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185B1 -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 Google Patents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185B1
KR101755185B1 KR1020170051496A KR20170051496A KR101755185B1 KR 101755185 B1 KR101755185 B1 KR 101755185B1 KR 1020170051496 A KR1020170051496 A KR 1020170051496A KR 20170051496 A KR20170051496 A KR 20170051496A KR 101755185 B1 KR101755185 B1 KR 101755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water
pipe
climatic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철
박시연
Original Assignee
박진철
박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철, 박시연 filed Critical 박진철
Priority to KR1020170051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02Grooved or vaulted roof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각도 조절이 가능한 측정장치에 기와를 시공하고, 시공된 기와에 대해 기후 현상과 동일한 조건의 임의 환경을 부여하여 기와의 시공각도에 따른 성능 내지 설치상태를 체크함은 물론, 기와 상으로 유수의 투입 및 팬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함에 따라 적층 시설된 기와 외면에 대해 유수의 배수 정도와 기와 상간의 중첩 부위에서 누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기후 조건별에 따른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와(5)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로 구분하여 적층 시설하는 메인부(100), 지면으로부터 메인부를 지지하는 지지부(200), 지지부에 구속되어 메인부의 승강을 유도하는 경사조절부(300)로 구분되는 기와측정부(1);와, 메인부에 배열된 기와에 대해 기후 현상과 동일한 조건의 임의 환경을 부여하는 기후설정부(400);를 포함하되, 위 메인부(100)는 경사조절부(300)의 승강 여부에 의해 다수 열로 적층 시설된 기와의 설치 각도를 가변 유도함으로써 기후설정부(400)가 부여하는 기후 조건별 해당 기와의 설치 상태를 테스트하고, 위 기후설정부(400)는 메인부의 기와 상으로 유수의 투입 및 팬(2c)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함에 따라 적층 시설된 기와 외면에 대해 유수의 배수 정도와 기와 상간의 중첩 부위에서 누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이다.

Description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Experimental equipment for roof tile by climate condition}
본 발명은 다수 열로 적층 배열한 기와의 설치 상태를 파악함은 물론, 변칙적으로 부여되는 기후조건과 기와의 설치각도에 따른 기와의 기능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기와의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측정장치에 기와를 시공하고, 시공된 기와에 대해 기후 현상과 동일한 조건의 임의 환경을 부여하여 기와의 시공각도에 따른 성능 내지 설치상태를 체크함은 물론, 기와 상으로 유수의 투입 및 팬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함에 따라 적층 시설된 기와 외면에 대해 유수의 배수 정도와 기와 상간의 중첩 부위에서 누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물을 지어 올릴 때, 건물의 최상층에는 지붕을 덮어씌운다. 과거에는 한정된 건축기술로 인해 수키와와 암키와를 각각 적층 배열하여 지붕을 제작하였으나, 현대에는 견고한 내구성을 갖는 건축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와를 사용한 건축물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한동안 기와는 과거부터 명맥을 이어온 한옥마을이나, 민속촌, 사찰 등에서나 볼 수 있었으나, 근래 들어서 전통적인 분위기를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기와를 지붕으로 한 건물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기와의 제조법 내지 형상을 달리하거나, 기와에 특이한 기능을 추가하고 더불어 기와의 적층관계를 개선하는 등의 다양한 종류의 기와와 시공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2005-0013265호 "점토기와"가 게재되어 있으며, 기와 표면에 광택의 정도를 다양하게 구사하면서, 이로부터 표출되는 광택의 짙고 엷은 정도에 따라 기와의 외장색과 문양을 불규칙하게 표출하여 자연미와 함께 수려한 외관을 갖추도록 하며, 기와의 일 측에 시공시 적층관계를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고정수단이 부여된 기술이다.
한편,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71601호 "태양광 수광패널 고정용 금속기와 및 이를 갖는 태양광 수광패널 조립체"가 게재되어 있으며, 위 종래기술은 금속을 기와의 형태로 가공하고, 가공된 기와에 태양광 수광패널을 삽입한 기술이다.
다른 일례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42541호 "역류방지가 가능한 기와"가 게재되어 있으며, 기와의 바디 표면에 배수홈을 갖는 상부플렌지와 빗물이 배수되는 배수로가 형성된 기술이다.
