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792B1 - Hmd형 가상현실 콘텐츠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Hmd형 가상현실 콘텐츠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792B1
KR101756792B1 KR1020150106614A KR20150106614A KR101756792B1 KR 101756792 B1 KR101756792 B1 KR 101756792B1 KR 1020150106614 A KR1020150106614 A KR 1020150106614A KR 20150106614 A KR20150106614 A KR 20150106614A KR 101756792 B1 KR101756792 B1 KR 101756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delete delete
monitoring
content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3653A (ko
Inventor
최문종
이동하
강원석
이성인
윤승훈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106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792B1/ko
Publication of KR20170013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04N13/042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MD(Head Mount Display)형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한 교육 시 이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HMD형 가상현실 콘텐츠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은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고, 이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는 가상현실 단말과, 전송 받은 시선 정보를 전달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제어 서버 및 시선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콘텐츠 시청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가상현실 모니터링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HMD형 가상현실 콘텐츠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HEAD MOUNT DISPLAY TYPE VIRTUAL REALITY CONTENTS}
본 발명은 HMD(Head Mount Display)형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한 교육 시 이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은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컴퓨터로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 또는 환경과 상호 작용을 하는 것처럼 만들어주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는 머리에 착용하는 디스플레이로, 사용자의 눈에 근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영상을 보여주며, HMD형 가상현실 콘텐츠는 헤드트래킹을 통해서 360도 전방향으로 콘텐츠를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몰입도가 높고, 이러한 높은 몰입감으로 인하여 가상현실 구현에 적용된다.
HMD형 가상현실 콘텐츠의 경우, 사용자 외에는 사용자가 현재 HMD를 이용하여 어떠한 내용을 보고 있는지 외부에서는 알 수가 없다.
외부 모니터를 이용하여 미러링(Mirroring)을 통하여 이를 알 수는 있으나, 동시에 다수의 사람들이 HMD형 가상현실 콘텐츠를 시청하는 경우에는 미러링을 통하여 모니터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최근 HMD형 가상현실 구현 기술 발전에 따라 이를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 특히 교육분야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평소 쉽게 체험하기 어려운 천체형상, 과학 분야 등의 교육에 적용하고자 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현재 무엇을 보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하기 어려워, 교육의 진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가상현실 콘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현재 무엇을 보고 있는지 모니터링하고, 이를 통하여 가상현실 콘텐츠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HMD형 가상현실 콘텐츠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HMD형 가상현실 콘텐츠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은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고, 이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는 가상현실 단말과, 전송 받은 시선 정보를 전달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제어 서버 및 시선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콘텐츠 시청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가상현실 모니터링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HMD 형 가상현실 콘텐츠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은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와, 가상현실 콘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 시청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모니터링 단말은 사용자에게 제공 중인 가상현실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되,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가상현실 콘텐츠를 구성하는 360도 영상이 평면 영상으로 변환된 영상 상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HMD형 가상현실 콘텐츠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은 동시에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가상현실 콘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별도의 미러링 없이도 사용자 시선 정보 및 사용자 고유 정보를 통하여 어떠한 사용자가 가상현실 콘텐츠 중 어떠한 부분을 시청하고 있는지 한눈에 모니터링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 다수의 사용자의 시청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콘텐츠 제어를 즉각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일례로,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하여 교육을 진행하는 경우, 교육 환경에서의 교육생들의 학습 현황을 일목요연하게 모니터링하고, 콘텐츠의 진행 내용을 제어함으로써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한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즉,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한 교육 제공 시 교육생들이 각자 현재 무엇을 보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이에 따라 교육 진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한 교육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MD형 가상현실 콘텐츠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단말의 시선 정보 획득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모니터링 단말의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MD 형 가상현실 콘텐츠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MD형 가상현실 콘텐츠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MD형 가상현실 콘텐츠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은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HMD인 가상현실 단말(100)과, 가상현실 단말(100)로부터 전송 받은 시선 정보를 전달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제어 서버(200) 및 시선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교육생)의 콘텐츠 시청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가상현실 모니터링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상현실 콘텐츠는 가상현실 모니터링 단말(300)이 가상현실 콘텐츠 제어 서버(200)를 통하여 전달하는 콘텐츠 제어 신호에 의하여, 교육생 1, 교육생 2 내지 교육생 n에 HMD형으로 착용되는 가상현실 단말(100a, 100b 내지 100n)을 통해 사용자(교육생)에게 제공된다.
