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003B1 -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 Google Patents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003B1
KR101753003B1 KR1020160066283A KR20160066283A KR101753003B1 KR 101753003 B1 KR101753003 B1 KR 101753003B1 KR 1020160066283 A KR1020160066283 A KR 1020160066283A KR 20160066283 A KR20160066283 A KR 20160066283A KR 101753003 B1 KR101753003 B1 KR 101753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ontophoresis
skin
delete delete
p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해
전소하
Original Assignee
에이비지노쓰아시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지노쓰아시아(주) filed Critical 에이비지노쓰아시아(주)
Priority to KR1020160066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61N1/0496Patch electrodes characterised by using specific chemical compositions, e.g. hydrogel compositions,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2Ioni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물질의 피부 투입을 위한 이온토포레시스 패치에 있어서, 전기 전도를 위하여 카본 잉크로 인쇄된 격자무늬를 포함하는 섬유층(fabric sheet layer); 상기 섬유층의 일면에 결합되고, 피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점착력이 있는 겔형(Gel Type)의 시트층; 및상기 섬유층의 타면에 결합되고, 상기 타면에 배치되는 디바이스 헤드에 구비된 자석과 자력에 의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패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IONTOPHORESIS PATCH AND IONTOPHORESIS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에 전류를 흘려 화장품이나 약물 등의 흡수를 증가시키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화장품을 피부에 바르게 되면 피부 상층의 표피는 화장품을 독소로 인지하고 분자 크기, 생체 특성 및 생화학현상 등의 영향으로 화장품의 흡수를 방해하기 때문에 피부에 실질적으로 흡수되는 화장품의 양은 매우 적다.
이에, 피부에서의 화장품이나 약물 등의 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은 피부에 미세한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하를 가진 약물이나 화장품에 포함된 유효성분이 전기 반발력에 의해 피부로 침투되게 하는 방법이다.
피부로의 물질 흡수를 증대시키는 방법으로 흡수 촉진제나 프로드럭(prodrug)화를 이용하여 약물이나 피부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바꾸어 약물의 침투를 촉진시키는 방법도 있으나, 이온토포레시스는 피부의 전기적인 환경을 강제로 바꾸어 기존의 방법보다 훨씬 더 능동적으로 약물 침투를 증대시키는 방법이면서도 인젝션(injection)보다는 훨씬 덜 침습적인 약물투여방법이다.
특히,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하여 피부 미백 효능 물질을 비타민C를 피부에 흡수시켜 기미를 개선하는 방법은 현재 피부과 병원에서도 사용되고 있으며 기미 치료에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는 전류를 공급하는 디바이스와 디바이스에 결합되어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패치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디바이스와 패치의 결합을 위해서 별도의 커넥터가 요구된다.
또한, 패치는 점착력 있는 겔 시트와 이를 고정하는 부직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부직포는 일반적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아, 디바이스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피부로 전달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디바이스와 패치의 결합방식 및 부직포를 통한 전류 전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2034호(2012. 10. 10 등록, 이온토포레시스 패치)가 있다.
본 발명은 전류를 공급하는 디바이스에 패치가 자력에 의하여 아주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는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부직포에 카본 잉크로 인쇄된 격자무늬를 형성하여 부직포에 전류 전도성을 부여한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활성물질의 피부 투입을 위한 이온토포레시스 패치에 있어서,
전기 전도를 위하여 카본 잉크로 인쇄된 격자무늬를 포함하는 섬유층(fabric sheet layer);
상기 섬유층의 일면에 결합되고, 피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점착력이 있는 겔형(Gel Type)의 시트층; 및
상기 섬유층의 타면에 결합되고, 상기 타면에 배치되는 디바이스 헤드에 구비된 자석과 자력에 의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패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기 섬유층의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섬유층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되는 카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는 자성을 띠는 SUS(Steel Use Stainles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층은 부직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자성체를 상기 섬유층에 결합하기 위한 전도성 테잎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층은 비타민 C의 유도체인 AA2G의 피부 흡수를 도와주는 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스터는 BIS-ETHOXYDIGLYCOL CYCLOHEXANE 1,4-DICARBOXY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활성물질의 피부 투입을 위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자석을 구비하여 자력에 의하여 각각의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패치가 탈부착되는 한 쌍의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헤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토포레시스 패치는,
전기 전도를 위하여 카본 잉크로 인쇄된 격자무늬를 포함하는 섬유층(fabric sheet layer); 및
