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123B1 -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with the function of oil capture for the bridge - Google Patents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with the function of oil capture for the brid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4123B1 KR101754123B1 KR1020170017579A KR20170017579A KR101754123B1 KR 101754123 B1 KR101754123 B1 KR 101754123B1 KR 1020170017579 A KR1020170017579 A KR 1020170017579A KR 20170017579 A KR20170017579 A KR 20170017579A KR 101754123 B1 KR101754123 B1 KR 1017541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tank
- contaminants
- water
- water stor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성분이 포함된 오염물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 수자원의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교량용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교량의 배수구에 구비되는 배수관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수직한 연직관과 상기 연직관으로부터 하향 분기되는 경사관으로 구성되는 분리관과, 상기 분리관에 접속되어 우수의 오염물을 제거하여 정화시킨 후, 정화된 우수를 다시 배수관으로 방출시키는 정화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정화장치는, 경사관을 통해 유입된 큰부피 오염물을 수거하는 수거조와; 상기 연직관을 통해 유입된 우수를 일시 저장하면서 큰 입자 오염물을 침강시키는 제1침강부와, 오일성분의 오염물을 포집하는 오일포켓부로 이루어지는 저수와류조와; 상기 저수와류조로부터 유입된 우수로부터 작은 입자 오염물을 제거하는 정화조 및; 상기 수거조와 저수와류조 및 정화조를 내장시키면서 이들로부터 배출되는 우수를 다시 배수관으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 방류관이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int pollutant abatement device for a bridge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of water resources by blocking pollutants containing oil components from flowing into a river, and is connected to a water pipe provided in a drain port of a bridge, And a purifier connected to the separation pipe to purify the pollutants and clean the pollutants and then discharge purified purified water to the drain pipe, The purifier includes a collection tank for collecting large volume contaminants introduced through the slant pipe; A water storage tank composed of a first sedimentation section for temporarily accumulating large particle contaminants while temporarily storing the stormwater introduc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straight tubular section, and an oil pocket section for collecting contaminants of the oil component; A septic tank for removing small particle contaminants from the storm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storage tank; And a housing in which the collection tank,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purified water tank are built in, and a discharge pipe is installed at the bottom so that the discharged storm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drain pipe again.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의 표면에 쌓여 있는 오염물이 하천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강우가 발생할 때 교량에 설치된 배수구를 통해 우수와 함께 상기 오염물, 특히 오일성분이 포함된 오염물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 수자원의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교량용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contaminants accumulated on a surface of a bridge from flowing into a ri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preventing contaminants, particularly oil contaminants And to preven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of water resources by preventing the water from flowing into the river.
지금까지는 대체적으로 하수, 폐수, 가축분뇨와 같이 오염원의 발생 및 추적이 용이한 점오염원에 대한 처리를 통해 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주된 수질관리의 정책방향이었다고 할 수 있다.Until now, it has been the policy direction of the main water quality management to prevent contamination of water quality through disposal of point pollutant sources such as sewage, wastewater and livestock manure which are easy to generate and track pollution sources.
그러나 도시화의 진행에 따라 토지 이용이 다양화되고 고도화되면서 비점오염원이 증가되면서, 상기와 같은 점오염원을 중심으로 하는 수질관리만으로는 수자원의 오염을 방지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However, as urbanization progresses, land use becomes more diverse and advanced, and nonpoint source pollution increases. Therefore, water quality management centering on the above point pollution source has a limitation in preventing pollution of water resources.
비점오염원이라 함은 다양한 토지이용 형태를 통해 강우 시 유출되는 유출수에 의하여 하천 등의 공공수역에 유입되는 오염원을 말하는 것으로서, 관리 및 처리가 용이하지 아니하며, 이러한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이 하천이나 호수에 직접 유입되는 경우 상수원수의 수질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on-point pollution source refers to a pollutant source that flows into public waters such as rivers due to effluent flowing out during rainfall through various land use forms. It is not easy to manage and dispose of, and pollutants generated from such non- It is known that the water quality of the water source is very influential.
특히 도로나 교량의 포장면에 쌓이는 오염물은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중금속, 예컨대 아연과 납 등의 오염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Especially, pollutants accumulated on the pavement of roads and bridges contain a large amount of various heavy metals such as zinc and lead, which are generated by vehicles, and measures against such pollutants are very urgent.
이에 비점오염물이 하천등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및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예의 하나로 '교량용 초기우수 비점오염 정화 장치'라는 발명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39617호를 통해 제안된 바 있다.Various methods and apparatuses have been developed to prevent non-point pollutants from flowing into rivers and the like. One example of such an apparatu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39617, entitled " have.
