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163B1 - 수부내재근 재활 운동 장치 - Google Patents

수부내재근 재활 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163B1
KR101750163B1 KR1020150110172A KR20150110172A KR101750163B1 KR 101750163 B1 KR101750163 B1 KR 101750163B1 KR 1020150110172 A KR1020150110172 A KR 1020150110172A KR 20150110172 A KR20150110172 A KR 20150110172A KR 101750163 B1 KR101750163 B1 KR 101750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mount
elastic band
mounts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6719A (ko
Inventor
김현동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0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163B1/ko
Publication of KR20170016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5Hand
    • A61H1/0288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5Hands
    • A61H2205/067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의 기능을 유지하고 변형을 예방하기 위한 재활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의 근육을 이루는 수부외재근을 배제하고 수부내재근 만을 근수축 유도하는 재활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손가락에 끼워져 밀착되는 삽입공(110a,120a,130a,140a,150a)이 형성되고, 삽입된 손가락 마디의 구부러짐이 제한되게 하는 제1핑거장착구(110), 제2핑거장착구(120),제3핑거장착구(130),제4핑거장착구(140),제5핑거장착구(150)로 이루어지는 핑거가이드부재(100); 상기 핑거가이드부재(100)가 손가락의 배열형태와 대응하게 배치되면서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사이 마다에 형성되는 틈새(200); 상기 틈새(200)를 포함하여 상기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를 손가락의 힘으로 평행방향으로 오므릴 때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 150)에 연결된 탄성밴드(310)의 탄성력으로 수부내재근이 근수축되게 하는 탄성밴드부재(300); 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밴드부재(300)는, 긴장되고 수축되는 탄성력이 보유된 띠형상의 탄성밴드(310)로 되며 각각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가 마주하는 측면의 중간위치와, 상기 중간위치를 기준하여 손등방향위치와 손바닥방향위치에서 돌출되어 각각의 핑거장착구(110, 120,130,140,150)들이 병렬로 연결되게 하되,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 140,150)에는 상기 탄성밴드(310)에 의한 틈새(200)가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탄성밴드부재(300)의 탄성밴드(310)는, 상기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의 마주하는 원주면의 손등방향위치와 손바닥방향위치에서 돌출되며, 손가락 길이방향에 대해 기절골 부위와, 중절골 부위와 말절골 부위를 연결하되, 상기 기절골 부위에서 한 개의 넓은 밴드(310c)로 연결되고, 상기 중절골 부위는 1쌍의 짧은밴드(310b)로 연결되게 하고, 상기 말절골 부위에는 1쌍의 가늘고 긴 밴드(310a)로 연결되어 제2연결상태(300B)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부내재근 재활 운동 장치{Hand intrinsic muscles 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손의 기능을 유지하고 변형을 예방하기 위한 재활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의 근육을 이루는 수부외재근을 배제하고 수부내재근만 을 근수축 유도하는 재활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손의 근육은 크게 손가락에서 시작해서 손으로 끝나는 수부내재근과 팔꿈치에서 시작해서 손목이나 손가락으로 끝나는 수부외재근으로 나눌 수 있으며, 수부외재근은 팔꿈치까지 사용하는 큰 동작에 관여하고, 수부내재근은 정밀하고 섬세한 손의 작은 동작에 주로 관여한다.
일반적으로 팔꿈치 근처 전완부에서 통증이 나타나는 것은 팔꿈치 근처에서 시작되는 수부외재근을 과도하게 사용하였기 때문이고, 반대로 손가락이나 손목에 통증이 오는 것은 수부내재근을 과도하게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손의 움직임에 있어 수부외재근과 수부내재근이 각기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고 서로 협응을 통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어느 한 쪽에 이상이 생기면 손의 전체 기능이 모두 떨어지게 된다.
특히, 수부내재근은 수부외재근보다 크기가 작고 쉽게 피로를 느끼는 약한 근육이기 때문에 수부내재근이 피곤해지거나 약해지면, 손의 정밀한 동작시 손가락을 포함한 손에서 떨림이 나타나는 현상이 보이게 되며, 이러한 손떨림을 줄여주기 위해 인체는 반사적으로 약해진 수부내재근을 대신하여 수부외재근을 강하게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보상작용이 반복되면 수부내재근은 사용하지 않음으로 나타나는 무용성위축(disuse atrophy)으로 손의 기능을 점차적으로 상실하게 된다.
