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914B1 -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914B1
KR101753914B1 KR1020110056270A KR20110056270A KR101753914B1 KR 101753914 B1 KR101753914 B1 KR 101753914B1 KR 1020110056270 A KR1020110056270 A KR 1020110056270A KR 20110056270 A KR20110056270 A KR 20110056270A KR 101753914 B1 KR101753914 B1 KR 101753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barcode
error correction
area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7006A (ko
Inventor
최성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6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914B1/ko
Priority to US13/492,121 priority patent/US8857726B2/en
Publication of KR20120137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712Fixed beam scanning
    • G06K7/10722Photodetector array or CCD sc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바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바코드에 저장된 고용량의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는, 바코드를 데이터가 저장되는 심볼영역과 상기 바코드의 위치 및 상기 심볼영역의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패턴영역으로 구성하고, 상기 심볼영역에 복수의 에러정정블록들을 배치할 때 상기 복수의 에러정정블록들 중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에러정정블록들의 위치를 서로 연관시켜서 저장하는 바코드 생성부와, 상기 바코드의 패턴영역을 통해 상기 바코드의 위치 및 상기 심볼영역의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심볼영역의 심볼을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바코드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RECOGNIZING BAR-CODE IN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바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바코드에 저장된 고용량의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2차원 바코드인 QR CODE(일본),MATRIX CODE(미국)는 저밀도 DPI(Dot Per Inch)로 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 및 복원하도록 알고리즘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2005년 기준으로 2cm x 2cm크기에 1000byte정도를 저장 및 복원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저밀도의 심볼(최소한의 정보의 단위)을 저장하고 복원하는데 적합한 Reed-solomon알고리즘과 Redundancy Block구성, 저밀도dpi에 최적화된 인터리빙알고리즘 및 압축방법은 디코딩속도가 높은 DPI와 대비하여 빠른 편이지만, 현대 광학기술의 발달과 임베디드 프로세서(embeded processor)의 성능개선으로 고밀도DPI와의 시간차가 그리 크지 않게 됨으로, 고밀도DPI로의 바코드알고리즘 구현의 필요성이 증대 되었다.
종래의 2차원 바코드는 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ECC(Error Correcting Code)블록(에러 정정을 위한데이터)이 제한적이어서, 작은 노이즈에도 민감하고 산발에러에는 강하지만 연집에러에 약하며, 바코드의 오류 복구율이 낮을 수밖에 없다. 또한 에러정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방법이 보통미리 지정해 놓은 레벨에서 각각 정적으로 오류정정수준을 결정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1차원 및 2차원 바코드는 저장용량이 작기 때문에 간단한 텍스트데이터나 숫자등을 저장하는 데에 그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바코드는 저장용량에 따라서 바코드크기가 커지는 형태도 존재하는데, 많은 데이터를 담기위해서는 바코드크기가 저장용량에 따라 커지게 됨으로, 임베디드 기반의 작은 카메라에서 인식할 수 있는 범위를 대부분 벗어나게 된다. 또한 간단한 MIDI파일, NWC 포맷기준에서 평범한 곡 1곡(4중창)정도를 저장하는데 필요한 용량이 4000byte정도 됨으로, 기존의 바코드에서는 상기와 같은 고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다. 그리고 워드파일등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디지털문서를 인코딩할만한 용량이 되지도 못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바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바코드에 저장된 고용량의 데이터를 인식하여 저장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은 바코드의 크기에 높은 DPI로 고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고용량의 데이터를 인코딩 및 디코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고용량을 저장하는 바코드는 상기 바코드를 종이로 인쇄할 때 손실될 수 있는 데이터를 위한 에러정정코드를 포함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바코드가 인식될 때 발생될 수 있는 바코드 훼손 및 데이터 손실에도 견딜 수 있는 에러복구 능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바코드가 인식될 때 상기 바코드가 인쇄된 종이의 비틀림이나 굴곡에서도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는, 바코드를 데이터가 저장되는 심볼영역과 상기 바코드의 위치 및 상기 심볼영역의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패턴영역으로 구성하고, 상기 심볼영역에 복수의 에러정정블록들을 배치할 때 상기 복수의 에러정정블록들 중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에러정정블록들의 위치를 서로 연관시켜서 저장하는 바코드 생성부와, 상기 바코드의 패턴영역을 통해 상기 바코드의 위치 및 상기 심볼영역의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심볼영역의 