상기 비점오염 정화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슬래브(10)의 집수구(12)의 하방에서 분기되어 연결되어 있는 초기우수 집수관(20) 및 후속강우 배수관(22)과; 상기 초기우수 집수관(20) 통하여 배출되는 초기우수를 일정 높이까지 집수할 수 있는 비점오염정화조(230)(26)와; 비점오염정화조(230)(26)의 내부에 설치되어 초기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킨 후 교량 배수관(14)으로 배출시키는 비점오염필터장치(30)와; 상기 집수구(12)에서 유입된 강우의 배출 유로를 결정하여 초기우수 집수관(20)과 후속강우 배수관(22)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흐르도록 하는 우수 방향밸브(52)와; 비점오염정화조(230)(26)내에 유입된 초기우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40)과; 수위감지수단(40)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우수 방향밸브(52)를 동작시켜 초기우수와 후속강우의 배출 유로 를 결정하는 밸브 모터(50);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1, the non-point pollution remediation apparatus includes an initial
위 선행기술의 비점오염 정화 장치는, 우천이 없는 경우에는 모터 제어장치에 의해 밸브모터(50)는 정회전하여 우수 방향 밸브(52)는 전진 위치상태로 후속 강우 배수관은 전진 위치상태로 후속 강우 배수관(22)은 상부 입구가 우수방향 밸브(52)로 닫아져 있게 되고, 초기우수 집수관(20)은 집수구(12)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강우가 발생되면 초기우수는 초기우수 집수관(20)만을 통과하여 비점오염정화조(230)(26)로 유입되어 비점오염필터장치(30)를 통해 정화된 후 교량 배수관(14)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비점오염정화조(230)(26)에 만수위에 도달하였음이 감지되면 수위감지수단(40)의 부구 상승에 따라 감지스위치(42)가 온 동작되고, 온 동작된 신호가 모터 제어장치(60)로 전달되어 밸브 모터(50)가 역회전하고 우수 방향 밸브(52)가 후퇴 이동하여 후속강우 배수관(22)이 집수구(12)와 일직선 방향으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후속 강우는 비점오염정화조(230)(26)를 거지치 않고 직접 후속강우 배수관(22)을 통해 교량배수관(14)으로 배출된다. 이때 우수 방향밸브(52)의 작동상태는 비가 계속적으로 내리는 시간을 예상하여 설정한 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유지되므로 우수 방향밸브(52)는 후속강우 배수관(22)을 설정된 시간 동안 열려 있게 된다.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non-point pollution purification apparatus, when there is no rainfall, the motor control device rotates the
이러한 상기 선행기술의 비점오염 정화 장치는, 우천시 오염농도가 비교적 높은 초기우수만을 정화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초기집수 배수관(20)과 후속강우 배수관(22)의 선택적 개폐가 밸브 모터(50)의 작동에 의해 전후 이동하는 우수 방향밸브(52)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정전 또는 유지관리의 잘못으로 인해 밸브 모터(50) 또는 우수 방향밸브(52)가 오작동 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오작동은 오염농도가 높은 초기우수를 초기집수 배수관(20)이 아닌 후속강우 배수관(22)으로 흘려 보낼 수 있음을 배제할 수 없으며, 초기집수 배수관(20)과 비점오염정화조(230)(26)의 바닥에 침전된 쓰레기 등의 오염물을 수거하는 작업 및 비점오염필터장치(30)의 청소가 용이하지 않을 뿐더러, 밸브 모터(50)의 가동을 위한 전기에너지의 사용은 유지관리비용을 증가시키고 내구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This prior art non-point pollution cleaner is positive in that it can efficiently remove pollutants by purifying only the initial pollutants having a relatively high pollutant concentration during rainy days. However, the initial
더욱이 상기 선행기술의 비점오염 정화 장치는 단순히 입자형의 오염물만을 제거할 수 있을 뿐, 차량으로부터 누출된 기름 등의 오일성분의 오염물은 제거할 수 없어 환경오염 방지에 한계가 있다.Furthermore, the prior art non-point pollution cleaner can only remove particulate pollutants, and can not remove pollutants such as oil components such as oil leaked from the vehicle, thereby limiting environmental pollution.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동력을 사용하지 않아 관리비용이 절감되면서도 오작동이 발생되지 아니하여 내구성이 증대되고, 입자형 오염물과 더불어 차량으로부터 흘러나온 오일성분의 오염물까지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포집, 침전, 흡착, 걸름의 다단계에 의한 정화기능에 의해 오염물의 저감효율을 극대화시킨 교량용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il-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device for bridges that maximizes the efficiency of reducing pollutants by a function of purifying by a multistage of trapping, sedimentation, adsorption, and squeezing.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교량의 배수구에 구비되는 배수관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수직한 연직관과 상기 연직관으로부터 하향 분기되는 경사관으로 구성되는 분리관과, 상기 분리관에 접속되어 우수의 오염물을 제거하여 정화시킨 후, 정화된 우수를 다시 배수관으로 방출시키는 정화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정화장치는, 경사관을 통해 유입된 큰부피 오염물을 수거하는 수거조와; 상기 연직관을 통해 유입된 우수를 일시 저장하면서 큰 입자 오염물을 침강시키는 제1침강부와, 오일성분의 오염물을 포집하는 오일포켓부로 이루어지는 저수와류조와; 상기 저수와류조로부터 유입된 우수로부터 작은 입자 오염물을 제거하는 정화조 및; 상기 수거조와 저수와류조 및 정화조를 내장시키면서 이들로부터 배출되는 우수를 다시 배수관으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 방류관이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성분의 포집이 가능한 교량용 다단계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re is provided a bridge structure comprising: a separation pipe connected to a drain pipe provided in a drain port of a bridge, the separation pipe comprising a vertical straight pipe and an inclined pipe branched downward from the straight pipe; And a purging devic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pipe to remove pollutants and clean the pores and discharge purified purges to the drain pipe. The purging device includes a collection tank for collecting large volume contaminants introduced through the slope pipe, ; A water storage tank composed of a first sedimentation section for temporarily accumulating large particle contaminants while temporarily storing the stormwater introduc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straight tubular section, and an oil pocket section for collecting contaminants of the oil component; A septic tank for removing small particle contaminants from the storm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storage tank; And a housing in which the collection tank,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purified water tank are built in, and a discharge pipe is installed at the bottom so that the stormwater discharged therefrom can be discharged to the drain pipe again. A non-point pollutant abatement device is provided.
