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573B1 - Optical film and preparing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Optical film and preparing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573B1
KR101751573B1 KR1020140105644A KR20140105644A KR101751573B1 KR 101751573 B1 KR101751573 B1 KR 101751573B1 KR 1020140105644 A KR1020140105644 A KR 1020140105644A KR 20140105644 A KR20140105644 A KR 20140105644A KR 101751573 B1 KR101751573 B1 KR 101751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resin
stretching
refractive index
transmission axis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6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0678A (en
Inventor
박보라
박태성
이남정
엄준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05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573B1/en
Publication of KR20160020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6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573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3Optical lamin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전이온도가 70℃ 내지 100℃이며,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 및 상기 제 1 고분자 수지와 유리전이온도 차이가 0℃ 내지 40℃이며,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하기 식 (1) 내지 (2)를 만족하는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 (1): 0 ≤ |nx1 - nx2| ≤ 0.10
식 (2): 0.15 ≤ |ny1 - ny2| ≤ 0.35
상기 식 (1) 내지 (2)에 있어서, nx1은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nx2는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ny1은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며, ny2는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first polym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70 ° C to 100 ° C and forming a continuous phase and a second polym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difference from 0 ° C to 40 ° C, An optical film containing a polymer resin and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s (1) to (2),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1): 0? | Nx 1 - nx 2 | 0.10
(2): 0.15? | Ny 1 - ny 2 | ≤ 0.35
In the above formulas (1) to (2), nx 1 mean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fter stretching of the first polymer resin forming the continuous phase, and nx 2 mean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polymer resin forming the discontinuous phase Ny 1 means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first polymer resin forming the continuous phase, and ny 2 means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2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fter stretching of the polymer resin.

Description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OPTICAL FILM AND PREPARING METHOD FOR THE SAME}[0001] OPTICAL FILM AND PREPARING METHOD FOR THE SAME [0002]

본 발명은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산란편광 특성을 갖는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film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an optical film having scattering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capable of improving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hol, 이하, PVA라 함)계 분자 사슬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되고, 요오드계 화합물 또는 이색성 편광 물질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편광자에, 보호 필름으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TAC) 필름을 접착시킨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은 일반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용액으로 이루어진 수계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The polarizing plate is generally composed of a polariz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olyvinyl alcoh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PVA) molecular chain is oriented in a certain direction and has a structure containing an iodine compound or a dichroic polarizing material, triacetyl And a cellulose (TAC) film. At this time, the polarizer and the protective film are generally adhered by an aqueous adhesive composed of a polyvinyl alcohol-based solution.

한편, 상기와 같은 편광판의 경우, 편광자는 편광 투과축에 평행한 편광 성분만을 투과시키고, 편광 투과축에 수직인 편광 성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광 이용 효율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편광판의 일면에 별도의 휘도 향상 필름을 부착하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며, 대표적인 휘도 향상 필름으로는 3M社의 DBEF 필름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DBEF 필름은 매우 고가인바, 이러한 고가의 상용필름제품을 대체하기 위하여 새로운 광 산란형 편광필름 등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olarizing plate as described above, the polarizer transmits only the polarized light component parallel to the polarized light transmission axis and absorbs the polarized light component perpendicular to the polarized light transmission axis.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technique of attaching a separat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to one side of a polarizing plate has been proposed. A representativ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is DBEF film of 3M Company. However, the DBEF film is very expensive, and a new light scattering type polarizing film or the like has been actively developed to replace such an expensive commercial film product.

일반적으로, 이러한 광 산란형 편광 필름은 연속적인 매트릭스 내부에 분산상을 포함하며, 연속적인 매트릭스 내부와 분산상의 상이한 굴절률 차이를 이용하여 입사광 성분 중 편광 투과축 성분은 통과하고, 나머지 이에 수직한 성분은 반사 또는 산란시켜 하부의 시트 등에서 반사가 일어나 다시 입사하는 과정을 반복하도록 하는 리사이클링(polarizing recycling) 원리에 따라, 광 이용 효율을 향상시킨다.
In general, such a light scattering type polarizing film includes a dispersed phase inside a continuous matrix, and the polarization transmitted axis component of the incident light component passes through the continuous matrix and the different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the dispersed phase, Reflection or scattering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lower sheet, so that the process of re-entering again is repeated, thereby improving th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olarizing recycling.

한편, 현재까지 제안된 광 산란형 편광 필름은 분산상 물질로 액정 크리스탈(Liquid Crystal), 나노 섬유(Nano Fiber), 코어 셀(Core Cell)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분산상으로 액정 크리스탈, 나노 섬유, 코어 셀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배율 연신에 한계가 있고, 매트릭스 상과 분산상 사이의 굴절율 차이 면에서 제한이 있으며, 균일한 물성을 구현하기가 어려운바, 산란편광 특성의 효율을 향상 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그 제조 공정 역시 복잡하며, 이러한 물질들은 일반적으로 고가에 해당하기 때문에 생산 단가 역시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Meanwhile, the light scattering type polarizing film proposed so far uses a liquid crystal, a nanofiber, and a core cell as a dispersion material. However, when liquid crystals, nanofibers, or core cells are used as the dispersed phase, there is a limitation in high-magnification stretching, there is a limit in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matrix phase and the dispersed phase, and it is difficult to realize uniform physical properties. There is a limit i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also complicated, and these materials are generally expensive, so that the production cost is also hig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산란편광 특성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생산성 및 가격 경쟁력이 우수한, 산란편광 특성을 갖는 광학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tical film having a scattering polarization characteristic capable of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scattering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and capable of being manufactured by a simple method, .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유리전이온도가 70℃ 내지 100℃이며,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 및 상기 제 1 고분자 수지와 유리전이온도 차이가 0℃ 내지 40℃이며,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하기 식 (1) 내지 (2)를 만족하는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first polym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70 to 100 캜 and forming a continuous phase, and a second polym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difference of 0 캜 to 40 캜, (1) to (2), which comprises a second polymer resin which forms a second polymer resin.

식 (1): 0 ≤ |nx1 - nx2| ≤ 0.10(1): 0? | Nx 1 - nx 2 | 0.10

식 (2): 0.15 ≤ |ny1 - ny2| ≤ 0.35(2): 0.15? | Ny 1 - ny 2 | ≤ 0.35

상기 식 (1) 내지 (2)에 있어서, nx1은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nx2는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ny1은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며, ny2는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함.
In the above formulas (1) to (2), nx 1 mean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fter stretching of the first polymer resin forming the continuous phase, and nx 2 mean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polymer resin forming the discontinuous phase Ny 1 means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first polymer resin forming the continuous phase, and ny 2 means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2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fter stretching of the polymer resin.

이때, 상기 광학 필름은 하기 식 (3) 내지 (4)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tical film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s (3) to (4).

식 (3): 0.15 ≤ ny1 - nx1 ≤ 0.30(3): 0.15? Ny 1 - nx 1 ? 0.30

식 (4): 0 ≤ nx2 - ny2 ≤ 0.10(4): 0? Nx 2 - ny 2 ? 0.10

상기 식 (3) 내지 (4)에 있어서, nx1은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nx2는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ny1은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며, ny2는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함.
In the above formulas (3) to (4), nx 1 mean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fter stretching of the first polymer resin forming the continuous phase, and nx 2 mean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polymer resin forming the discontinuous phase Ny 1 means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first polymer resin forming the continuous phase, and ny 2 means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2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fter stretching of the polymer resin.

한편, 상기 제 1 고분자 수지 80 내지 99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 2 고분자 수지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polymer resin comprises 1 to 20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 polymer resin relative to 80 to 99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polymer resin.

한편, 상기 광학 필름은 편광 투과축이 연신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arizing axis of the optical film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etching direction.

또한, 상기 광학 필름은 최대 연신 배율이 4.5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optical film preferably has a maximum draw ratio of 4.5 times or more.