심볼을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바코드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하는 방법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심볼영역과 상기 바코드의 위치 및 상기 심볼영역의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패턴영역으로 구성된 바코드를 구성하고, 상기 심볼영역에 복수의 에러정정블록을 배치할 때 상기 복수의 에러정정블록들 중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에러정정블록들간의 위치를 서로 연관시켜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바코드의 패턴영역을 통해 상기 바코드의 위치 및 상기 심볼영역의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심볼영역의 심볼을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바코드 인식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작은 크기의 2차원의 바코드에 고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바코드에 포함된 에러정정코드를 통해 상기 바코드를 종이로 인쇄할 때 손실될 수 있는 데이터를 복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바코드가 인식할 때 발생될 수 있는 바코드 훼손 및 데이터 손실에 대한 에러를 복구할 수 있으며, 상기 바코드 인식할 때 상기 바코드가 인쇄된 종이의 비틀림이나 굴곡에서도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a - 도 3b는 도 2에서 패턴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 도 4b는 도 2에서 에러정정블록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인식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도 5에서 두 개의 검색영역으로 분류된 심볼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서 바코드의 심볼을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고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바코드를 생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상기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의 프로그램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바코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고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바코드 생성부(170)를 제어하고, 상기 고용량의 바코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식하도록 바코드 인식부(180)를 제어한다.
상기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종이로 인쇄된 바코드를 촬영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며, 상기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150)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표시부(160)에는 상기 키 입력부(127)와 같은 키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바코드 생성부(170)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심볼영역과, 바코드의 위치 및 상기 심볼영역의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패턴영역으로 구성된 바코드를 생성한다.
상기 패턴영역은 시작패턴과 정보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바코드의 외곽에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코드 생성부(170)는 상기 바코드의 상측 양 끝 각각과 상기 바코드의 우측 하단에 상기 시작패턴을 구성하여, 상기 바코드의 상측 양 끝 각각과 상기 바코드의 우측하단에 시작패턴들이 존재할 때, 상기 바코드가 정 위치임을 알리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코드 생성부(170)는 상기 정보패턴에 상기 심볼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의 종류 예를 들어, NWC, TXT 및 JPG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고, 바코드의 크기를 나타내는 바코드의 종류를 저장하며, 상기 심볼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의 크기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바코드 생성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심볼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들에 대한 효율적인 에러정정을 위해 복수의 에러정정블록들을 복수그룹으로 분류하여 구성하고, 상기 에러정정블록을 상기 심볼영역에 배치할 때 동일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에러정정블록을 서로 연결하여 배치한다. 상기 복수그룹의 각각의 그룹은 최소 8개에서 최대 50개의 에러정정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코드 생성부(170)는 상기 심볼영역에 상기 에러정정블록을 배치할 때, 상기 배치된 에러정정블록이 포함된 가로 심볼라인, 세로 심볼라인 및 상기 배치된 에러정정블록을 기준으로 일정 심볼영역에, 상기 배치된 에러정정블록과 동일그룹에 속하는 에러정정블록을 배치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일정영역은 상기 배치된 에러정정블록을 중심으로 가로 및 세로 길이가 최소 8 심볼에서 최대 30 심볼의 영역을 가지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러정정블록은 8비트 또는 4비트단위로 구성되고, 상기 에러정정블록은 가로 4개의 심볼과 세로 2개의 심볼 또는 가로 4개의 심볼과 세로 4개의 심볼로 구성되거나 또는 가로 2개의 심볼과 세로 4개의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코드 생성부(170)는 Reed-Solomo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에러정정블록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바코드 생성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심볼영역에 배치된 소정의 에러정정블록에 오류가 발생되면, 상기 오류가 발생된 에러정정블록에 속하는 동일그룹의 복수의 에러정정블록을 통해 상기 오류가 발생된 에러정정블록을 복구한다.