이때 상기 분리관에는, 연직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경사관 하면의 가상연장선을 따라 연직관을 횡단하도록 설치되는 스크린필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스크린필터의 상면에 하향 경사진 쐐기단면 형상의 부착방지날개가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paration pipe may be provided with a screen filter installed on the straight pipe to cross a straight pipe along a virtual extension line of the sloped pipe bottom. In addition, a wedge cross- An anti-wing can be installed.
또 상기 수거조는 오염물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경사관과 연통되고, 내부에 인출이 가능한 오염물수거자루가 놓여질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며, 측벽 하단 또는 바닥판에는 우수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연직관의 하단에는 와류 발생을 위한 스크류가 내장된 스크류관이 연장되고, 상기 스크류관은 저수와류조의 측벽을 관통해 상기 저수와류조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lection vessel is provided with a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inclined pipe so as to enable the contaminants to be introduced therein, a contaminant collecting bag capable of being drawn out, and an outlet for the bottom of the side wall or the bottom plate. A screw tube having a screw for generating a vortex is extended at the lower end and the screw tube can be install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water storage tank.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저수와류조에는 연통관을 매개로 정화조에 설치되는 제2유도관과 연통되는 제1유도관이 설치되고, 상기 저수와류조의 상부에 위치하는 오일포켓부의 천정은 2단으로 단차져 큰 높이의 제1포켓부와 작은 높이의 제2포켓부로 나뉘어지되, 상기 제2포켓부의 천정에는 오버플로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성분의 포집이 가능한 교량용 비점오염물 다단계 저감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torage tank is provided with a first induction pipe communicating with a second induction pipe installed in a septic tank through a communicating pipe, Wherein the ceiling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ocket portions is divided into a first pocket portion having a large height and a second pocket portion having a small height and an overflow hole is formed in the ceiling of the second pocket por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stage reduction apparatus for non-point pollutants.
여기에서 상기 저수와류조의 바닥판은 하향 경사진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침강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침강부의 하부에는 제1오염물반출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1오염물반출관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정화조에 대하여도 그 바닥판은 일측으로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2침강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침강부의 하부에는 제2오염물반출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2오염물반출관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ottom plate of the water storage tank has a downwardly inclined funnel shape to form a first settling portion, a first contaminant carry-out pipe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ettling portion, And the bottom plate of the septic tank is inclined downward to form a second settling portion, and a second contaminant carry-out pipe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ettling portion, An opening / closing valve may be provided.
또 상기 정화조에는 제2유도관을 통해 유입된 우수가 정화부를 거쳐 방류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출관이 설치되고, 상기 정화부는 바이오칩 충진부와 그 상부의 필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부의 하단이 배출관의 상단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urification tank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through the second induction pipe to the discharge pipe through the purification pipe, and the purification unit comprises a biochip charging unit and an upper filter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top of the discharge tube.
