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238B1 -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238B1
KR101751238B1 KR1020160005920A KR20160005920A KR101751238B1 KR 101751238 B1 KR101751238 B1 KR 101751238B1 KR 1020160005920 A KR1020160005920 A KR 1020160005920A KR 20160005920 A KR20160005920 A KR 20160005920A KR 101751238 B1 KR101751238 B1 KR 101751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area
user
workable
departure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헌
손민지
남성현
김예빈
임화섭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05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2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깊이 영상으로부터 손 동작을 인식하는 손 동작 인식부, 인식된 손 동작에 기반하여, 가상 공간 내 사용자 입력을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유효한 작업가능영역을 물리공간상에 설정하는 작업가능영역 설정부 및 사용자의 손이 상기 작업가능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이탈경고를 제공하는 이탈 경고부를 포함하는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련된다.

Description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 및 그 방법{WORK AVAILABLE AREA GUIDE APPARATUS FOR GESTURE-BASED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 및 방법에 관련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가 작업가능영역을 이탈하게 되면, 이탈 경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련된다.
종래 제스처 기반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가 인식 가능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하더라도 사용자는 언제부터 자신의 신체가 인식 가능하지 않은 영역으로 이동하였는지 알 수 가 없었다. 또한 어느 범위부터 인식기 가능한 것인지 또는 어느 범위까지 해당 작업대상에 대한 입력이 유효한 것인지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솔루션이 제안되어 있지 않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7976호 미국 특허출원공개 US2012/0268369 A1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신체가 인식 가능영역 또는 작업가능영역을 이탈한 경우, 이탈여부를 즉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깊이 영상으로부터 손 동작을 인식하는 손 동작 인식부, 인식된 손 동작에 기반하여, 가상 공간 내 사용자 입력을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유효한 작업가능영역을 물리공간상에 설정하는 작업가능영역 설정부 및 사용자의 손이 상기 작업가능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이탈경고를 제공하는 이탈 경고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업가능영역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손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동작인식가능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업가능영역 설정부는, 가상 공간 내 복수의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작업가능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의 손에 대응되는 표시자를 가상 공간 상에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작업가능영역에 대응되는 가상작업영역을 가상공간 상에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탈 경고부는,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이탈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탈 경고부는, 상기 손의 이탈이 발생되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상기 가상작업영역을 표시하거나, 이탈된 부분을 하이라이트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탈 경고부는, 상기 손의 이탈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표시자가 가상작업영역 경계에서 안쪽으로 튕기도록(bounce)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깊이 영상으로부터 손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손 동작에 기반하여, 가상 공간 내 사용자 입력을 제어하는 단계, 물리공간상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유효한 작업가능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손이 상기 작업가능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이탈경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업가능영역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손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인식가능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업가능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가상 공간 내 복수의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작업가능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에 대응되는 표시자를 가상 공간 상에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업가능영역에 대응되는 가상작업영역을 가상공간 상에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탈경고를 제공하는 단계는,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이탈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탈경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손의 이탈이 발생되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상기 가상작업영역을 표시하거나, 이탈된 부분을 하이라이트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탈경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손의 이탈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표시자가 가상작업영역 경계에서 안쪽으로 튕기도록(bounce)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술한 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스처 기반의 시스템을 이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가 인식 가능영역을 이탈하거나, 작업 가능영역을 이탈한 경우, 이탈 여부를 즉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물리적인 공간에서 자신의 작업이 유효한 범위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10)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10)의 예시적인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가능영역이 복수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사용자의 손이 작업가능영역을 이탈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모듈(module)",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컴퓨터(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컴퓨터의 양쪽이 모두 본 명세서의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일련의 과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특성을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10)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10)는 손 동작 인식부(11),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2), 작업가능영역 설정부(13), 및 이탈 경고부(14)를 포함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10)의 예시적인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10)는 손 동작 인식부(11)를 통해 사용자의 손 부분에 대한 깊이 영상을 촬영하고, 깊이 영상으로부터 깊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손 동작 인식부(11)는 획득한 깊이 영상으로부터 손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손 동작 인식부(11)는 깊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깊이 카메라는 적외선 센서를 통해 카메라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 정보를 각 픽셀별로 획득하여 깊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각각의 거리 정보를 가진 픽셀들은 깊이 영상에서 깊이 포인트로 언급될 수 있다.
