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314B1 - 부재 라벨링 장치 - Google Patents

부재 라벨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314B1
KR101756314B1 KR1020150128899A KR20150128899A KR101756314B1 KR 101756314 B1 KR101756314 B1 KR 101756314B1 KR 1020150128899 A KR1020150128899 A KR 1020150128899A KR 20150128899 A KR20150128899 A KR 20150128899A KR 101756314 B1 KR101756314 B1 KR 101756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sensor
distance
shape
width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415A (ko
Inventor
허영범
박두경
이현철
최승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주)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주)
Priority to KR1020150128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314B1/ko
Publication of KR20170031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01B11/04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leng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01B11/04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wid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01B11/069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of objects while mov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재 라벨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재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부재의 형상을 계측하는 형상 계측부; 및 계측된 부재의 형상에 의해 부재를 인식하고, 인식된 부재에 대한 라벨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라벨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재 라벨링 장치{LABELL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부재 라벨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부재의 형상을 계측하여 부재의 라벨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부재 라벨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선/해양구조물 제조시 다양한 부재를 가공 및 조립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작업자가 착오 등으로 부재를 혼동하여 설계와 다른 부재에 대해 작업을 수행할 경우, 중대한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작업할 부재를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부재에 라벨을 부착하는 라벨링 작업이 수행된다. 종래의 라벨링 작업 과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먼저 크레인을 이용하여 강재를 판계한 순서에 맞게 강재 카드를 라벨링 작업자에게 전달한다. 강재 카드를 전달받은 라벨링 작업자는 강재 카드의 순서에 맞게 바코드를 스캔한 후, 인입되는 강재에 순서대로 라벨링 작업을 실시한다. 그런데 상기한 라벨링 작업 과정에서 강재 카드의 순서가 착오로 잘못되거나, 혹은 바코드 스캔 시 일부가 누락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강재에 마킹되는 정보와 강재의 순서가 맞지 않게 되어 강재에 잘못된 정보가 인쇄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후공정에서 실제 작업해야 할 강재를 찾지 못하게 되거나, 잘못된 강재로 절단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등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부재의 형상을 계측하여 자동으로 부재의 라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부재 라벨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재 라벨링 장치는 부재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재의 형상을 계측하는 형상 계측부; 및 계측된 상기 부재의 형상에 의해 상기 부재를 인식하고, 인식된 부재에 대한 라벨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라벨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형상 계측부는 상기 부재의 폭과 길이 및 두께를 측정하여 상기 부재의 형상을 계측할 수 있다.
상기 형상 계측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제1 모서리 측에 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부재의 제1 측면에 이르는 거리 값을 측정하는 제1 거리센서; 상기 컨베이어의 제2 모서리 측에 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부재의 제2 측면에 이르는 거리 값을 측정하는 제2 거리센서; 및 상기 제1 거리센서와 상기 제2 거리센서에 의해 측정된 거리 값에 기초하여 상기 부재의 폭과 길이 및 두께를 측정하는 형상정보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거리센서는 상기 부재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거리센서 보다 후방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형상정보 생성부는 상기 부재의 폭을 산출하는 폭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폭산출부는, 상기 제1 거리센서에서 상기 부재의 전단측의 제1 꼭지점에 대해 측정한 제1 거리 값과, 상기 제2 거리센서가 상기 제1 꼭지점을 측정한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거리센서에서 상기 부재의 제1 측면에 대해 측정한 제2 거리 값, 및 상기 제1 거리센서와 상기 제2 거리센서의 상기 부재의 이송 방향으로의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부재의 사행각을 산출하는 사행각 산출부; 및 상기 부재의 사행각과, 상기 제1 거리센서와 상기 제2 거리센서의 상기 부재의 이송 방향으로의 간격과, 상기 제1 거리센서와 상기 제2 거리센서의 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의 간격과, 상기 부재의 전단측의 제2 꼭지점이 상기 제2 거리센서를 통과한 제2 시점에서 상기 제1 거리센서가 상기 부재의 제1 측면에 대해 측정한 제3 거리 값, 및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2 거리센서가 상기 부재의 제2 측면에 대해 측정한 제4 거리 값에 기초하여 상기 부재의 폭을 산출하는 부재폭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상정보 생성부는 상기 부재의 길이를 산출하는 길이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길이산출부는 