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382B1 - Folding system for paper pannel having variable function and variabl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Folding system for paper pannel having variable function and variable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2382B1 KR101752382B1 KR1020160149247A KR20160149247A KR101752382B1 KR 101752382 B1 KR101752382 B1 KR 101752382B1 KR 1020160149247 A KR1020160149247 A KR 1020160149247A KR 20160149247 A KR20160149247 A KR 20160149247A KR 101752382 B1 KR101752382 B1 KR 1017523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sheet
- vertical
- unit
- pair
- axi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31B3/2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 B31B3/0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05—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involving a particular layout of the machinery or relative arrangement of its sub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2—Feeding sheets or blanks using rolls, belts or cha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6—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 B31B50/066—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from above a magazi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44—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44—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 B31B50/4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and interconnecting side walls
- B31B50/48—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and interconnecting side walls by folding or tucking in locking fla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52—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e.g. fin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B65H5/023—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between a pair of belts forming a transport ni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4—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absence of articles, e.g. exhaustion of pi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20—Controlling associated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3—Articulated mechanisms
- B65H2403/533—Slotted link mechanis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6—Particular arrangement of belt, or belts
- B65H2404/264—Arrangement of side-by-side belts
- B65H2404/2641—Arrangement of side-by-side belts on movable fram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6—Particular arrangement of belt, or belts
- B65H2404/269—Particular arrangement of belt, or belts other arrangements
- B65H2404/2693—Arrangement of belts on movable fram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60—Details of intermediate means between the sensing means and the element to be sensed
- B65H2553/61—Mechanical means, e.g. contact 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30—Multi-ax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6—Cardboard
- B65H2701/1764—Cut-out, single-layer, e.g. flat blanks for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종이판재의 사이즈에 따라 종이판재를 성형하기 각 구조들이 가변되도록 하는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이판재의 인출에 따른 종이판재의 소진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장치; 제1,2피딩벨트 위치를 X축, Y축 및 Z축으로 가변시켜 종이판재를 피딩시키는 피딩벨트 가변장치; 및 제1,2성형블럭들의 위치를 X축과 Y축 방향으로 가변시켜 종이판재를 성형하는 성형블럭 가변장치;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방법은, 피딩유닛의 제1,2피딩벨트를 X축 양방향으로 가변시키는 단계(S10); 피딩유닛의 제1,2피딩벨트를 Y축 방향으로 가변시키는 단계(S20); 피딩유닛의 제1피딩벨트를 Z축 방향으로 가변시키는 단계(S30); 제1,2성형블럭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단계(S40); 가로판가이드를 종이판재의 X축 방향 사이즈에 맞게 가변시키는 단계(S50); 세로판가이드를 종이판재의 Y축 방향 사이즈에 맞게 가변시키는 단계(S60); 접철부를 폴딩된 종이판재의 세로외벽에 인접시키는 단계(S70);를 통해 가변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system for a paper sheet material having a variable function for varying various structures for forming a paper sheet material according to the sizes of various paper sheets, ; A feeding belt variable device for feeding the sheet material by varying the first and second feeding belt positions in the X axis, the Y axis, and the Z axis; And a shaping block variable device for shaping the sheet material by varying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haping blocks in the X and Y axis directions.
Further, the variabl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10) varying the first and second feeding belts of the feeding unit in both directions of the X axis; Varying the first and second feeding belts of the feeding unit in the Y-axis direction (S20); Varying the first feeding belt of the feeding unit in the Z-axis direction (S30); Varying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blocks (S40); A step (S50) of varying the lateral plate guide to fit the size of the paper sheet in the X-axis direction; A step (S60) of varying the vertical plate guide to fit the size of the paper sheet in the Y-axis direction; (S70) of abutting the folded portion to the longitudinal outer wall of the folded paper sheet material.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 및 가변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이판재의 사이즈에 따라 종이판재를 성형하기 각 구조들이 가변되도록 하는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 및 가변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이중벽 종이상자는 측면이 이중벽 구조를 가진 상자를 말하는데, 종이판재를 원하는 형태로 제단하여 제단된 테두리를 원하는 박스 형태로 접어 형성하는 것으로 통상 상하로 분리된 형태이거나 하나의 박스로 형성된다.Generally, a double-wall paper box refers to a box having a double-wall structure on the side thereof. The paper box is folded into a desired box shape by cutting the paper sheet into a desired shape and is folded into a desired box shape.
상기와 같은 이중벽 종이상자를 형성하기 위한 종이판재는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제단되는데, 통상 이중벽 종이상자는 일예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가로판과 세로판이 내,외벽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구조를 하고 있다. The paper sheet material for forming the double-wall paper box as described above may be variously cut according to the type of paper sheet. Typically, the double-wall paper box includes a double structure having a transverse plate and a vertical plate as inner and outer walls as shown in FIG. .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종이판재(1)는 중앙부분(2)을 기준으로 테두리 측에서 각각 대향되게 연장되는 가로외벽(3a), 가로내벽(3b), 가로지지체(3c)로 연장 형성된 가로판(3)과 세로외벽(4a), 세로내벽(4b) 및 세로지지체(4c)로 연장 형성된 세로판(4)으로 구성되며, 각각이 연장되는 부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접철될 수 있게 접철선(L)이 형성되어 있다.1, a
또한 상기 가로 외벽측과 세로 내벽 측이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는 중앙 부분으로 접철선을 따라 접철되는 제2접철지지체(6)가 형성되고, 상기 가로 내벽(3b) 양단부에는 상기 제2접철 지지체(6)와 중첩되어 세로판 측을 지지하는 제1접철지지체(5)가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상기와 같은 종이판재를 이중벽 종이상자 형태로 접기 위해서는 먼저,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내벽(3a)과 가로외벽(3a) 사이에 형성된 접철선(L)을 기준으로 상기 가로내벽(3a)을 가로내벽(3b)과 중첩되게 접철한 후 상기 중첩된 가로내벽과 가로외벽이 중앙부분(2) 측 방향으로 절곡하여 중첩된 가로판(3)이 중앙 부분과 직교되게 한다.2 (a) and 2 (b), a folding line L formed between the lateral
그 다음, 도 3의 (a) 및 도 (b)를 참조하면, 절곡된 가로판(3) 단부에 형성된 제2접철지지체(6)의 접철선(L)을 도면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2접철지지체(6)가 내측으로 접철됨과 동시에 연결된 세로외벽(4a)이 중앙부분 측으로 접철선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절곡되게 한다. 절곡된 세로판 측으로 앞서 절곡된 가로판의 단부와 밀착되어 중앙 부분과 직교하는 테두리를 형성하게 된다.3 (a) and 3 (b), the connecting wire L of the
이 후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내벽(4b)을 접철선(L)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절곡하여 수직한 상태의 세로외벽(4a)과 중첩되게 함과 동시에 단부에 형성된 세로지지체(4c)가 중앙 부분과 밀착되게 절곡하여 앞서 절곡된 가로지지체(3c)와 모서리 부분이 밀착 지지되게 함으로써 (b)와 같이 박스를 형성하게 된다.4 (a), the vertical
이와 같이 종래에는 이중벽 종이상자 성형을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에 의존하여 수행하였지 때문에 이중벽 종이상자 성형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인건비 부담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case, since the double wall paper box forming is performed manually by the operator depending on the manual operation, it takes a long time to form the double wall paper box and the labor cost of the operator is increased.
상기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033273호, 국내공개특허 제10-2013-0141250호, 국내공개특허 제10-2015-0109555호 및 국내등록특허 제10-1383485호들이 개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orean Patent Laid-Open Nos. 10-2010-0033273, 10-2013-0141250, 10-2015-0109555 and 10-1383485 are disclosed .
그러나, 위의 공개된 기술들에는 종이판재의 접이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지만, 접이장치에 구비되어 종이판재를 피딩(이송)시키는 피딩벨트, 종이판재를 성형하는 성형블럭 및 주변 구조들이 공급되는 종이판재의 사이즈에 맞게 세팅되어 설치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만일 공급되는 종이판재의 사이즈의 변경이 이루어지는 경우 대처할 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technologies, the folding process of the paper sheet material is automatically performe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However, the feeding belt that is provided in the folding device and feeds (feeds) the paper sheet material, Since the block and the peripheral structures are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se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per sheet to be supplied, there is a fatal problem that can not be coped with when the size of the supplied paper sheet is changed.
때문에, 변경된 종이판재 사이즈를 성형할 수 있는 별도의 접이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며, 이로 인한 설비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Therefore, a separate folding device capable of forming the changed paper sheet size must be provided, thereby increasing the equipment cos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이판재를 피딩시키는 구조들과 종이판재를 성형시키는 구조들이 공급되는 종이판재의 사이즈에 맞게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상태에서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종이판재의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 및 가변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echnical prejudic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for feeding a paper sheet material and a structure for forming a paper sheet material, And to provide a folding system and a variable method for a paper sheet material having a variable function for forming a paper sheet material having a siz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은, 종이판재가 적층된 상부에 배치되며, 가압유닛이 승강을 통해 상기 종이판재의 상면과 접촉된 상태로 탄성을 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종이판재를 가압하고, 상기 가압유닛의 회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종이판재의 인출에 따른 상기 종이판재의 소진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장치; 상기 감지장치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공급되는 상기 종이판재의 사이즈 및 두께에 맞게 마주하게 배치된 제1,2피딩벨트 위치를 X축, Y축 및 Z축으로 가변시켜 상기 종이판재를 피딩시키는 피딩벨트 가변장치; 및 상기 감지장치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공급되는 종이판재의 사이즈에 맞게 상기 제1,2성형블럭들의 위치를 X축과 Y축 방향으로 가변시켜 상기 종이판재를 성형하는 성형블럭 가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lding system for a paper sheet material, the paper sheet material folding apparatus comprising: A sensing device for pressing the sheet material and sensing a rotation state of the pressing unit to sense the exhaustion height of the sheet material according to the drawing of the sheet material; The first and second feeding belt positions, which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sensing device and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supplied paper sheet material, are varied in the X axis, the Y axis, and the Z axis, Belt variable devices; And a molding block variable device disposed adjacent to the sensing device and configured to vary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blocks in the X and Y axis dire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supplied paper sheet material,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방법은, X축이동유닛의 구동을 통해 피딩유닛의 제1,2피딩벨트의 위치를 종이판재의 사이즈에 맞게 X축 양방향으로 가변시키는 단계(S10); Y축이동유닛의 구동을 통해 피딩유닛의 제1,2피딩벨트의 위치를 종이판재의 사이즈에 맞게 Y축 방향으로 가변시키는 단계(S20); Z축이동유닛의 구동을 통해 피딩유닛의 제1피딩벨트의 위치를 종이판재의 두께에 맞게 Z축 방향으로 가변시키는 단계(S30); 상부성형유닛의 구동을 통해 제1,2성형블럭의 위치를 종이판재의 사이즈에 맞게 가변시키는 단계(S40); 가로폴딩유닛의 구동을 통해 가로판가이드가 종이판재의 X축 방향 사이즈에 맞게 가변시키는 단계(S50); 세로폴딩유닛의 구동을 통해 세로판가이드가 종이판재의 Y축 방향 사이즈에 맞게 가변시키는 단계(S60); 접철유닛의 복수개의 접철부를 폴딩된 종이판재의 세로외벽에 인접하도록 가변시키는 단계(S70);를 통해 가변된다.In addition, the variabl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10) varying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eeding belts of the feeding unit through the driving of the X-axis moving unit in both X- A step S20 of vary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eeding belts of the feeding unit through the Y-axis moving unit in the Y-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per sheet material; A step (S30)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feeding belt of the feeding unit through the driving of the Z axis moving unit in the Z axis direction in conformity with the thickness of the paper sheet material; A step (S40) of varying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block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heet material through driving of the upper forming unit; A step (S50) of varying the width plate guides to the size of the paper sheet in the X-axis direction through driving of the horizontal folding unit; A step (S60) of varying the longitudinal plate guid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per sheet in the Y-axis direction through driving of the vertical folding unit; (S70) varying a plurality of folded portions of the folding unit adjacent to a longitudinal outer wall of the folded paper sheet material.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 및 가변방법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folding system and variable method for a sheet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성형을 위해 공급되는 종이판재의 사이즈에 따라 종이판재를 피딩시키는 피딩벨트의 구조와 종이판재를 성형하는 성형블럭의 구조가 X축 및 Y축으로 연동하여 가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접이 시스템으로 다양한 종이판재의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The structure of the feeding belt for feeding the paper sheet material and the structure of the molding block for forming the paper sheet material can be changed by interlocking with the X axis and the Y axi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aper sheet supplied for molding,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of forming various paper sheet materials.
또한, 피딩벨트와 성형블럭의 가변에 따른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변 구조들의 가변이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종이판재의 성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적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eripheral structures are simultaneously changed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feeding belt and the molding block, the molding of the paper sheet material can be stably performed.
또한, 종이판재의 두께가 변경되더라도 종이판재의 소진위치를 감지할 수 있어 종이판재의 공급에 따른 장비가 정지되는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paper sheet material is changed, the exhaustion position of the paper sheet material can be sensed, thereby preventing the equipment from being stopped due to the supply of the paper sheet material.
