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603B1 - Plant frame with active water supplying system - Google Patents
Plant frame with active water supply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2603B1 KR101752603B1 KR1020160115054A KR20160115054A KR101752603B1 KR 101752603 B1 KR101752603 B1 KR 101752603B1 KR 1020160115054 A KR1020160115054 A KR 1020160115054A KR 20160115054 A KR20160115054 A KR 20160115054A KR 101752603 B1 KR101752603 B1 KR 1017526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unit
- water supply
- switch
- error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 Y02P60/24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아있는 다양한 식물을 생육하는 액자로서, 공기 중의 습도 또는 저수된 물의 잔류량에 따라 연동하는 능동형 급수 시스템을 기반으로 식재된 식물의 원활한 생육과 함께 실내 공간의 습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식재되는 식물의 종류와 모양 또는 색상의 배치 등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식물액자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식물(74)의 식재를 위한 식재부(70), 상기 식재부(7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저장된 물을 외부로 공급하는 급수부(10), 상기 식재부(7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급수부(10)를 통해 제공된 물을 저장하며 수위 검출을 위한 수위센서(23)를 갖춘 저수부(20), 상기 저수부(20)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부(10)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30), 상기 저수부(20)의 수위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수위 알림부(40), 외부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50), 및 자동 또는 수동으로 모드의 절환이 가능하고, 상기 습도센서(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펌프(30)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수위센서(2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수위 알림부(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rame for growing various living plants. It is based on an active water supply system interlocked with the humidity of the air or the residual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air, so as to smoothly grow planted plants and automatically adjust the humidity of the indoor space, And arranging the type, shape or arrangement of colors of plants to be plan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lan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anting section 70 for planting plants 74, a water supply section 10 for supplying water stored outside and located above the planting section 70, And a water level sensor (23) for storing water provided through the water supply part (10) and detecting a water level, a water level sensor (20) for detecting water level in the water level sensor A water level notification unit 40 for outputting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unit 20 to the outside, a humidity sensor 50 for measuring external humidity, and a mode switching unit for automatically or manually switching the mod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30 according to a signal inputted from the humidity sensor 5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ater level notification unit 40 according to a signal inputted from the water level sensor 23 And a control unit 60 for controll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살아있는 다양한 식물을 생육하는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중의 습도 또는 저수된 물의 잔류량에 따라 연동하는 능동형 급수 시스템을 기반으로 식재된 식물의 원활한 생육과 함께 실내 공간의 습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식재되는 식물의 종류와 모양 또는 색상의 배치 등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변경할 수 있는 식물액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을 식재하는 부위가 가지는 소재의 흡음 및 함수 특성을 매개로 실내 공간의 공기를 정화하고 최적의 정숙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식물액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for growing a variety of living pl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ame for growing living pl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automatically growing a planted plant based on an active water supply system interlocked with the humidity of the air or the residual amount of water stored therein, And the plant frame can be freely selected and changed in arrangement of the type, shape or color of the plant to be plant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frame that can purify the air of the indoor space and maintain the optimal quietness through the sound absorption and the water characteristic of the material having the planting site.
최근 급속하고 과밀한 도시화의 결과로 도시의 생태환경이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에서 크게 악화되고 있다. 도시의 생태환경 문제는 환경오염의 축적,도시생태계의 균형파괴,도시 기후변화로 요약할 수 있다.As a result of rapid and overcrowded urbanization in recent years,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the city has deteriorated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erms. Urban ecological problems can be summarized as accumula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balanced destruction of urban ecosystem, and urban climate change.
이 중에서 도시 생태계의 파괴는 도시 내 동식물 서식공간의 감소 및 오염,생물종의 감소, 더 나아가 생태계의 안정과 균형 파괴로 인한 복원력과 자생력의 상실로 이어진다. 도심의 생태환경을 악화시키는 근본적 원인은 녹지 공간의 감소이다.Among these, destruction of urban ecosystem leads to loss of resilience and self-destructiveness due to decrease in the flora and fauna of the city, pollution, reduction of species, further stabilization of ecosystem and destruction of equilibrium. The fundamental cause of worsening urban ecology is the reduction of green space.
이러한 녹지 공간의 감소로 인한 문제를 줄이기 위해 최근 녹지가 부족한 도시에서 대부분의 토지를 차지하고 있는 건축물, 토목 구조물 등을 녹지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자연공간이 아닌 인간의 도시 활동에 의하여 생겨나게 된 인공지반을 녹화하는 것을 인공지반 녹화라 한다.In order to reduce the problem caused by the decrease of the green space,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utilize the buildings and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occupying most of the land in the cities where the green space is lacking. Recording of artificial ground, which is created by human urban activities rather than natural space, is called artificial ground recreation.
인공지반이라고 할 수 있는 곳은 건축물이나 고가,주차장 상부,방음벽 등 인간에 의해 조성된 공간으로, 자연지반과 분리되어 있으므로 인위적으로 새로운 토양층을 만들어 녹화하여야 한다. 녹화된 인공지반은 자연상태의 녹지와 마찬가지로 주변의 동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건축물의 냉난방 에너지 소비를 절감시킴과 동시에 옥상의 축열 현상을 감소시켜 도시열섬 현상을 완화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외에 대기정화,산소발생,실내미기후 조절,소음경감 등도 인공지반 녹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혜택이다.The artificial ground is a space created by human beings such as a building, an elevator, a parking lot upper part, a soundproof wall, etc., and is separated from the natural ground, so a new soil layer should be artificially created and recorded. Recreated artificial grounds provide a space for the surrounding flora and fauna as well as the natural greenery. It also reduces energy consumption of heating and cooling of the buildings and reduces the accumulation of heat on the roof. can do. In addition, atmospheric purification, oxygen generation, indoor microclimate control, and noise mitigation are also benefits that can be gained through artificial ground greening.
인공지반 녹화의 구체적인 예로 옥상 녹화, 벽면 녹화, 가로 녹화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녹화 기술을 이용하여 인공 구조물의 표면을 식물로 피복하면 태양열을 차단함으로써 인공 구조물들의 환경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artificial ground greening are rooftop greening, wall greening, and horizontal greening. By using such a recording technology, the surface of the artificial structure can be covered with plants to reduce the environmental load of the artificial structures by blocking solar heat.
각종 인공 구조물의 녹화에 이용되는 식물로 최근 이끼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끼는 지구상에서 최초로 육상생활에 적응한 선태식물(bryophyte)로, 형태학상 줄기, 잎의 구별이 있거나, 편평한 엽상체로서 조직의 분화는 적고 헛뿌리가 있으며, 무성세대와 유성세대를 거친다.Recently, moss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plant used for greening various artificial structures. Moss is the first bryophyte to adapt to land life on the earth. It has morphologically stalks, leaves, or flat thallus, with fewer tissue differentiation, hollow roots, and a silent generation and a milky generation.