본 발명은 동력을 사용하지 않아 운용비용이 거의 들지 않고, 고장이나 작동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전혀 없으며, 수거된 오염물의 반출이 용이하여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경제적이면서도, 입자형의 오염물뿐만 아니라 오일성분의 액상 오염물을 함께 걸러낼 수 있고, 더욱이 오염물의 종류에 대응하는 다단계의 정화작용으로 비점오염물 저감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한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is economical because it does not use the power and does not incur little operation cost and there is no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malfunction or malfunction, and the collected pollutants can be taken out easily and efficiently, The liquid contaminants of the oil component as well as the contaminants of the oil component can be filtered together. Further, the efficiency of the reduction of the non-point contaminants can be maximized by the multi-stage purifying action corresponding to the kind of the contaminant.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교량용 비점오염물 저감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의 일면을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기한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부분 및 B-B 부분의 각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분리관의 구조에 관한 단면도 및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초기우수가 본 발명의 저수와류조와 정화조를 통과하는 과정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contamination for bridges.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of an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the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and BB in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isolation tube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ntire process of passing the initial storm through the low water flow rate and the septic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order to obscure or obscu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structur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above known structure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의 일면을 절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부분 및 B-B 부분의 각 단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the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s AA and BB of FIG. 3 .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는 교량의 배수구에 구비되는 배수관(P1)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관(100)과, 상기 분리관(100)에 접속되어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을 제거시킨 후, 정화된 우수를 다시 배수관(P2)으로 방출시키는 정화장치(200)로 이루어진다. The non-point pollutant abat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water discharge pipe (P1) provided in a drain port of a bridge, and includes a separation pipe (100) And a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는 다단계의 방식으로 다양한 형상의 오염물이 효율적으로 정화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바, 상기 분리관(100)은 1단계의 정화기능을 하는 부분으로서 우수와 함께 휩쓸려 유입되는 비닐 등의 큰부피 오염물을 우수로부터 분리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non-point pollutant abat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fficiently purifying pollutants of various shapes in a multi-stage system. The
도 5는 상기한 분리관(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일부분을 절개한 사시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분리관(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한 연직관(110)과 상기 연직관(110)으로부터 하향 분기되는 경사관(120)으로 구성된다.The
즉 상기 분리관(100)은, 큰부피 오염물은 경사관(120)을 통해 후술하는 정화장치(200)의 수거조(210)에 투입되고, 상기와 같이 큰부피 오염물이 제거된 우수는 연직관(110)을 통해 정화장치(200)의 또 다른 부분으로 보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That is, in the
이를 위해 분리관(100)에는 이러한 큰부피 오염물이 통과되지 않도록 하는 스크린필터(131)가 구비된다. 상기 스크린필터(131)는 격자형상의 망체 구조를 가지면서 연직관(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관(120) 하면의 가상연장선(ℓ)을 따라 연직관(110)을 횡단하도록 설치된다.To this end, the
따라서 비닐 등의 큰부피 오염물이 우수와 함께 분리관(100)으로 유입되면 우수는 스크린필터(131)를 통과하여 직하방향의 연직관(110)으로 떨어지게 되나, 상기의 큰부피 오염물은 스크린필터(131)에 의해 걸러진 후 경사관(120)으로 미끄러져 내려가게 된다.Therefore, when large volume contaminants such as vinyl are introduced into the
이때 상기 크린필터의 상면에 하향 경사진 쐐기단면 형상의 부착방지날개(132)를 일정한 간격으로 더 설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상기 부착방지날개(132)는 걸러진 오염물에 대한 미끄럼 작용으로 오염물이 스크린필터(131)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면서 경사관(120)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한다.The
