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125B1 - 교좌 점검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좌 점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125B1
KR101751125B1 KR1020150134501A KR20150134501A KR101751125B1 KR 101751125 B1 KR101751125 B1 KR 101751125B1 KR 1020150134501 A KR1020150134501 A KR 1020150134501A KR 20150134501 A KR20150134501 A KR 20150134501A KR 101751125 B1 KR101751125 B1 KR 101751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unit
unit
displacement
bridg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5538A (ko
Inventor
박창오
Original Assignee
박창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오 filed Critical 박창오
Priority to KR1020150134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125B1/ko
Publication of KR20170035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좌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교좌의 변위를 측정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교량 또는 교각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교량 보수공사시에도 교좌의 정확한 결합 위치 등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교좌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어장치부(11), DATA판독처리부(12), 메모리부(13), 송수신부(14)로 구성되는 관리서버(1)와 제1검지유닛(21)과 제2검지유닛(22)으로 구성되며, 신호송수신부(23)로 구성되는 검지부(2)로 이루어지며, 제1검지유닛(21)으로부터 교좌 변위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0), 입력된 정보로부터 교좌에 대한 고유 DATA를 생성하는 단계(S20), 고유 DATA에 따른 해당 교좌의 제2검지유닛(22)의 동작을 명령하는 단계(S30), 제2검지유닛(22)으로부터 검지된 변위값을 분석하는 단계(S40), 분석된 변위값을 메모리부(14)에 저장하는 단계(S50), 저장된 변위값과 한계치를 비교하는 단계(S60) 및 비교결과를 저장 및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S70)로 구성되는 교좌점검 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교좌의 이상유무를 점검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교좌 점검 시스템{a bridge seat detecting system}
본 발명은 교좌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교좌의 변위를 측정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교량 또는 교각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교량 보수공사시에도 교좌의 정확한 결합 위치 등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교좌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좌는 교각과 교량 상판을 결합하고 지지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구조물이다.
그러나, 교량의 특성상 계절적인 요인 및 외부요인에 의해 교량상판이 변형되는 일들이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교량상판의 변형에 따라 교각으로부터 교량 상판이 이탈되거나, 일정 결합각 이상의 변위가 발생하여 교량상판이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교량의 보수시 교각과 교량상판과의 정밀한 결합이 이루어져야 하나, 육안으로는 확인이 어렵고 교량의 특성상 작업자가 직접 교좌를 검시해야 하는 문제로 인하여 추락 등의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었고, 대부분 교좌에 하중을 감시할 수 있는 기술들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는 물리적인 구조물을 수반해야 하며,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빈번한 동작에 따라 기계적인 접촉 등에 따른 파손과 같은 문제점이 수반되기도 했다.
이에 따라, 비접촉식 방법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3555호(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무선 교좌 점검 시스템,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서 첨단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기술을 이용하여 교량 구조물인 교좌장치의 변위 또는 이동량을 지능형 스마트 센서가 측정함으로써, 위험상황 발생시 스스로 판단하고, 관리자 및 교량 이용자에게 실시간 통보할 수 있는 무인무선 교좌 점검 시스템이 제공된다.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무선 교좌 점검 시스템은, 교좌장치의 일측에 접촉하여 교좌장치의 변위를 계측하는 선형가변 차동변환기(LVDT); LVDT에 의해 계측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센서 인터페이스 모듈(SIM); 센서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디지털 변환된 데이터를 취득하는 무선 데이터 로거; 미들웨어로 구현되며, 무선 데이터 로거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필터링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필터링된 디지털 데이터를 외부 시스템에 전송하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LVDT, 센서 인터페이스 모듈, 무선 데이터 로거, 데이터 처리부 및 무선통신 모듈이 통합되어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를 이용한 지능형 스마트 센서를 형성하며, 지능형 스마트 센서는 교좌장치의 변위를 측정하여 위험상황 발생을 자가 판단하고 상기 외부 시스템에게 실시간 통보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선행기술은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적용되는 센서 또한 복합적인 센싱을 하나의 센서로 수행하기 때문에 센서의 파손시 동작자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그 구조가 간단하며, 센서의 파손시에도 동작할 수 있는 교좌 점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좌의 보수 및 감시와 같은 점검이 용이하도록 하며, 관리서버(1)와 검지부로 구성되는 교좌 점검 시스템에 있어서,