도 1은 일반적인 종이판재를 나타내는 전개도,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종이판재를 절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 시스템의 감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구성중 가압유닛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도 6의 측면도 및 정면도,
도 10 및 도 11은 감지장치의 구동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 시스템의 피딩벨트 가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
도 14는 도 12에서 Z축승강유닛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평면도,
도 16은 피딩벨트 가변장치의 피딩유닛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측면도로서 X축이동유닛과 Y축이동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피딩벨트 가변장치의 X축이동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9는 피딩벨트 가변장치의 Y축이동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0은 피딩벨트 가변장치의 Z축승강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 시스템의의 성형블럭 가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배면사시도,
도 23 및 도 24는 도 21의 측면도 및 정면도,
도 25는 성형블럭 가변장치의 구성중 상부성형유닛만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저면사시도,
도 27은 성형블럭 가변장치의 구성중 성형블럭이 가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
도 28는 도 21에서 상부성형유닛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29는 도 28 상태에서 셔터유닛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30은 성형블럭 가변장치의 구성중 가로폴딩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31은 성형블럭 가변장치의 구성중 세로폴딩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32는 성형블럭 가변장치의 구성중 접철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33은 피딩벨트 가변장치와 성형블럭 가변장치의 가변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n exploded view of a typical paper sheet,
FIGS. 2 to 4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process of folding the sheet material shown in FIG. 1,
FIG. 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fol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nsing device of a fol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essurizing unit in the configuration of Fig. 6,
Figs. 8 and 9 are a side view and a front view of Fig. 6,
10 and 11 are reference views showing the driving state of the sensing devic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eeding belt variable device of the fol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ide view of Fig. 12,
FIG. 14 is a princip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Z-axis elevating unit is removed in FIG. 12,
Fig. 15 is a plan view of Fig. 14,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eeding unit of the feeding belt variable device,
FIG. 17 is a side view of FIG. 16 showing a state in which an X-axis moving unit and a Y-axis moving unit are combined,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X-axis moving unit of the feeding belt variable device,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Y-axis moving unit of the feeding belt variable device,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Z-axis lifting unit of the feeding belt variable device,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ming block variable device of the fol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21,
23 and 24 are a side view and a front view of Fig. 21,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upper molding uni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molding block variable apparatus,
Fig. 2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25,
27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lding block is vari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molding block variable device;
Fig. 2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forming unit is removed in Fig. 21,
2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shutter unit is removed in the state of FIG. 28,
3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rizontal folding uni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orming block variable device,
3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ical folding uni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orming block variable device,
3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lding uni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orming block variable device,
33 is a flow chart showing a variable process of the feeding belt variable device and the forming block variable devic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ccordingly, the shape of each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400)은, 종이판재(1)가 적층된 상부에 배치되며, 가압유닛(150)이 승강을 통해 상기 종이판재(1)의 상면과 접촉된 상태로 탄성을 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종이판재(1)를 가압하고, 상기 가압유닛(15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종이판재(1)의 인출에 따른 상기 종이판재(1)의 소진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장치(100); 상기 감지장치(10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공급되는 상기 종이판재의 사이즈 및 두께에 맞게 마주하게 배치된 제1,2피딩벨트(219,219") 위치를 X축, Y축 및 Z축으로 가변시켜 상기 종이판재(1)를 피딩시키는 피딩벨트 가변장치(200); 및 상기 감지장치(100)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공급되는 종이판재(1)의 사이즈에 맞게 상기 제1,2성형블럭(313,324)들의 위치를 X축과 Y축 방향으로 가변시켜 상기 종이판재(1)를 성형하는 성형블럭 가변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5, the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종이판재(1)는 다양한 사이즈와 두께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종이상자로 성형되는 것이라면 한정하지는 않는다.Prior to the explanation, the
더하여, 감지장치(100)는 접이 시스템(400)의 종이판재(1) 공급위치에 설치되는 것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또한, 감지장치(100), 피딩벨트 가변장치(200), 성형블럭 가변장치 및 후술하는 감지센서는(180)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미 도시)와 연결되며,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것은 물론이다.Further, the
본 발명의 접이 시스템(40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상 우측에 감지장치(100)가 구비되어 있으며, 감지장치의 하단에는 종이판재(1)가 적층된 리프트(미 부호)가 배치되어 있고, 감지장치(100)의 좌측에는 종이판재(1)를 픽업하는 픽업장치(미 부호)가 구비되어 있으며, 픽업장치의 좌측에는 피딩벨트 가변장치(200)와 성형블럭 가변장치(300)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5, the
도 6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지장치(100)는, 접이 시스템(400)의 가이드봉(20)에 결합되며, 종이판재(1)의 사이즈 변형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종이판재(1)가 적층된 상부에 배치된 수평이동플레이트(110); 상기 수평이동플레이트(110)에 수직방향으로 선택적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이동브라켓(120); 상기 수직이동브라켓(120)에 고정되며 승강로드(141)를 갖는 승강실린더(140); 상기 승강실린더(140)의 승강로드(141) 선단에 설치되어 하강하며, 상기 승강로드(141) 하강시 적층된 상기 종이판재(1)의 상면과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탄성을 통해 상기 종이판재(1)를 가압하는 가압유닛(150); 및 상기 수직이동브라켓(120)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유닛(15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8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6 to 11, the
수평이동플레이트(110)는 리프트(미 도시)에 복수매가 적층된 종이판재(1)의 상부에 배치되며, 판 형상으로 수평방향을 향하는 수평편(111)과 수직방향을 향하는 수직편(112)으로 형성되어 대략적인 "T"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The horizontal moving
수평편(111)은 길이방향 양측이 접이 시스템(400)에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봉(20)에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성형 대상이 되는 종이판재(1)의 사이즈 변형에 따라 가이드봉(20)을 타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후방에는 이동을 위한 손잡이(113)가 구비되어 있다.Each of the
수직편(112)은 수평편(111)에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수직이동브라켓(120)이 고정된다.The
수직이동브라켓(120)은 수평이동플레이트(110)의 수직편(112)에 수직방향으로 선택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The
수직이동브라켓(120)은 후술하는 승강실린더(140)가 고정되는 편평한 면과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판 상의 상측판(121)과, 상측판(121)의 후단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편평한 면과 소정의 넓이를 갖는 상태로 상기 수직편(112)과 밀접하며 수직이동브라켓(120)의 수직방향으로 이동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판면에 수평이동플레이트(110)의 수직편(112)을 관통하여 결합부재(122)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슬롯(123a)이 형성된 후측판(123)과, 후측판(123)의 일측으로부터 상측판(121)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되며 판면에 후술하는 감지센서(180)의 높이가 선택적으로 가변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제2슬롯(124a)이 형성된 일측판(124)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즉, 수직이동브라켓(120)은 후측판(123)에 형성된 제1슬롯(123a)을 통해 결합부재(122)가 결합되도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전체적으로 볼 때 수직이동브라켓(120)이 수평이동플레이트(110)의 수직편(112)을 타고 수직방향으로 이동됨과 함께 결합부재(122)를 통해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That is, the
또한, 감지센서(180)의 설치높이가 제2슬롯(124a)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승강로드(141)의 승강 길이에 따른 회전바(160)의 높이가 변경되더라도 손쉽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또한, 수직이동브라켓(120)에는 후술하는 승강실린더(140)가 고정되기 때문에 승강실린더(140)와 기구적으로 연결된 가압유닛(150)과 감지센서(180)는 수직이동브라켓(120)과 함께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Since the
한편, 도 6과 같이 수평이동플레이트(110)의 수직편(112)에는 수직이동브라켓(120) 상측판(121)의 상측으로 세팅플레이트(130)가 고정되며, 세팅플레이트(130)와 수직이동브라켓(120)의 상측판(121)은 볼트(132)와 너트(133)로 구성된 조절부재(131)를 통해 연결되어 너트(133)의 조절에 의해 수직이동브라켓(120)의 상측판(121)을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6, the setting
즉, 너트(133)의 회전을 통해 상측판(121)에 고정된 볼트(132)를 상승시킴으로써 수직이동브라켓(120)을 수직방향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That is, the
본 실시예에서는 조절부재(131)가 볼트(132)와 너트(133)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다양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구조를 한정하지는 않는다.In this embodiment, the adjusting
승강실린더(140)는 수직이동브라켓(120)의 상측판(121) 저면에 고정되며, 하측에는 하측방향으로 진퇴하는 승강로드(141)가 구비되어 있다.The
가압유닛(150)은 승강실린더(140)의 승강로드(141) 선단에 설치되어 승강실린더(140)의 구동을 통한 승강로드(141)와 함께 하강하며, 승강로드(141) 하강시 적층된 종이판재(1)의 상면과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탄성을 통해 종이판재(1)를 가압하는 것으로, 고정부재(151)와, 회전부재(153)와 회전바(160) 및 탄성부재(165)로 구성된다.The
고정부재(151)는 직사각 판 상의 형상으로 승강로드(141)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부재(151)의 도면상 좌측(도 6 및 도 7)에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돌기(152)가 형성되어 있다.The fixing
회전부재(153)는 고정부재(151) 하측의 회전돌기(15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으로 종이판재(1)의 상면과 접촉하는 접촉롤러(157)가 구비되어 있다.The
위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도록 회전부재(153)에는 고정부재(151)의 회전돌기(152)에 회전핀(155)을 통해 결합되는 회전결합편(154)이 형성되고, 타측 즉 도면상 우측(도 6 및 도 7)에는 종이판재(1)의 상면과 접촉하는 접촉롤러(157)가 결합되는 롤러결합편(156)이 형성되어 있다.In order to apply the above structure, the
즉, 회전부재(153)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51)의 회전돌기(15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적층된 종이판재(1)의 상면을 접촉롤러(157)가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10 and 11, the upper surface of the
회전바(160)는 판 상의 형태로 회전부재(153)로부터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수직이동브라켓(120)의 일측판(124)에 형성된 후술하는 감지센서(180)가 고정되는 제2슬롯(124a)의 위치까지 수직하게 형성되어 회전부재(153)의 회전과 함께 연동하면서 감지센서(180)에 감지된다.The
탄성부재(165)는 고정부재(151)와 회전부재(153) 사이에 개재되며, 회전부재(153)에 탄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며, 이 경우 탄성부재(165)는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한편, 고정부재(151)와 회전부재(153) 사이에 탄성부재(165)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도 7과 같이 회전돌기(152)가 형성된 고정부재(151)의 타측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통슬롯(151a)이 형성되고, 회전부재(153)에는 관통슬롯(151a)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공(158)이 형성되며 관통슬롯(151a)과 탄성부재(165)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결합공(158)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159)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여기서, 관통슬롯(151a)은 도 10과 같이 회전부재(153)가 회전돌기(152)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방향에 따른 고정볼트(159)의 관통슬롯(151a)의 출몰시 간섭이 일지 않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0, the penetrating
따라서, 탄성부재(165)는 승강로드(141) 하강을 통해 접촉롤러(157)가 적층된 종이판재(1)의 상면과 접촉된 후 계속적인 승강로드(141)의 하강이 이루어질 때 회전부재(153)가 탄성부재(165)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승강로드(141)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만일, 승강로드(141)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회전부재(153)의 회동과 탄성부재(165) 없이 접촉롤러(157)를 통해 종이판재(1)로 전달된다면 종이판재(1)의 표면이 심각하게 손상되기 때문에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If the load applied from the lifting
감지센서(180)는 수직이동브라켓(120)의 일측판(124)에 형성된 제2슬롯(124a)에 고정 설치되며, 가압유닛(150) 회전부재(153)의 회전에 따른 회전바(16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 회전바(160)가 감지되면 종이판재(1)가 적층된 리프트의 구동을 정지하고, 회전바(160)가 감지되지 않으면 적층된 종이판재(1)의 상측이 인출에 의해 소진된 것으로 판단하여 리프트 상승을 통해 적층된 종이판재(1)의 상단을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한다.The