상기 제1 거리 값과, 상기 제1 거리센서가 상기 부재의 후단측의 제3 꼭지점에 대해 측정한 제5 거리 값, 및 상기 부재의 사행각에 기초하여 상기 부재의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형상 계측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 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재의 상면에 대한 제6 거리 값을 측정하는 제3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형상정보 생성부는 상기 제3 거리센서의 높이와 상기 제6 거리 값에 기초하여 상기 부재의 두께를 산출하는 두께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벨정보 생성부는, 복수의 부재에 대한 폭, 길이 및 두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복수의 부재 중에서, 상기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부재에 대해 산출한 폭과, 길이 및 두께에 부합하는 부재를 결정하고, 결정한 부재의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라벨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부재라벨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부재의 형상을 계측하여 자동으로 부재의 라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재 라벨링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재 라벨링 장치를 구성하는 형상정보 생성부(126)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재 라벨링 장치를 구성하는 폭산출부(1262)의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부재의 폭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부재의 길이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부재의 두께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서 일부 구성은 다소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로서,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와 '~부'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복수의 구성요소 및 '~부'들에 의해 분리되어 수행될 수도 있고,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통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재 라벨링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부재 라벨링 장치(100)는 컨베이어(20) 상에서 이송되는 부재(10)의 형상을 계측하여 상기 부재(10)의 라벨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라벨 정보는 예컨대 부재(10)의 부재명, 식별번호, 치수정보, 재질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재(10)는 예컨대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강재로 제공될 수 있다. 컨베이어(20)는 예컨대 컨베이어 롤러, 컨베이어 벨트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부재(10)를 이송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부재 라벨링 장치(100)는 형상 계측부(120)와 라벨정보 생성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형상 계측부(120)는 부재(10)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부재(10)의 형상을 계측한다. 형상 계측부(120)는 부재(10)의 폭과 길이 및 두께를 측정하여 부재(10)의 형상을 계측할 수 있다. 라벨정보 생성부(140)는 형상 계측부(120)에 의해 계측된 부재(10)의 형상에 의해 부재(10)를 인식(식별)하고, 인식된 부재에 대한 라벨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일 실시 예로, 형상 계측부(120)는 제1 거리센서(122), 제2 거리센서(124) 및 형상정보 생성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거리센서(122)는 컨베이어(20)의 제1 모서리(22) 측에 컨베이어(20)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부재(10)의 제1 측면(12)에 이르는 거리 값을 측정한다. 제2 거리센서(124)는 컨베이어(20)의 제2 모서리(24) 측에 컨베이어(20)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부재(10)의 제2 측면(14)에 이르는 거리 값을 측정한다. 제1 거리센서(122)와 제2 거리센서(124)는 레이저거리센서와 같은 거리측정 광센서 등의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거리센서(122)는 부재(10)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제2 거리센서(124) 보다 후방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거리센서(122)와 제2 거리센서(124)에 의해 측정된 거리 값은 부재(10)의 형상 계측을 위해 형상정보 생성부(126)로 제공된다. 형상정보 생성부(126)는 제1 거리센서(122)와 제2 거리센서(124)에 의해 측정된 거리 값에 기초하여 부재(10)의 폭과 길이 및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재 라벨링 장치를 구성하는 형상정보 생성부(126)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형상정보 생성부(126)는 폭산출부(1262), 길이산출부(1264) 및 두께산출부(1266)를 포함할 수 있다. 폭산출부(1262)는 부재(10)의 폭을 산출한다. 길이산출부(1264)는 부재(10)의 길이를 산출한다. 두께산출부(1266)는 부재(10)의 두께를 산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재 라벨링 장치를 구성하는 폭산출부(1262)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폭산출부(1262)는 사행각 산출부(1262a)와, 부재폭 산출부(1262b)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부재의 폭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면부호 10a 는 제1 거리센서(122)가 부재(10)의 전단측의 제1 꼭지점(V1)을 측정한 시점에서의 부재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10b 는 제2 거리센서(124)가 부재(10)의 제1 꼭지점(V1)을 측정한 제1 시점에서의 부재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행각 산출부(1262a)는 제1 거리센서(122)가 부재(10a)의 전단측의 제1 꼭지점(V1)에 대해 측정한 제1 거리 값(d1)과, 제2 거리센서(124)가 제1 꼭지점(V1)을 측정한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거리센서(122)가 부재(10b)의 제1 측면(12)에 대해 측정한 제2 거리 값(d2), 및 제1 거리센서(122)와 제2 거리센서(124)의 부재(10)의 이송 방향으로의 간격(D)에 기초하여 부재(10)의 사행각(θ)을 산출한다.