상기 바코드 인식부(18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40)를 통해 촬영된 바코드의 패턴영역에서 시작패턴을 통해 상기 바코드를 정 위치로 배치한다. 또한 상기 바코드 인식부(180)는 상기 패턴영역에서 정보패턴을 통해 상기 심볼영역의 데이터 종류, 상기 바코드의 종류 및 상기 심볼영역의 데이터 크기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상기 바코드 인식부(18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바코드의 심볼영역에서 상측영역을 검색이동에 제한이 없는 제1 검색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심볼영역의 하측영역을 검색이동에 제한이 있는 제2 검색영역으로 설정 하며, 이때 상기 제2 검색영역에서 심볼 검색을 수행할 때, 검색이동을 상측 및 하측으로 1 심볼 라인으로 제한한다.
또한 상기 바코드 인식부(18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검색영역과 상기 제2 검색영역으로 분류된 상기 심볼영역에서 심볼을 검색하면서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바코드 인식부(180)는 상기 심볼영역에서 심볼을 검색하면서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심볼영역에서 소정의 심볼위치를 중심으로 상, 하, 좌 및 우 각각으로 한 픽셀씩 이동하고, 상기 이동된 4개의 심볼위치(제1 심볼 위치 - 제4 심볼 위치)에 포함된 각각의 심볼에 대한 평균값을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바코드 인식부(180)는 상기 이동된 4개의 심볼위치(제1 심볼 위치 - 제4 심볼 위치)에서 상, 하, 좌 및 우 각각으로 한 픽셀씩 이동하며, 상기 이동된 4개의 심볼위치(제1-1 심볼 - 제4-1 심볼) 각각에 대한 심볼 존재유무에 따른 값을 추출한다. 그런 후 상기 바코드 인식부(180)는 상기 이동된 4개의 심볼위치(제1 심볼 위치 - 제4 심볼 위치)중 상기 평균 값과 상기 심볼존재 유무에 따른 값을 더 했을 때 가장 큰 값을 가지는 심볼 위치의 심볼을 검색하여 상기 데이터를 추출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하는 동작을 도 2 - 도 7을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a - 도 3c는 도 2에서 패턴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서 에러정정블록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바코드 생성부(170)는 실질적인 데이터가 저장되는 심볼영역과 상기 심볼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패턴영역을 포함하는 바코드를 구성하는 20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1단계에서 상기 바코드 생성부(170)는 상기 패턴영역은 시작패턴과 정보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바코드의 외곽에 형성한다. 상기 시작패턴은 상기 바코드의 상측 양 끝 각각과 상기 바코드의 우측 하단에 구성되어, 이후 상기 바코드 인식부(180)에 의해 상기 시작패턴이 상기 바코드의 상측 양 끝 각각과 상기 바코드의 우측 하단에 구성될 때 상기 바코드가 정 위치에 있음을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정보패턴은 상기 심볼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의 종류, 상기 바코드의 종류 및 상기 심볼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의 크기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도 3a를 참조하여 상기 패턴영역을 살펴보면, 상기 바코드(300)는 상기 심볼영역(310)과 패턴영역(321a - 321c 및 322a - 322c)로 형성되며, 상기 시작패턴은 상기 바코드(300)의 상측 양 끝 각각(321a, 321b)과 상기 바코드(300)의 우측 하단(321c)에 형성되고, 상기 정보패턴은 상기 바코드(300)의 상측(322a)과 우측(322b-322c)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보패턴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다.
상기 정보패턴은 3가지의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17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바코드(300)의 상측(322a)에 형성된 상기 정보패턴은 상기 심볼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의 종류가 인코딩되어 저장되기 위한 1비트와 확장을 위한 1비트로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의 종류는 예를 들어 하기의 표 1과 같다.