그 일 예로서 노인의 손을 보면 내재근의 위축을 관찰할 수 있으며, 특히 손의 떨림 현상이 나타나는 노인에게서 수부내재근이 상당하게 위축되어 있는 것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의 수부에 질병이나 외상, 고령에 의해 수부내재근이 약해지면 이를 보상 및 대신해주기 위해 수부외재근이 과도하게 사용하게 되고, 반대로 수부내재근은 무용성 위축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잘못된 보상 매커니즘은 수부의 기능을 감소시키고 통증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의학적인 이론에도 불구하고 실제 병원에서 진행하는 수부 재활과정에서는 스스로 물건을 집는 동작을 반복하게 하거나, 탄성력이 좋은 공을 손바닥에 두고 손가락을 오므려 강한 악력으로 공을 잡는 훈련을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재활훈련은 손의 파악(grasping) 동작만을 강조한 운동방법으로서, 주로 수부외재근과 굴곡근, 신전근이 선택적으로 강화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운동을 실시하기에 적당한 운동기구로는 시중에서 흔히 구매할 수 있는 악력기가 적당하다.
상기 수부재활과정에서 사용되는 악력기는 손가락 전체를 굴곡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하는 기구로서, 손가락의 구부림 동작은 마치 주먹을 강하게 쥐는 것과 같은 형태가 연속해서 반복되므로 오히려 손가락 관절안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관절간 간격을 좁게 만들어서 콜라겐 변성으로 관절염을 유발시키고 손목을 지나가는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까지 유발시켜서 손의 사용을 어렵게 만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병원에서 수부재활과정에서 손의 파악(grasping) 동작 운동을 하게 하는 것은 손의 내재근의 위축 및 퇴행을 방지하고 보다 쉽게 수부내재근만 선별적으로 근수축을 시킬 수 있는 재활 운동 장치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부내재근에 대한 재활운동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현실정에서 병원에서는 수부외재근만 강화시키는 운동을 처방해주고 있는 실정인데, 이러한 운동방법은 약한 수부내재근보다는 상대적으로 강한 수부외재근을 보다 많이 사용하여 손가락 기능개선에는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못하는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수부외재근에 비해 크기가 작고 약해서 쉽게 피로를 느끼는 근육인 수부내재근만을 보다 작은 힘으로 손쉽게 근수축을 유도할 수 있는 재활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부내재근에 대한 재활운동이 손가락 전체에 착용이 필요한 경우를 포함하여 손가락 선별적으로 착용함이 가능하게 하여 필요한 위치의 수부내재근의 근수축 운동이 가능하게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부내재근의 재활목적에 따라 손가락의 운동강도를 탄력성이 제공되는 탄성밴드의 연결상태로 다양하게 제공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손가락에 끼워져 밀착되는 삽입공(110a,120a,130a,140a,150a)이 형성되고, 삽입된 손가락 마디의 구부러짐이 제한되게 하는 제1핑거장착구(110), 제2핑거장착구(120),제3핑거장착구(130),제4핑거장착구(140),제5핑거장착구(150)로 이루어지는 핑거가이드부재(100); 상기 핑거가이드부재(100)가 손가락의 배열형태와 대응하게 배치되면서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사이 마다에 형성되는 틈새(200); 상기 틈새(200)를 포함하여 상기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를 손가락의 힘으로 평행방향으로 오므릴 때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 150)에 연결된 탄성밴드(310)의 탄성력으로 수부내재근이 근수축되게 하는 탄성밴드부재(300); 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밴드부재(300)는, 긴장되고 수축되는 탄성력이 보유된 띠형상의 탄성밴드(310)로 되며 각각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가 마주하는 측면의 중간위치와, 상기 중간위치를 기준하여 손등방향위치와 손바닥방향위치에서 돌출되어 각각의 핑거장착구(110, 120,130,140,150)들이 병렬로 연결되게 하되,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 140,150)에는 상기 탄성밴드(310)에 의한 틈새(200)가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밴드부재(300)의 탄성밴드(310)는, 상기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의 마주하는 원주면의 손등방향위치와 손바닥방향위치에서 돌출되며, 손가락 길이방향에 대해 기절골 부위와, 중절골 부위와 말절골 부위를 연결하되, 상기 기절골 부위에서 한 개의 넓은 밴드(310c)로 연결되고, 상기 중절골 부위는 1쌍의 짧은밴드(310b)로 연결되게 하고, 상기 말절골 부위에는 1쌍의 가늘고 긴 밴드(310a)로 연결되어 