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770B1 - 고정식 멀티탭 - Google Patents
고정식 멀티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1770B1 KR101751770B1 KR1020150091829A KR20150091829A KR101751770B1 KR 101751770 B1 KR101751770 B1 KR 101751770B1 KR 1020150091829 A KR1020150091829 A KR 1020150091829A KR 20150091829 A KR20150091829 A KR 20150091829A KR 101751770 B1 KR101751770 B1 KR 1017517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osed
- tap
- side wall
- case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멀티탭은 홈을 갖는 멀티탭 본체; 상기 멀티탭 본체에 형성된 콘센트; 상기 멀티탭 본체에 연결되는 전선; 및 상기 전선의 끝단에 배치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탭 본체는 홈 크기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정식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자세히, 책상이나 선반에 고정 가능한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전자제품이 설치되는 장소에는 하나의 콘센트에 많은 전자제품을 연결하기 위하여, 콘센트에 복수의 콘센트를 포함하는 멀티탭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멀티탭은 연장선을 포함하며, 연장선을 통해 원하고자 하는 전자 제품까지 콘센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멀티탭은 고정이 되어있지 않아 선끼리 엉키게 되거나, 그 주변이 혼잡스러워지고, 바닥 청소시에 청소하는 사람이 일일이 들어올려 주변을 청소해야 하므로 여러 가지 불편함 점이 많이 있다.
특히, 멀티탭이 바닥에 위치할 경우, 전자제품의 코드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바닥으로 몸을 낮추어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멀티탭을 책상 위에 안치하여 구부리지 않은 자세에서 코드를 연결하고 있다. 상기 전자의 경우에는 상술된 바와 같이 연결이 용이하지 않고 바닥에 다수의 전선이 엉켜있어 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코드연결은 용이하나 멀티탭과 코드연결선이 고정되지 않고 방치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 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멀티탭을 책상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못을 박거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은 불편함과 멀티탭을 사용하지 않을 때 후속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탭 고정설치에 의한 코드의 접근성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는 멀티탭구조이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책상이나 선반 상에 손쉽게 고정시키거나 탈락시킬 수 있는 고정식 멀티탭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멀티탭은 홈을 갖는 멀티탭 본체; 상기 멀티탭 본체에 형성된 콘센트; 상기 멀티탭 본체에 연결되는 전선; 및 상기 전선의 끝단에 배치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탭 본체는 홈 크기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상기 멀티탭 본체는, 상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홈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하부 몸체; 및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를 연결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 수단은,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걸림부, 상기 걸림부를 이동시키는 버튼 및 상기 버튼과 걸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암부; 및 상단에 배치된 플랜지, 상기 플랜지 아래에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경사부 및 복수의 걸림홈을 포함하는 수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경사부에 대응되는 측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상부 몸체의 하면 상에 배치되고,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상부 중간층과, 상기 상부 중간층 상에 배치된 상부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식 멀티탭은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수축 및 팽창 가능한 하부 중간층과, 상기 하부 중간층 상에 배치된 하부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식 멀티탭은 상기 높이조절 수단은, 상기 상부 몸채 내에 배치된 제 1 극 자석; 및 상기 하부 몸채 내에 배치된 제 2 극 자석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식 멀티탭은 상기 제 1 극 자석과, 상기 제 2 극 자석은 전자석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식 멀티탭은 상기 제 1 극 자석과, 상기 제 2 극 자석에 전기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멀티탭은ㄷ 자 형상을 가지며 ㄷ자의 홈 크기를 조절 가능하여, 사용자가 'ㄷ' 자 홈에 손쉽게 플레이트에 끼운 후 고정 및 탈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에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벽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4(a)는 수부가 하측으로 이동될 때, 걸림홈과 걸림부가 걸려 고정된 모습이고, 도 4(b)는 수부가 상측으로 이동될 때, 걸림부가 수부의 이동을 허용한 모습이며, 도 4(c)는 걸림부가 이동되어, 수부가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멀티탭이 