또한, 상기 광학 필름은 두께가 2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optical film is 20 탆 to 100 탆.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또한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larizing plate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optical film.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유리전이온도가 70℃ 내지 100℃이며,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 및, 상기 제 1 고분자 수지와 유리전이온도 차이가 0℃ 내지 40℃이며,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미연신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하기 식 (1) 내지 (2)를 만족하도록 상기 미연신 필름을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first polym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70 캜 to 100 캜 and forming a continuous phase, and a second polym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difference of 0 캜 to 40 캜, Preparing an unoriented film comprising a second polymeric resin to form a second polymeric resin; And stretching the non-stretched film so as to satisfy the following expressions (1) to (2).

식 (1): 0 ≤ |nx1 - nx2| ≤ 0.10(1): 0? | Nx 1 - nx 2 | 0.10

식 (2): 0.15 ≤ |ny1 - ny2| ≤ 0.35(2): 0.15? | Ny 1 - ny 2 | ≤ 0.35

상기 식 (1) 내지 (2)에 있어서, nx1은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nx2는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ny1은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며, ny2는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함.
In the above formulas (1) to (2), nx 1 mean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fter stretching of the first polymer resin forming the continuous phase, and nx 2 mean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polymer resin forming the discontinuous phase Ny 1 means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first polymer resin forming the continuous phase, and ny 2 means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2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fter stretching of the polymer resin.

이때, 상기 미연신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고분자 수지와 제 2 고분자 수지를 블렌딩 한 후, 용융 압출하여 미연신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unstretched film, it is preferable to blend the first polymer resin and the second polymer resin, and melt-extrude the blend to produce an unstretched film.

또한, 상기 미연신 필름을 연신하는 단계는 연신 전 미연신 필름의 두께가 50 내지 300㎛이고, 연신 후 두께가 2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ep of drawing the non-stretched film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50 to 300 占 퐉 and a thickness of 20 to 100 占 퐉 after stretching.

또한, 상기 미연신 필름을 연신하는 단계는 연신 배율이 5배 내지 7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step of drawing the non-stretched film,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5 to 7 times.

또한, 상기 미연신 필름을 연신하는 단계는 연신 온도가 70℃ 내지 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retching step of the non-stretched film preferably has a stretching temperature of 70 to 110 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연속상으로 유리전이온도가 70℃ 내지 100℃인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며, 불연속상으로 연속상과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40℃ 차이 나는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는바, 비교적 낮은 연신 온도에서도 연신이 가능하며, 그 결과 우수한 복굴절을 가질 수 있다.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olym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70 to 100 DEG C as a continuous phase and a polymer resin having a continuous phase and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different from 0 DEG C to 40 DEG C as a discontinuous phase, Stretching at a low drawing temperature is possible, and as a result, excellent birefringence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연속상과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2종의 고분자 수지를 블렌딩 하여 일반적인 필름 형성 방법으로 제조하는바, 제조 방법이 간단하고, 생산성이 우수하며,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다.
In addition,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a general film forming method by blending two kinds of polymer resins forming a continuous phase and a discontinuous phase, so that the production method is simple, the productivity is excellent, and the price competitiveness is excellent.

또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2종의 고분자 수지 모두 연신에 의하여 복굴절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고배율 연신이 가능한바, 종래에 비하여 더욱 향상된 산란편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In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birefringence occurs in both of the two polymer resins due to stretching, and high-magnification stretching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optical film can have improved scattering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광학 필름1. Optical film

본 발명자들은 연구를 거듭한 결과, 연신에 의하여 특별한 복굴절 특성을 갖는 특정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는 2종의 고분자 수지를 블렌딩 하여 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연신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제조되는 광학 필름이 우수한 산란편광 특성을 가짐으로써, 광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As a result of extensive research,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in the case of producing an optical film by blending two kinds of polymer resins having specific birefringence characteristics and having a specifie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by stretching and stretching them, Has excellent scattering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and can improv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thus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유리전이온도가 70℃ 내지 100℃이며,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 및 상기 제 1 고분자 수지와 유리전이온도 차이가 0℃ 내지 40℃이며,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하기 식 (1) 내지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70 to 100 占 폚, a first polymeric resin forming a continuous phase, and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difference of 0 占 폚 to 40 占 폚 with the first polymeric resin, And a second polymer resin forming a discontinuous phase, and is characterized by satisfying the following expressions (1) to (2).

식 (1): 0 ≤ |nx1 - nx2| ≤ 0.10(1): 0? | Nx 1 - nx 2 | 0.10

식 (2): 0.15 ≤ |ny1 - ny2| ≤ 0.35(2): 0.15? | Ny 1 - ny 2 | ≤ 0.35

상기 식 (1) 내지 (2)에 있어서, nx1은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nx2는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ny1은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며, ny2는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한다.
In the above formulas (1) to (2), nx 1 mean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fter stretching of the first polymer resin forming the continuous phase, and nx 2 mean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polymer resin forming the discontinuous phase Ny 1 means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first polymer resin forming the continuous phase, and ny 2 means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2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fter stretching of the polymer resin.

이때, 본 발명에 있어서 "연속상" 이란 광학 필름의 매트릭스상을 의미하며, "불연속상" 이란 상기 매트릭스상에 분산되어 존재하는 분산상을 의미한다.
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 phase" means a matrix phase of an optical film, and "discontinuous phase" means a dispersed phase dispersed on the matrix.

상기 식 (1)과 같이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연속상과 불연속상 두 물질의 편광 투과축 방향의 굴절률이 동일해야 이 방향과 평행한 빛이 굴절률 차이가 없음으로 인해 투과를 하게 되며, 만약 상기 식 (1)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편광 투과축 방향과 평행한 빛 역시 산란이 일어나게 되어 광 이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식 (2)와 같이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연속상과 불연속상 두 물질의 편광 투과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이 상이해야 이 방향과 평행한 빛이 굴절률 차이로 인하여 투과하지 못하고 산란이 되며, 만약 상기 식 (2)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빛이 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산란 효율이 떨어지게 되며, 그 결과 광 이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If the refractive indexes of the continuous phase and the discontinuous two materials constituting the optical film are the same in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s in the formula (1), the light parallel to this direction will transmit due to no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1) is not satisfied, scattering occurs also in the light parallel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is lowered. In addition, a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continuous phase and the discontinuous phase of the optical material constituting the optical film must be different as in the formula (2), the light parallel to this direction can not transmit due to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If the above formula (2) is not satisfied, a light leakage phenomenon occurs, so that the scattering efficiency is lowered, and as a result, th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is lowered.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광학 필름은 하기 식 (3) 내지 (4)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연신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편광 투과축이 형성이 되는 바(상세 후술), 하기 식 (3)은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연속상이 연신 후 굴절률이 연신 방향과 평행하는 방향의 굴절률이 발달하는 정의 복굴절을 가지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함을 의미하며, 하기 식 (4)는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불연속상이 연신 후 굴절률이 연신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의 굴절률이 발달하는 부의 복굴절을 가지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그 중에서도 특히 하기 식 (3) 내지 (4)의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특히 우수한 광 이용 효율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s (3) to (4). In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arized light transmission axis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etching direction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following formula (3) is obtained when the continuous phase constituting the optical film has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4) indicates that a discontinuous phase constituting the optical film is a material having a negative birefringence in which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etching direction is developed after the stretching, and a material having positive birefringence ≪ / RTI >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particularly excellent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particularly when the numerical ranges of the following formulas (3) to (4) are satisfied.

식 (3): 0.15 ≤ ny1 - nx1 ≤ 0.30(3): 0.15? Ny 1 - nx 1 ? 0.30

식 (4): 0 ≤ nx2 - ny2 ≤ 0.10(4): 0? Nx 2 - ny 2 ? 0.10

상기 식 (3) 내지 (4)에 있어서, nx1은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nx2는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ny1은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며, ny2는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한다.
In the above formulas (3) to (4), nx 1 mean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fter stretching of the first polymer resin forming the continuous phase, and nx 2 mean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polymer resin forming the discontinuous phase Ny 1 means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first polymer resin forming the continuous phase, and ny 2 means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2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fter stretching of the polymer resin.