이 때, 교육생 1, 교육생 2 내지 교육생 n에 HMD형으로 착용되는 가상현실 단말(100a, 100b 내지 100n)은 가상현실 콘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획득하여 가상현실 콘텐츠 제어 서버(200)로 전송한다.
가상현실 콘텐츠 제어 서버(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가상현실 모니터링 단말(300)로 전달한다.
가상현실 콘텐츠 제어 서버(200)와 연결된 가상현실 단말(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현실 콘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 시야(FOB, Field of View)의 중심 좌표를 획득하여 시선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가상현실 콘텐츠 제어 서버(200)로 전송한다.
즉, 가상현실 단말(100)은 현재 교육생이 보고 있는 방향의 중심 좌표를 가상현실 콘텐츠 제어 서버(200)로 전송하는데, 이 때 기설정된 주기(예: 매 1초)로 중심 좌표를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상현실 모니터링 단말(300), 가상현실 단말(100), 가상현실 콘텐츠 제어 서버(200)는 기설정된 바에 따라 동기화되어, 각 가상현실 단말(100)을 착용하여 가상현실 콘텐츠를 시청하는 교육생의 시선 좌표를 실시간으로 전송 및 모니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가상현실 콘텐츠가 제공되는 중에도, 각 교육생은 각자 보고 있는 부분이 다를 수 있으므로, 가상현실 단말(100)은 시선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이는 가상현실 콘텐츠 제어 서버(200)를 통해 가상현실 모니터링 단말(300)로 제공되어, 관리자(교육 진행자)는 가상현실 모니터링 단말(300)을 통해 각 교육생이 현재 가상현실 콘텐츠의 어느 부분을 시청하고 있는 것인지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모니터링 및 가상현실 콘텐츠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미러링 없이 각 교육생의 시청 상황을 모니터링하되, 다수의 교육생 각자가 보고 있는 부위가 가상현실 콘텐츠 중 어느 부위인지를 일목요연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상현실 단말(100)은 해당 시선 정보 및 이에 매칭되는 사용자의 고유 정보(예: 이름, 학번 등)를 가상현실 콘텐츠 제어 서버(200)로 전송하며, 가상현실 콘텐츠 제어 서버(200)는 이를 가상현실 모니터링 단말(300)로 전달한다.
일례로,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한 수업이 진행되는 교실의 상황에서, 관리자는 모든 교육생을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하므로, 가상현실 모니터링 단말(300)은 일반 스마트패드와 같은 형태로 구비되며, 가상현실 콘텐츠를 구성하는 360도 영상을 2차원 평면으로 펼친 영상 상에, 전달받은 시선 정보 및 이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하여 관리자(교육 진행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일례로, 이러한 가상현실 모니터링 단말(300)의 디스플레이 상황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따라서, 관리자는 가상현실 모니터링 단말(300)을 통하여 현재 수업에 제공되는 가상현실 콘텐츠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각 교육생이 어느 부위를 시청하고 있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현실 모니터링 단말(300)에 디스플레이되는 현황에는, 시작, 일시정지, 정지, 콘텐츠 진행 시간, 화면 최대화 버튼, 음량버튼이 구비되어, 관리자의 입력에 따른 콘텐츠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MD 형 가상현실 콘텐츠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MD 형 가상현실 콘텐츠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은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S100)와, 가상현실 콘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00) 및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 시청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S100 단계는 가상현실 모니터링 단말을 통하여 입력되는 콘텐츠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된 가상현실 콘텐츠를 구성하는 360도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S200 단계는 HMD형 가상현실 단말로부터, 사용자 시야의 중심 좌표를 이용하여 생성된 시선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기설정 주기(예: 매 1초)마다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300 단계는 S200 단계에서 획득한 시선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콘텐츠 중 사용자가 시청하는 부분을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이다.