제2연결상태(300B)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핑거가이드부재(100)는, 상기 수부내재근 재활대상의 손가락에 삽입되며, 각 손가락 전체에 씌워지는 길이로 되는 제1핑거장착구(110),제2핑거장착구(120),제3핑거장착구(130),제4핑거장착구(140),제5핑거장착구(150)로 되고, 상기 각각의 핑거장착구의 삽입공(110a, 120a,130a,140a,150a)은 손가락의 외면에 밀착되는 직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핑거가이드부재(100)는, 수부내재근 재활 대상의 손가락이 삽입되며, 각 손가락 전체에 씌워진 제1핑거장착구(110),제2핑거장착구(120),제3핑거장착구(130),제4핑거장착구 (140),제5핑거장착구(150)중 나란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핑거장착구 만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핑거가이드부재(100)는, 수부내재근 재활 대상의 손가락이 삽입되며, 나란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핑거장착구는 각 손가락 끝마디에 씌워지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핑거가이드부재(100)는, 상기 수부내재근 재활대상의 손가락에 삽입되는 핑거장착구 중 엄지의 제1핑거장착구(110)는 검지의 제2핑거장착구(120)의 수직하방위치에 배열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수부내재근 재활 운동 장치는 기존에 사용하는 강한 주먹쥐기 운동이 아닌 약하고 부드러운 기능적인 주먹쥐기 운동을 구현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기존에 사용하는 강하게 주먹을 쥔 동작에서 각 손가락의 마디를 모두 펴주는 동작으로 변경하여 수평방향으로 펼치거나 오므리는 동작으로 수부외재근의 강한 근수축을 제한 또는 억제하고, 수부내재근만 선별적으로 근수축을 유도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를 통하여 환자들이 약화된 수부내재근의 보상작용으로 수부외재근만 사용하는 것을 억제하여 수부내재근이 위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기존의 수부외재근을 강조한 스프링을 이용한 악력기에 비해 사용자가 작은 힘을 가지고도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고무 탄성력으로 수부내재근의 근육강화를 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를 통하여 수부외재근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고 힘이 약한 수부내재근의 선택적인 재활운동이 가능해질 것이다.
또한 임상에서 정중신경과 척골신경 손상으로 수부내재근인 골간근 (interossei muscle)과 충양근(lumbricals muscle)이 마비되어 중수지관절의 과신전과 근위와 원위지절 관절의 굴곡을 보이는 갈퀴손(claw hand) 변형을 예방하고 이를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의 퇴행성 손 관절염과 류마티스성 손 관절염 및 척수손상에 의한 손 마비환자의 기능개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재활장치가 적용되어 수부내재근 재활을 유도하는 손가락자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부내재근 재활운동 장치에 대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부내재근 재활운동 장치를 착용한 상태로서 (a)는 수부내재근의 근수축을 위해 손가락 오므림 시 탄성변형상태도. (b)는 수부내재근의 근수축을 위해 손가락 벌림 시 탄성변형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부내재근 재횔장치 중 탄성밴드부재의 제1연결상태도로서 (a)는 평면상태도, (b)는 정면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부내재근 재활장치 중 탄성밴드부재의 제2연결상태도로서 (a)는 정면상태도, (b)는 평면상태도.
도 6는 본 발명의 수부내재근 재활장치 중 탄성밴드부재의 제3연결상태도로서 (a)는 정면상태도, (b)는 평면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부내재근 재활장치에 대한 제1연결상태를 적용한 실시예 1로서 (a)는 정면 상태도, (b)는 평면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부내재근 재활장치에 대한 제1연결상태와 제3연결상태를 적용한 실시예 2로서 (a)는 정면 상태도, (b)는 평면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수부내재근 재활장치에 대한 제1연결상태와 제2연결상태와 제3연결상태를 적용한 실시예 3로서 (a)는 정면 상태도, (b)는 평면상태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는 예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재활장치가 적용되어 수부내재근 재활을 유도하는 손가락자세 상태도로서, 본 발명의 재활장치를 적용함에 있어서는 수부내재근만 선택적으로 근수축을 시킬 수 있는 손의 자세와 동작을 누구나 쉽게 반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손의 자세가 도 1과 같이 손가락을 모은 상태에서 수평하게 뻗은 자세를 취하며. 이때 엄지손가락은 검지손가락 아래위치에서 서로 평행을 이루면서 마주보는 자세가 요구된다.