또 다른 일례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2005-0032764호 "기와가 훑어져 내리지 아니하게 한 지붕"이 게재되어 있으며, 위 종래기술은 지붕 물매의 중심이 하측 방향으로 만곡된 형태로 처마 끝이 치켜져 올라가게 하고, 내림마루 단부의 귀처마도 치솟게 한 것으로, 정자의 지붕에 이어져 있는 기와가 기후조건에 의한 중력의 영향으로 처마 끝으로 훑어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위의 종래기술들은 물론, 현재 기와에 관련하여 제공되는 기술들은 모두 기와를 형성하는 재료, 기와의 형태, 기와의 적층방법을 개선한 기술들일 뿐, 기와가 올바르게 시설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는 장치 내지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예컨대, 자동차나 기계 등과 같이 모든 제품은 시판 전에 해당 제품의 기능이 완전하게 발현되는지에 대한 유무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이 실시되는 것에 반해, 여러 기후 환경에 노출되어 기능성에 다양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는 기와에 대한 기능성을 실험할 수 있는 장치 내지 시스템은 현재까지도 존재하지 않고 있다. 근래 들어서, 전통성이 돋보이는 기와를 이용한 구조물이 각광받고 있는 시점에서 기와의 기능성을 실험할 수 있음은 물론, 기와의 시설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장치 내지 시스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2005-0013265호 "점토기와"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71601호 "태양광 수광패널 고정용 금속기와 및 이를 갖는 태양광 수광패널 조립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42541호 "역류방지가 가능한 기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2005-0032764호 "기와가 훑어져 내리지 아니하게 한 지붕"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시설된 각도에 따라 기와의 중첩부위에서 누수의 발생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시설된 기와에 실시간으로 다양한 기후 조건을 부여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시설된 기와에 흐르는 물의 유속과 강수량을 측정하고, 기와에 가해지는 바람의 풍량 내지 풍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기와의 시설 각도를 자동으로 제어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마지막 해결과제이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기와(5)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로 구분하여 적층 시설하는 메인부(100), 지면으로부터 메인부를 지지하는 지지부(200), 지지부에 구속되어 메인부의 승강을 유도하는 경사조절부(300)로 구분되는 기와측정부(1);와, 메인부에 배열된 기와에 대해 기후 현상과 동일한 조건의 임의 환경을 부여하는 기후설정부(400);를 포함하되, 위 메인부(100)는 경사조절부(300)의 승강 여부에 의해 다수 열로 적층 시설된 기와의 설치 각도를 가변 유도함으로써 기후설정부(400)가 부여하는 기후 조건별 해당 기와의 설치 상태를 테스트하고, 위 기후설정부(400)는 메인부의 기와 상으로 유수의 투입 및 팬(2c)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함에 따라 적층 시설된 기와 외면에 대해 유수의 배수 정도와 기와 상간의 중첩 부위에서 누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메인부(100)는 기후설정부(400)에서 기와로 제공되는 유수 및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고자 하는 범위 내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체(6)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메인부(100)는 기와를 다수 열로 적층 시설하고, 시설된 기와에서 누수의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받침프레임(110)과, 받침프레임의 상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는 입설대(120)와, 입설대의 저부에 설치되고 저수조에서 물을 공급받아 시설된 기와로 분사하는 제1입수관(1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받침프레임(110)은 다수의 파이프가 세로 열로 배치된 보조프레임(111)과, 보조프레임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레일부(112)와, 보조프레임 상단에 가로 열로 배치되되, 양단부가 레일부 상에서 슬라이딩되게 결합하여 각각의 간격 조절 가능한 셋팅프레임(113)으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위 제1입수관(130)은 저수조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제1공급관(131)과, 공급된 물의 흐름을 좌우 양측의 수평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분할관(132)과, 입설대(120)의 저부에 최소 하나 이상 세로 배열되고 각각의 입구가 제1분할관과 연결되어 물을 배분받는 우수통로관(133)과, 우수통로관의 저부에 일정 간격으로 최소 하나 이상 설치되어 공급된 물을 시설된 기와(5)로 토출하는 노즐부(1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제1입수관(130)은 제1공급관(131)에 공급된 물의 수압을 측정하는 압력계(135)가 포함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위 노즐부(134)는 우수통로관(133)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받는 바디(134a)와, 전달받은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134b)로 구성되고, 위 노즐부는 전후좌우의 자유각도로 회동되게 결합되어 물을 분사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위 입설대(120)는 메인부(100)의 단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1입설대(121), 제2입설대(122), 제3입설대(123), 제4입설대(124), 제5입설대(125)로 구분하고, 제5입설대가 위치한 메인부의 하단에는 저수조로부터 물을 수직으로 공급받는 제2공급관(141)과, 제2공급관의 단부에서 밴딩되어 물의 흐름을 수평 변경하는 제2분할관(142)과, 제2분할관의 저면에 설치되어 공급받은 물을 시설된 기와(5) 상의 빗물유도골로 토출하는 출수구(143)로 구성된 제2입수관(140)을 포함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위 제2분할관(142)은 제1입설대(121)와 제5입설대(125)에 각각 가로방향으로 결합되고, 제2분할관에는 시설된 기와(5) 상에 구비된 빗물유도골의 위치마다 속도감지센서(144)를 부착하여 빗물유도골을 타고 흐르는 빗물의 유속을 측정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위 경사조절부(300)는 손잡이가 구비된 베벨기어 또는 실린더로 구성되고, 경사조절부의 승,하강 작동으로 메인부(100)와 지지부(200) 간의 경사가 0°~90°의 자유회동이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위 메인부(100)는 지지부(200)간에 회동된 각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메인부와 지지부가 상호 결합된 위치 일면에 각도계 또는 전자 각도계(150)를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위 메인부(100)는 시설된 기와(5)의 각 빗물유도골(7)을 따라 처마가 위치한 지면마다 중량측정부재(160) 