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113B1 - 연소기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 - Google Patents

연소기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113B1
KR101757113B1 KR1020160054622A KR20160054622A KR101757113B1 KR 101757113 B1 KR101757113 B1 KR 101757113B1 KR 1020160054622 A KR1020160054622 A KR 1020160054622A KR 20160054622 A KR20160054622 A KR 20160054622A KR 101757113 B1 KR101757113 B1 KR 101757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path
combustor
load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빈
윤지수
주성필
김정진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54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1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72Other features
    • C10J3/723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gasification proc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00Controlling gas-turbine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 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4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conversion of synthesis gas
    • C10J2300/1643Conversion of synthesis gas to energy
    • C10J2300/1653Conversion of synthesis gas to energy integrated in a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
    • F23N2023/40
    • F23N2037/1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Y02E20/18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 e.g. combined with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Abstract

연소기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IGCC(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플랜트의 가스터빈의 연소 시작시에 발생 되는 연소 불안정을 회피할 수 있는 연소기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에 있어서, 연료 조성 및 부하에 증가에 따른 연소 불안정 영역이 표시되는 지도를 생성하는 지도생성단계; 부하 증가에 따른 연료 조성의 천이 경로로써 상기 지도에 표시되는 연소 불안정 영역을 회피하면서 연소기가 기동될 수 있는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생성단계; 및 상기 경로에 따라 상기 연소기를 기동하는 기동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경로생성단계는, 터빈의 부하를 증가시키는 인가단계와, 상기 연소기의 연소공간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대한 정보인 진동정보와 상기 연소공간에서 발생되는 온도에 대한 정보인 온도정보를 기초로 상기 연소공간에서 발생되는 화염의 안정성을 확인하는 제1확인단계와, 상기 제1확인단계에 따라 상기 화염이 안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연소공간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조성을 천이시키는 천이단계와, 상기 천이단계 이후 상기 진동정보와 상기 온도정보를 기초로 상기 화염의 안정성을 확인하는 제2확인단계와, 상기 제2확인단계에 따라 상기 화염이 안정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연소공간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조성을 복귀시킨 다음 상기 제1확인단계를 실시하는 복귀단계와, 상기 제2확인단계에 따라 상기 화염이 안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터빈의 부하를 최대로 증가시키는 증가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천이단계는, 상기 연소공간으로 공급되는 연료에 포함되는 CH4의 일부 또는 전부를 H2 또는 CO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귀단계는, 상기 연소공간으로 공급되는 연료에 포함되는 H2 또는 CO 중 어느 하나 이상을 CH4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소기의 시동시에 발생하는 연소의 불안정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소기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METHOD OF AVOIDING COMBUSTION INSTABILITY WHEN COMBUSTION APPARATUS START}
본 발명은 연소기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 불안정 영역을 회피하는 경로로 연소기를 기동시킴으로써, 연소기의 시동시에 발생하는 연소의 불안정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는 연소기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에 관한 것이다.
IGCC(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란 석탄가스화복합발전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석탄원료로부터 전기뿐 아니라 수소, 액화석유까지 만들 수 있는 차세대 석탄발전기술이다.
이러한 IGCC는 현재 상용화 초기단계의 기술이지만, 2010년 이후 미국이 정부의 지원을 받아 IGCC 상용화 개발을 주도하고 있으며, 한국의 경우 2006년 12월 산업자원부를 중심으로 차세대 청정 석탄기술 상용화를 위한 준비를 시작해 300㎿급 한국형 IGCC 설계기술을 국산화하고 실증 플랜트를 건설하기 위해 6000억 원 규모의 대형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한편, IGCC 플랜트의 가스터빈의 초기 구동시에는 CH4 에서 H2와 CO를 포함하는 합성가스로의 천이과정이 필수적인데, 합성가스의 H2와 CO 비율은 연소기에서 발생되는 화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합성가스의 H2와 CO 비율은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의 비율에 따라 큰 차이가 있는데, 합성가스의 CO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화염의 안정성은 크게 떨어진다.
