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626B1 - 화강석 슬러지와 친환경 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고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강석 슬러지와 친환경 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고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626B1
KR101755626B1 KR1020160149113A KR20160149113A KR101755626B1 KR 101755626 B1 KR101755626 B1 KR 101755626B1 KR 1020160149113 A KR1020160149113 A KR 1020160149113A KR 20160149113 A KR20160149113 A KR 20160149113A KR 101755626 B1 KR101755626 B1 KR 101755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ludge
binder resin
granite
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숙
Original Assignee
이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숙 filed Critical 이은숙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C04B18/167Recycled materials, i.e. waste materials re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sam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0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06Acryl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강석 절단시 발생되는 화강석 슬러지 및 태양광산업에서 금속실리콘 제조시 발생되는 폴리실리콘 슬러지를 친환경 바인더 수지로 결합하여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인 화강석 슬러지와 친환경 수지를 이용한 고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강석 슬러지와 친환경 수지를 이용한 고화제는 화강석 슬러지 75∼80중량%와; 폴리실리콘 슬러지 20∼25중량%로 이루어진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인더 수지 8∼10 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인더 수지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5∼30 중량%;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25∼30 중량%; 부틸 아크릴레이트 5∼10 중량%;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롤 트리에테르 4∼5 중량%; 리튬 실리케이트 0.1∼1 중량%; 계면활성제 1∼2 중량%;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 1∼2 중량%; 물 30∼38 중량%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강석 슬러지와 친환경 수지를 이용한 고화제 제조방법은 화강석 슬러지 75∼80중량%와; 폴리실리콘 슬러지 20∼25중량%로 이루어진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인더 수지 8∼10 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제조하고, 상기 바인더 수지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5∼30 중량%;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25∼30 중량%; 부틸 아크릴레이트 5∼10 중량%;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롤 트리에테르 4∼5 중량%; 리튬 실리케이트 0.1∼1 중량%; 계면활성제 1∼2 중량%;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 1∼2 중량%; 물 30∼38 중량%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강석 슬러지와 친환경 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고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solidifying agent with granite sludge and eco-friendly resin}
본 발명은 화강석 슬러지와 친환경 수지를 이용한 고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강석 절단시 발생되는 화강석 슬러지 및 태양광산업에서 금속실리콘 제조시 발생되는 폴리실리콘 슬러지를 바인더 수지로 결합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화강석 슬러지와 친환경 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고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자재는 내구성과 강도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시멘트가 혼합된 콘크리트 및 콘크리트 블록이 주로 이용되었다.