이때, 감지센서(180)는 근접센서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회동바의 회전에 따른 검출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리프트 구동의 신속함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바(160)의 감지를 다양한 센서를 통해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센서의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한편, 수평이동플레이트(110)의 수직편(112) 후면에는 적층된 상태로 낱장으로 공급되는 종이판재(1)들의 후면을 정렬시키는 정렬유닛(17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orizontal moving
정렬유닛(170)은 도 6 및 도 8과 같이 수평이동플레이트(110)의 후방에 배치되며 승강하는 정렬로드(172)를 갖는 정렬실린더(171)와, 정렬로드(172) 선단과 결합된 상태로 수직한 판 상으로 형성되며 적층된 종이판재(1)의 후면을 지지하는 정렬바(173),로 구성된다.The aligning
이때, 정렬바(173)의 길이방향 하측 단부는 적층된 종이판재(1)와 반대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안내면(173a)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리프트의 구동에 의해 상승하는 적층된 종이판재(1)의 일부가 흐트러진 상태이더라도 상승과정에서 안내면(173a)의 안내에 의해 정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이하, 감지장치(100)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먼저, 리프트(미 도시)에 복수매가 적층된 종이판재(1)의 상부에 감지장치(100)를 위치시킨다.First, the
이때, 조절부재(131)를 이용하여 수직이동브라켓(120)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적층된 종이판재(1)의 최상층과 승강로드(141)에 의해 하강하는 회전부재(153) 사이의 거리를 세팅한다.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most layer of the laminated
즉, 도 10과 같이 회전부재(153)의 접촉롤러(157)가 종이판재(1)의 표면에 압력을 가할 수 있을 정도의 세팅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10, the setting is such that the
위 세팅에 따른 설정값은 제어장치(미 도시)에 입력되며, 제어장치는 설정값과 감지센서(18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연산하여 종이판재(1)가 적층된 리프트를 승강시키게 된다.The set value according to the above setting is input to a control device (not shown), and the control device receives and computes a set value and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수직이동브라켓(120)의 수직이동이 완료되면, 수평이동플레이트(110)의 손잡이(113)를 파지한 상태로 수평이동플레이트(110)를 도 10의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정렬바(173)가 적층된 종이판재(1)의 후면을 밀어 정렬된 상태로 지지하도록 한다.Whe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이때, 정렬바(173)는 도 10과 같이 정렬실린더(171)의 구동에 의해 하강한 상태이기 때문에 정렬바(173)의 일면이 적층된 종이판재(1)의 후면을 밀어주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aligning
이후, 승강실린더(140)에 의해 가압유닛(150)이 하강하게 된다.Thereafter, the pressurizing
가압유닛(150)의 하강은 적층된 종이판재(1)의 상면에 접촉롤러(157)가 최초 접촉을 이룬 상태에서 접촉롤러(157)의 화살표방향을 따라 도 10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된다.The lowering of the pressurizing
이때, 회전부재(153)는 접촉롤러(157)의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회전돌기(15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접촉롤러(157)가 회전부재(153)의 회전에 의해 종이판재(1)의 상면을 가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동시에, 탄성부재(165)는 도 10과 같이 회전하는 회전부재(153)에 의해 수축되면서 회전부재(153)에 탄성을 부여함으로써 승강로드(141)의 하강압력이 종이판재(1)의 상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At the same time, the
이때, 회전바(160)는 회전부재(153)와 함께 연동되어 도 10과 같이 감지센서(180)에 감지된다.At this time, the
이러게 되면, 감지센서(180)는 감지된 신호를 제어장치로 전송하고, 제어장치에서는 종이판재(1)의 낱장 인출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리프트에 적층된 종이판재(1)의 승강을 진행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이후, 픽커(미 도시)에 의해 적층된 종이판재(1)가 낱장씩 계속적으로 인출되면, 종이판재(1)의 소진에 따른 종이판재(1)의 적층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sheet of
이 과정에서 회전부재(153)는 수축된 탄성부재(165)의 반발력과 인출되는 종이판재(1)에 의해 점진적인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어느 순간 도 11과 같은 상태를 이룸으로써 감지센서(180)를 벗어나게 된다.In this process, the
이러게 되면, 제어장치는 이를 인식하여 리프트를 상측방향으로 구동시키면서 적층된 종이판재(1)의 최상층을 도 10과 같이 위치시킨다.In this case, the control device recognizes this and drives the lift in the upward direction to position the uppermost layer of the
이때, 회전부재(153)는 다시 도 10과 같이 종이판재(1)의 상면을 가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rotating
위의 과정은 회전하는 회전바(160)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80)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리프트에 적층된 종이판재(1)가 모두 소진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진행된다.Since the above process is performed by the
피딩벨트 가변장치(200)는 도 12 내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2피딩벨트(219,219")를 통해 제1,2이동블럭(215,215")이 제1,2수직블럭(212,212")에 수용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메인판(211) 및 제2메인판(211")을 상기 제1,2피딩벨트(219,219")가 마주하도록 상,하로 배치하여 전개된 상태로 공급되는 종이판재(1)의 사이즈 및 두께에 따라 상기 제1,2피딩벨트(219,219")의 위치가 가변되어 종이판재(1)를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210)로 구성된 피딩유닛(220); 상기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210)를 직립상태로 이격되게 지지하며, 상기 수직플레이트(210)의 상기 제1,2수직블럭(212,212")을 X축 양방향으로 각각 연동 이동시키는 X축이동유닛(230); 메인베이스(201)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1,2이동블럭(215,215")의 지지와 함께 상기 제1,2수직블럭(212,212")의 X축 방향 이동시 상기 제1,2이동블럭(215,215")을 가이드 하며, 상기 제1,2이동블럭(215,215")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이동유닛(240); 및 상기 메인베이스(20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X축이동유닛(230)을 지지하며, 마주하는 상기 제1,2피딩벨트(219,219")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메인판(211)을 승강시키는 Z축승강유닛(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eeding belt
즉, 피딩벨트 가변장치(200)는 종이판재(1)가 적층된 리프트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공급되는 종이판재(1)의 X,Y,Z축 사이즈에 대응하여 피딩벨트의 위치를 가변시켜 종이판재(1)를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피딩(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feeding belt
피딩벨트 가변장치(200)의 중심에는 도시하지 않은 픽업장치에 의해 전개된 상태로 공급되는 종이판재(1)를 받아 도면상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피딩유닛(220)이 배치되어 있다.A
또한, 피딩유닛(220)의 양측에는 피딩유닛(220)을 관통하여 구동을 통해 피딩유닛(220)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이동유닛(230)이 배치되어 있다.An X-axis moving
피딩유닛(220)의 양측에는 후술하는 제1,2이동블럭(215,215")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이동유닛(240)이 배치되어 있다.On both sides of the
또한, 피딩유닛(220)의 상측에는 후술하는 제1수직블럭(212)을 Z축 방향으로 승강시킴으로써 피딩유닛(220)의 마주하는 피딩벨트 사이 높이를 가변시키는 Z축승강유닛(250)이 배치되어 있다.A Z-
위의 서술된 구성들을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피딩유닛(220)은 도 12 내지 17과 같이, 전개된 상태로 공급되는 종이판재(1)의 사이즈 및 두께에 맞도록 제1,2피딩벨트(219,219")의 위치가 X축과 Z축으로 가변되어 종이판재(1)를 도면상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210)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2 to 17, the
여기서,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210)는 도 15와 같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공급되는 종이판재(1)의 내면 양측을 제1,2피딩벨트(219,219")로 가압하면서 이송시킨다.Here, the pair of
이하에서는, 각 수직플레이트(210)가 X축 방향으로 설치되고, 수직플레이트(210)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1메인판(211)과 제2메인판(211")이 상,하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210)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명확한 설명을 위해 어느 하나의 수직플레이트(210)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irst
제1메인판(211)은 도 16 및 도 17과 같이 상측에 배치되고 하측으로는 제2메인판(211")이 배치되어 있으며, 제1메인판(211)과 제2메인판(211")은 각각 제1,2수직블럭(212,212")과 상기 제1,2수직블럭(212,212")에 수용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2이동블럭(215,215")으로 구성되고, 제1,2수직블럭(212,212")과 제1,2이동블럭(215,215")은 제1,2피딩벨트(219,219")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The first
이 경우, 제1,2피딩벨트(219,219")는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제1메인판(211)과 제2메인판(211")에 각각 설치되며, 제1,2피딩벨트(219,219")의 회전을 통해 제1,2피딩벨트(219,219") 사이로 종이판재(1)를 피딩(이송)시킨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여기서 제1,2수직블럭(212,212")은, Y축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 상의 형태를 이루면서 도면상 좌측(도 16 참조)에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2구동풀리(214,214")가 설치되며, 외측(도면상 우측)으로부터 제1,2구동풀리(214,214") 측을 향하는 길이방향 중심에는 장방향의 제1,2수용홈(213,213")이 형성되어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이때, 제1,2구동풀리(214,214")는 상기 수직플레이트(210)가 한 쌍으로 구성됨에 따라 마주하는 제1,2구동풀리(214,214")와 축상으로 연결됨은 자명할 것이다.Here, the first and second drive pulleys 214 and 214 'are axi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rive pulleys 214 and 214', respectively, as the
제1,2이동블럭(215,215")은, 일측(도면상 좌측)이 제1,2수직블럭(212,212")의 제1,2수용홈(213,213")에 수용되어 제1,2수용홈(213,213")을 타고 이동하는 제1,2수용편(216,216")과, 타측(도면상 우측)은 제1,2수직블럭(212,212")으로부터 노출되며 길이방향 단부에 제1,2종동풀리(218,218")가 설치된 제1,2노출편(217,217")으로 형성되어있다.The first and second moving
이때, 제1,2수용편(216,216")이 제1,2수용홈(213,213")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제1,2수용편(216,216")과 제1,2수용홈(213,213")은 L/M가이드(L/M)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제1,2피딩벨트(219,219")는, 제1,2수직블럭(212,212")의 제1,2구동풀리(214,214")와 제1,2이동블럭(215,215")의 제1,2종동풀리(218,218")를 연결함으로써, 제1,2구동풀리(214,214")의 회전에 의해 제1,2구동풀리(214,214")와 제1,2종동풀리(218,218")를 돌면서 회전하게 된다.The first and
이때, 제1,2수용편(216,216")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는 제1,2자전풀리(221,221")가 각각 구비되어 제1,2피딩벨트(219,219")가 감겨지며, 제1,2자전풀리(221,221")는 제1,2피딩벨트(219,219")의 여분의 길이를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연장시킴으로써 후술하는 Y축이동유닛(240)에 의해 제1,2이동블럭(215,215")의 Y축 방향 이동시 제1,2피딩벨트(219,219")의 Y축 방향 이동에 따른 길이가 보상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t this time, first and second
즉, 공급되는 종이판재(1)의 사이즈가 Y축 방향으로 커지는 경우, 후술하는 Y축이동유닛(240)에 의해 도 17의 도면상 우측의 일점쇄선과 같이 제1,2이동블럭(215,215")의 이동이 이루어질 때 제1,2자전풀리(221,221")도 함께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이동된 거리 만큼 제1,2피딩벨트(219,219")의 거리가 보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size of the supplied
한편, 수직플레이트(210)의 제1,2수직블럭(212,212")과 제1,2이동블럭(215,215")에는 설치된 제1,2피딩벨트(219,219")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개의 장력조절롤러(미 부호)와, 종이판재(1) 이송시 제1,2피딩벨트(219,219")에 압력을 부여하는 복수개의 아이들(미 부호) 및 후술하는 X축이동유닛(230)을 통한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210)의 이동시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보조연마봉(미 부호)이 구비되는 것은 물론일 것이다.The first and second moving
X축이동유닛(230)은 도 12 내지 18과 같이,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210)를 직립상태로 유지시키면서 공급되는 종이판재(1)의 사이즈에 맞도록 이격되게 지지하며,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210)의 제1,2수직블럭(212,212")을 X축 양방향으로 각각 연동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S. 12 to 18, the
X축이동유닛(230)은, 좌,우 나사가 형성되며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210)의 제1수직블럭(212) 양측에 각각 나사결합된 상태로 관통하여 회전을 통해 한 쌍의 제1수직블럭(212)을 X축 양방향으로 연동시키는 제1좌우나사봉(231) 및 제2좌우나사봉(232)과, 좌,우 나사가 형성되며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210)의 제2수직블럭(212") 양측에 각각 나사결합된 상태로 관통하여 회전을 통해 한 쌍의 제2수직블럭(212")을 X축 양방향으로 연동시키는 제3좌우나사봉(233) 및 제4좌우나사봉(234)과, 제1좌우나사봉(231)과 제2좌우나사봉(232) 및 제3좌우나사봉(233)과 제4좌우나사봉(234)을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체인(235) 및 제2체인(236)과, 제2좌우나사봉(232)과 제3좌우나사봉(233)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제3체인(237),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즉, X축이동유닛(230)은 도 18과 같이 4개의 좌우나사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 17과 같이 제1,2좌우나사봉(231,232)이 각각 제1수직블럭(212)의 양측에 나사결합을 통해 관통된 상태이고, 제3,4좌우나사봉(233,234)이 각각 제2수직블럭(212")의 양측에 나사결합을 통해 관통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18, the
또한, 제1체인(235)이 제1좌우나사봉(231)과 제2좌우나사봉(232)을 연결하고, 제2체인(236)이 제3좌우나사봉(233)과 제4좌우나사봉(234)을 연결하며, 제3체인(237)이 제2좌우나사봉(232)과 제3좌우나사봉(233)을 연결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구동원(미 도시)에 의해 제1좌우나사봉(231)이 회전하면 제1 내지 제4좌우나사봉(234)들이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The
이때, 제1,2메인판(211,211")에는 제1,2,3,4좌우나사봉(231,232,233,234)들이 나사결합되는 위치에 제1,2,3,4좌우나사봉(231,232,233,234)들과 나사결합되는 커플러(239)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2,3,4좌우나사봉(231,232,233,234)들의 회전시 제1,2메인판(211,211")이 제1,2,3,4좌우나사봉(231,232,233,234)들을 타고 각각 X축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한편, 도 18과 같이 제3체인(237)에는 후술하는 Z축승강유닛(250)에 의해 제1좌우나사봉(231)과 제2좌우나사봉(232)의 상하 승강시, 승강에 따른 제2좌우나사봉(232)과 제3좌우나사봉(233) 사이의 이격이 보상될 수 있도록 인장유지부재(238)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좌우나사봉(231)과 제2좌우나사봉(232)의 상하 승강이 이루어지더라도 인장유지부재(238)가 제3체인(237)을 Y축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면서 제3체인(237)의 장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8, the
따라서, X축이동유닛(230)은 제1,2,3,4좌우나사봉(231,232,233,234)들을 연동되게 회전시킴으로써 도 15에 나타낸 화살표 양방향으로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210)를 각각 이동시킴으로써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210) 사이의 거리를 벌리거나 좁히게 된다. 이는, 공급되는 종이판재(1)의 사이즈의 X축 길이가 가변되는 경우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결국 종이판재(1)의 판면을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피딩베트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Y축이동유닛(240)은 도 12 내지 19와 같이, 메인베이스(201)에 고정된 상태로 제1,2이동블럭(215,215")의 지지와 함께 제1,2수직블럭(212,212")의 X축 방향 이동시 제1,2이동블럭(215,215")을 가이드 하며, 제1,2이동블럭(215,215")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제1브라켓(241) 및 제2브라켓(241")과, 제1이동브라켓(243) 및 제2이동브라켓(243")과, 제1,2,3,4연마봉(244a,244b,244c,244d)과, 제1스크류봉(245) 및 제2스크류봉(245")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Y-