상기 섬유층의 일면에 결합되고, 피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점착력이 있는 겔형(Gel Type)의 시트층;
상기 섬유층의 타면에 결합되고, 상기 자석과 자력에 의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섬유층의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섬유층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되는 카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는 자성을 띠는 SUS(Steel Use Stainles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층은 부직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자성체를 상기 섬유층에 결합하기 위한 전도성 테잎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층은 비타민 C의 유도체인 AA2G의 피부 흡수를 도와주는 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스터는 BIS-ETHOXYDIGLYCOL CYCLOHEXANE 1,4-DICARBOXYLATE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는,
단면이 원형상으로, 전극을 포함하여 상기 패치에 전류를 전달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중앙에 삽입된 자석;
상기 메인바디 둘레에 기설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날개; 및
상기 복수의 날개 중 어느 하나의 날개에 형성되어 상기 패치 및 상기 피부를 통과한 전류가 되돌아오는 리턴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날개는 3개의 날개일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라운드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라운드 바의 단부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활성물질의 피부 투입을 위한 이온토포레시스 패치에 있어서,
전기 전도를 위하여 카본 잉크가 인쇄된 섬유층(fabric sheet layer);
상기 섬유층의 일면에 결합되고, 피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점착력이 있는 겔형(Gel Type) 시트층; 및
상기 섬유층의 타면에 결합되고, 상기 타면에 배치되는 디바이스 헤드에 구비된 자석과 자력에 의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패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활성물질의 피부 투입을 위한 이온토포레시스 패치에 있어서,
전기 전도를 위하여 카본 잉크에 침지된 섬유층(fabric sheet layer);
상기 섬유층의 일면에 결합되고, 피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점착력이 있는 겔형(Gel Type) 시트층; 및
상기 섬유층의 타면에 결합되고, 상기 타면에 배치되는 디바이스 헤드에 구비된 자석과 자력에 의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패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이용하면, 자력을 이용하여 패치를 디바이스로부터 아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직포에 카본 잉크로 인쇄된 격자 무늬를 형성함으로써 전류가 통하지 않는 부직포에 전도성을 부여하여 이온토포레시스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패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이온토포레시스 패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헤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온포토레시스 방법은 피부에 미세한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하를 가진 약물이나 화장품에 포함된 유효성분이 전기 반발력에 의해 피부로 침투되게 하는 방법이다.
이온토포레시스 패치를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함으로써, 피부에 전위차를 주게 되어 피부의 전기적 환경을 변화시켜 이온성 물질의 피부 투과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세히 말하면, 직류전류의 이온영동을 통해 진피 내 멜라닌 세포층에 이온 가능한 에센스를 투입하여 피부에 대한 미백효과 및 재생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피부에 비타민 C가 투입되면, 피부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인 색소침착의 억제, 피부세포의 활성화, 미백, 및 여드름 흉터 재생 등을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및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패치(1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이온토포레시스 패치(100)의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패치(100)는 섬유층(110), 겔형 시트층(120), 및 자성체(130)를 포함한다.
섬유층(110)은 겔형 시트층(12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전기전도도가 없다. 이러한 섬유층(110)에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카본 잉크로 격자무늬(F)를 인쇄한다. 카본 격자무늬(F) 인쇄는 섬유층(110)에 격자무늬(F)로 먼저 골을 형성한 다음, 형성된 골에 카본 잉크를 부어 채우면 섬유층(110)에 격자무늬(F)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격자무늬(F)는 폭과 간격이 좁을수록 전기 전도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카본 잉크는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을 이용하여 이온성 물질을 피부에 침투시킬 때 요구되는 전류의 흐름을 돕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을 통한 피부 미용에서는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된 전류가 피부로 전달되어야 하는데, 전류의 이동통로에 전기전도성이 없는 섬유층(110)이 존재하는 경우, 전류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섬유층(110)에 전기전도성이 있는 격자무늬(F)의 카본 잉크를 인쇄하여 섬유층(110)에 전기전도성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섬유층(110)에 전기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 섬유층(110) 전체를 카본 잉크에 침지할 수도 있다. 섬유층(110) 전체를 침지하여 섬유층(110) 전체에 카본 잉크가 스며들게 하여 전기전도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섬유층(110)의 상면 및 하면에 카본을 인쇄할 수도 있다. 섬유층(110) 상면 및 하면에 인쇄된 카본을 압착하면 상/하면의 카본이 서로 만나 섬유층(110)을 통과하여 전류가 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섬유층(110)은 부직포층을 포함할 수 있다. 피부에 투입하기 위한 에센스 등의 활성물질은 부직포에 투입될 수 있다. 이렇게 부직포에 투입된 활성물질은 부직포 전체에 퍼지고, 결국 겔형 시트층(120)에 활성물질이 전달되어 도포된다.
