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183B1 -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183B1
KR101755183B1 KR1020170030044A KR20170030044A KR101755183B1 KR 101755183 B1 KR101755183 B1 KR 101755183B1 KR 1020170030044 A KR1020170030044 A KR 1020170030044A KR 20170030044 A KR20170030044 A KR 20170030044A KR 101755183 B1 KR101755183 B1 KR 101755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stion
answer
terminal
time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원
Original Assignee
최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원 filed Critical 최종원
Priority to KR1020170030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with provision for individual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질문자와 답변자가 전자칠판을 통한 시각적 정보와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한 음성적 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효과적인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은, 입력 수단, 표시 수단, 마이크, 스피커 및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질문자 단말; 입력 수단, 표시 수단, 마이크, 스피커 및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답변자 단말; 상기 질문자 단말을 통해 송신되는 질문 내용이 실시간으로 상기 답변자 단말의 표시 수단에 표시되거나 상기 답변자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나타나도록 관리하는 질문 관리부, 상기 답변자 단말의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질문 내용에 상기 답변자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답변 내용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답변 내용이 표시된 질문 내용을 상기 질문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관리하는 영상 답변 관리부, 상기 답변자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들리는 질문 내용에 대한 답변 내용이 실시간으로 상기 질문자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나타나도록 관리하는 음성 답변 관리부, 상기 질문자 단말 및 답변자 단말에 표시되거나 음성으로 나타나는 질문 내용 및 답변 내용을 녹화 및 녹음하는 저장 관리부로 이루어지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질문자의 질문 사항에 대한 답변자의 답변 사항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고, 질문자도 다시 답변 사항에 대해 재질문을 할 수 있는 온라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Real time interactive system for managing Question and Answer online}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온라인 상에서 질문자와 답변자가 전자칠판을 통한 시각적 정보와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한 음성적 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효과적인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육운영 방식은 지정된 장소에 다수의 수강생들을 집합시키고, 강사가 교육 또는 강의를 진행하는 학교운영 방식 집합교육과, 소수의 수강생 또는 하나의 수강생을 하나의 강사가 교육 또는 교습하는 방식의 개인교육 그리고, 다수의 수강생이 지정된 교재를 확보하고 매체방송 등을 통하여 동시에 일괄적으로 진행하는 방식의 통신교육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방식의 교육 또는 교습, 특히, 학교운영식 교육의 경우, 집체교육에 의한 교습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수강생이 지정된 장소로, 지정된 시간에 모이어야 하는 문제와, 평준화된 교육에 의하여 개개인의 능력 및 특성을 향상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통신교육은 다수의 수강생을 아주 저렴한 비용으로써 교육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지정된 시간에 방송되는 강의를 청취하여야 하고 교습의 집중도와 효과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개인교습의 경우는 교습의 집중도 및 교육효율과 개인의 능력을 최대한 발전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강사의 숫자가 많이 소요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학교 운영식 교육은 다수의 수강생이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별도의 전용 시설이 필요하고, 특히 통신교육의 경우는 소수의 강사가 다수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수강생이 일방적으로 듣기만 하므로 수강도중에 발생하는 의문 또는 질문을 용이하게 해결하면서 학습할 수 없는 문제와 전문적인 방송시설이 필요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상기 통신교육 방식의 경우, 인터넷의 발달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분야인데 여전히 일방향으로만 정보를 제공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 그리고 양방향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더라도 강의자 측과 수강자 측 사이의 시간적인 갭(gap)이 발생하거나 내용 전달이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통신교육 방식의 경우의 종래기술로, 온라인 상에서 제공되고 있는 제1 서비스('바로풀기'어플리케이션)는, 서버와 사용자 단말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일대일로 특정 문제에 대해 질의를 하고 다시 답변을 받는 서비스 형태인데, 특정 문제에 대한 이미지 파일을 질문자가 인터넷 공간에 업로드하면 이를 답변자가 수신하여 답안을 작성한 후 답안을 이미지 파일로 업로드하며 최종적으로 질문자가 다운로드 받아서 이해를 하는 서비스 타입이다. 