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498B1 - 토목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토목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498B1
KR101754498B1 KR1020150164745A KR20150164745A KR101754498B1 KR 101754498 B1 KR101754498 B1 KR 101754498B1 KR 1020150164745 A KR1020150164745 A KR 1020150164745A KR 20150164745 A KR20150164745 A KR 20150164745A KR 101754498 B1 KR101754498 B1 KR 101754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besity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esent
different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367A (ko
Inventor
이승욱
유미희
정연섭
이소희
이효선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64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4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토목향 추출물은 지방 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시켜 지방합성 및 지질축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토목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항비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토목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extract of Inula helenium}
본 발명은 토목향(Inula heleni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방 조직세포에 특징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들의 조절부위에 작용하는 전사 인자들이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에서 발현되며, 인슐린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호르몬으로 지방세포 대사 조절에 관여하는 주요 외부 인자이다. 또한, C/EBP family, PPAR-gamma, ADD1/SREBP1 등의 전사인자들은 지방세포가 분화되는 동안 전사 발현이 증가되며, 이들 전사 인자들은 상호작용하여 지방세포를 분화하여 지방축적, 지방합성 및 지방수송에 관여하는 인자들을 작용시켜 에너지 생산 및 비만에 이르게 한다.
비만이란 열량의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대사성 질환이며 과잉된 열량으로 인해 지방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 남자는 체지방이 체중의 25%, 여자는 체중의 30% 이상일 때 비만으로 보며, 임상적으로는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가 24.0 내지 30.0은 과체중으로 정의하고 3.0 이상인 경우를 비만으로 정의한다.
비만이 발생하여 그 상태가 지속되면 여러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하는데, 그러한 질환으로서 고혈압,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 당뇨병, 신장 질환, 뇌졸증, 동맥경화증, 지방간, 관절염, 암, 수면 무호흡증, 당뇨병 등을 들 수 있다.
비만의 원인으로는 고지방 고열량의 식생활, 바쁜 사회적 환경에 따른 운동 부족, 내분비 이상 등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을 들 수 있는데, 이 중 비만의 50 내지 70% 정도가 환경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나머지가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 치료제는 일반적으로 3가지 범주 즉 식욕 억제제, 체내 에너지 대사 촉진제 및 소화 흡수 억제제로 구분된다. 식욕을 억제하는 약리 기전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비만 치료제로는 리덕틸(Reductil™, 애보트사, 미국)을 들 수 있고, 체내 에너지를 촉진하는 약리 기전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비만 치료제로서는 엑소리제(Exorise™,아코파마사, 프랑스)를 들 수 있으며, 현재 국내외에서 비만 치료를 위해 대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치료제로 지방의 소화 흡수를 억제하는 약리기전을 이용한 비만 치료제 제니칼(Xenical™, 로슈제약회사, 스위스)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리덕틸은 신경계에 작용하는 약제로 잦은 두통, 불면증 및 어지럼증과 같은 부작용이 있으며, 제니칼은 소장에서 리파아제의 작용을 억제하여 지방변, 가스생성, 지용성 비타민 흡수저하 등의 위장계 부작용을 수반하며, 엑소리제는 구역질 및 구토감과 같은 부작용 문제가 지적됨에 따라, 인체에 부작용 없는 비만 치료제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20656호(2012.03.08)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천연물인 토목향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체의 부작용 없이 비만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토목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토목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토목향 주정 추출물은 지방 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시켜 지방합성 및 지질축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토목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항비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10 및 50 μg/mL 토목향 80% 메탄올 추출물의 지방 전구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10, 50 및 100 μg/mL 토목향 30% 프레타놀 추출물의 지방 전구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토목향(Inula heleni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토목향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토목향(土木香)은 다년생 초본인 Inula helenium L.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대한약전외한약(생약) 규격집에 기재되어 있으며, 토목향의 약리 실험결과 높아진 위의 운동 및 분비 억제 작용, 이담 작용, 소염 작용, 거담 작용, 항균 작용등의 효과가 보고되어 졌으나, 비만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네이버 지식백과).
상기 토목향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 알콜 및 이의 혼합용매에 의해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레타놀 및 메탄올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토목향 추출물은 지방 세포의 분화를 억제하여 비만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1과 같이 10 및 50 μg/mL 농도의 토목향 메탄올 추출물이 처리된 3T3-L1 전구지방세포 실험군은 분화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54 및 83%의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10, 50 및 100 μg/mL 농도의 토목향 프레타놀 추출물이 처리된 3T3-L1 전구지방세포 실험군은 도 2와 같이 각각 10, 30 및 60%의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토목향 추출물은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토목향 추출물을 0.01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토목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주사제, 과립제, 산제, 정제, 환제, 캡슐제, 좌제, 겔,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토목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재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대상체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토목향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대상체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종류 및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일 투여량이 0.01 내지 200 mg/kg,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200 mg/kg,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00 mg/kg 일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토목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은 상기 토목향 추출물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에 함유된 화합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치료제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토목향 추출물 제조
건조 상태의 토목향(Inula helenium; Starwest Botanicals, Inc, CA, USA)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시료 무게의 10배량의 30% 프레타놀(pretanol, C2H5OH; 덕산사이언스) 및 80% 메탄올 (w/v)을 이용하여 각각 24시간 동안 정치 배양하여 총 3회 추출하였다. 여과지(Whatman No. 3, Clifton, NY, USA)를 사용하여 각 추출액을 여과하고 상등액은 회전 진공 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 UNI TRAP UT-1000, Eyela, Tokyo, Japan)로 55℃에서 농축하고 동결하여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토목향 추출물의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 효과 확인
1. 세포 배양 및 시료 처리
지방 전구세포인 3T3-L1 세포를 ATCC (Manassas, VA, USA)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배양 및 분화 배지는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high glucose; Invitrogen, Carlsbad, CA, USA)에 10% 우아혈청(bovine calf serum; BCS) 및 항생제를 첨가하여 5% CO2, 37℃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고 세포가 confluent 상태가 되면 트립신/EDTA를 처리하였다.
