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536B1 - 빔을 이용한 보행 유도용 신발 - Google Patents

빔을 이용한 보행 유도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536B1
KR101751536B1 KR1020150101042A KR20150101042A KR101751536B1 KR 101751536 B1 KR101751536 B1 KR 101751536B1 KR 1020150101042 A KR1020150101042 A KR 1020150101042A KR 20150101042 A KR20150101042 A KR 20150101042A KR 101751536 B1 KR101751536 B1 KR 101751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reflector
image
len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9275A (ko
Inventor
하용호
하현주
Original Assignee
하용호
하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용호, 하현주 filed Critical 하용호
Priority to KR1020150101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536B1/ko
Publication of KR20170009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43B3/001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6Tongues for shoes
    • A43B7/04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빔을 이용한 보행 유도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전방으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보행을 유도하여 운동 효과를 획득할 수 있는 빔을 이용한 보행 유도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발의 상부를 덮는 갑피와 발바닥이 접하는 바닥창으로 이루어진 신발에 있어서, 갑피의 전방에 개방된 공간을 개폐 가능하도록 덮는 덮개가 형성되되, 덮개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어 신발 전방을 향해 영상을 조사하는 빔조사부; 덮개의 전방에 관통 형성된 구멍에 설치되는 렌즈; 렌즈와 빔조사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영상이 렌즈의 외부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빔조사부에서 조사된 영상을 신발 전방으로 반사하는 빔반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을 이용한 보행 유도용 신발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빔을 이용한 보행 유도용 신발{Shoes for walking induction using a beam}
본 발명은 빔을 이용한 보행 유도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전방으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보행을 유도하여 운동 효과를 획득할 수 있는 빔을 이용한 보행 유도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변하는 생활양식, 교통수단의 변화, 서구화된 식생활, 특히 사교육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아동의 활동에 큰 변화를 가져옴에 따라, 아동 비만이 11.6%에 불과하였던 비율이 15.0%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여가시간에 실외운동보다는 실내에서 스마트폰, 컴퓨터 게임 등을 즐기는 활동습관의 문제점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청각보다 시각에 민감하여 시각적으로 만족을 얻을 때 흥미를 느끼는 아동의 보행을 유도하기 위한 신발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캐릭터가 그려진 스티커 또는 야광 스티커를 신발에 부착하거나, 발광체를 이용하여 빛을 발산하게 하는 신발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신발로 인하여, 실내에서만 시간을 보내는 아동을 실외에서의 보행을 유도하여 운동 효과를 얻고자 한 것이다.
하지만 스티커는 아동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발하기 힘들뿐만 아니라, 신발 표면으로부터 스티커의 탈리 현상 등이 빈번히 발생함으로 인하여, 신발의 내구성이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신발에 장착되는 발광체는 희소성이 부족하여 아동의 관심이 사라지고 있는 시점에서, 아동의 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신발의 기술 개발 연구가 절실한 시점이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7718호, 2010.02.05.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자발적인 보행을 유도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획득할 수 있는 빔을 이용한 보행 유도용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의 상부를 덮는 갑피와 발바닥이 접하는 바닥창으로 이루어진 신발에 있어서, 상기 갑피의 전방에 개방된 공간을 개폐 가능하도록 덮는 덮개가 형성되되, 상기 덮개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신발 전방을 향해 영상을 조사하는 빔조사부; 상기 덮개의 전방에 관통 형성된 구멍에 설치되는 렌즈; 및 상기 렌즈와 상기 빔조사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영상이 상기 렌즈의 외부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빔조사부에서 조사된 영상을 상기 신발 전방으로 반사하는 빔반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을 이용한 보행 유도용 신발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빔반사부는, 상기 빔조사부에서 조사된 영상이 상기 신발 전방으로 반사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의 내면에 서로 어긋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빔을 이용한 보행 유도용 신발은, 신발 전방으로 빔을 조사해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자발적인 보행을 유도하여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빔 프로젝터를 신발에 접목하여 보행시 빔을 통해 이미지가 지면에 생성되는 가시적인 효과로 인하여 아동에게 흥미 유발시켜 계속적으로 보행을 하게 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신발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사무실, 학교 등에서 사용되는 빔 프로젝터를 신발에 접목하여 아동에게 흥미를 유발시키는 동시에 자발적인 움직임을 유도한다는 기능에 혁신성을 둠으로써,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여, 종래 LED가 부착된 단순히 소리나 패션적인 요소의 신발에서 벗어나, 신발에 사용하지 않는 빔 프로젝터라는 기술이 융합된 신발을 발명함으로써, 자발적인 보행과 흥미를 이끌어서 운동 효과, 새로운 놀이문화를 형성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본 발명의 차별화된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발의 상부를 덮는 갑피(12)와 발바닥이 접하는 바닥창(14)으로 이루어진 신발(10)에 렌즈(200), 빔조사부(100) 및 빔반사부(300)가 접목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빔조사부(100)는 바닥창(14) 내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신발 전방을 향해 영상을 조사하는 구성이다.
