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170B1 - 진동 장치, 그 진동 장치를 이용한 착신 알림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진동 장치, 그 진동 장치를 이용한 착신 알림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170B1
KR101756170B1 KR1020150000615A KR20150000615A KR101756170B1 KR 101756170 B1 KR101756170 B1 KR 101756170B1 KR 1020150000615 A KR1020150000615 A KR 1020150000615A KR 20150000615 A KR20150000615 A KR 20150000615A KR 101756170 B1 KR101756170 B1 KR 101756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ng body
magnetic field
case
vibration devic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3915A (ko
Inventor
김덕우
Original Assignee
김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우 filed Critical 김덕우
Priority to KR1020150000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170B1/ko
Publication of KR20150013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3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3/00Belt fastenings, e.g. for conveyor belts
    • F16G3/003Apparatus or tools for joining bel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02K33/04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frequency of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ninterrupted AC energ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장을 이용한 진동 장치 및 그 진동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착신 상태를 알려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기장의 변화에 따른 자기력의 변화를 이용하여 진동체를 진동시킴으로써 장치의 고장과 소비 전력이 작은 진동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진동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휴대폰의 착신 상태를 알려줌으로써 휴대폰을 가방 등에 소지하고 있는 경우에도 휴대폰의 착신을 효과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진동 장치, 그 진동 장치를 이용한 착신 알림 장치 및 방법 {Vibration Device, Calling Notice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Vibration Device}
본 발명은, 휴대폰의 착신 상태를 알려주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자기장을 이용한 진동 장치와 그 진동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착신 상태를 알려주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거의 모든 사람들이 휴대폰을 사용하는 것이 보편화된 지금, 휴대폰 사용자들은 휴대폰을 이용하여 전화, 문자 메시지 전송의 목적으로만 사용하기보다는 인터넷 검색, 게임, 음악 듣기, DMB 시청 또는 영화 감상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휴대폰은 휴대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상기 기능들이 사용자들의 편의에 기여하는 측면이 있으나, 휴대폰은 액정화면의 크기가 작아 인터넷 검색, DMB 시청이나 영화를 감상하는 경우에는 불편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그리하여, 요즘에는 휴대폰의 화면이 커지는 경향이 있고 휴대폰의 화면이 커짐에 따라 휴대폰 자체의 크기도 조금씩 커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는 가방 등에 넣어놓는 경우가 많아 휴대폰의 착신 상태를 바로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휴대폰의 착신상태를 알려주는 블루투스팔찌(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0098호, 2010.02.22 공개) 등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착신 알림 장치들은 팔찌의 형태로서 사용자들의 착용이 번거롭고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존재하며, 종래의 장치들은 모두 내부의 기판에 장착되고 편심 모터나 리니어 모터 형태로 진동을 일으키기 때문에 진동이 약한 점, 전력 소비가 큰 점, 진동으로 인한 다른 부분의 고장 발생 가능성이 높은 점 및 기판 위에 두어야 하므로 두께 등에 제한이 있는 점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기장을 이용한 진동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진동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착신 상태를 알려주는 착신 알림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착신 알림 장치를 반지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착신 알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주변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의 변화가 발생할 경우 상하 또는 좌우로 진동 운동을 하는 진동체; 상기 진동체를 보호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며, 상기 진동체가 진동 운동을 할 경우 완충 작용을 하는 완충부;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하며, 다른 구조물과 탈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체는, 상기 진동 운동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인 진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르면, 무선 통신을 통하여 휴대폰의 착신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전류가 흐를 경우,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력발생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착신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자력발생부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자력발생부에 의하여 생성된 자기장의 변화가 발생할 경우, 진동 운동을 하며, 진동 운동 시 외부로 돌출되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착신 알림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통해 휴대폰의 착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 정보 수신시, 전류의 흐름을 조정하여 자기장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진동체가 진동 운동을 하는 단계; 상기 진동 운동을 통해, 상기 휴대폰의 착신 상태를 알려주는 단계; 및 상기 착신 정보 수신 후, 상기 휴대폰의 착신 상태가 종료되거나 통화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진동체의 진동 운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 알림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기장을 이용한 진동 장치를 제공하여 고장 발생 가능성과 전력 소비가 작은 진동 장치 및 착신 알림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진동 장치의 진동체가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사용자들이 착신 상태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하고, 착신 알림 장치를 반지 또는 팔찌, 밴드 등의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신 알림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지 형태의 착신 알림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신 알림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는, 진동체(100), 완충부(110), 탄성체(120), 기밀막(130), 결합부(140) 및 케이스(150)를 포함한다.