다년간의 연구 결과 시공 목적에 따라 적합한 다양한 시멘트가 제공되고 있으며, 양생 또한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으며, 강도와 내구성 역시 양호하여 콘크리트 건축물의 수명은 수십 년 이상 지속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시멘트에서 발생하는 독성과 냄새 등이 인체에 유해하고, 수명을 다한 건축물은 철거된 후에는 지중에 매립하거나 간척사업시 매립골재로 사용되나, 시멘트의 독성에 의하여 토양의 황폐화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에 대한 대책 마련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시멘트 및 콘크리트 산업에서도 이산화탄소를 다량으로 배출하는 시멘트를 대체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그 대응책의 일환으로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와 같은 산업부산물을 이용하여 시멘트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국외에서는 중합반응에 의한 알칼리 활성화 시멘트(콘크리트)에 관한 기술이 개념적으로 1978년 Davidovits(프랑스)에 의해 고령석 광물질을 이용하고 제올라이트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메커니즘으로 이론이 정립되었지만, 제조상의 문제점 및 경제성 등의 이유로 실용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최근에는 호주, 미국, 일본 및 유럽 등을 중심으로 환경문제의 사회적 이슈화에 결부되어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 등을 사용한 무시멘트 콘크리트 개발이 이루어졌고, 국내에서도 일부 기술개발이 이루어졌다.
종래 기술 중 플라이애쉬를 사용한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대부분 60℃ 이상의 고온 양생 과정을 통해 플라이애쉬의 유리(glassy) 피막을 파괴하여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30MPa 이상의 강도를 확보하고 있으나, 이 기술은 고온 양생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와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일부 20℃ 정도의 상온에서 양생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은 플라이애쉬의 유리피막을 파괴하는 반응이 작아 콘크리트의 강도가 대부분 10MPa 이하이기 때문에 교량, 건축물 등 구조물에 적용할 경우에는 안전성, 사용성에 문제점이 지적된 바 있다.
또한, 시멘트를 이용하지 않는 무해한 토양으로 건축 구조물로 만들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고, 이를 위해서 토양의 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경화제를 이용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998-083572호의 토양 응결용 경화제는 염화나트륨(NaCl) 20%, 탄산나트륨(Na2Co3) 15%, 탄산칼륨(K2Co3) 35%, 염화마그네슘(MgCl2) 20%, 염화암몬(NH4Cl) 4%, 염화코발트(CoCl2) 0.2%, 염화망간(MnCl2) 0.8%, 황산나트륨(Na2So4) 5%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탄산화합물과 염화물의 배합으로 조성된 경화제는 그 화학적 특성 때문에 용해하기가 힘들고 침전물이 많이 생겨 사용상에 번거로움과 합성 제조와 분류상의 문제로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토양 응결용 경화제를 토양에 혼합하여 건축자재나 도로포장 또는 연약지반 고화 등에 사용하였으나 강도가 일반 콘크리트에 미치지 못하고 노화가 빨리 진행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강도와 장기 강도에 문제가 있었고, 사용량의 한계 때문에 적재적소에 능동적으로 사용되지 못하여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널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2002-0058157호의 황토 응결용 경화제 및 황토 건축자재 제조방법은 응결용 경화제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응결용 경화제는 황토 벽돌, 황토 블록, 황토패널 제조시 황토와 시멘트 모래의 응결에 적합한 것으로, 이는 pH이 10 이상의 강 알칼리 상태를 급속히 만들어 내어 시멘트의 수화반응인 칼슘, 실리카 등의 수화물이 황토입자 사이의 중간 역할이 되는 판상 결정을 만들어 내고 이것이 급속하게 성장함으로써 시멘트의 페이스트의 유동성을 소실하여 응결이 진행된다.
즉, 황토는 흙 자체에 점토질이 있기 때문에 칼슘, 실리카 등이 황토입자 사이에서 응결이 이루어지면 내구성과 강도를 가지게 되나, 점성이 없는 흙이나 갯벌에서는 응결작용이 일어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1998-083572(공개일: 1998년12월05일) 공개특허공보 10-2002-0058157(공개일: 2002년07월12일) 공개특허공보 10-2014-0114211(공개일: 2014년09월26일)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강석 절단시 발생되는 화강석 슬러지 및 태양광산업에서 금속실리콘 제조시 발생되는 폴리실리콘 슬러지를 친환경 바인더 수지로 결합하여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인 화강석 슬러지와 친환경 수지를 이용한 고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강석 슬러지와 친환경 수지를 이용한 고화제는 화강석 슬러지 75∼80중량%와; 폴리실리콘 슬러지 20∼25중량%로 이루어진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인더 수지 8∼10 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인더 수지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5∼30 