선반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벽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4(a)는 수부가 하측으로 이동될 때, 걸림홈과 걸림부가 걸려 고정된 모습이고, 도 4(b)는 수부가 상측으로 이동될 때, 걸림부가 수부의 이동을 허용한 모습이며, 도 4(c)는 걸림부가 이동되어, 수부가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멀티탭이 선반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에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벽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은 홈이 형성된 멀티탭본체(10), 멀티탭본체(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센트(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멀티탭 본체(10)에는 홈(H)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멀티탭 본체(10)는 홈(H)에 의해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탭 본체(10)의 외형은 육면체이며, 적어도 일면의 내측으로 홈(H)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멀티탭 본체(10)의 홈(H)은 크기 조절이 가능하여, 책상이나 벽면과 같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물체가 홈(H)에 장입됨으로써, 멀티탭 본체(1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멀티탭 본체(10)에는 콘센트(20)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멀티탭 본체(10)의 일 측에는 전선이 연결되고, 전선의 일단에는 코드가 배치되어, 멀티탭의콘센트(20)로 전기 공급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본체(10)는 홈(H)을 가지며, 홈(H) 내에 플레이트 형상의 물체를 장입시킨 후 홈(H)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멀티탭은 책상이나 선반에 손쉽게 고정되거나 탈락 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멀티탭 본체(10)는 상부 몸체(200)와, 상부 몸체(200)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하부 몸체(300)와, 상부 몸체(200)와 하부 몸체(300)를 연결하는 측벽(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몸체(200)는 'ㄷ'자 형상의 멀티탭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몸체(2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20)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히, 상부 몸체(200)의 상면에 콘센트(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몸체(200)의 하면 아래에는 하부 몸체(300)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몸체(300)는 상부 몸체(200)와 멀티탭 본체(10)의 홈(H)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몸체(300)와 상부 몸체(200)는 측벽(10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자세히, 하부 몸체(300)의 일단과 하부 몸체(300)의 일단에 접하도록 측벽(10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몸체(20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상부 몸체(200)의 일단에서 절곡되도록 측벽(10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몸체(30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하부 몸체(300)의 일단에서 절곡되도록 측벽(1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멀티탭 본체(10)의 홈(H)은 상부 몸체(200), 하부 몸체(300) 및 측벽(100)에 의해 삼면이 둘러싸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측벽(100)은 높이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몸체(200)와 하부 몸체(300) 사이에 고정 대상이 될 플레이트를 장입한 후 측벽(100)의 높이를 줄여, 상부 몸체(200)는 플레이트의 일면에 접하고, 하부 몸체(300)는 플레이트의 타면에 접함으로써, 멀티탭은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된 상태에서 측벽(100)의 높이를 늘림으로써, 상부 몸체(200)와 하부 몸체(300)를 고정 대상에서 탈락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벽(100)은 높이조절 수단으로 암부(110)와 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측벽(100)의 상부에는 암부(110)가 배치되고, 측벽(100)의 하부에는 수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부(120)는 암부(110) 내에 점차적으로 삽입 및 추출되어, 측벽(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먼저, 수부(120)는 플랜지(121), 복수의 경사부(122) 및 복수의 걸림홈(123)을 포함할 수 있고, 암부(110)는 케이스(111, 112), 걸림부(113), 연결부(115) 및 버튼(11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11, 112)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하부면에는 홀을 포함하여, 수부(120)는 케이스(111, 112)의 홀을 통해 삽입 및 추출될 수 있다.
자세히, 수부(120)는 복수의 경사부(122)와 걸림홈(123)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수부(120)는 상단에 플랜지(121)가 배치되고, 플랜지(121) 아래에 경사부(122)와 걸림홈(123)이 반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경사부(122)는 하측을 향할수록 수부(120)의 직경을 점차 확장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22)의 하단에는 수부(120)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걸림홈(123)이 배치되어 경사부(122)의 하단을 돌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사부(122)와 걸림홈(123)은 반복 배치될 수 있다.