본 발명의 상기 광학 필름이 상기 식 (1) 내지 (2)를 만족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 (3) 내지 (4) 또한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광학 필름은 우수한 산란편광 특성을 가지게 되며, 그 결과 편광 투과축에 평행한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편광 투과축에 수직한 편광을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산란시킴으로써, 광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the above-mentioned expressions (1) to (2), and preferably satisfies the expressions (3) to (4), the optical film has excellent scattering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polarized light parallel to the polarized light transmission axis and selectively reflecting or scattering the polarized light perpendicular to the polarized light transmission axis.

예를 들어, 상기 광학 필름의 편광 투과축과 직교방향의 편광성분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산란이 되고, 이와 같이 산란되는 광은 편광방향으로 회전되어 편광해소 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산란된 광은 편광 투과축에 대해 평행한 편광성분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편광방향으로 편광된 성분이 증가하게 되며, 우수한 광 이용 효율을 가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polarization componen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of the optical film is scattered forward or backward, and the scattered light can be rotated in the polarization direction to be depolarized, It becomes possible to have a polarization component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Therefore, the component polarized in the polarization direction is increased, and th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광학 필름은 유리전이온도가 70℃ 내지 100℃이며,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 및 상기 제 1 고분자 수지와 유리전이온도 차이가 0℃ 내지 40℃이며,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의 블렌딩 수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2종의 고분자 수지를 블렌딩 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2종의 고분자 수지 모두 연신에 의하여 복굴절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로 인하여 산란편광 특성이 보다 우수해지며, 따라서 광 이용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70 to 100 占 폚, a first polymer resin forming a continuous phase, and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difference of 0 占 폚 to 40 占 폚 with the first polymer resin, And a blending resin of a second polymer resin forming an image. When two kinds of polymer resins are blended and used, the birefringence is generated by stretching in both of the two types of polymer resins, and as a result, the scattering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become better, and thus th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There are advantages.

또한, 이와 같이 2종의 고분자 수지를 블렌딩 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름 형상의 광학 필름의 제조가 가능하고, 따라서 고배율 연신이 가능하며, 이와 같이 고배율 연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2종의 고분자 수지가 보다 높은 복굴절이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광학 필름이 박형 편광자 제조를 위한 기재 필름으로 이용되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박형 편광자의 광학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the case of blending two polymer resin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duce a film-like optical film, which enables high-magnification stretching. Since high-magnification stretching is possible in this way, Birefringence, and when the optical film is used as a base film for producing a thin polarizer,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thin polarizer manufactured using the optical film are excellent.

한편,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상기 제 1 고분자 수지 80 내지 99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 2 고분자 수지를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고분자 수지 85 내지 97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 2 고분자 수지를 3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제 1 고분자 수지 90 내지 95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 2 고분자 수지를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와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는 상용성이 낮기 때문에,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의 조성비가 상기 범위보다 높아지면 상 분리가 일어나게 되며, 따라서 광학 필름 내에서 연속상과 불연속상을 구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산란편광 특성만이 극대화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의 조성비가 상기 범위보다 낮아지면 산란편광 특성이 좋지 못하며, 따라서 광 이용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omprises 1 to 20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 polymeric resin with respect to 80 to 99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polymeric resin, more preferably 85 to 97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polymeric resin, 2 polymer resin is more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3 to 15 parts by weight, and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second polymer resin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5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90 to 95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polymer resin. Generally, since the first polymer resin forming the continuous phase and the second polymer resin forming the discontinuous phase are low in compatibility, when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second polymer resin forming the discontinuous phase is higher than the above range, phase separation occur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a continuous phase and a discontinuous phase can not be realized in the optical film, and further, only the scattering polarization characteristic is maximized. On the other hand, if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second polymer resin forming the discontinuous phase is lower tha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scattering polarization characteristic is poor and th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is lowered.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는 후술할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와 블렌딩 되어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서 연속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유리전이온도가 7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리전이온도가 70 내지 90℃ 정도이다. 제 1 고분자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굴절률 발현성이 너무 크게 발현이 되어, 투과되지 않고 산란되는 광이 많아져 오히려 휘도가 감소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굴절률 발현성이 떨어져 산란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때, 유리전이온도는 시차주사형 열량계(DSC)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예컨대, 시차주사형 열량계(DSC)를 이용하는 경우, 약 10mg의 시료를 전용 팬(pan)에 밀봉하고 일정 승온 조건으로 가열할 때 상변이가 일어남에 따른 물질의 흡열 및 발열량을 온도에 따라 그려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polymer resin forming the continuous phas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a continuous phase in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blended with a second polymer resin forming a discontinuous phase to be described later, Is 70 to 100 DEG C, and more preferably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70 to 90 DEG C or so.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first polymer resin is higher than the above range, the refractive index developability of the first polymer resin becomes too large and the light scattered without being transmitted increases, resulting in a decrease in brightnes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polymer resin is low and the scattering property may be deteriorated. At this tim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an be measured by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when a sample of about 10 mg is sealed in a dedicated pan and heated at a constant temperature, the amount of endothermic heat The transition temperature can be measured.

한편, 상기 제 1 고분자 수지는 상기와 같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며, 연신에 의하여 상기 식 (1) 내지 (2)를 만족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Co-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고리형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polymer resin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has the above-mentione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can satisfy the above formulas (1) to (2) by stretching. For examp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Co-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resin, polycarbonate resin, polyarylate resin, cyclic polyolefin resin and polyether sulfone resin.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는 상술한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와 블렌딩 되어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서 불연속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고분자 수지와의 유리전이온도 차이가 0℃ 내지 4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 정도이다. 유리전이온도 차이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블렌딩 후 제막된 필름의 연신 과정에서 연신 온도가 한 물질의 유리전이온도에 치우치게 되고, 이 경우 연속상 혹은 불연속상의 광학적 이방성 발달율이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산란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The second polymer resin forming the discontinuous phas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discontinuous phase in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blended with the first polymer resin forming the continuous phase described abov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difference with the polymer resin is about 0 캜 to 40 캜, more preferably about 0 캜 to 30 캜.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difference exceeds the above range, the stretching temperature of the film formed after the blending is biased to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one material. In this case, the optical anisotropy development rate of the continuous phase or the discontinuous phase is biased to one 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ect becomes poor.

한편, 상기 제 2 고분자 수지는 상기와 같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며, 연신에 의하여 상기 식 (1) 내지 (2)를 만족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아크릴-co-스티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olymer resin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ha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s described above and can satisfy the formulas (1) to (2) by stretching. For example, it may be an acrylic resin, a styrene resin, an acryl-co-styrene resin, a polycarbonate resin, or the like.

이때,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로 이루어진 호모폴리머 수지뿐 아니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 이외에 다른 단량체 단위가 공중합된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등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crylic resin contains a (meth) acrylate-based unit as a main component, and is not limited to a homopolymer resin composed of a (meth) acrylate-based unit but also a copolymer resin . For example, the acrylic resin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또한, 상기 스티렌계 수지는 스티렌계 단위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스티렌계 단위로 이루어진 호모폴리머 수지뿐 아니라 스티렌계 단위 이외의 다른 단량체 단위가 공중합된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상기 스티렌계 수지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스티렌 수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 α-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 등일 수 있다.
The styrene-based resin includes a styrene-based unit as a main component, and is a concept including not only a homopolymer resin composed of styrene-based units but also a copolymer resin in which monomer units other than styrene-based units are copolymerized. For example, the styrenic resin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polystyrene resin, 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resin,? -Methyl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resin, and the like.