도 14 및 도 19와 같이 제1브라켓(241)과 제2브라켓(241")은, 이격된 사이로 2개의 안내봉(242)을 구비한 상태로 2개의 브라켓이 한 조를 이루면서 도면상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210)를 사이에 두고 메인베이스(201)에 마주하게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4 and 19, the
제1이동브라켓(243) 및 제2이동브라켓(243")은, 판 상으로 대략적인 'ㄷ'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안내봉(242)을 타고 Y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브라켓(241)과 제2브라켓(241")의 각 안내봉(24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The first
제1연마봉(244a) 및 제2연마봉(244b)은,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210)의 제1이동블럭(215)의 제1수용편 길이방향 양측을 각각 관통한 상태로 양단부가 제1이동브라켓(243) 및 제2이동브라켓(243")에 결합되어 있다.The
이때, 제1연마봉(244a) 및 제2연마봉(244b)의 양단부는, 후술하는 Z축승강유닛(250)을 통해 제1메인판(211)이 승강할 때 함께 승강할 수 있도록 L/M가이드(L/M)를 통해 제1이동브라켓(243) 및 제2이동브라켓(243")에 Z축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2피딩벨트(219,219")의 마주하는 거리의 가변을 위해 Z축승강유닛(250)을 통해 제1메인판(211)이 승강할 때 함께 제1이동블럭(215)의 승강도 연동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Both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제3연마봉(244c) 및 제4연마봉(244d)은,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210)의 제2이동블럭(215")의 제2수용편(216") 길이방향 양측을 각각 관통한 상태로 양단부가 제1이동브라켓(243) 및 제2이동브라켓(243")에 결합되어 있다.The
제1스크류봉(245) 및 제2스크류봉(245")은, 각각 제1이동브라켓(243)과 제2이동브라켓(243")에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러(239)와 나사결합된 상태로 관통되게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이동브라켓(243) 및 제2이동브라켓(243")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이때 제1스크류봉(245)과 제2스크류봉(245")은, 각 단부가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210)의 제1수직블럭(212)을 관통한 상태로 제1구동모터(255)에 의해 회전하는 X회전축(256)과 각각 베벨기어(B)를 통해 연결되어 X회전축(256)의 회전을 전달받아 연동 회전한다.The
이렇게 되면, X회전축(256)의 회전력이 제1스크류봉(245)과 제2스크류봉(245")에 동시에 전달되기 때문에 제1이동브라켓(243)과 제2이동브라켓(243")은 동시에 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Sinc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이때, 베벨기어(B)와 연결된 제1스크류봉(245)과 제2스크류봉(245") 각 타측은, 제1스크류봉(245) 및 제2스크류봉(245")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베어링을 구비한 별도의 지지부재(미 부호)에 의해 메인베이스(201)에 고정되는 것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제1이동브라켓(243)과 제2이동브라켓(243")의 이동은, 제1,2,3,4연마봉(244a,244b,244c,244d)을 동시에 이동시키기 때문에 도 17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이동블럭(215,215")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러한 제1,2이동블럭(215,215")의 이동은 종이판재(1)의 Y축 방향 사이즈 변형에 따라 달라 지게된다.Therefore,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상기 Z축승강유닛(250)은 도 12 내지 19와 같이, 메인베이스(20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X축이동유닛(230)의 제1좌우나사봉(231)과 제2좌우나사봉(232)을 지지하며, 마주하는 제1,2피딩벨트(219,219") 사이의 거리(높이)가 공급되는 종이판재(1)의 두께에 맞게 조절될 수 있도록 제1메인판(211)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제1,2,3,4슬라이더(251a,251b,251c,251d)와, 제1회전봉(253) 및 제2회전봉(253") 및 구동수단(254)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Z-
도 12 및 도 20과 같이 제1,2,3,4슬라이더(251a,251b,251c,251d)는, 마주한 상태로 메인베이스(201) 양측에 L/M가이드(L/M)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메인판(211)의 제1수직블럭(212)을 관통한 제1좌우나사봉(231)과 제2좌우나사봉(232) 양단부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관통시켜 지지한다.The first, second, third, and
정확하게, 제1슬라이더(251a)와 제2슬라이더(251b)는 한 조로 도면상 좌측에 배치되어 메인베이스(201)에 승강 가능하게 고정되며, 제3슬라이더(251c)와 제4슬라이더(251d)는 각각 제1슬라이더(251a)와 제2슬라이더(251b)에 마주한 상태로 한 조로 이루어져 도면상 우측에 배치되어 메인베이스(201)에 승강 가능하게 고정된다.The
제1회전봉(253) 및 제2회전봉(253")은, 제1슬라이더(251a)와 제2슬라이더(251b) 및 제3슬라이더(251c)와 제4슬라이더(251d) 사이에 각각 Y축 방향으로 복수개의 고정부재(미 부호)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회전을 통해 제1,2,3,4슬라이더(251a,251b,251c,251d)를 승강시킨다.The first
구동수단(254)은 제1회전봉(253)과 제2회전봉(253")에 회전을 부여하는 것으로, 제2구동모터(255)에 의해 구동하며 제1회전봉(253)과 제2회전봉(253") 사이에 배치된 기어박스(256)와, 기어박스(256)에 X축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가 제1회전봉(253)과 제2회전봉(253")에 워엄기어(W)로 연결되어 제1회전봉(253)과 제2회전봉(253")을 연동 회전시키는 제1회전축(257) 및 제2회전축(258),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driving means 254 applies rotation to the
즉, 제2구동모터(255)가 기어박스(256)의 제1회전축(257)과 제2회전축(258)을 회전시키고, 제1회전축(257)과 제2회전축(258)의 회전력이 워엄기어(W)를 통해 제1회전봉(253)과 제2회전봉(253")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제1회전봉(253)과 제2회전봉(253")이 연동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한편, 제1회전봉(253)과 제2회전봉(253")의 회전을 통해 제1,2,3,4슬라이더(251a,251b,251c,251d)가 연동하여 승강하도록, 제1회전봉(253)과 제2회전봉(253")의 양단부와 제1,2,3,4슬라이더(251a,251b,251c,251d)는 베벨기어(B)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각 제1,2,3,4슬라이더(251a,251b,251c,251d)에는 베벨기어(B)의 회전에 따라 제1,2,3,4슬라이더(251a,251b,251c,251d)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슬라이더로부터 돌출되어 베벨기어(B)가 나사결합되는 고정대(259)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econd, third and
따라서 Z축승강유닛(250)은, 구동수단(254)의 구동을 통해 제1,2,3,4슬라이더(251a,251b,251c,251d)를 도 13에 도시된 화살표방향 상,하로 연동시켜 승강하면서 제1수직블럭(2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좌우나사봉(231)과 제2좌우나사봉(232)을 승강시키기 때문에 결국 제1수직블럭(212)도 함께 승강함으로써 공급되는 종이판재(1)의 두께에 맞게 제1,2피딩벨트(219,219")의 마주하는 거리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refore, the Z-
성형블럭 가변장치(300)는 도 21 내지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가변하며, 가로내벽(3b) 양측이 접철된 상태로 가이드 되어 공급된 종이판재(1)의 하면 양측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셔터유닛(330); 상기 셔터유닛(330)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종이판재(1)의 X축 사이즈에 따라 X축 방향으로 가변하며, 상기 종이판재(1) 하강시 상기 종이판재(1)의 양측 가로판(3)과 각 모서리의 제2접철지지체(6)들을 폴딩시키는 가로판가이드(345)와 코너가이드(351)가 구비된 가로폴딩유닛(340); 상기 가로폴딩유닛(34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종이판재(1)의 Y축 사이즈에 따라 Y축 방향으로 가변하며, 하강하는 상기 종이판재(1)의 양측 세로판(4)을 폴딩시키는 세로판가이드(369)가 구비된 세로폴딩유닛(360); 상기 세로폴딩유닛(360)에 결합되어 함께 Y축 방향으로 가변하며, 상기 종이판재(1) 세로판(4)의 높이에 맞게 조절되어 세로내벽(4b)을 폴딩시키는 복수개의 접철부(395)를 구비한 접철유닛(390); 및 상기 셔터유닛(33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2성형블럭(313,324)을 공급된 상기 종이판재(1) 내측 방향에서 4개의 절취선(L)과 인접하게 각각 가변시켜 하강을 통해 상기 종이판재(1)의 상기 가로판(3)과 세로판(4)들의 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부성형유닛(3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1 to 32, the forming block
이하에서, 구조간의 레일결합은 통상의 L/M가이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별도의 부연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rail coupling between structures means a conventional L / M guide, and a further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또한, 후술하는 좌우나사봉들의 양단은 각각 수직벽체들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은 물론이다.Needless to say,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and rear bar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vertical walls.
피딩벨트 가변장치(200)로부터 가로내벽(3b) 양측이 접철된 상태로 공급되는 종이판재(1)는, 도 21의 후방(도면상 우측)을 통해 도 24과 같이 가이드부재(미부호)에 가로외벽(3a)이 안착된 상태로 공급되며, 셔터유닛(330)에 의해 하면이 지지된 상태로 도시하지 않은 유닛에 가로지지체(3c)가 지지되고, 제1,2성형블럭(313,324)에 의해 하강하면서 가로외벽(3a)과 세로외벽(4a)이 폴딩되며, 접철유닛(390)에 의해 세로내벽(4b)과 세로지지체가 접철됨으로써 최종적인 종이상자로 성형된다(종이판재는 도 1 내지 도 4 참조).The
상부성형유닛(310)은 셔터유닛(330)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도면상 하측방향으로 하강하면서 공급된 종이판재(1)의 가로외벽(3a)과 세로외벽(4a)을 폴딩시키는 제1,2성형블럭(313,324)이 구비되어 있다.The
성형유닛의 하부로는 셔터유닛(330)이 배치되어 공급된 종이판재(1)의 하면을 지지한다.A
셔터유닛(330)의 하부 양측에는 가로판가이드(345)와 세로판가이드(369)를 배치하는 가로폴딩유닛(340)과 세로폴딩유닛(360)이 배치되어 있다.A
또한, 세로폴딩유닛(360)에는 종이판재(1)의 세로내벽(4b)을 폴딩시키는 접철유닛(390)이 배치되어 있다.A
이하, 위의 구성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above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부성형유닛(310)은 도 21 내지 도 26과 같이, 셔터유닛(330)의 상부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제1,2성형블럭(313,324)을 공급된 종이판재(1)의 중앙부분(2)을 형성하는 4개의 절취선(L)과 중앙부분(2) 측에서 인접하게 가변시켜 제1,2성형블럭(313,324)의 하강을 통해 중앙부분(2)을 눌러줌으로써 종이판재(1)의 가로판(3)과 세로판(4)들의 폴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upper forming
정확하게는, 이미 공급되는 종이판재(1)의 가로내벽(3b) 양측이 접철된 상태로 공급됨에 따라 제1,2성형블럭(313,324)의 하강을 통해 종이판재(1)의 가로외벽(3a)과 세로외벽(4a)을 중앙부분(2)과 직교되게 폴딩시키는 것이다.The lateral
상부성형유닛(310)은, 한 쌍의 제5좌우나사봉(311)과, 한 쌍의 제1이동프레임(312)과, 한 쌍의 제1성형블럭(313)과, 한 쌍의 제6좌우나사봉(315)과, 한 쌍의 제2이동프레임(318) 및 승강수단(320),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한 쌍의 제5좌우나사봉(311)은, 세로폴딩유닛(36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X회전축(311a)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Y축 방향을 향하도록 베벨기어(B)로 연결되어 회전한다.The pair of fifth left and
즉, 한 쌍의 제5좌우나사봉(311)은 베벨기어(B)를 통해 제1 X회전축(311a)과 연결되고, 제1 X회전축(311a)이 후술하는 세로폴딩유닛(360)의 제2 X회전축(363)과 제5체인(319)을 통해 연결된 상태임에 따라, 제5체인(319)의 회전이 발생하면 제1 X회전축(311a)도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베벨기어(B)의 회전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는 것이다.That is, the pair of fifth right and
한 쌍의 제1이동프레임(312)은, 양측이 한 쌍의 제5좌우나사봉(311)을 타고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제5좌우나사봉(311) 회전시 Y축 양방향으로 각각 이동하게 된다.The pair of first moving
이때 한 쌍의 제1이동프레임(312)은 제5좌우나사봉(311)의 회전시 제5좌우나사봉(311)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프레임들에 레일결합됨은 물론일 것이다.In this case, the pair of first moving
더하여 제1이동프레임(312)의 이동은, 제5좌우나사봉(311)을 타고 Y축 양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후술하는 한 쌍의 제1성형블럭(313)을 공급되는 종이판재(1)의 Y방향의 절취선(L) 사이즈에 맞춰지도록 가변시키기 위함인 것이다.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한 쌍의 제1성형블럭(313)은 도 25 및 도 26과 같이, 한 쌍의 제1이동프레임(312)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각각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측에 구비된 제3실린더(314)의 구동에 의해 승강한다.25 and 26, the pair of first molding blocks 313 are install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s of the pair of first moving
즉, 한 쌍의 제1성형블럭(313)은 제1이동프레임(312)의 이동에 따라 가변된 상태에서 하강하면서 종이판재(1)의 Y축 방향의 절취선(L)과 인접하게 중앙부분(2)을 누르게 된다.That is, the pair of first molding blocks 313 descend in a variable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이때, 제1성형블럭(313)은 하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이동프레임(312)에 레일결합 됨은 물론이다.In this cas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forming
한 쌍의 제6좌우나사봉(315)은 도 26과 같이, 제5좌우나사봉(311)의 하측에서 한 쌍의 제5좌우나사봉(311)과 교차된 상태로 X축 방향을 향하면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제3구동모터(316)의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As shown in FIG. 26, a pair of sixth right and
그리고, 한 쌍의 제6좌우나사봉(315)의 단부측은 제3구동모터(316)의 구동에 의해 서로 연동 회전할 수 있도록 제4체인(317)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The end portions of the pair of sixth left and
한 쌍의 제2이동프레임(318)은 도 26과 같이, 각각 양측이 한 쌍의 제6좌우나사봉(315)을 타고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제3구동모터(316)의 구동에 의한 제6좌우나사봉(315) 회전시 각각 X축 양방향으로 이동한다.As shown in FIG. 26, the pair of second moving
제2이동프레임(318)의 이동은, 제6좌우나사봉(315)을 타고 X축 양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후술하는 제2성형블럭(324)들이 공급되는 종이판재(1)의 X방향의 절취선(L) 사이즈에 맞춰지도록 가변시키기 위함인 것이다.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승강수단(320)은 도 25 및 도 26과 같이 제1이동프레임(312)의 상측에 배치되어 복수개로 이루어진 제2성형블럭(324)을 X축과 Y축으로 가변시키며 가변된 상태에서 제2성형블럭(324)들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하강바(321)와, 한 쌍의 헹거레일(323)과, 한 쌍의 제2성형블럭(324)과, XY슬라이더(326)로 구성되어 있다.25 and 26, the elevating means 320 varies a plurality of second molding blocks 324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moving
하강바(321)는 상측에 하강모터(322)가 구비고 수직한 상태로 이격된 한 쌍의 직립대(327)를 연결하며 하강모터(322)의 구동에 의해 직립대(327)를 타고 하강한다.The lowering
한 쌍의 직립대(327)는,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프레임들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며, 하강바(321)는 두 개의 직립대(327)를 서로 연결한 상태에서 직립대(327) 내부에 설치되어 하강모터(32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밸트(미 도시)에 연결되어 회전밸트의 회전에 따라 하강 또는 상승하게 된다.The pair of upright stands 327 are fixedly mounted on separate frames not shown and the
한 쌍의 헹거레일(323)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하강바(321)와 교차된 상태로 하강바(321)의 하부와 레일결합되어 X축 양방향으로 이동한다.The pair of
한 쌍의 제2성형블럭(324)은 한 쌍의 헹거레일(323)에 각각 레일결합되어 Y축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수직레일(325) 하단에 구비되어 있다.The pair of second molding blocks 324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a pair of
즉, 하나의 헹거레일(323)에 2개의 수직레일(325)이 구비되고, 각 수직레일(325) 하단에 하나의 제2성형블럭(324)이 구비됨에 따라 결국 4개의 수직레일(325)에 4개의 제2성형블럭(324)이 구비된 것이다.That is, two
XY슬라이더(326)는 수직레일(325)을 승강 가능하게 고정하며 일측과 타측이 각각 제1이동프레임(312)과 제2이동프레임(318)에 레일결합되어 제1,2이동프레임(312,318)의 이동에 따라 제2성형블럭(324)을 X축과 Y축으로 이동시킨다.The