암부(110)는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111, 112)와, 케이스(111, 112) 내에 걸림홈(123)과 경사부(122)에 대응되는 걸림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걸림부(113)는 걸림부(113)의 측면은 경사부(122)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즉, 걸림부(113)의 측면과 경사부(122)는 서로 맞대응되며, 걸림부(113)의 상면은 대응되는 경사부(122) 상에 배치된 경사부(122) 하단에 걸릴 수 있다. 즉, 걸림부(113)는 걸림홈(123) 마다 걸릴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걸림부(113)는 수부(120)가 암부(110) 내로 삽입될 시에는, 수부(120)의 경사부(122)가 걸림부(113)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수부(120)가 암부(110) 내로 추출될 시에만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즉, 수부(120)가 암부(110) 내로 삽입될 경우에는, 걸림홈(123)에 걸림부(113)가 걸리지 않아 이동 가능하고, 수부(120)가 암부(110) 밖으로 추출될 경우에는, 걸림홈(123)에 걸림부(113)가 걸려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측벽(100)은 상부 몸체(200) 또는/및 하부 몸체(300)를 누르는 외력이 작용했을 때, 수부(120)가 암부(110) 내로 삽입됨에 따라 높이가 줄어들도록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걸림부(113)에는 버튼(114)이 연결부(11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버튼(114)은 걸림부(113)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걸림홈(123)에서 탈락시킬 수 있다. 걸림홈(123)에서 걸림부(113)가 탈락 됨에 따라서, 수부(120)는 플렌지가케이스(111, 112)의 하부면에 걸릴 때까지 이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버튼(114)을 누르면, 걸림부(113)가 탈락되고, 수부(120)가 암부(110)에서 추출됨으로써, 멀티탭은 고정 플레이트에서 탈거될 수 있다.
이때, 수부(120)의 하단에는 탄성부재(13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자세히, 수부(120)의 하단에는 탄성부재(130)로 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걸림부(113)가 사용자가 버튼(114)을 눌러 탈락될 때, 수부(120)를 잡아당겨 수부(120)를 원활하게 암부(110)에서 추출시킬 수 있다.
자세히, 도 4(a)는 수부(120)가 하측으로 이동될 때, 걸림홈(123)과 걸림부(113)가 걸려 고정된 모습이고, 도 4(b)는 수부(120)가 상측으로 이동될 때, 걸림부(113)가 수부(120)의 이동을 허용한 모습이며, 도 4(c)는 걸림부(113)가 이동되어, 수부(120)가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수부(120)를 둘러싸는 밀봉부재(14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자세히, 밀봉부재(140)는 암부(110)케이스(111, 112)의 하면과하부 몸체(300)를 둘러싸서, 수부(120)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재(140)는 스트레처블 한 소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고무를 사용하여 밀봉부재(140)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부 몸체(200)는 상부 몸체(200)의 하면 상에 상부 중간층(220)과 상부 중간층(220) 상에 상부 마찰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상부 몸체(200)의 하면 상에 상부 중간층(220)은 수축, 팽창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부 중간층(220) 아래에는 마찰계수가 높은 상부 마찰부재(23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몸체(300)는 하부 몸체(300)의 상면 상에 하부 중간층(320)과 하부 중간층(320) 상에 하부 마찰부재(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하부 몸체(300)의 하면 상에 하부 중간층(320)은 수축, 팽창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하부 중간층(320) 아래에는 마찰계수가 높은 하부 마찰부재(3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중간층(220)과 하부 중간층(320)은 압축 스펀지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이조절 수단에 의해 상부 몸체(200)와 하부 몸체(300)가 고정 대상인 플레이트에 밀착될 때,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조절 수단은 걸림홈(123)의 위치에 따라 단계적으로 높이를 조절하는데, 이때, 상부 중간층(220)과 하부 중간층(320)이 단계적 높이 조절시 수축됨으로써, 상부 몸체(200)와 하부 몸체(300)가 플레이트에 좀더 밀착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마찰부재(230)와 하부 마찰부재(310)는 플레이트와의 마찰력이 높아, 멀티탭의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멀티탭은 도 5에서 보듯, 손쉽게 플레이트 선반에 고정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사시도를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은 홈(H)이 형성된 멀티탭 몸체, 멀티탭 몸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센트(20), 제 1 극 자석(410), 제 2 극 자석(420) 및 스위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멀티탭 본체(10)는 홈(H)에 의해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탭 본체(10)의 외형은 육면체이며, 적어도 일면의 내측으로 홈(H)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멀티탭 