검지부(2)의 운영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개인통신수단(3)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제어장치부(11), 검지부(2)에서 입력되는 DATA를 판독하는 DATA판독처리부(12), 검지부(2)로부터 입력된 DATA 및 DATA판독부(12)에서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3) 및 검지부(2) 및 개인통신수단(3)과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송수신부(14)로 구성되는 관리서버(1)와 교좌의 수평방향의 변위여부를 측정하고, 교량상판과 교각의 일측에 배치되어 교량상판과 교각과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포토다이오드(21a)와 이에 대응하는 포토디텍터(21b)로 이루어진 제1검지유닛(21)과 교좌의 기울기값을 측정하기 위한 제2검지유닛(22) 및 관리서버(1)에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송수신부(24)로 이루어진 검지부(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 점검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검지유닛(21)의 포토다이오드(21a) 및 포토디텍터(21b)는 교좌의 수직방향 벽면 일측면에 근접하도록 배치되고, 교각 및 교량상판에 각각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검지유닛(22)은 레이저발진기와 상기 레이저발진기로부터 발진된 레이저를 검지하는 검지기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교좌의 기울기값을 측정하기 위해 교좌의 벽면과 수직방향으로 레이저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교좌의 벽면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되, 2개 이상이 교좌와 동일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설치바(23)상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교좌 점검시스템은 제1검지유닛(21)으로부터 교좌 변위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0); 입력된 정보로부터 교좌에 대한 고유 DATA를 생성하는 단계(S20); 고유 DATA에 따른 해당 교좌의 제2검지유닛(22)의 동작을 명령하는 단계(S30); 제2검지유닛(22)으로부터 검지된 변위값을 분석하는 단계(S40); 분석된 변위값을 메모리부(14)에 저장하는 단계(S50); 저장된 변위값과 한계치를 비교하는 단계(S60) 및 비교결과를 저장 및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S70)로 구성되는 교좌점검 방법을 이용하게 되는데, 상기 입력된 정보로부터 교좌에 대한 고유 DATA를 생성하는 단계(S20)는 교좌의 위치정보와 같은 고유 DATA를 생성하는 것으로, 교량의 위치정보, 신호가 검지된 교좌의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단계(S20)후 교좌감시를 위해 설치되는 교좌감시용 CCTV카메라의 위치정보검색 및 동작제어를 위한 교좌감시용 CCTV카메라 검색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된 변위값과 한계치를 비교하는 단계(S60)는 교좌의 변위값과 사용자가 설정하여 메모리부(14)에 저장한 변위값의 한계치를 비교하며, 상기 변위값의 한계치는 교좌의 기울기 허용치이며, 허용오차범위 또한 사용자가 설정하여 메모리부(14)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S70)후, 저장된 정보를 활용하여 교좌별 변위값에 대한 누적자료를 이용하여 시간대별, 계절별, 지역별 변위랑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교량에 대한 안전점검 및 누적자료의 분석을 통한 교좌의 수명연한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 점검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잘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교좌 점검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며 일개 센서의 파손시에도 동작 가능한 교좌 점검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좌 점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좌 점검 시스템의 검지부(2)를 설치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교좌 점검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좌 점검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지부(2A)를 설치한 예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교좌 점검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지부(2A)의 동작을 도시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교좌 점검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좌 점검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교좌 점검 시스템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좌 점검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좌 점검 시스템의 검지부(2)를 설치한 예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교좌 점검 시스템은 관리서버(1)와 검지부(2)로 구성된다.
상기 관리서버(1)는 제어장치부(11), DATA판독처리부(12), 메모리부(13), 송수신부(14)로 구성되며, 검지부(2)는 교좌의 높이 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레이저빔을 이용하도록 레이저발진부(미도시)와 검지장치(미도시)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검지부(2)는 교좌의 일측에 설치되고, 교량의 상판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레이저발진부로부터 발진된 레이저가 상판에 반사되어 검지장치에 입력되는 값을 비교분석하여 교좌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레이저발진부로부터 발진된 레이저가 검지장치에 되돌아 오는 시간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게 되고, 평균거리와의 차이를 이용하여 교량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검지부는 외부의 날씨 상황 즉, 비, 태풍, 눈, 벼락 등과 같은 외부 환경의 요인에 고장이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본 발명은 검지부의 케이스가 고분자 조성물로 되어 있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검지부의 케이스는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프로필렌(PP), 술폰화 폴리스틸렌(SPS, sulfonated polystyrene), 오피피(OPP, Oriented Poly Propylene)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조성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고분자 조성물에는 충전제, 안정제, 활제, 충격보강제, 셀롤로오즈 파이버, 디에틸렌 글리콜 및 커플링에이전트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상기한 조성물은 폴리에틸렌(PE) 100중량부에,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20~50중량부 , 폴리프로필렌(PP) 20~50중량부, 술폰화 폴리스틸렌(SPS, sulfonated polystyrene) 20~50중량부, 오피피(OPP, Oriented Poly Propylene) 20~50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한다.