즉 4개의 제2성형블럭(324)을 종이판재(1)의 사이즈에 맞도록 가변시키는 것이다.That is, the four second molding blocks 324 are varied to fit the size of the
위와 같은 승강수단(320)은, 헹거레일(323)과 수직레일(325)이 연결되고, 수직레일(325)이 XY슬라이더(326)에 승강할 수 있도록 고정되며, XY슬라이더(326)가 각각 제1,2이동프레임(312,318)에 L/M가이드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제1,2이동프레임(312,318)의 X,Y축 방향 이동시 XY슬라이더(326)가 각각 X,Y방향으로 이동하면서 4개의 제2성형블럭(324)의 위치를 공급되는 종이판재(1)의 절취선(L)에 일치되게 가변시키는 것이다.The elevating means 320 is connected to the
더불어, 제1이동프레임(312)의 제1성형블럭(313)의 가변도 함께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irst forming
따라서, 세로폴딩유닛(360)은 도 27과 같이 제1,2성형블럭(313,324)의 위치를 공급되는 종이판재(1)의 사이즈에 맞게 가변시킨 후, 하강바(321)에 의해 하강하는 제1,2성형블럭(313,324)에 의해 종이판재(1)의 가로판(3)과 세로판(4)의 폴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27, the
셔터유닛(330)은 도 28과 같이 X축 방향으로 가변하며, 가로내벽(3b) 양측이 접철된 상태로 가이드 되어 공급된 종이판재(1)의 하면 양측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유지한 상태로 마주하게 한 쌍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지지셔터(331)와, 제4실린더(332) 및 각도유지부재(333)로 구성되어 있다.28, the
지지셔터(331)는, 서로 마주한 상태로 이격되어 있으며,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The
제4실린더(332)는, 지지셔터(331)의 후방으로 지지셔터(331)와 동일한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결합되며, 지지셔터(331)를 종이판재(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부여한다.The
이때, 제4실린더(332)는 지지셔터(331)의 출몰을 위해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은 물론이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한 쌍의 각도유지부재(333)는, 가로폴딩유닛(340)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셔터(331)의 각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셔터(331)의 길이방향 양단과 각각 레일결합된다.The pair of
이때, 각도유지부재(333)는 후술하게 되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이동프레임(342)의 제1관통결합편(343)에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셔터유닛(330)은 제4실린더(332)를 통해 지지셔터(331)를 종이판재(1)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출몰시킴으로써, 지지셔터(331)가 종이판재(1)의 하면 즉 절취선(L)과 인접한 위치에 최소한의 면으로만 지지되게 하고, 후공정을 위해 종이판재(1)의 하면으로부터 신속한 퇴출(복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또한, 셔터유닛(330)의 한 쌍의 지지셔터(331)는 각도유지부재(333)들이 한 쌍의 제3이동프레임(342)의 제1관통결합편(343)에 고정됨에 따라 가로폴딩유닛(340)의 구동에 따라 함께 연동하게 된다.The pair of supporting
가로폴딩유닛(340)은, 도 28 내지 도 30과 같이 상측방향으로 셔터유닛(330)을 지지한 상태로 공급되는 종이판재(1)의 X축 사이즈에 따라 X축 방향으로 가변한다.The
또한, 상부성형유닛(310)의 제1,2성형블럭(313,324)의 하강에 의한 종이판재(1) 하강시 종이판재(1)의 양측 가로판(3)과 각 모서리의 제2접철지지체(6)들을 폴딩시키기 위한 가로판가이드(345)와 코너가이드(351)가 구비되어 있다.When the
가로폴딩유닛(340)은, 한 쌍의 제7좌우나사봉(341)과, 한 쌍의 제3이동프레임(342)과, 한 쌍의 가로판가이드(345)와, 4개의 성형유지부재(350)를 포함한다.The
한 쌍의 제7좌우나사봉(341)은, X축 방향을 향하면서 Y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성형유닛(310)의 한 쌍의 제6좌우나사봉(315) 중 어느 하나의 제6좌우나사봉(315)과 제6체인(346)으로 연결되어 제6좌우나사봉(315)의 동력(회전력)을 전달받아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A pair of seventh right and left
이때, 한 쌍의 제6좌우나사봉(315)은 도 28과 같이 각각 하측방향으로 향하는 별도의 체인(미 부호)과 더블 스프라켓(미 부호)에 의해 연결된 제7체인(347)을 통해 연동 회전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air of sixth right and left
한 쌍의 제3이동프레임(342)은, 양측이 한 쌍의 제7좌우나사봉(341)을 타고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제7좌우나사봉(341) 회전시 X축 양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벌이거나 줄일 수 있도록 각각 이동한다. The pair of third moving
이때, 제3이동프레임(342) 양측에는 한 쌍의 제7좌우나사봉(341)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제7좌우나사봉(341)과 관통되게 나사결합되는 제1관통결합편(343)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At this time, a first
한편, 각 제3이동프레임(342)에는 제1관통결합편(343) 사이로 제3이동프레임(3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면이 형성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로판가이드(34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Each of the third moving
가로판가이드(345)와 후술하는 세로판(4) 가이드의 하향 경사면은 종이판재(1)의 하강시 가로외벽(3a)과 세로외벽(4a)의 폴딩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The downward inclined planes of the
더하여, 제1관통결합편(343) 사이에는 제1관통결합편(343)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5연마봉(344)이 구비되어 있다. 이 제5연마봉(344)은 후술하는 성형유지부재(350)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한 쌍의 성형유지부재(350)는, 각 가로판가이드(345)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코너가이드(351)와 각각 연결되며, 제1,2성형블럭(313,324)에 의해 하강하면서 가로판(3)과 세로판(4)이 폴딩된 종이판재(1)의 가로판(3) 폴딩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pair of
여기서, 성형유지부재(350)는 도 30과 같이 각 가로판가이드(345)에 2개가 한 쌍으로 구성됨에 따라 결국 4개를 의미하며, 각 성형유지부재(350)와 연결된 코너가이드(351)도 4개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0, the
4개의 코너가이드(351)는 종이판재(1)의 하강시 종이판재(1)의 모서리에 형성된 제2접철지지체(6)와 접촉하면서 제2접철지지체(6)를 폴딩시키는(세우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4개의 성형유지부재(350)의 위치가 가변되면 코너가이드(351)의 위치도 함께 가변된다.The four corner guides 351 serve to fold the
위와 같은 각 성형유지부재(350)는, 지지플레이트(352)와, 평면플레이트(353)와, 취출실린더(354)를 포함한다.Each of the above-described
지지플레이트(352)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판 상으로, 일측에는 코너가이드(351)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제5연마봉(344)에 끼워져 제5연마봉(344)을 타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A
평면플레이트(353)는, 지지플레이트(352)와 직교하게 교차된 상태로 코너가이드(351)의 하측에 구비되어 폴딩된 종이판재(1)의 가로판(3)과 면 접촉을 이루고, 일측이 후술하는 접철유닛(390)의 연결브라켓(397)과 레일결합을 통해 연결되며, 후술하는 세로폴딩유닛(360)의 제6연마봉(367)에 관통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취출실린더(354)는 지지플레이트(352)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접철유닛(390)에 의해 최종적으로 성형 완료된 종이판재(1)의 상측 단부로 걸림돌기(355)를 출몰시키고, 이 상태에서 취출실린더(354)의 구동을 통해 걸림돌기(355)를 하강시켜 성형된 종이판재(1)를 4개의 성형유지부재(350) 사이로부터 낙하시킨다.The take-out
위와 같은 성형유지부재(350)는, 지지플레이트(352)가 제5연마봉(344)에 결합되고 평면플레이트(353)가 접철유닛(390)의 연결브라켓(397)에 레일결합됨에 따라, 제3이동프레임(342)의 X축 방향 이동과 세로폴딩유닛(360)의 제4이동프레임(364) 이동에 의해 4개의 성형유지부재(350)가 동시에 X축과 Y축 방향으로 이동(가변)하게 된다.The above-described
세로폴딩유닛(360)은, 도 22, 도 23, 도 28 및 도 31과 같이 가로폴딩유닛(340)의 하측에 배치되어 종이판재(1)의 Y축 사이즈에 따라 Y축 방향으로 가변하며, 상부성형유닛(310)의 제1,2성형블럭(313,324)에 의해 하강하는 종이판재(1)의 양측 세로판(4)을 폴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한 쌍의 제8좌우나사봉(361)과, 한 쌍의 제4이동프레임(364)과, 한 쌍의 세로판가이드(369)를 포함한다.The
한 쌍의 제8좌우나사봉(361)은, 제4구동모터(36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2 X회전축(363)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Y축 방향을 향하면서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베벨기어(B)로 제2 X회전축(363)과 연결되어 연동하여 회전한다.A pair of eighth right and left
한 쌍의 제4이동프레임(364)은, 길이방향 양측이 한 쌍의 제8좌우나사봉(361)을 타고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제8좌우나사봉(361) 회전시 Y축 양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는 것으로 제2관통결합편(365)과, 세로플레이트(366)와, 안착편(368)을 포함한다.The pair of fourth moving
제2관통결합편(365)은, 도 31과 같이 각 제8좌우나사봉(361)을 타고 이동가능하게 제8좌우나사봉(361)에 결합되어 있으며, X축 방향으로 2개가 한 조를 이루고 있다.As shown in Fig. 31, the second through
세로플레이트(366)는, 각 제2관통결합편(365)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측 단부에는 세로판가이드(369)가 결합되고, 일측에는 제6연마봉(367)이 결합되어 있다.The
상기의 제6연마봉(367)은 앞서 서술된 바와 같이 성형유지부재(350)의 X축 방향 이동을 가이드한다.The sixth polishing bar 367 guides the movement of the forming and holding
안착편(368)은, 도 31과 같이 소정의 높이를 갖는 판 상의 형태로, 세로플레이트(366)의 소정의 높이에 세로플레이트(366)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안착편(368)에는 후술하는 접철유닛(390)의 연동플레이트(391)가 고정 결합된다.As shown in Fig. 31, the
더하여, 한 쌍의 세로판가이드(369)는 소정의 길이로 제4이동프레임(364)의 한 쌍의 세로플레이트(366)를 서로 연결하도록 각각 설치되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vertical plate guides 369 are respectively installed to connect the pair of
한편 제4이동프레임(364)의 제2관통결합편(365)의 상면으로는, 높이조절장치(370)와, 지지장치(380)가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높이조절장치(370)는 제4이동프레임(364)에 고정된 상태로 연동하면서 접철유닛(390)의 접철부(395)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한 쌍의 제1각봉(371)과, 한 쌍의 제1기어박스(374)와, 승강플레이트(375)로 구성되어 있다.The
한 쌍의 제1각봉(371)은, 제5구동모터(37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3 X회전축(373)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Y축 방향을 향하면서 X축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베벨기어(B)로 연결되어 회전한다.The pair of first
이때, 한 쌍의 제1각봉(371)은 일측(도면상 우측)이 수직벽체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도면상 좌측)은 배출캐비티(388)에 의해 지지된다.At this time, one pair of first
배출캐비티(388)에는 성형 완료된 종이상자가 배출되는 배출구(미 부호)가 형성되어 있다.A discharge port (not shown) through which the formed paper box is discharged is formed in the
또한, 한 쌍의 제1각봉(371)은 연동할 수 있도록 도 31과 같이 제8체인(376)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In addition, a pair of first
한 쌍의 제1기어박스(374)는 제1각봉(371)이 각각 관통된 상태로 제4이동프레임(364)의 제2관통결합편(365)에 고정되며, 제1각봉(371)의 회전력을 내부에 구비된 베벨기어(B)(미 도시)를 통해 교차하는 축(미 부호)을 도면상 상측 방향으로 출력시킨다.The pair of
여기서 제1기어박스(374)는, 한 쌍으로 각 제1각봉(371)의 양단에 구비됨에 따라 총 4개의 제1기어박스(374)가 각 제2관통결합편(365)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Here, the
승강플레이트(375)는, X축 방향으로 향하면서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1기어박스(374)의 축과 연결된 상태로 후술하는 접철유닛(390)의 접철부(395)의 저면에 배치되어 제1각봉(371)의 구동에 의해 접철부(395)의 높이를 승강시킨다.The lifting
높이조절장치(370)의 승강플레이트(375)를 통해 접철부(395)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은, 공급되는 종이판재(1)의 사이즈가 변경되면 가로판(3)과 세로판(4)의 높이 또한 달라지기 때문에 그에 대응하기 위해서이다.The adjustment of the height of the folded-
지지장치(380)는, 제4이동프레임(364)에 고정된 상태로 연동하면서 하강하는 종이판재(1)의 저면을 선택적으로 받쳐주는 것으로, 한 쌍의 제2각봉(381)과, 한 쌍의 제2기어박스(384)와, 고정판(385)과, 지지판(386)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supporting
한 쌍의 제2각봉(381)은, 배출캐비티(388)에 구비된 제6구동모터(38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4 X회전축(383)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Y축 방향을 향하면서 X축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베벨기어(B)로 연결되어 회전한다.The pair of second
이때, 한 쌍의 제2각봉(381)의 일측은 도면상 우측의 수직벽체에 의해 지지 된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pair of second
한 쌍의 제2기어박스(384)는 제2각봉(381)이 각각 관통된 상태로 제4이동프레임(364)의 제2관통결합편(365)에 고정되며, 제2각봉(381)의 회전력을 내부에 구비된 베벨기어(B)(미 도시)를 통해 교차하는 축(미 부호)을 도면상 상측 방향으로 출력시킨다.The pair of
여기서 제2기어박스(384)는, 제1기어박스(374)와 같이 4개가 배치된다.Here, the
고정판(385)은 X축 방향으로 길이방향 양단이 각각 제2기어박스(384)의 축과 연결되어 고정된다.Both ends of the fixing
지지판(386)은 고정판(385)에 레일결합을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후방에 설치된 이동실린더(387)에 의해 이동하면서 가로내벽(3b)과 세로내벽(4b)이 폴딩된 종이판재(1)의 저면을 X축 방향 양측에서 지지한다.The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세로폴딩유닛(360)은, 한 쌍의 제8좌우나사봉(361)의 회전을 통해 제4이동프레임(364)을 Y축 양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공급되는 종이판재(1) 세로외벽(4a)의 절취선(L)에 인접하게 세로판가이드(369)를 가변시키고, 높이조절장치(370)를 통해 종이판재(1)의 가로판(3)과 세로판(4)의 높이에 대응하여 접철부(395)의 높이를 조절하며, 지지장치(380)를 통해 폴딩된 종이판재(1)의 저면을 선택적으로 지지한다.The
접철유닛(390)은 도 28, 도 29 및 도 32와 같이, 양측이 세로폴딩유닛(360)의 제4이동프레임(364)에 결합되어 제4이동프레임(364)의 이동시 함께 Y축 방향으로 가변(이동)하며, 종이판재(1) 세로판(4)의 높이에 맞게 조절되어 세로내벽(4b)을 폴딩시키는 복수개의 접철부(395)를 구비하고 있으며, 연동플레이트(391)와, 'ㄷ'형이동바(392)와, 접철부(395)와, 연결브라켓(397)으로 구성된다.28, 29, and 32, the
연동플레이트(391)는, 제4이동프레임(364)의 세로플레이트(366)에 구비된 안착편(368)과 결합되어 제8좌우나사봉(361)의 회전에 따른 제4이동프레임(364)의 이동에 따라 Y축 방향으로 연동하여 이동한다.The interlocking
'ㄷ'형이동바(392)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연동플레이트(391)에 레일결합을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방에 구비된 제7구동모터(393)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32, the 'C' -shaped
복수개의 접철부(395)는, 'ㄷ'형이동바(392)에 X축 방향으로 결합된 볼스플라인(394)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급되는 종이판재(1)의 Y방향 사이즈 변경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며, 간격이 조절된 상태로 제8구동모터(396)에 의한 볼스플라인(394)의 회전시 종이판재(1)의 세로내벽(4b)을 폴딩시킨다.The plurality of folded-back
여기서 접철부(395)는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제10-1102839호에 개시된 구조와 동일함에 따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연결브라켓(397)은, 복수개 접철부(395) 중 최 외측의 접철부(395)에 각각 고정되어 접철부(395)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더하여, 연결브라켓(397)은 앞서 서술된 성형유지부재(350)의 평면플레이트(353)와 레일결합되며, 제4이동블럭의 Y축 방향 이동시 연동플레이트(391)도 함께 연동하기 때문에 성형유지부재(350)도 함께 이동시킨다.In addition, since the
여기서, 제7구동모터(393)와 제8구동모터(396)는 이동에 따른 정밀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서보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since the
이하, 본 발명 접이 시스템의 피딩벨트 가변장치와 성형블럭 가변장치의 가변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feeding belt variable device and the variable block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에 앞서, 후술하는 단계들은 동시 또는 개별로 가변될 수 있기 때문에 가변순번을 한정하지 않으며, 설명에서는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steps described below are not limited to variable order numbers because they can be varied simultaneously or individually, and are described concurrently in the description.