제1 거리 값(d1)은 부재(10)의 제1 측면(12)에 대해 최초로 인식되는 거리 값이 된다. 상기 제1 시점은 제2 거리센서(124)에 의해 측정되는 거리 값이 감소되는 구간으로부터 증가하는 구간으로 변화되는 순간의 시점일 수 있다. 사행각 산출부(1262a)는 예컨대 아래 수식 1에 따라 부재(10)의 기울기, 즉 사행각(θ)을 산출할 수 있다.
[수식 1]
θ = tan-1{(d1-d2)/D}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부재폭 산출부(1262b)는 사행각 산출부(1262a)에 의해 산출된 부재(10)의 사행각(θ)과, 제1 거리센서(122)와 제2 거리센서(124)의 부재(10)의 이송 방향으로의 간격(D)과, 제1 거리센서(122)와 제2 거리센서(124)의 컨베이어(20)의 폭 방향으로의 간격(L3)과, 부재(10)의 전단측의 제2 꼭지점(V2)이 제2 거리센서(124)를 통과한 제2 시점에서 제1 거리센서(122)가 부재(10)의 제1 측면(12)에 대해 측정한 제3 거리 값(d3), 및 상기 제2 시점에서 제2 거리센서(124)가 부재(10)의 제2 측면(14)에 대해 측정한 제4 거리 값(d4)에 기초하여 부재(10)의 폭(W)을 산출한다.
상기 제2 시점은 제2 거리센서(124)에 의해 측정되는 거리 값이 감소되는 구간을 지난 증가하는 구간으로 전환된 이후의 시점으로서, 제1 거리센서(122)에 의해 부재(10)의 제1 측면(12)까지의 거리 값이 측정되는 동시에, 제2 거리센서(124)에 의해 부재(10)의 제2 측면(14)까지의 거리 값이 측정되는 시점이다. 부재폭 산출부(1262b)는 예컨대 하기 수식 2 내지 수식 3에 따라 부재의 폭(W)을 산출할 수 있다.
[수식 2]
W = (L3-d3-d4-L2)*cosθ
[수식 3]
L2 = D*tan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부재의 길이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길이산출부(1264)는 제1 거리센서(122)에서 부재(10)의 제1 꼭지점(V1)에 대해 측정한 제1 거리 값(d1)과, 제1 거리센서(122)가 부재(10)의 후단측의 제3 꼭지점(V3)에 대해 측정한 제5 거리 값(d5), 및 부재(10)의 사행각(θ)에 기초하여 부재(10)의 길이(ℓ)를 산출할 수 있다. 제5 거리 값(d5)은 제1 거리센서(122)가 부재(10)의 제1 측면(12)에 대해 측정한 거리 값이 감소하는 구간에서 증가하는 구간으로 변화하는 순간의 시점에서 제1 거리센서(122)에 의해 측정된 거리 값일 수 있다. 길이산출부(1264)는 예컨대 하기 수식 4에 따라 부재(10)의 길이(ℓ)를 산출할 수 있다.