및 중량측정부재 상면에 적층된 담수통(161)을 포함하고, 위 중량측정부재(160)는 빗물유도골(7)의 안내를 받아 담수통으로 이동하는 빗물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감지함에 따라 총 강수량, 기와 경사면 상에 흐르는 빗물의 유속, 빗물유도골 당 흐르는 빗물의 양을 측정하는 것에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기후설정부(400)는 분사각과 분사력을 제어하는 제1입수관(130)과, 송풍각과 송풍력을 제어하는 송풍부(2)와 각각 연동하여 시설된 기와(5)로 변칙적인 강수환경을 부여하면서, 메인부(100)에 풍량감지센서(145)를 첨부하여 기와로 가해지는 강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위 풍량감지센서(145)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형태의 거치수단(146)에 결합되고, 위 거치수단은 입설대(120) 상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되,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송풍부(2)가 부여하는 바람의 흐름에 따라 풍량감지센서의 위치 가변이 조절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위 송풍부(2)는 메인부(100)로 바람을 전달하기 위해서 메인부와 송풍부 사이 간에 양측벽면과 상측벽면으로 이루어진 보조부(3)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기후설정부(400)는 일 측에 전자각도계(150)로부터 측정된 기와의 시설 각도에 대한 정보와, 제1입수관(130)의 압력계(135)로부터 측정된 수압에 대한 정보와, 속도감지센서(144)로부터 측정된 유속에 대한 정보와, 풍량감지센서(145)로부터 측정된 풍량에 대한 정보와, 제1노즐부(134)의 분사각도에 대한 정보와, 중량측정부재(160)의 강수량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기와측정부(1)는 전면 또는 배면에 동영상이 녹화되는 카메라(170)를 설치하여 기와측정부에 시설된 기와 상에 흐르는 빗물을 녹화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기와의 시설상태 및 기능이 다양한 강수 조건에서 완벽하게 대응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와의 시설각도를 경사조절부의 승강 여부에 의해 가변 유도할 수 있고, 각도가 다양하게 가변되는 시설된 기와에 임의의 강수 조건을 부여하여 각도별 기와의 중첩부위에 대한 누수 발생 유무와, 기와 상간에 흐르는 유속의 정보, 송풍부에서 송출되는 풍력의 정보, 송풍의 각도, 기와 상간에 흐르는 강수량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기와측정부(1)와, 송풍부(2)와, 보조부(3)와, 기후설정부(400)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기와측정부(1)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메인부(100)가 경사조절부(300)의 승강 여부에 의해 지지부(200)로부터 각도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4의 우측면도.
도 6은 메인부(100)의 부분확대도.
도 7은 메인부(100)의 또 다른 부분확대도.
도 8은 기와측정부(1)의 배면사시도 및 제1입수관(130)을 통해 물이 유입되는 흐름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9는 기와측정부(1)의 정면도와 노즐부(134)의 회동각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0은 기와측정부(1) 상에 기와가 시설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1은 송풍부(2)가 제공하는 바람이 보조부(3)를 통해 기와측정부(1)로 이동하는 과정과, 기와측정부(1)에 기후 조건이 부여되는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2는 기후설정부(400)에서 부여하는 강수에 의해 흐르는 물을 저장하여 무게를 측정하여 강수량을 파악하는 방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3은 기와측정부(1)에 시설된 기와의 중첩부위에서 누수의 발생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다수 열로 적층 된 기와의 설치 상태를 파악함은 물론, 변칙적으로 부여되는 기후조건과 기와의 설치각도에 따른 기와의 기능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기와의 실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엇보다, 각도 조절이 가능한 실험장치에 기와를 시공하고, 시공된 기와에 대해 기후 현상과 동일한 조건의 임의 환경을 부여하여 기와의 시공각도에 따른 성능 내지 설치상태를 체크함은 물론, 기와 상으로 유수의 투입 및 팬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함에 따라 적층 시설된 기와 외면에 대해 유수의 배수 정도와 기와 상간의 중첩 부위에서 누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실질적으로 기와(5)를 설치하고, 설치된 기와에 각도를 부여하면서 강수 환경을 조성하는 기와측정부(1)와, 기와측정부에 바람을 다양한 각도로 제공하는 송풍부(2)와, 송풍부가 출력하는 바람이 기와측정부로 완벽하게 전달되는 것을 유도하는 보조부(3)와, 기와측정부에 구비된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는 기후설정부(400)의 설치상태를 사시도 형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기와측정부(1)에 관한 것으로써, 메인부(100)와 지지부(200) 그리고 메인부와 지지부 사이 간에 게재되는 경사조절부(300)를 사시도 형태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메인부(100)와 지지부(200) 그리고 메인부와 지지부 사이 간에 게재되는 경사조절부(300) 간의 결합관계 내지 결합부위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기와측정부(1)는 크게 기와(5)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로 구분하여 적층 시설하는 메인부(100)와, 지면으로부터 메인부를 지지하는 지지부(200)와, 지지부에 구속되어 메인부의 승강을 유도하는 경사조절부(300)로 이루어지며, 메인부에 배열된 기와에 대해 기후 현상과 동일한 조건의 임의 환경을 부여하는 기후설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메인부(100)와 지지부(200)의 각 단부가 힌지(Hinge) 결합되고, 메인부와 지지부 사이 간에 게재되는 경사조절부(300)의 승강 여부에 따라 메인부와 지지부 간의 경사가 조절되는 것을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우측면을 나타낸 것으로, 메인부(100)가 경사조절부(300)의 승강 여부에 의해 지지부(200)로부터 최소 0°내지 90°까지 각도 조절이 실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와측정부(1)는 메인부(100)의 저부에 형성된 돌부와, 지지부(200)의 상부에 형성된 돌부를 동일선상에 위치한 다음 해당 돌부 간에 축을 삽입함으로써, 경사조절부(300)의 승강 여부에 의해 결합된 부분이 회동하면서 다수 열로 적층 시설된 기와의 설치 각도를 최소 0°내지 90°까지 가변 유도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6은 메인부(100)에서 기와를 시설하는 프레임의 구조를 이해하기 쉽도록 해당 프레임을 부분 확대한 다음 분해하여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부(100)는 크게 기와를 다수 열로 적층 시설하고, 시설된 기와에서 누수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받침프레임(110)과, 받침프레임의 상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는 입설대(120)와, 입설대의 저부에 설치되고 저수조에서 물을 공급받아 시설된 기와로 분사하는 제1입수관(130)으로 이루어진다.