또한 상기한 폴리에틸렌(PE) 100중량부에 충전제는 1~3중량부, 안정제는 4~6중량부, 활제는 1~2중량부, 충격보강제는 1~2중량부, 셀룰로오즈 파이버는 3~6중량부, 디에틸렌 글리콜 1~2중량부, 커플링 에이전트는 1~5 중량부가 더 혼합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고분자 조성물에 고분자 물질의 가교성을 더욱 증대시킬수 있는 고분자 접합 조성물을 선택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조성물 100중량부에 고분자 접합 조성물 20~60중량부 첨가하여 고분자 조성물을 만들게 된다.
상기 고분자 접합 조성물은 고분자 조성물이 최종적으로 부유몸체로 성형되고 나서 냉각되는 과정에서 수축현상이 발생할 때 균열, 비틀림, 쪼개짐 등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고분자 접합 조성물은 MMA(methylmethacrylate),BAM(Buthylacrylmonomer), AN(Acrylonitrile), MAA(Methylacrylicacid), 유화제, 물, 촉매를 혼합가열하여 생성된 조성물을 의미한다.
이 조성물은 단분자(monomer)인 MMA(methylmethacrylate) 100중량부, BAM(Buthylacrylmonomer) 100-150 중량부, AN(Acrylonitrile) 5-10 중량부, MAA(Methylacrylicacid) 4-7 중량부로 섞고 물 100-150 중량부, 유화제를 극히 소량인 5-8중량부로 섞는다.
바람직하게는 MMA(methylmethacrylate) 100중량부, BAM(Buthylacrylmonomer) 140 중량부, AN(Acrylonitrile) 10 중량부, MAA(Methylacrylicacid) 6 중량부, 물 140 중량부, 유화제 7중량부를 섞는다.
유화제는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를 의미하며 음이온계인 설폰산염 종류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알킬설폰산염을 사용한다. 알킬설폰산염은 아주 소량 첨가되는데 MMA(methylmethacrylate), BAM(Buthylacrylmonomer), AN(Acrylonitrile), MAA(Methylacrylicacid)와 물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는 유화제 역할을 하며 반응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여기에 촉매로 작용하는 분말형태의 과황산암모늄((NH4)2S2O8)과 중아황산소다(NaHSO3)를 MMA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3중량부로 섞으며 바람직하게는 1중량부가 적당하다. 과황산암모늄((NH4)2S2O8)과 중아황산소다(NaHSO3)의 비율은 1: 0.3~0.6의 비율로 섞으며 바람직하게는 1:0.5의 비율이 적정하다. 이 촉매들은 단분자 혼합물에 용해되어 촉매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주촉매작용은 과황산암모늄((NH4)2S2O8)이 담당하며, 중아황산소다(NaHSO3)가 보조적인 촉매역할을 하게 된다.
그런 후 약 60-70도씨 정도로 5-7시간 가열하면서 교반하며 반응을 진행시킨다.바람직하게는 65도씨 정도로 가열 교반하여 반응을 진행시킴이 좋다.
위 과정을 통하여 단분자들인 MMA(methylmethacrylate), BAM(Buthylacrylmonomer)이 촉매들에 의하여 개시반응(initiation reaction)이 일어나며, 그 후 성장반응(propagation reaction), 종결반응(termination reaction)이 일어나 고분자 접합용 조성물이 생성된다.