이끼는 산소 배출량이 뛰어나고, 탄소고정화 함률이 높다. 또 생태계를 복원, 회복, 개선시키는 효과, 건축물 보호 효과, 냉난방 에너지 절약 효과 등이 탁월하며, 특히 건조상태에 비해 실제 중량의 20배 이상 함수할 수 있어 우수의 저장능력이 뛰어나 이로 인한 증발산량 효과도 양호하다. 이러한 장점 이외에, 이끼는 강한 생장력으로 인해 수직면 생장이 비교적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수분 공급이 쉬워 다른 식물을 이용하는 것에 비해 유지 비용도 적게 들고, 벽면 녹화에 이상적이다.Moss has excellent oxygen emission and high carbon immobilization. In addition, it is excellent in restoration, restoration and improvement of ecosystem, protection of buildings, energy conservation effect of cooling and heating, and especially it can function more than 20 times of actual weight compared with dry state. Good. In addition to these advantages, moss can be grown relatively smoothly due to its strong growth power, easy to hydrate and less maintenance cost than using other plants, and is ideal for wall painting.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벽천으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84428호에 "액자형 벽천"이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등록특허 제10-0884428호의 벽천(500)은, 지면에 설치되는 하부 수조(510)와, 상부로 직립되어 설치되는 석재판(520)이 구비된다. 물 순환펌프(미도시됨)에 의하여 하부 수조(510)의 물이 석재판(520) 상부로 공급된 후 물흐름면(530)을 타고 흘러내려 하부 수조(510)에 집수되는 구조이다. 이때 하부 수조(510) 상부 전면으로 조명 램프 (540)의 빛이 석재판(520)의 전면을 조사하게 된다.1, a "framed wall dam" is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0884428. The wall 500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No. 10-0884428 has a lower water tank 510 installed on the ground and a stone plate 520 installed upright. The water in the lower water tank 510 is su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tone plate 520 by the water circulation pump (not shown) and then flows down on the water flow surface 530 and is collected in the lower water tank 510. At this time, the light of the illumination lamp 540 irradiates the front surface of the stone plate 520 to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lower water tank 510.
전술한 벽천(500) 구조에서는 물흐름면(530)을 따라 흐른 물이 하부 수조(510)에 들어가면서, 공기 중의 먼지도 함께 하부 수조(510)에 들어가기 때문에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물을 갈아주거나 하부 수조(510)를 청소해 주어야 하나, 하부 수조(510)가 상부의 석재판(5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하부 수조(51)로부터 물을 용이하게 퍼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water flowing along the water flow surface 530 enters the lower water tank 510 and the dust in the air also enters the lower water tank 510 so that the water is chang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water tank 510 needs to be cleaned. However, since the lower water tank 5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stone plate 520, water can not be easily poured from the lower water tank 51.
또한, 벽천(500) 구조에서는 물흐름면(530)을 따라 흐르는 물 일부가 순환되면서 자연 증발되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다시 물을 보충해주어야 하나, 사용자가 일일이 확인하면서 물을 채워줘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 부주의로 인해 물 보충이 적시에 이뤄지지 않을 경우 순환펌프는 공회전을 하게 되므로 순환펌프 손상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structure of the vane 500, since a part of water flowing along the water flow surface 530 is naturally evaporated, it is necessary to replenish the water after a certain time elapses. However, Therefore, it is inconvenient to use. In particular, when the water replenishment is not performed in a timely manner due to user's carelessness, the circulation pump is idled, and thus the circulation pump is damaged.
또한, 벽천(500) 구조는 물흐름면(530)이 불투명한 석재로 형성됨에 따라 단지 석재판(520)의 표면에만 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볼 수 있게 되어 벽천(500)으로 인한 실내 장식미가 단조로운 느낌을 주게 된다. 또한 석재판(520)이 수돗물 접촉에 의해 흰색으로 변색되는 백화현상이 발생되고, 표면에 물때가 달라붙어 수시로 석재판(520)의 표면 세척이 요구되는 문제점을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flow surface 530 is formed of an opaque stone, it is possible to see that the water flows only on the surface of the stone plate 520, so that the decorative effect of the wall 500 becomes monotonous It gives a feeling. In addition, whitening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stone plate 520 is discolored to white due to contact with tap water, and the surface of the stone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stone plate 520, thus requiring frequent cleaning of the surface of the stone plate 520.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12년 12월 03일자 출원번호 제10-2012-0139119호(발명의 명칭 : 벽면을 이용한 액자형 벽천 생태관)가 특허청에 출원된바 있으며, 청구범위는 "벽면을 이용한 액자형 벽천 생태관에 있어서: 건물의 실내 벽면에 설치되는 액자형 프레임; 상기 액자형 프레임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액자형 프레임의 하방에 설치되는 물 저장조로부터 펌프에 의해 순환되는 물이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분사파이프를 통해 분사되어 표면을 따라 항시 흘러내리도록 하는 벽천용 벽면; 상기 벽천용 벽면 표면에 밀착 또는 경사지게 고정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 표면에 일측면이 장착되며, 상기 벽천용 벽면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순환수 일부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유입 및 배출되도록 순환수 유입 및 배수구가 측면에 관통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식물이 식재되는 식물 식재용 포트; 상기 순환수 유입 및 배수구를 통해 상기 식물 식재용 포트에 유입되는 순환수에 의해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상기 식물 식재용 포트에 배양토를 구비하되, 상기 배양토로서 상기 식물 식재용 포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배수층을 형성하는 난석층과, 상기 난석층 위에 적층되어 수분을 유지하며 순환수 유입 및 배수구쪽으로 흙 배출을 방지하는 수태와, 상기 수태 위에 적층되어 식물 뿌리가 뻗어 내리도록 하는 토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을 이용한 액자형 벽천 생태관."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pplication No. 10-2012-0139119 of December 03, 2012 (the name of the invention: frame-type wall-hanging spring ecological building using wall) was filed with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Claims 1. A frame-type wall-mounted eco-pipe comprising: a frame-shaped frame installed on an indoor wall of a building, the water circulated by a pump installed in a space defined by the frame-shaped frame and provided below the frame- A fixed plate o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to be closely or slantly fixed to a surface of the wall surface, a side surface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fixed plate, A part of the circulating water flowing along the surface of the wall for the wall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A port for a planting plant in which a plant is planted and an upper part is opened so that a plant can be grown by the circulating water flowing into the planting pot port through the circulating water inflow and outflow port, A slurry layer provided on a pot for a planting material and having a culture soil as the culture soil, the slurry layer being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lanting pot port to form a drainage layer; And a soil layer laminated on the conception and allowing the plant roots to extend. "≪ 2 >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벽면을 이용한 액자형 벽천 생태관은 벽천용 벽면이 무거운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벽천용 벽면의 제조공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wall-mounted wall-mounted wall-mounted eco-pipe has a problem in that the wall for the wall is heav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all for the wall is complicated.
이로 인해, 종래의 벽면을 이용한 액자형 벽천 생태관의 구입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of purchasing a frame-type wall-mounted eco-pipe using a conventional wall surface increases.
특히, 살아있는 이끼의 느낌을 그대로 살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의 흐름에 따른 표면 색상이 변하거나 견고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Particular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eeling of living moss can not be retained as it i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lor of the surface changes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or the strength becomes poor.