이 때, 가상현실 모니터링 단말을 이용하는 관리자로 하여금 적절한 체험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S200 단계는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전달 받음에 있어서, 각 시선 정보에 해당되는 사용자의 고유 정보(예: 이름, 학번)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S300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현실 콘텐츠를 구성하는 360도 영상을 2차원 평면으로 펼친 영상 상에, 획득된 각각의 시선 정보 및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부가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이러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관리자는 각 사용자가 체험 지도 중인 가상현실 콘텐츠 중 어느 부위를 시청하고 있는 것인지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적절한 체험 지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MD형 가상현실 콘텐츠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은 S300 단계 이후, 콘텐츠 시청 상황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가상현실 콘텐츠에 대한 시작, 일시정지 및 정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콘텐츠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리자는 가상현실 모니터링 단말을 통하여, 가상현실 콘텐츠에 대한 시작 명령, 일시정지 명령, 정지 명령을 입력하여 각 사용자의 가상현실 단말로 제공되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실행을 제어하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가상현실 단말 200: 가상현실 콘텐츠 제어 서버
300: 가상현실 모니터링 단말

Claims (17)

  1. 360도 영상인 가상현실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시야의 중심 좌표를 획득하여 시선 좌표를 생성하고, 기설정된 주기로 상기 시선 좌표 및 이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전송하는 가상현실 단말;
    상기 가상현실 단말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시선 좌표 및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전달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제어 서버; 및
    상기 시선 좌표 및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가상현실 단말 및 가상현실 콘텐츠 제어 서버와 동기화되어, 상기 360도 영상인 가상현실 콘텐츠를 평면 영상으로 변환시킨 영상 상에 각각의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영역 및 그 영역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사용자별로 표출하고, 복수의 사용자의 콘텐츠 시청 상황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콘텐츠의 실행을 제어하고, 상기 가상현실 단말로 체험지도 명령을 전송하는 가상현실 모니터링 단말
    을 포함하는 HMD형 가상현실 콘텐츠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50106614A 2015-07-28 2015-07-28 Hmd형 가상현실 콘텐츠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101756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614A KR101756792B1 (ko) 2015-07-28 2015-07-28 Hmd형 가상현실 콘텐츠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614A KR101756792B1 (ko) 2015-07-28 2015-07-28 Hmd형 가상현실 콘텐츠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653A KR20170013653A (ko) 2017-02-07
KR101756792B1 true KR101756792B1 (ko) 2017-07-11

Family

ID=58108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614A KR101756792B1 (ko) 2015-07-28 2015-07-28 Hmd형 가상현실 콘텐츠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7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232B1 (ko) 2017-07-06 2019-03-19 김호빈 Ems 시그널 발생 시스템 및 ems 시그널 발생 방법
KR101960456B1 (ko) * 2017-08-04 2019-03-20 주식회사 판타포 Vr기기 중앙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152595B1 (ko) * 2017-09-18 2020-09-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가상 현실 콘텐츠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코칭 시스템
KR102005528B1 (ko) 2017-11-20 2019-07-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사용자 시선 유도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된 가상 현실 장치
KR101964446B1 (ko) * 2017-11-28 2019-04-01 주식회사 펀웨이브 가상현실을 이용한 미술활동 시스템
KR101997066B1 (ko) * 2017-12-29 2019-07-08 주식회사호텔롯데 가상 현실 영상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123039A (ko) 2018-04-23 2019-10-31 박승민 확장현실 영상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82291B1 (ko) * 2018-07-19 2019-05-24 주식회사 테크노블러드코리아 가상현실 화면의 배열 및 표시방법