손 동작 인식부(11)는 기계 학습법을 이용하여 깊이 영상 중 손 영역의 깊이 포인트들을 해당하는 손 부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손 동작 인식부(11) 는, 상기 손 영역의 깊이 포인트들을 손바닥(또는 손등), 엄지, 검지, 중지, 약지, 또는 소지 중 어느 하나의 손 부위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에 따라 각 깊이 포인트들을 라벨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깊이 포인트를 어느 하나의 손 부위로 분류하기 위해서 손 동작 인식부(11)는 기계 학습법을 이용할 수 있다. 기계 학습법을 이용하기 위해, 데이터 베이스(미도시)는 다양한 손 자세 각각에 대한 손 부위별 깊이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무언가를 움켜쥐고 돌리는 자세, 손을 펴고 있는 자세 또는 주먹을 쥐고 있는 자세에서 손바닥,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소지 각각의 깊이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손 가락 부위뿐만 아니라 손 전체에 대한 손 모양 깊이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는 정규화된 손 모양 깊이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손 부위'는 손가락 및 손바닥이거나 손가락 마디 및 손바닥일 수 있다. 여기서 손바닥은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손 부위별 깊이 데이터는 손가락 및 손바닥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다섯 개의 손가락 및 손바닥에 대한 깊이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손가락 마디 별로 손 자세에 따른 깊이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용하는 경우 데이터 처리의 시간이 더 오래 걸리므로 깊이 영상 내 깊이 포인트 들은 손가락 및 손바닥으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손 동작 인식부(11)가 이용하는 기계 학습법은 서포트벡터머신 또는 랜덤포레스트일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은 매커니즘을 통해 손 동작 인식부(11)가 사용자의 손 동작을 인식하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2)는 인식된 손 동작에 기반하여, 가상 공간(v) 내 사용자 입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가상 공간 내 사용자 입력은, 3차원 모델링 툴에서 3차원 모델의 형태를 변형하기 위한 조작일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위 사용자 입력은 손 인식을 통해 컴퓨팅 장치에 적용하는 임의의 정보 입력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손 동작 인식부(11)는 사용자의 손(100)을 촬영하고, 손 동작을 인식한다.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가상 공간상에 가상 객체(200)가 표시되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가상 객체(200)는 도자기에 대한 3차원 모델이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2)는 사용자의 손 동작을 기초로 사용자 입력을 제어함으로써 가상 객체(200)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다.
작업가능영역 설정부(13)는 사용자 입력이 유효한 작업가능영역을 물리공간상에 설정할 수 있다. 작업가능영역은 가상 공간상의 소정의 가상 객체에 대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적용할 수 있는 물리공간상의 영역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작업가능영역(400)은 가상객체(200) 주변의 가상작업영역(410)을 기초로 설정되는 물리공간상의 공간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2차원 평면상에 작업가능영역을 표시하였으나, 실제로는 3차원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작업가능영역(400)은 동작인식가능영역(300)과 구분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작업가능영역(400)과 동작인식가능영역(300)은 동일할 수도 있다. 동작인식가능영역(300)은 손 동작 인식부(11)에의해 사용자의 손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물리공간상의 일 영역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손 동작 인식부(11)의 카메라의 임식범위가 동작인식가능영역(300)으로 표시되고 있다. 도 2에서 동작인식가능영역(300)은 작업가능영역(400)과 마찬가지로 2차원으로 표시하였으나 실제로는 3차원 영역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가능영역이 복수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가상 객체(200,201)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가상 작업영역(410,420)이 설정된다. 이에 따라서 각각의 가상 작업영역(410, 420)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작업가능영역(400, 401)이 물리공간상에 설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매우 큰 경우, 또는 각 가상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독립적이어야 하는 경우, 위와 같이 별도의 작업가능영역을 구분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3)는 사용자의 손에 대응되는 표시자를 가상 공간상에 나타낼 수도 있다. 표시자를 통해서 사용자는 자신의 손이 현재 가상 공간 상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 인식하기 쉽기 때문이다. 일 예에서 표시자는 각 손가락 끝 부분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표시자는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각각 동그란 모양으로 표시될 수 있다. 위 설명한 표시자의 대응 지점 및 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엄지와 검지에 대하여만 표시자가 표시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다른 예에서는 모든 손가락에 대하여 표시자가 표시될 수 있고, 다른 예에서는 손가락 끝부분뿐만 아니라 손가락 마디, 관절, 손 바닥, 손 모양을 모두 고려하여 표시자가 설정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각 손가락 끝(101-104)는 가상공간 내 표시자(101'-104')에 각각 대응된다. 사용자는 표시자들을 참고하여 가상 객체(200)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3)는 작업가능영역에 대응되는 가상작업영역을 가상공간 상에 설정할 수 있다. 가상작업영역(410)는 도 2 및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가상작업영역(410)의 경계는 디스플레이상에 지속적으로 표시되거나, 간헐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탈 경고부(14)는 사용자의 손이 작업가능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이탈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작업가능영역이 동작인식가능영역인 경우, 이탈 경고부(14)는 사용자의 손이 동작 인식부(11)를 통해 손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이탈 경고를 제공한다.