이러한 손의 자세는 수부외재근의 근수축을 배제하고 수부내재근의 근수축을 유도하기 위한 손의 자세와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수부내재근 재활치료 환자가 자의적으로 도 1과 같은 손의 자세를 취하고 그에 따른 운동을 용이하게 하게 위하여는 각각의 손가락의 끝 마디까지 모두 끼울 수 있도록 관통된 5개의 원통형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로 된 핑거가이드부재(100)와,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들의 손등방향위치와 손바닥방향위에서 돌출되어 각각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들을 병렬상태로 연결시키는 직사각형 탄성밴드부재(300)로 구성된 수부내재근 재활운동 장치가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부내재근 재활운동 장치에 대한 상태도인데, 수부내재근 의 재활운동을 위해 마련되는 핑거가이드부재와 직사각형 탄성밴드부재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면, 핑거가이드부재(100)는, 재활치료 대상의 손가락에 끼워져 손가락의 외면에 밀착되는 삽입공(110a)이 형성되고, 삽입된 손가락 외면에 밀착되는 상태에 의해 손가락 마디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하는 핑거장착구(110,120,130, 140, 150)가 손가락의 수만큼 구비된다.
상기 복 수개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는 수부내재근 재활 운동을 유도하기 위하여 손가락의 배열형태로 배치되면서 손가락들에 운동 간격을 제공하기 위해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들은 각각의 핑거장착구 사이마다 틈새(200)가 구비된다.
수부내재근 재활 운동은 손가락을 수평방향으로 벌리고 오므릴 때에 힘이 가해지게하고 또한 힘을 가하는 자세를 반복하여 취하게 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상기 복 수개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사이마다 형성된 상기 틈새(200)간격이 탄성력이 보유된 탄성밴드(310)로 연결되게 하여 손가락 측면으로 힘이 가해져 탄성밴드(310)가 수축될 때 수부내재근이 강하게 근수축되는 상태를 유도하는 탄성밴드부재(300)가 구비된다.
상기 핑거가이드부재(100)의 각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는, 수부내재근 재활 대상의 손가락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 손가락 외면에 밀착되어 손가락의 마디가 굴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삽입공(110a,120a,130a,140a,150a)의 내부 직경이 손가락의 형상처럼 경사지게 형성되어 손가락 끝의 구멍이 아래쪽의 구멍보다는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핑거가이드부재(100)를 형성함에 있어, 손가락에 착용하는 상태가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는 고무나 실리콘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는 고무와 실리콘 재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음은 충분히 가능하다.
특히, 핑거가이드부재(100)를 통해 환자의 손가락자세가 도 1과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들을 병렬상태로 위치시키고, 핑거장착구 중 엄지의 핑거장착구(110)는 검지의 핑거장착구(120)의 아래로 배열되게 하여 핑거가이드부재(100)의 장착시 엄지 손가락은 검지 손가락의 아래 위치에 모아지고, 검지 손가락을 포함한 소지 손가락은 나란한 상태로 배열되는 자세가 된다. 이때,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사이에 수부내재근의 근수축운동을 위한 간격을 형성하는 틈새(200)가 구비되게 한다.
상기 틈새(200)의 범위는 기절골 위치를 기준하여 5~25mm 정도의 폭을 유지하도록 함이 근수축운동 효과가 발휘되게 함에 적당하다.