중량%;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25∼30 중량%; 부틸 아크릴레이트 5∼10 중량%;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롤 트리에테르 4∼5 중량%; 리튬 실리케이트 0.1∼1 중량%; 계면활성제 1∼2 중량%;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 1∼2 중량%; 물 30∼38 중량%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강석 슬러지와 친환경 수지를 이용한 고화제 제조방법은 화강석 슬러지 75∼80중량%와; 폴리실리콘 슬러지 20∼25중량%로 이루어진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인더 수지 8∼10 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제조하고, 상기 바인더 수지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5∼30 중량%;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25∼30 중량%; 부틸 아크릴레이트 5∼10 중량%;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롤 트리에테르 4∼5 중량%; 리튬 실리케이트 0.1∼1 중량%; 계면활성제 1∼2 중량%;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 1∼2 중량%; 물 30∼38 중량%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강석 슬러지와 친환경 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고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은 화강석 절단시 발생되는 화강석 슬러지 및 태양광산업에서 금속실리콘 제조시 발생되는 폴리실리콘 슬러지를 친환경 바인더 수지로 결합하여 버려지는 폐재료를 재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수지의 압축강도-7일을 나타낸 품질시험 성적서 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수지의 압축강도-14일을 나타낸 품질시험 성적서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수지의 압축강도-28일을 나타낸 품질시험 성적서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수지의 압축강도-7일을 나타낸 품질시험 성적서 2,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수지의 압축강도-14일을 나타낸 품질시험 성적서 2,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수지의 압축강도-28일을 나타낸 품질시험 성적서 2,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수지의 휨강도-7일을 나타낸 품질시험 성적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수지의 휨강도-14일을 나타낸 품질시험 성적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수지의 휨강도-28일을 나타낸 품질시험 성적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수지의 휨강도-28일을 나타낸 품질시험 성적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강석 슬러지와 친환경 수지를 이용한 고화제는 화강석 슬러지 75∼80중량%와; 폴리실리콘 슬러지 20∼25중량%로 이루어진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인더 수지 8∼10 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강석 슬러지와 친환경 수지를 이용한 고화제는 화강석 슬러지와 폴리실리콘 슬러지 및 바인더 수지가 혼합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화강석 슬러지는 화강석 분말에 물이 혼합된 것이다.
특히, 상기 화강석은 석영과 운모, 그리고 장석(Na2O, Al2O3, 6SiO2)으로 이루어져 있다.
운모중 흑운모는 기가 방사되며 장석의 기는 아주 강하다.
약 10m이상 방사한다. 장석(Na 2 O, Al2 O3 , 6SiO 2 )은 Si 4면체 및 Al 4면체로 되어 있는 연쇄상 4면체로서, 각 Al이온에 대해 일당량의 Na 이온이 결합되는데, 이들 염기는 광물의 분쇄시 치환성이 된다.
따라서, 장석을 분쇄하면 염기 치환량이 증대하고, 습식 분쇄시에는 수중으로 배출된다. 장석은 일반 규사나 규석과 달리 원료의 성분 함량이 다르게 나타난다.
규사의 경우는 SiO2 함량이 90±5%, Al2O3 함량이 5% 미만인 반면, 장석은 SiO2 함량이 75∼85%, Al 2 O3 함량이 15∼25%정도로 수화시 C3A(알루미네이트)의 생성량과 생성율이 높아,
이러한 특성과 원리에 의해 화강석분말을 결합재와 혼합하면 초기강도가 증가되고, 장석의 팽창성에 의해 건조수축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균열의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화강석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폐기물 석분 및 석분 슬러지를 이용하거나 화강석을 채석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화강석 폐기물 석분과 화강석을 채석하여 가공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화강석 석분슬러지를 침전(침전 응결제: 수도용 황산 알루미늄, 고체 Al2O3 ; 17%)시켜 케이크 형태로 건조시켜 만든 화강석 분말을 이용한 것이다.
또한, 상기 폴리실리콘 슬러지는 그 성상이 밝은 회색빛을 띄고 있으며, 75∼80중량%를 배합한다.
상기한 폴리실리콘 슬러지는 다음과 같은 물리화학적 성질을 나타낸다.
물리적 성질