상기한 고분자 조성물을 혼련 및 압출하여 검지부의 케이스를 제조하게 되며, 이렇게 제조된 검지부의 케이스는 내구성이 현저히 높아지며 특히 번개, 비, 태풍, 눈, 벼락 등과 같은 외부 환경의 요인의 영향을 현저히 배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한 고분자 조성물에 보강섬유(유리섬유 등)가 포함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검지부의 케이스는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FRP)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그 강도가 극대화되는 효과를 창출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보강섬유는 유리섬유 또는 카본섬유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유리섬유는 E-glass, C-glass, S-glass, AR-glass 등으로 분류되는바 모두 다 사용할 수 있으며, E-glass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glass형 유리섬유는 통상 0.8%이하의 알카리를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수분에 대한 저항성 및 전기절연성이 뛰어나고, 내풍화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고분자 조성물로 상기한 검지부의 케이스를 성형할 때 상기의 보강섬유를 함침하여 제조한다.
상기한 유리섬유가 본 발명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기능성 FRP 재료에 성형법에 맞게 가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유리섬유의 가공형태에 따라 Strand, Yarn, Roving, Chopped strand, Chopped strand mat, Roving cloth,Glass Cloth, Surfacing mat 등으로 가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가공형태 모두가 사용될 수 있으며 고분자 조성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보강섬유 50~150중량부 함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인 것이지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교좌 점검 시스템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교좌 점검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좌 점검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지부(2A)를 설치한 예시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교좌 점검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지부(2A)의 동작을 도시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교좌 점검 시스템은 관리서버(1)와 검지부(2A)로 구성된다.
상기 관리서버(1)는 제어장치부(11), DATA판독처리부(12), 메모리부(13), 송수신부(14)로 구성되며, 검지부(2A)는 제1검지유닛(21)과 제2검지유닛(22)으로 구성되며, 신호송수신부(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장치부(11)는 검지부(2A)의 운영을 제어하며, 관리서버(1)에 접속하는 사용자 개인통신수단(3)에 정보전달 및 개인통신수단(3)으로 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 등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DATA판독부(12)는 송수신부(14)를 통하여 검지부(2A)에서 입력되는 DATA를 판독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검지부(2A)에서 입력되는 교좌의 변위값 정보를 입력받고 이에 대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한계치에 근접하였는지에 대한 판단과 설치되어 있는 교좌의 위치정보를 분석하고, 고유 DATA값을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정보의 위치정보 즉, 교량의 인식정보 및 교좌의 일련번호 등과 같은 정보를 입력받아 교량에 따른 고유 DATA값을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메모리부(13)는 검지부(2)로부터 입력된 DATA 및 DATA판독부(12)에서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이는 외부전산망을 통하여 사용자가 관리서버(1)에 접속하여 교량마다의 정보를 확인하거나, 교좌의 변위값을 비교하는 등의 작업을 위한 것이다.
상기 송수신부(14)는 검지부(2A) 및 사용자 개인통신수단(3)과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것으로, 외부전산망 또는 유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하게 된다.
여기서, 외부전산망은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 등을 활용하는 것이며, 유무선통신수단은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며, 교좌 점검 및 보수 시에 현장에서 적용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관리서버(1)와 연동되는 검지부(2A)는 교량의 변위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제1검지유닛(21)과 상기 제1검지유닛(21)에 의해 변위값을 측정하기 위한 제2검지유닛(22) 및 제1검지유닛(21)과 제2검지유닛(22)으로부터 검지된 정보를 관리서버(1)에 전송하기 위한 신호송수신부(2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1검지유닛(21)은 교좌의 수평방향의 변위여부를 측정하고, 교량상판과 교각의 일측에 배치되어 교량상판과 교각과의 높이 측정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포토다이오드(21a)와 상기 포토다이오드(21a)에 대응하는 포토디텍터(21b)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교좌의 수평방향의 변위여부 즉, 교좌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평방향의 변위여부는 교좌의 기울기 여부를 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좌의 수직방향 벽면 일측면에 근접하도록 포토다이오드(21a)와 포토디텍터(21b)가 이격되도록 마주보게 배치되어 교좌의 수직방향 변위 즉, 움직임이 감지되는 이를 신호송수신부(24)을 통하여 