또한, 실내공간에 대한 가습과 공기정화를 하거나 정서적 심취를 위해서 여러 종류의 화분을 키우거나 실내조경을 하며, 단조로운 벽면을 꾸미기 위하여 그림이나 사진을 액자 형태로 걸어 놓는 것이 일반화 되어 있다.In addition, it is common to hang pictures or photographs in the form of a picture frame to decorate a monotonous wall, to raise various kinds of pollen or to do indoor landscaping for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of the indoor space or for emotional exhaus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살아있는 다양한 식물을 생육하는 액자로서, 공기 중의 습도 또는 저수된 물의 잔류량에 따라 연동하는 능동형 급수 시스템을 기반으로 식재된 식물의 원활한 생육과 함께 실내 공간의 습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식재되는 식물의 종류와 모양 또는 색상의 배치 등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ame which grows various living plants. It is based on an active water supply system which is interlocked with the humidity of the air or the residual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air, And it is possible to freely select and change the type, shape or arrangement of colors of plants to be plant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즉, 본 발명은 이끼 등 살아있는 식물을 식생하는 액자형 급수 시스템을 제공하되, 급수 및 저수가 용이하도록 시설함과 더불어 고른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식재된 식물의 건강한 생육을 도모하고, 최적의 습도조절과 공기정화 및 다양한 데코레이션 기능을 구현하며, 액자의 외부면에 설치된 습도센서와 급수 펌프와의 연동 시스템을 구성하여 설치공간의 습도에 따라 의도한 급수량을 공급하여 자동적인 습도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ame-type watering system for vegetation of living plants such as moss, and is configured to provide watering and watering with ease so that even water can be supplied, thereby promoting healthy growth of planted plants, And air purifying and various decorating functions, and a system for interlocking with the humidity sensor and the water pump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is constructed to supply the intended water supply amount according to the humidity of the installation space, so that the automatic humidity control can be performed It has its purpose.
본 발명은 식물의 식재를 위한 식재부, 상기 식재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저장된 물을 외부로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식재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급수부를 통해 제공된 물을 저장하며 수위 검출을 위한 수위센서를 갖춘 저수부, 상기 저수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부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 상기 저수부의 수위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수위 알림부, 외부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 및 자동 또는 수동으로 모드의 절환이 가능하고,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수위 알림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재부는 함수성, 통수성, 건조성, 및 식재성을 갖춘 항균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having a planting part for planting a plant, a water supply part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planting part and supplying stored water to the outside, a water level sensor for stor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ing part, A water supply pump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portion to the water supply portion, a water level notification portion for outputting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portion to the outside, a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external humidit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in accordance with a signal input from the humidity senso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evel indicator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water level sensor, , Water permeability, dryness, and planting property.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급수부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급수로, 상기 급수로의 하부에 다수로 형성되는 급수홀, 및 상기 급수홀과 교호적으로 하향 배치되는 급수용 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용 튜브는 상기 식재부를 향해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지고, 출구측이 여러 개로 분지되는 관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unit may include a water supply passage for storing water, a water supply hol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a water supply tube disposed alternately downward from the water supply hole, Wherein the tube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toward the planting portion, and the outlet side is formed by a plurality of branch pipes.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저수부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용수 보충홀, 및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torage unit may include a water supply hole for receiving water from the outside, and a drain hole for discharging the stored water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식재부는 액자의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설치되는 묘판 플레이트, 상기 묘판 플레이트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식물을 식재하는 항균묘판, 상기 항균묘판의 전면에 설치되어 식재된 상기 식물을 지지하는 고정망, 및 상기 항균묘판에 고정되고 상기 식물을 걸이 형태로 식재하는 걸개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ing portion may include a base plate for supporting the frame, a plate plat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plate, an antimicrobial plate plac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for planting the plant, And a hanging pin fixed to the antibacterial trunk plate and configured to plant the plant in a hanger form.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묘판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다층 구조로서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돌출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rotruding line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s a multilayer structur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restle plat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항균묘판은 함수성, 통수성, 건조성, 및 식재성을 갖춘 항균 소재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microbial seedbed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bacterial seedbed plate is made of a nonwoven fabric of an antibacterial material having moisture, water permeability, dryness, and planting property.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걸개핀은 상기 항균묘판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결착부, 상기 항균묘판의 전면부에서 상기 결착부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분지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망에 걸려 지지되도록 자유단부가 상기 고정망을 향해 절곡되는 걸림부, 및 상기 결착부와 상기 걸림부 사이의 분지부위에서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기 식물을 꽂아 지지하는 꽂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ging pin may include a binding portion fixed through the antibacterial trunk plate, a free end formed so as to be branch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inding portion at the front portion of the antibacterial trunk plate, And a fixing part protruding upward from a branching part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engaging part and supporting the plant by inserting the plan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꽂이부는 상기 결착부와 상기 걸림부 사이의 분지부위에서 자유단부가 다수로 분할되어 외측을 향해 벌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g portion is formed such that a free end por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ree portions at a branch portion between the bind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and is opened toward the outsid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수부의 내부 수위가 일정 이하이면 에러상황을 파악하여 상기 수위 알림부를 통해 외부로 알람 경보를 출력하기 위한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키는 전원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에러신호 출력부, 상기 에러신호 출력부가 온 되면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승압된 교류 전류로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 상기 발진 트랜스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용 연결 스위치,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에 접점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치부를 온 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이 온 되면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의 전원 연결용 철편,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가 작동한 것을 중단시키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에러신호 출력용 연결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에러신호 출력용 연결 스위치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n error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for recognizing an error condition and outputting an alarm alarm to the outside through the level notification unit if the internal water level of the storage unit is below a certain level, An error signal output unit for switching a power supply circuit when a control signal is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and an oscillatio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as a boosted alternating current when the error signal output unit is turned on, A relay switch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oscillation transformer and turned on by an electrical supply; a relay switch installed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relay operation switching unit to generate a magnetic force; A first circuit connection performing a function to energize A connection switch for outputting an error signal which is supplied with power to the error signal output control unit while the iron strip is pulled by the relay switch to display an error signal, a circuit for making contact with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to turn on the power supply switch unit A wire for power connection of an error signal output control unit design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wire for operating the circuit and for connecting the power source to the error signal output control unit when the wire for operating the circuit is turned on,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and the base end are connected, the emitter end and the collector end are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for the oscillation transformer and the relay operation, and the iron piece is pulled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for relay operation, Stop the operation of the switch, When the zero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error signal output connection switch are turned off, the closed circuit is broken and the switching is turned off. Further, the switching unit for relay operation is turned on and the relay switch is turned on to turn o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error signal output connection switch And a power source holding switching section for continuously causing an error signal to be output.
본 발명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 사이에 설치되어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탄발 스프링,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이 끌어당겨져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회로 작동용 철편을 부착시켜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온 상태를 지속시키는 영구자석, 및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의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의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 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ircuit breaker comprising: a first elastic switch provided between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and a circuit-operating iron piece for guiding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and the circuit-operating iron piece to remain in an off- 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is switched on when the circuit breaker is pulled up when the relay switch is operated, a permanent magnet, which keeps the on state of the switching part for power supply maintenance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relay switch is stopped, And a power supply connection wire for connecting the circuit operation wire and the error signal output control unit to the power connection connecting member, wherein when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for interrupting the alarm signal operation,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the alarm signal is no longer outputted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manually operated switch.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급수시스템을 갖춘 식물액자는 살아있는 식물을 식생함에 있어, 액자에 저수와 급수를 위한 시설을 함께 구비함으로써 원활한 식물의 성장을 도울 수 있고, 특히 급수 시설을 통해 식물이 식생되는 전체 부위에 걸쳐 균일하게 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The plant frame having the active wat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growth of smooth plants by providing facilities for water storage and water supply in the vegetation of living plants in the vegetation of living plants, It is possible to uniformly supply the water over the site.
또한, 본 발명은 식물과 이를 식재하는 묘판에 대한 급수를 통해 실내 습도를 조절할 수 있고, 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산소와 음이온을 매개로 실내 공기를 정화함과 동시에 실내 소음을 흡음할 수 있으며, 아울러 식재되는 식물의 배치를 통해 데코레이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indoor humidity through water supply to plants and a trunk plate planting the plant, clean room air through oxygen and anions generated from plants, and can absorb indoor noise, The decoration effect can be expected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plants.