Data Type
bit define
00 NWC
01 TXT
10 JPG
11 <empty> for expansion
또한 상기 바코드(300)의 우측(322b)에 형성된 상기 정보패턴은 상기 바코드의 종류를 저장하기를 위한 1비트와 확장은 위한 1비트로 구성되며, 상기 바코드의 종류는 예를 들어 하기의 표2와 같다.
Code Type
bit define
00 CODE1
01 CODE2
10 CODE3
11 <empty> for expansion
상기 "CODE1"은 1cm의 크기를 가지고, 상기 “CODE2"는 1.5cm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CODE3"은 2cm의 크기를 가진다. 상기 도 3b는 좌측부터 “CODE1", “CODE2" 및 ”CODE3"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바코드(300)의 우측(322c)에 형성된 상기 정보패턴은 상기 심볼영역에 인코딩 되어 저장된 실제 데이터의 크기를 저장하기 위해 13비트로 구성된다.
상기 201단계에서 바코드가 구성되면, 상기 바코드 생성부(170)는 에러정정블록을 복수그룹으로 구성하는 20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2단계에서 상기 바코드 생성부(170)는 Reed-Solomo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에러정정블록으로 생성하고, 이때 생성된 에러정정블록은 RS블록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RS블록은 RS(255,128,127)을 기준으로 구성된다.
RS(255,128,127)에서 “255”는 최대 데이터가 구성될 수 있는 데이터 바이트이고, “128”은 실제 데이터 바이트이며, “127”은 실제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데이터 바이트를 나타내다.
상기 바코드 생성부(170)는 상기 에러정정블록들을 최소 8개에서 최대 50개 단위로 분류하여 복수그룹으로 나누고, 203단계에서 상기 에러정정블록을 상기 심볼영역에 배치할 때 동일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에러정정블록만을 서로 연결시킨다.
상기 에러정정블록은 1바이트 즉 8비트 단위이며, 하나의 에러정정블록에는 가로 4개 및 세로 2개의 심볼을 포함하거나, 가로 2개 및 세로 4개의 심볼을 포함하거나, 가로 4개 및 세로 4개의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코드 생성부(170)는 상기 에러정정블록을 상기 심볼영역에 배치할 때, 상기 배치된 에러정정블록이 포함된 가로 심볼라인과 세로 심볼라인 및 상기 배치된 에러정정블록을 중심으로 일정 심볼영역에 상기 배치된 에러정정블록과 동일그룹의 에러정정블록을 배치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일정 심볼영역은 상기 배치된 에러정정블록을 중심으로 가로세로가 최소 8에서 최대 30 심볼단위 영역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에러정정블록의 배치는 데이터오류 복구에 더욱 효율적이다.
또한 상기 심볼영역에 배치된 에러정정블록에 오류가 발생되면, 상기 바코드 인식부(180)는 상기 오류가 발생된 에러정정블록에 포함된 동일그룹의 에러정정블록을 통해 상기 오류가 발생된 에러정정블록을 복구한다. 상기 동일그룹의 에러정정블록을 통해 상기 오류가 발생된 에러정정블록을 복구는 Reed-Solomon 알고리즘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에러정정블록을 살펴보면, 상기 도 4a는 상기 심볼영역에 8비트 단위의 에러정정블록이 배치될 때 상기 배치된 에러정정블록이 포함된 가로 심볼라인과 세로 심볼라인 및 일정 심볼영역(401)에 상기 배치된 에러정정블록과 동일그룹에 속하는 에러정정블록이 배치될 수 없음을 보이고 있다.