X축이동유닛(230)의 구동을 통해 피딩유닛(220)의 제1,2피딩벨트(219,219")의 위치를 종이판재(1)의 사이즈에 맞게 X축 양방향으로 가변시키는 단계(S10)를 거친다.The step S10 of varying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먼저, 공급대상인 전개된 종이판재(1)의 X축과 Y축 방향으로의 사이즈와 두께를 확인하여 제어장치에 기 입력된 메뉴를 선택한다.First,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expanded
종이판재(1)의 X축 방향 사이즈가 변경된 경우, X축이동유닛(230)은 제1좌우나사봉(231)을 회전시킨다.When the size of the
제1좌우나사봉(231)의 회전은 제1체인(235)을 통해 제2좌우나사봉(232)으로 전달되고, 제2좌우나사봉(232)의 회전은 제3체인(237)을 통해 제3좌우나사봉(233)으로 전달되며, 제3좌우나사봉(233)의 회전은 제2체인(236)을 통해 제4좌우나사봉(234)을 회전시키게 된다.The rotation of the first right and left
즉, 제1,2,3,4좌우나사봉(231,232,233,234)들이 동시에 연동회전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and fourth left and
이렇게 되면,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210)는 각각 제1,2,3,4좌우나사봉(231,232,233,234)들의 회전에 의해 도면상 X축 양방향으로 좌우나사봉들을 타고 메뉴에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하면서 종이판재(1)의 X축 방향에 대한 사이즈에 맞게 세팅을 완료한다(도 15의 화살표 참조).In this way, the pair of
이때, 각 수직플레이트(210)의 제1,2피딩벨트(219,219")의 위치는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210)의 이동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상태이다. 즉 제1,2피딩벨트(219,219")는 대상이 되는 종이판재(1)의 양측에 구비된 가로판과 인접하는 중앙부의 일측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이후, 종이판재(1)의 Y축 방향 사이즈가 변경된 경우, Y축이동유닛(240)의 구동을 통해 피딩유닛(220)의 제1,2피딩벨트(219,219")의 위치를 종이판재(1)의 사이즈에 맞게 Y축 방향으로 가변시키는 단계(S20)를 거친다.When the Y-axis direction size of the
먼저, Y축이동유닛(240)은 제1구동모터(255)를 구동시켜 X회전축(256)을 회전시킨다.First, the Y-
X회전축(256)의 회전은 베벨기어(B)로 연결된 제1,2스크류봉(245,245")을 연동 회전시키고, 제1,2스크류봉(245,245")의 회전에 의해 제1,2이동브라켓(243,243")이 도면상 Y축 방향으로 제1,2스크류봉(245,245")을 타고 연동하여 이동하게 된다.The rotation of the
동시에, 제1,2이동브라켓(243,243")의 제1,2,3,4연마봉(244a,244b,244c,244d)에 결합된 제1,2이동블럭(215,215")도 함께 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first and second moving
이때, 제1,2이동블럭(215,215")의 이동은 종이판재(1)의 Y축 방향에 대한 사이즈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지게 되며, 사이즈에 도달하면 세팅을 완료하면서 Y축이동유닛(240)은 구동을 멈춘다(도 17의 화살표 참조).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moving
이와 동시에 종이판재(1)의 두께에 변경이 있을 경우, Z축이동유닛(250)의 구동을 통해 피딩유닛(220)의 제1피딩벨트(219)의 위치를 종이판재(1)의 두께에 맞게 Z축 방향으로 가변시키는 단계(S30)를 거친다.At the same time, when the thickness of the
먼저, 제2구동모터(255)를 구동시켜 기어박스(256) 양측의 제1,2회전축(257,258)을 회전시킨다.First, the
이때, 제1,2회전봉(253,253")은 제1,2회전축(257,258)의 회전력을 워엄기어(W)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또한, 제1,2회전봉(253,253")의 회전은 제1,2회전봉(253,253")의 양단부와 제1,2,3,4슬라이더(251a,251b,251c,251d)에 구비된 베벨기어(B)를 통해 제1,2,3,4슬라이더(251a,251b,251c,251d)를 승강시킨다.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이때, 제1,2,3,4슬라이더(251a,251b,251c,251d)의 승강은 제1,2,3,4슬라이더(251a,251b,251c,251d)에 설치된 제1,2좌우나사봉(231,232)을 함께 승강시키기 때문에 결국 제1,2좌우나사봉(231,23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수직블럭(212)을 승강시키게 된다. 즉 마주하는 제1피딩벨트(219)와 제2피딩벨트(219")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거나 줄이는 것이다.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제1,2,3,4슬라이더(251a,251b,251c,251d)의 승강은 제1피딩벨트(219)와 제2피딩벨트(219")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종이판재(1)의 두께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지게 되며, 도달되면 Z축승강유닛(250)은 구동을 멈춘다.The lifting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한편, X축이동유닛(230), Y축이동유닛(240) 및 Z축승강유닛(250)의 구동은 종이판재(1)의 변경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유닛만을 구동될 수도 있으며, 종이판재(1)의 사이즈 및 두께가 모두 변경되는 경우 X축이동유닛(230), Y축이동유닛(240) 및 Z축승강유닛(250)이 전부 구동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The driving of the
X축이동유닛(230), Y축이동유닛(240) 및 Z축승강유닛(250)의 가변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부성형유닛(310)의 구동을 통해 제1,2성형블럭(313,324)의 위치를 종이판재(1)의 사이즈에 맞게 가변시키는 단계(S40)를 거친다.The X
먼저, 제4구동모터(362)의 구동에 의해 제5체인(319)과 연결된 제1 X회전축(311a)이 회전하게 된다.First, by driving the
제1 X회전축(311a)에 의해 한 쌍의 제5좌우나사봉(311)이 회전하면서 한 쌍의 제1이동프레임(312)을 Y축 양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The first
이때, 한 쌍의 제1성형블럭(313)은 도 27의 (b)와 같이 종이판재(1)의 Y축 방향의 절취선(L)과 인접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air of first molding blocks 313 are mov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perforated line L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그리고, 한 쌍의 제1이동프레임(312)의 이동시 각 제1이동프레임(312)에 연결된 4개의 XY슬라이더(326)도 함께 각각 Y축 양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four
이와 동시에 제4구동모터(362)의 구동과 함께 제3구동모터(316)도 구동한다.At the same time, the
제3구동모터(316)의 구동에 의해 한 쌍의 제6좌우나사봉(315)이 회전하면서 한 쌍의 제2이동프레임(318)을 X축 양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By driving the
이때, 한 쌍의 제2성형블럭(324)은 제2이동프레임(318)의 이동에 따라 제1이동프레임(312)의 레일을 타고 도 27의 (b)와 같이 종이판재(1)의 X축 방향의 절취선(L)과 인접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air of second molding blocks 324 ride on the rails of the first moving
위의 과정은 제1,2이동프레임(312,318)이 동시에 X,Y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2성형블럭(313,324)의 이동 또한 도 27의 (b)와 같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As the first and second moving
여기서, 헹거레일(323)과 수직레일(325)은 제1,2성형블럭(313,324)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Here, the
이러게 제1,2성형블럭(313,324)의 위치가 가변되면, 직립대(327)의 하강모터(322)가 구동하면서 하강바(321)를 하강시킨다.When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blocks 313 and 324 are changed, the lowering
하강바(321)의 하강에 따라 헹거레일(323)과 수직레일(325)이 함께 하강하게 되고, 이때 XY슬라이더(326)는 하강하는 수직레일(325)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The
더하여, 제1,2성형블럭(313,324)은 셔터유닛(330)의 상부로 공급된 종이판재(1)의 절취선(L)의 인접부위를 누르면서 하강하기 때문에, 종이판재(1)를 하측에 배치된 4개의 성형유지부재(350)의 내부로 인입시킨다.The first and second molding blocks 313 and 324 are moved down while pressing the adjacent portion of the perforated line L of the
이 과정에서, 종이판재(1)의 가로외벽(3a)과 세로외벽(4a)은 가로폴딩유닛(340)의 가로판가이드(345)와 세로폴딩유닛(360)의 세로판가이드(369)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90도 각도로 폴딩된다.The lateral
동시에, 제1,2성형블럭(313,324)의 가변과 함께 가로폴딩유닛(340)의 구동을 통해 가로판가이드(345)가 종이판재(1)의 X축 방향 사이즈에 맞게 가변시키는 단계(S50)을 거친다.At the same time, the step S50 of varying the
먼저, 제6체인(346)과 연결된 한 쌍의 제7좌우나사봉(341)이 회전한다.First, a pair of seventh right and left
상기 제7좌우나사봉(341)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제3이동프레임(342)은 도면상 X축 양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By the rotation of the seventh right and left
이때, 한 쌍의 가로판가이드(345)도 함께 이동이 이루어지며, 가로판가이드(345)의 이동거리는 종이판재(1)의 X축 방향 사이즈 즉 종이판재(1)의 X축 방향 절취선(L)까지 이동한다.At this time, the pair of transverse plate guides 345 move together,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동시에, 4개의 성형유지부재(350) 또한 제3이동프레임(342)의 이동에 따라 X축 양방향으로 이동됨 함께, 세로폴딩 유닛의 제4이동프레임(364)의 이동에 따라 Y축 양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성형유지부재(350)의 종이판재(1)를 향한 일면이 도 11의 (b)와 같이 종이판재(1)의 4개의 절취선(L) 라인과 일치된다.At the same time, the four
이렇게 4개의 성형유지부재(350)가 가변되면 코너가이드(351)는 자연스럽게 종이판재(1) 모서리의 제2접철지지체(6)의 위치에 배치된다.When the four
더하여, 가로폴딩유닛(340)의 가변과 함께 세로폴딩유닛(360)의 구동을 통해 세로판가이드(369)가 종이판재(1)의 Y축 방향 사이즈에 맞게 가변시키는 단계(S60)을 거친다.In addition, a step S60 is performed in which the
먼저, 제5체인(319)과 연결된 한 쌍의 제8좌우나사봉(361)이 회전한다.First, a pair of eighth left and
상기 제8좌우나사봉(361)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제4이동프레임(364)은 도면상 Y축 양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By the rotation of the eighth right and left
이 경우, 한 쌍의 세로판가이드(369)도 함께 이동이 이루어지며, 이때 세로판가이드(369)의 이동거리는 종이판재(1)의 Y축 방향 사이즈 즉 종이판재(1)의 Y축 방향 절취선(L)까지 이동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이와 동시에, 상부성형유닛(310)의 제1,2성형블럭(313,324)에 의해 하강하는 종이판재(1)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지지장치(380)의 지지판(386)을 가변시키는 단계를 더 거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supporting
먼저, 제6구동모터(382)를 통해 제4 X회전축(383)을 구동시킨다.First, the fourth
이렇게 되면, 제4 X회전축(383)과 베벨기어(B)로 연결된 한 쌍의 제2각봉(381)이 회전하게 된다.The pair of second
제2각봉(381)의 회전에 의해 제2기어박스(384)의 상측으로 연결된 고정판(385)이 상승하게 된다.The fixing
고정판(385)의 상승은 종이판재(1)의 가로내벽(3b)과 세로내벽(4b)의 높이에 따라 결정된다.The rise of the fixing
고정판(385)이 상승되면, 이동실린더(387)가 구동하여 지지판(386)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세로내벽(4b)과 가로내벽(3b)이 폴딩된 상태로 하강하는 종이판재(1)의 저면을 지지한다.When the fixing
상기 종이판재(1)의 지지는 접철유닛(390)을 통한 세로내벽(4b)의 접철이 이루어질 때까지 지지되며, 이후 접철이 완료되면 원 상태로 복귀한다.The support of the
세로폴딩유닛(360)의 구동과 함께 접철유닛(390)은 복수개의 접철부(395)를 폴딩된 종이판재(1)의 세로외벽(4a)에 인접하도록 가변시키는 단계(S70)을 거친다.The
먼저, 접철유닛(390)은 제4이동프레임(364)의 이동에 의해 전체적인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First, the
이후, 제7구동모터(393)의 구동을 통해 'ㄷ'형이동바(392)를 도면상 Y축 양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reafter, the
'ㄷ'형이동바(392)의 이동은 볼스플라인(394)에 결합된 복수개의 접철부(395)가 종이판재(1)의 Y축 절취선(L)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이루어지게 된다.The movement of the 'C' -shaped
이때, 종이판재(1)의 세로외벽(4a)의 높이가 변경되는 경우, 종이판재(1)의 세로외벽(4a) 즉 종이판재(1)의 Y축 절취선(L)에 인접하게 가변된 절첩부의 높이를 상승시키는 단계를 더 거친다.At this time, when the height of the longitudinal
먼저, 제5구동모터(372)를 통해 제3 X회전축(373)을 구동시킨다.First, the third
이렇게 되면, 제3 X회전축(373)과 베벨기어(B)로 연결된 한 쌍의 제1각봉(371)이 회전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pair of
제1각봉(371)의 회전에 의해 제2기어박스(384)의 상측으로 연결된 승강플레이트(375)가 상승하게 된다.The lifting
이때, 승강플레이트(375)의 위치는 접철부(395)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이고, 승강에 의해 접철부(395)의 높이를 승강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여기서, 앞서 서술했듯이 접철부(395)는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되어 공지된 상항임에 따라 동작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한편, 셔터유닛(330)은 제4실린더(332)의 구동을 통해 지지셔터(331)를 이동시켜 도 24와 같이 가로내벽(3b) 양측이 접철된 상태로 공급되는 종이판재(1)의 절취선(L)과 인접하는 종이판재(1)의 저면을 최소한의 면접촉을 유도하여 지지하고, 도시하지 않은 유닛에 의해 가로지지체(3c)가 지지되면 지지셔터(331)를 원상태로 복귀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가로폴딩유닛(340)과 세로폴딩유닛(360) 및 접철유닛(390)의 세팅이 완료되면, 상부성형유닛(310)의 제1,2성형블럭(313,324)의 하강에 의해 종이판재(1)의 가로외벽(3a)과 세로외벽(4a)이 각각 가로판가이드(345)와 코너가이드(351) 및 세로판가이드(369)에 의해 폴딩된 상태로 하강한다.When the setting of the
이후, 접철유닛(390)의 접철부(395)가 제8구동모터(396)에 의해 회동하면서 세로내벽(4b)을 접철시켜 종이판재(1)의 종이상자(미 도시)로의 성형을 완료한다.Thereafter, the folded-
이후, 취출실린더(354)에 의해 성형된 종이상자를 취출하여 낙하시키고, 하측에 마련된 콘베이어(미 도시)를 타고 배출캐비티(38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reafter, the paper box formed by the take-out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 시스템은, 성형을 위해 공급되는 종이판재의 사이즈에 따라 종이판재를 피딩시키는 피딩벨트의 구조와 종이판재를 성형하는 성형블럭의 구조가 X축 및 Y축으로 연동하여 가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접이 시스템으로 다양한 종이판재의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ol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feeding belt for feeding the paper sheet material and the structure of the molding block for forming the paper sheet material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per sheet material to be supplied for molding,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form various paper sheet materials with one folding system.