그러나 본 종래기술은 쌍방이 아닌 일방적인 정보 전달만 가능하고 또한 실시간 방식이 아닌 미확정적인 대기시간이 적용되는 방식이므로 질문자의 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로 제2 서비스('오누이' 어플리케이션)는, 제1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쌍방이 아닌 일방적인 정보 전달만 가능하고 또한 실시간 방식이 아닌 미확정적인 대기시간이 적용되는 방식이므로 질문자의 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들은 단순 풀이과정을 답변자가 업로드하는 방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서, 질문자의 수준을 고려한 답변을 제공할 수 없는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면서도 질문자와 답변자가 모두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 상에서 질문자와 답변자가 전자칠판을 통한 시각적 정보와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한 음성적 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효과적인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은, 입력 수단, 표시 수단, 마이크, 스피커 및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질문자 단말; 입력 수단, 표시 수단, 마이크, 스피커 및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답변자 단말; 상기 질문자 단말을 통해 송신되는 질문 내용이 실시간으로 상기 답변자 단말의 표시 수단에 표시되거나 상기 답변자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나타나도록 관리하는 질문 관리부, 상기 답변자 단말의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질문 내용에 상기 답변자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답변 내용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답변 내용이 표시된 질문 내용을 상기 질문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관리하는 영상 답변 관리부, 상기 답변자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들리는 질문 내용에 대한 답변 내용이 실시간으로 상기 질문자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나타나도록 관리하는 음성 답변 관리부, 상기 질문자 단말 및 답변자 단말에 표시되거나 음성으로 나타나는 질문 내용 및 답변 내용을 녹화 및 녹음하는 저장 관리부로 이루어지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질문 내용과 답변 내용이 웹 페이지의 채팅 창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하는 채팅 창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질문 내용을 저장하고 제1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질문자 단말에 알람과 함께 상기 질문 내용에 대한 답변 작성을 제2 시간 내에 요청하는 사후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후 관리부는, 상기 답변 작성 내용과 상기 답변 내용의 비교 결과 및 상기 제2 시간의 경과 정도를 기초로 이해도 정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후 관리부는, 상기 이해도 정도를 상, 중, 하로 구분하여 산출하고, 중 또는 하인 경우에는 다시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질문자 단말에 알람과 함께 상기 질문 내용에 대한 답변 작성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후 관리부는, 상기 제1 시간을 순차적으로 제1-1 시간과 제1-2 시간 구간으로 나누고 상기 제1-2 시간 구간 동안은 상기 저장 관리부에 녹화 및 녹음된 답변 내용이 상기 질문자 단말에 제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복수 개의 교과 과목과 상기 각 교과 과목을 이루는 주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복수 개의 교과 과목 중 상기 질문 내용과 연관되는 교과 과목을 하나 이상 선정하고, 상기 선정한 교과 과목을 이루는 주제 중 상기 질문 내용과 연관되는 연관 주제를 선정한 후 상기 질문자 단말에 상기 선정한 교과 과목 및 연관 주제를 제공하는 입체 학습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체 학습 관리부는, 상기 선정한 교과 과목 및 연관 주제에 대한 세부 학습 내용을 상기 질문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체 학습 관리부는, 상기 답변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교과 과목 및 연관 주제 정보를 반영하여 교과 과목 및 연관 주제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질문자의 질문 사항에 대한 답변자의 답변 사항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고, 질문자도 다시 답변 사항에 대해 재질문을 할 수 있는 온라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질문자와 답변자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전 과정을 다시 질문자가 복습할 수 있는 항목을 질문자에게 주기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서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이 적용된 웹 페이지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함께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도 1을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은, 질문자 단말(100), 서버(200) 및 답변자 단말(300)로 이루어진다.