위 받침프레임(110)은 시설된 기와가 지면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파이프가 세로 열로 배치된 사각형틀의 보조프레임(111)과, 보조프레임의 사각형틀 양측면에 설치되는 레일부(112)와, 보조프레임 상단에 다수의 파이프가 가로 열로 배치되되, 양측의 단부가 레일부 상에서 슬라이딩되게 결합하는 셋팅프레임(113)으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세로 열로 배치되는 보조프레임(111)과, 가로 열로 배치되는 셋팅프레임(113)에 의해 받침프레임(110)은 격자(格子) 형태를 띠며, 기와의 중첩부위에서 누수되는 물이 격자의 각 빈 공간 사이로 배출되도록 유도한다.
특히, 보조프레임(111) 상에 가로 열로 배치된 셋팅프레임(113)은 레일부(112)의 슬라이딩 식 결합에 의해 셋팅프레임 간 폭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로 제공되는 기와를 모두 시설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보조프레임(111)에 구비되는 레일부(112)는 보조프레임과 동일하게 세로 열로 배치되되, 각 양 측면에 2개소의 파이프가 일정한 간격을 띄운 채로 설치되면서 보조프레임(111)의 상면(上面)과 레일부(112)의 상면(上面)은 서로 동일선상으로 위치되게 구성하여 보조프레임 상면을 연장형성한다. 위 셋팅프레임(113)은 보조프레임(111)과 레일부(112)의 상면에 가로 열로 배치하고, 셋팅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체결공(113a)을 더 구비하여 레일부와 볼트 결합한다.
위 셋팅프레임(113)의 양측 단부에 구비된 체결공(113a)의 위치는 레일부의 일정간격을 띄움으로써 제공되는 슬라이드 공간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위 셋팅프레임은 체결공에 볼트(113b)를 삽입한 후, 레일부(112)의 슬라이드 공간을 관통한 다음, 레일부의 저부로 노출된 볼트 단부에 사각의 체결편(113c)과 너트(113d)를 순차 결합하여 레일부 상에서 셋팅프레임이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한다.
예컨대, 위와 같이 보조프레임(111) 상에서 셋팅프레임(113)이 슬라이딩되게 결합한 방식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관한 것일 뿐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LM가이드나 TM스크류 등 수평 내지 수직이동이 가능한 다양한 부재로 대체 가능하다.
위 입설대(120)는 받침프레임(110)에 기와를 시설하고 시설된 기와에 다양한 기후 조건을 부여할 수 있는 직육면체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받침프레임의 상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가 설치된다. 위 입설대(120)는 받침프레임(110)의 양측 단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두 개의 수직파이프와 수직파이프의 단부를 연결하는 수평파이프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받침프레임의 상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가 설치된다. 더불어, 다수 개로 설치된 직육면체의 형태를 갖는 입설대(120)의 외면에 커버체(6)를 결합하여 메인부(100)의 내부와 외부 간의 경계를 구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입설대(120)는 받침프레임(110)의 일 측에서 타 측까지 총 5개소가 배치되며, 일 측에 배치된 입설대부터 순차적으로 제1입설대(121), 제2입설대(122), 제3입설대(123), 제4입설대(124), 제5입설대(125)로 명칭을 구분한다.
위 제1입수관(130)은 다양한 기후 조건 중 강수를 재현하기 위한 수단이다.
위 제1입수관(130)은 저수조에서 제1공급관(131), 제1공급관에서 제1분할관(132), 제1분할관에서 우수통로관(133), 우수통로관에서 노즐부(134)로 물을 순차 이동시켜 분사함으로써 비가 내리는 것과 같은 기후 조건을 재현한다.
위 저수조는 다량의 물을 담수된 것으로, 설치 장소는 구애받지 않으나, 기와측정부(1)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위 제1공급관(131)은 기와측정부(1)의 배면에 설치되고 일 측 단부가 입설대(120)에 이르기까지 연장형성되며, 제1공급관의 외주연 일 구간에는 압력계(135)를 설치하여 저수조로부터 유입된 물의 수압을 측정한다.
위 제1분할관(132)은 제5입설대(125)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분할관의 중심부에 제1공급관(131)이 연결되어 제1공급관이 공급하는 물을 전달받아 좌,우 수평방향으로 배분한다.
위 우수통로관(133)은 제1입설대(121)에서 제5입설대(125)에 이르기까지 세로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되, 우수통로관 각각의 일 측 단부가 제1분할관(132)과 연결되어 수평으로 배분된 물을 전달받는다.