트립신 처리된 세포를 원심분리(L-70, Bekman Coulter, Fullerton, CA, USA)하여 세포를 수집하고 3×105 cells/well의 밀도로 6-well에 분주한 후 100% confluency 상태에서 48시간 방치한 후, 10% BCS, 23 mg/mL IBMX(Sigma-Aldrich, Chem. Co., St. Louis, MO, USA), 5 mg/mL 인슐린 (Sigma-Aldrich, Chem. Co.) 및 1 mM dexamethasone(Sigma-Aldrich, Chem. Co.)이 첨가된 DMEM 배지(MDI)를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분화를 유도하였다.
분화유도 후 2일 마다 10% FBS, 5 mg/mL 인슐린과 10, 50 및 100 μg/mL 농도의 토목향 추출물이 첨가된 DMEM 배지로 교체해주었다.
2.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 효과 확인
3T3-L1 전구지방세포를 9일 동안 분화시킨 후 배지를 제거한 후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하고, 10% 포름알데하이드 용액으로 세포를 고정시켰다. 다시 PBS로 세척 후, 오일-레드-O(oil-red-O) 용액을 첨가하여 30분간 실온에서 염색하고, 오일-레드-O 용액을 제거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여 건조시킨 다음 위상차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100%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로 염색된 지방구를 용해시켜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같이 분화대조구와 비교하여 10 및 50 μg/mL 농도의 토목향 메탄올 추출물이 처리된 실험군에서 각각 54 및 83%의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10, 50 및 100 μg/mL 농도의 토목향 프레타놀 추출물이 처리된 실험군은 분화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10, 30 및 60%의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토목향 추출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여 비만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토목향 추출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제화가 가능하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향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제제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약학조성물의 처방예
<제제예 1-1> 주사제의 제조
토목향 메탄올 추출물 10 mg,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 3.0 mg, 메틸파라벤 0.8 mg, 프로필파라벤 0.1 mg 및 주사용 멸균증류수 적량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최종 부피가 2 ㎖이 되도록 제조한 후, 2 ㎖ 용량의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1> 정제의 제조
토목향 메탄올 추출물 10 mg, 유당 100 mg, 전분 100 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을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1> 캡슐제의 제조
토목향 메탄올 추출물 10 mg, 유당 50 ㎎, 전분 50 ㎎, 탈크 2 ㎎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건강식품의 제조
토목향 메탄올 추출물 0.5 ㎎, 비타민 혼합물 적량(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 1 0.13 ㎎, 비타민 B 2 0.15 ㎎, 비타민 B 6 0.5 ㎎, 비타민 B 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및 무기질 혼합물 적량(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토목향(Inula heleni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토목향 추출물이 생체 외(in vitro)에서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세포분화 억제용 시약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목향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 알콜 및 이의 혼합용매에 의해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세포분화 억제용 시약조성물.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약조성물은 시약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토목향 추출물을 0.01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세포분화 억제용 시약조성물.
  5. 삭제
KR1020150164745A 2015-11-24 2015-11-24 토목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754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745A KR101754498B1 (ko) 2015-11-24 2015-11-24 토목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745A KR101754498B1 (ko) 2015-11-24 2015-11-24 토목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367A KR20170060367A (ko) 2017-06-01
KR101754498B1 true KR101754498B1 (ko) 2017-07-06

Family

ID=5922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745A KR101754498B1 (ko) 2015-11-24 2015-11-24 토목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4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795B1 (ko) * 2017-07-18 2021-05-11 한국식품연구원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lanta Medica. 2013. Vol.79, No.12, pp.1084-1095.
한약작지. 2012. 제20권제1호, pp.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367A (ko)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308874B2 (e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treatment with tanshinone derivatives which increase metabolic activity
EP3705127A2 (en) Composition comprisingsalvia miltiorrhiza
JP4413995B2 (ja) 抗肥満効能の薬用植物抽出物
KR101620077B1 (ko) 보리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25155A (ko)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90362A (ko) 디카페오일퀴닌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개선 조성물
KR101754498B1 (ko) 토목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50097175A (ko) 발효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45966B1 (ko) 백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897770B1 (ko)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30060806A (ko)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8074831A1 (ko) 상지 주정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KR101851639B1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293835B1 (ko) 황기 및 차전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49930B1 (ko) 마가목 및 현지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파골세포 분화 억제용 또는 연골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sg-ⅱ)
KR101200671B1 (ko)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56183B1 (ko) 이소알란토락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20107025A (ko) 한약재의 추출물과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및 항당뇨 조성물
KR101770920B1 (ko) 부로소찰콘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178604B1 (ko) 노간주나무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54890B1 (ko) 해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471048B1 (ko) 희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210008588A (ko) 고온고압법제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5020489A1 (ko) 녹차씨앗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046699A (ko) 아르디시아 아르보레센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