또한, 상기 아크릴-co-스티렌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 및 스티렌계 단위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스티렌계 단량체가 공중합된 공중합체 수지뿐 아니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스티렌계 단량체 이외에 다른 단량체 단위가 공중합된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상기 아크릴-co-스티렌계 수지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메틸메타크릴레이트-co-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co-부틸메타크릴레이트-co-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등일 수 있다.
The acrylic-co-styrene-based resin contains, as a main component, a (meth) acrylate-based unit and a styrene-based unit, and is not limited to a copolymer resin in which (meth) acrylate monomer and styrene- Methacrylate monomer and a monomer unit other than a styrene monomer. For example, the acrylic-co-styrene resin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methyl methacrylate-co-styrene copolymer resin, a methyl methacrylate-co-butyl methacrylate- And so on.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광학 필름은 편광 투과축이 연신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신에 의해 편광 투과축이 연신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이 되는 경우, 편광자 또는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과의 편광 투과축의 얼라인(align)이 용이하며, 종래의 DBEF 필름 등과 달리 별도의 재단 공정 등이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etching direction. When the polarized light transmission axis is formed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to the stretching direction by the stretching, alignment of the polarized light transmission axis with the polarizer or the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polarizer can be easily performed.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DBEF film, And the like are unnecessary.

한편, 상기 산란편광 특성을 갖는 광학 필름은 최대 연신 배율이 4.5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5배 내지 7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80 내지 130℃의 온도에서 최대 연신 배율이 5배 내지 7배 정도일 수 있다. 여기서 최대 연신 배율이란 연신 과정에서 필름의 파단이 일어나기 직전의 연신 배율을 의미하며, 광학 필름의 최대 연신 배율이 상기 범위 이상인 경우 고배율 연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ptical film having the above-described scattering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preferably has a maximum draw magnification of 4.5 times or more, more preferably from 5 times to 7 times. More specifically, the maximum draw ratio may be about 5 to 7 times at a temperature of 80 to 130 캜. Herein, the maximum stretching magnification means a stretching magnification immediately before the film breaks in the stretching process, and when the maximum stretching magnification of the optical film is in the above range, high magnification stretching is possible.

한편, 상기 산란편광 특성을 갖는 광학 필름의 두께는 2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며, 20㎛ 내지 80㎛ 또는 20㎛ 내지 6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보다 두꺼워질 경우 연신 전 필름의 두께가 매우 두꺼워야 하기 때문에 제막 공정성이 나오지 않을 수 있으며, 나아가 필름의 박형 경량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범위보다 얇은 경우에는 산란편광 특성이 저하되어 광 이용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hickness of the optical film having the above-described scattering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is preferably 20 탆 to 100 탆, more preferably 20 탆 to 80 탆 or 20 탆 to 60 탆. If it is thicker than the above range, the thickness of the pre-stretched film must be very thick, so that the processability of film-forming may not be obtained, and further, it is difficult to make the film thin and light. On the other hand, if it is thinner than the above range, the scattering polarization characteristic may be deteriorated and th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may be lowered.

2.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2.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film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producing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상기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은 유리전이온도가 70℃ 내지 100℃이며,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 및 상기 제 1 고분자 수지와 유리전이온도 차이가 0℃ 내지 40℃이며,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미연신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하기 식 (1) 내지 (2)를 만족하도록 상기 미연신 필름을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duction method of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olym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70 캜 to 100 캜 and forming a continuous phase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difference from 0 캜 to 40 캜, Preparing an unoriented film comprising a second polymeric resin forming a discontinuous phase; And stretching the non-stretched film so as to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s (1) to (2).

식 (1): 0 ≤ |nx1 - nx2| ≤ 0.10(1): 0? | Nx 1 - nx 2 | 0.10

식 (2): 0.15 ≤ |ny1 - ny2| ≤ 0.35(2): 0.15? | Ny 1 - ny 2 | ≤ 0.35

상기 식 (1) 내지 (2)에 있어서, nx1은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nx2는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ny1은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며, ny2는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한다.
In the above formulas (1) to (2), nx 1 mean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fter stretching of the first polymer resin forming the continuous phase, and nx 2 mean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polymer resin forming the discontinuous phase Ny 1 means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first polymer resin forming the continuous phase, and ny 2 means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2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fter stretching of the polymer resin.

먼저, 상기 미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필름의 성형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술한 상기 제 1 고분자 수지와 제 2 고분자 수지를 적절한 혼합 방법에 의해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필름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수지 조성물은 옴니 믹서 등의 임의의 적절한 혼합기로 상기 필름 원료를 블렌드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압출 혼련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압출 혼련에 이용되는 혼합기로는 단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등의 압출기나, 가압 니더 등의 임의의 적절한 혼합기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As the method of producing the unstretched film, a film forming method generally used in the related art may be used. For example, the first polymer resin and the second polymer resin may be mixed To prepare a resin composition, and then molding it into a film.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resin composition may be prepared by blending the film raw material with an arbitrary suitable mixer such as an omni mixer, and then extruding and kneading the obtained mixture. As the mixer used for the extrusion kneading, , An extruder such as a twin screw extruder, or a pressurized kneader.

상기 필름 성형의 방법으로는, 용액 캐스트법(용액 유연법), 용융 압출법, 캘린더법, 압축 성형법 등의 임의의 적절한 필름 성형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경우 이 중에서도 특히 용융 압출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용융 압출법으로는 예를 들어 T 다이법, 인플레이션법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T 다이법으로 필름을 성형하는 경우에는, 공지된 단축 압출기나 2축 압출기의 선단부에 T 다이를 장착하고, 필름 형상으로 압출된 필름을 권취하여 롤 형상의 필름을 얻을 수 있는바, 연속적으로 필름의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성형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0~3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300℃이다.
As the film forming method, any suitable film forming method such as a solution casting method (solution casting method), a melt extrusion method, a calendering method, a compression molding method and the like can be use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s of the melt extrusion method include a T-die method and an inflation method. In particular, when a film is formed by the T-die method, a T-die is attached to the tip of a known single-screw extruder or a twin-screw extruder And a roll-shaped film can be obtained by winding a film extruded in the form of a film, since the film can be continuously produced, which is advantageous in productivity. On the other hand, the mold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150 to 350 占 폚, more preferably 200 to 300 占 폚.

다음으로, 상기 미연신 필름이 제조되면 상기 식 (1) 내지 (2)를 만족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 (3) 내지 (4)를 만족하도록 이를 연신한다. 이때, 본 발명의 경우 연신에 의하여 광학 필름이 산란편광 특성을 갖게 되며, 또한 편광 투과축이 연신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Next, when the unstretched film is produced, it satisfies the above-mentioned expressions (1) to (2), and preferably stretches it to satisfy the expressions (3) to (4).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film has a scattering polarization characteristic by stretching, and a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etching direction.

이때, 연신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미연신 필름의 종 방향(MD)에 대하여 일축 연신을 실시할 수 있고, 또는 상기 미연신 필름의 횡 방향(TD)에 대하여 일축 연신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미연신 필름의 횡 방향(TD) 연신 시 동시 이축으로 종 방향(MD) 수축을 유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적층체의 횡 방향(TD) 연신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텐터를 통해 일단(一端)을 고정시킨 고정단 일축 연신 방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적층체의 종 방향(MD) 연신 방식으로는, 롤간 연신 방법, 압축 연신 방법, 자유단 일축 연신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연신 처리는 다단으로 실시할 수도 있으며, 또는 이축 연신, 경사 연신 등을 실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stretch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uniaxial stretching can be per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of the unstretched film, or uniaxial stretching can be per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D) . Also, longitudinal MD shrinkage may be caused by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D) of the unstretched film. On the other hand, the transverse (TD) stretching method of the laminate is, for example, a fixed one uniaxial stretching method in which one end is fixed through a tenter, and the longitudinal (MD) stretching Examples of the method include an inter-roll stretching method, a compression stretching method, and a free-end uniaxial stretching method. On the other hand, the stretching treatment may be carried out in multiple stages, or by biaxial stretching, warp stretching, or the like.