위 노즐부(134)는 우수통로관(133)의 저부에 다수 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고, 우수통로관으로 진입된 물을 전달받는 몸체(134a)와, 전달받은 물을 시설된 기와로 토출하는 분사부(134b)로 구성되며, 특히 위 노즐부(134)는 우수통로관(133)에 전후좌우의 사방각도로 회동되도록 결합하여 물을 다양한 각도로 분사할 수 있다.
위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1입수관(130)의 물순환 구조를 다시 한번 설명하자면, 펌프의 작동으로 저수조에 저장된 물이 제1공급관(131)으로 유입되면서 제1공급관에 설치된 압력계를 바탕으로 물의 유입량을 조절하고, 제1공급관으로 유입된 물은 제5입설대(125)에 설치된 제1분할관(132)까지 진입하여 물을 수평으로 배분한다. 수평으로 배분된 물은 각각의 우수통로관(133)으로 진입하고 우수통로관의 저면에 설치된 다수의 노즐부(134)로 이동하여 받침프레임(110)에 시설된 기와(5)에 물을 분사함으로서 강수와 같은 기후 조건을 재현한다.
한편, 제5입설대(125)가 위치한 메인부(100)의 하단에는 제2입수관(140)이 설치되고, 제2입수관은 시설된 기와에 구비된 각각의 빗물유도골(7)에 물을 출수하여 빗물유도골의 라인만을 따라 물이 흐르는 것을 유도하여 유속을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다.
위 제2입수관(140)은 저수조에서 제2공급관(141), 제2공급관에서 제2분할관(142), 제2분할관에서 출수구(143)로 물을 순차 이동시켜 시설된 기와에 구비된 각각의 빗물유도골을 향해 물을 출수한다.
위 저수조는 제1입수관(130)이 공급받는 저수조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또 다른 저수조를 구비하여 제1입수관과 제2입수관이 별도로 사용되는 것도 무방하다.
위 제2공급관(141)은 메인부(100)의 양 측면 중 어느 일 측면에 설치되되, 제5입설대(125)가 설치된 위치와 동일선상에 설치되고, 제1입수관(130)과 마찬가지로 펌프의 동작에 의해 저수조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다.
위 제2분할관(142)은 제2공급관(141)의 단부에서 밴딩되어 제5입설대(125)의 좌우양측에 배치된 파이프에 고정되고, 제2공급관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수평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출수구(143)는 제2분할관(143)의 저면에 설치되며, 물을 일 위치에 집중적으로 출수할 수 있는 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위 출수구(143)는 빗물유도골(7)의 위치마다 각 1개소씩 설치되어 각각의 빗물유도골에 동일한 양의 물을 출수한다.
위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2입수관(140)의 물순환 구조를 다시 한번 설명하자면, 펌프의 작동으로 저수조에 저장된 물이 제2공급관(141)으로 유입되고, 제1공급관으로 유입된 물은 제5입설대(125)에 설치된 제2분할관(142)까지 진입하여 물을 수평으로 배분한다. 수평으로 배분된 물은 각각의 출수구(143)로 진입하고, 제2분할관으로부터 물을 연속적으로 전달받는 출수구는 물을 각각의 빗물유도골(7)로 배출한다.
한편, 제2분할관(142)은 제1입설대(121)와 제5입설대(125)에 각각 가로방향으로 결합되고, 제2분할관에는 빗물유도골(7)과 동일한 위치선상에 속도감지센서(144)를 부착하여 빗물유도골을 타고 흐르는 물의 유속을 측정한다. 여기서 물이란, 제1입수관(130)으로부터 노즐부(134)로 배출되는 물을 측정할 수도 있고, 제2입수관(140)으로부터 출수구(143)로 배출되는 물을 측정할 수도 있다.
하지만, 유속 측정은 제1입수관(130)에서 배출되는 물이 시설된 기와(5)의 전면에 고루 분사되기 때문에, 제1입수관에 비해 제2입수관(140)에서 물을 배출시켜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지지부(200)는 지면으로부터 메인부(100)를 지탱하고, 메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고루 분산하기 위해 다수의 파이프가 보강된 직육면체의 사각형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경사조절부(300)는 지지부(200)에 구속되어 메인부(100)의 승강을 유도하며, 경사조절부의 승강 여부에 의해 다수 열로 적층 시설된 기와의 설치 각도를 가변 유도한다.
본 발명에서 일 실시 하는 경사조절부(300)는 도 3과 같이 링 기어와 피니언기어가 결합된 베벨 기어(Bevel Gear)로 구성되고, 피니언기어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파지부가 구비된다. 예컨대 도면에서는 곡선 베벨 기어(Spiral bevel gear)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하지는 않는다.
한편, 링기어의 축홈에는 단부에 나사선이 부가된 샤프트가 수직으로 결합되고, 메인부(100)의 저부에는 링기어의 샤프트와 대응하도록 내부공간에 나사홀을 갖는 파이프가 흰지의 구조로 체결된다. 위 링기어의 샤프트가 메인부(100)의 파이프에 내입되되, 나사산에 의해 결합되어 파지부의 구동에 따라 링기어 샤프트가 회전하면서 나사산에 의해 파이프가 승하강된다.
예컨대, 위 경사조절부(3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로써, 실린더와 같이 승 하강이 실시되는 다양한 부재로 대체가능하다.