또한, 본 발명은 식물을 식재하는 묘판이 항균, 함수, 및 흡음성의 소재를 채택함으로써 액자의 위생적인 관리와 함께 실내 공간에 대한 적정 습도의 유지와 최적의 정숙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ntibacterial, function, and sound-absorbing materials for the planting of the plant, so that the hygienic management of the frame can be achieved, and the optimum humidity for the indoor space can be maintained and the optimal quietness can be realized.
특히, 본 발명은 실내 습도의 검출을 통해 식재부위에 대한 자동적인 급수를 매개로 자동적인 습도 조절을 구현함과 더불어, 저수된 물의 수위 검출을 매개로 용수의 보충 시점을 자동적으로 외부에 알릴 수 있으므로 관리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automatic humidity control through automatic water supply to the planting site through the detection of indoor humidity, and automatically informs the outside of the replenishing point of the water through the detection of the water level of the stored water Therefore, the convenience of management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정사각형 식물액자를 도시한 제 1 실시예도.
도 2는 본 발명의 직사각형 식물액자를 도시한 제 2 실시예도.
도 3은 본 발명의 급수 튜브가 설치된 직사각형 식물액자를 도시한 제 3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의 급수 튜브가 설치된 정사각형 식물액자를 도시한 제 4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식물액자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돌출라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급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급수 튜브 설치도.
도 9는 본 발명의 배수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배수부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의 묘판 고정 및 식물 식재용 걸개핀을 도시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묘판 플레이트 사이의 결합부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 구성도.
도 14는 도 13의 요부 상세도1 shows a first embodiment showing a square plan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ond embodiment showing a rectangular plan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third embodiment showing a rectangular plant frame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fourth embodiment showing a square plant frame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lant frame decomposition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onfiguration view of a protruded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water supply conceptual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water supply tube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rainage conceptual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etailed view of a drainag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hanging pin for fixing a trunk plate and a plant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joining portion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trestl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error signal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detail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3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a functional configuration that should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described.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that have been used in the prior art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that are not show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components ad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또한, 이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essential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properly modify the term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by no means limit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본 발명의 급수 시스템은 용수(用水)가 필수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재료를 채용할 경우에는 생물막 형성으로 인하여 2차 오염을 초래하게 됨에 따라,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항균 및 방 곰팡이 소재를 최적화 합성하여 편직 또는 압출한 항균 부직포, 항균 저수통, 항균 급수관을 적용한다. Since the water suppl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water, when a general material is employed, it causes secondary contamination due to the formation of a biofilm.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problems, an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material is optimally synthesized, Or extruded antibacterial nonwoven fabric, antibacterial low water bottle, antibacterial water supply pipe is applied.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기본적으로 액자 형태로 구성되며, 급수부(10), 저수부(20), 급수펌프(30), 수위 알림부(40), 습도센서(50), 제어부(60), 및 식재부(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액자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형태, 또는 원형이나 그 외 다른 다양한 형태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도 3과 도 4는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의 기본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는 액자에 급수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8은 급수부에 적용되는 급수홀과 급수용 튜브의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급수부(10)는 액자의 식재부(70)로 식물의 성장에 필요로 하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급수로(10a)와 급수홀(10b) 및 급수용 튜브(11)를 포함한다. 즉, 상기 급수부(10)는 액자의 상단 프레임에 구비되어 급수로(10a)와 급수홀(10b) 및 급수용 튜브(11)를 이용하여 저장된 물을 액자의 내측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급수로(10a)는 액자의 상단 프레임 내부에서 소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일종의 저수부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액자 프레임의 좌우방향 길이만큼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수홀(10b)과 급수용 튜브(11)는 각각 급수로(10a)에 저장된 물을 자유 낙하에 의해 자연스럽게 식재부(70)로 공급하는 것으로, 급수용 튜브(11)는 액자의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된다.3 and 4 illustrate a state in which a water supply unit is applied to a frame of a square or rectangular shape, and FIG. 8 shows a structure of a water supply hole and a water supply tube applied to the water supply unit . The
아울러, 본 발명의 급수 시스템은 급수부(10)로부터 낙하하는 물의 흐름이 천천히 진행되게 하면서도 식재부(70)의 전 부위에 걸쳐 보다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급수로(10a)의 하부에 위치한 출력단으로부터 다수의 급수홀(10b)을 적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급수용 튜브(11)는 다수의 급수홀(10b) 사이에 교호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급수용 튜브(11)는 급수부(10)에 대해 하향 설치됨과 더불어 개개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어, 식재부(70)의 전 영역을 향한 급수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급수용 튜브(11)는 급수부(10)로부터 단일의 관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길이이면서 출구측이 여러 개로 분지되는 관로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식재부(70)의 전 영역에 걸쳐 보다 빠른 시간 내에 균일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supply system in which water flows down from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급수 시스템은 급수부(10) 내에 저장된 물을 식재부(70)로 공급함에 있어, 급수로(10a)의 출력단에 다수의 급수홀(10b)과 급수용 튜브(11)를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교호적으로 배치함에 따라 낙하하는 물의 흐름이 천천히 진행되면서도 식재부(70)의 전 영역에 걸쳐 보다 균일하게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세로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설정되는 액자의 경우에도 하방향으로 서로 길이가 다르게 설정됨과 더불어 출구가 여러 개의 관로로 분지되는 급수용 튜브(11)를 매개로 식재부(70)의 전 영역에 걸쳐 완전한 급수가 진행될 수 있으므로 식물의 원활한 생육을 도울 수 있게 된다. The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water stored in the
즉, 본 발명에서와 같이 급수용 튜브(11)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 식재부(70)의 아래까지 원활한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를 해소하고자 급수압력을 높일 경우 급수홀(10b)을 통해 물이 급격하게 제공되므로 용수가 식재부(70)의 묘판 전체부위에 걸쳐 자연스럽게 스며들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원하는 수준의 습도유지 기능을 구현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저수부(20)로 많은 양의 물이 유입되어 급수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될 것이다.In other words, if the