[수식 4]
ℓ = (d1-d5)/sin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부재의 두께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형상 계측부(120)는 컨베이어(20)의 상부 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어 부재(10)의 상면에 대한 제6 거리 값(d6)을 측정하는 제3 거리센서(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거리센서(128)는 레이저거리센서와 같은 거리측정 광센서 등의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형상정보 생성부(126)는 제3 거리센서(128)의 높이(H)와 상기 제6 거리 값(d6)에 기초하여 부재(10)의 두께(T)를 산출하는 두께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두께산출부는 예컨대 하기 수식 5에 따라 부재(10)의 두께(T)를 산출할 수 있다.
[수식 5]
T = H - d6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형상정보 생성부(126)에 의해 산출된 부재(10)의 형상 정보는 라벨 정보의 생성을 위해 라벨정보 생성부(140)로 제공된다. 라벨정보 생성부(140)는 복수의 부재에 대한 폭, 길이 및 두께 정보, 해당 부재의 부재명, 식별번호, 치수정보, 재질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복수의 부재 중에서, 형상 계측부(120)에 의해 부재(10)에 대해 산출한 폭(W)과, 길이(ℓ) 및 두께(T)에 부합(매칭)되는 부재를 결정하고, 결정한 부재(10)의 정보를 나타내는 라벨 정보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생성 및 출력하는 부재라벨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라벨 정보 갱신 여부만을 확인한 후 인쇄하여 라벨링 작업을 실시하면 된다. 한 번 인쇄한 라벨 정보는 동일한 사이즈의 부재가 진입되더라도 재인쇄되지 않도록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부재의 형상을 계측하여 자동으로 라벨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착오 등에 의해 라벨링 작업이 잘못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부재의 형상을 계측하여 부재에 대한 라벨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SRAM(Static RAM), DRAM(Dynamic RAM), SDRAM(Synchronous 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장치, PRAM(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RRAM(Resistive RAM), FRAM(Ferroelectric RAM)과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광학적 판독 매체 예를 들어 시디롬, 디브이디 등과 같은 형태의 저장매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부재 20: 컨베이어
100: 부재 라벨링 장치 120: 형상 계측부
122: 제1 거리센서 124: 제2 거리센서
126: 형상정보 생성부 1262: 폭산출부
1262a: 사행각 산출부 1262b: 부재폭 산출부
1264: 길이산출부 1266: 두께산출부
128: 제3 거리센서 140: 라벨정보 생성부

Claims (7)

  1. 부재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재의 형상을 계측하는 형상 계측부; 및
    계측된 상기 부재의 형상에 의해 상기 부재를 인식하고, 인식된 부재에 대한 라벨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라벨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형상 계측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제1 모서리 측에 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부재의 제1 측면에 이르는 거리 값을 측정하는 제1 거리센서;
    상기 컨베이어의 제2 모서리 측에 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부재의 제2 측면에 이르는 거리 값을 측정하는 제2 거리센서; 및
    상기 제1 거리센서와 상기 제2 거리센서에 의해 측정된 거리 값에 기초하여 상기 부재의 폭과 길이 및 두께를 측정하는 형상정보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거리센서는 상기 부재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거리센서 보다 후방 측에 설치되는 부재 라벨링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계측부는 상기 부재의 폭과 길이 및 두께를 측정하여 상기 부재의 형상을 계측하는 부재 라벨링 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정보 생성부는 상기 부재의 폭을 산출하는 폭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폭산출부는,
    상기 제1 거리센서에서 상기 부재의 전단측의 제1 꼭지점에 대해 측정한 제1 거리 값과, 상기 제2 거리센서가 상기 제1 꼭지점을 측정한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거리센서에서 상기 부재의 제1 측면에 대해 측정한 제2 거리 값, 및 상기 제1 거리센서와 상기 제2 거리센서의 상기 부재의 이송 방향으로의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부재의 사행각을 산출하는 사행각 산출부;