본체(10)의 홈(H)은 크기 조절이 가능하여, 책상이나 벽면과 같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물체가 홈(H)에 장입됨으로써, 멀티탭 본체(1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멀티탭 본체(10)에는 콘센트(20)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멀티탭 본체(10)의 일 측에는 전선이 연결되고, 전선의 일단에는 코드가 배치되어, 멀티탭의 콘센트(20)로 전기 공급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본체(10)는 홈(H)을 가지며, 홈(H) 내에 플레이트 형상의 물체를 장입시킨 후 홈(H)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멀티탭은 책상이나 선반에 손쉽게 고정되거나 탈락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멀티탭 본체(10)는 상부 몸체(200)와, 상부 몸체(200)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하부 몸체(300)와, 상부 몸체(200)와 하부 몸체(300)를 연결하는 측벽(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몸체(200)는 'ㄷ' 자 형상의 멀티탭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몸체(2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20)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히, 상부 몸체(200)의 상면에 콘센트(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몸체(200)의 하면 아래에는 하부 몸체(300)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몸체(300)는 상부 몸체(200)와 멀티탭 본체(10)의 홈(H)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몸체(300)와 상부 몸체(200)는 측벽(10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자세히, 하부 몸체(300)의 일단과 하부 몸체(300)의 일단에 접하도록 측벽(10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몸체(20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상부 몸체(200)의 일단에서 절곡되도록 측벽(10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몸체(30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하부 몸체(300)의 일단에서 절곡되도록 측벽(1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멀티탭 본체(10)의 홈(H)은 상부 몸체(200), 하부 몸체(300) 및 측벽(100)에 의해 삼면이 둘러싸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높이조절 수단으로 제 1 극 자석(410)과, 제 2 극 자석(420)과, 스위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극 자석(410)은 상부 몸체(200) 내에 하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극 자석(420)은 하부 몸체(300) 내에 상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극 자석(410)과, 제 2 극 자석(420)은 금속 플레이트와 인력이 작용하여 측벽(100)의 높이를 조절하여 멀티탭이 플레이트에 고정되도록 도울 수 있다.
또는, 플레이트가 부도체일 때, 제 1 극 자석(410)과 제 2 극 자석(420)은 서로 잡아 당겨 측벽(100)의 높이를 조절하여 멀티탭이 플레이트에 고정되도록 도울 수 있다.
이러한 제 1 극 자석(410)과 제 2 극 자석(420)은 전자석일 수 있다. 멀티탭은 코드와 전선으로부터 항상 전기를 공급 받으므로, 이러한 전기를 이용하여 자석의 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30)는 자석으로 전기 공급 여부를 결정하여, 멀티탭을 고정 및 탈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멀티탭은 도 5에서 보듯, 손쉽게 플레이트 선반에 고정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의 멀티탭은 전술한 실시예의 멀티탭의 기타 구성들을 모두 또는 일부 포함하여, 멀티탭의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 홈을 갖는 멀티탭 본체;
상기 멀티탭 본체에 형성된 콘센트;
상기 멀티탭 본체에 연결되는 전선; 및
상기 전선의 끝단에 배치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탭 본체는 홈 크기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멀티탭 본체는,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홈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를 연결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몸체의 하면 상에 배치되고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상부 중간층과, 상기 상부 중간층 상에 배치된 상부 마찰부재와,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수축 및 팽창 가능한 하부 중간층과, 상기 하부 중간층 상에 배치된 하부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 수단은,
상기 상부 몸채 내에 배치된 제 1 극의 전자석과, 상기 하부 몸채 내에 배치된 상기 제 1 극의 반대 극성의 제 2 극의 전자석과, 상기 제 1 극의 전자석과, 상기 제 2 극의 전자석에 전기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고정식 멀티탭.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수단은 상기 측벽의 일부 구성으로서,
상기 측벽의 상부에 배치되어 하부면에 형성된 홀을 포함하는 암부와, 상기 암부의 홀 내부로 몸체의 일부를 삽입 또는 추출하여 상기 측벽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부는,