질문자 단말(100)은 입력 수단, 표시 수단, 마이크, 스피커 및 통신 수단을 포함하며 실시될 수 있다. 질문자 단말(100)은 모바일 단말인 휴대폰이나 태블릿 형태가 되거나 PC 등의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질문자 단말(100)의 입력 수단은 질문자 단말(100) 사용자의 의사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 입력, 마우스 입력, 터치 입력 또는 펜 입력의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질문자 단말(100)의 표시 수단은 단말의 화면으로 LCD 등의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답변자 단말(300)도 질문자 단말(100)과 마찬가지로 입력 수단, 표시 수단, 마이크, 스피커 및 통신 수단을 포함하며 실시될 수 있고, 입력 수단과 표시 수단도 상기와 같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질문 관리부(210), 영상 답변 관리부(220), 음성 답변 관리부(230), 저장 관리부(240), 채팅 창 관리부(250), 사후 관리부(260), 데이터베이스부(270)와 입체 학습 관리부(280)를 포함한다.
서버(200)는 질문자 단말(100)과 답변자 단말(300)로부터 소정 정보를 받아 처리한 후 다시 처리된 정보를 전송한다.
질문 관리부(210)는 질문자 단말(100)을 통해 송신되는 질문 내용이 실시간으로 답변자 단말(300)의 표시 수단에 표시되거나 답변자 단말(300)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나타나도록 관리한다. 즉, 질문 관리부(210)는 질문 단말기(100)의 입력 수단이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한 이미지나 음성으로 이루어진 질문 내용을 질문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하여, 답변자 단말(300)의 표시 수단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나타나도록 하여 답변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영상 답변 관리부(220)는 답변자 단말(300)의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질문 내용에 답변자 단말(300)의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답변 내용이 표시되도록 하고, 답변 내용이 표시된 질문 내용을 질문자 단말(100)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관리한다. 즉, 영상 답변 관리부(220)는 질문 내용이 답변자 단말(300)에 표시되도록 하면서 그 위에 답변 내용이 표시되도록 하며, 최종적으로는 답변 내용이 기입된 질문 내용을 다시 질문자 단말(100)에 전송하여 질문자 단말(100)의 표시 수단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질문자는 답변 내용이 기재된 질문 내용을 받을 수 있고 질문 내용에 대한 이해를 실시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음성 답변 관리부(230)는 답변자 단말(300)의 스피커를 통해 들리는 질문 내용에 대한 답변 내용이 실시간으로 질문자 단말(100)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나타나도록 관리한다. 즉, 음성 답변 관리부(230)는 답변자 측에서 답변으로 제공하는 음성 답변 내용을 답변자 단말(300)의 마이크를 통해 수집하고 수집한 음성 답변 내용을 질문자 단말(100)에 전송하여 스피커를 통해 질문자가 들을 수 있도록 관리한다.
또한, 저장 관리부(240)는 질문자 단말(100) 및 답변자 단말(300)에 표시되거나 음성으로 나타나는 질문 내용 및 답변 내용을 녹화 및 녹음하여 저장한다. 즉, 저장 관리부(240)는 질문자 단말(100)과 답변자 단말(30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질문 내용 및 답변 내용을 녹화 및 녹음 과정을 통해 저장하여 향후 질문자 측에서 다시 보고 듣도록 하기 위해 저장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채팅 창 관리부(250)는 질문 내용과 답변 내용이 웹 페이지의 채팅 창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한다. 즉, 채팅 창 관리부(250)는 질문자 단말(100)과 답변자 단말(30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질문 및 답변 과정이 웹 페이지 상에서 채팅 창의 형태로 나타나도록 하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질문자 단말(100)과 답변자 단말(300)의 표시 수단에 웹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관리한다.