    상기 부재의 사행각과, 상기 제1 거리센서와 상기 제2 거리센서의 상기 부재의 이송 방향으로의 간격과, 상기 제1 거리센서와 상기 제2 거리센서의 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의 간격과, 상기 부재의 전단측의 제2 꼭지점이 상기 제2 거리센서를 통과한 제2 시점에서 상기 제1 거리센서가 상기 부재의 제1 측면에 대해 측정한 제3 거리 값, 및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2 거리센서가 상기 부재의 제2 측면에 대해 측정한 제4 거리 값에 기초하여 상기 부재의 폭을 산출하는 부재폭 산출부를 포함하는 부재 라벨링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정보 생성부는 상기 부재의 길이를 산출하는 길이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길이산출부는 상기 제1 거리 값과, 상기 제1 거리센서가 상기 부재의 후단측의 제3 꼭지점에 대해 측정한 제5 거리 값, 및 상기 부재의 사행각에 기초하여 상기 부재의 길이를 산출하는 부재 라벨링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계측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 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재의 상면에 대한 거리 값을 측정하는 제3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형상정보 생성부는 상기 제3 거리센서의 높이와 상기 제3 거리센서에 의해 측정된 거리 값에 기초하여 상기 부재의 두께를 산출하는 두께산출부를 포함하는 부재 라벨링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정보 생성부는,
    복수의 부재에 대한 폭, 길이 및 두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복수의 부재 중에서, 상기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부재에 대해 산출한 폭과, 길이 및 두께에 부합하는 부재를 결정하고, 결정한 부재의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라벨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부재라벨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부재 라벨링 장치.
KR1020150128899A 2015-09-11 2015-09-11 부재 라벨링 장치 KR101756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899A KR101756314B1 (ko) 2015-09-11 2015-09-11 부재 라벨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899A KR101756314B1 (ko) 2015-09-11 2015-09-11 부재 라벨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415A KR20170031415A (ko) 2017-03-21
KR101756314B1 true KR101756314B1 (ko) 2017-07-10

Family

ID=58502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899A KR101756314B1 (ko) 2015-09-11 2015-09-11 부재 라벨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3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415A (ko) 201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2829B2 (ja) 鋼板の形状矯正装置
JP5089805B2 (ja) 印刷物を点検するための方法、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DE102015209963A1 (de) Bildbearbeitungsverfahren und Systeme zur Barcode- und/oder Produktkennzeichen-Erkennung
CN110582385B (zh) 切割机和机器可读的载体
US20140118538A1 (en) Method and light pattern for measuring the height or the height profile of an object
US200900669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EP3141879B1 (en) Color measurement device and color measurement method
JP5245817B2 (ja) 鋼板の形状計測方法及び形状計測装置
US20130215448A1 (en) Machine-readable data pattern associated with physical defects on printable media supply
EP2774079A1 (en) Image acquisition method
US20180052052A1 (en) Colorimetry Device And Colorimetry Method
WO2014117870A1 (en) Method, measuring arrangement and system for inspecting a 3-dimensional object
KR102132790B1 (ko) 송장 출력 자동화 시스템, 송장 출력 자동화 장치 및 송장 출력 자동화 방법
CN108367402A (zh) 生产线
TR201808835T4 (tr) Bir iş parçasına kalıcı bir işaretin uygulanmasına dair yöntem ve lazer işleme sistemi.
US20190064766A1 (en) Method for operating a pass-through machine, and pass-through machine
JP6624121B2 (ja) 鋼板形状矯正装置
KR101756314B1 (ko) 부재 라벨링 장치
JP2012174101A (ja) ラベル検査システム、ラベル検査装置及びラベル検査プログラム
CN114830051A (zh) 切割和弯曲过程中的厚度补偿
KR20200008794A (ko) 봉강의 표면 결함 분석 장치 및 방법
TWI525327B (zh) Probe card detection method and device
JP2012202957A (ja) 欠陥位置情報生成装置、欠陥確認システム及び欠陥位置情報生成方法
KR102078578B1 (ko) 강판 코일 밴드의 레이저 마킹방법
JP2020138211A (ja) 印字装置および印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