아울러, 빔조사부(100)의 내부에는 영상을 생성해 신발 전방으로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하여 프로그램 업데이트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빔조사부(100)는 기존의 빔 프로젝터의 구성 원리와 유사한 것으로, 당업자에게 자명한 정도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렌즈(200)는 바닥창(14)의 전방에 관통 형성된 구멍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말하자면, 빔조사부(100)로부터 조사되는 영상이 후술될 제5반사경(350)을 통하여 입사한 빔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매개체 기능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빔반사부(300)는 렌즈(200)와 빔조사부(100)의 사이에 설치되어, 영상이 렌즈(200)의 외부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빔조사부(100)에서 조사된 영상을 신발 전방으로 반사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는, 빔반사부(300)는 바닥창(14)의 양 내측면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 서로 어긋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빔반사부(300)는 반사경 또는 광섬유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반사경으로 이루어진 빔반사부(300)의 경우, 빔조사부(100)의 전방에 가장 인접한 바닥창(14)의 내측 일면에 설치되어 빔조사부(100)에서 조사되는 빔의 경로를 바꾸어주는 제1반사경(310)과, 제1반사경(310)에 대각선으로 바닥창(14)의 내측 타면에 설치되어 제1반사경(310)을 통하여 입사한 빔의 경로를 바꾸어주는 제2반사경(320)과, 제2반사경(320)에 대각선으로 바닥창(14)의 내측 일면에 설치되어 제2반사경(320)을 통하여 입사한 빔의 경로를 바꾸어주는 제3반사경(330)과, 제3반사경(330)에 대각선으로 바닥창(14)의 내측 타면에 설치되어 제3반사경(330)을 통하여 입사한 빔의 경로를 바꾸어주는 제4반사경(340)과, 제4반사경(340)에 대각선으로 바닥창(14)의 내측 일면에 설치되어 제4반사경(340)을 통하여 입사한 빔의 경로를 바꾸어주는 제5반사경(35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섬유로 이루어진 빔반사부(300)의 경우, 상술한 반사경의 경우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400)는 바닥창(14)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빔조사부(100)에 탈부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말하자면, 배터리(400)는 빔조사부(1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휴대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망간(mangaan) 전지, 알카라인 전지와 같은 한 번 쓰면 다시 쓸 수 없는 1회용인 1차 전지와, 니켈-카드뮴(Ni-Cd), 니켈-수소(Ni-MH), 리튬-이온(Li-Ion) 전지와 같이 충전하면 다시 쓸 수 있는 충전용 전지인 2차 전지 등 여러 종류의 배터리(40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400)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바닥창(14)의 내부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개폐부재(미도시)가 바닥창(14)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400)를 재충전할 수 있도록, 바닥창(14)의 내부에는 압전소자(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압전소자는 물리적인 압력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압전기(壓電氣) 현상을 나타내는 소자라 할 수 있다.