상기 도 4b에서는 상기 심볼영역(310)에 복수그룹으로 분류된 에러정정블록들이 동일그룹에 속하는 에러정정블록끼리 연결되어 배치되어 있음을 보이고 있다. 그 중 하나의 동일그룹(A)에 속하는 에러정정블록들(A-1 ~ A-#) 중 A-1 에러정정블록에 오류가 발생되면, 연결된 나머지 에러정정블록들(A-2 ~ A-#)에 포함된 요소들이 A-1의 요소를 복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심볼영역에 배치된 에러정정블록은 산발에러 및 연집에러에 효율적이며, 상기 바코드가 종이로 인쇄될 때 발생될 수 있는 데이터의 손실을 복구할 수 있다.
상기 도 2의 과정을 통해 생성된 바코드의 심볼영역에는 에러정정코드를 포함하여 총 10000 바이트의 고용량의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과정을 통해 생성된 바코드는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결된 인쇄장치를 통해 종이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종이로 인쇄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도 5-도 7을 통해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상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인식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상기 도 6은 도 5에서 두 개의 검색영역으로 분류된 심볼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며, 상기 도 7은 도 5에서 바코드의 심볼을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부(140)를 통해 상기 종이로 인쇄된 바코드가 촬영되면, 상기 바코드 인식부(180)는 5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바코드의 외곽에 형성된 시작패턴을 통해 상기 촬영된 바코드의 위치를 판단하는 50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바코드의 위치가 정 위치이면, 상기 바코드 인식부(180)는 5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05단계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바코드의 위치가 정 위치가 아니면, 상기 바코드 인식부(180)는 상기 5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04단계에서 상기 바코드를 정 위치로 배치하기 위해 상기 바코드의 위치를 회전한 후 상기 50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바코드의 위치가 정 위치가 되면, 상기 바코드 인식부(180)는 상기 바코드의 정보패턴을 통해 상기 심볼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기본정보 즉, 데이터 종류, 바코드 종류 및 상기 심볼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의 크기를 추출하는 505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바코드 인식부(180)는 상기 심볼영역의 상측영역을 검색이동에 제한없는 제1 검색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심볼영역의 하측영역을 검색이동에 제한 있는 제2 검색영역으로 설정하는 50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1 검색영역은 0- 100 가로 심볼라인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검색영역은 101 - 마지막 가로 심볼라인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6은 제1 검색영역(601)과 제2 검색영역(602)으로 구분된 심볼영역(301)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506단계에서 제1 검색영역과 제2 검색영역이 설정되면, 상기 바코드 인식부(180)는 상기 심볼영역의 심볼을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5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바코드는 종이로 인쇄될 때 굴곡, 밀림, 비틀림 및 토너 번짐이 대량으로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굴곡, 밀림, 비틀림 및 토너 번짐이 발생된 바코드에서 정상적인 심볼을 검색하기 위해, 상기 507단계에서 상기 바코드 인식부(180)는 자동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상기 도 7을 통해 상기 자동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정상적인 심볼을 검색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바코드 인식부(180)는 가로 심볼라인 단위로 심볼을 검색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검색과정에서 상기 바코드 인식부(180)는 소정의 심볼위치(T)를 중심으로 상, 하, 좌 및 우 각각으로 한 픽셀씩 이동하고, 상기 이동된 4개의 심볼 위치(S1- S4)에 포함된 각각의 심볼에 대한 평균값을 추출한다. 하나의 심볼은 4개의 픽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바코드 인식부(180)는 상기 이동된 4개의 심볼위치(S1 - S4)에서 상, 하, 좌 및 우 각각으로 한 픽셀씩 이동하고, 상기 이동된 4개의 심볼위치(V1 - V3) 각각에 대한 심볼 존재유무에 따른 값을 추출한다. 이때 심볼이 존재하면 값은 “1”이고, 존재하지 않거나 심볼이 가질 수 있는 평균 값 이하이면 값은 “0”이 된다.
상기 바코드 인식부(180)는 상기 이동된 4개의 심볼위치(S1 - S4)중 상기 평균 값과 상기 심볼존재 유무에 따른 값을 더 했을 때 가장 큰 값을 가지는 심볼 위치(S2)의 심볼을 검색하면서 상기 데이터를 추출한다.