이렇게 섬유층(110)에 형성된 카본 격자무늬(F)는 상하에 높이는 카본층(140)에 의하여 압착되어 전류 흐름의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겔형 시트층(120)은 섬유층(110)의 일면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겔형 시트층(120)은 바람직하게는 섬유층(110)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겔형 시트층(120)에 에센스 등의 활성물질이 직접 투입될 수 있다.
활성물질을 또한 피부에 직접 바를 수도 있다. 눈 밑의 광대뼈 부근에 활성물질을 직접 바르고, 그 위에 패치를 붙여서 전류를 흐르게 하여 피부 속으로 활성물질이 투여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겔형 시트층(120)은 점착력이 있는 것으로서, 겔형 시트층(120)과 섬유층(110)은 겔형 시트층(120)의 점착력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다만, 점착력이 부족한 경우, 부착물질이 추가될 수도 있다. 부착물질이 추가되면 겔형 시트층(120)과 섬유층(110)의 결합은 더욱 견고해 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겔형 시트층(120)의 점착력은 이온토포레시스 패치(100)를 피부에 부착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피부미용을 위하여 패치를 얼굴에 부쳐 일정시간동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겔형 시트층(120)은 AA2G의 피부 흡수를 도와주는 부스터 BIS-ETHOXYDIGLYCOL CYCLOHEXANE 1,4-DICARBOXYLATE를 포함할 수 있다. AA2G는 비타민 C의 유도체이다. 이러한 비타민 C의 유도체의 피부흡수를 도와주는 일종의 부스팅 원료로서 BIS-ETHOXYDIGLYCOL CYCLOHEXANE 1,4-DICARBOXYLATE를 겔형 시트층(120)에 포함함으로써, 비타민 C의 피부 흡수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BIS-ETHOXYDIGLYCOL CYCLOHEXANE 1,4-DICARBOXYLATE는 물과 오일에 모두 용해되는 양친성 성분으로서 AA2G의 피부 투과 향상에 매우 효과적임이 실험을 통해 밝혀졌다.
자성체(130)는 섬유층(110)을 중심으로 겔형 시트층(120)이 결합된 섬유층(110)의 일면과 반대되는 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자성체(130)는 디바이스 헤드에 구비된 자석(102)과 자력에 의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자석(102)과 자성체(130)를 통한 자력에 의하여 디바이스 헤드와 자성체(130)를 포함한 패치 전체가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디바이스 헤드에서 패치를 매우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자성체(130)는 자성을 띠는 SUS일 수 있다. 자성체(130)를 SUS로 구성함으로써, 녹이 쓸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자성체(130)를 섬유층(110)에 결합하기 위한 전도성 테잎(1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테잎(131)은 상부에서 자성체(130)를 덮어 섬유층(110)에 고정결합시킬 수 있다. 테잎이 전도성을 갖으므로, 전류의 흐름에도 방해가 없게 된다.
결국, 패치와 디바이스 헤드의 결합에 있어서 부가적인 커넥터가 필요없이, 패치의 자성체(130)와 디바이스 헤드의 자석(102)을 통하여 매우 용이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자력보다 큰 힘을 가함으로써, 디바이스 헤드에서 패치를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패치(100)는 섬유층(110)의 상하면에 카본층(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섬유층(110)을 카본 잉크에 침지하여 제조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된 2개의 카본층(140)을 섬유층(110)의 상하에 배치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섬유층(110)의 상면과 하면에 카본층(140)을 배치하고 이를 압착함으로써, 각각의 카본층(140)이 섬유층(110)에 인쇄된 카본 격자무늬(F)와 연결되어 전류의 이동루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섬유층(110)의 상면과 하면에 카본층(140)을 모두 배치하여 디바이스 헤드로부터의 전류가 상면의 카본층(140), 섬유층(110) 내의 격자무늬(F) 카본, 및 하면의 카본층(140)을 거쳐 겔형 시트층(120)을 지나 피부로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10)를 사용자(P)가 착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1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10)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10)는 이온토포레시스 패치(100), 한 쌍의 헤드부(11), 및 전원부(12)를 포함한다. 이때 이온토포레시스 패치(100)는 앞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헤드부(11)는 메인바디(101), 자석(102), 복수의 날개(103), 및 리턴전극(104)을 포함한다.