또한, 사후 관리부(260)는 질문 내용을 저장하고 제1 시간 경과 후에 질문자 단말(100)에 알람을 제공하고 이와 함께 질문 내용에 대한 답변 작성을 제2 시간 내에 이루어지도록 요청한다. 즉, 사후 관리부(280)는 질문자 측에서 질문한 질문 내용을 소정 시간인 제1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다시 질문자 측에 제공하여 질문한 내용을 충분히 이해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 시간은 질문자 측이나 답변자 측 또는 서버 운영자 측에서 결정하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사후 관리부(260)는, 답변 작성 내용과 답변 내용의 비교 결과 및 제2 시간의 경과 정도를 기초로 이해도를 산출한다. 즉, 사후 관리부(260)는 질문자가 질문한 내용을 충분히 이해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해도를 산출할 수 있는데, 여기서 이해도는 기존 답변 내용과 요청에 따른 답변 작성 내용을 비교하여 매칭(matching)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 산출되는데, 이 때 제한된 시간인 제2 시간을 넘었는지 여부도 같이 고려하여 산출된다. 즉, 기존에 답변 내용을 이루는 풀이 단계, 풀이 그림이나 그래프, 풀이 내용과 질문자가 작성한 답변 작성 내용을 이루는 풀이 단계, 풀이 그림이나 그래프, 풀이 내용을 1 대 1로 비교하여 매칭 정도를 산출하고 제한 시간인 제2 시간의 경과 여부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이해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사후 관리부(260)는 제1 시간을 순차적으로 제1-1 시간과 제1-2 시간 구간으로 나누고 제1-2 시간 구간 동안은 저장 관리부(240)에 녹화 및 녹음된 답변 내용이 질문자 단말(100)에 제공되지 않도록 한다. 즉, 사후 관리부(260)는 질문자 측에서 답변을 받은 질문 내용을 확실하게 이해했는지 체크하기 위해 소정 기간인 제1 시간 후에 다시 질문 내용을 제공하여 답변 작성을 요청할 수 있는데, 답변 작성 요청 시에 근접한 시점에서는 질문자가 기존에 녹화 및 녹음된 답변 내용을 볼 수 없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제1-1 시간은 답변자 측에서 답변 내용을 제공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지난 시간(질문자가 복습을 할 수 있는 시간)이고, 제1-2 시간은 질문자가 복습을 끝내고 자신의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답변 내용을 볼 수 없고 머리로만 정리하는 시간이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270)는 복수 개의 교과 과목과 각 교과 과목을 이루는 주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교과 과목은 국어, 영어, 수학, 과학 등의 교과 과목을 포함할 수 있고, 각 교과 과목을 이루는 주제는 수학의 경우에 수열, 방정식 등의 주제를 말한다.
또한, 입체 학습 관리부(280)는 데이터베이스부(270)에 저장된 복수 개의 교과 과목 중 질문 내용과 연관되는 교과 과목을 하나 이상 선정하고, 선정한 교과 과목을 이루는 주제 중 질문 내용과 연관되는 연관 주제를 선정한 후 질문자 단말(100)에 선정한 교과 과목 및 연관 주제를 제공한다.
