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190B1 - 청소용 장갑 - Google Patents

청소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190B1
KR101754190B1 KR1020150097565A KR20150097565A KR101754190B1 KR 101754190 B1 KR101754190 B1 KR 101754190B1 KR 1020150097565 A KR1020150097565 A KR 1020150097565A KR 20150097565 A KR20150097565 A KR 20150097565A KR 101754190 B1 KR101754190 B1 KR 101754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cleaning
suction
foreign matter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636A (ko
Inventor
김영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레마을
김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레마을, 김영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레마을
Priority to KR1020150097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19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장갑을 이용하여 청소를 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표면에 장갑의 바닥면이 접촉되어 닦아내는 형태로 청소를 하도록 함과 아울러 장갑으로 닦아내는 관정에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은 장갑의 일측에 구비시킨 공기흡입부를 통해 분리 수집될 수 있도록 한 청소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손에 착용하여 청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 흡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장갑과, 상기 제1장갑의 외부에 중첩되게 착용하고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되어 닦아내도록 하는 제2장갑으로 이루어진 청소용 장갑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청소용 장갑 {Cleaning glove}
본 발명은 청소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장갑을 이용하여 청소를 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표면에 장갑의 바닥면이 접촉되어 닦아내는 형태로 청소를 하도록 함과 아울러 장갑으로 닦아내는 관정에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은 장갑의 일측에 구비시킨 공기흡입부를 통해 분리 수집될 수 있도록 한 청소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가구류 및 창문, 차량의 표면 등을 닦으면서 청소하기 위해서는 손걸레 등의 청소도구를 이용하게 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손걸레는 면 재질이나 부직포 또는 스펀지로 이루어지며, 별도의 구성없이 얇은 원단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손걸레는 파지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세밀한 부분의 청소시에 부분적인 힘의 강약 조절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정밀성을 필요로 하거나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작업시에는 일반적인 면장갑 등을 이용하여 직접 청소하는 것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청소를 하기 위한 장갑의 또 다른 구성으로 선행기술로 개시된 일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개실용 제20-1993-0022774호의 "행주장갑과 걸레장갑"에서는 엄지부, 중지부, 후지부로 구성된 세 갈래 형태의 장갑의 입구 둘레에 고무밴드가 형성되고, 외피는 행주나 걸레재료, 중피는 방수포, 내피는 고무피막으로 구성된 기술로 되어 있고,
또, 공개실용 제20-1996-0020106호의 "장갑이 부착된 걸레"에서는 여러 가닥의 면사(綿絲)로 구성된 걸레의 일면에 장갑을 형성한 기술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을 포함하는 청소용 장갑의 경우에는 청소를 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표면에 장갑의 바닥면이 접촉되어 먼지 등을 닦아내는 형태로 청소를 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를 통해 제거된 이물질이 장갑의 표면에 달라붙어 잔류하게 되므로 청소효율이 떨어지고 원활한 이물질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고, 장갑의 특성상 소형인 관계로 자주 세척을 해야 되고, 청소하는 과정에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비산되어 작업자의 위생이나 주위를 더럽히게 되는 등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실용공개문헌 0001) KR 제20-1993-0022774호 (실용공개문헌 0002) KR 제20-1996-0020106호
본 발명에 의한 청소용 장갑은, 흡입안내홈 및 흡입관로가 제1바닥면에 구비되어 있는 공기흡입부를 통해 이물질이 흡입된 다음 이물질수집부로 분리처리할 수 있도록 한 제1장갑과, 상기 제1장갑의 외부에 중첩되게 착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되어 닦아내는 형태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고 일측에 복수개의 통공부가 형성된 제2장갑이 구비되어 청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통공부를 통해 공기흡입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대상물의 표면의 청소 및 이물질의 분리수집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 청소용 장갑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손에 착용하여 청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 흡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장갑과, 상기 제1장갑의 외부에 중첩되게 착용하고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되어 닦아내도록 하는 제2장갑으로 이루어진 청소용 장갑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장갑은 제1바닥면에 흡입안내홈 및 흡입관로로 이루어진 공기흡입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안내홈은 제1장갑의 제1바닥면에 형성되되 제1바닥면의 손가락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안내홈은 제1장갑의 제1바닥면에 요입홈의 형태로 구비되되 각 손가락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관로는 제1장갑의 제1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튜브 형태로 형성되되 흡입관로의 끝단에 연결되는 연결관을 통해 이물질수집부로 이물질이 분리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장갑의 제2바닥면은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되어 닦아내는 형태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이물질이 통과될 수 있는 복수개의 통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용 장갑은 손에 착용하여 청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 