그러나 본 발명의 급수 시스템은 급수부(10)의 저면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급수홀(10b)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급수홀(10b)에 대해 급수용 튜브(11)를 교호적으로 배치하면서도 상하방향 길이를 서로 다르게 설정함과 동시에 출구를 여러 경로로 분지되게 구현함으로써, 급수로(10a) 내에 저장된 물은 급수홀(10b)을 통해 식재부(70)의 상부 영역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급수용 튜브(11)를 매개로 식재부(70)의 중간 및 하부 영역으로도 공급될 수 있고, 무엇보다도 공급되는 물의 압력이 높지 않기 때문에 식재부(70)에 대해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있게 되므로, 식재부(70)의 전 영역에 걸쳐 보다 빠르면서도 균일한 용수의 공급이 진행될 수 있게 된다. However, the water suppl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forms the
상기 저수부(20)는 액자의 하단 프레임에 구비된다. 도 10을 참조로 하면, 상기 저수부(20)는 상기 급수부(10)로부터 식재부(70)를 거쳐 떨어지는 물을 받아 저장하거나 부족한 물을 외부로부터 보충받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저수부(20)는 용수 보충홀(21)과 배수홀(22)을 구비한다. 상기 용수 보충홀(21)은 저수부(20) 내에 저장된 물이 부족할 경우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용도이고, 상기 배수홀(22)은 저수부(20) 내에 저장된 물이 너무 많을 경우 잉여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도이다. 또한, 상기 저수부(20)는 저장된 물의 양을 검출하여 제어부(60)로 출력하는 수위센서(23)를 별도로 구비한다. The
즉, 상기 저수부(20)는 급수부(10)를 통해 식재부(70)에 제공된 물을 다시 회수하여 연속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일종의 저수통으로서 부족한 물을 보충을 위해 용수 보충홀(21)을 구비하고, 넘치는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해 배수홀(22)을 구비하며, 저장된 물의 양을 외부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수위 측정용 수위센서(23)를 구비한다. 또한, 저수부(20)는 식재부(70)를 거쳐 급수부(10)로부터 낙하하는 물을 회수하기 위한 유입홀(미도시)을 구비하는 바, 상기 유입홀은 저수부(20)의 전체 부위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다수의 개소로 마련된다.That is, the
상기 급수펌프(30)는 저수부(20)에 저장된 물은 급수부(10)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급수펌프(30)는 저수부(20)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액자의 측면 프레임 내에 설치된 관로(31)를 통해 급수부(10)로 끌어올려서 순환시키게 된다. 이 경우, 급수펌프(30)는 액자의 상단 프레임이나 하단 프레임 또는 측면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고, 관로(31)는 급수펌프(30)의 위치에 맞춰 적절하게 배관될 수 있으나, 적어도 한 부위는 반드시 저수부(20) 내에 위치하여야 한다. The
상기 수위 알림부(40)는 수위센서(23)에 의해 측정된 저수부(20)의 수위를 외부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으로, 액자의 측면 프레임이나 하단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위 알림부(40)는 액자의 측면 프레임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The
상기 습도센서(50)는 식물액자가 설치되는 공간의 실내 습도를 측정하여 제어부(60)로 제공함으로써 액자의 외부 습도에 따라 식재부(7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식물 생육에 필요한 물의 공급과 함께 자연스러운 실내 공간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습도센서(50)는 액자의 측면 프레임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The
상기 제어부(60)는 수위센서(23)로부터 제공되는 물의 저수량 정보에 기반하여 급수펌프(3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급수부(10)에 대해 원활한 용수 공급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60)는 습도센서(50)로부터 제공되는 실내 습도에 따라 급수펌프(30)의 작동을 제어하는 데, 예컨대 실내 습도가 기준 이하로 낮을 경우 급수펌프(30)를 동작시켜 급수부(10)로 물을 공급함으로써 급수부(10)를 통해 자연스럽게 낙하하는 물로 인해 실내 습도를 높이게 된다. 또한, 이와 반대로 제어부(60)는 장마철과 같이 실내 습도가 기준 보다 높을 경우 급수펌프(30)의 동작을 인위적으로 제한하여 실내 습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식물액자는 수위센서(23)와 습도센서(50)를 매개로 급수펌프(30)의 동작을 제어하여 용수의 보충시기를 알리거나 실내 습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른 바 능동형 급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액자는 자동모드 및 수동모드 전환스위치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자동모드에서 습도감지 결과에 따라 물을 급수하거나 장마철 등을 대비하여 임시로 급수를 중단시켜 실내의 습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수동모드로 작동시킬 경우에는 습도감지의 결과와 상관없이 급수 시스템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plan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예컨대, 자동모드 전환스위치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60)는 습도센서(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적정 습도 보다 낮을 경우 이를 판단하고 급수펌프(30)의 작동을 개시하게 된다. 이 결과, 저수부(20)로부터 급수부(10)로 용수의 공급이 이루어져 실내 습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60)는 습도센서(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실내의 습도가 적정 수준으로 상승하게 되면 급수펌프(30)의 작동을 중단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automatic mode changeover switch is selected, the
이와 달리, 수동모드 전환스위치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60)는 급수펌프(30)의 작동에 관여하지 않게 되므로 습도검출의 결과와 무관하게 급수 시스템의 작동을 중단하게 된다. Alternatively, when the manual mode changeover switch is selected, the
한편, 이와 같은 급수펌프(30)의 작동 제어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제어부(60)는 습도센서(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거 급수펌프(30)의 작동을 온/오프 제어하는 대신, 자체적으로 구비된 타이머를 이용한 작동 시간의 계시(計時)를 통해 급수펌프(30)의 작동을 온/오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course of performing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수위센서(2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저수부(20) 내의 수위가 적정 수준보다 낮을 경우에는 수위 알림부(40)를 동작시켜 용수의 보충 시기를 외부로 알려 주게 된다. 이 결과, 사용자는 수위 알림부(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유무에 따라 저수부(20)에 대한 용수의 보충 시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If the water level in the
상기 식재부(70)는 액자의 상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 및 측면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마련된 것으로, 묘판에 이끼류와 같은 덩이 식물이 직접 식재되게 하거나 뿌리 식물을 별도의 식재 용기에 담아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식재부(70)는 항균소재를 채용하여 위생적인 유지 관리가 구현되게 하고, 묘판 자체를 함수성과 흡음성이 탁월한 소재로 제작하여 식재된 식물의 생육에 도움을 줌과 동시에 실내의 공기 정화와 적정 습도 및 정숙성 유지에 탁월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식재부(70)는 액자 프레임에 식재된 식물을 이용하여 실내 장식을 위한 데코레이션 기능을 담당한다.The
이를 위해, 상기 식재부(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의 기본 지지기능을 수행하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플레이트(7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전면에 설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71)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묘판 플레이트(72), 상기 묘판 플레이트(72)의 전면에 설치되고 묘판 플레이트(72)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항균묘판(73), 상기 항균묘판(73)에 대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식재되어 생육되는 식물(74), 상기 항균묘판(73)의 전면에 설치되어 식재된 식물(74)의 지지하고 항균묘판(73)이 베이스 플레이트(71)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망(75), 및 상기 항균묘판(73)에 고정되면서 식물(74)을 걸이 형태로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는 묘판 고정 및 식물 식재용 걸개핀(7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5, the
이 경우, 상기 항균묘판(73)은 항균(抗菌) 기능을 갖춘 부직포와 같은 소재를 채택하여 식재된 식물(74)에 대한 위생적인 관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특히 함수성(含水性)과 흡음성(吸音性)도 함께 갖춘 소재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에서 적정 습도가 유지되게 함과 동시에 최적의 정숙성이 구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식물액자는 식생(植生)을 위한 용수의 제공이 필수적인 관계로 일반적인 재료의 묘판을 채택할 경우 생물막 형성으로 인한 2차 오염이 수반되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항균 소재를 합성하여 편직한 항균 부직포를 사용하게 되는 데, 이러한 항균묘판(73)은 최적의 함수성(含水性)과 통수성(通水性) 및 건조성(乾燥性), 그리고 식재성(植栽性)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방직 구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고정망(75)은 액자의 전면부위를 격자 형태의 다수의 공간으로 분할하여 여러 종류의 식물(74)에 대한 직접적인 식재를 도울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뿌리 식물이 식재된 별도의 용기를 걸어 간접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fixed net 75 can divide the front part of the frame into a plurality of grid-like spaces to facilitate direct planting of various kinds of
또한, 상기 걸개핀(76)은 묘판을 고정하거나 식물의 식재를 위한 것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균묘판(73)을 대략 수평한 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결착부(76a), 상기 항균묘판(73)의 전면부에서 상기 결착부(76a)의 일단부로부터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분지되게 형성되면서 항균묘판 고정망(75)에 걸려 지지되도록 자유단부가 항균묘판 고정망(75)을 향해 절곡되는 걸림부(76b), 및 상기 결착부(76a)와 걸림부(76b) 사이의 분지부위에서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돌출되어 식물을 직접적으로 꽂아 지지하는 꽂이부(76c)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hooking pins 76 are for fixing the trestle plate or for planting plants. As shown in FIG. 11, the latching pins 76 include a