한편,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연신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투과축이 형성이 되며, 일반적으로 편광자는 종 방향(MD)으로 흡수축이 형성되는바, 종 방향(MD)으로 연신하여 제조하는 경우 편광자와의 얼라인(align)이 보다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mission axis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etching direction. Generally, the polarizer has an absorption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In the case where the polarizing film is produced by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It is more advantageous to align the light source with the light source.

한편, 상기 연신은 70℃ 내지 11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70℃ 내지 100℃ 또는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결정화가 일어나거나 배향이 덜 되어 굴절률 상승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며, 연신 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연신이 잘되지 않고 파단이 발생하여 제조가 불가능할 수 있다.
The stretching is preferably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70 ° C to 110 ° C, and more preferably 70 ° C to 100 ° C or 80 ° C to 100 ° C. If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above range, crystallization of the first polymer resin may occur or the orientation may become less so that the refractive index may not rise. If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above range, the first polymer resin is not stretched well, May occur and manufacture may not be possible.

또한, 상기 연신은 5 내지 7배의 연신 배율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배 내지 6배의 연신 배율로 수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이 상기 범위보다 높은 경우에는 연신 자체가 어려울 수 있고, 연신 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nx1 및 ny1 차이가 작아 산란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retching is preferably performed at a stretching magnification of 5 to 7 times, more preferably at a stretching magnification of 5 to 6 times. If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higher than the above range, stretching may be difficult. If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above range, the difference between nx 1 and ny 1 of the first polymer resin may be small and it may be difficult to exhibit the scattering effect.

또한, 상기 연신은 연신 전 필름의 두께가 50 내지 300㎛이고 연신에 의하여 두께가 20㎛ 내지 100㎛이 되도록 연신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신 전 필름의 두께가 50㎛ 내지 200㎛이고 연신에 의하여 두께가 20㎛ 내지 80㎛가 되도록 연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연신 전 필름의 두께가 50㎛ 내지 150㎛이고 연신에 의하여 두께가 20㎛ 내지 60㎛가 되도록 연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연신 전 필름의 두께가 상기 범위보다 두꺼운 경우에는 제막 공정성이 나오지 않을 수 있으며, 나아가 연신 후의 필름의 두께 역시 두꺼운바 필름의 박형 경량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신 전 필름의 두께가 상기 범위보다 얇은 경우에는 연신 후의 필름의 두께가 너무 얇아 산란편광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광 이용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The stretching is preferably perform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film before stretching is 50 to 300 占 퐉 and the thickness is 20 占 퐉 to 100 占 퐉 by stretching. The thickness of the film before stretching is 50 占 퐉 to 200 占 퐉, More preferably 20 占 퐉 to 80 占 퐉, more preferably 50 占 퐉 to 150 占 퐉 in thickness before stretching and 20 占 퐉 to 60 占 퐉 in thickness by stretching. If the thickness of the film before stretching is larger than the above range, film forming processability may not be obtained. 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thickness and thickness of the thick bar film after stretching. When the thickness of the film before stretching is thinner than the above range, the thickness of the film after stretching is too thin, so that the scattering polarization effect may be deteriorated, and as a result, th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may deteriorate.

3. 편광판, 디스플레이 장치3. Polarizer, display device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역시 제공한다. 이때, 편광판의 구조는 본 발명의 상기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편광자/상기 광학 필름, 보호 필름/편광자/상기 광학 필름, 또는 보호 필름/편광자/보호 필름/상기 광학 필름 등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optical film. At this time, the structure of the polarizing pl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ncludes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polarizer / the optical film, the protective film / polarizer / the optical film, or the protective film / polarizer / protective film / Optical film or the like.

이때, 상기 편광자는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편광자, 예를 들면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콜(PVA)로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염착시켜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At this time, the polarizer may be a film made of polyvinyl alcohol (PVA) including a polarizer well-known in the art, for example, iodine or a dichroic dye. The polarizer may be prepared by dyeing a polyvinyl alcohol film with iodine or a dichroic dye, but the production method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한편, 상기 편광자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인 경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의 유도체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비닐포르말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편광자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판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예컨대, 구라레 사의 P30, PE30, PE60, 일본합성사의 M3000 M6000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olarizer is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can be used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contains a polyvinyl alcohol resin or a derivative thereof. At this time, derivatives of the polyvinyl alcohol resi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olyvinyl formal resins and polyvinyl acetal resins. Alternatively,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may be a commercially availabl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commonly used in the art for producing polarizers, such as P30, PE30, PE60 manufactured by Kuraray Co., Ltd. or M3000 M6000 manufactured by 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

또한, 상기 보호 필름은 편광자를 지지 및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다양한 재질의 보호 필름들,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싸이클로올레핀 폴리머(COP, cycloolefin polymer) 필름, 아크릴계 필름 등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광학 특성, 내구성,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아크릴계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The protective film is used for supporting and protecting the polarizer. Various protective films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 cellulose film,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a cycloolefin film, An olefin polymer (COP, cycloolefin polymer) film, an acrylic film, and the like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Of these,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use an acrylic film in consideration of optical characteristics, durability, economical efficiency and the like.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아크릴계 필름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성형 재료를 압출 성형에 의해 성형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를 주 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로 이루어진 호모 폴리머 수지뿐 아니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 이외에 다른 단량체 단위가 공중합된 공중합체 수지 및 상기와 같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에 다른 수지가 블렌드된 블렌드 수지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On the other hand, the acrylic film u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by molding a molding material containing a (meth) acrylate resin as a main component by extrusion molding. In this case, the (meth) acrylate-based resin contains a resin containing a (meth) acrylate-based unit as a main component, and includes not only a homopolymer resin composed of a (meth) acrylate- But also a copolymer resin in which other monomer units are copolymerized and a blend resin in which another resin is blended with the above-mentioned (meth) acrylate resin.

한편,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는, 예를 들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는 알킬아크릴레이트계 단위 및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단위를 모두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의 알킬기는 탄소수 1 ~ 10인 것이 바람직하며, 탄소수 1 ~ 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meth) acrylate-based unit may be, for example, an alkyl (meth) acrylate-based unit. Here, the alkyl (meth) acrylate-based unit means both an alkyl acrylate-based unit and an alkyl methacrylate-based unit, and the alkyl (meth) acrylate-based alkyl group preferably has 1 to 10 carbon atoms , More preferably from 1 to 4 carbon atoms.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와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 단위로는, 스티렌계 단량체 단위, 말레산 무수물계 단량체 단위, 말레이미드계 단량체 단위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말레산 무수물계 단량체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말레산 무수물, 시클로헥실 말레산 무수물, 페닐 말레산 무수물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말레이미드, N-메틸 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 말레이미드, N-페닐 말레이미드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Examples of the monomer unit copolymerizable with the (meth) acrylate-based monomer unit include a styrene-based monomer unit, a maleic anhydride-based monomer unit, and a maleimide-based monomer unit. Examples of the styrene-based monomer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tyrene and? -Methylstyrene. The maleic anhydride monomer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maleic anhydride, cyclohexylmaleic acid Examples of the maleimide-based monomer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maleimide, N-methylmaleimide, N-cyclohexylmaleimide, N-phenylmaleimide and the like For exampl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한편, 상기 편광판에는 광학 위상차를 보상시켜 주기 위한 위상차 필름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위상차 필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액정 모드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위상차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The polarizing plate may include a retardation film for compensating the optical retardation. Here, the retardation film u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retardation film commonly used in the art may be used depending on various liquid crystal mode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학 필름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학 필름은 액정표시장치(LCD), 유기발광소자(OLED)와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optical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cluded in various display devices. For example, the optical film may be applied to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xamples.