상기 틈새(200)간격으로 배열되는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는 그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탄성밴드부재(30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탄성밴드부재(300)는, 탄성력과 수축력을 갖는 소재로서 사각 형상의 띠로 된 탄성밴드(310)이며, 각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의 마주보는 외측면 또는 마주보는 외측면의 손등방향 및 손바닥방향의 원주위치에서 돌출되어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들이 연결되며, 연결된 각각의 탄성밴드(310)에 의해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에는 틈새(200)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밴드(310)가 각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에서 돌출되게 형성함에 있어서, 도 2처럼 손등방향 또는 손바닥방향 및 외측면 중간위치 중 어느 한 지점에서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으나, 치료목적에 따라서는 각각의 지점에서 복 수개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한 개 및 한 쌍의 형태로 되어 각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 상호 병렬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부내재근 재활운동 장치를 착용한 상태로서 (a)는 수부내재근의 근수축을 위해 손가락을 오므렸을 때의 탄성변형 상태도. (b)는 수부내재근의 근수축을 위해 손가락을 벌렸을 때 탄성변형 상태도로서, 상기의 탄성밴드(310)는 탄성력이 보유된 상태에서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에 형성된 각각의 틈새(200)는 손가락을 수평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며, 손가락을 수평방향으로 움직일 때 탄성밴드(310)가 인장되거나 또는 수축되는 상태를 이루며, 인장되고 수축되는 과정에서 소재의 특성에 의한 저항운동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의 저항 운동을 견디기 위하여 손가락의 수부내재근 상태가 활성화되는 상태로 되고 이러한 근수축운동을 처방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이행하게 되면 치료 목적부위의 근육이 강화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상기와 같은 탄성밴드(310)에 의한 수부내재근의 근육강화 효과를 다양하게 유도하기 위하여 탄성밴드(310)는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에서 다양한 연결상태를 이루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수부내재근 재활장치 중 탄성밴드부재의 제1연결상태도로서 (a)는 평면상태도이고, (b)는 정면상태인데, 탄성밴드부재(300)는 탄성력과 복원력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고무밴드가 인접한 각각의 원통형 부재에 병렬로 1쌍씩 연결되는 탄성밴드(310)로서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탄성밴드(310)는 수부외재근의 재활운동에 사용하는 기존의 1개의 강한 스프링보다는 2개의 탄성밴드를 병렬로 1쌍으로 연결하면 약한 고무 탄성력과 복원력으로 수부내재근의 근수축을 유도하기에 더 바람직한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탄성밴드(310)는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에서 돌출되어 근접한 각각의 핑거장착구에 연결되는 구성이므로 그 연결상태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이 자유로운데,
상기 탄성밴드부재(300)를 핑거가이드부재(100)에 형성함에 있어, 한 쌍의 핑거장착부재, 특히 약지의 제4핑거장착구(140)와 소지의 제5핑거장착구(150)에 상기 탄성밴드(310)를 돌출형성함에 있어서, 약지의 제4핑거장착구(140)와 소지의 제5핑거장착구(150)의 길이방향의 원주면에 대해 긴 1조의 탄성밴드(310a)를 2쌍 내지 4쌍으로 연결하는 제1연결상태(300A)로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상태(300A)는 제4핑거장착구(140)와 소지의 제5핑거장착구(150)에 국한되지 않으며, 각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의 손가락 길이방향의 원주면의 손바닥방향 위치와 손등방향 위치에서 돌출되는 긴 1조의 탄성밴드(310a)를 2쌍 내지 4쌍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추도록 한다.
이는 긴 1조의 탄성밴드(310)를 각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의 손가락의 굴절마디 위치의 측면 또는 원주면에서 한 개 또는 한 쌍 및 그 이상의 갯수로 형성하는 구성에 의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부내재근 재활장치 중 탄성밴드부재의 제2연결상태도로서 (a)는 정면상태도이고, (b)는 평면상태도인데, 상기 탄성밴드부재(300)를 핑거가이드부재(100)에 형성함에 있어, 한 쌍의 핑거장착구, 특히 검지의 제2핑거장착구(120)와 중지의 제3핑거장착구(130)에 상기 탄성밴드(310)를 돌출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부재(300)의 탄성밴드(310)는, 상기 검지의 제2핑거장착구(120)와 중지의 제3핑거장착구(130)손가락 길이방향에 대해 손가락의 기절골 부위와, 중절골 부위와 말절곡 부위에 각각 돌출형성하되, 상기 기절골 부위에서 한 개의 넓은 밴드(310c)로 연결되고, 상기 중절골 부위는 1조의 짧은밴드(310b)로 연결되게 하고, 상기 말절골 부위에는 1조의 가늘고 긴밴드(310a)로 연결되게 하여 제2연결상태(300B)를 이루게 한다.
상기 제2연결상태(300B)는 제2핑거장착구(120)와 중지의 제3핑거장착구(130)에 국한되지 않으며, 각 핑거장착구(110,120, 130,140,150))의 길이방향의 원주면에 대해 넓은밴드(310c)를 제외하고 각각의 1조의 가늘고 긴, 짧은밴드(310a, 310b)가 2쌍으로 연결되게 하는 상태로 제2연결상태(300B)를 이루게 한다.
이는 1조의 가늘고 긴 탄성밴드(310a)를 각 핑거장착구(110,120,130,140, 150)의 손가락의 굴절마디 위치의 측면 또는 원주면에서 한 개 또는 한 쌍 및 그 이상의 갯수로 형성하는 구성에 의해 가능하다.