일 예에서 이탈 경고는 시각적인 효과, 청각적인 효과 및 촉각적인 효과 중 하나 이상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촉각효과는 진동 또는 전기적인 자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는 촉각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손가락에 껴진 반지형태 또는 손목(또는 발목)에 착용된 밴드형태의 촉각장비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임의의 촉각장비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전기 자극은 전극을 통한 피부자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사용자의 손이 작업가능영역을 이탈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탈 경고부(14)는 사용자의 손이 작업가능영역(400)을 이탈하는 경우, 일시적으로 가상작업영역을 표시하거나, 이탈된 부분을 하이라이트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손이 작업가능영역(400) 내에 위치할 때에는 가상작업영역이 표시되지 않다가, 사용자의 손이 작업가능영역을 이탈한 경우에만 가상작업영역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손이 작업가능영역을 벗어난 것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 이탈이 발생된 경우, 손 이탈이 발생된 부분이 하이라이트 되어 표시(411)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좌우측으로 이탈이 발생되어 가상작업영역의 옆면이 하이라이트로 표시되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탈 경고부(14)는 사용자의 손이 작업가능영역(400)을 이탈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에 대응되는 표시자(101'-104')가 가상작업영역 경계에서 안쪽으로 튕기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표시자가 튕기는 모션을 통해서, 사용자는 손이 작업가능영역을 이탈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로 설명한 이탈 경고방식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위 예시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깊이 영상으로부터 손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S100), 인식된 손 동작에 기반하여, 가상 공간 내 사용자 입력을 제어하는 단계(S200), 물리공간상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유효한 작업가능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300) 및 사용자의 손이 상기 작업가능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이탈경고를 제공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작업가능영역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손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인식가능영역과 동일하거나, 인식가능영역 안에 포함될 수도 있다.
작업가능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300)는, 가상 공간 내 복수의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작업가능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방법은 사용자의 손에 대응되는 표시자를 가상 공간 상에 나타내는 단계 또는 상기 작업가능영역에 대응되는 가상작업영역을 가상공간 상에 설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경고를 제공하는 단계(S400)는,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이탈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계(S400)는 상기 손의 이탈이 발생되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상기 가상작업영역을 표시하거나, 이탈된 부분을 하이라이트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S400)는 손의 이탈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표시자가 가상작업영역 경계에서 안쪽으로 튕기도록(bounce)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상술한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상술한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고,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손
200 : 가상 객체
300 : 동작인식가능영역
400 : 작업가능영역

Claims (17)

  1.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깊이 영상으로부터 손 동작을 인식하는 손 동작 인식부;
    인식된 손 동작에 기반하여, 가상 공간 내 사용자 입력을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유효한 작업가능영역을 물리공간상에 설정하는 작업가능영역 설정부; 및
    사용자의 손이 상기 작업가능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이탈경고를 제공하는 이탈 경고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작업가능영역에 대응되는 가상작업영역을 가상공간 상에 설정하고, 상기 이탈 경고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의 이탈이 발생되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상기 가상작업영역을 표시하거나, 이탈된 부분을 하이라이트 하는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가능영역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손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동작인식가능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가능영역 설정부는,
    가상 공간 내 복수의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작업가능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의 손에 대응되는 표시자를 가상 공간 상에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경고부는,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이탈 경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경고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의 이탈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표시자가 가상작업영역 경계에서 안쪽으로 튕기도록(bounce)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
  9.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깊이 영상으로부터 손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손 동작에 기반하여, 가상 공간 내 사용자 입력을 제어하는 단계;
    물리공간상에, 상기 사용자 입력이 유효한 작업가능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손이 상기 작업가능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이탈경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가능영역에 대응되는 가상작업영역을 가상공간 상에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탈경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손의 이탈이 발생되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상기 가상작업영역을 표시하거나, 이탈된 부분을 하이라이트 하는,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가능영역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손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인식가능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가능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가상 공간 내 복수의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작업가능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에 대응되는 표시자를 가상 공간 상에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방법.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경고를 제공하는 단계는,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이탈 경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방법.