실시예Example 1 O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TK케미칼, TEX-PET) 95 중량부와 폴리스티렌-co-메틸메타크릴레이트(LG화학, PS-co-PMMA) 5 중량부를 물리적으로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공급하여 250℃에서 용융하여 원료 펠렛(pellet)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원료 펠렛을 진공 건조하고 250℃에서 압출기로 용융한 뒤, 매니폴더 타입의 티-다이(T-die)에 통과시키고, 크롬 도금 캐스팅 롤 및 건조 롤 등을 거쳐 두께 100㎛의 필름 형상의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95 parts by weigh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TK chemical, TEX-PET) and 5 parts by weight of polystyrene-co-methyl methacrylate (LG Chem, PS-co-PMMA) Followed by melting to produce a raw material pellet. The raw material pellets thus produced were vacuum-dried, melted in an extruder at 250 ° C, passed through a T-die of a manifold type, and passed through a chrome casting roll and a drying roll to obtain a film- To prepare an optical film.

다음으로, 상기 광학 필름을 80℃의 온도에서 건식 연신 방법으로 5배의 연신 배율로 텐터 이용 1축 연신 하였다. 연신 후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광학 필름의 두께는 50㎛ 이었다.
Next, the optical film was uniaxially stretched using a tenter at a stretching magnification of 5 times by a dry stretching method at a temperature of 80 캜. The thickness of the finally obtained optical film after stretching was 50 占 퐉.

실시예Example 2 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TK케미칼, TEX-PET) 95 중량부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LG MMA, PMMA) 5 중량부를 물리적으로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공급하여 250℃에서 용융하여 원료 펠렛(pellet)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원료 펠렛을 진공 건조하고 250℃에서 압출기로 용융한 뒤, 매니폴더 타입의 티-다이(T-die)에 통과시키고, 크롬 도금 캐스팅 롤 및 건조 롤 등을 거쳐 두께 100㎛의 필름 형상의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A resin composition obtained by physically mixing 95 parts by weigh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TK Chemical, TEX-PET) and 5 parts by weight of polymethyl methacrylate (LG MMA, PMMA) was supplied to an extruder and melted at 250 ° C to form a raw pellet. . The raw material pellets thus produced were vacuum-dried, melted in an extruder at 250 ° C, passed through a T-die of a manifold type, and passed through a chrome casting roll and a drying roll to obtain a film- To prepare an optical film.

다음으로, 상기 광학 필름을 80℃의 온도에서 건식 연신 방법으로 5배의 연신 배율로 텐터 이용 1축 연신 하였다. 신 후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광학 필름의 두께는 50㎛ 이었다.
Next, the optical film was uniaxially stretched using a tenter at a stretching magnification of 5 times by a dry stretching method at a temperature of 80 캜. The thickness of the finally produced optical film after the stretching was 50 탆.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TK케미칼, TEX-PET)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공급하여 250℃에서 용융하여 원료 펠렛(pellet)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원료 펠렛을 진공 건조하고 250℃에서 압출기로 용융한 뒤, 매니폴더 타입의 티-다이(T-die)에 통과시키고, 크롬 도금 캐스팅 롤 및 건조 롤 등을 거쳐 두께 100㎛의 필름 형상의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100 parts by weigh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TK Chemical, TEX-PET) was supplied to an extruder and melted at 250 캜 to prepare a raw material pellet. The raw material pellets thus produced were vacuum-dried, melted in an extruder at 250 ° C, passed through a T-die of a manifold type, and passed through a chrome casting roll and a drying roll to obtain a film- To prepare an optical film.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2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Teijin, TEONEX) 95 중량부와 폴리스티렌-co-메틸메타크릴레이트(LG화학, PS-co-PMMA) 5 중량부를 물리적으로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공급하여 260℃에서 용융하여 원료 펠렛(pellet)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원료 펠렛을 진공 건조하고 260℃에서 압출기로 용융한 뒤, 매니폴더 타입의 티-다이(T-die)에 통과시키고, 크롬 도금 캐스팅 롤 및 건조 롤 등을 거쳐 두께 100㎛의 필름 형상의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A resin composition obtained by physically mixing 95 parts by weight of polyethylene naphthalate (Teijin, TEONEX) and 5 parts by weight of polystyrene-co-methyl methacrylate (LG Chem, PS-co-PMMA) was supplied to an extruder and melted at 260 ° C, A pellet was prepared. The obtained raw material pellets were vacuum dried, melted in an extruder at 260 占 폚, passed through a T-die of a manifold type, passed through a chrome casting roll and a drying roll, To prepare an optical film.

다음으로, 상기 광학 필름을 120℃의 온도에서 건식 연신 방법으로 5배의 연신 배율로 텐터 이용 1축 연신 하였다. 연신 후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광학 필름의 두께는 50㎛ 이었다.
Next, the optical film was uniaxially stretched using a tenter at a stretching magnification of 5 times by a dry stretching method at a temperature of 120 캜. The thickness of the finally obtained optical film after stretching was 50 占 퐉.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3 3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Teijin, TEONEX) 95 중량부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LG MMA, PMMA) 5 중량부를 물리적으로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공급하여 260℃에서 용융하여 원료 펠렛(pellet)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원료 펠렛을 진공 건조하고 260℃에서 압출기로 용융한 뒤, 매니폴더 타입의 티-다이(T-die)에 통과시키고, 크롬 도금 캐스팅 롤 및 건조 롤 등을 거쳐 두께 100㎛의 필름 형상의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A resin composition obtained by physically mixing 95 parts by weight of polyethylene naphthalate (Teijin, TEONEX) and 5 parts by weight of polymethyl methacrylate (LG MMA, PMMA) was supplied to an extruder and melted at 260 ° C to prepare a raw material pellet . The obtained raw material pellets were vacuum dried, melted in an extruder at 260 占 폚, passed through a T-die of a manifold type, passed through a chrome casting roll and a drying roll, To prepare an optical film.

다음으로, 상기 광학 필름을 120℃의 온도에서 건식 연신 방법으로 5배의 연신 배율로 텐터 이용 1축 연신 하였다. 연신 후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광학 필름의 두께는 50㎛ 이었다.
Next, the optical film was uniaxially stretched using a tenter at a stretching magnification of 5 times by a dry stretching method at a temperature of 120 캜. The thickness of the finally obtained optical film after stretching was 50 占 퐉.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4 4

폴리프로필렌(LG화학, SEETEC) 95 중량부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LG화학, PMMA) 5 중량부를 물리적으로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공급하여 250℃에서 용융하여 원료 펠렛(pellet)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원료 펠렛을 진공 건조하고 250℃에서 압출기로 용융한 뒤, 매니폴더 타입의 티-다이(T-die)에 통과시키고, 크롬 도금 캐스팅 롤 및 건조 롤 등을 거쳐 두께 100㎛의 필름 형상의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A resin composition obtained by physically mixing 95 parts by weight of polypropylene (LG Chem, SEETEC) and 5 parts by weight of polymethylmethacrylate (LG Chem, PMMA) was supplied to an extruder and melted at 250 ° C to produce a raw material pellet . The raw material pellets thus produced were vacuum-dried, melted in an extruder at 250 ° C, passed through a T-die of a manifold type, and passed through a chrome casting roll and a drying roll to obtain a film- To prepare an optical film.

다음으로, 상기 광학 필름을 70℃의 온도에서 건식 연신 방법으로 5배의 연신 배율로 텐터 이용 1축 연신 하였다. 연신 후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광학 필름의 두께는 50㎛ 이었다.
Next, the optical film was uniaxially stretched using a tenter at a stretching magnification of 5 times by a dry stretching method at a temperature of 70 캜. The thickness of the finally obtained optical film after stretching was 50 占 퐉.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5 5

폴리프로필렌(LG화학, SEETEC) 95 중량부와 폴리스티렌-co-메틸메타크릴레이트(LG화학, PS-co-PMMA) 5 중량부를 물리적으로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공급하여 260℃에서 용융하여 원료 펠렛(pellet)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원료 펠렛을 진공 건조하고 260℃에서 압출기로 용융한 뒤, 매니폴더 타입의 티-다이(T-die)에 통과시키고, 크롬 도금 캐스팅 롤 및 건조 롤 등을 거쳐 두께 100㎛의 필름 형상의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95 parts by weight of polypropylene (LG Chem, SEETEC) and 5 parts by weight of polystyrene-co-methyl methacrylate (LG Chem, PS-co-PMMA) were physically mixed and fed to an extruder, A pellet was prepared. The obtained raw material pellets were vacuum dried, melted in an extruder at 260 占 폚, passed through a T-die of a manifold type, passed through a chrome casting roll and a drying roll, To prepare an optical film.