또한, 피딩벨트와 성형블럭의 가변에 따른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변 구조들의 가변이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종이판재의 성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적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eripheral structures are simultaneously changed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feeding belt and the molding block, the molding of the paper sheet material can be stably performed.
또한, 종이판재의 두께가 변경되더라도 종이판재의 소진위치를 감지할 수 있어 종이판재의 공급에 따른 장비가 정지되는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paper sheet material is changed, the exhaustion position of the paper sheet material can be sensed, thereby preventing the equipment from being stopped due to the supply of the paper sheet material.
이상, 본 발명의 접이 시스템을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님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ol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 is no doubt that it is within.
1 : 종이판재 100 : 감지장치
110 : 수평이동플레이트 120 : 수직이동브라켓
140 : 승강실린더 150 : 가압유닛
160 : 회전바 165 : 탄성부재
180 : 감지센서 200 : 피딩벨트 가변장치
219,219":제1,2피딩벨트 220 : 피딩유닛
230 : X축이동유닛 240 : Y축이동유닛
250 : Z축승강유닛 300 : 성형블럭 가변장치
310 : 상부성형유닛 330 : 셔터유닛
340 : 가로폴딩유닛 360 : 세로폴딩유닛
390 : 접철유닛 400 : 접이 시스템1: paper plate 100: sensing device
110: Horizontal moving plate 120: Vertical moving bracket
140: lift cylinder 150: pressure unit
160: rotation bar 165: elastic member
180: Detection sensor 200: Feeding belt variable device
219, 219 ": first and second feeding belts 220:
230: X-axis moving unit 240: Y-axis moving unit
250: Z-axis elevating unit 300: forming block variable device
310: upper forming unit 330: shutter unit
340: horizontal folding unit 360: vertical folding unit
390: folding unit 400: folding system
Claims (17)
상기 감지장치(10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공급되는 상기 종이판재의 사이즈 및 두께에 맞게 마주하게 배치된 제1,2피딩벨트(219,219") 위치를 X축, Y축 및 Z축으로 가변시켜 상기 종이판재(1)를 피딩시키는 피딩벨트 가변장치(200); 및
상기 감지장치(100)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공급되는 종이판재(1)의 사이즈에 맞게 제1,2성형블럭(313,324)들의 위치를 X축과 Y축 방향으로 가변시켜 상기 종이판재(1)를 성형하는 성형블럭 가변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The paper sheet 1 is placed on the stacked upper part of the paper sheet 1 and the pressing unit 150 presses the paper sheet 1 while receiving elasticity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aper sheet 1 through lifting, A sensing device (100) for sensing the rotational state of the pressing unit (150) and sensing the exhaustion height of the paper sheet material (1) according to the drawing of the paper sheet material (1);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eeding belts 219 and 219 ', which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sensing device 100 and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paper sheet to be fed, are varied in the X axis, Y axis, and Z axis A feeding belt variable device 200 for feeding the paper sheet 1;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blocks 313 and 324 is varied in the X and Y axis dire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supplied paper sheet 1 so that the paper sheet 1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nsing device 100, And a forming block variable device (300) for forming a forming block variable shape.
상기 감지장치(100)는,
수평이동플레이트(110)에 수직방향으로 선택적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이동브라켓(120);
상기 수직이동브라켓(120)에 고정된 승강실린더(140)의 승강로드(141) 선단에 설치되어 하강하며, 상기 승강로드(141) 하강시 적층된 상기 종이판재(1)의 상면과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탄성을 통해 상기 종이판재(1)를 가압하는 가압유닛(150); 및
상기 수직이동브라켓(120)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유닛(15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device (100)
A vertical movement bracket 120 installed to be selectively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movement plate 110;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lifting rod 141 of the lifting cylinder 140 fixed to the vertical movement bracket 120 and descends an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aper sheet 1 stacked when the lifting rod 141 descends A pressing unit (150) for pressing the paper sheet (1) through elasticity while rotating the paper sheet (1); And
And a sensing sensor (180) installed on the vertical movement bracket (120) for sensing a rotation state of the pressing unit (150).
상기 가압유닛(150)은,
상기 승강로드(141)의 선단에 고정된 판 상의 고정부재(151);
상기 고정부재(151)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으로 상기 종이판재(1)의 상면과 접촉하는 접촉롤러(157)가 구비된 회전부재(153);
상기 회전부재(153)로부터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부재(153)와 함께 연동하면서 상기 감지센서(180)에 감지되는 회전바(160); 및
상기 고정부재(151)와 상기 회전부재(153)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회전부재(153)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16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ssure unit (150)
A plate-like fixing member 151 fixed to a front end of the lifting rod 141;
A rotary member 153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member 151 and having a contact roller 157 which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paper sheet 1 as one side;
A rotation bar 160 extending from the rotation member 153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member 153 and sensed by the detection sensor 180; And
An elastic member 165 interposed between the fixing member 151 and the rotating member 153 to apply elasticity to the rotating member 153; And a folding mechanism for folding the paper sheet.
상기 고정부재(151)에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회전돌기(152)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153)에는 상기 회전돌기(152)에 회전핀(155)을 통해 결합되는 회전결합편(154)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접촉롤러(157)가 결합되는 롤러결합편(15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3,
The fixing member 151 is formed with a rotation protrusion 152 protruding downward,
The rotation member 153 is provided with a rotation coupling member 154 which is coupled to the rotation protrusion 152 through a rotation pin 155 and a roller coupling member 156 to which the contact roller 157 is couple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Wherein the folding member is formed of a sheet material having a variable function.
상기 피딩벨트 가변장치(200)는,
전개된 상태로 공급되는 종이판재(1)의 사이즈 및 두께에 따라 상기 제1,2피딩벨트(219,219")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종이판재(1)를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210)로 구성된 피딩유닛(220);
수직플레이트(210)의 제1,2수직블럭(212,212")을 X축 양방향으로 각각 연동 이동시키는 X축이동유닛(230);
상기 제1,2수직블럭(212,212")의 X축 방향 이동시 제1,2이동블럭(215,215")을 가이드 하면서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이동유닛(240); 및
마주하는 상기 제1,2피딩벨트(219,219")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제1메인판(211)을 Z축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Z축승강유닛(2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eeding belt variable device (200)
And a pair of vertical plates (not shown) for varying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eeding belts 219 and 219 " according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paper sheet 1 fed in the unfolded state, A feeding unit 220 composed of a plate 210;
An X-axis moving unit 230 for interlocking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blocks 212 and 212 'of the vertical plate 210 in both X and Y directions;
A Y axis moving unit 240 for moving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blocks 212 and 212 'in the Y axis direction while guiding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locks 215 and 215' in the X axis direction; And
And a Z-axis elevating unit (250)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first main plate (211) in the Z-axis direction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eeding belts (219, 219 ") facing each other can be adjusted. A folding system for a sheet of paper having a function.
상기 수직플레이트(210)의 제1메인판(211)과 제2메인판(211")은 동일한 구조를 이루되,
상기 제1,2수직블럭(212,212")은, 제1,2구동풀리(214,214")가 설치되며 외측으로부터 상기 제1,2구동풀리(214,214") 측을 향하는 장방향의 제1,2수용홈(213,2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2이동블럭(215,215")은, 일측이 제1,2수용홈(213,213")에 수용되어 상기 제1,2수용홈(213,213")을 타고 이동하는 제1,2수용편(216,216")과, 타측은 상기 제1,2수직블럭(212,212")으로부터 노출되며 길이방향 단부에 제1,2종동풀리(218,218")가 설치된 제1,2노출편(217,217")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피딩벨트(219,219")는, 상기 제1,2수직블럭(212,212")의 제1,2구동풀리(214,214")와 상기 제1,2이동블럭(215,215")의 상기 제1,2종동풀리(218,218")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main plate 211 and the second main plate 211 'of the vertical plate 210 have the same structure,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blocks 212 and 212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drive pulleys 214 and 214",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drive pulleys 214, 214 " Grooves 213 and 213 "are formed,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locks 215 and 215 "have first and second receiving portions 213 and 213" accommodated in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grooves 213 and 213 " And the other side is exposed from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blocks 212 and 212 'and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exposed pieces 217 and 217'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driven pulleys 218 and 218 ' ,
The first and second feeding belts 219 and 219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pulleys 214 and 214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blocks 212 and 21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riven pulleys (218, 218 ")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X축이동유닛(230)은,
상기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210)의 상기 제1수직블럭(212) 양측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제1수직블럭(212)을 X축 양방향으로 연동시키는 제1좌우나사봉(231) 및 제2좌우나사봉(232);
상기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210)의 상기 제2수직블럭(212") 양측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제2수직블럭(212")을 X축 양방향으로 연동시키는 제3좌우나사봉(233) 및 제4좌우나사봉(234);
상기 제1,2,3,4좌우나사봉(231,232,233,234)을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2,3좌우나사봉(232,233)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2,3체인(235,236,23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6. The method of claim 5,
The X-axis moving unit 230,
The first vertical block 212 is screw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vertical block 212 of the pair of vertical plates 210 to rotate the pair of first vertical blocks 212 in the X- (231) and a second right and left screw bar (232);
The pair of vertical plates 210 are screw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vertical block 212 " to rotate the pair of second vertical blocks 212 " A threaded rod 233 and a fourth right and left threaded rod 234;
The first, second, and third chains 235, 236, 237 connect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and fourth left and right bars 231, 232, 233, 23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folding mechanism for folding the paper sheet.
상기 Y축이동유닛(240)은,
적어도 하나의 안내봉(242)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210)를 사이에 두고 메인베이스(201)에 마주하게 각각 고정된 제1브라켓(241) 및 제2브라켓(241");
상기 제1브라켓(241) 및 상기 제2브라켓(241")의 상기 각 안내봉(242)을 타고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이동브라켓(243) 및 제2이동브라켓(243");
상기 제1이동블럭(215)과 상기 제2이동블럭(215")을 각각 관통한 상태로 상기 제1이동브라켓(243) 및 제2이동브라켓(243")에 결합되는 제1,2,3,4연마봉(244a,244b,244c,244d); 및
상기 제1,2이동브라켓(243,243")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회전에 의해 상기 제1,2이동브라켓(243,243")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스크류봉(245) 및 제2스크류봉(24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6. The method of claim 5,
The Y-axis moving unit 240,
A first bracket 241 and a second bracket 241 "which are provided with at least one guide bar 242 and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main base 201 with the pair of vertical plates 210 interposed therebetween, ;
A first moving bracket 243 and a second moving bracket 243 "which move in the Y axis direction on the first bracket 241 and the respective guide rods 242 of the second bracket 241";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locks 215 and 215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rackets 243 and 243', respectively,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locks 215 and 215 ' Four polishing rods 244a, 244b, 244c, and 244d; And
A first screw rod 245 for moving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rackets 243 and 243 'in the Y-axis direction by being rotated while being screwed to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brackets 243 and 243' (245 "). ≪ / RTI >
상기 Z축승강유닛(250)은,
메인베이스(201) 양측에 L/M가이드(L/M)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수직블럭(212)을 지지하는 제1,2,3,4슬라이더(251a,251b,251c,251d);
회전을 통해 상기 제1,2,3,4슬라이더(251a,251b,251c,251d)를 승강시키는 제1회전봉(253) 및 제2회전봉(253"); 및
상기 제1회전봉(253)과 제2회전봉(253")에 회전을 부여하는 구동수단(25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6. The method of claim 5,
The Z-axis elevating unit (250)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liders 251a, 251b, and 251c (not shown) that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ase 201 via the L / M guide L / M to support the first vertical block 212, , 251d);
A first rotating rod 253 and a second rotating rod 253 "for moving up and dow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liders 251a, 251b, 251c, 251d through rotation;
And a driving means (254) for applying a rotation to the first rotation bar (253) and the second rotation bar (253 '').