이 경우, 상기 결착부(76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균묘판(73)에 국한하여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묘판 플레이트(72)를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71)에 고정, 또는 항균묘판(73)을 관통하여 묘판 플레이트(72)에 고정, 또는 항균묘판(73)과 묘판 플레이트(72)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꽂이부(76c)는 식물의 견고한 지지를 위해 자유단부가 다수로 분할되어 외측을 향해 벌어지는 분할핀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7, the binding
또한, 상기 결착부(76a)와 걸림부(76b) 사이에는 별도의 보강재를 덧대 꽂이부(76c)에 의해 지지되는 식물의 하중이 과다할 경우, 항균묘판(73)으로부터 걸개핀(76)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또는 결착부(76a)에 대한 걸림부(76b)의 안정적인 지지를 통해 꽂이부(76c)가 식물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When the load of the plant supported by the
또한, 상기 묘판 플레이트(72)의 전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층 구조의 돌출라인(72a)이 더 구비되는 바, 상기 돌출라인(72a)은 급수부(10)로부터 제공되는 물의 낙하속도를 낮추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돌출라인(72a)은 급수부(10)로부터 제공되는 물이 낙하할 때, 물과의 접촉을 통해 낙하하는 물의 속도를 낮춤으로써 항균묘판(73)에 물이 흡수되는 것을 도울 수 있게 된다. 즉, 돌출라인(72a)은 물의 낙하속도를 지연시켜 항균묘판(73)에 물이 충분하게 흡수될 수 있는 시간을 보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6, the protruding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와 묘판 플레이트(72) 사이의 결합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소재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80)와, 상기 볼트(80)에 조립되는 너트(81)에 의한 체결구조로 이루어지는 데, 특히 볼트(80)의 관통부위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방수용 패킹(82)이 덧대어진다. 즉, 방수용 패킹(82)은 볼트(80)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80)와 베이스 플레이트(71) 사이, 베이스 플레이트(71)와 묘판 플레이트(72) 사이, 및 묘판 플레이트(72)와 너트(81) 사이에 각각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2, the coupling between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액자의 상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에 각각 급수부(10)와 저수부(20)를 구비하고, 저수부(20)내에 저장된 물이 급수펌프(30)를 매개로 급수부(10)로 제공되면서 급수부(10)에 저장된 물이 급수로(10a)의 급수홀(10b)과 급수용 튜브(11)를 통해 식재부(70)로 공급됨으로써 식물(74)의 원활한 성장을 돕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60)는 수위센서(23)를 매개로 저수부(20)에 저장된 물의 양을 검출하여 수위 알림부(40)를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고, 급수펌프(30)를 작동시켜 급수부(10)와 저수부(20) 사이에서 물의 연속적인 순환을 도울 수 있게 된다. The water stored in the
특히, 상기 급수부(10)로부터 제공되는 물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71)와 묘판 플레이트(72) 사이의 공간, 묘판 플레이트(72)와 항균묘판(73) 사이의 공간, 및 항균묘판(73)의 전면부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를 따라 낙하하게 되므로, 식물(74)의 원활한 식생을 도울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항균묘판(73)은 소재가 가지는 항균성(抗菌性)과 함수성(含水性), 흡음성(吸音性), 통수성(通水性) 및 건조성(乾燥性) 등의 특징을 매개로 식물의 성장을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소음의 저감 및 실내 습도의 자동적인 조절이라는 부가적 기능을 함께 구현할 수 있게 된다. Particularly, the water provided from the
또한, 상기 저수부(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부(70)를 통해 낙하하는 물을 저장하게 되고, 저장된 물은 급수펌프(30)의 작동을 매개로 관로(31)를 거쳐 다시 급수부(10)로 공급되는 연속적인 순환을 할 수 있게 되므로, 물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하게 된다. 9, the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저수부(20)에 설치된 수위센서(23)로부터 검출되는 물의 저수량 정보를 입력받아 급수펌프(3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므로 급수부(10)에 대한 원활한 용수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제어부(60)는 습도센서(50)로부터 제공되는 실내 습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급수펌프(3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일례로, 제어부(60)는 실내 습도가 기준 이하로 낮을 경우 급수펌프(30)를 동작시켜 급수부(10)로 물을 공급함으로써 급수부(10)를 통해 식재부(70)로 낙하하는 물을 매개로 실내 습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60)는 장마철과 같이 실내 습도가 기준 보다 높을 경우 급수펌프(30)의 동작을 인위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실내 습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또한, 상기 묘판 고정 및 식물 식재용 걸개핀(76)은 결착부(76a)를 매개로 항균묘판(73)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걸림부(76b)를 매개로 고정망(75)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꽂이부(76c)를 매개로 식물(74)을 직접적으로 꽂아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hanging
한편, 본 발명의 제어부는 저수부의 수위를 수위센서로 모니터링하여 일정이하이면 에러상황을 파악하여 외부로 알람 경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 이를 위한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Meanwhile, th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monitor the water level of the low water level by the water level sensor and to detect an error condition if the water level is below a certain level and to output an alarm alarm to the outside. same.
도 13을 참조로 하면,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는 회로 전원부(1101)와, 에러신호 스위칭부(1102)와, 발진 트랜스(1103)와,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릴레이 스위치(1107)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에러신호 출력용 연결 스위치(sw2)와,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3, the error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includes a
상기 전원부(1101)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킨다. The
상기 에러신호 스위칭부(1102)는 제어부(60)로부터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킨다.The error
상기 발진 트랜스(1103)는 에러신호 스위칭부(1102)가 스위칭 온 되면 전원부(1101)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한다.When the error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는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된다.The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킨다.The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performs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by pulling the iron wire by the relay switch (1107).
상기 에러신호 출력용 연결 스위치(sw2)는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The error signal output connection switch sw2 serves to induce an error signal to be displayed by supplying power to the error signal
상기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시킨다. 그리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연결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1107)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연결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한다.The power
또한, 본 발명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작동용 철편(131)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의 전원 연결용 철편(132)과, 탄발 스프링(133)과, 영구자석(134)과, 수동 작동 스위치(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14,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치부(1118)를 온 시킨다.The circuit-
상기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의 전원 연결용 철편(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31)이 온 되면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 The power
상기 탄발 스프링(133)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31) 사이에 설치되어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The
상기 영구자석(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일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1107)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31)이 끌어당겨져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회로 작동용 철편(131)을 부착시켜 릴레이 스위치(107)의 작동이 멈추어도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온 상태를 지속시킨다.The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35)는 회로작동용 철편(131)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의 전원 연결용 철편(132)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131)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의 전원 연결용 철편(132)을 오프시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1150)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The
이하에서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error signal output unit will be described.
먼저, 에러신호 스위칭부(1102)가 온 되면 직류 전원이 연결되어 발진 트랜스(1103)에 전원이 인가되고, 발진 트랜스(1103)의 2차측에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First, when the error
2차측에 유기된 전원은 정류다이오드를 통해 반파의 직류 전원이 되고, 이 반파 직류전원은 콘덴서의 충방전 작용으로 인하여 보다 안정된 직류 전원이 된다.The power source induced on the secondary side becomes a DC power source of a half wave through a rectifying diode, and this half wave DC power source becomes a more stable DC power source due to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action of the condenser.