도 6는 본 발명의 수부내재근 재활장치 중 탄성밴드부재의 제3연결상태도로서 (a)는 정면상태도이고, (b)는 평면상태인데, 상기 탄성밴드부재(300)를 핑거가이드부재(100)에 형성함에 있어, 한 쌍의 핑거장착구, 특히 엄지의 제1핑거장착구(110)와 검지의 제2핑거장착구(120)에 상기 탄성밴드(310)를 돌출형성함에 있어서, 손가락의 길이방향에 대해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의 말절골 부위 외측면에 강하고 넓은밴드(310c) 한 쌍으로 연결하는 제3연결상태(300C)를 이루게 한다.
상기의 탄성밴드(310)의 제3연결상태(300C)에서는 1개의 밴드를 말절골 부위에 외측면 중앙에서 돌출시켜 형성하는 넓은밴드(310c)의 구성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의 제3연결상태(300C)는 해당 핑거장착구(110,120)에서 작용하는 환자의 손가락 힘이 강하게 작용하므로 얇고 긴밴드 여러 개를 설치하는 구성보다는 넓은밴드(310c)가 재활동작과정에서 더욱 적당하다. 그러나 치료의 목적에 따라서는 1개의 넓은밴드(310c)을 형성할수 도 있지만, 넓은밴드(310c)를 1쌍으로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7은 본 발명의 수부내재근 재활장치에 대한 제1연결상태를 적용한 실시예1로서 (a)는 정면 상태도이고, (b)는 평면상태도로서, 상기와 같이 탄성밴드(310)가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에 다양하게 연결되도록 형성할 때, 각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의 손가락 길이방향의 원주면에 대해 1조의 가늘고 긴밴드(310a)를 2쌍 내지 4쌍으로 연결하는 제1연결상태(300A)만으로 연결하는 구성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핑거장착부재(100)에 탄성밴드부재(300)를 제1연결상태(300A)로 연결하되, 약지의 제4핑거장착구(140)와 소지의 제5장착구(150)를 연결하는 탄성밴드 (310)는 3개이고, 제1,제2,제3 및 제4핑거장착구(110,120,130,140)를 연결하는 탄성밴드(310)는 4개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핑거가이드부재(100)에 연결되는 탄성밴드부재(300)의 연결구조가 제1연결상태(300A)로 연결된 상태에서는 환자의 수부내재근의 근수축력의 치료가 약하게 요구되는 경우에 적당한 운동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밴드 연결구조는 제1연결상태(300A)는 환자의 진단상태에 따라서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수부내재근 재활치료운동방법으로 처방될 경우에 적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도 8은 본 발명의 수부내재근 재활장치에 대한 제1연결상태와 제3연결상태를 적용한 실시예 2로서 (a)는 정면 상태도이고, (b)는 평면상태도로서, 상기와 같이 탄성밴드(310)로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를 다양하게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 있을 보여 준다.
상기 탄성밴드(310)의 제3의 연결상태(300C)로 핑거가이드부재(100)의 제1, 제2핑거장착구(110,120)가 연결되게 하고, 탄성밴드(310)의 제2연결상태(300B)로 제2와 제3핑거장착구(120,130)의 연결 및 제3과 제4핑거장착구(130,140)가 연결되게 하며, 탄성밴드(310)의 제1연결상태(300A)로 제4와 제5핑거장착구(140,150)가 연결된다.
상기 탄성밴드(310)의 연결상태에서 제2연결상태(300B)는 특이한 구성이라 1개의 탄성밴드(310)로 연결된 단순한 구조이지만 나머지 2쌍의 탄성밴드(310)는 부착위치와 길이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제2 연결상태(300B)는 특이한 구성이라서 1개의 탄성밴드(310)로 연결된 단순한 구조이지만 나머지 2쌍의 탄성밴드(310)는 부착위치와 길이를 다르게 형성하므로 늘어나고 오므라들도록 가하는 재활 환자의 힘에 대한 수부내재근의 운동효과가 손가락 원위부의 움직임을 수행할 때보다 많은 운동성과 저항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탄성밴드 연결구조는 제1연결상태(300A)와 제2연결상태(300B)는 환자의 진단상태에 따라서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수부내재근 재활치료운동방법으로 처방될 경우에 적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실시예 3)
도 9는 본 발명의 수부내재근 재활장치에 대한 제1연결상태와 제2연결상태와 제3연결상태를 적용한 실시예3로서 (a)는 정면 상태도이고, (b)는 평면상태도로서,상기 핑거가이드부재(100)는, 수부내재근 재활 대상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각각의 제1, 제2, 제3, 제4, 제5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가 각 손가락 끝마디 부분에만 씌워지는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짧은 길이로 된 각각의 핑거장착구(110, 120,130,140,150)중 2개의 핑거장착구를 선택하여서 선택된 짧은 핑거장착구의 외측면중앙 또는 원주면에서 탄성밴드부재(300)의 탄성밴드(310)가 돌출되게 형성하여 선택된 짧은 필거장착구들이 상호 연결되게 한다.