위와 같이 메인부(100)와, 지지부(200)와, 경사조절부(300)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기와측정부(1)는 경사조절부의 승강 여부에 따라 기와(5)의 설치 각도를 가변 유도하고, 아래에 후술할 기후설정부(400)의 작동으로 강수와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범위를 제공한다.
위 기후설정부(400)는 기와측정부(1)에서 행해지는 강수와 송풍 등의 공급 내지 제어함은 물론, 강수에 따라 시설된 기와(5)에 분사되는 강수량, 유속, 풍량, 풍속 등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작업자가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위 기후설정부(400)는 제1입수관(130)과 연동되어 저수조로부터 제1입수관으로 물의 공급 및 차단함은 물론, 압력계(135)로부터 측정된 수압을 토대로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더불어 제1입수관에 구비된 노즐부(134)의 분사각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의 강수 조건을 재현한다.
또한, 위 기후설정부(400)는 기와측정부(1)의 전방에 설치되는 송풍부(2)를 포함하며, 위 송풍부(2)는 주변의 바람을 흡입하여 일 방향으로 송출하는 송풍기(2a)와, 송풍기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송풍기거치대(2b)로 구성된다.
위 송풍기(2a)는 내부공간에 빠르게 회전하는 팬(Fan)(2c)이 구비되어 최소 100 내지 250㎞의 속도로 바람을 송출하고, 특히 송풍기거치대(2b) 상에서 유니트 베어링(Unit Bearing)으로 회동되게 결합하여 일 방향으로 송출되는 바람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위 송풍기(2a)는 송풍기거치대(2b)에 구비된 레버(Lever)의 수동 작동이나, 기후설정부(400)의 프로그램 조작으로 송풍기의 상하 각도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한다.
위 기후설정부(400)는 메인부(100)에 시설된 기와(5)에 강수 조건을 부여하여 기와 상에 흐르는 유속을 메인부의 각도별로 측정한다.
위 제2입수관(140)의 설명에서도 기재하였듯이, 제1입설대(121)와 제5입설대(125)에는 각각 제2분할관(142)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분할관(142)에는 빗물유도골(7)의 위치마다 속도감지센서(144)가 부착된다.
(예컨대, 원활한 설명을 위해 위 제5입설대(125)에 부착된 속도감지센서(144)는 시작지점센서로 지칭하고, 제1입설대(121)에 부착된 속도감지센서는 종료지점센서로 지칭한다.)
위 기와측정부(1)는 경사조절부(300)의 승강 여부에 의해 메인부(100)의 각도가 조절되고, 이로 인해 제1입설대(121)의 고도는 점차 낮아지는 반면, 제5입설대(125)의 고도는 점차 높아진다. 위 제5입설대(125)의 제2분할관(142) 저면에 설치된 출수구(143)에서 배출된 물은 고도가 높은 제5입설대에서 빗물유도골(7)을 타고 제1입설대(121) 방향으로 흐르게 되는데, 이때 시작지점센서가 출수구에서 배출되는 물을 감지하고, 종료지점센서가 빗물유도골을 타고 제1입설대에 최종적으로 도착한 물을 감지하여 물의 이동 속도를 계산하여 유속을 측정한다.
또한, 위 기와측정부(1)는 전면 또는 배면에 동영상 녹화 기능이 포함된 카메라(170)를 설치하여 기와측정부에 시설된 기와 상에 흐르는 빗물을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게 구성하였으며, 특히 위 카메라(170)는 빗물이 경사진 기와 상에 흐르는 빗물을 녹화하고, 빗물이 흐르는 속도를 계산하게 함으로써 빗물의 유속을 측정할 수 있다.
더불어, 위 유속은 경사조절부(300)의 승강 작동에 의한 메인부(100)의 각도별로 측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기와(5)의 기능성 실험은 자연적인 기후의 조건을 완벽하게 재현한 상태에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유속의 측정 역시 송풍부(2)로부터 바람을 송출시킨 다음 메인부(100)에 시설된 기와 상에서 송출되는 바람의 저항을 받고 흐르는 물의 유속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더불어, 메인부(100)에 시설된 기와는 시설 각도별로 기와 상에서 흐르는 물이 송출되는 바람의 저항에 의한 누수 발생 여부에 따라 기와의 설치상태를 파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와측정부(1)는 메인부(100) 상에 시설된 기와에서 발생하는 누수 유무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장치의 전면이 격자형태의 틀로 구성되며, 메인부(100)의 양측면과 상측면을 덮는 커버체(6)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여 투시성을 갖는다.
위 기후설정부(400)는 송풍부(2)가 제공하는 풍속을 감지하여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위 기후설정부(400)가 송풍부(2)의 풍속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송풍이 불어오는 메인부(100)의 정면에 풍량감지센서(145)를 부착하고, 기후설정부와 풍량감지센서를 서로 연동하여 풍량을 감지하면서 감지된 정보를 기후설정부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특히, 위 풍량감지센서(145)는 안테나와 같이 슬라이드 방식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거치수단(146)에 결합되고, 위 거치수단은 제1입설대(121) 상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되, 거치수단이 제1입설대 상에서 상하 위치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 형태로 결합된 것이 특징이다.