관리서버(1)로 전송하고, DATA판독부(12)를 통하여 정보를 판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판독된 정보에 따라 해당 교좌의 제2검지유닛(22)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2검지유닛(22)은 레이저발진기(미도시)와 상기 레이저발진기로부터 발진된 레이저를 검지하는 검지기(미도시)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레이저발진기로부터 발진된 레이저가 교좌의 벽면에 반사된 반사레이저를 검지기로 검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제2검지유닛(22)은 2개 이상이 구비되며, 교좌의 최하단과 최상단에 각각 배치되어, 교좌의 기울기값을 검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레이저광이 교좌의 벽면에 수직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교좌의 벽면과 수직방향에 배치되어, 제2검지유닛(22)과 교좌의 거리를 감지하여 교좌의 기울기값을 검지하게 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교좌의 최하단에 배치된 일개의 제2검지유닛(22)의 거리를 레이저를 통하여 검지하고, 최상단에 배치된 또다른 제2검지유닛(22)과 교좌의 거리를 검지한 후, 두개의 거리값을 비교하여 기울기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레이저발진기로부터 발진된 레이저가 교좌의 벽면에 반사되어 검지기에 검지된 시간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거리감지 방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제2검지유닛(22)은 2개 이상이 배치되며, 각각의 검지유닛은 교좌와 동일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하며, 제2검지유닛(22)은 별도의 설치바(23)상에 배치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교좌 점검 시스템의 교좌 점검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검지유닛(21)으로부터 교좌 변위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0), 입력된 정보로부터 교좌에 대한 고유 DATA를 생성하는 단계(S20), 고유 DATA에 따른 해당 교좌의 제2검지유닛(22)의 동작을 명령하는 단계(S30), 제2검지유닛(22)으로부터 검지된 변위값을 분석하는 단계(S40), 분석된 변위값을 메모리부(14)에 저장하는 단계(S50), 저장된 변위값과 한계치를 비교하는 단계(S60) 및 비교결과를 저장 및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S70)로 구성되는 교좌점검 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교좌의 이상유무를 점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검지유닛(21)으로부터 교좌 변위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0)는 교좌의 수평방향움직임 즉 기울기여부를 말하는 것으로, 차량통행 및 파손 등에 의한 외부요인으로 인한 교좌의 기울기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좌의 수직방향으로 포토다이오드(21a)와 포토디텍터(21b)가 배치되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교좌의 수직면과 근접하게 배치된 제1검지유닛(21)에 의해 교좌의 변위여부가 감지되면 이를 관리서버(1)로 전송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교좌의 수직면과 근접하게 배치된 포토다이오드(21a)로부터 광신호가 기울어진 교좌에 의해 포토디텍터(21b)에 전달되지 않을 경우 교좌의 간섭에 의해 차단된 것으로 판단하여 교좌의 기울기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입력된 교좌의 변위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된 정보로부터 교좌에 대한 고유 DATA를 생성하는 단계(S20)는 교좌의 위치정보와 같은 고유 DATA를 생성하는 것으로, 교량의 위치정보, 신호가 검지된 교좌의 식별정보와 같은 고유 DATA를 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유 DATA를 생성하는 것은, 입력되는 정보에 대한 판단, 분석 및 저장을 위한 것이다.
또한, 추가될 수 있는 교좌감시용 CCTV카메라의 동작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단계(S20) 후, 교좌감시용 CCTV카메라의 위치정보검색 및 동작제어를 위한 교좌감시용 CCTV카메라 검색단계(S25)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단계(S20)에서 생성된 고유 DATA에 따른 해당 교좌의 제2검지유닛(22)의 동작을 명령하는 단계(S30)는 제1검지유닛(21)에서 검지된 교좌의 변위여부에 따라 제2검지유닛(22)을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제1검지유닛(21)에 의해 교좌의 수평방향 움직임 즉, 기울기여부가 검지되면, 교좌의 기울기값을 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개 이상 구비되는 제2검지유닛(22)의 각각의 검지값 즉, 교좌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기울기값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1검지유닛(21)의 동작여부를 검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게 되는데, 일정 시간동안 제1검지유닛(21)이 동작하지 않을 경우 제2검지유닛(22)의 동작을 통하여 교좌의 변위값을 측정한 후, 제1검지유닛(21)의 파손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제1검지유닛(21)이 동작하지 않을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파손여부를 알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1검지유닛(21)의 동작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비동작 시간 간격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기존의 교좌별로 제1검지유닛(21)의 동작시간대 및 동작시간의 평균값과의 비교를 통하여 파악하게 되며, 이를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출퇴근시간에 10분간격으로 제1검지유닛(21)이 동작하였다면, 이와 관련된 누적데이터의 분석을 통하여 출퇴근시간대에 제1검지유닛(21)의 비동작 시간을 설정하고 이를 검지하는 것이다.