즉, 입체 학습 관리부(280)는 질문자 단말(100)을 통해 입력된 질문 내용이 중학교 수학 문제(속도에 대한 벡터 방정식 응용문제)인 경우, 데이터베이스부(270)에 저장된 복수 개의 교과 과목(수학, 과학, 영어 등) 중 질문 내용과 관련된 교과 과목인 수학, 과학을 선정할 수 있고, 수학 과목의 방정식 및 벡터 파트와 과학 과목의 속도 파트를 연관 주제로 선정하여, 선정된 과목(수학, 과학) 및 연관 주제(방정식, 벡터, 속도)를 질문자 단말(100)로 제공하여 유기적이고 입체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입체 학습 관리부(280)는, 선정한 교과 과목 및 연관 주제에 대한 세부 학습 내용을 질문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입체 학습 관리부(280)는 상기 과목명이나 연관 주제뿐만 아니라 연관 주제에 대한 상세한 내용(위의 예에서 방정식 풀이 방법, 속도의 정의, 벡터의 정의 등)을 질문자 단말(100)로 제공하여 보다 이해도가 높은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입체 학습 관리부(280)는, 답변자 단말(300)을 통해 입력되는 교과 과목 및 연관 주제 정보를 반영하여 교과 과목 및 연관 주제를 선정할 수 있다. 즉, 입체 학습 관리부(280)는 답변자 측에 대해 질문 내용과 관련되는 교과 과목 및 연관 주제를 요청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체크 입력이 있으면 이를 반영하여 상기 교과 과목 및 연관 주제를 새로 선정할 수 있고, 새로 선정한 교과 과목 및 연관 주제, 그리고 이에 대한 세부 학습 내용을 질문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의 동작 과정에 대해 도 2 내지 도 3을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의 동작 과정 중, 질문자의 질문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체크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 도 2를 기초로 살펴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질문을 등록 받고(S21), 실시간 답변 등록 및 답변 내용을 녹화 또는 녹음을 통해 저장한다(S22). 제1 시간 경과 후에 질문자 단말에 알람과 함께 제2 시간 내에 답변이 이루어지도록 답변 작성 요청을 한다(S23). 또한, 제1 시간을 순차적으로 제1-1 시간과 제1-2 시간 구간으로 나눈다(S24). 그리고 제1-2 시간 구간 동안은 녹화 또는 녹음된 답변 내용을 질문자 단말에 제공을 금지한다(S25). 즉, 질문자 측에서 질문 내용에 대한 답변 내용의 복습 시간을 어느 정도 시간 동안(제1-1 시간 동안)만 제공하고, 그 이후의 시간(제1-2 시간) 동안은 정말 이해를 했는지 체크하기 위해 답변 내용을 금지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답변 작성 내용 및 제2 시간의 경과 정도에 따라 이해도를 산출한다(S26). 즉, 이해도 산출을 위한 기준으로, 질문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답변 작성 내용과 기존 답변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답변 내용의 비교 결과 및 제2 시간 경과 정도를 선정한다. 기존 답변 내용과 질문자 측에서 작성한 답변 작성 내용의 일치 정도(각 풀이 과정을 이루는 단계, 핵심 수식 또는 키워드의 일치 정도 등)를 하나의 기준으로 하고, 질문 내용을 풀기 위한 제한 시간의 개념으로 제2 시간을 설정하여 제2 시간 내에 해당 질문 내용을 풀도록 하여 제2 시간 내에 풀이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해도를 한 단계 낮추는 과정을 수행하여 전체적인 이해도를 산출할 수 있다.
만약 위 S26 단계에서 산출된 이해도가 중 또는 하인 경우(S27-1)에는 산출된 이해도를 질문자 단말에 제공하고(S27-2), 다시 질문자가 반복학습이 필요한 경우라고 판단하여 S23 단계로 복귀한다.
만약 위 S26 단계에서 산출된 이해도가 상인 경우(S28-1)에는 산출된 이해도를 질문자 단말에 제공하고(S28-2), 다시 질문을 등록 받는 S21 단계로 복귀한다. 즉, 이해도가 상인 경우에는 해당 질문 내용에 대해 질문자 측의 이해도가 완성된 것으로 판단하여 또 다른 질문을 등록 받는 단계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입체 학습을 관리하는 과정에 대해 도 3을 기초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입체 학습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먼저 질문 내용과 연관되는 교과 과목 및 연관 주제 선정한다(S31). 즉, 질문 내용이 맞물려 돌아가는 기어에 대한 톱니 수와 회전 수에 대한 문제의 경우에는, 연관되는 교과 과목으로 수학과 과학 등이 선정될 수 있고, 연관 주제는 과학 과목 중에서 물리 항목에서 기어의 작동 원리 내용이 될 수 있고, 수학 과목 중에서 방정식 파트와 비례식 파트가 해당 내용이 될 수 있다.