상기와 같이 자동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심볼을 검색하는 과정은 상기 제2 검색영역에서는 심볼검색을 위한 검색이동에 제한을 두며, 그 제한은 상하로 1 심볼라인으로 제한 할 수 있다.
DPI가 높을수록 즉 저장용량이 클수록 심볼영역의 시작지점을 정확히 찾기가 어렵기 때문에, 심볼영역의 상기 바코드에 형성된 시작패턴을 통해 심볼영역의 시작지점을 찾은 후 다시 정확한 시작지점을 찾기 위해, 상기 자동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심볼을 검색할 때, 상기 심볼영역의 상기 제1 검색영역에서는 심볼검색을 위한 검색이동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기 507단계에서 심볼검색을 통해 데이터가 추출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505단계에서 추출된 데이터의 기본정보와 함께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하는 507단계를 진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를 생성하고 인식하는 구성을 모두 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바코드를 생성하는 장치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뿐만 아니라 상기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광학센서를 구비하는 웹캠, 디지털카메라 및 스캐너등과 같은 모든 장치에서 상기 바코드를 인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70: 바코드 생성부, 180: 바코드 인식부, 130:메모리

Claims (18)

  1.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바코드를 데이터가 저장되는 심볼영역과 상기 바코드의 위치 및 상기 심볼영역의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패턴영역으로 구성하고, 상기 심볼영역에 복수의 에러정정블록들을 배치할 때 상기 복수의 에러정정블록들 중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에러정정블록들의 위치를 서로 연관시켜서 저장하는 바코드 생성부와,
    상기 바코드의 패턴영역을 통해 상기 바코드의 위치 및 상기 심볼영역의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심볼영역의 심볼을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바코드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생성부는,
    상기 바코드의 외곽에 시작패턴과 정보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패턴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시작패턴은 상기 바코드의 상측 양 끝 각각과 상기 바코드의 우측 하단에 구성하며, 상기 정보패턴은 상기 심볼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의 종류, 상기 바코드의 종류 및 상기 심볼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의 크기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에러정정블록들을 심볼의 종류에 따라 복수그룹으로 구성하고, 각각의 동일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에러정정블록들 간의 위치를 서로 연관시켜 저장하면서 상기 복수의 에러정정블록들을 상기 심볼영역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생성부는,
    상기 심볼영역에 상기 에러정정블록이 배치되면, 상기 배치된 에러정정블록이 속하는 가로 및 세로 심볼라인과 상기 배치된 에러정정블록을 기준으로 일정 심볼영역에, 상기 배치된 에러정정블록이 속하는 동일그룹의 에러정정블록을 배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생성부는,
    상기 심볼영역에 배치된 소정의 에러정정블록에 오류가 발생되면, 상기 오류가 발생된 에러정정블록에 속하는 동일그룹의 복수의 에러정정블록을 통해 상기 오류가 발생된 에러정정블록을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인식부는,
    촬영된 바코드의 패턴영역에서 시작패턴을 통해 상기 바코드를 정 위치로 배치하고, 상기 패턴영역에서 정보패턴을 통해 상기 심볼영역의 데이터 종류, 상기 바코드의 종류 및 상기 심볼영역의 데이터 크기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인식부는,
    상기 바코드의 심볼영역을 심볼의 검색을 위한 이동에 제한이 없는 제1 검색영역과 심볼의 검색을 위한 이동에 제한이 있는 제2 검색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심볼영역의 제1 검색영역과 상기 제2 검색영역에서 심볼을 검색하면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인식부는,
    상기 제2 검색영역에서 심볼의 검색을 위한 이동을 수행할 때, 상측과 하측으로 1 심볼 라인으로 제한하면서 상기 제2 검색영역에 포함된 심볼들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인식부는,