상기 단계(S30)에서 입력된 검지값을 관리서버(1)의 DATA판독부(12)에 의해 교좌의 기울기값인 변위값을 분석하기 위한 제2검지유닛(22)으로부터 검지된 변위값을 분석하는 단계(S40)를 거치게 된다.
이때, 교좌의 기울기값은 앞서 설명한데로, 교좌의 최하단부와 최상단부에 교좌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검지유닛(22)과 교좌의 측면과의 거리의 차를 이용하여 변위값 즉, 기울기값을 판단하게 된다.
상기 단계(S40)에서 분석된 변위값을 메모리부(14)에 저장하는 단계(S50)는 DATA판독부(12)에 의해 판독된 변위값을 고유DATA와 함께 메모리부(14)에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단계(S50)에서 저장된 변위값과 한계치를 비교하는 단계(S60)는 교좌의 변위값과 사용자가 설정하여 메모리부(14)에 저장한 변위값의 한계치를 비교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한계치는 교좌의 기울기 허용치를 말하는 것이며, 허용오차범위 또한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단계(S60)에서 변위값과 한계치를 비교한 비교결과를 저장 및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S70)는 메모리부(14)에 저장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이상유무를 통보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상유무를 통보하는 방법은 알림기능 즉, 알람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적용가능하며,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단계(S70)후, 저장된 정보를 활용하여 교좌별 변위값에 대한 누적자료를 활용하여 시간대별, 계절별, 지역별 변위량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는 교량에 대한 안전점검 및 누적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교좌의 수명연한 등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1 : 관리서버 2 : 검지부
11 : 제어장치부 12 : DATA판독부
13 : 메모리부 14 : 송수신부
21 : 제1검지유닛 21a : 포토다이오드
21b : 포토디텍터 22 : 제2검지유닛
23 : 설치바 24 : 신호송수신부

Claims (4)

  1. 교좌의 보수 및 감시와 같은 점검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교좌 점검 시스템에 있어서,
    검지부(2)의 운영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개인통신수단(3)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제어장치부(11), 검지부(2)에서 입력되는 DATA를 판독하는 DATA판독처리부(12), 검지부(2)로부터 입력된 DATA 및 DATA판독부(12)에서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3) 및 검지부(2) 및 개인통신수단(3)과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송수신부(14)로 구성되는 관리서버(1); 와
    교좌의 수평방향의 변위여부를 측정하고, 교량상판과 교각의 일측에 배치되어 교량상판과 교각과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포토다이오드(21a)와 이에 대응하는 포토디텍터(21b)로 이루어진 제1검지유닛(21)과 교좌의 기울기값을 측정하기 위한 제2검지유닛(22) 및 관리서버(1)에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송수신부(24)로 이루어진 검지부(2)로 구성되고,
    상기 제2검지유닛(22)은 레이저발진기와 상기 레이저발진기로부터 발진된 레이저를 검지하는 검지기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교좌의 기울기값을 측정하기 위해 교좌의 벽면과 수직방향으로 레이저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교좌의 벽면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되, 2개 이상이 교좌와 동일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설치바(23)상에 설치되며,
    제1검지유닛(21)으로부터 교좌 변위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0);
    입력된 정보로부터 교좌에 대한 고유 DATA를 생성하는 단계(S20);
    고유 DATA에 따른 해당 교좌의 제2검지유닛(22)의 동작을 명령하는 단계(S30);
    제2검지유닛(22)으로부터 검지된 변위값을 분석하는 단계(S40);
    분석된 변위값을 메모리부(13)에 저장하는 단계(S50);
    저장된 변위값과 한계치를 비교하는 단계(S60) 및 비교결과를 저장 및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S70)로 구성되되,
    상기 단계(S20)후 교좌감시를 위해 설치되는 교좌감시용 CCTV카메라의 위치정보검색 및 동작제어를 위한 교좌감시용 CCTV카메라 검색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단계(S30)에서 제1검지유닛(21)의 동작여부를 검지하는 과정이 포함되되, 일정 시간동안 제1검지유닛(21)이 동작하지 않을 경우 제2검지유닛(22)의 동작을 통하여 교좌의 변위값을 측정한 후, 제1검지유닛(21)의 파손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교좌점검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 점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교좌감시용 CCTV카메라가 더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 점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검지부(2)의 케이스는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프로필렌(PP), 술폰화 폴리스틸렌(SPS, sulfonated polystyrene), 오피피(OPP, Oriented Poly Propylene)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조성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 점검 시스템.