KR102115199B1 (ko) * 2018-08-31 2020-05-26 주식회사 버넥트 가상현실 기반의 산업현장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141596B1 (ko) * 2018-11-07 2020-08-05 주식회사 인디고엔터테인먼트 Vr 재생 장치 및 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114946B1 (ko) * 2019-01-04 2020-05-25 주식회사 엠투에스 가상현실(vr) 콘텐츠 시청에 따른 생체 정보 변화에 기초하여 콘텐츠 퀄리티를 평가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524097B1 (ko) 2020-09-09 2023-04-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구 기반 개인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72503B1 (ko) * 2020-09-18 2021-07-02 주식회사 메이크잇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금융 상품 거래 수행 방법 및 시스템
KR102383793B1 (ko) * 2021-12-08 2022-04-11 주식회사 세븐포인트원 등록된 확장현실 기기 사용자의 집중도를 관리 및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06562B1 (ko) * 2021-12-08 2022-06-09 주식회사 세븐포인트원 등록된 확장현실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7480335B2 (ja) 2021-12-08 2024-05-09 セブンポイントワ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登録されたエクステンデッドリアリティ機器ユーザの集中度を管理及び制御する方法、装置並びにシステム
KR20230133623A (ko) 2022-03-11 2023-09-19 주식회사 블루캡슐 가상현실 공간 내 이용자간 위치공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상현실 공간 내 이용자간 충돌 방지 방법
KR20240053461A (ko) 2022-10-17 2024-04-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인식 기반의 맞춤형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490B1 (ko) * 2006-12-16 2009-06-18 김종철 인간친화형 컴퓨터입출력 시스템
WO2014144940A2 (en) * 2013-03-15 2014-09-18 Percept Technologies, Inc. Enhanced optical and perceptual digital eyewea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490B1 (ko) * 2006-12-16 2009-06-18 김종철 인간친화형 컴퓨터입출력 시스템
WO2014144940A2 (en) * 2013-03-15 2014-09-18 Percept Technologies, Inc. Enhanced optical and perceptual digital eyew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653A (ko) 201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792B1 (ko) Hmd형 가상현실 콘텐츠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100721713B1 (ko) 몰입형 활선작업 교육시스템 및 그 방법
Surdick et al. The perception of distance in simulated visual displays: A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and accuracy of multiple depth cues across viewing distances
Yuan et al. Is the rubber hand illusion induced by immersive virtual reality?
US5320538A (en) Interactive aircraft training system and method
KR20130098770A (ko) 입체감 확장형 가상 스포츠 체험 시스템
KR20170019577A (ko) 가상체험 안전교육방법
CN109545003B (zh) 一种显示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2018034908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un et al. Systems and methods for projecting images onto an object
CN108961893A (zh) 一种基于vr设备的虚拟现实交互仿真实训系统
Steptoe et al. Eye tracking for avatar eye gaze control during object-focused multiparty interaction in immersive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s
KR101960815B1 (ko) 증강 현실과 가상 현실을 이용한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N112102667A (zh) 一种基于vr交互的视频教学系统及方法
Biggs et al. Adapting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systems for naval aviation training
WO2018175675A1 (en) Collaboritive and interactive training in augmented reality
US2021015754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de Moura et al. The effects of stereopsis and immersion on bimanual assembly tasks in a virtual reality system
Verma et al. Systematic review of virtual reality & its challenges
Grega et al. Virtual reality safety limitations
Zheng et al. Metal: Explorations into sharing 3d educational content across augmented reality headsets and light field displays
Sobota et al. Collaborative virtual reality usage in educational and training process
Kurosaki et al. Skill transmission for hand positioning task through view-sharing system
CN112087619A (zh) 一种交互式vr影像的处理方法
KR20150066779A (ko) 학습을 위한 착용형 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학습을 지원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