또한, 선정된 교과 과목 및 연관 주제를 질문자 단말에 제공한다(S32). 즉, 해당 질문 내용에 대해서 관련되는 선정 교과 과목 및 연관 주제를 질문자 단말에 제공하여 해당 질문 내용의 풀이 과정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연관 주제에 대한 이론적 내용을 체크할 수 있도록 입체적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답변자 단말을 통해 교과 과목과 연관 주제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 이 과정은 본 시스템의 서버가 자동으로 질문 내용과 데이터베이스부에 있는 교과 과목, 연관 주제를 비교하여 연관 교과 과목과 연관 주제 내용을 선정하는 것과 별개로, 답변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연관 교과 과목과 연관 주제 내용을 파악하는 과정이다.
상기 파악 과정에서, 만약 답변자 단말의 정보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답변자 단말의 입력 교과 과목 및 연관 주제 정보를 추가로 반영한다(S34). 즉, 답변자 측에서 생각하는 연관 교과 과목과 연관 주제 정보를 질문자 측에서 파악하도록 하여 보다 입체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추가로 정보를 반영한 후에는 최종 선정한 연과 교과 과목과 연관 주제 및 이들의 세부 학습 내용을 질문자 단말에 제공한다(S35). 여기서 세부 학습 내용은 위의 예를 적용하면, 물리 교과 과목의 기어 작동 원리에 대한 이론적 내용이나 문제 유형에 대한 정보가 세부 학습 내용에 포함될 수 있고, 수학 교과 과목의 경우에는 방정식의 정의, 풀이 과정 및 적용 예 등이 세부 학습 내용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파악 과정에서, 만약 답변자 단말의 정보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바로 선정된 교과 과목 및 연관 주제에 대한 세부 학습 내용을 질문자 단말에 제공한다(S35).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이 실재로 웹 상에서 적용되어 운영되는 상태에 대해 도 4 내지 도 5를 기초로 설명한다.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이 적용된 웹 페이지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문자는 질문자 단말을 통해 웹 상의 만들어진 소정의 채팅 창에 접속하여 답변자를 선택하고 질문 내용을 업로드할 수 있고, 이러한 전 과정을 웹 페이지의 채팅 창에서 확인하면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답변자는 답변자 단말을 통해 질문자 측의 선택이 있으면 수락 여부를 결정하고 수락하는 경우에 도 4에서와 같이 하나의 채팅 방에서 의사소통을 교환할 수 있는 환경에 접속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답변자 측은 답변자 단말에 구비되는 입력 수단을 통해 시각적인 정보(전자 칠판 기능 등)를 입력할 수 있고, 이러한 입력 과정을 통해 표현되는 답변 내용은 답변자 측뿐만 아니라 질문자 측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채팅 창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도 4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접속자가 누구인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구획을 제공할 수 있고, 하부에는 전자 칠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 가지 툴과 질문 내용이나 답변 내용을 보완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이나 영상 파일 등을 업로드하기 위한 툴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은 웹 페이지상의 채팅 창을 형성할 때, 질문 내용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제목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 상단에 특정 시간 내에 질문과 답변 내용이 교환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상기 특정 시간의 경우에는 답변자 측의 기여 정도를 산출하여 비용(멘토 또는 과외 비용)을 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질문자의 수준이나 해당 질문 내용에 대한 난이도 정보를 수집하는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상단의 시간 표시 항목은 결제시간에서 역카운트되는 항목으로 실시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질문자가 본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해 소정의 결제 과정을 통해 특정 금액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면 해당 결제 금액에 상응하는 질문 및 답변 시간을 할당 받을 수 있고, 이러한 시간을 채팅 창의 상단에 역카운트되도록 하여 결제 금액에 상응하는 만큼의 상담(멘토링)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답변자 측의 경우에는 상기 결제 금액의 소정 비율의 금액을 상담 비용(멘토링 비용)으로 받을 수 있어서 질문자 측과 답변자 측 모두가 효율적으로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을 수 있는 효과를 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에 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들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위에서 살펴 본 실시예들의 범위로만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소간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 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할 것이다.