진동체(100)는 진동 장치의 주변에서 자기장이 발생할 경우 진동 운동을 하는 것으로서, 영구 자석 또는 철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자기장의 발생 위치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진동 운동을 한다.
진동체(100)는 평평한 형태로 구성되어 진동 운동시 케이스(150) 내부에서 진동 운동을 함으로써, 그 진동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사용자가 진동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진동체(100)에 돌출부(101)를 구비하고, 진동체(100)가 상하 운동을 할 경우 돌출부(101)가 케이스(150)의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피부 등에 직접적인 타격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진동체와의 접촉을 통해 진동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완충부(110)는 진동체(100)가 상하 또는 좌우로 진동 운동을 하는 경우 진동체(100)와 케이스(150)가 손상되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해주는 기능을 한다.
탄성체(120)는 진동체(100)가 진동 운동을 하지 않은 동안에 돌출부(101)가 케이스(15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진동체(100)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완충부(110)와 탄성체(120)는 스프링, 실리콘 또는 탄성 재질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밀막(130)은 진동체(100)가 돌출부(101)를 구비하여 진동 운동시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수분 등이 케이스(150)에 존재하는 구멍을 통하여 케이스(150) 내부로 들어가서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동 장치의 외부에 위치한다.
결합부(140)는 진동 장치가 다른 장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진동 장치의 외부에 위치한다. 진동 장치는 결합부(140)를 구비함으로써, 후술할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장치, 반지 형태의 착신 알림 장치 또는 휴대폰 등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를 이용한 착신 알림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진동 장치의 진동체가 상하로 운동하는 착신 알림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착신 알림 장치는 통신부(200), 제어부(210), 전원부(220), 자력발생부(230) 및 진동부(240)를 포함한다.
통신부(200)은 휴대폰이 착신 상태인 경우, 휴대폰으로부터 착신 상태 신호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받는다. 통신부(200)는 수신한 착신 상태 신호를 제어부(210)로 전달한다.
제어부(210)는 통신부(200)로부터 착신 상태 신호를 전달받고, 착신 상태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자력발생부(23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명령을 출력한다. 제어부(210)는 전원 공급 명령을 전원부(220)로 전달하여, 전원부(220)가 자력발생부(230)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한다.
제어부(210)는 자력발생부(230)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에 의하여 진동부(240)의 진동체가 진동 운동을 하도록 하여야 하므로, 자력발생부(230)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한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자력발생부(230)에 전류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흐름과 끊김이 반복되도록 한다.
예컨대, 자기장이 발생하여 진동체와 자력발생부(230) 사이에 척력이 발생하게 되면 진동체가 돌출되고, 전류의 흐름이 끊기면 자기장이 소멸하고 진동체가 본래 위치로 되돌아가게 함으로써, 진동 운동을 하게 한다.
제어부(210)는 자력발생부(23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바꾸어 줌으로써, 진동체가 진동 운동을 하게 할 수도 있다. 자력발생부(23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변경되면 형성되는 자기력의 방향이 변경되게 되므로, 진동체가 영구 자석인 경우, 자력발생부(230)와 진동체 사이에 인력과 척력이 변경되면서 발생하기 때문에 진동체가 상하로 진동 운동을 하게 된다.