함수율(%)

밀도(g/㎤)

분말도㎤/g)

Cl이온(%)

강열감량(%)

6105

1.95

7122

2.77

19.1
화학적 성질

화학
조성

SiO2

Al2O3

CaO

SO3

MgO

Fe2O3

P2O5

K2O

Na2O

Cl

함유량

46.60

0.57

45.16

0.16

0.69

0.16

0.01

0.08

2.16

3.95
상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실리콘 슬러지는 함수율 62%로 높은 함수율로 배출되며, 밀도가 낮고 가벼우며, 분말도가 7122㎤/g로 미세한 분말 형태로서, 화학조성은 대부분 SiO2와 CaO로 조성되어 있고 알칼리성분인 K2O와 Na2O가 미량 포함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실리콘 슬러지 분말을 60℃에서 24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얻은 결정상은 CaCO3 로 이루어져 있으며, Na2O와 Cl의 화합물인 NaCl이 소량 포함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폴리실리콘 슬러지의 특징적 사항은 유리질 SiO2를 함유하고 있어 포틀랜드시멘트와 반응시 포졸란 반응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상기 바인더 수지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5∼30 중량%;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25∼30 중량%; 부틸 아크릴레이트 5∼10 중량%;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롤 트리에테르 4∼5 중량%; 리튬 실리케이트 0.1∼1 중량%; 계면활성제 1∼2 중량%;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 1∼2 중량%; 물 30∼38 중량%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는 연성부여 및 점탄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는 그 함량을 25∼30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이 30중량%를 초과하면 연성 및 점탄성이 개선되나 점도가 낮아져 시공성이 떨어지고 가격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이 25중량% 미만이면 연성 및 점탄성 개선 효과가 미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는 유기용제의 일종으로서 단량체 성부의 중합성을 충분히 향상시키면서 용제의 함량을 낮추기 위해 25∼30 중량%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틸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을 5∼10 중량%로 제한한 이유는 콘크리트의 안정된 인장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인더 수지로 제조된 콘크리트는 1일 경과 시에 46.08MPa, 2일 경과 52.14MPa, 3일 경과시 57.88MPa으로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롤 트리에테르는 분산, 유화력이 강하고 계면 흡착도 우수하여 폴리우레탄 원료의 혼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롤 트리에테르는 4∼5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롤 트리에테르가 4중량% 보다 적을 경우에는 점도가 낮아 바인더 수지 내 혼합이 어려울 수 있고, 상기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롤 트리에테르가 5% 보다 클 경우에는 바인더 수지 내 기포가 다량으로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튬 실리케이트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침투하여 수산화칼슘과 반응하여 불용성 칼슘실리케이트 수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리튬 실리케이트는 콘크리트의 조직을 보다 견고하게 하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리튬 실리케이트는 0.1∼1 중량%로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1∼2 중량%로 제한한 이유는 콘크리트의 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계면활성제는 에톡실화된 노닐페닐이 대표적이다.
또한, 상기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는 120분 이상 유동성 확보, 고강도, 고유동 콘크리트에 적용, 슬럼프 플로우 손실 해결, 콘크리트 점성 슬럼프 유지, 자유 조절 가능, 사용량에 비례하여 높은 감수력 제공, 작업성 및 수밀성, 마감성 탁월, 안정된 압축강도 확보, 비교적 입형이 양호한 세척사, 망사, 하천사 사용시 작업성 및 블리딩 억제 효과 탁월, 안정된 공기포 연행을 통해 작업성 향상 및 동결 융해 저항성 증대, 친환경 재료로서 1∼2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로 폴리에틸렌 글리콜 술폰산 에테르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는 고밀도 배근 콘크리트, 자기 충전형 콘크리트, 대형 고층 구조물, 60n/㎟ 고강도 고유동 콘크리트용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물은 청수를 사용함을 원칙으로 하며, 40∼45 중량%가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인더 수지 제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인더 수지 제조방법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5∼30 중량%;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25∼30 중량%; 부틸 아크릴레이트 5∼10 중량%;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롤 트리에테르 4∼5 중량%; 리튬 실리케이트 0.1∼1 중량%; 계면활성제 1∼2 중량%;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 1∼2 중량%; 물 30∼38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제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인더 수지는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시험성적을 얻을 수 있다.
연번
시험ㆍ검사종목
시험ㆍ검사방법 시험ㆍ검사결과
S1 S2 S3
1 압축강도-7일(N/㎟) KS L 5201:2013 31.0 32.3 32.1
압축강도-7일(N/㎟)
연번
시험ㆍ검사종목
시험ㆍ검사방법 시험ㆍ검사결과
S1 S2 S3
1 압축강도-14일(N/㎟) KS F 2405:2010 34.7 33.4 32.1
압축강도-14일(N/㎟)
연번
시험ㆍ검사종목
시험ㆍ검사방법 시험ㆍ검사결과
S1 S2 S3
1 압축강도-28일(N/㎟) KS F 5201:2013 33.2 32.2 33.0
압축강도-28일(N/㎟)
연번
시험ㆍ검사종목
시험ㆍ검사방법 시험ㆍ검사결과
S1 S2 S3
1 압축강도-7일(N/㎟) KS F 2405:2010 29.7 31.4 30.6
압축강도-7일(N/㎟)
연번
시험ㆍ검사종목
시험ㆍ검사방법 시험ㆍ검사결과
S1 S2 S3
1 압축강도-14일(N/㎟) KS F 2405:2010 23.7 24.7 24.2
압축강도-14일(N/㎟)
연번
시험ㆍ검사종목
시험ㆍ검사방법 시험ㆍ검사결과
S1 S2 S3
1 압축강도-28일(N/㎟) KS F 2405:2010 22.4 22.2 19.4
압축강도-28일(N/㎟)
연번
시험ㆍ검사종목
시험ㆍ검사방법 시험ㆍ검사결과
S1 S2 S3
1 압축강도-7일(N/㎟) KS F 2408:2000 4.2 3.8 4.0
압축강도-7일(N/㎟)
연번
시험ㆍ검사종목
시험ㆍ검사방법 시험ㆍ검사결과
S1 S2 S3
1 압축강도-14일(N/㎟) KS F 2408:2000 5.3 4.8 4.9
압축강도-14일(N/㎟)
연번
시험ㆍ검사종목
시험ㆍ검사방법 시험ㆍ검사결과
S1 S2 S3
1 압축강도-28일(N/㎟) KS F 2408:2000 5.1 5.1 5.3
압축강도-28일(N/㎟)
연번 시험ㆍ검사종목 시험ㆍ검사방법 시험ㆍ검사결과
1