다음으로, 상기 광학 필름을 80℃의 온도에서 건식 연신 방법으로 5배의 연신 배율로 텐터 이용 1축 연신 하였다. 연신 후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광학 필름의 두께는 50㎛ 이었다.
Next, the optical film was uniaxially stretched using a tenter at a stretching magnification of 5 times by a dry stretching method at a temperature of 80 캜. The thickness of the finally obtained optical film after stretching was 50 占 퐉.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 유리전이온도 측정 1 -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easurement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에서 사용된 고분자 수지 각각을 시차주사열량계(DSC Mettler 社)를 이용하여 -30 ~ 200℃로 승온시켜 세컨드 런(second run)에서의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Each of the polymer resins used in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was heated to -30 to 200 ° C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Mettler) to measur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 a second ru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2 - 굴절률 측정 2 - Measurement of refractive index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에서 사용된 고분자 수지의 굴절률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들 고분자 수지 각각을 상기 실시예 1에서 기재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용융 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굴절률을 프리즘커플러(SPA社)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In order to measure the refractive indexes of the polymer resins used in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each of these polymer resins was melt-extrud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Example 1 to prepare a film.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roduced film was measured using a prism coupler (SPA) and is shown in Table 1 below.

구 분division 고분자 수지Polymer resin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캜) nxnx nyny 실시예 1Example 1 제1수지: PETFirst Resin: PET 7878 1.541.54 1.691.69 제2수지: PS-co-MMASecond Resin: PS-co-MMA 108108 1.511.51 1.511.51 실시예 2Example 2 제1수지: PETFirst Resin: PET 7878 1.541.54 1.691.69 제2수지: PMMASecond Resin: PMMA 5959 1.481.48 1.481.48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제1수지: PETFirst Resin: PET 7878 1.581.58 1.581.58 제2수지: -Second Resin: - -- -- --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제1수지: PENFirst Resin: PEN 120120 1.571.57 1.881.88 제2수지: PS-co-MMASecond Resin: PS-co-MMA 108108 1.511.51 1.511.51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제1수지: PENFirst Resin: PEN 120120 1.571.57 1.881.88 제2수지: PMMASecond Resin: PMMA 5959 1.481.48 1.481.48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제1수지: PPFirst Resin: PP -10-10 1.521.52 1.521.52 제2수지: PMMASecond Resin: PMMA 5959 1.481.48 1.481.48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제1수지: PPFirst Resin: PP -10-10 1.521.52 1.521.52 제2수지: PS-co-MMASecond Resin: PS-co-MMA 108108 1.511.51 1.511.51

상기 표 1에서, PET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의미하며, PS-co-MMA는 폴리스티렌-co-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하고, PMMA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하고, PEN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를 의미하며, PP는 폴리프로필렌을 의미한다.
In Table 1, PET mean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S-co-MMA means polystyrene-co-methyl methacrylate, PMMA means polymethyl methacrylate, and PEN means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P means polypropylene.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2의 경우, 비교예 1~5와 달리, 제1수지로 유리전이온도가 70℃ 내지 100℃인 고분자 수지, 제2수지로 유리전이온도가 차이가 40℃ 이내인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수지 및 제2수지의 굴절률이 상기 식 (1) 내지 (2)를 만족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 (3) 내지 (4) 역시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1, in Examples 1 and 2, unlike Comparative Examples 1 to 5, the first resin was a polym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70 to 100 ° C, and the second resin had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Is 40 占 폚 or lower. It is also understood that the refractive indices of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satisfy the above-mentioned expressions (1) to (2), and preferably the expressions (3) to (4) are also satisfied.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3 - 광 특성 측정 3 - Optical properties measurement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에서 제조된 광학 필름을 JASCO V-7100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단체 투과도와 편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The optical films prepared in Examples 1 to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were measured for birefringence and polarization degree using a JASCO V-7100 Spectrophotometer, and are shown in Table 2 below.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4 - 휘도 측정 4 - Luminance measurement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에서 제조된 광학 필름 상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PVA계 편광소자를 적층하여 편광판을 제조하고, 이를 3cm x 3cm 로 재단한 하여 백라이트 유닛(BLU) 상에 라미네이션 한 후 비교예의 휘도 값을 100%로 하고, 실시예 1 ~ 3의 비교예에 대한 상대적인 휘도 값을 휘도측정기 BM-7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A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by laminating a PVA polarizing element in which iodine was adsorbed and aligned on the optical film prepared in Examples 1 to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and the polarizing plate was cut into 3 cm x 3 cm to obtain a backlight unit (BLU) The relative luminance values of the comparative examples of Examples 1 to 3 were measured using a luminance meter BM-7,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구 분division Ts(%)Ts (%) PE(%)PE (%) 휘도향상(%)Brightness improvement (%) 실시예 1Example 1 43.643.6 90.290.2 109109 실시예 2Example 2 41.341.3 75.675.6 107107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90.490.4 00 100100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35.735.7 52.052.0 9898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30.530.5 45.045.0 939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24.324.3 24.524.5 9191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17.217.2 19.519.5 9090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2의 광학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 통상의 광학 필름인 비교예 1에 비하여 7~9% 정도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able 2, when the optical films of Examples 1 and 2 are used, the brightness of about 7 to 9% can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 1 which is an ordinary optical film.

반면, 제1수지로 유리전이온도가 120℃인 PEN을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제1수지의 투과축 굴절률과 이에 수직한 굴절률 차이, 및 제1수지의 굴절률과 제2수지의 굴절률 차이가 너무 커져, 투과되지 않고 산란되는 빛이 많아 빛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여, 오히려 휘도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휘도는 직진투과되는 빛에만 영향을 받는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in which PE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20 캜 was used as the first res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resin and the refractive index perpendicular thereto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resin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resin It is not transmitted, but scattered light is scattered, so that it plays a role of diffusing light, and it can be seen that luminance is rather reduced. The luminance is affected only by the light transmitted straight.

또한, 제1수지로 유리전이온도가 120℃인 PEN을 사용하며, 나아가 제2수지로 유리전이온도 차이가 61℃ 차이 나는 PMMA를 사용한 비교예 3의 경우 연신 온도가 높아져 제2수지의 복굴절 발달율이 저하되며, 그 결과 굴절률 차이가 더욱 커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더욱 심하게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Further, in the case of using PE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20 ° C as the first resin, and in Comparative Example 3 using PMMA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difference of 61 ° C as the second resin, the draw temperature increased and the birefringence development rate And as a result,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comes greater, and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re more severely caused.

또한, 제1수지로 유리전이온도가 -10℃인 PP를 사용한 비교예 4의 경우 PP의 유리전이온도가 낮아 연신 시 제1수지의 복굴절 발생이 미비하며, 그 결과 산란편광 효과를 가질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4 using a PP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0 占 폚 as the first resin, the birefringence of the first resin was insufficient during stretching due to the 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PP, resulting in no scattering polarization effect .