    상기 심볼영역에서 소정의 심볼위치를 중심으로 상, 하, 좌 및 우 각각으로 한 픽셀씩 이동하고, 상기 이동된 4개의 심볼위치(제1 심볼 위치 - 제4 심볼 위치)에 포함된 각각의 심볼의 픽셀 값에 대한 평균값을 추출하며; 상기 이동된 4개의 심볼위치(제1 심볼 위치 - 제4 심볼 위치)에서 상, 하, 좌 및 우 각각으로 한 픽셀씩 이동하며, 상기 이동된 4개의 심볼위치(제1-1 심볼 - 제4-1 심볼) 각각에 대한 심볼 존재유무에 따른 값을 추출하며; 상기 이동된 4개의 심볼위치(제1 심볼 위치 - 제4 심볼 위치)중 상기 평균 값과 상기 심볼존재 유무에 따른 값을 더 했을 때 가장 큰 값을 가지는 심볼 위치의 심볼을 검색하여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0.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심볼영역과 상기 바코드의 위치 및 상기 심볼영역의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패턴영역으로 구성된 바코드를 구성하고, 상기 심볼영역에 복수의 에러정정블록을 배치할 때 상기 복수의 에러정정블록들 중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에러정정블록들간의 위치를 서로 연관시켜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바코드의 패턴영역을 통해 상기 바코드의 위치 및 상기 심볼영역의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심볼영역의 심볼을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바코드 인식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과정에서,
    상기 패턴영역은 시작패턴과 정보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바코드의 외곽에 구성하고, 상기 시작패턴은 상기 바코드의 상측 양 끝 각각과 상기 바코드의 우측 하단에 구성하며, 상기 정보패턴은 상기 심볼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의 종류, 상기 바코드의 종류 및 상기 심볼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의 크기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에러정정블록들을 심볼의 종류에 따라 복수그룹으로 분류하여 구성하는 과정과,
    동일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에러정정블록들 간의 위치를 서로 연관시켜 저장하면서 상기 복수의 에러정정블록들을 상기 심볼영역에 배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심볼영역에 상기 복수의 에러정정블록이 배치되면, 상기 배치된 에러정정블록이 속하는 가로 및 세로 심볼라인과 상기 배치된 에러정정블록을 기준으로 일정 심볼영역에, 상기 배치된 에러정정블록이 속하는 동일그룹의 에러정정블록을 배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방법.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심볼영역에 배치된 소정의 에러정정블록에 오류가 발생되면, 상기 오류가 발생된 에러정정블록에 속하는 동일그룹의 복수의 에러정정블록을 통해 상기 오류가 발생된 에러정정블록을 복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방법.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인식 과정은,
    상기 바코드가 촬영되면, 상기 촬영된 바코드의 패턴영역에서 시작패턴을 통해 상기 바코드를 위치를 판단하여 정위치로 배치하는 과정과,
    상기 패턴영역에서 정보패턴을 통해 상기 심볼영역의 데이터 종류, 상기 바코드의 종류 및 상기 심볼영역의 데이터 크기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방법.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인식 과정은,
    상기 바코드의 심볼영역을 심볼들의 검색을 위한 이동에 제한이 없는 제1 검색영역과 심볼들의 검색을 위한 이동에 제한이 있는 제2 검색영역으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검색영역과 상기 제2 검색영역으로 구분된 상기 심볼영역에서 심볼을 검색하면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색영역에서 심볼의 검색을 위한 이동을 수행할 때, 상측과 하측으로 1 심볼 라인 제한하면서 상기 제2 검색영역에 포함된 심볼들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은,
    상기 심볼영역에서 소정의 심볼위치를 중심으로 상, 하, 좌 및 우 각각으로 한 픽셀씩 이동하고, 상기 이동된 4개의 심볼위치(제1 심볼 위치 - 제4 심볼 위치)에 포함된 각각의 심볼의 픽셀 값에 대한 평균값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된 4개의 심볼위치(제1 심볼 위치 - 제4 심볼 위치)에서 상, 하, 좌 및 우 각각으로 한 픽셀씩 이동하고, 상기 이동된 4개의 심볼위치(제1-1 심볼 - 제4-1 심볼) 각각에 대한 심볼 존재유무에 따른 값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된 4개의 심볼위치(제1 심볼 위치 - 제4 심볼 위치)중 상기 평균 값과 상기 심볼존재 유무에 따른 값을 더 했을 때 가장 큰 값을 가지는 심볼 위치의 심볼을 검색하여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방법.