위의 결합으로 풍량감지센서(145)는 안테나 형식의 거치수단(146)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되고, 제1입설대(121)와 거치수단의 수직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상하 위치가 조절되는 등 상,하,좌,우 사방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위 기후설정부(400)는 메인부(100)의 일정 범위 안에 다양한 기후 조건을 부여함은 물론, 경사조절부(300)의 승강 여부에 의해 메인부(100)가 지지부(200)로부터 가변되는 각도를 측정하여 디스플레이 내지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먼저, 메인부(100)의 단부와 지지부(200)의 단부 간에 결합된 부위에 각도계 또는 전자각도계(150)가 설치된다. 작업자는 각도계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경사조절부(300)의 승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전자각도계와 기후설정부(400)를 상호 연동하여 기후설정부의 프로그램 제어로 경사조절부(300)의 승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위 기후설정부(400)는 메인부(100)에 시설된 기와 상으로 흘러 처마로 낙하하는 물을 일괄적으로 저장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강수량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위 기후설정부(400)가 시설된 기와 상으로 흘러 처마로 낙하하는 물을 일괄적으로 저장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은 먼저, 메인부(100)에 시설된 기와의 처마 밑 지면상에 중량측정부재(160)를 설치하고, 중량측정부재 위에 상측이 개구된 담수통을 올려놓는다. 제1입수관(130) 내지 제2입수관(140)에서 배출되어 빗물유도홈(7)을 타고 처마로 이동하여 낙하하는 물을 각각 구비된 담수통이 받아 중량측정부재가 해당 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기후설정부로 정보를 이송한다.
아래 자료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제작된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에 대한 시험 성적서이다.
[시험성적서1]
Figure 112017039265849-pat00001
[시험성적서2]
Figure 112017039265849-pat00002
[시험성적서3]
Figure 112017039265849-pat00003
[시험성적서4]
Figure 112017039265849-pat00004
위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후 조건별에 따른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는 실험장치에 기와(5)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로 구분하여 적층 시설함은 물론, 경사조절부의 승강 여부에 의해 다수 열로 적층 시설된 기와의 설치 각도를 가변 유도함으로써 기후설정부가 부여하는 기후 조건별 해당 기와의 설치 상태를 테스트하고, 특히 기와 상으로 유수의 투입 및 팬(2c)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함에 따라 적층 시설된 기와 외면에 대해 유수의 배수 정도와 기와 상간의 중첩 부위에서 누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기와측정부 2. 송풍부
3. 보조부 5. 기와
6. 커버체 7. 빗물유도골
100. 메인부 110. 받침프레임
120. 입설대 130. 제1입수관
140. 제2입수관 200. 지지부
300. 경사조절부 400. 기후설정부
135. 압력계 144. 속도감지센서
145. 풍량감지센서 150. 각도계
160. 중량측정부재 170. 카메라

Claims (17)

  1. 기와(5)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로 구분하여 적층 시설하는 메인부(100), 지면으로부터 메인부를 지지하는 지지부(200), 지지부에 구속되어 메인부의 승강을 유도하는 경사조절부(300)로 구분되는 기와측정부(1);
    메인부에 배열된 기와에 대해 기후 현상과 동일한 조건의 임의 환경을 부여하는 기후설정부(400);
    를 포함하되,
    위 메인부(100)는 경사조절부(300)의 승강 여부에 의해 다수 열로 적층 시설된 기와의 설치 각도를 가변 유도함으로써 기후설정부(400)가 부여하는 기후 조건별 해당 기와의 설치 상태를 테스트하고,
    위 기후설정부(400)는 메인부의 기와 상으로 유수의 투입 및 팬(2c)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함에 따라 적층 시설된 기와 외면에 대해 유수의 배수 정도와 기와 상간의 중첩 부위에서 누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위 메인부(100)는 기후설정부(400)에서 기와로 제공되는 유수 및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고자 하는 범위 내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체(6)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위 메인부(100)는 기와를 다수 열로 적층 시설하고, 시설된 기와에서 누수의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받침프레임(110)과, 받침프레임의 상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는 입설대(120)와, 입설대의 저부에 설치되고 저수조에서 물을 공급받아 시설된 기와로 분사하는 제1입수관(1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위 받침프레임(110)은 다수의 파이프가 세로 열로 배치된 보조프레임(111)과, 보조프레임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레일부(112)와, 보조프레임 상단에 가로 열로 배치되되, 양단부가 레일부 상에서 슬라이딩되게 결합하여 각각의 간격 조절 가능한 셋팅프레임(113)으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위 제1입수관(130)은 저수조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제1공급관(131)과, 공급된 물의 흐름을 좌우 양측의 수평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분할관(132)과, 입설대(120)의 저부에 최소 하나 이상 세로 배열되고 각각의 입구가 제1분할관과 연결되어 물을 배분받는 우수통로관(133)과, 우수통로관의 저부에 일정 간격으로 최소 하나 이상 설치되어 공급된 물을 시설된 기와(5)로 토출하는 노즐부(1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위 제1입수관(130)은 제1공급관(131)에 공급된 물의 수압을 측정하는 압력계(135)가 포함된 것에 특징이 있는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위 노즐부(134)는 우수통로관(133)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받는 바디(134a)와, 