분리관(100)의 연직관(110)과 경사관(120)을 각각 통과한 우수 및 큰부피 오염물은 정화장치(200)의 각 부분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정화장치(200)는, 경사관(120)을 통해 유입된 큰부피 오염물을 수거하는 수거조(210)와, 연직관(110)을 통해 유입된 우수로부터 오일성분을 제거하는 저수와류조(220)와, 입자형 오염물을 제거하는 정화조(230) 및, 이들 수거조(210)와 저수와류조(220) 및 정화조(230)를 내장시키면서 이들로부터 배출되는 우수를 다시 배수관(P2)으로 방출시키는 하우징(240)으로 이루어진다.The high and high volume contaminant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수거조(210)는 분리관(100)에 설치된 스크린필터(131)에 의해 큰부피 오염물을 수거하여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상면에는 오염물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경사관(120)과 연통되고, 측면중 어느 일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에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노출된 면에 개폐도어(211)가 설치되어 수거된 오염물이 손쉽게 외부로 반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수거조(210)의 내부 공간 자체를 오염물 수거공간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인출이 가능한 오물수거자루(213)를 내장시켜 경사관(120)을 통해 수거조(210)로 미끄러져 내려온 오염물이 상기 오염물수거자루에 담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수거조(210)의 내벽에 오염물수거자루를 걸어 놓을 수 있는 고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inner space of the
한편 스크린필터(131)에 의해 걸러진 큰부피 오염물이 경사관(120)으로 이동하면서 일부 우수가 오염물과 함께 경사관(120)으로 흘러 들어오게 되는 바, 상기 오염물수거자루는 우수 또는 큰부피 오염물에 포함된 입자형 오염물이 걸러지면서 탈수될 수 있는 재질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the large volume contaminants filtered by the
또 수거조(210)의 측벽 하단 또는 바닥판에는 큰부피 오염물과 함께 유입된 우수의 배출을 위한 우수배출구(212)가 더 구비되며, 상기 우수배출구(212)에는 필터를 구비시키거나 자체가 필터기능을 할 수 있도록 미세공으로 타공하여 우수배출구(212)를 구성시킬 수도 있다. 우수배출구(212)를 통과한 우수는 하우징(240)의 하부에 구비된 방류관(241)을 통해 배수관(P2)으로 흘러가게 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idewall of the
큰부피 오염물이 제거되면서 연직관(110)을 통해 유입된 우수는 저수와류조(220)에 일시 저장되면서 오일성분의 오염물과 큰입자 오염물이 제거되는 2단계의 정화작용을 거치게 된다.As the heavy volatile contaminants are removed, the stormwater flowing through the
저수와류조(220)는 오염물의 비중에 의해 정화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는 큰 입자 오염물을 침강시켜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제1침강부(221)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부에는 오일성분의 오염물을 포집하는 오일포켓부(223)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4 (a), the bottom of the
즉 비중이 물보다 커서 침강되는 큰 입자 오염물은 하부에 위치한 제1침강부(221)에 퇴적하게 되나, 비중이 물보다 작은 오일성분의 오염물은 우수의 표면에 떠오르면서 상부에 위치한 오일포켓부(223)에 의해 포집된다.In other words, large particle contaminants that have a specific gravity larger than that of water are deposited on the
이러한 오염물들의 분리작용은 저수와류조(220) 내부의 우수에 와류가 형성되는 경우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정화장치(200)에는 무동력의 와류발생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separation action of these contaminants becomes more effective when a vortex is formed in the stormwater in the
예컨대 연직관(110)의 하단에 와류 발생을 위한 스크류(141)가 내장된 스크류관(140)이 연장되도록 하고, 상기 스크류관(140)의 하단은 저수와류조(220)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저수와류조(22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연직관(110)으로 유입된 우수가 스크류(141)를 타고 회전하면서 저수와류조(220)에 진입할 수 있게 하여 저수와류조(220)에 와류가 발생하게 한다.A
이렇게 발생된 와류는 비중이 서로 다른 액체의 분리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가벼운 오일성분의 오염물이 상부에 위치한 오일포켓부(223)에 효율적으로 포집될 수 있게 한다.The vortex generated in this way facilitates the separation of liquids having different specific gravity so that light oil component contaminants can be efficiently collected in the upper
저수와류조(220)의 상부에 위치한는 오일포켓부(223)는 천정이 2단으로 단차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큰 높이의 제1포켓부(223a)와 작은 높이의 제2포켓부(223b)로 나뉘어 구성된다. 그리고 제2포켓부(223b)에는 오버플로우공(224)이 형성된다.The
오염농도가 높은 초기우수는 저수와류조(220)를 거쳐 후술하는 정화조(230)로 이동하여 다음 단계의 흡착 및 걸름에 의한 정화과정을 거치게 된다.The initial storm having a high concentration of pollutants flows through the low-temperature and high-
그런데 저수와류조(220)로 유입되는 우수량이 정화조(230)로 이동하는 우수량보다 많게 될 즈음이 되면 초기우수의 상태는 거의 종료되고 오염농도가 매우 낮은 후기우수가 지속되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amount of stormwater flowing into the
이러한 후기우수의 상태에서는 보다 신속한 배수가 요구되는 바, 상기의 제2포켓부(223b)에 형성된 오버플로우공(224)은 후기우수가 정화조(230)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하우징(240)에 설치된 방류관(241)을 통해 배수관(P2)으로 흘러갈 수 있게 한다.The
이때 제2포켓부(223b)에 포집된 오일성분의 오염물이 함께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오버플로우공(224)의 외주연에 링 형상의 하향 돌출턱(224a)을 더 구비시킬 수 있으며, 오일성분의 포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2포켓부에 흡착포(224b)를 더 구비시킬 수도 있다.In this case, a ring-shaped downward protruding
와류의 발생에도 불구하고 비중이 크고 무거운 큰 입자 오염물은 아래로 침강하여 하부에 위치한 제1침강부(221)에 퇴적하게 되는 바, 상기 제1침강부(221)는 상기 오염물의 효율적인 집적과 반출을 위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Large particle contaminants with large and heavy specific gravity are precipitated downward and deposited on the
예컨대 상기 제1침강부(221)는 저수와류조(220)의 바닥판을 하향 경사지게 하여 깔대기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하부에 제1오염물반출관(222)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오염물반출관(222)에는 개폐밸브(222a)를 구비시킨다.For example, the
따라서 깔대기 형상의 제1침강부(221)에 모여진 오염물은 상기 개폐밸브(222a)를 개방시켜 그 안에 담겨진 있던 물이 제1오염물반출관(222)을 통해 외부로 쏟아질 때 함께 휩슬려 쏟아지게 되는 바, 저수와류조(220)에 대한 오염물의 제거 및 청소는 매우 용이하게 된다.Therefore, the pollutants collected in the funnel-shaped first settling
이때 제1오염물반출관(222)의 외면에 걸림구(미도시)를 형성시켜 놓고 여기에 오물수거자루를 걸어 놓음으로써 제1오염물반출관(222)으로부터 배출된 오염물의 처리를 더욱 간편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a stopper (not show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ollutant take-out