상기 측벽의 상부 외형을 이루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홀이 형성된 하부면과 상기 하부면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측면을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부면 상에 배치되는 걸림부와,
상기 케이스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걸림부를 상기 케이스의 측면 측으로 이동시키는 버튼과,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버튼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걸림부에 접하여, 상기 버튼과 상기 걸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의 상단에 소정의 직경을 가지며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소정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 아래의 몸체에 교대로 배치되는 복수의 경사부와,
상기 복수의 경사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홈과,
상기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의 하부 외형을 이루며, 상기 케이스로부터 노출된 상기 수부의 몸체를 둘러싸는 밀봉부재를 더 포함하는
고정식 멀티탭.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경사부의 측면에 대응되는 측면을 포함하는
고정식 멀티탭.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1829A KR101751770B1 (ko) | 2015-06-29 | 2015-06-29 | 고정식 멀티탭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1829A KR101751770B1 (ko) | 2015-06-29 | 2015-06-29 | 고정식 멀티탭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2001A KR20170002001A (ko) | 2017-01-06 |
KR101751770B1 true KR101751770B1 (ko) | 2017-06-28 |
Family
ID=5783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1829A KR101751770B1 (ko) | 2015-06-29 | 2015-06-29 | 고정식 멀티탭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1770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76736B2 (ja) * | 1995-04-04 | 2000-08-14 | 旭化成工業株式会社 | 熱可塑性樹脂製歯車の中空射出成形方法 |
JP3184894B2 (ja) * | 1989-10-05 | 2001-07-09 | エックスオックスエミ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ハロペルオキシターゼ酸至適化学的発光分析系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5144Y1 (ko) | 2001-11-05 | 2002-05-13 | 박진규 | 흡착고정판이 부착된 자유고정식 멀티탭 콘센트 |
-
2015
- 2015-06-29 KR KR1020150091829A patent/KR1017517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84894B2 (ja) * | 1989-10-05 | 2001-07-09 | エックスオックスエミ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ハロペルオキシターゼ酸至適化学的発光分析系 |
JP3076736B2 (ja) * | 1995-04-04 | 2000-08-14 | 旭化成工業株式会社 | 熱可塑性樹脂製歯車の中空射出成形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2001A (ko) | 2017-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29356B2 (en) | Mounting device for a sealing ring | |
US10386704B2 (en) | Mounting systems for electronic devices | |
USD964942S1 (en) |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with asymmetric rectangular hot terminal edge slots | |
USD805881S1 (en) | Heavy duty cantilever bracket | |
USD843323S1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9531124B2 (en) | Electrical plug removal device | |
USD870051S1 (en) |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 |
KR101697709B1 (ko)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장 | |
KR101563058B1 (ko) | 스마트폰 거치대 | |
KR102090435B1 (ko) | 플러그 모듈 및 스마트 태블릿 | |
USD874959S1 (en) | Multilane flow cell | |
KR101700690B1 (ko) | 가압 스위치 | |
KR101751770B1 (ko) | 고정식 멀티탭 | |
US20160139679A1 (en) | Keyboard and terminal device | |
USD808907S1 (en) | Electrical fitting for non-metallic electrical cables and cords | |
KR101346088B1 (ko) | 전기 콘센트 | |
CN103972753A (zh) | 电气接头转接器 | |
KR101681563B1 (ko) | 전원 플러그와의 결합이 용이한 콘센트 장치 | |
JP5608028B2 (ja) | 取付枠および配線装置 | |
US9553436B2 (en) | Floor box cover | |
JP5223767B2 (ja) | 電気コネクタ | |
US9368923B2 (en) | Actuator apparatus for powering USB receptacl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 |
WO2020024124A1 (zh) | 插座结构 | |
JP2013004382A5 (ko) | ||
KR101713610B1 (ko) | 자동복귀 기능을 가지는 리모컨 측면 누름버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