메인바디(101)는 단면이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전극을 포함하여 전원부(12)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이온토포레시스 패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메인바디(101)의 중앙에는 자석(102)이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메인바디(101)와 이온토포레시스 패치(100)가 자력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메인바디(101)의 자석이 삽입된 면의 반대 면에는 미세진동모터(M)가 부착되어 이온토포레시스 패치(100)에 미세진동을 전달하여 활성물질의 피부투입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메인바디(101)의 둘레를 따라서 복수의 날개(103)가 결합된다. 복수의 날개(103)는 일정간격이격되어 메인바디(101)에 결합한다. 이때 복수의 날개(103) 각각은 메인바디(101)와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10)의 헤드부(1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날개(103) 각각은 상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메인바디(101)에 결합되어, 헤드부(11)를 사용자(P)의 얼굴에 고정하는 것을 돕는다.
헤드부(11)와 자력으로 결합된 이온토포레시스 패치(100)의 점착력 있는 겔형 시트층(120)에 의하여 헤드부(11)도 얼굴의 일정부위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을 보면 이러한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즉, 날개(103)를 아래로 접어 사용자(P)의 얼굴에 붙여, 헤드부(11)가 사용자(P)의 얼굴에 고정되는 것을 돕는다. 그리고, 헤드부(11)의 날개(103)를 위로 접어 올리고, 헤드부(11)에 자력이상의 힘을 가하여 헤드부(11)를 패치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헤드부(11)의 복수의 날개(103)는 헤드부(11)와 패치와의 결합, 나아가 헤드부(11)와 사용자(P)의 얼굴과의 결합을 보조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때 복수의 날개(103)는 3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삼각대의 다리처럼 3개의 날개(103)로 이루어져 헤드부(11)를 피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헤드부(11)는 패치부착부분(M1)과 패치부착되지 않는 부분(M2)으로 나누어진다. 즉 헤드부(11)의 패치부착부분(M1)에만 패치가 부착되는 것이다. 이때, 패치부착되지 않는 부분(M2)에 위치하는 날개(103)에 리턴전극(104)이 형성되어 있다.
리턴전극(104)은 복수의 날개(103) 중 패치부착되지 않는 부분(M2)에 위치하는 날개(103)에 형성되어 메인바디(101)를 통하여 패치에 전달되어 피부에 공급된 전류가 다시, 되돌아오는 루트를 제공하게 된다.
즉, 전류의 흐름은 전원부(12)에서 공급되어, 헤드부(11)의 메인바디(101)를 거쳐, 패치를 통과하여 피부에 전달되었다가, 다시 리턴전극(104)을 통하여 전원부(12)로 되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전원부(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P)의 목에 걸 수 있도록 라운드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사용자(P)가 본 발명에 따른 이온토포레시스 장치(10)를 이용하는 경우, 전원부(12)를 사용자(P)의 목에 걸어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때, 라운드 바의 단부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버튼(121)이 형성되어, 사용자(P)는 전원버튼(121)을 눌러 이온토포레시스 장치(1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온토포레시스 장치(10)가 얼굴에 주로 사용되는 것을 고려하면, 라운드 바 형상의 전원부(12)를 통하여 사용자(P)는 이러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10)를 목에 걸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110: 섬유층
F: 격자무늬
120: 겔형 시트층
130: 자성체
131: 전도성 테잎
140: 카본층
P: 사용자
10: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M: 미세진동모터
M1: 패치부착부분
M2: 패치부착되지 않는 부분
11: 헤드부
101: 메인바디
102: 자석
103: 날개
104: 리턴전극
12: 전원부
121: 전원버튼

Claims (19)

  1. 활성물질의 피부 투입을 위한 이온토포레시스 패치에 있어서,
    전기 전도를 위하여 카본 잉크로 인쇄된 격자무늬를 포함하는 섬유층(fabric sheet layer);
    상기 섬유층의 일면에 결합되고, 피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점착력이 있는 겔형(Gel Type) 시트층; 및
    상기 섬유층의 타면에 결합되고, 상기 타면에 배치되는 디바이스 헤드에 구비된 자석과 자력에 의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층의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섬유층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되는 카본층을 더 포함하여, 상기 디바이스 헤드로부터의 전류가 상면의 카본층, 상기 격자무늬, 및 하면의 카본층을 지나 상기 겔형 시트층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자성을 띠는 SUS(Steel Use Stainles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은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를 상기 섬유층에 결합하기 위한 전도성 테잎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형 시트층은 비타민 C의 유도체인 AA2G의 피부 흡수를 도와주는 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터는 BIS-ETHOXYDIGLYCOL CYCLOHEXANE 