  15. 삭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경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손의 이탈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표시자가 가상작업영역 경계에서 안쪽으로 튕기도록(bounce)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방법.
  17. 제9항 내지 제12항, 제14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60005920A 2016-01-18 2016-01-18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KR101751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920A KR101751238B1 (ko) 2016-01-18 2016-01-18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920A KR101751238B1 (ko) 2016-01-18 2016-01-18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1238B1 true KR101751238B1 (ko) 2017-07-11

Family

ID=59354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920A KR101751238B1 (ko) 2016-01-18 2016-01-18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2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555B1 (ko) * 2019-04-12 2020-04-20 김정우 헬스케어 시스템
WO2021230568A1 (ko) * 2020-05-13 2021-1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4600A (ja) * 2009-02-12 2010-08-26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車載用ジェスチャースイッチ装置
KR101513540B1 (ko) * 2014-07-14 2015-04-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손 제스처 인식에 의한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4600A (ja) * 2009-02-12 2010-08-26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車載用ジェスチャースイッチ装置
KR101513540B1 (ko) * 2014-07-14 2015-04-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손 제스처 인식에 의한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555B1 (ko) * 2019-04-12 2020-04-20 김정우 헬스케어 시스템
WO2021230568A1 (ko) * 2020-05-13 2021-1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76168B (zh) 用于手部跟踪的方法和系统
KR101844390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기법
JP5982542B2 (ja) 低侵襲外科システムにおいて手の存在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6000387B2 (ja) 低侵襲外科システムにおいて使用するマスターフィンガー追跡システム
Mahmud et al. Interface for human machine interaction for assistant devices: A review
JP5702798B2 (ja) 低侵襲外科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ジェスチャー制御の方法および装置
EP2904472B1 (en) Wearable sensor for tracking articulated body-parts
JP5702797B2 (ja) 遠隔操作される低侵襲スレーブ手術器具の手による制御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1110621A (ja) ロボットの教示データを作成する方法およびロボット教示システム
JP6524589B2 (ja) クリック動作検出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I716527B (zh) 資訊處理系統、資訊處理裝置、控制方法以及程式
JP2011110620A (ja) ロボットの動作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
Hong et al. Head-mounted interface for intuitive vision control and continuous surgical operation in a surgical robot system
JP2017068572A (ja) ウェアラブル装置
JP2014203463A5 (ko)
KR101751238B1 (ko) 제스처 기반 시스템에서의 작업가능영역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51938A (ko) 손가락 마디의 추적을 통한 가상현실 내 상호작용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vr 시스템
Yip et al. Development of an eye-gaze controlled interface for surgical manipulators using eye-tracking glasses
JP2009258884A (ja) ユーザインタフェイス
KR101731935B1 (ko) 손 동작 인식을 이용한 3차원 가상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Šekoranja et al. Virtual surface for human-robot interaction
CN105630176B (zh) 一种智能体感控制的方法及装置
KR20220078464A (ko) 손 움직임 측정 장치
JP2014182662A (ja) 操作装置及び操作方法
KR20130123116A (ko) 시스루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동작인식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