흡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제1장갑과, 상기 제1장갑의 외부에 중첩되게 착용한 다음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되어 닦아내면서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제2장갑으로 구비되어 제2장갑에 의해 청소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은 제1장갑의 공기흡입부로 흡입되어 이물질수집부루 분리수집될 수 있도록 하여 매우 위생적이고 청소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용 장갑에서 제1장갑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용 장갑에서 제1,2장갑의 구성을 나타낸 전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용 장갑에서 제1장갑에 제2장갑이 중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청소용 장갑을 이용한 작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청소용 장갑의 측면단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용 장갑은, 손에 착용하여 청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 흡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제1장갑(100)과, 상기 제1장갑(100)의 외부에 중첩되게 착용한 다음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되어 닦아내면서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제2장갑(2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장갑(100)은 합성수지 및 고무 등의 재질로 구비되며, 제1장갑(100)의 제1바닥면(110)에 흡입안내홈(122)과 흡입관로(124)로 이루어진 공기흡입부(120)가 구비되어 이물질을 흡입한 다음 연결관(130)을 통해 이물질수집부(300)로 이물질이 분리 수집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흡입안내홈(122)은 제1장갑(100)의 제1바닥면(110)에 형성되되 제1바닥면(110) 중에서도 장갑으로 청소를 하게 될 때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되어 강약 조절 및 강한 압지 상태로 청소가 용이한 손가락 부분에 형성되도록 하며, 다만 엄지 손가락 부분은 제외하는 형태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흡입안내홈(122)은 제1장갑(100)의 제1바닥면(110)에 요입홈의 형태로 구비되어 이물질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각 손가락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많은 흡입공간을 갖도록 한다.
상기 흡입안내홈(122)을 통해 흡입되는 이물질이 흡입관로(124)를 통해 흡입이 이루어진 다음 흡입관로(124)의 끝단의 연결관(130)을 통해 이물질수집부(300)로 이물질이 분리 수집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수집부(300)는 통상의 청소기에 구비된 흡입통과 같이 흡입팬을 가진 흡입박스 형태로 구비되어 흡입관로(124)의 입구에 위치한 흡입안내홈(122)에서 흡입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되 이물질수집부(300)는 멜빵 등이 구비되어 이물질수집부(300)를 어깨에 매고 청소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이물질수집부(300)에 바퀴가 구비되어 구름 이동할 수 있도록 수단으로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장갑(200)은 면사나 합성수지사 등으로 제직된 것을 사용하되 제2장갑(200)의 제2바닥면(210)은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되어 닦아내는 형태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되 이물질이 통과될 수 있는 복수개의 통공부(220)가 형성되어 청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통공부(220)를 통해 공기흡입부(120)로 흡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장갑(200)은 통상적인 면장갑과 같은 형태의 접촉면 또는 극세사 및 솔부 등이 제직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바닥면(210)에 형성되는 통공부(220)면장갑을 제직하면서 발생되는 미세 통공이거나, 제2장갑의 제2바닥면(210)에 별도로 복수개의 통공을 형성하여도 된다.
또, 상기 제2장갑(200)은 청소기능을 하는 용도뿐만 아니라 가구표면이나 차량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광택이나 세차와 같은 용도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제1장갑(100)은 제1바닥면(110)에 흡입안내홈(122)과 흡입관로(124)로 이루어진 공기흡입부(120)가 구비되어 있는 이물질 흡입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는 연속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제품에 해당되며, 제2장갑(200)은 제직과정에서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통공의 면장갑뿐만 아니라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되어 닦아내면서 청소할 수 있고 먼지가 통과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의 제품이 해당되며, 이러한 제2장갑(200)의 경우에는 주로 일정기간 사용 후에 교체하여 사용하는 소모품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각종 가구류 및 창문, 차량의 표면 등을 닦으면서 청소를 하게 될 때 먼저 손에 제1장갑(100)을 착용하고, 이어서 제1장갑(100)의 외부에 제2장갑(200)을 착용하는 형태로 이중으로 장갑을 착용한다.
그리고 제1장갑(100)의 흡입관로(124)의 끝단은 연결관(130)에 의해 이물질수집부(300)와 연결되어 있고, 제1장갑(100)의 제1바닥면(110)에 구비된 공기흡입부(120)에 흡입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시켜 연결관(130)을 통해 이물질수집부(300)에 먼지 등의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상태에서 청소를 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표면에 제2장갑(200)의 제2바닥면(210)을 접촉시킨 상태로 닦아내면서 청소를 할 수 있게 되고, 청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은 제1장갑(100)의 제1바닥면(110)에 구비되어 있는 공기흡입부(120)의 공기흡입수단에 의해 제2장갑(200)의 제2바닥면(210)에 형성된 통공부(220)를 통해 제1장갑(100)의 제1바닥면(110)에 구비된 공기흡입부(120)로 흡입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제1장갑(100)의 제1바닥면(110)에 구비된 공기흡입부(120)의 흡입관로(124) 입구에 위치하는 흡입안내홈(122)을 통해 이물질이 흡입관로(124)로 흡입되면 흡입관로(124)에 길게 연장된 연결관(130)을 통해 이물질수집부(300)로 수집이 되어 분리처리가 되므로 청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므로 매우 위생적이고, 청소를 통해 제거된 이물질이 제2장갑(200)의 표면에 달라붙어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깨끗하게 오래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청소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제1장갑 110 : 제1바닥면
120 : 공기흡입부 122 : 흡입안내홈
124 : 흡입관로 130 : 연결관
200 : 제2장갑 210 : 제2바닥면
220 : 통공부 300 : 이물질수집부