1,4-DICARBOXYL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60066283A 2016-05-30 2016-05-30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KR101753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283A KR101753003B1 (ko) 2016-05-30 2016-05-30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283A KR101753003B1 (ko) 2016-05-30 2016-05-30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157A Division KR101753025B1 (ko) 2017-03-28 2017-03-28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003B1 true KR101753003B1 (ko) 2017-07-03

Family

ID=59357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283A KR101753003B1 (ko) 2016-05-30 2016-05-30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0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509B1 (ko) * 2018-02-28 2018-05-28 (주)피앤씨산업 전기 마스크팩 세트
WO2019050240A1 (ko) * 2017-09-07 2019-03-14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포함하는 엑소좀 키트의 새로운 용도
KR20190103910A (ko) * 2018-02-28 2019-09-05 (주) 피앤씨랩스 전기 마스크팩 세트
KR20190106265A (ko) * 2018-03-08 2019-09-18 주식회사 코코즈 손가락을 이용한 피부미용 약물 투입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7368B2 (ja) * 2000-04-19 2005-11-16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電極
JP2014054421A (ja) * 2012-09-13 2014-03-27 Dainippon Printing Co Ltd 生体用電極、その製造方法及びイオントフォレシス装置
KR101559341B1 (ko) * 2015-04-27 2015-10-12 (주)와이브레인 전기 자극 장치 및 교체형 패치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7368B2 (ja) * 2000-04-19 2005-11-16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電極
JP2014054421A (ja) * 2012-09-13 2014-03-27 Dainippon Printing Co Ltd 生体用電極、その製造方法及びイオントフォレシス装置
KR101559341B1 (ko) * 2015-04-27 2015-10-12 (주)와이브레인 전기 자극 장치 및 교체형 패치 유닛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240A1 (ko) * 2017-09-07 2019-03-14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포함하는 엑소좀 키트의 새로운 용도
KR101861509B1 (ko) * 2018-02-28 2018-05-28 (주)피앤씨산업 전기 마스크팩 세트
KR20190103910A (ko) * 2018-02-28 2019-09-05 (주) 피앤씨랩스 전기 마스크팩 세트
KR102304634B1 (ko) 2018-02-28 2021-09-27 주식회사 피앤씨랩스 전기 마스크팩 세트
KR20190106265A (ko) * 2018-03-08 2019-09-18 주식회사 코코즈 손가락을 이용한 피부미용 약물 투입 장치
KR102229264B1 (ko) 2018-03-08 2021-03-18 주식회사 코코즈 손가락을 이용한 피부미용 약물 투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003B1 (ko)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AU2002363106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ed delivery of active substance into the skin
US8343147B2 (en) Electrolytic tissue treatment
KR200403033Y1 (ko) 피부팩용 휴대형 피부미용기기
KR100646643B1 (ko) 복합 구조 및 여자기 헤드를 포함하는 처리 키트, 전기적 여자기 및 이를 이용한 미용 처리 방법
KR101740950B1 (ko) 니들을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
KR20160135792A (ko) 조합된 음파 및 이온영동 스킨 케어 디바이스
US20190083781A1 (en) Iontophoretic systems, kits and methods for transdermal delivery of cosmetic agents
US20050234516A1 (en) Treatment kit, composite structure, electric exciter, and cosmetic treatment method
WO2016016015A1 (en) Multi-electrode flexible electric mask
KR102415592B1 (ko) 경피 유체 전달을 위한 기구 및 방법
WO2006124639A1 (en) Permeabilization of biological membranes
WO2020224664A1 (zh) 离子电渗透的给药装置
KR101139956B1 (ko) 기미?주름?미백 관리를 위한 초미세 진동 마사지기
KR101753025B1 (ko)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KR101793532B1 (ko) 블랙헤드 제거기
CN114733061A (zh) 微针贴剂以及促渗装置
US20210085945A1 (en) Non-invasive Transportation Method
CN218529538U (zh) 微针贴剂以及促渗装置
KR100899100B1 (ko) 피부 관리기
KR102072516B1 (ko) 피부 치료용 마우스 피스 및 전기 에너지를 이용한 피부 치료 장치
KR20110037112A (ko) 경피 약물 전달 장치 및 방법
JP2018042886A (ja) 携帯型イオン導入デバイス
KR20090090057A (ko) 갈바닉 이온도입 기능을 갖는 화장품용기
KR20230109892A (ko) 미세전류가 흐르는 마스크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