상기 실시예 3 따르면 손가락 끝마디 부분인 말절골의 마디 위치에서만 부분적으로 재활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제 1, 제 2, 제 3, 제 4, 제 5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중 2개의 핑거장착구에 탄성밴드(310)를 연결하여 엄지와 검지에 장착하거나, 또는 검지와 인지에 장착하거나, 인지와 약지에 장착하거나, 약지와 소지에 장착하여 장착된 부분의 마디는 말절골 부분은 굴절되지 못하게 하고, 다른 중절골부위(중간마디)와 기절골(첫마디)부분은 굴절되는 상태로서 수부내재근의 재활운동 필요성이 부분적으로 요구되는 경우에 매우 적당한 부분 재활 운동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실시예 3과 같이 손가락의 끝마디만을 덮을 정도로 작아야 하며 이는 손가락 끝마디에만 힘을 주게 되면 수부내재근 전체가 동시수축(co-contraction)형태로 선택적으로 일어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원위부인 손가락 끝마디에 운동성(mobility)을 부과하여 근위부인 손가락 내재근의 고정성(stability)를 얻기 위한 구성이고, 원위부인 손가락 끝마디에 힘을 수의적으로 주게 되면 근위부인 손등과 손바닥의 내재근이 불수의적으로 수축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상기 실시 예 3에서는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의 길이를 손가락 말절골 부위와 중절골 부위에 삽입되는 길이로 하고, 탄성밴드(310)의 연결상태는 제1,제2,제3연결상태(300A,300B,300C)로 연결되게 구성함도 가능하다.
상기의 말절골과 중절골 부분은 굴절되지 못하는 상태로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를 구성하면, 기절골 부분만 굴절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수부내재근 재활운동이 범위도 탄성력이 직접적으로 미치는 중절골과 말절골 부분에서 근수축되는 상태로 나타나게 된다.
실시 예3의 탄성밴드 연결구조는 제1연결상태(300A)와 제2연결상태(300B)및 제3연결상태(300C)를 복합적으로 적용한 구조이며, 이는 환자의 진단상태에 따라서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수부내재근 재활치료운동방법으로 처방될 경우에 적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신체적 특성인 손의 크기와 손가락의 길이, 근력과 잔존 기능 정도에 따라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원통형 부재와 연결밴드의 구성을 달리하여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의학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핑거가이드부재 110 : 제1핑거장착구 120 : 제2핑거장착구
130 : 제3핑거장착구 140 : 제4핑거장착구 150 : 제5핑거장착구
110a, 120a, 130a, 140a, 150a : 삽입공 200 : 틈새
300 : 탄성밴드부재 300A : 제1연결상태 300B : 제2연결상태
300C: 제3연결상태 310 : 탄성밴드 310a : 가늘고 긴밴드
310b : 짧은밴드 310c : 넓은밴드

Claims (11)

  1. 손가락에 끼워져 밀착되는 삽입공(110a,120a,130a,140a,150a)이 형성되고, 삽입된 손가락 마디의 구부러짐이 제한되게 하는 제1핑거장착구(110), 제2핑거장착구(120),제3핑거장착구(130),제4핑거장착구(140),제5핑거장착구(150)로 이루어지는 핑거가이드부재(100);
    상기 핑거가이드부재(100)가 손가락의 배열형태와 대응하게 배치되면서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사이 마다에 형성되는 틈새(200);
    상기 틈새(200)를 포함하여 상기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를 손가락의 힘으로 평행방향으로 오므릴 때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 150)에 연결된 탄성밴드(310)의 탄성력으로 수부내재근이 근수축되게 하는 탄성밴드부재(300); 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밴드부재(300)는, 긴장되고 수축되는 탄성력이 보유된 띠형상의 탄성밴드(310)로 되며 각각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가 마주하는 측면의 중간위치와, 상기 중간위치를 기준하여 손등방향위치와 손바닥방향위치에서 돌출되어 각각의 핑거장착구(110, 120,130,140,150)들이 병렬로 연결되게 하되,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 140,150)에는 상기 탄성밴드(310)에 의한 틈새(200)가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탄성밴드부재(300)의 탄성밴드(310)는, 상기 각각의 핑거장착구(110,120,130,140,150)의 마주하는 원주면의 손등방향위치와 손바닥방향위치에서 돌출되며, 손가락 길이방향에 대해 기절골 부위와, 중절골 부위와 말절골 부위를 연결하되, 상기 기절골 부위에서 한 개의 넓은 밴드(310c)로 연결되고, 상기 중절골 부위는 1쌍의 짧은밴드(310b)로 연결되게 하고, 상기 말절골 부위에는 1쌍의 가늘고 긴 밴드(310a)로 연결되어 제2연결상태(300B)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부내재근 재활운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가이드부재(100)는,