KR1020110056270A 2011-06-10 2011-06-10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KR101753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270A KR101753914B1 (ko) 2011-06-10 2011-06-10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US13/492,121 US8857726B2 (en) 2011-06-10 2012-06-08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recognizing barcode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270A KR101753914B1 (ko) 2011-06-10 2011-06-10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006A KR20120137006A (ko) 2012-12-20
KR101753914B1 true KR101753914B1 (ko) 2017-07-05

Family

ID=47292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270A KR101753914B1 (ko) 2011-06-10 2011-06-10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57726B2 (ko)
KR (1) KR1017539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78336A1 (en) * 2013-03-27 2016-03-17 Denso Wave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image-included two dimensional code
KR20210014468A (ko) 2019-07-30 2021-02-09 김도현 쇼핑벨 - 바코드인식 기능, 제품 검색과 제품 추천 기능, qr코드 생성 및 결제 기능, 진동 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포함한 쇼핑 서비스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330B1 (ko) * 2004-04-21 2006-03-30 에이디정보통신 주식회사 색상 보정이 가능한 대용량 2차원 칼라 바코드인코딩/디코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82243B1 (ko) 2004-12-02 2007-02-1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3차원 리드-솔로몬 코드의 오류정정 방법
US7337970B2 (en) * 2004-12-03 2008-03-04 Symbol Technologies, Inc. Barcode scanner decoding
WO2006078359A1 (en) * 2004-12-03 2006-07-27 Symbol Technologies, Inc. Bar code scanner decoding
CA2717682A1 (en) * 2008-01-29 2009-08-06 Veritec, Inc. Two-dimensional symbol and method for rea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006A (ko) 2012-12-20
US20120312878A1 (en) 2012-12-13
US8857726B2 (en)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4930B2 (en) Decoding 1D-barcodes in digital capture systems
US7950589B2 (en) Program, information storage medium, two-dimensional code generation system, image generation system and printed material
US8948445B2 (en) Embedding visual information in a two-dimensional bar code
US9024799B2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nd data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414524B1 (ko) 복호 특성이 우수하며 단계별 에러레벨조정이 가능한2차원 코드 및 그 코드의 인코딩 디코딩 방법
CN101609283B (zh) 图像处理装置及图像处理方法
JP4410231B2 (ja) イメージコードの生成装置及びその方法とイメージコードのデコーディング装置及びその方法
CN102687404A (zh) 用于数据压缩的数据值出现信息
US9342714B2 (en) Method for reproducing and using a bar code symbol
CN102821278A (zh) 远程桌面图像传输方法及系统
Victor Enhancing the data capacity of QR codes by compressing the data before generation
CN109063068B (zh) 一种图片检索方法和装置
Zhang et al. Aesthetic QR codes based on two-stage image blending
CN102224727A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和程序
JP6070568B2 (ja) 特徴量符号化装置、特徴量符号化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5391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바코드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EP24822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ding matrix code symbol
TWI567654B (zh) 圖像條碼編碼方法、圖像條碼解碼方法、圖像條碼編碼裝置及圖像條碼解碼裝置
KR102578027B1 (ko) 개선된 이미지 워터 마킹
CN110781185B (zh) 一种文本文件内容像素化转换及还原方法
JP2007304890A (ja) 2次元コードの読取り方法、及び、電子文書作成装置
US20220092721A1 (en) Improved image watermarking
US2023018588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watermarking documents
JP2002117373A (ja) アドレス自動入力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通信端末装置
US101526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2D barcode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2D barcode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