저수와류조(220)로 유입된 초기우수는 침강되는 무거운 입자와 가벼운 오일성분이 걸러진 후 정화조(230)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정화조(230)에서는 저수와류조(220)에서 미처 침강되지 아니한 큰 입자 오염물과 함께 부유물등 작은 입자 오염물이 걸러지게 된다.The initial rainwater flowing into the
이러한 우수의 흐름을 위해 저수와류조(220)의 상부에는 제1유도관(225)이 설치되고, 정화조(230)에는 제2유도관(231) 및 정화된 우수가 방류관(241)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출관(232)이 각 설치되며, 상기 제1유도관(225)과 제2유도관(231)은 연통관(226)을 매개로 하여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다.A
따라서 와류의 형성으로 인하여 부유된 작은 입자 오염물은 우수와 함께 제1유도관(225)과 연통관(226) 및 제2유도관(231)을 경유하여 정화조(230)로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the small particle contaminants floating due to the formation of the vortex move to the
이때 상기 제2유도관(231)의 출구인 하단은 정화조(230)의 바닥면 근처의 하부에까지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하단이 방류관(241)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배출관(232)은 입구인 상단이 상부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The lower end of the
따라서 제2유도관(231)으로부터 배출된 우수는 정화조(230) 내부에서 상향 이동하여 배출관(232)으로 인입되는바,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우수가 상향 이동되는 과정 중에 정화부(233)를 거치게 함으로써 흡착 및 걸름에 의한 3단계의 정화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Accordingly, the rainwater discharged from the
상기 정화부(233)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오칩 충진부(233a)와 그 상부의 필터부(233c)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2유도관(231)의 하단에서 배출된 우수는 바이오칩 충진부(233a)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부유물이 바이오칩에 의해 흡착되도록 하고, 다시 필터부(233c)의 입체형 필터에 의해 걸름되도록 하여 작은 입자 오염물을 제거한 후, 배출관(232)을 통해 방류관(241)으로 이동된다.The purification unit 233 includes a
배출관(232)은 상부에 다수 개의 인입공을 형성시킨 후 이를 필터 내부에 매립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우수는 필터의 수평방향에 대하여만 통과하게 되므로 우수가 통과하는 필터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필터부(233c)의 하단이 배출관(232)의 상단과 연결되도록 구성시킴으로써, 우수가 충분한 깊이만큼 필터부(233c)를 통과할 수 있게 하여 걸름에 의한 정화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lower end of the
바이오칩 충진부(233a)의 상하부에는 이탈방지망(233b)이 설치된다. 상기 이탈방지망(233b)은 우수의 정화작용 과정 중에 또는 유지관리를 위한 내부의 청소과정 중에 바이오칩이 그 위치를 이탈하여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다.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우수와 함께 유입된 물보다 비중이 큰 대부분의 무거운 입자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수와류조(220)의 제1침강부(221)에 침강하게 되나, 일부는 와류에 의해 제1,2유도관(225,231)을 통해 정화조(230)로 유입될 수 있다.Most of the heavy particles having a larger specific gravity than the water introduced along with the storm are settled in the
이와 같이 제1침강부(221)에 미처 침강되지 못하고 정화조(230)로 유입된 잔여의 무거운 입자들은 정화조(230)에서 침강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정화조(230)의 하부에는 저수와류조(220)의 하부와 마찬가지로 침강된 입자 오염물들이 집적되고 이를 손쉽게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The remaining heavy particles that have not been precipitated in the
즉 바닥판이 일측으로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침강부(234)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2침강부(234)의 하부에는 제2오염물반출관(235)이 구비되며, 상기 제2오염물반출관(235)에 개폐밸브(235a)가 설치되는 구조로 정화조(230)의 하부를 구성시킬 수 있다.A
물론 제2오염물반출관(235)의 외면에 걸림구를 형성시켜 놓고 여기에 오물수거자루를 걸어 놓음으로써 제2오염물반출관(235)으로부터 배출된 오염물의 처리를 더욱 간편하게 할 수 있다.Of course,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treatment of the contaminants discharged from the second pollutant take-out
도 6은 이와 같이 초기우수가 저수와류조(220)와 정화조(230)를 거쳐가면서 이에 포함되 있었던 비점오염물이 제거되는 과정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FIG. 6 is a general view of the process of removing the non-spot pollutants contained in the initial rainwater through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hat it will be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modifications thereof.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100; 분리관 110; 연직관
120; 경사관 131; 스크린필터
132; 부착방지날개 140; 스크류관
141; 스크류 200; 정화장치
210; 수거조 211; 개폐도어
212; 우수배출구 213; 오물수거자루
220; 저수와류조 221; 제1침강부
222; 제1오염물반출관 222a,235a; 개폐밸브
223; 오일포켓부 223a; 제1포켓부
223b; 제2포켓부 224; 오버플로우공
224a; 돌출턱 224b; 흡착포
225; 제1유도관 226; 연통관
230; 정화조 231; 제2유도관
232; 배출관 233; 정화부
223a; 바이오 충진부 233b; 이탈방지망
233c; 필터부 234; 제2침강부
235; 제2오염물반출관 240; 하우징
241; 방류관 P1,P2; 배수관100;
120; An
132; An
141;
210; Collection tank 211; Opening door
212;
220; Reservoir flow; The first settling portion
222; First pollutant take-out
223; An
223b; A
224a; A protruding
225; A
230; A
232; A discharge pipe 233; Purifying section
223a; A
233c; A
235; A second pollutant take-out
241; The discharge pipes P1 and P2; drain
Claims (10)