비중

S1




KS F 2518:2015





2.19
2 S2 2.11
3 S3 2.12
4 S4 2.19
5 S5 2.13
6 S6 2.17
7

흡수율(%)


S1 7.68
8 S2 8.82
9 S3 7.95
10 S4 7.80
11 S5 8.68
12 S6 7.90
비중 - 흡수율 시험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제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화강석 슬러지와 친환경 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고화제 제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강석 슬러지와 친환경 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고화제 제조방법은 화강석 슬러지 75∼80중량%와; 폴리실리콘 슬러지 20∼25중량%로 이루어진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5∼30 중량%;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25∼30 중량%; 부틸 아크릴레이트 5∼10 중량%;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롤 트리에테르 4∼5 중량%; 리튬 실리케이트 0.1∼1 중량%; 계면활성제 1∼2 중량%;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 1∼2 중량%; 물 30∼38 중량%로 구성된 바인더 수지 8∼10 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제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강석 슬러지와 친환경 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고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은 화강석 슬러지와 폴리실리콘 슬러지에 바인더 수지를 첨가 혼합하여 고강도 고화제를 생산하고, 이러한 건설재료를 혼합하여 연약지반 강화제, 도로포장 성토재 및 각종 블록 등의 원재료로 사용하여 화강석 슬러지 및 폴리실리콘 슬러지를 재활용 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인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나타나 있고, 그들 특허청구범위의 의미중에 들어가는 모든 변형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2)