Claims (6)

  1. 손에 착용하여 청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 흡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장갑(1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장갑(100)의 제1바닥면(110)에 흡입안내홈(122)과 흡입관로(124)로 이루어진 공기흡입부(120)가 구비되어 이물질을 흡입하고 연결관(130)을 통해 이물질수집부(300)로 이물질이 분리 수집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장갑(100)의 외부에 중첩되게 착용하고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는 제2장갑(2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장갑.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안내홈(122)은 제1장갑(100)의 제1바닥면(110)에 형성되되 제1바닥면(110)의 손가락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장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안내홈(122)은 제1장갑(100)의 제1바닥면(110)에 요입홈의 형태로 구비되되 각 손가락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장갑.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갑(200)의 제2바닥면(210)은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되어 닦아내는 형태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이물질이 통과될 수 있는 복수개의 통공부(2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장갑.
KR1020150097565A 2015-07-09 2015-07-09 청소용 장갑 KR101754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565A KR101754190B1 (ko) 2015-07-09 2015-07-09 청소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565A KR101754190B1 (ko) 2015-07-09 2015-07-09 청소용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636A KR20170006636A (ko) 2017-01-18
KR101754190B1 true KR101754190B1 (ko) 2017-07-04

Family

ID=57992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565A KR101754190B1 (ko) 2015-07-09 2015-07-09 청소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1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037A (ko) 2019-10-16 2021-04-26 주식회사 장남 청소용 장갑
KR20210045038A (ko) 2019-10-16 2021-04-26 주식회사 두레마을 솔부가 구비된 청소용 장갑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0106U (ko) 1994-12-06 1996-07-18 장갑이 부착된 걸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037A (ko) 2019-10-16 2021-04-26 주식회사 장남 청소용 장갑
KR20210045038A (ko) 2019-10-16 2021-04-26 주식회사 두레마을 솔부가 구비된 청소용 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636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364302B2 (en)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JP5811367B2 (ja) 真空掃除機用床ツール
AU2013298317B2 (en)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AU2013298313B2 (en)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EP2218385A3 (en) Nozzle unit for a vacuum cleaner
JP2014030725A (ja) 真空掃除機用床ツール
JP2018534040A (ja) 電気掃除機ヘッド
JP5913225B2 (ja) 真空掃除機用床ツール
US9402519B2 (en) Accessory tool for a vacuum cleaner
KR101754190B1 (ko) 청소용 장갑
CN108366705B (zh) 除尘和集尘装置
US9248974B2 (en) Cleaning apparatus, methods of making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s of cleaning
KR20210045038A (ko) 솔부가 구비된 청소용 장갑
CN108294685A (zh) 用于具有空气引导元件的吸嘴的底架
KR20210045037A (ko) 청소용 장갑
US9730567B2 (en) Cleaning glove
JP6334323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2013169410A (ja) 掃除機の吸込みノズル
KR20240033480A (ko) 칠판지우개
KR20170025584A (ko) 진공 청소기 흡입구 밑면 브러쉬 탈부착 구조
JP3135692U (ja) 吸込口装着具
JP2011010980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GB2509857A (en)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device
JP2006296693A (ja) 掃除機ノズル用ゴミ拭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