즉, 압전소자는 피에조 전기소자라고도 하며, 압전기 현상은 어떤 종류의 결정판(結晶板)에 일정한 방향에서 압력을 가하면 판의 양면에 외력에 비례하는 양·음의 전하가 나타나는 현상이라 한다.
이와 같은 압전소자는 본 발명에서 전원공급수단으로 사용되어 착용자가 신발을 신고 보행할 때마다 압전기 현상에 의해 미세한 전기에너지가 발생하게 되므로, 배터리(400)를 재충전할 수 있게끔 보조해 줄 뿐만 아니라, 배터리(400)를 대신하여 충분한 양의 전기자극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교류에 의한 압전소자를 직류에 의한 배터리(400)로 변환하기 위하여 별도의 변환기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발의 상부를 덮는 갑피(12)와 발바닥이 접하는 바닥창(14)으로 이루어진 신발(10)에 있어서, 갑피(12)의 전방에 개방된 공간을 개폐 가능하도록 덮는 덮개(20)에 빔조사부(100), 렌즈(200) 및 빔반사부(300)가 접목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신발 갑피(12)의 전방에 개방된 공간을 개폐 가능하도록 덮는 덮개(20)를 더 설치하고, 이러한 덮개(20)에 빔조사부(100), 렌즈(200) 및 빔반사부(300)가 설치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더불어, 덮개(20)는 렌즈(200), 빔조사부(100) 및 빔반사부(300)가 탈리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덮개(20) 후면에는 암형 밸크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형 밸크로를 형성하여 손쉽게 덮개(20)를 탈부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빔조사부(100)는 덮개(20)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어 신발 전방을 향해 영상을 조사하는 구성이다.
즉, 빔조사부(100)는 덮개(20) 전면과 덮개(20) 후면 사이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공간에 빔조사부(100)를 설치한 후, 덮개(20) 후면을 닫음으로써, 간편하게 설치 및 교환할 수 있다
아울러, 빔조사부(100)의 내부에는 영상을 생성해 신발 전방으로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하여 프로그램 업데이트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렌즈(200)는 덮개(20)의 전방에 관통 형성된 구멍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말하자면, 렌즈(200)는 덮개(20) 전면에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빔조사부(100)로부터 조사되는 영상이 후술될 제3반사경(330')을 통하여 입사한 빔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매개체 기능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빔반사부(300)는 렌즈(200)와 빔조사부(100)의 사이에 설치되어, 영상이 렌즈(200)의 외부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빔조사부(100)에서 조사된 영상을 신발 전방으로 반사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는, 빔반사부(300)는 빔조사부(100)에서 조사된 영상이 신발 전방으로 반사될 수 있도록, 덮개(20)의 내면(혹은 내부공간)에 서로 어긋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빔반사부(300)는 반사경 또는 광섬유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반사경으로 이루어진 빔반사부(300)의 경우, 내부공간에 설치된 빔조사부(100)의 전방 측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빔조사부(100)에서 조사되는 빔의 경로를 바꾸어주는 제1반사경(310')과, 제1반사경(310')에 대각선(혹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덮개(2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제1반사경(310')을 통하여 입사한 빔의 경로를 바꾸어주는 제2반사경(320')과, 제2반사경(320')에 대각선(혹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덮개(2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제2반사경(320')을 통하여 입사한 빔의 경로를 바꾸어주는 제3반사경(3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섬유로 이루어진 빔반사부(300)의 경우, 상술한 반사경의 경우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추가적으로, 덮개(20)의 내부공간에는 배터리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배터리는 빔조사부(100)에 탈부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단, 이 경우의 배터리는 앞서 도 1을 기반으로 기술한 바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 및 도 2에 따른 빔을 이용한 보행 유도용 신발의 전방에 설치된 렌즈(2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즉, 정지 영상, 동영상 등 여러 종류의 영상이 렌즈(2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컨대, 일정 영역이 분할되어 영상이 조사되되, 서로 미중첩되면서 하나의 파노라마 형태의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신발에 빔조사부(100), 렌즈(200) 및 빔반사부(300)를 접목함으로써 신발의 전방으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가시적인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종래 신발의 범위에서 탈피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아동 등에게 흥미를 유발하여 자발적인 보행을 유도하여 운동 효과를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신발