    상기 수부내재근 재활대상의 손가락에 삽입되며, 각 손가락 전체에 씌워지는 길이로 되는 제1핑거장착구(110),제2핑거장착구(120),제3핑거장착구(130),제4핑거장착구(140),제5핑거장착구(150)로 되고, 상기 각각의 핑거장착구의 삽입공(110a, 120a,130a,140a,150a)은 손가락의 외면에 밀착되는 직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부내재근 재활운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가이드부재(100)는,
    수부내재근 재활 대상의 손가락이 삽입되며, 각 손가락 전체에 씌워진 제1핑거장착구(110),제2핑거장착구(120),제3핑거장착구(130),제4핑거장착구 (140),제5핑거장착구(150)중 나란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핑거장착구 만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부내재근 재활 운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가이드부재(100)는,
    수부내재근 재활 대상의 손가락이 삽입되며, 나란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핑거장착구는 각 손가락 끝마디에 씌워지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부내재근 재활 운동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가이드부재(100)는,
    상기 수부내재근 재활대상의 손가락에 삽입되는 핑거장착구 중 엄지의 제1핑거장착구(110)는 검지의 제2핑거장착구(120)의 수직하방위치에 배열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부내재근 재활 운동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110172A 2015-08-04 2015-08-04 수부내재근 재활 운동 장치 KR101750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172A KR101750163B1 (ko) 2015-08-04 2015-08-04 수부내재근 재활 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172A KR101750163B1 (ko) 2015-08-04 2015-08-04 수부내재근 재활 운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719A KR20170016719A (ko) 2017-02-14
KR101750163B1 true KR101750163B1 (ko) 2017-06-23

Family

ID=5812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172A KR101750163B1 (ko) 2015-08-04 2015-08-04 수부내재근 재활 운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1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727894U (zh) * 2010-05-07 2011-02-02 上海市格致中学 手指张力练习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727894U (zh) * 2010-05-07 2011-02-02 上海市格致中学 手指张力练习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719A (ko) 201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an et al. Hand exoskeleton systems, clinical rehabilitation practices, and future prospects
US9700480B2 (en) Instrument for the massage and mobilization of the soft tissue of the human body
US20080081746A1 (en) Elastic exercise device
KR102034937B1 (ko) 손가락 운동 보조 장치
JPH08318006A (ja) 運動システム
CN106580634A (zh) 一种便携式手偏瘫康复锻炼辅助装置
RU2695721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функции кисти у пациентов с параличами и парезами верх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Rahman et al. Analysis of human hand kinematics: Forearm pronation and supination
Jian et al. Wearable hand exoskeleton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Chan Splinting for peripheral nerve injury in upper limb
KR101750163B1 (ko) 수부내재근 재활 운동 장치
US20080114271A1 (en) Method of neuromuscular calibration
CN206934297U (zh) 便携式手偏瘫康复锻炼辅助装置
Nugent-Head Ashi Points in Clinical Practice.
JP2013141529A (ja) スポーツ用グローブ
KR20030008189A (ko) 자동 손가락 운동기
KR200470707Y1 (ko) 손 운동기구
KR101269179B1 (ko) 어깨 및 상지의 균형된 자세 유지와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
KR102516170B1 (ko) 수부 재활장치
CN209108544U (zh) 一种偏瘫病人康复用条状抓握器
CN205796406U (zh) 手功能锻炼手套
RU2797733C1 (ru) Кистевой эспандер
CN215606678U (zh) 一种手功能位固定器
RU206310U1 (ru) Кистевой эспандер
Hawari et al. Physiotherapy Program on Claw Hand Condition at Leprosy Hospital Kelet Donorejo: a Cas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