이 직류 전원은 릴레이 스위치(1107)의 코일을 거쳐 사이리스터의 애노드단에 인가되고, 한편 이 직류 전원은 저항을 통해 콘덴서에 충전작용을 하게 된다. 상승된 전압은 다이악을 통과하면서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를 트리거하여 에노드단과 케소드단이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1107)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이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1107)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연결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This DC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thyristor through the coil of the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베이스단을 활성화시키면서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에 폐회로를 유도하여 트랜스로 향하는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activated, a base end of the power
즉, 저항(1109)과 콘덴서(1110) 사이의 전압이 다이오드(1120)를 통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에미터 단자 및 콜렉터 단자 사이로 흘러 바이패스되며 이 바이패스에 의한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고, 이렇게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면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로 향하는 트리거 신호를 멈추게 되어 에노드단과 케소드단이 오프되면서 릴레이 스위치(1107)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서 스위칭을 위해 계속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멈추게 된다.That is, a voltage between the
한편, 만약 작업자가 에러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연결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의 전류 흐름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에미터단과 베이스단 사이에 흐르는 바이어스 전압이 사라져서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가 오프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operator turns of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the error signal output connecting switch sw2 while the error signal is being output, there is no current flow in the closed circuit, The bias voltage flowing between the emitter stage and the base stage disappears and the power
상기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가 오프되면서 다이오드(1120)를 통한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바이패스 전압이 없어지고 이 전압은 콘덴서(1110)에 충전된다.The power
이 충전된 전압이 다이악(1111)의 브레이크 오버 현상을 일으키게 되고 다이악에서 트리거 신호를 보조 스위치 작동용 스위칭부(1108)로 출력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에러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The charged voltage causes a break-over phenomenon of the
즉, 본 발명은 에러요인을 치유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고음을 출력시키도록 하여 반드시 에러요인을 치유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에러신호 스위칭부(1102)가 온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수동 스위치(135)를 작동시켜 경보신호를 오프시키게 되더라도,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경보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에러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경보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 작동됨으로 에러신호를 완전히 차단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n error factor is not cured, a warning sound is continuously output to guide the user to heal an error factor. Also, even if the user turns off the alarm signal by operating the
만약에 에러신호 스위칭부(1102)가 오프되면 이때에는 수동 스위치(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경보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If the error
10: 급수부 10a: 급수로
10b: 급수홀 11: 급수용 튜브
20: 저수부 21:용수 보충홀
22: 배수홀 23: 수위센서
30: 급수펌프 31: 관로
40: 수위 알림부
50: 습도센서
60: 제어부
70: 식재부 71: 베이스 플레이트
72: 묘판 플레이트 73: 항균묘판
74: 식물 75: 항균묘판 고정망
76: 걸개핀
80: 볼트 81: 너트
83: 패킹10:
10b: water supply hole 11: water supply tube
20: water reservoir 21: water replenishment hole
22: Drain hole 23: Water level sensor
30: Feed water pump 31: Pipeline
40: Level Notification Department
50: Humidity sensor
60:
70: planting portion 71: base plate
72: trestle plate 73: antimicrobial trestle plate
74: Plants 75: Antimicrobial trunk fixing network
76: Dagger pin
80: Bolt 81: Nut
83: Packing
Claims (10)
상기 식재부(7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저장된 물을 외부로 공급하는 급수부(10);
상기 식재부(7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급수부(10)를 통해 제공된 물을 저장하며 수위 검출을 위한 수위센서(23)를 갖춘 저수부(20);
상기 저수부(20)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부(10)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30);
상기 저수부(20)의 수위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수위 알림부(40);
외부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50);
자동 또는 수동으로 모드의 절환이 가능하고, 상기 습도센서(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펌프(30)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수위센서(2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수위 알림부(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 및
상기 수위센서(23)와 상기 습도센서(50)를 매개로 상기 급수펌프(3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저수부(20) 내부의 용수 보충시기를 상기 수위 알림부(40)를 통해 외부로 알리거나 실내 습도의 자동적인 조절을 위한 자동모드 및 수동모드 전환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저수부(20)의 내부 수위가 일정 이하이면 에러상황을 파악하여 상기 수위 알림부(40)를 통해 외부로 알람 경보를 출력하기 위한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키는 전원부(1101);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에러신호 출력부(1102);
상기 에러신호 출력부(1102)가 온 되면 상기 전원부(1101)의 전원을 승압된 교류 전류로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1103);
상기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1107);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용 연결 스위치(sw2);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치부(1118)를 온 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31);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31)이 온 되면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의 전원 연결용 철편(132); 및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연결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1107)가 온 됨으로서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연결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를 포함하고,
상기 식재부(70)는 함수성, 통수성, 건조성, 및 식재성을 갖춘 항균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급수시스템을 갖춘 식물액자.A planting portion 70 for planting the plant 74;
A water supply unit 10 located above the planting unit 70 and supplying stored water to the outside;
A reservoir portion 20 located below the planting portion 70 and storing water provid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ion 10 and having a water level sensor 23 for detecting water level;
A water supply pump (30)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part (20) to the water supply part (10);
A water level notification unit 40 for outputt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unit 20 to the outside;
A humidity sensor (50) for measuring external humidity;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30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a signal inputted from the humidity sensor 50 and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3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ted from the water level sensor 23, A control unit (6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it (40); And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30 is controlled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23 and the humidity sensor 50 so that the water replenishment time in the reservoir unit 20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level notification unit 40 And an automatic mode and a manual mode changeover switch for automatic adjustment of indoor humidity or indoor humidity,
The control unit 60 includes an error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for detecting an error condition and outputting an alarm alarm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level notification unit 40 when the internal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unit 20 is below a certain level,
Wherein the error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comprises:
A power supply unit 1101 for applying a power supply signal by its own power supply;
An error signal output unit 1102 for switching a power supply circuit when a control signal is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60;
An oscillation transformer 1103 for outputting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1101 as a boosted alternating current when the error signal output unit 1102 is turned on;
A relay operation switching unit 1108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oscillation transformer 1103 and turned on by an electrical supply;
A relay switch 1107 provided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ing unit 1108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hat performs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relay switch 1107;
An error signal output connection switch sw2 for supplying power to the error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to display an error signal while the iron strip is pulled by the relay switch 1107;
A circuit-operating iron piece 131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turns on the power-source holding switch 1118;
And an error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ch is design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ircuit operation wire 131 and which connects the power supply to the error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en the circuit breaker wire 131 is turned on, A power supply connecting piece 132 for connecting the power supply; And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connected to the base end and the emitter and collector ends are connected to the oscillation transformer 1103 and the relay operation switching unit 1108. By the operation of the relay operation switching unit 1108 When the first and second circuit connection switches sw1 and sw2 are turned off while the closed circuit is being formed, the switching is turned on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relay switch 1107. 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error signal output connection switch sw2 are turned off, The relay operation switch 1108 is turned on and the relay switch 1107 is turned on to turn o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error signal output connection switch sw2 to continuously output an error signal And a power supply switching unit 1118 for guiding the output of the power supply,
Wherein the planting portion (70) is made of an antibacterial material having water-permeability, water-permeability, dryness, and planting property.