종래의 IGCC 플랜트의 연소기는 가스터빈의 초기 구동시부터 부하가 최대로 되는 시점까지 CH4 에서 합성가스로의 천이를 선형적으로 증가시켰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천이과정이 선형적이었기 때문에, 부하의 크기에 따라서 합성가스의 비율이 높은 구간, 즉, 화염의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는 구간인 위험구간에서 연소가 진행되는 경우가 필수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화염의 불안정 구간에서 연소기가 작동하게 되면, 연소기의 연소효율 및 안정성 등에 큰 문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염의 안정성은 연소기의 초기 기동과정에 큰 장애가 되므로, 연소기의 초기 기동과정에서 이러한 화염의 불안정을 최대한 회피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연소 불안정 영역을 회피하는 경로로 연소기를 기동시킴으로써, 연소기의 시동시에 발생하는 연소의 불안정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는 연소기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연소기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IGCC(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플랜트의 가스터빈의 연소 시작시에 발생 되는 연소 불안정을 회피할 수 있는 연소기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에 있어서, 연료 조성 및 부하에 증가에 따른 연소 불안정 영역이 표시되는 지도를 생성하는 지도생성단계; 부하 증가에 따른 연료 조성의 천이 경로로써 상기 지도에 표시되는 연소 불안정 영역을 회피하면서 연소기가 기동될 수 있는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생성단계; 및 상기 경로에 따라 상기 연소기를 기동하는 기동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경로생성단계는, 터빈의 부하를 증가시키는 인가단계와, 상기 연소기의 연소공간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대한 정보인 진동정보와 상기 연소공간에서 발생되는 온도에 대한 정보인 온도정보를 기초로 상기 연소공간에서 발생되는 화염의 안정성을 확인하는 제1확인단계와, 상기 제1확인단계에 따라 상기 화염이 안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연소공간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조성을 천이시키는 천이단계와, 상기 천이단계 이후 상기 진동정보와 상기 온도정보를 기초로 상기 화염의 안정성을 확인하는 제2확인단계와, 상기 제2확인단계에 따라 상기 화염이 안정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연소공간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조성을 복귀시킨 다음 상기 제1확인단계를 실시하는 복귀단계와, 상기 제2확인단계에 따라 상기 화염이 안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터빈의 부하를 최대로 증가시키는 증가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천이단계는, 상기 연소공간으로 공급되는 연료에 포함되는 CH4의 일부 또는 전부를 H2 또는 CO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귀단계는, 상기 연소공간으로 공급되는 연료에 포함되는 H2 또는 CO 중 어느 하나 이상을 CH4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 경로는, 터빈의 부하를 기설정된 값까지 인가하는 제1경로와, 터빈의 부하가 기설정된 값으로 인가된 상태에서 연료의 조성을 천이시키는 제2경로와, 연료의 조성의 천이가 완료된 이후 터빈의 부하를 최대로 인가하는 제3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값은, 45% 내지 55%일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소기의 시동시에 발생하는 연소의 불안정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의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의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에서 사용되는 연료의 조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의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의 지도생성단계에 따라 생성되는 지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의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의 지도생성단계에 따라 생성되는 지도에 종래의 IGCC 플랜트의 연소기에서 부하가 증가함에 따른 연료의 천이경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의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의 경로생성단계에 의해서 생성되는 경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의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의 경로를 생성하는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의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의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의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에서 사용되는 연료의 조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의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의 지도생성단계에 따라 생성되는 지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의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의 지도생성단계에 따라 생성되는 지도에 종래의 IGCC 플랜트의 연소기에서 부하가 증가함에 따른 연료의 천이경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의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의 경로생성단계에 의해서 생성되는 경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의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의 경로를 생성하는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의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S100)은 지도생성단계(S110)와 경로생성단계(S120)와 기동단계(S130)를 포함한다.
지도생성단계(S110)는 연료 조성 및 부하에 증가에 따른 연소 불안정 영역이 표시되는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지도생성단계(S110)는 CH4, H2 및 CO로 연료의 조성을 변경해 가며 연소 시험을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써 구현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지도는 연료의 조성 및 부하의 증가에 따라 연소 불안정 영역을 표시한다. 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빈의 부하가 증가됨과 함께 연료의 조성에 천이가 CH4에서 H2 및 CO로 진행되면, 연소 불안정 영역이 확대된다.
경로생성단계(S120)는 부하 증가에 따른 연료 조성의 천이 경로로써, 연소 불안정 영역을 회피하면서 연소기가 기동될 수 있는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를 증가시킴에 따라 연료 조성의 천이를 선형적으로 실시하는 종래의 경우, 연소 불안정 영역에서 연소가 필수적으로 실시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소 불안정 영역을 회피하여 연소가 실시될 필요성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생성단계(S120)에 따라 생성되는 경로는 제1경로와 제2경로와 제3경로를 포함한다.
제1경로는 터빈의 부하를 기설정된 값까지 인가하는 경로이며, 제2경로는 터빈의 부하가 기설정된 값으로 인가된 상태에서 연료의 조성을 천이시키는 경로이며, 제3경로는 연료의 조성의 천이가 완료된 이후 터빈의 부하를 최대로 인가하는 경로이다.