12: 갑피
14: 바닥창
20: 덮개
100: 빔조사부
200: 렌즈
300: 빔반사부
310, 310': 제1반사경
320, 320': 제2반사경
330, 330': 제3반사경
340: 제4반사경
350: 제5반사경
400: 배터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발의 상부를 덮는 갑피와 발바닥이 접하는 바닥창으로 이루어진 신발에 있어서,
    상기 갑피의 전방에 개방된 공간을 개폐 가능하도록 덮는 덮개가 형성되되,
    상기 덮개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신발 전방을 향해 영상을 조사하는 빔조사부;
    상기 덮개의 전방에 관통 형성된 구멍에 설치되는 렌즈; 및
    상기 렌즈와 상기 빔조사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영상이 상기 렌즈의 외부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빔조사부에서 조사된 영상을 상기 신발 전방으로 반사하는 빔반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을 이용한 보행 유도용 신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빔반사부는,
    상기 빔조사부에서 조사된 영상이 상기 신발 전방으로 반사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의 내면에 서로 어긋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을 이용한 보행 유도용 신발.
KR1020150101042A 2015-07-16 2015-07-16 빔을 이용한 보행 유도용 신발 KR101751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042A KR101751536B1 (ko) 2015-07-16 2015-07-16 빔을 이용한 보행 유도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042A KR101751536B1 (ko) 2015-07-16 2015-07-16 빔을 이용한 보행 유도용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275A KR20170009275A (ko) 2017-01-25
KR101751536B1 true KR101751536B1 (ko) 2017-06-27

Family

ID=5799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042A KR101751536B1 (ko) 2015-07-16 2015-07-16 빔을 이용한 보행 유도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5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175A (ko) 2017-10-25 2019-05-07 하용호 이미지 가변이 가능한 신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886B1 (ko) * 2017-08-10 2018-06-01 백상현 어린이용 장화
KR102418366B1 (ko) * 2021-03-04 2022-07-08 원지호 스마트 서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431B2 (ja) * 1997-03-28 2000-05-08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小形コイル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718Y1 (ko) 2009-08-31 2010-02-12 주식회사 워너비코리아 유아용 신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431B2 (ja) * 1997-03-28 2000-05-08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小形コイル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175A (ko) 2017-10-25 2019-05-07 하용호 이미지 가변이 가능한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275A (ko)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59308S1 (en) Combined portable wireless power charger and charging stand
KR101751536B1 (ko) 빔을 이용한 보행 유도용 신발
EP3545785B1 (en) Footwear having coverable motorized adjustment system
CN103919536B (zh) 便携式生物计量监测装置及其操作方法
KR101616707B1 (ko) Led 마스크
USD662695S1 (en) Shoe
CA2660394A1 (en) Shoe with elasticity
USD696708S1 (en) Camera system
US20120099298A1 (en) Light-emitting clothing structure
CN106455998A (zh) 光学脉搏率感测
CA134666S (en) Photosensitive drum unit
US20200077056A1 (en) Shoe capable of changing images
CA128353S (en) Infant shoe
Müller et al. Running shoe with integrated electrochromic displays
CN207067997U (zh) 彩票扫码装置
US20140259776A1 (en) Irradiant projective optical footwear
KR20170030316A (ko) 디스플레이패널이 구비된 신발
USD524090S1 (en) Basketball toaster
CN209845930U (zh) 一种易清洗收纳的宠物双肩背包
CN206256741U (zh) 组合式可收展的帐篷屋
KR101784167B1 (ko) 온열 실내화
CN201001434Y (zh) 数码能量保健鞋
KR101758659B1 (ko) 자가발전이 가능한 롤러신발
TWM501748U (zh) 里程計算鞋
CN205671564U (zh) 军用警备头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