제어부(210)는 자력발생부(23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착신 신호의 수신 시간을 체크하고, 수신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전류의 세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진동체가 진동하는 강도를 세게 하여 사용자가 착신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전원부(220)는 제어부(210)의 전원 공급 명령에 따라 자력발생부(230)에 전류를 공급한다. 제어부(210)는 전원의 공급 여부, 전류의 방향 및 전류의 세기에 대한 명령을 전원부(220)로 전달한다.
자력발생부(230)는 유도 코일 등으로 구성될 수가 있다. 자력발생부(230)는 흐르는 전류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장의 변화를 이용하여 진동부(240)의 진동체가 진동 운동을 하도록 한다.
진동부(240)는 도 1에 도시된 진동 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착신 알림 장치의 나머지 구성과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다.
도 3은 진동부(340)의 진동체가 좌우로 운동하는 착신 알림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착신 알림 장치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착신 알림 장치의 구조와 유사하나, 자력발생부(330)가 진동부(340)의 좌우에 위치하고 있는 점이 도 2에 도시된 착신 알림 장치와 차이가 있다.
착신 알림 장치의 진동부(340)에 포함되는 진동체는 상하 또는 좌우로 진동 운동을 할 수가 있다. 진동체가 좌우로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자력발생부(330)가 진동부(340)의 양 옆에 위치한다. 제어부(310)는 통신부(300)를 통해 휴대폰의 착신 신호를 입력받으면 전원부(320)에 전원 공급 명령을 전달하여 자력발생부(330)에 전류가 흐르게 한다. 제어부(310)는 좌우에 위치한 자력발생부(330)에 전류를 교대로 공급함으로써, 어느 한쪽에서만 자기장이 발생하도록 하여 진동체가 좌우도 진동 운동을 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신 알림 장치가 반지 형태로 구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신 알림 장치는 휴대폰이 사용자의 가방 등에 있어 사용자가 착신 상태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착신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폰보다 휴대하기가 용이한 측면이 존재해야 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지 형태로 구현된 착신 알림 장치는 부피가 작고 착용이 간편하여 사용자의 휴대와 사용이 용이하게 한다.
착신 알림 장치(400)는 반지(410)에 부착된 넓고 평평한 부분에 위치한다. 착신 알림 장치(400)가 위치하는 부분은 반지(410)의 양쪽 방향으로 넓게 위치할 수 있으나, 반지(410)의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휴대폰으로부터 착신 신호를 전송받으면 반지(410)의 착신 알림 장치(400)의 진동체가 진동 운동을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 부위에 가벼운 타격을 가하게 되고, 사용자는 진동체가 손가락 부위에 접촉되는 것을 느끼게 되어 휴대폰의 착신 상태를 인식하게 된다.
또한, 착신 알림 장치가 반지 형태가 아닌 팔찌 또는 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의 팔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휴대폰의 착신 상태를 알려주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신 알림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착신 알림 장치를 손가락 등에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휴대폰이 착신 상태가 되면 상기 착신 알림 장치가 휴대폰으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신한다(S500). 착신 알림 장치가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착신 알림 장치 내의 자력발생부(예컨대, 유도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여 자기장이 발생하게 한다(S520).
착신 알림 장치는 자력발생부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여, 자기장의 변화가 발생하게 한다(S540). 자기장의 변화는 전류의 흐름과 끊김을 반복하는 방법, 전류의 방향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바꾸어주는 방법 또는 전류의 세기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 등에 의하여 발생하게 한다.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생성되는 자기력의 종류와 크기가 변경되게 되면, 영구 자석 또는 철 등으로 구성된 진동체가 상하 또는 좌우로 진동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진동체가 진동 운동을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을 하게 되고, 사용자는 진동체가 가하는 가벼운 타격 등을 통해 휴대폰의 착신 상태를 인식하게 된다(S560). 착신 알림 장치는 사용자가 알림 종료 버튼을 누르거나 휴대폰으로 통화를 시작하는 경우 또는 착신 상태가 종료된 경우, 착신 알림을 종료한다.