제1경로에 따라 기설정된 값까지 터빈의 부하를 인가하면서 CH4를 연소시키고, 이후, 제2경로에 따라 CH4에서 H2 및 CO로 연료의 조성을 천이시킨 다음, 제3경로에 따라 부하를 최대로 인가하면, 연소의 불안정 영역을 회피하여 연소기가 기동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값은 45% 내지 5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로설정단계에 의해서 생성되는 경로는 연소기에 입력되며, 이후, 연소기는 입력된 경로에 따라 기동된다.
한편, 이러한 경로생성단계(S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가단계와 제1확인단계와 천이단계와 제2확인단계와 복귀단계를 반복함으로써, 경로를 생성한다.
인가단계는 터빈의 부하를 증가시키는 단계이다. 인가단계에 의해서 경로의 생성을 위한 연소기의 최초의 기동이 실시된다.
제1확인단계는 연소공간에서 발생하는 화염의 안정성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제1확인단계에서의 화염의 안정성의 확인은 연소공간의 진동정보, 연소공간의 온도정보 등을 기초로 확인될 수 있다.
연소공간의 진동정보는 연소기에 설치되는 동압센서에 의해서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고, 연소공간의 온도정보는 연소기의 덤프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에 의해서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
후술하는 천이단계가 실시되기 전까지의 과정인 인가단계와 제1확인단계에 의해서, 제1경로가 생성된다.
천이단계는 상술한 제1확인단계에 의해서 화염이 안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연소공간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조성을 천이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천이단계 의해서, CH4로 구성되는 연료가 H2 및 CO를 포함하는 합성가스로 천이 된다.
한편, 제1확인단계에 의해서 화염이 안정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다시 제1증가단계로 회귀하여 터빈의 부하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제2확인단계는 상술한 천이단계에 따라 연소공간에서 발생 되는 화염의 안정성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제2확인단계에서의 화염의 안정성의 확인은 연소공간의 진동정보, 연소공간의 온도정보 등을 기초로 확인될 수 있다.
연소공간의 진동정보는 연소기에 설치되는 동압센서에 의해서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고, 연소공간의 온도정보는 연소기의 덤프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에 의해서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
복귀단계는 상술한 천이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연소 불안정 영역에서 연소가 실시되는 경우, 즉, 제2확인단계에 의해서 화염이 안정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연소공간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조성을 천이단계 이전의 연료의 조성으로 복귀시키고, 터빈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단계이다.
제2확인단계에 따라 화염이 안정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경로는 수정되어야 하며, 따라서, H2 및 CO에서 CH4로 연료의 조성을 복귀한 후, 터빈의 부하를 다시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연료의 조성을 복귀하고, 터빈의 부하가 감소된 이후에는 다시 제1확인단계로 회귀하여 반복적으로 테스트가 실시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서 제2경로가 생성된다.
제2확인단계에 따라 화염이 안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터빈의 부하를 최대로 증가시킨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서 제3경로가 생성된다.
상술한 인가단계와 제1확인단계와 천이단계와 제2확인단계와 복귀단계에 의해서, 연소 불안정 영역을 회피하면서 연소기가 기동될 수 있는 부하 증가에 따른 연료 조성의 천이 경로가 용이하게 생성된다.
기동단계(S130)는 경로에 따라 연소기를 기동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기동단계(S130)에 의해서 연소기가 제1경로와 제2경로와 제3경로를 포함하는 경로에 따라 기동된다.
즉, 연소기는 제1경로에 따라 기설정된 값까지 터빈의 부하를 인가하면서 CH4를 연소시키고, 이후, 제2경로에 따라 CH4에서 H2 및 CO로 연료의 조성을 천이시킨 다음, 제3경로에 따라 부하를 최대로 인가하면서 연료를 연소한다.
이러한 기동단계(S130)에 의해서, 연소기의 초기 기동시, 연소의 불안정 영역이 효과적으로 회피될 수 있다.