상기 배수관(P1)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수직한 연직관(110)과 상기 연직관(110)으로부터 하향 분기되는 경사관(120)으로 구성되는 분리관(100)과, 상기 분리관(100)에 접속되어 우수의 오염물을 제거하여 정화시킨 후, 정화된 우수를 다시 배수관(P2)으로 방출시키는 정화장치(2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정화장치(200)는, 경사관(120)을 통해 유입된 큰부피 오염물을 수거하는 수거조(210)와; 상기 연직관(110)을 통해 유입된 우수를 일시 저장하면서 큰 입자 오염물을 침강시키는 제1침강부(221)와, 오일성분의 오염물을 포집하는 오일포켓부(223)로 이루어지는 저수와류조(220)와; 상기 저수와류조(220)로부터 유입된 우수로부터 작은 입자 오염물을 제거하는 정화조(230) 및; 상기 수거조(210)와 저수와류조(220) 및 정화조(230)를 내장시키면서 이들로부터 배출되는 우수를 다시 배수관(P2)으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 방류관(241)이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24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성분의 포집이 가능한 교량용 다단계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A nonpoint contamination reduction device connected to a water pipe (P1) provided in a drain port of a bridge,
A separation pipe 100 connected to the drain pipe P1 and composed of a vertical linear pipe 110 and a slant pipe 120 branched downward from the linear pipe 110; And a purifier 200 for purifying the cleaned contaminants and discharging purified purified water to the drain pipe P2,
The purifier 200 includes a collection tank 210 for collecting large volume contaminants introduced through the inclined pipe 120; A first sedimentation section 221 for precipitating large particle contaminants while temporarily storing the stormwater flowing through the linear straight pipe 110 and an oil pocket section 223 for collecting contaminants of the oil component, )Wow; A purifier 230 for removing small particle contaminants from the stormwater flowing from the water storage tank 220; A housing (not shown) in which a discharge pipe 241 is installed at the bottom so as to allow the collection tank 210, the water storage tank 220, and the purification tank 230 to be built in, 240) capable of collecting an oil component. The multi-stage nonpoint contamination reducing device for a bridge capable of collecting an oil component.
상기 분리관(100)에는, 연직관(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경사관(120) 하면의 가상연장선(ℓ)을 따라 연직관(110)을 횡단하도록 설치되는 스크린필터(13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성분의 포집이 가능한 교량용 다단계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paration pipe 100 is provided with a screen filter 131 which is installed in the linear pipe 110 and is installed to traverse the linear pipe 110 along a virtual extension line L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lope pipe 120 Wherein the oil component is capable of collecting the oil components.
상기 스크린필터(131)의 상면에는 하향 경사진 쐐기단면 형상의 부착방지날개(13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성분의 포집이 가능한 교량용 다단계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creen filter (131) is provided with an anti-sticking blade (132) having a downward inclined wedge cross-sectional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filter (131).
상기 수거조(210)는 오염물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경사관(120)과 연통되고, 내부에 인출이 가능한 오염물수거자루가 놓여질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며, 측벽 하단 또는 바닥판에는 우수배출구(21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성분의 포집이 가능한 교량용 다단계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llection tank 210 is provided with a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inclined pipe 120 so that contaminants can be introduced therein and a contaminant collection bag capable of being drawn out can be placed therein. Wherein the oil component can be trapped by the brine.
상기 연직관(110)의 하단에는 와류 발생을 위한 스크류(141)가 내장된 스크류관(140)이 연장되고, 상기 스크류관(140)은 저수와류조(220)의 측벽을 관통해 상기 저수와류조(22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성분의 포집이 가능한 교량용 다단계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crew tube 140 having a screw 141 for generating a vortex is extended at a lower end of the straight pipe 110. The screw pipe 140 passes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water storage tank 220, Wherein the oil component is provided so as to be communicated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220).
상기 저수와류조(220)에는 연통관(226)을 매개로 정화조(230)에 설치되는 제2유도관(231)과 연통되는 제1유도관(225)이 설치되고, 상기 저수와류조(2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오일포켓부(223)의 천정은 2단으로 단차져 큰 높이의 제1포켓부(223a)와 작은 높이의 제2포켓부(223b)로 나뉘어지되, 상기 제2포켓부(223b)의 천정에는 오버플로우공(2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성분의 포집이 가능한 교량용 다단계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storage tank 220 is provided with a first induction pipe 225 communicating with a second induction pipe 231 installed in the purification tank 230 through a communicating pipe 226. The water storage tank 220 is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220, The ceiling of the oil pocket portion 223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ocket portion 223 is divided into a first pocket portion 223a having a large height and a second pocket portion 223b having a small height, And an overflow hole (224) is formed in the ceiling of the bridge (223a, 223b).