성형블럭 가변장치(300)는,
공급된 종이판재(1)의 하면 양측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셔터유닛(330);
X축 방향으로 가변하며, 하강하는 상기 종이판재(1)의 양측 가로판(3)과 각 모서리의 제2접철지지체(6)들을 폴딩시키는 가로폴딩유닛(340);
Y축 방향으로 가변하며, 하강하는 상기 종이판재(1)의 양측 세로판(4)을 폴딩시키는 세로폴딩유닛(360);
상기 세로폴딩유닛(360)과 함께 Y축 방향으로 가변하며, 상기 종이판재(1) 세로판(4)의 높이에 맞게 조절되어 세로내벽(4b)을 폴딩시키는 복수개의 접철부(395)를 구비한 접철유닛(390); 및
상기 셔터유닛(33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2성형블럭(313,324)을 공급된 상기 종이판재(1) 내측 방향에서 4개의 절취선(L)과 인접하게 각각 가변시켜 하강을 통해 상기 종이판재(1)의 상기 가로판(3)과 세로판(4)들의 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부성형유닛(31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rming block variable device 300 includes:
A shutter unit 330 selectively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lied paper sheet 1;
A horizontal folding unit 340 which folds the both side plates 3 of the paper sheet 1 and the second folding support bodies 6 at each corner that vary in the X-axis direction and descends;
A vertical folding unit 360 for folding the both side plates 4 of the paper sheet 1 which varies in the Y-axis direction and descends;
And a plurality of folding portions 395 which are folded along the Y-axis direction together with the vertical folding unit 360 and are adjusted to the height of the vertical plate 4 to fold the vertical inner wall 4b A folding unit 390; And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blocks 313 and 324 ar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utter unit 33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four perforated lines L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upplied paper sheet 1, And an upper forming unit (310) for folding the lateral plate (3) and the vertical plates (4) of the plate material (1).
상기 상부성형유닛(310)은,
Y축 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제5좌우나사봉(311);
상기 한 쌍의 제5좌우나사봉(311)을 타고 Y축 양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는 한 쌍의 제1이동프레임(312);
상기 각 제1이동프레임(312)에 설치되며, 제3실린더(314)에 의해 승강하는 한 쌍의 제1성형블럭(313);
상기 한 쌍의 제5좌우나사봉(311)과 교차하게 설치되며, 제3구동모터(316)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제6좌우나사봉(315);
상기 한 쌍의 제6좌우나사봉(315)을 타고 X축 양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는 한 쌍의 제2이동프레임(318); 및
복수개의 제2성형블럭(324)을 가변시키며, 가변된 상기 제2성형블럭(324)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upper molding unit (310)
A pair of fifth right and left yarn rods 311 facing the Y axis direction;
A pair of first moving frames 312 moving in the Y-axis direction on the pair of fifth right and left screw rods 311;
A pair of first molding blocks 313 installed on each of the first moving frames 312 and elevated by the third cylinder 314;
A pair of sixth right and left rake rods 315 installed to cross the pair of fifth right and left rake rods 311 and rotated by a third driving motor 316;
A pair of second moving frames 318 which move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pair of right and left twinning rods 315; And
And a lifting means (320) for varying the plurality of second forming blocks (324) and lifting the second forming block (324) to be varied.
상기 가로폴딩유닛(340)은,
상기 상부성형유닛(31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연동 회전하는 한 쌍의 제7좌우나사봉(341);
상기 한 쌍의 제7좌우나사봉(341)을 타고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X축 양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는 한 쌍의 제3이동프레임(342);
상기 한 쌍의 제3이동프레임(342)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가로판가이드(345); 및
상기 각 가로판가이드(345)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코너가이드(351)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2성형블럭(313,324)에 의해 하강하는 상기 종이판재(1)의 폴딩상태를 유지시키는 한 쌍의 성형유지부재(3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horizontal folding unit (340)
A pair of seventh right and left yarn rods 341 that receive power from the upper shaping unit 310 and rotate together;
A pair of third moving frames 342 movably coupled to the pair of seventh right and left twin rods 341 to move in both directions of the X axis;
A pair of transverse plate guides 345 provided on the pair of third moving frames 342; And
The folding state of the paper sheet 1 lowered by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blocks 313 and 324 is connected to a pair of corner guides 351 movably provided to the respective width guide guides 345, And a pair of mold holding members (350) for holding the pair of mold holding members (350).
상기 세로폴딩유닛(360)은,
Y축 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제8좌우나사봉(361);
상기 한 쌍의 제8좌우나사봉(361)을 타고 Y축 양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는 한 쌍의 제4이동프레임(364); 및
상기 각 제4이동프레임(364)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세로판가이드(36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vertical folding unit (360)
A pair of eighth left and right rake rods 361 facing the Y axis direction;
A pair of fourth moving frames 364 which move in the Y axis both directions on the pair of eighth right and left twin bars 361; And
And a pair of vertical plate guides (369) installed in the respective fourth moving frames (364).
상기 접철유닛(390)은,
상기 세로폴딩유닛(360)에 결합되어 Y축 방향으로 연동하는 연동플레이트(391);
상기 연동플레이트(391)를 타고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ㄷ'형이동바(392);
상기 'ㄷ'형이동바(392)의 볼스플라인(394)에서 간격을 조절한 상태로 상기 볼스플라인(394)의 회전시 상기 종이판재(1)의 세로 내벽을 폴딩시키는 복수개의 접철부(395); 및
상기 접철부(395)에 고정되어 상기 접철부(395)를 이동시키는 연결브라켓(39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기능을 갖는 종이판재용 접이 시스템.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olding unit 390 includes:
An interlocking plate 391 coupled to the vertical folding unit 360 and interlocked with the vertical folding unit 360 in the Y axis direction;
A 'C' type moving bar 392 which moves in the Y axis direction while taking the interlocking plate 391;
A plurality of folding portions 395 for folding the vertical inner wall of the paper sheet 1 when the ball spline 394 is rotated with the spacing adjusted by the ball spline 394 of the '); And
And a connection bracket (397) fixed to the folding unit (395) to move the folding unit (395).
X축이동유닛(230)의 구동을 통해 피딩유닛(220)의 제1,2피딩벨트(219,219")의 위치를 종이판재(1)의 사이즈에 맞게 X축 양방향으로 가변시키는 단계(S10);
Y축이동유닛(240)의 구동을 통해 피딩유닛(220)의 제1,2피딩벨트(219,219")의 위치를 종이판재(1)의 사이즈에 맞게 Y축 방향으로 가변시키는 단계(S20);
Z축승강유닛(250)의 구동을 통해 피딩유닛(220)의 제1피딩벨트(219)의 위치를 종이판재(1)의 두께에 맞게 Z축 방향으로 가변시키는 단계(S30);
상부성형유닛(310)의 구동을 통해 제1,2성형블럭(313,324)의 위치를 종이판재(1)의 사이즈에 맞게 가변시키는 단계(S40);
가로폴딩유닛(340)의 구동을 통해 가로판가이드(345)가 종이판재(1)의 X축 방향 사이즈에 맞게 가변시키는 단계(S50);
세로폴딩유닛(360)의 구동을 통해 세로판가이드(369)가 종이판재(1)의 Y축 방향 사이즈에 맞게 가변시키는 단계(S60);
접철유닛(390)의 복수개의 접철부(395)를 폴딩된 종이판재(1)의 세로외벽에 인접하도록 가변시키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가변방법.A variable method of a folding system for a paper sheet material having a variable func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S10) varying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eeding belts 219 and 219 'of the feeding unit 220 in both directions of the X axi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per sheet 1 by driving the X axis moving unit 230;
The step (S20)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eeding belts 219 and 219 'of the feeding unit 220 in the Y 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per sheet 1 by driving the Y axis moving unit 240;
A step (S30) of vary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feeding belt 219 of the feeding unit 220 in the Z-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aper sheet 1 by driving the Z-axis elevating unit 250;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molding blocks 313 and 324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per sheet 1 by driving the upper forming unit 310 (S40);
A step (S50) of varying the width plate guide 345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paper sheet 1 in the X-axis direction by driving the horizontal folding unit 340;
A step (S60) of varying the length guide 369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paper sheet 1 in the Y-axis direction by driving the vertical folding unit 360;
And a step (S70) of changing a plurality of folded portions (395) of the folding unit (39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longitudinal outer wall of the folded paper sheet (1).
상기 단계 S60에는, 하강하는 종이판재(1)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지지장치(380)의 지지판(386)을 가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방법.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tep S60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varying the support plate 386 of the support device 380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paper sheet 1 to be lowered.
상기 단계 S70에는, 상기 종이판재(1)의 세로외벽에 인접하게 가변된 상기 접철부(395)의 높이를 상승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방법.16. The method of claim 15,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aising the height of the folded-back portion (395) which is adjacent to the longitudinal outer wall of the paper sheet (1) in the step S70.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9247A KR101752382B1 (en) | 2016-11-10 | 2016-11-10 | Folding system for paper pannel having variable function and variable method thereof |
PCT/KR2016/014114 WO2018088622A1 (en) | 2016-11-10 | 2016-12-02 | Folding system for paper sheet having variable function and variable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9247A KR101752382B1 (en) | 2016-11-10 | 2016-11-10 | Folding system for paper pannel having variable function and variable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2382B1 true KR101752382B1 (en) | 2017-06-30 |
Family
ID=5927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9247A KR101752382B1 (en) | 2016-11-10 | 2016-11-10 | Folding system for paper pannel having variable function and variable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2382B1 (en) |
WO (1) | WO2018088622A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335964A (en) * | 2021-06-25 | 2021-09-03 | 张光兴 | Double-deck corrugated container board deviation correcting paper advance device |
KR20220094354A (en) * | 2020-12-29 | 2022-07-06 | 심현섭 | Clamping device for apparatus for folding box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202000026506A1 (en) * | 2020-11-06 | 2022-05-06 | Angelo Bertolo | MACHINE FOR FORMING CARDBOARD CORNERS FOR PACKAGING OF DIFFERENT SHAPES AND DIMENSIONS FOR EQUIPMENT OF VARIOUS KINDS |
NL2026844B1 (en) * | 2020-11-06 | 2022-06-27 | Blueprint Holding Bv | Box-Forming Apparatus |
CN113290933B (en) * | 2021-06-25 | 2022-04-22 | 广东双会智能科技有限公司 | Double-sheet synchronous vertical deviation-rectifying paper feeding device for carton stapl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24200B2 (en) | 1995-09-21 | 2001-10-29 | ボブスト ソシエテ アノニム | Modular folding device for folding / pasting machines for processing flat elements |
KR100728935B1 (en) | 2006-05-15 | 2007-06-18 | 정달금 | Apparatus for forming box |
JP2014148379A (en) | 2013-01-31 | 2014-08-21 | Ricoh Co Ltd | Recording medium supply device and image formation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3614B1 (en) * | 2003-11-20 | 2005-12-06 | 유상근 | Fabricating apparatus of visual packing box |
JP2005239294A (en) * | 2004-02-24 | 2005-09-08 | Canon Inc | Paper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
JP4070760B2 (en) * | 2004-10-04 | 2008-04-02 | 株式会社川島製作所 | Corrugated cardboard opening device |
JP2008280159A (en) * | 2007-05-14 | 2008-11-20 | Hisayasu Sugimoto | Paperboard supply device |
KR101102839B1 (en) * | 2011-07-28 | 2012-01-05 | 이재유 | A height control apparatus of width palte folding for paper sheet |
-
2016
- 2016-11-10 KR KR1020160149247A patent/KR101752382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6-12-02 WO PCT/KR2016/014114 patent/WO201808862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24200B2 (en) | 1995-09-21 | 2001-10-29 | ボブスト ソシエテ アノニム | Modular folding device for folding / pasting machines for processing flat elements |
KR100728935B1 (en) | 2006-05-15 | 2007-06-18 | 정달금 | Apparatus for forming box |
JP2014148379A (en) | 2013-01-31 | 2014-08-21 | Ricoh Co Ltd | Recording medium supply device and image formation devic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4354A (en) * | 2020-12-29 | 2022-07-06 | 심현섭 | Clamping device for apparatus for folding box |
KR102439530B1 (en) * | 2020-12-29 | 2022-09-01 | 심현섭 | Clamping device for apparatus for folding box |
CN113335964A (en) * | 2021-06-25 | 2021-09-03 | 张光兴 | Double-deck corrugated container board deviation correcting paper advance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088622A1 (en) | 2018-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2382B1 (en) | Folding system for paper pannel having variable function and variable method thereof | |
CN110422388B (en) | Carton feeding and boxing robot and feeding and boxing method thereof | |
CN108657860B (en) | Cutting, stacking, conveying and rolling integrated household film production device | |
JP5473138B2 (en) | Counter ejector | |
KR102186952B1 (en) | Cutting system for metal film roll | |
JP5645332B2 (en) | Corrugated cardboard batch dividing apparatus, counter ejector with batch dividing function, and corrugated cardboard batch dividing method | |
US5024641A (en) | Programmable dynamically adjustable plunger and tray former apparatus | |
US2010002945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bonding a sheet for a corrugated cardboard box | |
JP2009051024A (en) | Counter ejector and carton-making machine | |
CN108750684B (en) | Plate stacking machine and plate stacking method thereof | |
US20110271514A1 (en) | Positioning assembly for composite structure | |
CN106271075A (en) | Welding splicing mechanical hand and laser assembly solder system | |
KR101752372B1 (en) | Variable device of feeding belt for palte paper sheet | |
US8056382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urving metal panels | |
US907923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urving metal panels | |
KR101818551B1 (en) | In-line forming apparatus and stacker for in-line forming apparatus | |
KR101752366B1 (en) | Sensing device for accumulating hieght of paper panel | |
KR101752380B1 (en) | Variable device of forming block for palte paper sheet | |
CN110015473A (en) | Shrink-packaging's machine and its automatic arranging mechanism | |
CN113772478A (en) | Automatic bidirectional folding device and automatic bidirectional folding method | |
KR101135483B1 (en) | Apparatus for supplying polarizer film | |
KR20200142898A (en) | Apparatus of aligning and engaging eyelet on textile | |
KR101898005B1 (en) | Sheet Laminating Apparatus | |
CN118205258B (en) | Carton nailing machine for carton processing | |
CN218111855U (en) | Paperboard slotting machine unloader with direction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