또한, 제1수지로 유리전이온도가 -10℃인 PP를 사용하며, 나아가 제2수지로 유리전이온도 차이가 118℃인 PS-co-MMA를 사용한 비교예 5의 경우 역시 제1수지의 복굴절 발달율 저하로, 산란편광 효과를 가질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Further,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5 in which PP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0 DEG C was used as the first resin and further PS-co-MMA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difference of 118 DEG C as the second resin was used, the birefringence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not possible to have a scattering polarization effect due to a lowered development rat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laims (13)

유리전이온도가 70℃ 내지 100℃이며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 및 상기 제 1 고분자 수지와 유리전이온도 차이가 0℃ 내지 40℃이며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하기 식 (1) 내지 (2)를 만족하는 광학 필름으로서,
상기 제 1 고분자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이고,
상기 제 2 고분자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인 것인 광학 필름.
식 (1): 0 ≤ |nx1 - nx2| ≤ 0.10
식 (2): 0.15 ≤ |ny1 - ny2| ≤ 0.35
상기 식 (1) 내지 (2)에 있어서, nx1은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nx2는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ny1은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며, ny2는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함.
A first polym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70 ° C to 100 ° C and forming a continuous phase and a second polym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difference of 0 ° C to 40 ° C and forming a discontinuous phase with the first polymer resin ,
An optical film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s (1) to (2)
Wherein the first polymer resin i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Wherein the second polymer resin is an acrylic resin containing a (meth) acrylate-based unit.
(1): 0? | Nx 1 - nx 2 | 0.10
(2): 0.15? | Ny 1 - ny 2 | ≤ 0.35
In the above formulas (1) to (2), nx 1 mean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fter stretching of the first polymer resin forming the continuous phase, and nx 2 mean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polymer resin forming the discontinuous phase Ny 1 means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first polymer resin forming the continuous phase, and ny 2 means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2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fter stretching of the polymer res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하기 식 (3) 내지 (4)를 만족하는 광학 필름.
식 (3): 0.15 ≤ ny1 - nx1 ≤ 0.30
식 (4): 0 ≤ nx2 - ny2 ≤ 0.10
상기 식 (3) 내지 (4)에 있어서, nx1은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nx2는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ny1은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며, ny2는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tical film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s (3) to (4).
(3): 0.15? Ny 1 - nx 1 ? 0.30
(4): 0? Nx 2 - ny 2 ? 0.10
In the above formulas (3) to (4), nx 1 mean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fter stretching of the first polymer resin forming the continuous phase, and nx 2 mean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polymer resin forming the discontinuous phase Ny 1 means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first polymer resin forming the continuous phase, and ny 2 means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2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fter stretching of the polymer res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분자 수지 80 내지 99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 2 고분자 수지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1 to 20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 polymer resin relative to 80 to 99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polymer res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편광 투과축이 연신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인 광학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tical film has a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etching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최대 연신 배율이 4.5배 이상 7배 이하인 광학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tical film has a maximum draw ratio of 4.5 times or more and 7 times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두께가 20 내지 100㎛ 인 광학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tical film has a thickness of 20 to 100 占 퐉.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optical film of any one of claims 1 to 6.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optical film of any one of claims 1 to 6.
유리전이온도가 70℃ 내지 100℃이며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 및 상기 제 1 고분자 수지와 유리전이온도 차이가 0℃ 내지 40℃이며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미연신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하기 식 (1) 내지 (2)를 만족하도록 상기 미연신 필름을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 1 고분자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이고,
상기 제 2 고분자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인 것인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식 (1): 0 ≤ |nx1 - nx2| ≤ 0.10
식 (2): 0.15 ≤ |ny1 - ny2| ≤ 0.35
상기 식 (1) 내지 (2)에 있어서, nx1은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nx2는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ny1은 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1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하며, ny2는 불연속상을 형성하는 제 2 고분자 수지의 연신 후 편광 투과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함.
A first polym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70 ° C to 100 ° C and forming a continuous phase and a second polym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difference of 0 ° C to 40 ° C and forming a discontinuous phase with the first polymer resin Preparing an unstretched film; And
A process for producing an optical film comprising the step of stretching the non-stretched film so as to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s (1) to (2)
Wherein the first polymer resin i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Wherein the second polymer resin is an acrylic resin containing a (meth) acrylate-based unit.
(1): 0? | Nx 1 - nx 2 | 0.10
(2): 0.15? | Ny 1 - ny 2 | ≤ 0.35
In the above formulas (1) to (2), nx 1 mean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fter stretching of the first polymer resin forming the continuous phase, and nx 2 mean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polymer resin forming the discontinuous phase Ny 1 means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first polymer resin forming the continuous phase, and ny 2 means a refractive index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2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olarization transmission axis direction after stretching of the polymer resi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미연신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고분자 수지와 제 2 고분자 수지를 블렌딩 한 후, 용융 압출하여 미연신 필름을 제조하는 것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ep of preparing the unstretched film comprises blending the first polymer resin and the second polymer resin and then melt-extruding the unstretched film to produce an unstretched film.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미연신 필름을 연신하는 단계는 연신 전 미연신 필름의 두께가 50㎛ 내지 300㎛이고, 연신 후 두께가 20㎛ 내지 100㎛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ep of stretching the non-stretched film has a thickness of 50 mu m to 300 mu m before stretching and a thickness of 20 mu m to 100 mu m after stretching.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미연신 필름을 연신하는 단계는 연신 배율이 5배 내지 7배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step of stretching the non-stretched film is a stretching magnification of 5 to 7 time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미연신 필름을 연신하는 단계는 연신 온도가 70℃ 내지 110℃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step of stretching the non-stretched film has a stretching temperature of 70 ° C to 110 ° C.
KR1020140105644A 2014-08-14 2014-08-14 Optical film and preparing method for the same KR1017515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644A KR101751573B1 (en) 2014-08-14 2014-08-14 Optical film and prepar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644A KR101751573B1 (en) 2014-08-14 2014-08-14 Optical film and preparing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678A KR20160020678A (en) 2016-02-24
KR101751573B1 true KR101751573B1 (en) 2017-06-27

Family

ID=55449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644A KR101751573B1 (en) 2014-08-14 2014-08-14 Optical film and preparing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57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435A (en) 2019-10-21 2021-04-30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preparing dried-pollack seaweed soup for home meal repalcement and dried-pollack seaweed soup for home meal repalcement prepared thereb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4930A (en) * 2006-12-28 2008-07-17 Mitsubishi Plastics Ind Ltd Scatter type polarizer
JP2009053583A (en) 2007-08-29 2009-03-12 Konica Minolta Opto Inc Anisotropic scattering element,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2061816A (en) 2010-09-17 2012-03-29 Asahi Kasei E-Materials Corp Optical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reflective-type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and brightness improved fil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4930A (en) * 2006-12-28 2008-07-17 Mitsubishi Plastics Ind Ltd Scatter type polarizer
JP2009053583A (en) 2007-08-29 2009-03-12 Konica Minolta Opto Inc Anisotropic scattering element,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2061816A (en) 2010-09-17 2012-03-29 Asahi Kasei E-Materials Corp Optical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reflective-type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and brightness improved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678A (en)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8675B2 (en) Retardation film, polarizing element,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938632B2 (en)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640745B2 (en)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brightness enhancement film
KR101774056B1 (en) Optical film,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70134790A (en) Retarda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panel device
KR101506518B1 (en)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and optical film comprising the same
KR101190981B1 (en) An optical anisotropic film with high heat resistanc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07116683A1 (en)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08216979A (en) Method for producing long optical laminate and liquid crystal panel
KR20080103203A (en) A transparent composition with high heat resistance and an optical isotropic film prepared by the same
JP5324904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140552B1 (en) Optical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elemen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30271833A1 (en) Resin composition, phase-contrast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contrast film, and long circularly-polarizing plate
TW200835980A (en)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05338815A (en) Optical compensation film incorporating polarizer,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7343093B2 (en) Viewing angle compensation film,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751573B1 (en) Optical film and preparing method for the same
US20100073607A1 (en) Optical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1048025A (en)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6047882A (en) Optical laminated body,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463020B2 (en)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0160238A (en)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2006133328A (en) Phase difference film integrated type polarizing plate
JP2010286619A (en)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JP2006316153A (en) Biaxially drawn film for optical us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