전달받은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부(134b)로 구성되고, 위 노즐부는 전후좌우의 자유각도로 회동되게 결합되어 물을 분사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위 입설대(120)는 메인부(100)의 단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1입설대(121), 제2입설대(122), 제3입설대(123), 제4입설대(124), 제5입설대(125)로 구분하고, 제5입설대가 위치한 메인부의 하단에는 저수조로부터 물을 수직으로 공급받는 제2공급관(141)과, 제2공급관의 단부에서 밴딩되어 물의 흐름을 수평 변경하는 제2분할관(142)과, 제2분할관의 저면에 설치되어 공급받은 물을 시설된 기와(5) 상의 빗물유도골로 토출하는 출수구(143)로 구성된 제2입수관(140)을 포함한 것에 특징이 있는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위 제2분할관(142)은 제1입설대(121)와 제5입설대(125)에 각각 가로방향으로 결합되고, 제2분할관에는 빗물유도골(7)의 위치마다 속도감지센서(144)를 부착하여 빗물유도골을 타고 흐르는 빗물의 유속을 측정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위 경사조절부(300)는 손잡이가 구비된 베벨기어 또는 실린더로 구성되고, 경사조절부의 승·하강 작동으로 메인부(100)와 지지부(200) 간의 경사가 0~90°의 자유회동이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위 메인부(100)는 지지부(200)간에 회동 각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메인부와 지지부가 상호 결합된 위치 일면에 각도계 또는 전자 각도계(150)를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위 메인부(100)는 시설된 기와(5)의 각 빗물유도골(7)을 따라 처마가 위치한 지면마다 중량측정부재(160) 및 중량측정부재 상면에 적층된 담수통(161)을 포함하고,
    위 중량측정부재(160)는 빗물유도골(7)의 안내를 받아 담수통으로 이동하는 빗물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감지함에 따라 총 강수량, 기와 경사면 상에 흐르는 빗물의 유속, 빗물유도골 당 흐르는 빗물의 양을 측정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위 기후설정부(400)는 분사각과 분사력을 제어하는 제1입수관(130)과, 송풍각과 송풍력을 제어하는 송풍부(2)와 각각 연동하여 시설된 기와(5)로 변칙적인 강수환경을 부여하면서 메인부(100)에 풍량감지센서(145)를 부가 형성하여 기와로 가해지는 강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확인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위 풍량감지센서(145)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형태의 거치수단(146)에 결합되고, 위 거치수단은 입설대(120) 상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되,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송풍부(2)가 부여하는 바람의 흐름에 따라 풍량감지센서의 위치 가변이 조절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위 송풍부(2)는 메인부(100)로 바람을 전달하기 위해서 메인부와 송풍부 사이 간에 양측벽면과 상측벽면으로 이루어진 보조부(3)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위 기후설정부(400)는 일 측에 전자각도계(150)로부터 측정된 기와의 시설 각도에 대한 정보와, 제1입수관(130)의 압력계(135)로부터 측정된 수압에 대한 정보와, 속도감지센서(144)로부터 측정된 유속에 대한 정보와, 풍량감지센서(145)로부터 측정된 풍량에 대한 정보와, 제1노즐부(134)의 분사각도에 대한 정보와, 중량측정부재(160)의 강수량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위 기와측정부(1)는 전면 또는 배면에 동영상이 녹화되는 카메라(170)를 설치하여 기와측정부에 시설된 기와 상에 흐르는 빗물을 녹화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KR1020170051496A 2017-04-21 2017-04-21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KR101755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496A KR101755185B1 (ko) 2017-04-21 2017-04-21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496A KR101755185B1 (ko) 2017-04-21 2017-04-21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185B1 true KR101755185B1 (ko) 2017-07-06

Family

ID=5935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496A KR101755185B1 (ko) 2017-04-21 2017-04-21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18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29411C (en) Grain aeration system
US20070205308A1 (en) Snow removal device
CN206048480U (zh) 立式养护窑及混凝土预制构件养护系统
CN106140769A (zh) 通风柜
CN111642256B (zh) 一种用于粮仓的双向变风量通风控温增湿系统及控制方法
CN102505877A (zh) 一种装配式空调蘑菇房的整体结构
KR101755185B1 (ko) 기후 조건별 기와의 기능성 실험장치
CN110749653A (zh) 一种在役轻质土超声检测的室内模拟方法及装置
WO2017135655A1 (ko)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
CN109681994A (zh) 一种科研温室湿帘降温装置及控制方法
CN206380397U (zh) 一种用于温棚智能控温控湿装置
CN103549639A (zh) 热载体超高密集烤烟烘烤房
DE202013100415U1 (de) Gasbehälter, insbesondere zur Aufnahme von Biogas
KR101180655B1 (ko) 빌딩의 지하 주차장용 하이브리드 환기 장치 및 방법
MXPA05004116A (es) Calentador de agua para techo.
CN205939427U (zh) 一种气膜建筑节能降温系统
CN203943061U (zh) 热载体超高密集烤烟烘烤房
CN207081093U (zh) 一种空调器室内机和空调器
CN106054949A (zh) 一种基于图像识别的闸门开度仪
CN206990531U (zh) 一种气体侦测设备
KR20130046780A (ko) 급기용 덕트
EP3045814B1 (en) Collective concentric flue duct
CZ17247U1 (cs) Zadešťovací zařízení pro měření infiltrace vody do půdy
CN208458394U (zh) 一种烘干机
CN112303258A (zh) 一种通风阀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