상기 저수와류조(220)의 바닥판은 하향 경사진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침강부(221)를 형성하고, 상기 제1침강부(221)의 하부에는 제1오염물반출관(222)이 구비되며, 상기 제1오염물반출관(222)에는 개폐밸브(222a)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성분의 포집이 가능한 교량용 다단계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plate of the water storage tank 220 is formed in a downwardly inclined funnel shape to form a first settling portion 221 and a first contaminant carryout pipe 222 is provided below the first settling portion 221 , And the first pollutant takeoff pipe (222) is provided with an on-off valve (222a).
상기 정화조(230)에는 제2유도관(231)을 통해 유입된 우수가 정화부(233)를 거쳐 방류관(241)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출관(232)이 설치되고, 상기 정화부(233)는 바이오칩 충진부(233a)와 그 상부의 필터부(233c)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부(233c)의 하단이 배출관(232)의 상단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성분의 포집이 가능한 교량용 다단계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urifier 23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ipe 232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to the discharge pipe 241 through the second purifier 233 through the second pipe 231, 233 is composed of a biochip filling part 233a and an upper filter part 233c and the lower end of the filter part 233c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ipe 232. [ Multistage nonpoint contamination abatement system for bridging bridges.
상기 정화조(230)의 바닥판은 일측으로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2침강부(234)를 형성하고, 상기 제2침강부(234)의 하부에는 제2오염물반출관(235)이 구비되며, 상기 제2오염물반출관(235)에는 개폐밸브(235a)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성분의 포집이 가능한 교량용 다단계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plate of the septic tank 230 has a downward inclined shape to form a second settling portion 234 and a second settling pipe 235 below the second settling portion 234 , And the second pollutant discharge pipe (235) is provided with an on-off valve (235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7579A KR101754123B1 (en) | 2017-02-08 | 2017-02-08 |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with the function of oil capture for the brid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7579A KR101754123B1 (en) | 2017-02-08 | 2017-02-08 |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with the function of oil capture for the brid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4123B1 true KR101754123B1 (en) | 2017-07-06 |
Family
ID=5935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7579A KR101754123B1 (en) | 2017-02-08 | 2017-02-08 |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with the function of oil capture for the brid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4123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1848B1 (en) * | 2018-01-16 | 2018-07-25 | 황성규 | Apparatus for decreasing non-point pollution sources |
KR102114600B1 (en) * | 2020-01-09 | 2020-06-17 | 씨앤씨주식회사 | Smart automatci control non-point pollution source reduction system with reinforced flow control and seismic performance |
KR102220579B1 (en) * | 2019-12-30 | 2021-02-24 | 김장배 | Filtering water tank of begining rainwat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7497B1 (en) | 2014-07-04 | 2014-12-01 | (주)공간파크 | Removing apparatus of non-point source contaminants for bridge |
-
2017
- 2017-02-08 KR KR1020170017579A patent/KR10175412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7497B1 (en) | 2014-07-04 | 2014-12-01 | (주)공간파크 | Removing apparatus of non-point source contaminants for bridg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1848B1 (en) * | 2018-01-16 | 2018-07-25 | 황성규 | Apparatus for decreasing non-point pollution sources |
KR102220579B1 (en) * | 2019-12-30 | 2021-02-24 | 김장배 | Filtering water tank of begining rainwater |
KR102114600B1 (en) * | 2020-01-09 | 2020-06-17 | 씨앤씨주식회사 | Smart automatci control non-point pollution source reduction system with reinforced flow control and seismic performan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04177B1 (en) |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the first rainwater containing non-point source | |
KR101288471B1 (en) |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0987316B1 (en)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combining oil-water separation with upward movement filtration by using filter medium movable filter and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thereby | |
KR100605267B1 (en) | Rainwater controlling device | |
KR101002809B1 (en) | Treating device of early rainwater | |
KR200431389Y1 (en) | Rainwater purify device | |
KR20100020867A (en) | Apparatus for removal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using slope filter | |
KR101754123B1 (en) |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with the function of oil capture for the bridge | |
KR100787625B1 (en) | A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 |
KR100913315B1 (en) | The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 |
KR101746524B1 (en) |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for the road and bridge | |
KR100912708B1 (en) | Water pollution permeation style purification system | |
KR100784496B1 (en) | Rainwater purify device | |
KR101527005B1 (en) | A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 |
KR101794124B1 (en) |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 |
KR100741409B1 (en) | A sanitation facility of first rainwater-spilled water for bridge | |
KR100621193B1 (en) | A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and pollutant purification method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 |
KR100516951B1 (en) |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bulding drainage by filter media | |
KR101036018B1 (en) | Filter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filter set using it | |
KR20170063725A (en) | Device for filtering storm water | |
KR101195091B1 (en) | Non-point Source Control Facility | |
KR101522817B1 (en) | Transparent pipe for first flush removal system | |
KR101846421B1 (en) |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 |
KR101714397B1 (en) | Appratus of decreas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for the bridge | |
KR100614766B1 (en) | Road drainage with first flush treatment abil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