그리고, 착신 시간을 체크하고 착신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자력발생부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증가시켜 진동체가 가하는 타격의 강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착신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진동체 101 : 돌출부
110 : 완충부 120 : 탄성체
130 : 기밀막 140 : 결합부
150 : 케이스
200, 300 : 통신부 210, 310 : 제어부
220, 320 : 전원부 230, 330 : 자력발생부
240, 340 : 진동부
400 : 착신 알림 장치 410 : 반지

Claims (6)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배치되는 다른 구조물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다른 구조물에 의하여 생성되는 자기장의 발생 및 변화에 따라 진동 운동을 하여 그 진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진동체;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체의 진동 운동 시 상기 진동체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서 완충 작용을 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위치하며, 다른 구조물의 자기장이 발생하는 부분과 인접한 면에 탈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 및
    상기 진동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수분 유입을 방지하는 기밀막
    을 포함하는 진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는
    상기 진동 운동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
    인 진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는
    상기 자기장의 변화가 발생할 경우, 상하 또는 좌우로 진동 운동을 하는 것
    인 진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는
    영구자석 또는 철을 포함한 물질로 구성된 것
    인 진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
    인 진동 장치.
  6. 삭제
KR1020150000615A 2015-01-05 2015-01-05 진동 장치, 그 진동 장치를 이용한 착신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1756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615A KR101756170B1 (ko) 2015-01-05 2015-01-05 진동 장치, 그 진동 장치를 이용한 착신 알림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615A KR101756170B1 (ko) 2015-01-05 2015-01-05 진동 장치, 그 진동 장치를 이용한 착신 알림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765A Division KR20140045008A (ko) 2012-10-05 2012-10-05 진동 장치, 그 진동 장치를 이용한 착신 알림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3915A KR20150013915A (ko) 2015-02-05
KR101756170B1 true KR101756170B1 (ko) 2017-07-10

Family

ID=52570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615A KR101756170B1 (ko) 2015-01-05 2015-01-05 진동 장치, 그 진동 장치를 이용한 착신 알림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936B1 (ko) * 2015-04-21 2016-12-06 (주)락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운동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3361611B1 (en) * 2015-10-09 2020-03-18 Mitsumi Electric Co., Ltd. Vibratory actuator, wearable terminal, and incoming call notification function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0809A (ja) * 2000-04-11 2003-10-14 ライト サイエンシズ コーポレイション 非接触エネルギー伝達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0809A (ja) * 2000-04-11 2003-10-14 ライト サイエンシズ コーポレイション 非接触エネルギー伝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3915A (ko)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288B1 (ko) 햅틱 엑추에이터
CN106208605B (zh) 一种线性振动马达
US8013480B2 (en) Linear vibration motor
US9998836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KR20130015342A (ko) 리니어진동장치
CN106303858B (zh) 一种扬声器及终端设备
KR20100044381A (ko) 진동 모터
WO2013145739A1 (ja) 電子機器、パネルユニット
KR20070087523A (ko) 바이브레이터
US9544413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KR20130015864A (ko) 리니어진동장치
KR101506556B1 (ko) 선형진동모터
JPH11197601A (ja) 携帯電子機器
KR101756170B1 (ko) 진동 장치, 그 진동 장치를 이용한 착신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1184502B1 (ko) 선형 진동자
KR20160114313A (ko) 코어리스 햅틱 액추에이터
KR100974899B1 (ko) 선형 진동 엑츄에이터
KR101468631B1 (ko) 진동변환기와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윈도우 진동장치
KR100877519B1 (ko) 감각 신호 출력 장치
KR101858969B1 (ko) 자기 브레이크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진동발생장치
JP5496990B2 (ja) リニア振動デバイス
KR20140045008A (ko) 진동 장치, 그 진동 장치를 이용한 착신 알림 장치 및 방법
JP2015116508A (ja) 筐体の振動装置及び振動装置を備える電子機器
KR101198077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JP6333194B2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