  4. 삭제
KR1020150134501A 2015-09-23 2015-09-23 교좌 점검 시스템 KR101751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501A KR101751125B1 (ko) 2015-09-23 2015-09-23 교좌 점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501A KR101751125B1 (ko) 2015-09-23 2015-09-23 교좌 점검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153A Division KR20170081142A (ko) 2017-06-19 2017-06-19 교좌 점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538A KR20170035538A (ko) 2017-03-31
KR101751125B1 true KR101751125B1 (ko) 2017-06-26

Family

ID=58501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501A KR101751125B1 (ko) 2015-09-23 2015-09-23 교좌 점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1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275B1 (ko) * 2018-10-17 2020-03-23 주식회사 장민이엔씨 교량안전진단장치
KR20200043172A (ko) * 2018-10-17 2020-04-27 (주)스마트 제어계측 교량안전진단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160B1 (ko) * 2018-05-11 2019-11-07 김윤수 레이저 거리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CN111172859A (zh) * 2019-12-12 2020-05-19 广州大学 一种桥梁限位装置
CN116242289B (zh) * 2023-05-06 2023-07-18 四川省公路规划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预应力锚具所具有的自探测系统及其探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1678A (ja) * 2003-02-19 2004-09-09 Taisei Corp 変位角測定装置
WO2006011386A1 (ja) * 2004-07-30 2006-02-02 Kyoto University 変位計測方法、変位計測装置、変位計測用ターゲット及び構造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1678A (ja) * 2003-02-19 2004-09-09 Taisei Corp 変位角測定装置
WO2006011386A1 (ja) * 2004-07-30 2006-02-02 Kyoto University 変位計測方法、変位計測装置、変位計測用ターゲット及び構造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275B1 (ko) * 2018-10-17 2020-03-23 주식회사 장민이엔씨 교량안전진단장치
KR20200043172A (ko) * 2018-10-17 2020-04-27 (주)스마트 제어계측 교량안전진단방법
KR102161232B1 (ko) * 2018-10-17 2020-09-29 주식회사 장민이엔씨 교량안전진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538A (ko) 201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125B1 (ko) 교좌 점검 시스템
CN1247432C (zh) 监视电梯设备竖井门的方法
CN1042020C (zh) 电梯井的井道信息数据的采集方法及设备
KR20170081142A (ko) 교좌 점검 시스템
CN208206046U (zh) 一种用于桥梁伸缩缝位移监测的警报系统
CN106595537A (zh) 一种基于北斗卫星的建筑物安全状态监测设备及监测方法
CN201946080U (zh) 光纤传感周界入侵报警系统
CN201829006U (zh) 光纤传感智能定址周界入侵报警系统
CN104903224B (zh) 自动人行道
CN108426560B (zh) 一种高支模沉降监测装置及监测方法
KR101962961B1 (ko) 표면멀티센서를 이용하여 도로의 상황을 판단하는 시스템
KR101967585B1 (ko) 결빙 감지용 표면멀티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결빙 감지 방법
KR20190081052A (ko) 교량 안전진단 기능을 갖는 교좌장치
CN109490072A (zh) 一种土木工程建筑用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CN107305380A (zh) 一种自动避障方法和装置
CN108981595A (zh) 一种船舶超高探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2468042Y (zh) 激光隧道周边位移实时监测仪
CN113724480A (zh) 高铁运行对隧道口上方超高陡危岩影响的监测预警系统
CN101551241A (zh) 一种集装箱平车锁座平面度检测方法、系统及装置
KR20170109986A (ko) 거푸집 구조물을 지지하는 동바리에 부착되는 구조물 안전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안전 계측 시스템
CN216668613U (zh) 工字钢梁施工变形监测系统
CN108761575A (zh) 一种雨量传感器
KR102259244B1 (ko) IoT센서를 활용한 자재설치 판정 시스템을 이용한 자재 설치 판정방법
CN107632017A (zh) 一种电梯t型导轨接缝检测系统及方法
KR102186746B1 (ko) 계측장치 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 및 유지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