따라서, 지도생성단계(S110)와 경로생성단계(S120)와 기동단계(S1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의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S100)에 따르면, 연소기의 시동시에 발생하는 연소의 불안정이 효과적으로 회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S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의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
S110 : 지도생성단계
S120 : 경로생성단계
S130 : 기동단계

Claims (4)

  1. IGCC(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플랜트의 가스터빈의 연소 시작시에 발생 되는 연소 불안정을 회피할 수 있는 연소기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에 있어서,
    연료 조성 및 부하에 증가에 따른 연소 불안정 영역이 표시되는 지도를 생성하는 지도생성단계;
    부하 증가에 따른 연료 조성의 천이 경로로써 상기 지도에 표시되는 연소 불안정 영역을 회피하면서 연소기가 기동될 수 있는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생성단계; 및
    상기 경로에 따라 상기 연소기를 기동하는 기동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경로생성단계는,
    터빈의 부하를 증가시키는 인가단계와, 상기 연소기의 연소공간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대한 정보인 진동정보와 상기 연소공간에서 발생되는 온도에 대한 정보인 온도정보를 기초로 상기 연소공간에서 발생되는 화염의 안정성을 확인하는 제1확인단계와, 상기 제1확인단계에 따라 상기 화염이 안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연소공간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조성을 천이시키는 천이단계와, 상기 천이단계 이후 상기 진동정보와 상기 온도정보를 기초로 상기 화염의 안정성을 확인하는 제2확인단계와, 상기 제2확인단계에 따라 상기 화염이 안정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연소공간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조성을 복귀시킨 다음 상기 제1확인단계를 실시하는 복귀단계와, 상기 제2확인단계에 따라 상기 화염이 안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터빈의 부하를 최대로 증가시키는 증가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천이단계는, 상기 연소공간으로 공급되는 연료에 포함되는 CH4의 일부 또는 전부를 H2 또는 CO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귀단계는,
    상기 연소공간으로 공급되는 연료에 포함되는 H2 또는 CO 중 어느 하나 이상을 CH4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로는,
    터빈의 부하를 기설정된 값까지 인가하는 제1경로와, 터빈의 부하가 기설정된 값으로 인가된 상태에서 연료의 조성을 천이시키는 제2경로와, 연료의 조성의 천이가 완료된 이후 터빈의 부하를 최대로 인가하는 제3경로를 포함하는 연소기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값은,
    45% 내지 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
  4. 삭제
KR1020160054622A 2016-05-03 2016-05-03 연소기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 KR101757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622A KR101757113B1 (ko) 2016-05-03 2016-05-03 연소기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622A KR101757113B1 (ko) 2016-05-03 2016-05-03 연소기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113B1 true KR101757113B1 (ko) 2017-07-12

Family

ID=5935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622A KR101757113B1 (ko) 2016-05-03 2016-05-03 연소기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1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1078A (ja) * 2010-12-28 2012-07-26 Kawasaki Heavy Ind Ltd 燃焼装置、及び該燃焼装置の燃焼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1078A (ja) * 2010-12-28 2012-07-26 Kawasaki Heavy Ind Ltd 燃焼装置、及び該燃焼装置の燃焼制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ltani et al. Advanced exergy analysis applied to an externally-fired combined-cycle power plant integrated with a biomass gasification unit
JP5554132B2 (ja) 圧力パルスによりシステムからの高温ガス堆積物を除去するための装置及びシステム
JP5075900B2 (ja) 水素含有燃料対応燃焼器および、その低NOx運転方法
Funke et al. 30 years of dry-low-Nox micromix combustor research for hydrogen-rich fuels—An overview of past and present activities
Gazzani et al. Using hydrogen as gas turbine fuel: Premixed versus diffusive flame combustors
Ren et al. Methane reforming and its potential effect on the efficiency and pollutant emissions of lean methane–air combustion
US20130086918A1 (en) Method for switching over a combustion device
JP5999886B2 (ja) 発電プラントおよびその運転方法
Bothien et al. Sequential combustion in gas turbines: the key technology for burning high hydrogen contents with low emissions
Bluemner et al. Dynamics of counter-rotating wave modes in an RDC
JP5063538B2 (ja) ガスタービンの燃料供給方法
JP2010133339A (ja) ガスタービンの運転方法及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
KR101757113B1 (ko) 연소기 시동시 연소 불안정 회피방법
Zhou et al. Numerical study on self-ignition temperature of biomass gasified gas for the application of MILD combustion
US20240068415A1 (en) Systems for controlling a fuel blend for a gas turbine
Webb et al. : Assessment of Current Capabilities and Near-Term Availability of Hydrogen-Fired Gas Turbines Considering a Low-Carbon Future
Funke et al. 30 years of dry low nox micromix combustor research for hydrogen-rich fuels: An overview of past and present activities
JP2009227878A (ja) ガス発生炉のパージ方法及び装置
Bouten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fuel composition effects on syngas combustion
Schimek et al. Blue combustion: stoichiometric hydrogen-oxygen combustion under humidified conditions
Pryor et al. Development of a global mechanism for oxy-methane combustion in a CO2 environment
Sitanggang Performance and emission analysis of hydrogen and natural gas cofiring in combined cycle gas turbine power generation
D’Alessandro et al. Experimental and CFD evaluation of the part load performance of a micro gas turbine fuelled with CH4-N2 mixtures
JPH04143425A (ja) ガスタービン制御装置
Davidović et al. Modification of existing turboshaft engine in order to operate on synthetic g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