상기 급수부(10)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급수로(10a), 상기 급수로(10a)의 하부에 다수로 형성되는 급수홀(10b), 및 상기 급수홀(10b)과 교호적으로 하향 배치되는 급수용 튜브(11)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용 튜브(11)는 상기 식재부(70)를 향해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지고, 출구측이 여러 개로 분지되는 관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급수시스템을 갖춘 식물액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supply unit 10 includes a water supply passage 10a for storing water, a water supply hole 10b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0a,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pply tube (11) is formed of a pipe having different lengths toward the planting portion (70), and the outlet side is divided into several branches. Plant frame with watering system.
상기 저수부(20)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용수 보충홀(21), 및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홀(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급수시스템을 갖춘 식물액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storage portion (20) has a water supply hole (21) for receiving water from the outside, and a drain hole (22) for discharging the stored water to the outside.
상기 식재부(70)는 액자의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7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전면에 설치되는 묘판 플레이트(72), 상기 묘판 플레이트(72)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식물(74)을 식재하는 항균묘판(73), 상기 항균묘판(73)의 전면에 설치되어 식재된 상기 식물(74)을 지지하는 고정망(75), 및 상기 항균묘판(73)에 고정되고 상기 식물(74)을 걸이 형태로 식재하는 걸개핀(7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급수시스템을 갖춘 식물액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anting unit 70 includes a base plate 71 for supporting the frame, a plate plate 72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plate 71, A fixed net 75 for supporting the plant 74 pla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antimicrobial panel 73 and an antimicrobial panel 73 fixed to the antimicrobial panel 73, And a hanging pin (76) for arranging the hanging pin in the form of a hook.
상기 묘판 플레이트(72)의 전면에는 다층 구조로서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돌출라인(7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급수시스템을 갖춘 식물액자.The method of claim 4,
And a protruding line (72a)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s a multi-layer structur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restle plate (72).
상기 항균묘판(73)은 함수성, 통수성, 건조성, 및 식재성을 갖춘 항균 소재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급수시스템을 갖춘 식물액자.The method of claim 4,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bacterial seedbed plate (73) is made of a nonwoven fabric of an antibacterial material having moisture, water permeability, dryness, and planting property.
상기 걸개핀(76)은 상기 항균묘판(73)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결착부(76a), 상기 항균묘판(73)의 전면부에서 상기 결착부(76a)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분지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망(75)에 걸려 지지되도록 자유단부가 상기 고정망(75)을 향해 절곡되는 걸림부(76b), 및 상기 결착부(76a)와 상기 걸림부(76b) 사이의 분지부위에서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기 식물(74)을 꽂아 지지하는 꽂이부(76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급수시스템을 갖춘 식물액자.The method of claim 6,
The hanging pin 76 is formed to be branch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inding portion 76a at the front portion of the antibacterial seedling plate 73, A locking part 76b whose free end is bent toward the fixing nail 75 so as to be hooked on the fixing nail 75 and a locking part 76b extending upward from the branching part between the locking part 76a and the locking part 76b And a plug portion (76c) projecting obliquely to support the plant (74).
상기 꽂이부(76c)는 상기 결착부(76a)와 상기 걸림부(76b) 사이의 분지부위에서 자유단부가 다수로 분할되어 외측을 향해 벌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급수시스템을 갖춘 식물액자.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lug portion (76c) is formed such that a free end portion thereof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ree ends at a branch portion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76a) and the engagement portion (76b) and is opened to the outside. .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31) 사이에 설치되어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탄발 스프링(133);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일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1107)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31)이 끌어당겨져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회로 작동용 철편(131)을 부착시켜 릴레이 스위치(107)의 작동이 멈추어도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온 상태를 지속시키는 영구자석(134); 및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131)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의 전원 연결용 철편(132)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131)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의 전원 연결용 철편(132)을 오프시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1150)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급수시스템을 갖춘 식물액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ircuit operation iron wire 131 a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ircuit operation iron wire 131 to induce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ircuit operation iron wire 131 to be kept in the off- A spring 133;
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switched by pulling the circuit breaker 131 when the relay switch 1107 is operated, the circuit breaker 131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 permanent magnet 134 for maintaining the ON state of the power supply switching unit 1118 even when the operation of the relay switch 107 is stopped; And
When the user operates the circuit breaker 131 and the error signal output controller 1140 to disconnect the alarm signal, the circuit breaker 131 and the error signal output And a manual operation switch 135 for turning off the power connection connecting piece 132 of the control unit 1140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rror signal display unit 1150 so as to no longer output an alarm signal A plant frame with an active watering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5054A KR101752603B1 (en) | 2016-09-07 | 2016-09-07 | Plant frame with active water supply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5054A KR101752603B1 (en) | 2016-09-07 | 2016-09-07 | Plant frame with active water supplying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2603B1 true KR101752603B1 (en) | 2017-07-03 |
Family
ID=59357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5054A KR101752603B1 (en) | 2016-09-07 | 2016-09-07 | Plant frame with active water supply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260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548210A (en) * | 2023-05-30 | 2023-08-08 | 扬州意匠轩园林古建筑营造股份有限公司 | Maintenance-free intelligent control vertical herbal plant curtai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WO2024154858A1 (en) * | 2023-01-16 | 2024-07-25 | 이주원 | Picture frame with plant cultivation function |
-
2016
- 2016-09-07 KR KR1020160115054A patent/KR101752603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54858A1 (en) * | 2023-01-16 | 2024-07-25 | 이주원 | Picture frame with plant cultivation function |
CN116548210A (en) * | 2023-05-30 | 2023-08-08 | 扬州意匠轩园林古建筑营造股份有限公司 | Maintenance-free intelligent control vertical herbal plant curtai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59686B2 (en) | Assembled landscape system | |
CA2911494C (en) | Assembly for vertical plant array | |
KR100858993B1 (en) | Air purifying interior garden system with using moss wall and indoor plants | |
US9032665B2 (en) | Aquaponic vertical garden with integrated air channel for plant-based air filtration | |
KR101139614B1 (en) | Plant planting apparatus of wall | |
KR100888515B1 (en) | A structur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KR101128470B1 (en) | Flowerpot with rainwater | |
JP2005065654A (en) | Planter on wall surface | |
CN201919384U (en) | Stereoscopic plant cultivation system | |
KR101752603B1 (en) | Plant frame with active water supplying system | |
KR101187688B1 (en) | Landscape Installation Using Hose for Drip Irrigation and Base Plate | |
KR101844899B1 (en) | Plant frame with active water supplying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 |
CN107455310A (en) | A kind of removable fish jar flowerpot integrated frame | |
CN107047108A (en) | Greening wall is automatically controlled in movable chamber | |
JP2008048676A (en) | Roof greening system | |
JP2003023868A (en) | Plant cultivation unit for greening rooftop and surrounding of building | |
RU2402200C1 (en) | Phytowall with polychromatic stimulators of plant growth | |
KR101043958B1 (en) | Fabricated Landscape Architecture System for Wall | |
KR20150052529A (en) | Auto water supply flowerpot | |
KR101185814B1 (en) | Balustrade afforestation system | |
KR100591923B1 (en) | A net type humidifier with decorative function | |
KR20120005788U (en) | Stepwise Indoor Flower Bed | |
US20210235896A1 (en) | Floral architecture | |
KR200462473Y1 (en) | Colonnade for automatic water supply using sunlight | |
TWM493861U (en) | Assembled type LED lamp plant factory planting s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