted from the jetting nozzles and forming the water curtain inside the blocking frame and,
Wherein the water curtain forming por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outer louvers, each of which is vertically arranged in the inside of the shielding frame, each lower end of which is inclined so as to face the inner lower side of the insect screen frame;
An auxiliary frame inserted and coupled so as to be detachable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blocking frame,
And an inner louver provided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f the outer louvers inside the subframe and each lower end of the inner louver is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face the outer lower side of the insect screen frame. Device.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루버 및 내측루버 각각은,
광투과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기능이 구비된 창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each of the outer louver and the inner louver includes:
Wherein the window device is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실은,
내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기능이 구비된 창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In the water tank,
Further comprising a drain valve that is installed to be openable and closable so as to drain the water stored in the inside to the outsi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차단부는,
상기 수조실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기능이 구비된 창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icro dust-
Further comprising a heater for heat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receiving chamb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차단부는,
상기 펌프를 온오프시키는 펌프스위치와,
상기 히터를 온오프시키는 히터스위치와,
상기 수조실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상기 수조실에 저장된 물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히터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기능이 구비된 창문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icro dust-
A pump position for turning the pump on and off,
A heater switch for turning the heater on and off,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receiving chamber,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receiving chamber from the temperature sensor and controlling the heater to be turned on and off.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물의 온도값과 기 설정된 상기 물의 온도설정값을 비교 판단하는 온도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기능이 구비된 창문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Further comprising a temperature setting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information on the temperature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from the temperature sensor and for comparing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stored water with a preset temperature value of the water, A window device with a buil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설정부는,
상기 기 설정된 온도 설정값보다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저장된 물의 온도값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히터를 온시켜 상기 기 설정된 온도 설정값보다 상기 수조실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기능이 구비된 창문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emperature-
When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stored water receiv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set value, the heater is turned on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drinking chamber to be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set value A window device having a fine dust-blocking function.
KR1020170076438A 2017-06-16 2017-06-16 Window system for blocking out the fine dust KR1017571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438A KR101757187B1 (en) 2017-06-16 2017-06-16 Window system for blocking out the fine du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438A KR101757187B1 (en) 2017-06-16 2017-06-16 Window system for blocking out the fine du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187B1 true KR101757187B1 (en) 2017-07-12

Family

ID=5935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438A KR101757187B1 (en) 2017-06-16 2017-06-16 Window system for blocking out the fine du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187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2395A (en) * 2018-03-20 2018-08-17 弓浩宇 A kind of window removes haze purifier
KR101933510B1 (en) * 2017-08-28 2019-04-05 조범진 Rain curtain for windows and doors
KR102068984B1 (en) * 2019-07-05 2020-01-22 아신씨엔티 주식회사 System for measuring and reducing fine dust
KR102095204B1 (en) * 2019-06-24 2020-03-31 박종호 Window System For Cutting Off Fine Dusts
KR102109296B1 (en) * 2019-05-17 2020-05-11 강광배 a window guard with spray function to remove fine dust
KR20200126250A (en) * 2019-04-29 2020-11-06 이경욱 Air intake reducing device of fine dust
US11806727B2 (en) 2018-03-26 2023-11-07 Lg Electronics Inc. Window-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on ba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7850B2 (en) * 1991-02-22 2001-07-16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Multi-stage stop position control device for motor actuator
KR101285409B1 (en) * 2012-09-19 2013-07-11 류동목 Shielding apparatus of dust comi ng into the window of a building
CN203783427U (en) * 2014-04-01 2014-08-20 冯涛 Automatically-cleaned dustproof screen window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7850B2 (en) * 1991-02-22 2001-07-16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Multi-stage stop position control device for motor actuator
KR101285409B1 (en) * 2012-09-19 2013-07-11 류동목 Shielding apparatus of dust comi ng into the window of a building
CN203783427U (en) * 2014-04-01 2014-08-20 冯涛 Automatically-cleaned dustproof screen window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510B1 (en) * 2017-08-28 2019-04-05 조범진 Rain curtain for windows and doors
CN108412395A (en) * 2018-03-20 2018-08-17 弓浩宇 A kind of window removes haze purifier
US11806727B2 (en) 2018-03-26 2023-11-07 Lg Electronics Inc. Window-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on ba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00126250A (en) * 2019-04-29 2020-11-06 이경욱 Air intake reducing device of fine dust
KR102197571B1 (en) * 2019-04-29 2021-01-04 이경욱 Air intake reducing device of fine dust
KR102109296B1 (en) * 2019-05-17 2020-05-11 강광배 a window guard with spray function to remove fine dust
KR102095204B1 (en) * 2019-06-24 2020-03-31 박종호 Window System For Cutting Off Fine Dusts
KR102068984B1 (en) * 2019-07-05 2020-01-22 아신씨엔티 주식회사 System for measuring and reducing fine dus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187B1 (en) Window system for blocking out the fine dust
CA2135437C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unit with automatically controlled water spray air purification system
KR20090026869A (en) A container for transportation of living fish and shellfish
US201501142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replacement of gas turbine inlet air filter elements
KR102033486B1 (en) Fine dust removal and smoke discharge system using water
KR200417748Y1 (en)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tunnel
KR102256209B1 (en) Appratus of purifying of indoor air
CN109611998B (en) Self-cleaning ventilator for building and working method thereof
KR102377575B1 (en) Smoke exhausting system for garage of fire station
KR20190000356U (en) Air Supply System for Air Supply Pipe with Self-Cleaning Fucntion
KR102095204B1 (en) Window System For Cutting Off Fine Dusts
KR20180003751A (en) Smoking booth
CN105944487A (en) Liquid filtration type enclosed space air purifying method
US6840987B1 (en) Air filtering apparatus
CN116518461A (en) Air conditioner
US7354473B2 (en) NBC-building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KR102305155B1 (en) Bad-smell decreasing Apparatus
CN104492217B (en) A kind of dust arrester
CN108168004A (en) A kind of window based on interior circulation pattern carries fresh air purifier
KR101420241B1 (en) Camping Circulator
KR20210069248A (en) Smart fittings system for preventing insect with electrical shock
KR101259671B1 (en) Method for enlarging ventilation by using air supply and exhaust mixing in equipment for window
KR101273019B1 (en) Ventilation equipment for window
KR101254413B1 (en) Discharging module of ventilation equipment for window
JPH112445A (en) Ventilation system for indoor 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