100 : 질문자 단말 200 : 서버
210 : 질문 관리부 220 : 영상 답변 관리부
230 : 음성 답변 관리부 240 : 저장 관리부
250 : 채팅 창 관리부 260 : 사후 관리부
270 : 데이터베이스부 280 : 입체 학습 관리부
300 : 답변자 단말

Claims (8)

  1. 입력 수단, 표시 수단, 마이크, 스피커 및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질문자 단말;
    입력 수단, 표시 수단, 마이크, 스피커 및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답변자 단말;
    상기 질문자 단말을 통해 송신되는 질문 내용이 실시간으로 상기 답변자 단말의 표시 수단에 표시되거나 상기 답변자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나타나도록 관리하는 질문 관리부,
    상기 답변자 단말의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질문 내용에 상기 답변자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답변 내용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답변 내용이 표시된 질문 내용을 상기 질문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관리하는 영상 답변 관리부,
    상기 답변자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들리는 질문 내용에 대한 답변 내용이 실시간으로 상기 질문자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나타나도록 관리하는 음성 답변 관리부,
    상기 질문자 단말 및 답변자 단말에 표시되거나 음성으로 나타나는 질문 내용 및 답변 내용을 녹화 및 녹음하는 저장 관리부로 이루어지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질문 내용과 답변 내용이 웹 페이지의 채팅 창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하는 채팅 창 관리부 및
    상기 질문 내용을 저장하고 제1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질문자 단말에 알람과 함께 상기 질문 내용에 대한 답변 작성을 제2 시간 내에 요청하는 사후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후 관리부는, 상기 답변 작성 내용과 상기 답변 내용의 비교 결과 및 상기 제2 시간의 경과 정도를 기초로 이해도 정도를 산출하고,
    상기 채팅 창 관리부는 현재 접속자가 누구인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구획을 제공할 수 있고, 웹 페이지의 채팅 창 하부에는 전자 칠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텍스트, 지우개, 모두지우기, 색, 칠판을 포함하는 툴과 질문 내용이나 답변 내용을 보완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이나 영상 파일 등을 업로드하기 위한 파일선택, 업로드를 포함하는 툴이 있는 툴바가 구비되고,
    우측 상단의 시간 표시 항목은 결제시간에서 역카운트되는 항목으로 실시될 수 있고, 이러한 시간을 채팅 창의 상단에 역카운트되도록 하여 결제 금액에 상응하는 만큼의 상담(멘토링)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후 관리부는,
    상기 이해도 정도를 상, 중, 하로 구분하여 산출하고, 중 또는 하인 경우에는 다시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질문자 단말에 알람과 함께 상기 질문 내용에 대한 답변 작성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후 관리부는,
    상기 제1 시간을 순차적으로 제1-1 시간과 제1-2 시간 구간으로 나누고 상기 제1-2 시간 구간 동안은 상기 저장 관리부에 녹화 및 녹음된 답변 내용이 상기 질문자 단말에 제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복수 개의 교과 과목과 상기 각 교과 과목을 이루는 주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복수 개의 교과 과목 중 상기 질문 내용과 연관되는 교과 과목을 하나 이상 선정하고, 상기 선정한 교과 과목을 이루는 주제 중 상기 질문 내용과 연관되는 연관 주제를 선정한 후 상기 질문자 단말에 상기 선정한 교과 과목 및 연관 주제를 제공하는 입체 학습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학습 관리부는,
    상기 선정한 교과 과목 및 연관 주제에 대한 세부 학습 내용을 상기 질문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학습 관리부는,
    상기 답변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교과 과목 및 연관 주제 정보를 반영하여 교과 과목 및 연관 주제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
KR1020170030044A 2017-03-09 2017-03-09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 KR101755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044A KR101755183B1 (ko) 2017-03-09 2017-03-09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044A KR101755183B1 (ko) 2017-03-09 2017-03-09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183B1 true KR101755183B1 (ko) 2017-07-07

Family

ID=59353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044A KR101755183B1 (ko) 2017-03-09 2017-03-09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1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6384A (zh) * 2018-10-25 2019-01-08 吉林师范大学 一种现代教育教学互动反馈系统