  1. 화강석 슬러지 75∼80중량%와; 폴리실리콘 슬러지 20∼25중량%로 이루어진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인더 수지 8∼10 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인더 수지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5∼30 중량%;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25∼30 중량%; 부틸 아크릴레이트 5∼10 중량%;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롤 트리에테르 4∼5 중량%; 리튬 실리케이트 0.1∼1 중량%; 계면활성제 1∼2 중량%;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 1∼2 중량%; 물 30∼38 중량%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강석 슬러지와 친환경 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고화제.
  2. 화강석 슬러지 75∼80중량%와; 폴리실리콘 슬러지 20∼25중량%로 이루어진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인더 수지 8∼10 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제조하고, 상기 바인더 수지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5∼30 중량%;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25∼30 중량%; 부틸 아크릴레이트 5∼10 중량%;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롤 트리에테르 4∼5 중량%; 리튬 실리케이트 0.1∼1 중량%; 계면활성제 1∼2 중량%;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 1∼2 중량%; 물 30∼38 중량%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강석 슬러지와 친환경 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고화제 제조방법.
KR1020160149113A 2016-07-25 2016-11-09 화강석 슬러지와 친환경 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고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5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131 2016-07-25
KR20160094131 2016-07-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626B1 true KR101755626B1 (ko) 2017-07-10

Family

ID=59356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113A KR101755626B1 (ko) 2016-07-25 2016-11-09 화강석 슬러지와 친환경 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고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6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887B1 (ko) 2018-08-03 2018-12-04 홍사범 친환경 흙콘크리트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637B1 (ko) 2006-12-01 2007-07-20 최경득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은 환경친화형 블록
KR101490670B1 (ko) 2014-10-30 2015-02-05 문진호 친환경 흙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CN105236841A (zh) 2015-08-25 2016-01-13 合诚工程咨询股份有限公司 一种掺花岗岩石粉的活性粉末混凝土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637B1 (ko) 2006-12-01 2007-07-20 최경득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은 환경친화형 블록
KR101490670B1 (ko) 2014-10-30 2015-02-05 문진호 친환경 흙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CN105236841A (zh) 2015-08-25 2016-01-13 合诚工程咨询股份有限公司 一种掺花岗岩石粉的活性粉末混凝土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887B1 (ko) 2018-08-03 2018-12-04 홍사범 친환경 흙콘크리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272B1 (ko) 산업 부산물을 함유하는 고강도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KR101709240B1 (ko) 바텀애시 및 포졸란 반응의 혼화재를 이용한 내 황산염 저항성을 가진 친환경 시멘트 단면복구 모르타르 조성물
JP6332988B2 (ja) 耐火モルタル
KR101014869B1 (ko) 복합 알칼리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무시멘트 알칼리 활성결합재,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KR101366003B1 (ko) 무시멘트 결합재를 사용한 콘크리트 블록
KR101562542B1 (ko) 투수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592781B1 (ko) 바텀애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조성물
KR101018008B1 (ko) 플라이애쉬와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1339332B1 (ko) 바텀애시를 포함하는 결합재
KR101567851B1 (ko) Kr파우더가 혼입된 친환경 폴리머 모르터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 보강방법
KR101534217B1 (ko)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및 분말형 알칼리 활성화제를 이용한 건식 무시멘트 콘크리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66765A (ko) 페로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시멘트 모르타르용 및 콘크리트용 잔골재 재활용 방법
KR20080102114A (ko)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혼합시멘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66626B1 (ko) 도로 포장용 조강 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65694B1 (ko) 플라이애시를 포함하는 비소성 결합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KR20130134045A (ko) 나노실리카와 산업부산물을 활용한 지오폴리머 조성물
KR20120117108A (ko) 바텀애시를 포함하는 결합재
KR20140114211A (ko) 블록 형성용 고화제 조성물
KR101018009B1 (ko) 결합재로 폐유리 미분말과 플라이애쉬를 이용한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0922081B1 (ko) 흙포장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흙포장 시공방법
KR101130047B1 (ko) 비소성 시멘트를 이용한 생태복원용 블록 조성물
KR20150005019A (ko) 무기질 슬러지 폐기물을 이용한 지오폴리머 결합의 인공골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55639B1 (ko) 화강석 석판재용 차열성 코팅조성물 및 코팅방법
KR101755626B1 (ko) 화강석 슬러지와 친환경 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고화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5637B1 (ko) 건축 및 토목구조물의 마감재용 차열성 코팅 조성물 및 코팅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