KR20210117516A (ko) 2020-03-19 2021-09-29 (주)리모트글로벌 실시간 양방향 정보제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5550A (ja) * 2003-08-08 2005-03-03 Hitachi Ltd オンライン学習支援装置及び方法
KR101640574B1 (ko) * 2015-11-11 2016-07-22 채규국 Push 메시지 기반의 쓰기와 음성 정보 전달 및 재생하는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5550A (ja) * 2003-08-08 2005-03-03 Hitachi Ltd オンライン学習支援装置及び方法
KR101640574B1 (ko) * 2015-11-11 2016-07-22 채규국 Push 메시지 기반의 쓰기와 음성 정보 전달 및 재생하는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6384A (zh) * 2018-10-25 2019-01-08 吉林师范大学 一种现代教育教学互动反馈系统
KR20210117516A (ko) 2020-03-19 2021-09-29 (주)리모트글로벌 실시간 양방향 정보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bert et al. Flipping the classroom applications to curriculum redesign for an introduction to management course: Impact on grades
Ally Mobile learning: Transforming the delivery of education and training
Foley et al. Building capacity: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large class pedagogy (LCP) in Sub-Saharan Africa
Hudson et al. Making mentoring explicit: Articulating pedagogical knowledge practices
Okech et al. MSW student experiences in online vs. face-to-face teaching formats?
Laliberté et al. An in-depth analysis of ethics teaching in Canadian physio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Corley et al. The Power and Utility of Reflective Learning Portfolios in Honors.
KR101755183B1 (ko)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양방향 질문 및 답변 운영 시스템
Willis et al. Encouraging the adoption of education technology for improved student outcomes
Lowenthal et al. Lessons learned from creating videos for online video-based instructional modules i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Fritschi et al. Mobile learning for teachers in North America exploring the potential of mobile technologies to support teachers and improve practive
Lear Domain analysis: Research‐based reverse design for languages for specific purposes
Russell et al. Connected teaching and personalized learning: Implications of the National Education Technology Plan (NETP) for adult education
White et al. Seeing, thinking, doing: strategic directives for learning management systems
Johnson Emergency management students’ perceptions of the use of WebEOC® to support authentic learning
Butt et al. Perceptions of Pakistani students on online classes during COVID-19
Pak et al. “Boots on the ground”: The authority-power dynamic of regional service centers in standards-based reform
Walson et al. Issues, challenges and prospects in the use of educational technology for instructional delivery in the management of 21st university education in Nigeria
Barnes Instructional Video Object-Based Learning in a Flipped Construction Management Classroom
Abuya Impacts of adopting ICT integration in Technical Training Institutions of Kenya
Dimas et al. Using recorded lectures and low stakes online quizzes to improve learning efficiency in undergraduate engineering courses
Carrier et al. Pre-service teacher training in Malawi: Findings of a pilot study on the viability of media players for teacher development.
Ottenbreit-Leftwich et al. Preserving the legacy of PT3 tools, strategies & resources: Knowledge capture artifacts
Nursey-Bray et al. Adapting to Change: A Reflective History of Online Graduate Certificate and Its Implications for Teaching Geography
Garner et al. Conversion of a Senior Instrumental Analysis Laboratory Course to Online Delivery and Remote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